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재미 한국학교 유아반 교사들의 한국어 교육에 관한 어려움과 요구: 워싱턴 지역을 중심으로

        성영실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21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21 No.11

        본 연구의 목적은 재미 한국학교 유아반 교사들의 한국어 교육에 관한 어려움과 요구를 파악함으로써 재외 한국학교의 유아를 위한 한국어 교육과 교사교육 및 지원방안 모색에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있다. 연구대상은 재미 한국학교 워싱턴지역 협의회에 소속된 한국학교의 유아반 교사 89명이다. 자료 수집 및 절차는 유아 대상의 한국어 교육에 관한 어려움과 요구를 파악하기 위해 구글 설문지를 작성하여 2020년 8월 15일 워싱턴지역 협의회 가을학기 교사연수에 참여한 유아교사 89명을 대상으로 배포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재미 워싱턴 지역 한국학교 유아반 교사들의 어려움은 유아측면에서는 주의집중 42명(47.2%), 동기유발과 흥미유지 15명(16.9%), 유아의 한국어 능력 차이 8명(9.0%), 교사측면에서는 수업자료 및 교재교구 제작 11명(12.4%), 의사소통 5명(5.6%), 교사의 영어능력 3명(3.4%), 부모 측면에서는 부모협조 2명(2.2%)이 어려움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재미 워싱턴 지역 한국학교 유아반 교사들의 한국어 교육에 관한 요구는 크게 교사교육과 교사지원으로 나타났으며, 교사교육에 대한 구체적인 요구는 온라인 수업을 위한 테크놀로지 활용교육 23명(26.0%), 유아교육과 발달에 대한 이해 교육 20명(22.5%), 교수학습방법 8명(9.0%), 정체성 및 인성교육 5명(5.6%)이 교사교육을 필요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지원에 대한 구체적인 요구는 교수학습 및 수업자료 14명(15.7%), 교육과정 및 프로그램 10명(11.2%), 부모 협조 2명(2.2%)이 교사지원을 필요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재외 한국학교 유아반 교사들이 느끼는 구체적인 어려움과 요구 내용을 반영한 바람직한 교사 교육과 지원이 실행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 KCI등재후보

        프랑스의 영유아 보호 및 교육체제

        한지혜(Han Jihae)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3 열린유아교육연구 Vol.8 No.3

        현재 우리나라의 유아교육기관은 어린이집과 유치원으로 이원화되어있다 이러한 기관의 이원화는 담당 부서의 이원화 및 교사양성체제의 이원화를 이야기하고 있다. 이로 인하여 유아에 대한 정부의 중복투자 및 담당 부서간의 역할분담 등이 적절하게 이루어 지지 않고 있으며 담당교사가 소위 보육전문기와 교육전문가로 분리되기에 이르렀다. 연령에 따라서 유아담당기관을 크레슈(creche)와 유아학교(ecole maternelle)로 구분하고 유아의 발달적 특성을 고려하여 보육중심 혹은 교육중심의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하면서도 기관간의 협력관계를 강조하고 있는 프랑스의 사례는 오늘날 우리나라의 유아 교육을 새로운 각도에서 바라볼 수 있도록 해준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국가와 지방자치 단체가 유아교육을 위한 행ㆍ재정적 지원을 아끼지 않고 있는 프랑스의 유아교육은 교육기회의 형평성에 대한 논의가 심토 있게 이루어지고 있는 우리나라 유아교육에 시사점을 주고 있다. This study attempted to understand the system of care and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in France. The analysis of the system was guided by the following question. What a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system? Three points were observed: 1) dual system (system of care for birth to 2/3 years olds vs system of education for 2/3 to 5/6 years olds); 2) curriculum of care and education focused on whole child; 3) important role of the government in care and education service for young children. The analysis of the French system points to some solutions for the problems with which the Korean system of care and education are faced.

      • KCI등재

        북한이탈주민 어머니의 유아교육기관 경험에 대한 탐구

        조혜영(Jo, Hye-Young),권정윤(Kwon, Jeong-Yoon)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3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8 No.2

        본 연구는 북한이탈주민 어머니가 북한 사회체제에서 이미 습득한 교육관이 남한사회체제 속에서 나타나는 유아교육기관에 대한 의미는 무엇이며, 이 과정에서 겪게되는 어려움과 요구하는 지원서비스 내용이 무엇인지 알아보는데 중점을 두었다. 연구 참여자는 눈덩이 표집방법을 사용하여 북한이탈주민 어머니 8명으로 선정하여 심층면담과 참여관찰을 통해 탐색하였다. 연구결과, 북한이탈주민 어머니는 남한 유아교육기관에 대한 의미를 ‘누구에게나 평등한 유아교육 제공’, ‘유아를 위한 유아중심의 교육’, ‘부모와 교사 간 교육 동반자 의식 형성’, ‘유아의 꿈과 희망을 꽃 피우는 통로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이해하고 있었다. 북한이탈주민 어머니가 경험한 남한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어려움은 교육방식, 교육의 책임소재, 소통문화, 학습내용의 차이에서 오는 어려움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북한이탈주민 어머니가 유아교육기관에 요구하는 지원서비스 내용으로는 북한이탈주민 유아에 대한 지속적인 교육지원과 북한이탈주민 어머니에 대한 지속적인 교육지원이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기초로 하여 북한이탈주민 어머니를 위한 교육적 지원과 부모교육의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North Korean refugee mothers’ experiences, difficulties, and needs regarding their children’s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South Korea as compared to their educational and cultural experiences in North Korea.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8 North Korean refugee mothers. To analyze the study purpose in depth, both participant observation method and in-depth interview as a qualitative case study were u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North Korean refugee mothers’ experiences o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 in South Korea were characterized as providing equal educational opportunities, child-centered education, education partnership between parents and teachers, and the place where the child’s dream come true. Second, the North Korean refugee mothers faced difficultie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 The different teaching methods, different educational liability, different communication cultures, and different learning contents were the difficulties that they expressed. Third, the North Korean refugee mothers asked more various educational opportunities and benefits for their children consistently. Also, the North Korean refugee mothers wanted self-development programs such as language education, diverse information, parent education programs and technical training for successful adaptation. Based on these study results, it was discussed the direction of educational supports and parenting education for the North Korean refugee mothers and their children.

      • 유아교사의 교수몰입, 교수불안, 반성적 사고가 유아교육과정 실행에 미치는 영향

        윤정아,정정희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9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19 No.11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교수몰입, 교수불안 및 반성적 사고가 유아교육과정 실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유아교사 22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자료처리는 SPSS 20,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Pearson의 적률상관 분석과 단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유아교사의 교수몰입, 교수불안, 반성적 사고, 유아교육과정 실행에 대한 인식 정도는 보통보다 높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사의 교수몰입과 반성적 사고는 유아교육과정 실행과 정적 상관관계, 교수불안과 유아교육과정 실행은 부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교사의 실행에 영향을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유아교사의 교수몰입, 교수불안 및 반성적 사고는 유아교육과정 실행을 45% 설명하며, 교수몰입이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고 다음으로 반성적 사고, 교수불안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유아교육과정 실행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유아 대상 생태교육 관련 용어에 대한 교원의 인식

        이일주(Lee, Yil-Ju),장인영(Jang, In-Young)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3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8 No.5

        본 연구는 유아 대상 생태교육 관련 용어 통일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유아교육 현장에서 근무하는 원장 및 교사 302명을 대상으로 생태교육 관련 용어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유아교사들은 ‘자연’이란 용어는 동양적 가치관인 일원론적인 자연관에 근거한 개념으로 인식하고 있었고, ‘환경’이란 용어는 ‘자연친화로서의 환경’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그 외에 ‘생태’, ‘생명’이라는 용어는 서양적 가치관인 이원론적인 자연관에 근거한 개념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생태교육’ 의미를 ‘자연과의 교감을 통하여 인간이 자연 속의 모든 생명체와 공존하며 살아감을 알려주는 교육’이라는 응답 277명(91.7%)로 가장 높게 나왔다. 생태교육에 가장 적합하다고 생각하는 용어가 무엇이라고 생각하는지에 대한 응답은 ‘자연친화 유아교육’ 100명(33.1%), ‘유아생태교육’ 73명(24.2%), ‘생태유아교육’ 40명(13.2%), ‘숲체험유아교육’ 38명(12.6%), ‘생명존중교육’ 20명(6.6%), ‘생태중심 유아교육’ 16명(5.3%), ‘환경친화유아교육’ 12명(4.%), 기타 3명(1.0%)순이었다. 이 결과는 생태교육 관련 학위논문 제목을 분석하여 ‘자연친화유아교육’이 가장 많이 사용되었다고 한 선행연구 결과와도 일치한다. 특이한 점은 학위논문에서는 사용되지 않았던 ‘유아생태교육’이라는 용어에 대해서 유아교육현장의 교원들은 들어본 경험이 가장 많았으며, 생태교육 관련 용어로 적합한 용어 선호도에 있어서도 두 번째로 높았다. 본 연구에서는 유아교육기관의 교원들은 생태교육 관련 용어마다 혼돈된 자연관을 가지고 있었으며, 약간의 선호도 차이가 있을 뿐 여전히 생태교육 관련 용어의 개념을 명확하게 구분하지 않고 사용하고 있었다. 따라서 향후 유아대상의 생태교육 관련 용어에 대한 정의와 의미를 통일시켜 나아감으로써 유아 대상 생태교육의 정체성을 확립할 필요가 있다. To provide the preliminary data for standardization of terminologies, we surveyed the awareness of 302 teachers working at kindergartens and daycare centers. According to the survey, the teachers perceived the terms “nature” and “environment” as representing a monistic view of nature by oriental values. They perceived the terms “ecology” and “life” as representing a dualistic view of nature according to Western values. The greatest consensus (91.7%) concerned the meaning of ecology education as being one that taught the coexistence of human beings with all living organisms in nature through communication with nature. Regarding the appropriate terminology for ecology education, the teachers most highly responded to “nature-friendly early childhood education” (33.1%), followed by “early childhood ecology education” (24.2%), “eco-early childhood education” (13.2%), “forest experience early childhood education” (12.6%), “life respect education” (6.6%), “ecology centered early childhood education” (5.3%), and “environment-friendly early childhood education” (4.0%). This supports earlier research that found the most frequently used term was “nature-friendly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theses and dissertations in Korea. Interestingly, teacher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heard most often “early childhood ecology education”, and secondly preferred as appropriate terminology for ecology education. On the other hand, they recognized the program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 on ecology education that utilized different terminologies. This stems from the use of terminologies on ecology education that are in vague. Therefore, a standardization of the terminology is needed regarding ecology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 KCI등재

        국내 4대 유아교육 기관평가 체제 비교 분석

        이대균(Lee DaeKyun)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4 열린유아교육연구 Vol.9 No.4

        내년(2005년) 1월 29일부터 유아교육법과 개정된 영유아보육법이 시행되게 되면 유아교육기관에 대한 국가 수준의 평가 제도가 어떠한 형태로든 마련되어야 할 것이며 그러한 논의 과정에서 국내에서 개발된 주요 평가 체제는 검토의 대상이 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내에서 개발된 주요 유아교육기관 평가 체제에 대한 비교 분석을 통해 국가 수준의 유아교육기관 평가 제도 개발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결과 다음과 같은 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국가 수준의 유아교육기관 평가 체제가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평가 결과의 공개 및 평가 결과에 따른 행재정적 차 등 지원이 이루어져야하고, 둘째, 유치원과 보육시설은 그 설립 목적과 운영 형태, 그리고 시실에 있어서 차이가 많으므로 평가 준거는 유치원과 보육시설의 특성에 맞게 이원화되어야 하며, 셋째, 우수한 평가자의 선정과 이들에 대한 연수가 평가 체제의 핵심을 이루므로 평가자의 자격 기준을 엄격히 할 필요가 있고 우수한 유아교육전공자가 평가자를 지원할 수 있는 유인체제를 갖추어야 할 것이며 이들에 대한 충실한 연수가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compares and analyzes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evaluation systems of BK21team (2002), Yang, Okseung(2002), Korean Women’s Development Institute(2003), Korean Open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2003) in terms of their evaluation goals, evaluation programs, validators, evaluation process, evaluation criteria, and the use of evaluation results. Based on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evaluation systems of BK21team(2002), Yang, Okseung(2002), Korean Women's Development Institute(2003), Korean Open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2003), this study suggests the directions for an evaluation system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korea: 1) evaluation results should be open in detail to the public via the internet. And the incentive system should be applied. 2) the evaluation criteria was classified into two parts, kindergarten and daycare center. Because, they are very different from each other, such as goals, curriculum, facility. 3) validators should be highly qualified and need to complete periodic refresher courses.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의 사회과 내용교수지식(PCK)향상을 위한 유아사회교육 수업 모형 개발

        이효림(Lee, Hyorim),이지연(Lee, Ji-yeon)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8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3 No.5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유아교사의 사회과 내용교수지식(PCK) 향상을 위한 유아사회교육 수업 모형을 개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문헌고찰 및 선행연구 분석, 대학교재 분석 및 현장의 요구조사를 기초로 수업 모형(안)을 구성하고, 유아교육과 교수 8인으로부터 내용적합성을 검증받았다. 개발된 수업 모형(안)은 3년제 대학 유아교육과 2학년에 재학 중인 예비유아교사를 대상으로 예비 적용을 실시하고 수정 보완하여 최종 수업 모형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수업 모형의 목표는 ‘유아사회교육을 위한 내용교수지식을 형성하여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이다. 교육내용은 유아사회교육의 목적 및 목표, 교육내용, 교수-학습방법, 평가, 학습자 이해, 상황 이해에 관한 지식이다. 수업 모형은 총 15주, 45시간으로 운영되며, 교수학습방법으로 강의, 토의, 시청각 교육, 발표, 모의수업, 시청각수업과 인터넷 카페를 활용한 과제제출 및 공유를 활용한다. 평가는 교육내용에 관한 이론시험인 형식적 평가와 수업활동 자료, 개별 및 조별 과제, 수업계획안, 모의수업 등을 통한 비형식적 평가로 구성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lecture model of social studies to improve pre-service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PCK) in social studies for young children. For this purpose, a teaching model (draft) was constructed based on literature reviews, analysis of previous research, analysis of university textbooks, and field needs surveys. The content validity was verified by 8 professor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developed instructional model (plan) was applied to pre - 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from a 3 - year college, and the final instruction model was developed by revising and supplementing them. The goal of the developed instructional model is ‘to develop the ability to apply pedagogical contents knowledge to the field by forming knowledge teaching contents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content of education is knowledge about purpose and goal, content of education, teaching - learning method, evaluation of early childhood social education, understanding of learner, and understanding of situation. Lessons are held for 45 hours over 15 weeks and lectures, discussions, audiovisual education, presentations, mock classes, audiovisual classes, and submissions and shared assignments on internet cafes are used as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The evaluation consists of formal evaluation, testing on the theoretical contents of education, and informal evaluation through class activity data, individual and group tasks, lesson plans, and mock lessons.

      • KCI등재

        유아교육연구에서 생태교육 관련 용어 통일을 위한 기초 연구

        이일주(Lee, Yil-Ju),장인영(Jang, In-Young)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2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7 No.6

        본 연구는 유아교육연구 중 생태교육연구에서 용어 통일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1997년부터 2012년 2월까지 발표된 유아교육 연구 분야의 생태, 자연교육 관련 석?박사 학위논문 233편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생태교육 용어는 크게 생태유아교육, 자연친화?자연체험?자연교육, 생태중심?생태지향?생태주의, 생명교육, 숲유치원, 생태+교과목, 기타로 분류할 수 있었으며 가장 많이 사용된 용어는 자연친화?자연체험?자연교육 66편(28.3%), 생태유아교육 52편(22.3%), 기타 47편(20.2%), 생태+교과목 37편(15.9%), 생태중심?생태지향?생태주의 교육이 16편(6.0%), 숲유치원 9편(3.9%), 생명교육 6편(2.6%) 순이었다. 한편 생태교육 관련 용어에 따른 논문의 발표연도, 논문유형, 연구유형, 연구내용, 연구대상, 연구자 전공에서는 논문유형을 제외하고 모두 차이를 보였다. 이 결과 유아교육연구에서 생태교육 관련 연구의 특징은 생태유아교육, 자연친화교육, 자연체험교육, 생태지향 교육, 생태중심 교육, 생태주의 교육, 생태체험교육 등 유사한 용어들의 차이점에 대한 설명 없이 다양하게 사용하는 경향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논문 제목에 사용된 용어와 본문에 사용된 용어가 불일치하는 연구도 많았는데 이런 현상은 연구자들도 생태관련 용어들에 관하여 개념을 명확하게 구분하지 않기 때문에 발생하는 것이다. 따라서 향후 유아교육연구에서 생태교육 관련 용어를 사용할 때는 본 연구에서 제시한 용어 정의 분류에 따라 그 의미를 통일시켜 나아감으로써 학문적 정체성을 확립할 필요가 있다. In order to provide the preliminary data for standardization of terminologies in ecology education, we analyzed 233 theses of masters and doctors degree on ecology education from 1997 to 2012 (Feb.) in Korea. The Terminologies for ecology education in the theses were classified as ‘eco-early childhood education’, ‘nature-friendly, nature experience, nature education’, ‘ecology centered, ecology oriented, ecological education’, ‘life education’, ‘forest-kindergarten’, ‘ecology + a subject’ and the others. The most frequently used terms were ‘nature-friendly, nature experience, nature education’(28.3%), ‘eco-early childhood education’(22.3%), ‘ecology + a subject’(15.9%), ‘ecology centered, ecology oriented, ecological education’(6.0%), ‘forest-kindergarten’(3.9%), ‘life education’(2.6%), and the others(20.2%). In case of ecology centered and ecology oriented education, regardless of using the terms in the title, the word of eco-early childhood education was mostly used in the text, and follow the ideals of education and contents of it. The correlation shows significant differences in year, research type, research contents, research objects and researcher"s major except for thesis type. Like this, it tends to use the terms having similar meaning without verification of eco-early childhood education, nature-friendly education and nature experience education, etc. Some theses were found not to correspond with the title and the text in terminology. It derived from the not-clear terminology. Further studies are needed on the cognition of ecology education specialists and on-site teachers for standardization of the terminologies in the future.

      • KCI등재

        어머니의 교사자질 인식의 기대와 실제 간 관계에서 유아교육공동체 인식의 매개효과

        정계숙(Chung, Kai-Sook),박지영(Park, Ji-Yeong)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7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2 No.4

        본 연구는 어머니의 교사자질 인식의 기대와 실제 간 관계에서 유아교육공동체 인식이 매개적 역할을 하는지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P시에 소재한 유아교육기관에 재원하고 있는 만 3, 4, 5세 자녀를 둔 어머니 194명을 대상으로 하여, ‘유아교사의 자질에 대한 부모의 인식 척도’와 ‘유아교육공동체 인식 척도’를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상관분석과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매개효과분석을 위해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기초자료로서 어머니의 교사자질 인식의 기대 및 실제, 그리고 유아교육공동체 인식은 보통이상의 수준이며, 어머니의 교사자질 인식의 기대수준이 실제수준보다 유의미한 차이로 높게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의 교사자질 인식의 기대수준과 실제수준, 유아교육공동체 인식의 관계는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셋째, 어머니의 유아교육공동체 인식은 어머니의 교사자질 인식의 기대와 실제 간 관계에서 부분 매개효과가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유아교육공동체의 중요한 주체인 어머니의 교사자질과 유아교육공동체 인식 간의 관련성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 교사자질 증진을 위한 교사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ether the recogni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community plays any mediating role within relations of bewteen mothers’ expected and recognized teacher’s qualities. For this, I have chosen this study includes 194 mothers with kids aged 3, 4, and 5 years old, who are attending a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e in P city and utilized the ‘scale of parents’ recognition of the qualit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the ‘scale of recogni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community.’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to analyze data and the Sobel test was used to analyze the mediating effect. The study findings are as following. First, as the basic data, the levels of both mothers’ expected and recognized early childhood teachers’ quality have been on or above the average, and the level of early childhood teachers’ quality expected by mothers has turned out to b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quality currently recognized by mothers. Second, there has been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levels of mothers’ expected and recognized early childhood teachers’ quality and the recogni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community. Third, the recogni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community among mothers has turned out to have a partial mediation effect on the level of early childhood teachers’ quality expected and recognized by mothers. This study provides basic data related to maternal perception of teacher qualifications and educational community, and discusses implications for parent and teacher education for improving teacher qualifications in terms of the establishment of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community.

      • KCI등재

        유아 기본생활습관 교육에 관한 연구동향 분석

        정혜순(Hye Soon Jeong),이병래(Byung Nae Lee)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4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9 No.3

        본 연구는 국내에서 연구되어온 유아기본생활습관교육 관련 연구들을 연구시기, 연 구내용, 연구방법 등의 동향을 분석함으로써, 궁극적으로는 우리나라 유아기본생활습 관 교육의 바람직한 방향성을 모색하려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14년 2월 현재까지 국내에서 발표된 유아기본생활습관교육 관련 연구논문 128편을 대상으로 연구문제에 따라 자료를 내용분석법에 따라 분석하고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 과는 첫째, 유아기본생활습관교육에 대한 연구는 1995년 이후부터 급격히 증가하면 서 이후 꾸준히 연구되어 왔는데, 석사학위 연구논문의 비중이 높았다. 둘째, 유아기본생활습관교육 연구는 기초연구보다 실천연구의 비중이 높았다. 셋째, 유아기본생활 습관교육을 위한 교육목표와 관련된 직접적인 연구논문은 발견되지 않았으며, 실천연구 과정에서 제시된 유아기본생습관교육의 주요 덕목은 예절, 질서, 청결, 절제 등이 주된 지향점이었다. 넷째, 유아기본생활습관교육을 실천하기 위한 교육방법은 교수- 학습방법을 구안하여 적용하는 방법과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하는 방법의 두 가지 형태로 이루어졌다. 다섯째, 유아의 기본생활습관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변인은 주로 아버지, 어머니, 유아, 교육활동 등 이었다. 여섯째, 유아기본생활습관 연구를 위한 연구방법은 주로 양적연구 방법이 적용되었다. This paper investigates studies related to this era`s “young children`s basic habits education”. The study investigates the current trends, and scrutinizes the current state of “young children`s basic habits education” in Korea. This study reviews the 128 research papers, written from 1992 to February of 2014, “young children`s basic habits education”. After 1995, due to the high level of importance given to having a master`s degree, research escalated in “young children`s basic habits education”. It is important to carry out practical research and not just research on the foundations. Another gap that this research fill is the lack of studies on the educational goal of “young children`s basic habits education”. Practical research shows that the points that have become mainstream regarding young children`s basic habits education are: etiquette, order, cleanliness, and self restraint. Two methods have arisen for professors to learn about young children`s basic habits education, and an education program has been developed. Finally, in their research on young children`s basic habits education, researchers have applied the quantitative metho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