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재미 한국학교 유아반 교사들의 한국어 교육에 관한 어려움과 요구: 워싱턴 지역을 중심으로

        성영실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21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21 No.11

        본 연구의 목적은 재미 한국학교 유아반 교사들의 한국어 교육에 관한 어려움과 요구를 파악함으로써 재외 한국학교의 유아를 위한 한국어 교육과 교사교육 및 지원방안 모색에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있다. 연구대상은 재미 한국학교 워싱턴지역 협의회에 소속된 한국학교의 유아반 교사 89명이다. 자료 수집 및 절차는 유아 대상의 한국어 교육에 관한 어려움과 요구를 파악하기 위해 구글 설문지를 작성하여 2020년 8월 15일 워싱턴지역 협의회 가을학기 교사연수에 참여한 유아교사 89명을 대상으로 배포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재미 워싱턴 지역 한국학교 유아반 교사들의 어려움은 유아측면에서는 주의집중 42명(47.2%), 동기유발과 흥미유지 15명(16.9%), 유아의 한국어 능력 차이 8명(9.0%), 교사측면에서는 수업자료 및 교재교구 제작 11명(12.4%), 의사소통 5명(5.6%), 교사의 영어능력 3명(3.4%), 부모 측면에서는 부모협조 2명(2.2%)이 어려움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재미 워싱턴 지역 한국학교 유아반 교사들의 한국어 교육에 관한 요구는 크게 교사교육과 교사지원으로 나타났으며, 교사교육에 대한 구체적인 요구는 온라인 수업을 위한 테크놀로지 활용교육 23명(26.0%), 유아교육과 발달에 대한 이해 교육 20명(22.5%), 교수학습방법 8명(9.0%), 정체성 및 인성교육 5명(5.6%)이 교사교육을 필요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지원에 대한 구체적인 요구는 교수학습 및 수업자료 14명(15.7%), 교육과정 및 프로그램 10명(11.2%), 부모 협조 2명(2.2%)이 교사지원을 필요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재외 한국학교 유아반 교사들이 느끼는 구체적인 어려움과 요구 내용을 반영한 바람직한 교사 교육과 지원이 실행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 코로나 시대, 교육용 SNS의 교수매체로써의 활용 가능성 탐색

        이지운,강은진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20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20 No.11

        코로나19 사태로 유아교육기관에도 디지털 매체를 활용한 교수학습방법에 대한 요구가 커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유아교육기관에서 가정과 부모의 소통 도구로 사용되었던 SNS 앱의 특징을 분석함으로써 유아-부모-기관의 상호작용을 통해 유아의 복합양식 문식성을 길러주는 교수매체로서의 가능성을 살펴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유아교육기관에서 사용되는 4개의 교육용 SNS 앱(시소, 플립그리드, 클래스팅, 키즈노트)을 선정하여, 앱의 안전성, 인터페이스,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모든 앱이 개인정보 보안을 고려하고 있었으나, 광고 제한 기능이 있는 앱은 2개였다. 인터페이스에서 유아를 고려한 교육용 SNS 앱은 복합양식 문식성교육에 활용되기 좋은 매체이며, 교사와 부모의 소통뿐만 아니라 유아와의 상호작용도 고려한 교육용 SNS 앱은 가정과 유아교육기관을 연계한 교수매체로 활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교육용 SNS 앱이 원격교육 상황에서 활용될 수 있음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유아의 리듬악기 활동을 통한 통합적 음악교육의 의미 고찰

        고영자(Ko Young-Ja)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0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5 No.6

        본 연구는 리듬악기 활동을 계획하여 유아들과 전개해 가면서 유아 음악교육 영역과 교육적 통합의 과정을 탐색해 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경기도 B시에 위치한 유치원 만 5세반 유아들로 남아 18명과 여아 15명이며 담임교사와 보조교사로 구성되었다. 자료수집 과정은 2010년 5월 10일부터 7월 26일까지 약 3개월간 주 1회씩 리듬악기를 이용한 음악활동을 진행하였고, 당일 자유선택활동에서의 유아와 교사, 유아간의 상호작용을 비디오로 녹화하여 수집하였다. 자료 분석은 각 활동에서 보이는 유아의 반응적 특징을 분류하여 유목화하였고, 그 안에서 발현되고 있는 중심 주제를 찾아 음악교육의 가치와 교육적 목표에 비추어 기술하고 해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첫째, 유아들은 리듬악기를 통한 음악활동에서 소리의 탐색과 소리 만들기, 노래 부르기, 악기 다루기, 음악 감상의 5가지 부분에서 자발성과 주도성이 증가되었다. 둘째, 유아들은 리듬악기를 활용해 가면서 교육영역간의 통합적 활동을 전개할 수 있었다. 리듬악기로 연주하고, 노래 부르며, 음악감상을 하는 과정에서 유아들은 교육 영역적 요소를 접목시키고, 다른 교육영역에서의 경험과 활동을 음악과 연계하였다. 이상의 연구를 통해 유아가 능동적 학습자가 될 수 있음을 확인하고, 유아의 음악적 잠재성을 개발시켜줄 수 있는 리듬악기의 교육적 의의를 새롭게 하며, 유아의 발달적 특성을 반영한 음악교육의 통합적 의미를 모색해 볼 수 있었다. This study aimed to explore integrated music education for children by planning music activities using rhythm instruments and practicing them with children. For collecting data, music activities using rhythm instruments were carried out once a week for about three months from May 10, 2010 to Jul. 26 and then, interactions between children and teachers, and among children during the free choice activities were recorded by videotapes. In order to analyze data collected, reactive characteristics of children in the activities were classified into, and central topics of the activities were described and analyzed based on value of music education and its educational goal.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ing. Firstly, it was found that of music activities using rhythm instruments, children's spontaneity and leadership improved in five activities such as exploration of sound, making sound, singing, playing instruments and music appreciation. Secondly, children could practice integrated music activities by using rhythm instruments. ese results show that children can be active learners in music education using rhythm instruments. Also, in this study, educational meaning of rhythm instruments to develop musical potentials of children was newly defined and meaning of integrated music education reflecting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of children was examined in detail.

      • 호주 국가교육과정, 미국 NCTM, 한국개정누리과정의 유아수학교육과정 내용 비교연구

        이근영,정정희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20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20 No.11

        본 연구는 호주교육과정평가원(ACARA)의 AC(Australian Curriculum), 미국수학교사협회(NCTM)의 CFP(Curriculum Focal Points), 한국개정누리과정의 유아수학교육과정을 비교해 봄으로써 유아수학교육과정의 국제적인 동향을 파악하여 유아수학교육과정 개발에 기초자료로써 활용되고자 하는 목적을 갖고 있다. NCTM는 수학전문학술지를 통해 수학과 관련된 연구들을 소개할 뿐만 아니라 수학교육의 규준이 되는 틀을 제시하여 전세계적으로 적용되는 기관이다. 그리고 최근 국제적인 수학평가에서 높은 수준을 보여주고 있는 호주에서는 2011년 국가차원으로 전 교과에 대한 규준을 발표하고 교육현장에서 적극적으로 적용하며 지속적으로 평가(ACARA)를 해오고 있다. 따라서 NCTM의 Pre-K, K 연령의 수학교육과정과 최근 새롭게 구성되어진 ACARA의 Foundation 연령의 수학교육과정, 2020년부터 적용되는 한국개정누리과정의 유아수학교육과정을 분석·비교해보았다. 그 결과, ACARA는 유아수학교육의 목표를 학령기의 준비기로 수학의 기초를 다지고 흥미를 유지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으며, NCTM의 CFP에서는 Pre-k과 K의 연령에서 습득되어야 할 수학의 개념을 3가지로 정하고, 이를 완수했을 경우 더 깊이 있는 수학적 사고를 이끌고자 하였다. 반면 우리나라의 개정누리과정의 유아수학교육은 과학과 함께 전체적인 탐구의 과정을 촉진시키고, 주변의 생명과 자연에 대해 존중하고 즐기는 수학 경험을 그 목표로 하고 있다.

      • KCI등재

        O.F. Bollnow 교육인간학에서 유아-교육자의 관계본질과 그 교육적 의의

        강기수(Gang, Gi Su),최은주(Choi, Eun Ju)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20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5 No.3

        이 연구의 목적은 O. F. Bollnow의 교육인간학에서 유아와 교육자의 관계본질과 그 교육적 의의를 밝히는 데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Bollnow의 교육인간학에서 유아-교육자의 관계와 교육적 관계본질을 탐색하고, 이에 근거하여 유아-교육자 관계의 교육적 의의를 밝혔다. Bollnow의 교육인간학에서 유아-교육자의 관계본질이 지니는 교육적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Bollnow는 모든 교육 현상을 유아와 교육자의 존재와 관계에 근거하여 유아와 교육자를 존재 그 자체로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교육현상에 대한 구체적이고 본질적인 접근을 시도한다. 둘째, Bollnow의 교육적 관계론은 유아와 교육자에게 교육현장에서의 부정적인 분위기를 극복하고 신뢰에 근거한 안정감과 희망을 갖게 한다. 셋째, Bollnow는 유아가 자발적으로 교육을 받고 싶어하는 교육적 의지를 지닌 존재임을 주장함으로써 새로운 유아관을 제시한다. 결국 Bollnow의 교육인간학에서 유아-교육자의 관계론은 현재 한국 유아교육 현장에서의 관계부재, 교육 당사자 간 불신 등으로 야기되고 있는 교육적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단초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교육적으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nature of relationship between infants and educators and its educational significance in the context of O. F. Bollnow’s educational anthropology. In order to achieve this research purpose, the relationship between early childhood and educators and its nature of educational relationships were explored, and based on this, revealed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early childhood and educators. In Bollnow’s educational anthropology,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of the relationship nature of early childhood and educators is as following. First, Bollnow understands all educational phenomena based on the existence and relationship of infants and educators, and understands infants and educators as beings themselves, and attempts a concrete and essential approach to educational phenomena based on such understanding. Second, Bollnow’s educational relations theory allows children and educators to overcome the negative atmosphere in the educational field and gives them a sense of stability and hope based on trust. Third, Bollnow proposes a new preschool by asserting that the child has an educational willingness to voluntarily receive education. After all, the early childhood and educators relationship theory in Bollnow’s educational anthropology has educational implication in that it provides a clue to solve the educational problems caused by the lack of relations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South Korea and distrust among the educational parties.

      • 예비유아교사의 일상 속 인성덕목 경험을 통한 유아인성교육 실천방안 모색

        황지애,김성재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25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25 No.5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들이 일상에서 경험한 인성 덕목을 바탕으로 유아 인성교육의 실천방안을 모색하고, 이를 통해 예비유아교사로서의 인식 변화 과정을 살펴보고자 한다. 전북 I시 소재 전문대 유아교육과 2학년 재학생 10명을 대상으로, 협동활동 및 토의․토론을 통해 자신의 인성 경험을 공유하고, 이를 바탕으로 유아 인성교육 실천방안을 구성하는 수업을 진행한다. 또한, 전 과정에서 반성적 저널 작성과 수업 종류 후, 심층면담을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이를 내용 분석방법에 따라 분석한다. 그 결과, 예비유아교사들은 일상 속 다양한 인성 덕목을 경험하고 있으며, 이러한 경험이 유아 인성교육 실천방안으로 전환될 수 있음을 확인한다. 아울러, 반성적 저널 쓰기와 심층면담을 통해 유아교사로서의 정체성과 인성교육 관련 교수 역량에 대한 성찰이 촉진됨을 파악한다.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인성교육 역량 함양과 유아 인성교육 활성화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미술 치료적 접근에 기반한 유아미술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

        신수진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20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20 No.11

        본 연구는 미술 치료적 접근에 기반한 유아미술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개발한 프로그램이 유아의 그리기표상능력, 정서능력, 공간지각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유아교육 현장에서의 적용 타당성을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어린이집 만 5세 유아 30명(실험 15명, 비교 15명)을 선정하였고, 연구대상의 월령은 79.26개월이었다. 실험집단에는 미술치료적 접근에 기반한 유아미술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하였고, 비교집단에는 미술 요소 중심 유아미술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하였으며, 휴일과 공휴일을 제외한 5주간 총 20회의 실험처치를 실시하였다. 미술 치료적 접근에 기반한 유아미술교육 프로그램의 체계는 목표, 교육내용, 교수-학습 방법, 평가로 구성하였다. 개발한 프로그램의 효과를 분석한 결과, 미술 치료적 접근에 기반한 유아미술교육 프로그램은 유아의 그리기표상능력, 정서능력, 공간지각능력 증진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본 연구결과는 본 연구에서 개발한 프로그램이 유아교육 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는 효과적인 미술교육 프로그램이 될 수 있음을 입증한 것이라 할 수 있다.

      • KCI등재

        Appreciating diversity and interculturalism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the US

        Kim, Keun-Kyu(김근규)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7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2 No.5

        본 논문은 미국의 다양성과 문화상호주의의 개념이 발생하고 정착하기까지의 과정과 쟁점이 되었던 주요 사안들에 대해 살펴보고, 유아교육과 관련된 이슈들을 조명하며, 한국의 유아교육전문가들에게 다양성과 문화상호주의와 관련된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제시한 시사점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의 유아교육전문가들은 한국내의 소수그룹의 유아들과 다문화가정이 직면하는 불평등과 차별의 문제에 관심을 가지고 면밀한 조사를 실시할 필요가 있다, 둘째, 다문화가정의 유아들의 성장과 발달에 관한 실태조사와 다문화가정 부모들의 의견을 적극적으로 수렴할 수 있는 효율적인 의사소통 체계를 마련하고 세부적으로 점검할 필요가 있다. 셋째, 이외에도 한국에서 소외받는 유아들을 위해 효과적인 다문화교육 혹은 문화상호주의 교육프로그램과 모델을 개발하고 실행하여야 한다. 마지막으로, 한국의 유아교육전문가들은 유아들이 다양성의 문제에 대해 올바르게 이해하고 타문화에 대해 거부감 없는 균형 잡힌 시각을 가질 수 있도록 교육함은 물론 어떻게 한국문화와 접목시켜갈지에 대해 방향성을 제시하는 등의 논의를 이어가야할 것이다. Early childhood educators’ abilities to support children’s development by teaching them concepts of diversity, intercultural perspectives, multiculturalism and equality issues are critical as many countries become increasingly heterogeneous in race, language, and culture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highlight the importance of putting greater emphasis on diversity and interculturalism issues and making them key component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ECE). By looking at multiculturalism and equality issues, as well as how these issues are being addressed through deeper engagement with intercultural education in the U.S, the following critical implications for Korean early childhood education are proposed: 1) Korean ECE professionals should investigate inequality and discrimination children from minority groups experience in Korea, 2) ECE teachers should provide an open communication channel between school and families, 3) effective multicultural and/or intercultural education programs and models should be developed for young children. Finally, early childhood educators in Korea should begin discussions regarding how the presence of children representing diverse cultures enrich and broaden various views about their own and other cultural perspectives.

      • KCI등재후보

        유아교육과 보육 정책에 대한 전문가 의견 분석

        나정(Na jung),박은실(Park eun sil)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3 열린유아교육연구 Vol.7 No.4

        본 연구는 델파이 조사를 통해 우리나라 유아교육과 보육 정책에 대한 전문가들의 의견을 알아본 것이다. 유아교육과 보육, 아동 및 교육학 분야의 대표적인 학회 7개의 이사들 42명을 대상으로, 유아교육과 보육정책 중에서 가장 우선적으로 추진해야 할 것, 향후 중요하게 추진해야 할 것, OECD 유아교육과 보호정책 중에서 시사점이 큰 것 등에 대한 의견을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 전문가들은 우리나라의 유아교육과 보육 발전을 위해서 1) 교육과 보호가 통합된 공적 체제 구축. 2) 유아교육 및 보육 인력 제도의 개선. 3) 유아교육 및 보육서비스의 질 향상. 4) 유아교육 및 보육에 대한 행ㆍ재정 지원을 가장 우선적이고 중요하게 추진되어야할 정책이라고 응답하였다. 또 OECD 국가들의 유아교육과 보호 정책 동향 중에서는 1) 체계적이고 통합적인 정책 개발과 수행. 2) 질 개선과 보장. 3) 공공재원 확보 기반 조성 등을 시사 받을 만한 가치가 있는 정책으로 지적하였다. 즉, 전문가들은 우리나라의 이원적인 현행 유아교육과 보육 체제 및 정책과는 다르게, 유아교육과 보육의 ‘통합’에 대한 의견을 많이 지적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rofessionals' opinion o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Policy. In order to investigate the professionals' opinion, the Delphi method was used. The professionals point out that it must be laid weight on 1) to establish and to propel the integrated public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system, 2) to improve the system of staff of ECEC, 3) to improve the quality of ECEC services, and 4) to increase the support system for the ECEC activities. The professionals also point out that it must be considered 1) to develop and to implement systematic and integrated policies, 2) to improve and to guarantee the quality of ECEC services, and 3) to establish the system of making public funds. In spite of the current separated system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in Korea, the professionals point out the importance of making the integrated ECEC policies and propelling the integrated ECEC policies.

      • KCI등재

        성공적인 장애유아 통합교육 실천을 위한 협력중심 장애유아 통합교육 교사지원 프로그램의 효과 연구

        양진희(Yang Jin-Hee)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8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3 No.4

        본 연구는 일반유치원에서의 성공적인 장애유아 통합교육 실천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통합학급 교사들을 위한 교사지원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현장에 적용하고, 그 효과를 알아보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유아교사의 통합교육 교사교육에 대한 요구에 기초하여 프로그램의 방향을 설정한 다음 프로그램의 목표, 프로그램의 내용, 프로그램의 활동방법을 구성함으로써 협력중심 장애유아 통합교육 교사지원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개발한 프로그램은 10주간 총 60시간(1주일에 2회씩)에 걸쳐 실험집단에 적용하였다. 연구대상은 협력중심 장애유아 통합교육 교사지원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 12명과 특수교사 일반연수에 참여한 통제집단 12명으로, 모두 유아교육현장에서 통합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교사이다. 연구결과 본 프로그램은 교사의 통합교육 교사효능감, 교수수행능력, 통합교육 직무만족도 증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장애유아 통합교육의 성공적인 실천을 증진시키는 현직교사교육 및 교사지원 프로그램 개발의 바람직한 접근 방향을 모색하는 데 있어 가치 있는 자료가 될 것이다. This study developed, implemented and evaluated a teacher support program of collaborative inclusive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based on childcare teachers' demands on the teachers' efficacy, teaching performance, and teachers' work satisfaction. The demand characteristic of teacher about teacher support program of collaborative inclusive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were considered in the process of the program's development,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The program was implemented for 10 weeks(20 times) with 12 teacher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esting the effects of the teacher support program of collaborative inclusive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teacher efficacy than the control group. In the two sub-areas of teacher efficiency-general teacher efficacy and personal teacher efficacy-the experimental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teaching performance than the control group. In addition,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work satisfaction than the control grou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