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세형동검문화의 동부(銅斧)와 도끼(斧)ㆍ자귀(錛)

        조진선,김주호,노형신 한국청동기학회 2020 한국청동기학보 Vol.26 No.-

        세형동검문화의 청동제 목공구로는 동부와 동착이 있다. 동착은 단순하지만 동부는 선형동부와 유견 동부, 장방형동부, 주머니형동부로 다양하다. 이 중 합인인 주머니형동부를 제외한 나머지는 모두 편인 이다. 필자들은 민족지 자료를 검토하는 과정에서 1960년대까지 신석기시대 농경민의 삶을 살고 있었 던 뉴기니의 두굼 다니가 돌도끼는 나무를 쪼개는 데 사용했고, 자귀는 나무를 베고 다듬는 데 사용한 사실을 확인하였다. 이에 따라 필자들은 장방형동부를 도끼와 자귀로 착장해서 나무 베기 실험을 진행 하였는데, 자귀로 사용했을 때 훨씬 더 효과적이라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양상은 두굼 다니의 사례, 그리고 돌도끼와 돌자귀로 나무 베기를 진행한 실험고고학적인 연구 결과와도 상통한다. 즉, 장방형동부는 나무를 벨 수도 있고 다듬을 수도 있는 자귀여서 長方形銅錛이라는 명칭이 더 적합하다. 나아가 세형동검문화의 동부들은 합인인 주머니형동부를 제외한 나머지는 모두 자귀여서 有肩銅錛, 扇形 銅錛으로 부르는 것이 타당하다. 한국 고고학계에서는 목공구의 명칭을 총칭해서“斧”로 쓰거나“斧”와“鑿”으로 이원해서 쓰는 경 향이 강하다. 하지만 이러한 목공구 명칭은 현대 대목장의 연장인 도끼, 자귀, 끌이나 18세기에 편찬된 『才物譜』의 斧(독긔), 錛子(자귀), 鑿( )이라는 명칭과 달라서 대중들의 인식과 괴리되어 있다. 그 래서 한국 고고학계에서도 목공구의 명칭을 도끼(斧), 자귀(錛), 끌(鑿)과 같이 전통적이면서도 현대적 이어서 대중들이 이해할 수 있는 명칭으로 수정해야 할 것이다. The bronze woodworking tools of Slender Bronze Daggers Culture include bronze axe and bronze chisel. Of these, bronze axe are varies in form with fan-typed bronze axe and bronze axe with shoulder form and rectangular shaped bronze axe and pocket type bronze axe. The rest is chizel grinding edge except for the pocket type bronze axe, which is the convex grinding edge. The authors conducted a woodcut experiment using a rectangular shaped bronze axe and confirmed that it was much more effective when used as a bronze adze. This aspect also relates to the case of Dugum Dani in New Guinea and the results of experimental archaeological studies that conducted tree cutting with stone axe and stone adze. So, the name "Rectangular Shaped Bronze adze" is more suitable because it is adze that can cut down trees and trim them. Similarly, it is reasonable to call it fan-typed bronze adze, bronze adze with shoulder form. The Korean archaeological community tends to use the name of woodworking tools collectively as "Axe" or dualize them as "Axe" and "Chisel". However, the name of these woodworking tools is different from the traditional uses of Axe, Adze, and Chisel. So they are separated from the public. Therefore, the Korean archaeological community needs to change the name of woodworking tools to one that the public can understand.

      • KCI등재

        조선 후기 한양 동부(東部) 관동(館洞)의 인문지리와 연안이씨(延安李氏) 관동파(館洞派)

        오세현 서울시립대학교 서울학연구소 2015 서울학연구 Vol.- No.61

        조선시대 한성부 동부는 東人과 함께 다수의 西人들도 거주했던 대표적인 사대부의 거주지였다. 그동안 서울의 여타 지역에 비해 주목을 받지 못했던 동부의 인문지리적 성격을 조명하는 효과적 방법 중 하나가 바로 동부에 거주했던 인물들에 대한 연구이다. 조선시대 동부에 거주했던 가장 대표적인 가문 중 하나가 바로 延安李氏 館洞派이다. 조선 초기부터 동부에 거주하기 시작했던 연안이씨는 조선중기 李廷龜라는 대문장가의 출현을 통해 관동파라는 小宗으로 분기했다. 그리고 조선 후기 최초의 3대 文衡을 배출하며 대표적인 文翰家로 성장했는데, 이러한 관동파의 성장과 그 안에서 전개되었던 사대부들의 인적 교류를 조명하는 일은 그동안 제대로 알려지지 않았던 동부 지역 사대부들의 삶을 통해 동부의 역사성을 복원하는 중요한 하나의 방법이다. Hanseongbu(漢城府) Dongbu(東部) had been consisted of not only Dongin(東人) but also Seoin(西人) and it had been typical gentry’s residence in Joseon Dynasty. But Dongbu had not been paid attention as compared with other region in seoul. The ef-ficent way to illuminate value of Dongbu’s human geography is research on the people who lived in Dongbu. Most typical gentry family who lived in Dongbu is Yeonan-Yi Clan(延安李氏) Gwandongpa(館洞派). Yeonan-Yi Clan had settled down in Dongbu in early period of Joseon Dynasty. The masterful fine writer Yi Jeong-gu(李廷龜) is the start point in Gwandongpa’s rousing from Yeonan-Yi Clan’s majority. After rousing from majority, Gwandongpa had grown up to a top literary family in late Joseon Dynasty through producing the first three generations literary posts(文衡). The study of Gwandongpa’s growth and personal exchange in Dongbu gentry’s society is the important way to restore the nature of Dongbu history.

      • 전북 동부지역 고대 산성의 축성법을 통해 본 백제와 신라의 각축 양상

        조명일 전북연구원 전북학연구센터 2023 전북학연구 Vol.10 No.-

        본 글은 최근 활발하게 발굴조사가 이루어진 전북 동부지역 고대 산성의 축성법 을 검토하여 축성 주체를 밝히고, 이를 바탕으로 가야 멸망 이후, 전북 동부지역에 서 벌어진 백제와 신라의 각축 양상을 파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먼저 전북 동부지역에서 발굴 조사된 고대 산성의 축성법과 출토유물 등에 대한 검토를 통해 가야와 백제, 신라의 산성이 모두 존재함을 밝혔다. 전북 동부지역에 는 정확히 언제인지는 모르지만, 5세기경 마한 문화의 전통 속에 새롭게 가야 문 화가 이입되었고, 주변국과의 활발한 문물교류를 통해 강력한 정치체로 발전하였 다. 한반도 중추에 자리 잡은 전북 동부지역 가야 정치체는 문물교류의 허브이기도 했지만, 백제와 신라 사이의 군사적 완충지대이기도 하였다. 6세기 중반, 전북 동부지역 가야세력이 무너지자 백제와 신라는 이 지역의 패권 을 두고 치열한 각축전을 전개한다. 그 대표적인 사건이 백제와 신라의 최대 격전 지로 손꼽히는 아막성 전투와 가잠성 전투이다. 아막성은 전북 남원시 아영면에 있 는 성리산성으로 비정되며, 이에 대한 이견은 거의 없다. 최근 발굴조사를 통해 6~7세기 대 신라의 전형적인 축성법이 확인되었고, 다량의 신라 토기가 출토되었 다. 문헌기록으로 전하던 아막성의 실체가 고고학적으로 명확히 밝혀진 셈이다. 가 잠성에 대해서는 그동안 경기도 안성시 죽산면설, 충북 영동군설, 충남 금산군설, 전북 무주군설 등 다양한 의견이 제시되었다. 그런데 이 견해들은 고고학적 측면과 신성의 축성법이 배제된 채, 문헌기록에 근거한 음운사적 측면이나, 전투에 참여한 지휘관과 군사 등의 소속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었다. 이에 필자는 기존의 학설과 문헌기록, 고고학적 성과를 종합하여, 가잠성이 최근 신라 산성이 다수 확인되고 있는 전북 동부지역에 존재했을 가능성을 제기 하였고, 백제 무왕과 신라 진평왕 재위기간에 벌어진 일련의 전투 무대를 전북 동부지역으로 보았다. 602년 백제는 4만 대군을 동원하여 신라의 아막성을 공략하지만 실패로 돌아가 고, 신라는 그 기세를 몰아 전북 동부지역 지배권을 공고히 하고자 다수의 산성을 축조하였다. 가잠성이 전북 동부지역에 존재한다면, 가잠성의 축조 역시 이즈음에 이루어졌을 가능성이 높다. 백제는 605년 임실에 각산성을 축조하여 신라의 공세 에 대응하였고, 아막성 패배의 후유증에서 어느 정도 벗어난 611년 가잠성을 공격 한다. 이 전투에서 승리한 백제는 그 여세를 몰아 616년 패배의 아픔이 서려있는 아막성을 다시금 공략하여 함락시켰고, 함양의 속함성 일대까지 진출하였다. 여기 에 위기를 느낀 신라는 덕산재(무주군 무풍면과 경북 김천시 부항면의 경계에 있 는 백두대간 고갯길)를 넘어와 가잠성 수복전을 전개하여 성공시킴으로서 금강 상 류지역에서 대한 지배권을 되찾는다. 624년 함양의 속함성을 포함한 6성을 공취한 백제는 628년 금강 상류지역을 회복하고자 가잠성를 공격하였다. 이 전투에 대한 승패는 전하지 않지만, 647년 백제 의자왕이 장군 의직을 시켜 무산성(지금의 무주 군 무풍면)을 비롯하여 감물성·동잠성(김천시 일대로 추정) 등 3성을 함락시킨 것 으로 보아 무산성으로 가는 길목에 있었던 가잠성은 그 이전에 백제의 수중으로 다시 들어갔을 것으로 추정된다. 본 논문의 핵심은 아막성과 가잠성 모두 전북 동부지역에 있었다는 것이고, 두 지역의 전투는 금강 상류지역의 거점(가잠성), 섬진강과 남강 유역의 요충지(아막 성)를 안정적으로 확보하여 옛 가야지역의 패권을 차지하기 벌어졌을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여기에 더해 전북 동부지역 일대가 대규모의 철산지였다는 점도 전투 의 주요한 배경으로 작용했을 가능성이 있다. This article reviewed the construction method of ancient fortresses recently confirmed in eastern Jeollabuk-do. Through this, it was revealed that the fortresses of Gaya, Baekje, and Silla all exist in the eastern part of Jeollabuk-do. The eastern part of Jeollabuk-do is a mountainous region and is the origin of the Geumgang River, Seomjingang River, and Namgang River. Historically, Gaya existed in the eastern part of Jeollabuk-do from the 5th to the mid-6th century. They developed through active exchanges with neighboring countries through the medium of iron. Also, served as a military buffer between Baekje and Silla. However, when Gaya collapsed in the mid-6th century, Baekje and Silla fiercely competed to occupy the area. The most representative events are the Battle of Amak Fortress and Ghazam Fortress, which are recorded in the Samguksagi. Amak Fortress is located in Ayeong-myeon, Namwon-si, Jeollabuk-do. In 602, Baekje mobilized 40,000 soldiers to attack Amak Fortress in Silla, but failed. With this battle, Silla took control of the eastern part of Jeollabuk-do and built a number of fortresses. In addition, it secured control of the eastern part of Jeollabuk-do. Baekje built Gaksan Fortress in 605 to prepare for the attack on Silla. Baekje, which escaped from the aftermath of the Battle of Amak Fortress, attacked Gajam Fortress in Silla in 611. Until now, the location of Gajam Fortress has been seen as Anseong-si, Gyeonggi-do, Yeongdong-gun, Chungcheongbuk-do, Geumsan-gun, Chungcheongnam-do, and Muju-gun, Jeollabuk-do. In consideration of the literature records and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fortress, the author decides the location of the head castle to be the eastern part of Jeollabuk-do. In this case, it is highly likely that many battles between Baekje and Silla during the King Mu of Baekje were fought in the eastern part of Jeollabuk-do. Baekje, which won the Battle of Ghazam Fortress in 611, attacked Amak Fortress again in 616. Although it does not convey the victory or defeat of the battle, it is highly likely that Baekje won, considering that it entered the Sokham Fortress in Hamyang-gun in 624. Feeling a crisis, Silla regained control of the upper Geumgang River by crossing Deoksanjae Pass in 618 and restoring Gajam Fortress. Baekje, which captured six fortresses, including the Sokham Fortress in 624, attacked Gazam Fortress again in 628. Although the victory or defeat of this battle is unknown, considering that Baekje attacked Musan Fortress (Muju, Jeollabuk-do), Gammul Fortress, and Dongjam Fortress (Gimcheon, Gyeongsangbuk-do) in 647, it is highly likely that Baekje captured it before 647. The core of this paper is that both Amakseong Fortress and Gajam Fortress, where Baekje and Silla were fiercely opposed in the 7th century, were located in the eastern part of Jeollabuk-do. The battle between the two regions was to take control of the old Gaya land by securing a stronghold in the upper reaches of the Geumgang River (Gazam Fortress) and a key point in the Namgang River basin (Amak Fortress). One of the reasons why Baekje and Silla were at odds was that the eastern part of Jeollabuk-do was a large-scale iron producing area.

      • KCI등재

        고구려 건국전승의 始祖 出自와 北夫餘, 東夫餘

        임기환(Lim Ki Hwan) 고구려발해학회 2016 고구려발해연구 Vol.54 No.-

        고구려의 시조전승을 보면 각 전승의 계통에 따라 北夫餘出自 傳承, 東夫餘出自 傳承, 夫餘出自 傳承 등으로 나누어지고 있다. 그런데 광개토왕비문에는 北夫餘와 東夫餘, 夫餘가 모두 등장하고 있기 때문에, 이를 통해 북부여와 동부여의 연관성 혹은 시조 출자전승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먼저 5세기대 고구려 시조전승의 면모를 추정하기 위해 여러 전승 자료를 비교 검토하였다. 광개토왕비문과 『위서』의 건국전승을 비교하여 거의 동일한 건국전승을 기술한 것으로 파악하였으며, 고구려본기와 『위서』의 시조전승을 대교하여 양자의 전승은 공유되는 모종의 전거 자료에 의해 편찬되었음을 추정하였다. 따라서 5세기 건국설화 단계에서도 고구려본기에 보이는 건국전승 즉 해부루 동부여천도 설화와 해모수설화가 어떤 형태로든지 포함되어 있을 것으로 추정하였다. 이러한 추정을 보완하기 위해 北夫餘, 東夫餘, 夫餘의 출자 기사가 갖는 연관성을 검토하였다. 『위서』의 시조 출자지인 夫餘는 건국전승의 내용 체계상 고구려본기 시조전승의 동부여와 통한다. 광개토왕비문에서도 추모왕, 유류왕, 대주류왕이라는 3王系를 밝히고 있고 東夫餘를 ‘舊是鄒牟王屬民’으로 인식한 것은 고구려본기에 보이는 건국전승의 서사에서 주몽, 유리왕, 대무신왕과 동부여가 맺고 있는 관계를 전제로 한 것으로 파악하였다. 광개토왕비문에서 북부여 출자설을 내세우고 있기 때문에, 동부여 천도설화 및 추모왕이 ‘天帝之子’가 될 수 있는 해모수설화도 동시에 성립되었음을 추정할 수 있다. 고구려본기의 주몽설화에서 주몽이 해모수의 적통으로 등장하는 것과 같은 논리로 광개토왕비문에서는 추모왕의 북부여 출자를 내세워 고구려가 북부여의 정통성을 계승한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광개토왕비문이 건립되는 시점에서도 東夫餘 관련 전승은 성립되어 있었으며, 이를 전제로 광개토왕비문의 北夫餘 出自 전승이 기술된 것이다. 시조 출자는 北夫餘이며, 東夫餘는 건국설화 내에 포함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추모왕의 속민인 존재였다. 따라서 광개토왕비문의 북부여 출자설 및 고구려본기의 동부여 출자설은 별개의 시조 출자를 뜻하는 것이 아니다. 북부여 출자가 5세기 고구려에서 구성한 시조설화의 출자인식이다. There are two kinds of narrative that Jumong(朱蒙) was from Northern Buyeo(北夫餘) or East Buyeo((東夫餘) in eponymous story of Koguryo. The Gwanggaeto Mausoleum Tablet(廣開土王碑) has appeared in both the North and give Dongbuyeo. Several narratives data were compared to restoring the th5 century Koguryo Jumong mythology朱( 蒙傳承) First, a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the description of the Jumong mythology(朱蒙傳承) inside the Gwanggaeto Mausoleum Tablet and the one from Wei Seo(『魏書』) is attempted. As a result, Jumong Myth of the Gwanggaeto Mausoleum Tablet and the inscription “Wei Seo” is almost the same content Jumong mythology of Koguryo-Bongi(高句麗本紀) of Samguk Sagi(『三國史記』) and “魏書” is almost the same content, because it was compiled on the basis of a common authority data. As a result, Hae-Mosu(解慕漱) Mythology and Hae-Buru(解夫婁) Mythology also formed at the same time in the fifth century Goguryeo. Gwanggaeto Mausoleum Tablet(廣開土王碑) describes only inscription the first three kings. And it is described as the Dongbuyeo was subjected to residents since Jumong king. This is evidence of a same content made as the founding narratives of the Koguryobonki(高句麗本紀). Jumong mythology story that Jumong was from Northern Buye北o(夫餘) and Jumong was from East Buyeo(東(夫餘), Thus are cognate Foundation mythology

      • 경기동부 도농복합지역의 미세먼지 관리방안

        김동영,최민애 경기연구원 2017 정책연구 Vol.- No.-

        경기동부지역은 천혜의 자연환경으로 수도권 주민들의 휴식처가 되고 있다. 그러나 수자원 및 자연환경보전을 위한 각종 규제로 인해 타 지역에 비해 낙후되고 있다는 주민의 불만이 지속적으로 제기되는 지역이기도 하다. 또 이 지역은 자연환경이 우수한데 비해 역설적으로 생활환경의 질은 우수하지 않다. 대기질, 쓰레기 문제 등 각종 생활환경지표는 오히려 대도시보다 더 나쁘게 나타나고 있다. 소규모 난개발로 인해 생활주변 환경은 더욱 악화되고, 지자체의 환경관리 역량은 상대적으로 열악하기 때문이다. 특히 최근 들어 미세먼지 문제가 사회적 관심사로 대두되면서, 경기도 교외지역의 대기질은 대도시 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나쁜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경기도의 미세먼지(PM10) 농도는 지난 10년 동안 66㎍/㎥(2007년)에서 53㎍/㎥ (2016년)로 19.7% 감소하였다. 경기동부지역의 미세먼지 역시 전반적으로 같이 감소하는 추세에 있기는 하나, 이천시(58㎍/㎥), 여주시(54㎍/㎥) 등은 경기도 평균농도를 상회하면서 대도시 지역보다 오히려 나쁜 특성을 보이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지금까지 청정지역으로 인식되고 있는 경기동부지역에 대해 미세먼지 발생 원인과 특성을 분석하고 지역적 특성을 고려하여 각종 대책을 검토하였다. 여기서 경기도 동부지역은 남양주시, 이천시, 광주시, 여주시, 가평군, 양평군 6개의 시·군을 의미한다. 전반적으로 경기동부지역은 도농복합 특성을 가지면서 산업시설, 교통 등에 의한 자체적인 대기오염 유발 요인은 크지 않다. 그렇지만 대기질이 좋지 않은 이유는 중·소 배출시설의 관리 부족, 생물성연소 만연, 비산먼지 발생 등으로 요약할 수 있다. 먼저 경기동부지역에는 중·소 배출시설이 다수 산재하고 있다. 개별적으로 입지하고 있는 중·소 산업시설들은 대부분 매우 영세해서 환경관리에 소홀할 뿐만 아니라 관리당국의 지도·점검도 세세하게 미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이들 시설은 규모는 작지만 주변에 미치는 환경 영향은 결코 작지 않다. 중·소 배출시설관리를 위해 정밀 조사, 지도·점검과 관리 강화 등과 함께 기준이하 시설에 대한 폐쇄 유도, 집단화 유도, 행·재정적 지원 등은 경기동부지역의 환경관리에서 매우 중요한 부분이다. 노천에서 행해지는 각종 연소행위에 대한 관리도 중요한 과제이다. 도농복합지역 고유의 특성으로 농업잔재물이나 생활쓰레기 연소, 화목난로 등과 같은 생물성 연소 배출원의 비중이 타 지역보다 매우 높다. 이 같은 연소 행위는 대기오염을 가중시키는 직접적인 원인이 되고 있어 농촌지역에서 특히 중점적인 관리가 필요한 분야이다. 또 도농복합지역에서는 농경지나 나대지 등이 넓게 분포하고 있어 비산먼지에 대한 집중적인 관리도 필요하다. 농업활동에 의한 비산먼지는 주로 봄철 경운시기와 가을철 수확시기에 집중되는 특징이 있다. 이와 관련된 대책으로는 경운작업을 최소화하거나 토양 수분함량이 높을 때 경운작업을 실시하는 방법이 있다. 또 풍속이 클 경우에는 경운작업을 제한하고, 농경지에는 바람막이를 설치하는 등의 방법이 있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농업활동을 제한하거나 농경지에 구조물을 설치하는 등의 방법은 실시하기가 쉽지 않을 것으로 판단된다. 도농복합지역은 대도시 지역은 아니지만 인구가 밀집된 특정 지역에서는 교통 수요관리에 대한 대책도 필요하다. 중심 상업지구, 시청 등 관공서가 위치한 지역에서는 대중교통체계를 점검하고, 주민불편을 최소화하는 선에서 강력한 승용차 이용억제대책을 실시해 나갈 필요가 있다. The eastern part of Gyeonggi province has a rich natural environment, but various environmental qualities such as air and water quality, solid waste management are deteriorated. This is because of unplanned, small scale development and poor environmental management capacity of the local governments. Especially in recent years, as the particular matter(PM10, PM2.5) problem becomes a social concern, the air quality in the suburbs of Gyeonggi province is relatively worse than the metropolitan area.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causes and characteristics of PM in the eastern part of Gyeonggi province. The eastern part of Gyeonggi province has a combination of urban and rural characteristics, and its own air pollution caused by industrial facilities and traffic are not significant. However, the reason why the air quality is not good is summarized as the lack of management of small emission facilities, the prevalence of biomass burning, and fugitive dust. First of all, a large number of small emission facilities in the eastern Gyeonggi Province are distributed. In addition to precise survey, supervision and strengthening of management for the small-sized emission facilities are also needed. Management of various open burnings are also very important. Unique characteristics of the urban and rural area include unmanaged biomass burning sources such as agricultural residues, household garbage burning, fire wood stove, etc. are much higher than other regions. In addition, bare agriculture and habitats are widely distributed in urban and rural areas, and intensive management for controling fugitive dust is required. Even these areas are not metropolitan areas, measures for traffic demand management are also needed in certain central commercial areas. It is necessary to check the public transport system and to take measures to suppress the use of passenger cars.

      • KCI등재

        ‘3세기 沃沮 地域 東夫餘 建國說’에 대한 검토

        이민수 동아시아고대학회 2016 동아시아고대학 Vol.0 No.41

        ‘3세기 沃沮 地域 東夫餘 建國說’은 285년에 慕容鮮卑의 强襲을 받아 沃沮로 피 난했던 일부 夫餘의 왕족들이 復國된 본국에 귀국하지 않고, 그곳에 殘留하여 東夫 餘를 새로 건국했다는 설이다. ‘3세기 옥저 지역 동부여 건국설’은 크게 ‘3세기 北 沃沮 地域 東夫餘 建國說’과 ‘3세기 南沃沮 地域 東夫餘 建國說’로 분류할 수 있다. 이 두 설에서는 『三國志』에 기재된 동천왕의 도주지인 買溝를 옥저 일대의 지명 으로 파악하였다. 그리고 매구를 「廣開土王碑文」에 기재된 東夫餘의 지명인 味仇婁 를 동일한 곳으로 파악하여 ‘3세기 옥저 지역 동부여설’의 주요 논거로 삼았다. 그 러나 『三國史記』에 기재된 買溝谷을 면밀히 검토한 결과 매구곡은 옥저와 미구루 와 밀접한 관련이 없음을 논증하였다. 나아가 ‘3세기 옥저 지역 동부여 건국설’의 기반은 부여 왕족들의 일부가 귀국하지 않고 옥저 지역에 잔류했을 것이라는 발상으로부터 추론을 거듭한 것인데, 이는 문헌적 근거가 전무함이 논증되었다. 현재 ‘3세기 옥저 지역 동부여 건국설’ 은 학계의 다수설을 점하고 있는데, 그것이 적지 않은 문제점이 있기에 동부여에 대해 주도면밀한 새로운 해석이 요구되는 상황임을 강조하였다. ‘The study of 'the foundation of DongBuyeo at Okjeo area in 3C theory' is the explanation about which The partial royalty of The Buyeo who had been attacked by Mu `ro'ng Xianbei A.D 285 and moved to Okjeo established new kingdom’DongBuyeo’ not returning to their home country. ‘The study of 'the foundation of DongBuyeo at Okjeo area in 3C theory' can be classified with ‘The study of 'the foundation of DongBuyeo at BukOkjeo area in 3C theory' and ‘The study of 'the foundation of DongBuyeo at NamOkjeo area in 3C theory'. This two explanation understood ‘Maegu’ which is shelter of King Dongcheon recorded in 『Sanguo' Zh`』 as a part of ‘Okjeo’ and regarded ‘Miguru’ which recorded in 「epitaph of King Gwanggaeto」 as the same place with ‘Maegu’ And this understanding was made as a basis of argument of ‘The study of 'the foundation of DongBuyeo at Okjeo area in 3C theory'. But, After deeply considering about ‘Maegugok’ written in 『Samguk Sagi』, it is revealed that Maegugok quite have nothing to do with ‘Okjeo’ and ‘Miguru’. Furthermore, We have proved that the basis of ‘The study of 'the foundation of DongBuyeo at Okjeo area in 3C theory' hasn’t literary grounds at all. In other words, ‘The study of 'the foundation of DongBuyeo at Okjeo area in 3C theory' is just deduction from thinking which the partial royalty of The Buyeo had not returned to their home country and stayed ‘Okjeo’. Today, ‘The study of 'the foundation of DongBuyeo at Okjeo area in 3C theory' has been main opinion in our academic world. So, We are emphasizing in this report that ‘The study of 'the foundation of DongBuyeo at Okjeo area in 3C theory' has many flaws and, in this context, ‘DongBuyeo’ should be reinterpreted in new way.

      • KCI등재후보

        부여의 변천과 동부여 문제

        나하나(Na Ha-Na)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09 인문과학연구 Vol.0 No.23

        예맥족이 건국한 부여는 秦의 통일 이전부터 494년까지 약 700여년 이상을 존속한 고조선 이후 가장 오래된 국가이다. 이러한 부여의 영역을 현대의 위치로 살펴보면, 남으로는 휘발하를 중심으로 고구려와 국경을 접하였고, 동으로는 모란강 유역의 서쪽인 장광재령산맥, 서로는 대흥안령산맥의 동쪽을 차지하고 있었고, 북으로는 흑룡강까지로 광대한 영역을 소유하였다. 그러나 이렇게 오래되고 강대했던 국가는 삼국중심의 고대사 연구와 사료 부족으로 인하여 그 연구가 미비하였다. 하지만 부여는 단군의 고조선으로부터 최근 최대의 관심사가 되고 있는 고구려를 이어주는 역사로 무시할 수 없는 우리 역사이다. 부여에 대한 연구는 여러 가지 견해들이 제시되고 있으며, 그 중 주요 논쟁이 되고 있는 것 중 하나는 북부여와 동부여에 관한 것이다. 이때 북부여는 고구려의 북쪽에 있었던 부여라는데 별다른 이견이 없다. 그러나 동부여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의견이 대두되고 있으며, 이때의 북부여와 동부여가 동일한 국가인지 아닌지에 대해 여러 견해가 존재한다. 국내에서는 일반적으로 해부루왕의 동부여에 대한 언급을 피하고 있으며, 서기 285년 모용외의 침략으로 이동한 옥저에 동부여가 건국된 것으로 보는 것이다. 그러나 북부여와 해부루왕의 동부여의 명칭문제는 여러 사서들을 통해 하나의 국가임을 밝힐 수 있다. 즉 해부루왕이 도읍을 옮김에 따라 ‘後부여’의 의미인 ‘동부여’의 명칭을 사용한 것이고 〈광개토대왕릉비문〉에 나타난 동부여는 346년에 세력이 많이 약해진 ‘後부여’가 燕 근처로 이동한 부여로 볼 수 있다. 이에 본고에서 기존 견해의 여러 가지 문제점을 도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국내외의 사료들과 금석문 사료를 통하여 북부여와 동부여가 해부루와 금와, 대소의 부여이며, 주몽이 출자하여 고구려를 세운 곳으로 22년 대소왕대에 멸망한 것이 아니라 494년까지 700여 년 동안 존속 하였던 동일한 국가임을 알아보고자 한다. Puyeo founded by Yemaek tribe is the oldest nation after Old Choseon continued for about 700 years from before the unity by Chin to A.D. 494. They say that this Puyeo “faced Koguryeo in the south, Suksin in the east, Hsien-pei in the west and Ruo-shui in the north”, that, in the modern location of the areas, was a nation possessed of the wide areas which faced a frontier with Koguryeo existing Huifahe in the center in the south, occupied the Zhangguangcailing mountains being the western of the Mudan-jiang valley in the east and the eastern of the Daixinganling mountains in the west and to the Heilong-jiang in the north. However, this old and powerful nation has studied defectively due to considering the ancient history as the center of three-nation and being poor at historical materials. But, Puyeo is our history which can in no way be negligible as a history to be connected with Koguryeo being most interested recently in from Old Choseon by Dangun. People inland avoid generally mentioning East-Puyeo by King Haepuru and look upon East-Puyeo carved in 〈the Evidence of Great King Kwanggaeto Stele〉 as Okjeo moved by the aggression of Mu-jung Hui in 285. They consider the location of Okjeo as the downstream of Dumangang and as being founded by East-Puyeo in this place. But, we can demonstrate to be one nation through various historical books on what North-Puyeo and East-Puyeo by King Haepuru are named and can look upon the location of East-Puyeo as Jilin and Changchun region. In other words, King Haepuru used the name of ‘East-Puyeo’ standing for ‘Post-Puyeo’ according to moving the capital and East-Puyeo carved in 〈the Evidence of Great King Kwanggaeto Stele〉 was the same Puyeo where lost a lot its power in 346 as Puyeo where moved around Yan. This study has found out the facts that North-Puyeo and East-Puyeo were Puyeo by Haepuru, Geumwa and Daeso, the place founded Koguryeo by Jumong's investment and the same nation continued for about 700 years to the A.D. 494. owing to researching various problems on the existed views through historical materials and epigraph at home and abroad.

      • KCI등재

        장방형동부의 주조 및 사용 실험

        조진선,김주호,노형신,김수민,제지원,최지희 한국문화유산협회 2014 야외고고학 Vol.0 No.20

        본고는 전 영암 거푸집 가운데 장방형동부 거푸집을 모델로 진행한 주조실험과 사용실 험의 결과를 정리한 것이다. 외범은 각섬석암으로 제작하였고, 내범은 흙으로 만들어서 장방형동부를 주조하였다. 외범은 쇠정과 콘크리트못으로 쪼아내기를 한 다음 숫돌과 각섬석암편으로 연마해서 제작하였다. 그리고 흙으로 만든 내범은 어느 정도만 소성하 면 주조하는데 큰 문제가 없을 뿐 아니라 내범을 제거할 때도 경제적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번 실험에서는 장방형동부 6점을 주조하였다. 각섬석암제 외범은 첫 번째 주조가 끝 난 후부터 탕구와 탕도에서 실금이 확인되었고, 주형 표면이 박리되기 시작하였다. 이러 한 현상은 주조가 거듭될수록 심화되었다. 장방형동부 6점을 주조하고 나서 살펴본 거 푸집은 상당히 심각한 상태를 보이고 있어서 각섬석암제 동부거푸집은 5~6회 정도가 한계일 것으로 생각된다. 부여 구봉리 출토 장방형동부와 비교해보면, 내범은 아마도 모 난 부분을 없애서 둥글고 길게 만들어야 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부여 구봉리 출토품의 사례에 따라 주조된 장방형동부를 편인으로 연마해서 나무 베기 실험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상편인으로 자루를 장착해야만 베인 면이 고울 뿐 아니라 더 효과적이라는 것을 확 인할 수 있었다. 또한 구리와 주석의 비율이 적당해야만 인부가 구부러지거나 깨지지 않 는다는 것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실험고고학적 연구는 청동기의 제작과정뿐 아니라 청 동기의 기능과 사용 문제를 새롭게 접근해 볼 수 있게 하는 점에서 중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experiment is to cast rectangular shaped bronze axe. The external mold was made of Hornblende and interior mold was made of clay. The external mold was produced with repeated pecking and grinding. And it was confirmed that interior mold which was fired in low temperature, there was no problem to use. Thus, it was ascertained that this method was effective in terms of the saving time and labor, when the interior mold was eliminated. In this experiment, 6 pieces of rectangular shaped bronze axes were cast. After the first casting finished, the external mold made of Hornblende began to crack. This phenomenon became more serious in the process of repetitive casting. After casting 6 pieces of rectangular shaped bronze axes, the mold was crashed on fairly serious status. The rectangular bronze axe was grinded in one side to experiment on felling the wood. It turns out that the experiment came to be successful. Besides, it was confirm that the ratio of copper and tin must be suitable to prevent the part of edge from bending and breaking.

      • KCI등재

        동부여의 국가 성격과 문화 기반

        이승호 한국고대사탐구학회 2024 한국고대사탐구 Vol.46 No.-

        본 논문은 동부여와 관련하여 학계에 제기되어 온 견해들을 살펴보고 동부여의 역사적 실체와 문화 기반에 대한 검토를 진행한 것이다. 특히 동부여의 기원과문화에 대한 접근 과정에서 근래 조사된 敦化 崗子 유적에 대한 분석을 통해 논의를 보다 구체화해보고자 하였다. 본문에서 검토한 결과 동부여는 북부여, 부여와 구별되는 별개의 정치체로서, 기왕의 견해처럼 3세기 후반 이후 건국한 나라라고 보기는 어렵다고 판단된다. 오히려 동부여의 역사는 고구려 초기 역사와 밀접하게 닿아 있을 가능성이 크다. 본문에서는 이러한 점을 염두에 두고 「광개토왕비문」에 보이는 동부여 인식을 실마리 삼아 고구려 초기 역사 속에 등장하는 동부여의 실체에 대한 검토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비문에 보이는 동부여에 대한 고구려인의 인식은 고구려 동명성왕 10년에 정복하였다는 북옥저에 대한 기억과 연결되어 있을 가능성이 크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곧 동부여는 북옥저 일대에 존재하였던 세력으로서, 吉林市 일대의 부여가 동쪽으로 吉林↔敦化↔延吉로 이어지는 교통로를 따라 세력을 확장하는 과정에서 이주한 부여인이 성립시킨 정치체로 이해된다. 끝으로 이상의 분석 결과를 통해 敦化・延吉 일대를 시야에 두고 동부여의 물질문화를 탐색하였다. 특히 동부여와 관계된 물질문화로서 근래 학계에 보고된 敦化 崗子 유적군을 주목하였다. 崗子 유적에서 출토한 두형토기를 비롯한 다양한 유물들은 吉林市를 중심으로 번성한 부여 문화의 그것과 동일하다. 따라서 해당 시기 敦化 지역의 문화는 ‘부여 문화권’의 범주 속에서 바라볼 필요가 있다. 곧 崗子 유적은 길림↔돈화↔연길로 이어지는 교통로를 따라 부여 문화가 동쪽으로 확장하는 역사를 반영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This paper examines the major academic opinions related to East Buyeo and, based on this, examines the historical reality and cultural foundation of East Buyeo. In particular, research on the origins and culture of East Buyeo sought to secure validity through analysis of the recently investigated Dunhua (敦化) Gangzi(崗子) ruins. First, we looked at various academic opinions regarding East Buyeo. East Buyeo is a country distinct from North Buyeo and Buyeo. East Buyeo cannot be considered a state founded in the 3rd century, and its history is linked to the early history of Goguryeo. Next, the reality of East Buyeo that appears in Goguryeo history was examined through the perception of East Buyeo as seen in the Gwang'gaeto Stele. The Goguryeo people's perception of East Buyeo as seen in the Gwang'gaeto Stele is connected to their memories of North Okjeo, which they conquered in the 10th year of King Dongmyeong's reign. East Buyeo is understood to be a nation established by Buyeo people who migrated in the Jilin(吉林市) area as Buyeo expanded its influence along the transportation route leading eastward from Jilin↔ Dunhua↔Yanji(延吉). Through the above analysis results, the material culture of East Buyeo was explored with the area of Dunhua・Yanji in perspective. In particular, attention was paid to the Dunhua Gangzi group of relics recently reported to academics as material culture related to East Buyeo. Various relics, including ‘bean shaped earthenware’ excavated from the Gangzi ruins, are identical to those of the Buyeo culture that flourished around Jilin. Through this, both can be grouped into the same ‘Buyeo culture’. The Gangzi site reflects the history of Buyeo culture's eastward expansion along the transportation route leading to Jilin↔Dunhua↔Yanji.

      • KCI등재

        〈용비어천가〉의 六祖 서술 양상 고찰

        박찬수(Park Chan-soo) 어문연구학회 2018 어문연구 Vol.97 No.-

        이 논문은 〈용비어천가〉에서 노래한 조선의 육조에 대한 서술 방식을 고찰한 연구이다. 〈용가〉의 작시원칙은 ‘서문·진전문·발문’에서 확인할 수 있는데, 그 가운데 ‘先敍古昔 帝王之迹 次述我朝祖宗之事’라는 형식적인 특징과 제1장에서 보이는 ‘古聖이 同符시니’ 라는 구절이 제시하는 내용적 범주의 규정으로 인하여 그동안 사대문학 혹은 아유문학의 대표적인 작품으로 평가를 받기도 하였다. 그러나 이것은 ‘고성동부’의 의미와 적용된 서술 양상에 대해 면밀한 검토가 없이 이루어진 평가였다. ‘고성이 동부시니’는 ‘중국의 옛 제왕과 조선의 육조가 행한 사적이 모두가 똑같으시니’라고 해석되는 구절이다. 〈용가〉에 적용된 ‘고성동부’ 서술기법이 구현된 실상을 살펴보면 중국의 옛 제왕들과 조선 육조의 사적이 대등할 뿐 아니라, 견강부회한 경우도 있으며, 나아가 조선 육조의 사적이 더 우월하였음을 보이고 있으므로 유형을 나누어 그 특징과 용례를 고찰하였다. 고성동부 유형은 중국의 옛 제왕과 조선의 육조 사적이 똑같다고 할 수 있는 유형이다. 태조 이전의 목조부터 환조까지의 사적을 노래한 장들은 모두 이 유형에 포함되며, 태조와 태종의 사적을 노래한 장에서도 쉽게 볼 수 있는 전형적인 유형이라 할 수 있다. 노래의 소재나 주제, 노래의 시상 전개 등 모든 점에서 중국의 옛 제왕의 사적과 동일함을 보여 조선의 개국이 천명에 의한 것이라는 주장을 효과적으로 서술했다는 특징을 보인다. 견강부회 유형은 소재나 전개된 노래의 내용, 주해까지 비교의 지점을 찾을 수 없는데 고 성동부하다고 노래해 억지스러운 유형이다. 자료가 제한된 여섯 명 왕의 사적으로 장편의 시가를 제작하려다 보니 중국의 옛 제왕과 동부함을 이끌어내기에는 한계가 있었음을 재확인해 주고 있다. 마지막으로 조선 육조가 중국의 옛 제왕보다 우월함을 서술한 유형으로 25개장에서 확인할 수 있다. 주로 태조에 대한 서술에서 보이는데, 천명을 받은 인물로 서의 태조, 인정과 평가, 신묘한 능력과 위대한 공적, 훌륭한 덕성 등 전 부분에서 우월함을 드러냈으며, 태종은 군주로서의 성품에 국한하였다는 특징을 보이고 원경왕후의 적극 적인 내조 사적까지 고려한다면 비교 인물인 중국의 옛 제왕보다 우월함을 나타내었다. 이와 같은 분석을 통하여 〈용가〉는 단순하게 중국 옛 제왕의 사적과 동일한 조선 육조의 사적을 찾아내 노래한 작품이 아니라, 육조의 역할과 특성에 따라 그에 적합한 서술 방식을 사용하여 조선의 건국주들의 우월성을 역설한 작품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thesis is analysis descriptive aspect of six kings of found Joseon Dynasty in 〈Yongbieocheonga(Yong-ga)〉. Poets expressed the principles of writing poetry in 〈Yong-ga〉. In 〈Yong-ga〉 chapters consist of two lines of verse. The first line was singing the old chinese king, the next line sang the king of joseon. However, this format has caused misunderstanding as worship of the powerful or flattery literature. These claims are based on a misunderstanding of the format of the 〈Yong-ga〉 and of the ‘古聖同符’ paragraph to the effect ‘The old masters of China and Joseon Dynasty are all the same’. So six kings of Joseon Dynasty analyzed how description was two architectural and content features. On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ings. Aspects expressed in ‘고성동부’ are divided into three types. First, the historic facts of the kings of China and Joseon Dynasty are the same in terms of result and situation or materials and subjects. This is the typical type with the most frequency. All the chapters that sang the kings before King Taejo were included in this type. It’s an obvious result because the principles of singing were so. Second, the historic facts of the kings of China and Joseon Dynasty are forced to be the same, as there is no common point in result and situation or materials and subjects. This type would be somewhat understandable considering the positions of Joseon Dynasty kings who lack sufficient material to sing. Lastly, it is the type that describes the kings of Joseon Dynasty as superior to the old Chinese kings. In this type, the mainly sung character is Taejo. As the king who created Joseon Dynasty, he was described as a man of greater ability, greater achievements and greater character than the old Chinese kings. His son, Taejong, also described the emperor’s character as superior to the old Chinese kings, and his wife Wonkyeongwangwho also described her as as superior to the contrasting figure. In conclusion, you can see that ‘고성동부’ is an useful narrative technique to achieve the goal of glorifying the kings who created new Dynasty. And 〈Yong-ga〉 will be able to confirm that the kings of Joseon Dynasty were described as equal or superior to the old kings of Chin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