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고고유적 활용 방안 연구

        신희권 (사)한국문화유산협회 2014 야외고고학 Vol.0 No.19

        The growth of public interest in heritage, in recent years, has positioned the use andpromotion of it as an essential part of heritage management in Korea. The past attitudetoward heritage to view as ‘a barrier of national development’, had made an argument forthe conservation of heritage being defeated when it competes with that of economic benefit. However such attitude is no longer prevailing since the heritage has been recognised as an‘valuable asset to conserve and tool to benefit the public’ in recent years. Archaeological heritage contains an extensive range of values in promoting heritageas an useful tool in educating young generation and raising social inclusiveness. Theattitude of managers and heritage professionals toward archaeological sites should bechanged to the one to reading public need and meeting it by opening archaeological sitesto the public so that they could access to the sites where the excavation is on process andunderstand its significance. The restoration of the site above the ground or construction ofon-site museum can be another way of meeting changing need of the public. Such attitudewould help not only in re-establishing local identity and encouraging tourism but also inenhancing archaeological value of it. However it should be stressed that the use of the site is not an ideal answer forall cases. Any use to change its original form and neglect the significance of it shouldbe restricted. Since the use of archaeological sites can be facilitated by the scientificexamination and research on the original form, a search for the historical authenticityshould be accompanied along with the documenting of all process of doing it. In conclusion a rational way of heritage use can be set out only if it is devised bypossible scenarios by each on the basis of understanding conservation principles. Suchapproach would be able to make cultural heritage which includes archaeological sites besustainable cultural resource for future generation. 현대는 가히 문화유산 활용의 시대라 할 만큼 우리 문화유산의 보존과 활용에 대한 국민적ㆍ사회적 관심이 증대되었다. 사실 그동안은 문화유산을 올바로 보존한다는것 자체가 역부족이었으나, 대다수 국민들에게 문화유산은 더 이상 ‘개발의 걸림돌’이아니라 ‘고이 가꾸고 한껏 누려야 할 가치’로 통하기에 이르렀다. 고고유적은 문화유산 가운데 가장 큰 활용 가치를 지닌 유산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과거 보존 일변도에서 탈피하여 과감하게 일반인들에게도 발굴 현장을 공개하고 중요 유적에 대해서는 현장에서 직접 보고 느낄 수 있도록 노출 전시하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지상에 유적을 복원, 재현하는 방안과 기념관이나 전시관을 건립하는 방안도필요하다. 이 밖에 지역 문화자원 및 관광자원과의 연계 활용이나 개별 유적에 내재된무형의 요소 등 다양한 가치를 개발하는 방법도 고고유적의 가치를 높이는 방안이 될수 있다. 그러나 무조건적인 활용만이 능사가 아니라는 점 또한 명확히 인식해야 한다. 당해문화유산이 가지고 있는 원형을 훼손하거나 핵심적 가치를 망각한 활용은 철저히 제한되어야 한다. 고고유적의 활용은 과학적인 조사와 연구를 통한 철저한 고증이 요구되는작업이기에 역사적 진정성을 찾기 위한 부단한 노력이 수반되어야 하고, 그러한 일련의과정들도 빠짐없이 기록되어야 한다. 결론적으로 문화유산의 보존과 활용에 대한 올바른 인식과 보편적 원칙에 입각하여각각의 상황에 적합한 사례들을 만들어 최상의 조합을 이룰 때 우리는 비로소 바람직한문화유산 활용의 전범을 창출할 수 있을 것이다. 나아가 고고유적을 포함한 문화유산은지속가능한 핵심 자원으로서 후대에 길이 전승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원삼국시대 목관묘의 축조와 매장방식 접근

        한국문화유산협회 한국문화유산협회 2021 야외고고학 Vol.- No.41

        이 글은 원삼국시대 영남지방 목관묘에 대해서 크게 세 가지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즉 목관묘의 구조와 조사방법을 정리하고 그것의 축조와 매장방식 그리고 유교적 상장례를 통한 산 자의 매장관점에 접근하여 유추하였다. 첫째, 목관묘 구조는 묘광(요갱), 목관, 충전토, 실토(實土), 봉토(목개)로 구성되는데, 이를 기초해서 조사를 진행한다. 즉 목관묘 조사는 유구확인→ 탐색Trench설정→ 토층조사→ 내부조사 후 완료 순으로 진행되는데, 단계별 사진촬영, 기록, 실측 등이 추가된다. 둘째, 목관묘 축조는 묘광(요갱) 굴착→ 목관 하관 및 유물부장→ 충전토 내부 및 상부 유물부장→ 목관 상부 유물부장→ 실토 및 목개 설치→ 봉토 축조 및 유물부장 순이다. 부장품을 통한 매장방식은 요갱을 파서 묘광을 완성한 다음의 의례→ 목관의 안치 후 의례→ 보강토(충전토)설치과정의 의례→ 목관을 보강토(충전토)로 완전히 봉한 후의 의례→ 매토(실토) 과정의 의례→ 매토(실토) 완료 후 봉분 축조 이전의 의례 순이다. 경산 신대리 목관묘와 경주 사라리 목관묘로 볼 때 매장방식은 일률적이지 않고 위계가 높을수록 그것은 복잡화된다. 또 경산 신대리 목관묘 유물 부장위치 및 유물 수량으로 볼 때 토기류와 금속류는 충전토와 관련해서 압도적으로 집중된다. 따라서 목관묘 매장당시 목관 하관 후 충전토를 채우면서 가장 많은 매장행위가 이뤄졌을 가능성은 크다. 셋째, 산 자의 매장관점을 상장례에 초점을 두고 민족지 사례와 결부시켜 원삼국시대 영남지방 목관묘를 살펴보았다. 즉 상복례 및 조상과 문상→ 묘택과 후토제→ 천광→ 발인→ 장지 도착과 안장(패철로 좌향보기, 회다지)→ 평토제 및 반곡 순이다. 물론 민족지사례와 그것을 동일하게 적용시킬 수는 없지만 큰 틀에서 보면 무덤의 구조적인 측면으로 볼 때 상장례에 있어 유사한 부분도 많았을 것이라 판단된다. 왜냐하면 최근까지 우리나라에서 축조된 목관묘와 관련된 유교적 상장제도의 장송의례 줄거리와는 크게 다르지 않아 장례문화에 있어 ‘학습성’과 ‘축적성’ 그리고 ‘공유성’ 등을 고려해야 한다. 결국 상장례는 망자에 대한 효 관념과 두려움 그리고 공포감이 복합되어 나타났다는 점이다. 원삼국시대 영남지방 목관묘 역시 그것과 연관이 없다고는 할 수 없다. 즉 목관묘를 조성하면서 진행되는 매장행위 즉 부장품 매납 등은 망자에 대한 효 관념과 대비된다. 또 부장품에서 확인되는 훼기현상 등은 두려움과 공포감에서 벗어나고자 하는 매장행위의 표출로 받아들여진다. This study examines wooden coffin tombs in Yeongnam Region during the period of the Original Three Kingdoms in three different perspectives. Specifically, the present study summarizes the structure of wooden coffin tombs and the investigation methods in the perspective of living persons about burial based on the construction and burial styles and Confusion funeral customs. First, the structure of wooden coffin tombs consisted of the grave hollow (central pit), wooden coffin, filling earth, fertile soil (實土), and earthen mound (wooden cover), which were the basic elements of investigation. The wooden coffin tomb investigation included the remains analysis → trench setting for exploration → soil analysis → internal element analysis in order. Photographing, documentation, and actual measurement were added in each step. Second, the wooden coffin tomb construction was conducted in order of grave hollow (central pit) excavation → wooden coffin bottom and relics burial → relics burial inside and on top of filling earth → relics burial on top of the wooden coffin → installation of the fertile soil and wooden cover → earthen mound construction and relics burial. The relics burial style included the following steps: the ritual following the central pit and grave hollow completion → the ritual following the enshrinement of a wooden coffin→the ritual for the reinforced soil (filling earth) installation process → the ritual following the complete covering of the wooden coffin with reinforced soil (filling earth) → the ritual for top soil (fertile soil) installation → the ritual after top soil (fertile soil) installation and before mound construction. In the case of wooden coffin tombs in Sindae-ri, Gyeongsan, and Sara-ri, Gyeongju, the burial style was inconsistent and became complicated depending on the hierarchical rank. In view of the location and quantity of relics buried over wooden coffin tombs in Sindae-ri, Gyeongsan, the earthen vessels and metallic materials were concentrated around the filling earth. Thus, it is highly probable that at the time of wooden coffin tomb burial, the act of burial was practiced mostly during the filling earth application after wooden coffin was laid. Third, with funeral customs viewed mainly in the perspective of living persons about burial, wooden coffin tombs in Yeongnam Region during period of the Original Three Kingdoms were investigated in connection with ethnographic cases. The steps were in order of funeral rituals and condolence → tome house selection and rites for gods of land→grave hollow making → departure of the funeral procession → arrival at the burial ground and burial (determining the exact direction, hwedaji) → burial without erecting a mound and post-burial wailing. Although matching exactly with ethnographic cases would not be practical, it is thought that there would have been many similar aspects in terms of funeral customs specifically regarding the structural elements of tombs. Since the characteristics were not quite different from those of Confucian funeral rituals and funeral attendance for wooden coffin tombs constructed in Korea, characteristics of the funeral culture such as ‘learnability’, and ‘accumulatise’, and ‘shareability’ need to be considered. After all, funeral customs were developed in the complex interaction of the perception of filial piety towards the dead, fear, and scare. Wooden coffin tombs in Yeongnam Region during the period of the Original Three Kingdoms are not exceptions in this regard. The relics burial acts during the construction of wooden coffin tombs are in contrast with the concept of filial piety towards the dead person. The destruction traces found in grave goods seem to reflect the act of burial to get rid of fear and scare.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각형토기문화유형의 연구

        최종모,김권중,홍주희 한국문화유산협회 2006 야외고고학 Vol.0 No.1

        각형토기문화유형은 서북지방을 대표하는 청동기시대 문화유형의 하나로 대동강 유역을 중심으로 신석기시대 문화의 연속선 상에서 자체발생한 것으로 생각되며 독립적이고 폐쇄적인 특성을 가지는 것으로 이해된다. 각형토기문화유형의 전개과정에 있어 편년설정은 기원전 13세기를 상한으로 하고 하한은 기원전 6세기로 하여 5단계로 구분하였으며, 각 단계의 설정은 주거지 평면형태 및 내부 시설의 변화, 각형토기 등 공반유물의 형식변화, 청동기의 제작 및 사용, 절대연대 및 주변 유적과의 상대 연대 그리고 동일 유적 내에서의 중복관계 등을 다각적으로 고려하여 설정하였다. 각형토기문화유형은 농경을 중심으로 정착생활이 이루어진 농경사회로 취락화현상이 뚜렷하고, 위계화된 사회였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또한 지역성이 강하지만 청동기가 유입되기도 하였으며 각형토기문화유형이 부분적으로 확산되는 경향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한강 유역을 중심으로 문화내용의 확산 또는 진출이 저지되는 것으로 보인다. 각형토기문화유형은 서북한 청동기문화의 성립과 발전 그리고 쇠퇴를 한눈에 보여주는 중요한 문화유형으로 이해할 수 있다. The top-shaped pottery culture pattern is one of culture patterns in the Bronze age, which represents the culture in northwest of Korea and it seems to originate in the lower reaches of the Daedong River, in succession to the Neolithic Age cultures. It seems the culture pattern originated by itself in the Korean peninsula and to have independent and closed characteristics. It is persuasive that the characteristics of this culture had been sustained consistently until a point of time the top-shaped pottery was disappeared in the upper bronze age, also some part of new cultural factors of the inflow of foreign cultures was adapted partly. As a process of development of the top-shaped pottery culture pattern, its changing aspect could be setup by 5 phases. 5 phases were setup considering diversified sides including the change of plane types and interior structures in dwelling sites, the change of top-shaped pottery and excavated artifacts paired with the top-shaped pottery, the distinguished change of assemblages, the inflow of foreign cultures, the manufacture and usage of bronze wares, the absolute age and the relative age to sites in its outskirts and duplicated contexts with remains in its same site. As the result of each phase from its development of 5 phases, the top-shaped pottery culture pattern with remains as bins, millets, Indian millets, Italian millets, rice seeds was an agrarian society of settlement to cultivate farms and its state of clustering or grouping occurred obviously in this period. As we can see through the discoidal maces and the polyhead maces, we presume this culture pattern had the stratified social system. We found it had the strong locality against the inflow of foreign bronze ware cultures from the Yalu river and the Liao river and this culture had a tendency to expand after 3rd phase. However, we understand the expansion or the advancement of it in the Han river was prevented by some strong plain pottery cultures and we can find some clues of it that there were vestiges of the top-shaped pottery culture pattern in Hwacheon Yongamri sites at the upper reaches of the Han river, in Ganghwa Samguri sites and Ohsungri sites at the lower reaches of the Han river and can not find the sites related to its culture pattern in south of Han river. We try to set up the chronicle of as above top earthenware culture from 13C BC as the maximum to 6 C. BC as the minimum with 5 phases of it chronologically. Thus, we can understand the top-shaped pottery culture pattern was one of Korean bronze age culture patterns developed and had more stronger locality and individuality of northwest of Korea than of northeast of Korea in the Bronze Age. In addition, it is the important culture pattern to show the formation, development and the decline of the bronze ware culture at a look.

      • KCI등재

        점토대토기문화의 정착과정과 사회분화 - 전북 서부지역 토광묘를 중심으로 -

        송종열 한국문화유산협회 2016 야외고고학 Vol.0 No.26

        최근 전북 서부지역을 중심으로 점토대토기문화 대규모 군집묘가 확인되는데,원천권으로 대표되는 대규모 군집묘가 출현하고 정착하게 된 이유와 과정, 그 의미가무엇인지 살펴보았다. 전북 서부지역의 점토대토기문화 유적은 수로교통의 이점을 가진 입지에서 확인되고 있으며, 이들을 분류하면 총 7개의 거점권역으로 구분할 수 있다. 각각의거점권역에서는 1개소의 유적 내에서 입지를 달리하거나 일정한 권역 내에 구릉을 달리하여 상위 유력자의 무덤이 확인되고 있다. 거점권역의 위계화 정도는 토광묘의 상대적 크기와 위신재의 비교를 통해 비교해 볼 수 있는데, 위신재 중에서도 동경의 여부에서 가장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 따라서 동경이 확인된 원천권과 기양천권, 원평천권을 최고 위계의 거점권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최고 위계의 거점권역은점토대토기가 등장하는 시기에는 원천권과 기양천권을 중심으로 거점권역이 형성되어 유지되었지만, 철기가 등장하면서 원천권을 중심으로 재편이 이루어지는 양상이 보인다. 원천권 대규모 군집 토광묘는 구릉을 달리하며 조성되었고, 각각의 군집 내에서는 상위 유력층의 분묘가 확인되고 있다. 상위 유력층 분묘의 위신재는 피장자의 성격을 나타내고 이를 통해 계층화를 추정할 수 있다. 이러한 계층화는 기원전 4세기 이후의 고조선의 관료체계와 관련이 깊을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거점권역 주변의 재지계 묘제 속에서 외래계 유물이 확인되는 분묘는 재지계 지방 세력으로 보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이렇듯 전북 서부지역의 대규모 군집 토광묘에서 보이는 사회분화 및 계층화는 이 지역 마한사회의 형성에 영향을 주어 지역적 특색을 가진 마한 소국들이 체제를 만들고, 발전해 가는 근본이 되었을 것이다. Large-scale clustered burials of the Attached-rim pottery culture are being discovered in the western Jeonbuk region, mainly around the Won Stream sphere. This paper traces the reasons, processes, and meaning of the burials’ appearance and adjustment in the region. Attached-rim pottery culture sites in the western Jeonbuk region are distributed along the landscapes with beneficial waterway transportation and can be divided into seven main districts. Each district yields high-rank members’ burials which exist at distinctive localities or different hills within a site. The degree of a district’s social stratification can be inferred from comparing the pit burial sizes and prestige goods, and the most noticeable differences are in the existence of bronze mirrors. Therefore, the Won Stream, Kiyang Stream, and Wonpyoung Stream spheres can be established as the highest hierarchical districts, where bronze mirrors are found. During the initial appearance of the Attachedrim pottery, the Won Stream and Kiyang Stream spheres were central for those highest hierarchical districts, but a reorganization centering the Won Stream sphere occurred when iron implements originated. Large-scale clustered pit buri ls in the Won Stream sphere are formed along the different hills for different clusters and high-rank members’ burials are being found within each cluster. Prestige goods from a high-rank member burial exhibit the member’s nature and social stratification can be inferred from such interpretation. Such social stratification may be deeply related with Gojoseon’s bureaucracy system after the 4C BCE. Local-type burials with foreign-type offerings, distributed around the main districts, may be the local origin forces. The social differentiation and stratification observed from large-scale clustered pit burials in the western Jeonbuk region seems to influenced the Mahan society formation in the area, grounding the foundation for local-characterized Mahan small polities to generate and develop their organiza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