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제강점기 고구려 발해 유적조사와 그 의미

        양시은(YANG Si-eun) 고구려발해학회 2010 고구려발해연구 Vol.38 No.-

        일제강점기에 만주를 포함한 한반도에서는 일본인 연구자들에 의해 수많은 고고학 조사가 행해졌다. 고구려와 발해 유적 조사 또한 조선인 연구자들이 배제된 채, 일본 연구자들에 의해 독점되었다. 고구려 유적들은 일본의 한반도 진출과 관련하여 비교적 이른 시기부터 고구려 벽화분을 중심으로, 일부 대형 적석총과 도성에 대한 조사가 진행되었다. 일제강점기에 실시된 고적조사는 일반적으로 박물관협의회에 고적위원회가 설치되어 「古蹟 및 遺物保存規則」이 공포된 1916년과 조선고적연구회가 설치된 1931년을 기준으로, 1916년 이전을 고적조사 1기, 1916-1930년까지를 고적조사 2기, 그리고 1931년부터 해방까지를 고적조사 3기로 나누어 볼 수 있다. 발해는 고분 중심의 고구려와는 달리 도성 유적을 중심으로 조사가 이루어졌다. 비교적 이른 시기부터 고구려 유적에 대한 본격적인 조사가 시작된 것과는 달리, 발해 유적에 대한 조사는 1932년 만주국이 성립된 이후에서야 본격적으로 이루어졌는데, 그 이전에는 白鳥庫吉, 鳥山喜一, 鳥居龍藏 등과 같은 일본 관학자들에 의한 답사를 통한 연구만이 진행되었을 뿐이다. 일본인 연구자들에 의해 진행된 당시의 고구려와 발해에 대한 유적 조사는 순수한 학술적인 목적이라기 보다는 일본 정부의 정치적 목적에 부합하여 이루어졌다. 고구려의 경우 중요 유물 수습 및 벽화 고분 발견이 중시되었으며, 대체로 단기간에 이루어진 조사가 대부분이었다. 발해 역시 도성의 성격 규명을 위한 것이라고는 하지만 대대적인 조사라기보다는 간략한 시굴조사 수준에 그치는 경우가 많았다. 발해 유적에 비해 월등히 많은 유적이 발굴 조사된 고구려의 경우에도 조사된 유적 수에 비해 제대로 된 보고서는 거의 없었는데, 그나마도 소략한 내용과 함께 도면과 사진만을 일부 제시하고 마무리한 것들이 대부분이다. 다만, 일부 보고서의 경우 국제사회의 홍보를 위한 정치적 목적에 따라 자세한 영문 요약문이 첨부된 것도 있어 기존의 보고서들과 비교되는 것들도 눈에 띈다. 한편, 서울대학교 박물관에는 많은 수의 고구려와 발해 유물이 소장되어있는데, 그 중 일부는 경성제국대학 시절 경성제국대학의 교수들에 의해 수집된 것들이다. 이번 논문에서는 이들 자료에 대한 정확한 출처를 밝힐 수 있었는데, 이후 관련 연구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서울대학교 박물관이 소장하고 있는 일제강점기에 수집된 고구려와 발해 유물은 당시 일본 연구자들 특히 경성제국대학연구자들의 고구려 및 발해 유적조사 현황을 파악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In the period of Japanese occupation, a study on the research of Koguryo(高句麗) and Balhae(渤海) sites was made a monopoly by Japanese researcher. At that time, Koguryo was recognized as belonging to the both Joseon and Manchulia history, but Balhae was often recognized as belonging to Manchulia history. We classify 3 research stages about Koguryo investigations. That stages is devided by Sekino Tadashi(關野貞) team(~1915), the committee for Korean history(1916~1930), the Joseon Historical Spot Research Institute and the Manchu State(1931~1945). And then, we classify 2 research stages about Balhae investigations by establishment of Manchu State(before and after). Most of the Koguryo investigations were executed to find precious artifacts and mural paintings in the short period, and Most of the Balhae investigations were executed to made a clear to the capital city. But we can find many serious problems in most reports. So, we can conclude the research of Koguryo and Balhae sites done by Japanese government were executed as verification for contriving colonial historiography or political situation. Especially, I introduced Koguryo & Balhae collections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Museum in this paper. That collections was collected and donated by the professor of Keijo Imperial University(京城帝國大學) in the period of Japanese occupation. That data is able to be help to examine thoroughly situations of the research of Koguryo and Balhae sites.

      • KCI등재

        발해 연화문 와당의 고구려 계승성 검토

        김희찬(KIM Hee-chan) 고구려발해학회 2010 고구려발해연구 Vol.36 No.-

        본 논문에서는 발해 연화문 와당을 대상으로 연화의 형태, 간식문, 부가문양대, 자방, 주연부 그리고 복합문 등의 개별 문양소들을 분석하고, 이를 고구려 와당과 비교하여 그 계통과 고구려 계승성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고구려 연화문 와당은 5세기 중엽에서 7세기 중엽에 이르기까지 평양지역을 중심으로 4+4형의 양각형 연화와 선각형 연화를 교대로 배치시킨 연화+연화문 와당이 유행하고 있었는데, 연화+연화문 와당의 선각형 연봉오리 연화와 측면연화가 발해 연화문 와당의 중심문양으로 등장하고 있었으며, 발해 연화문 와당의 간식문, 주연부, 자방 등도 연화+연화문 와당의 문양 배치와 기본 구도를 그대로 유지하고 있었다. 또한 평양지역에서 출토되는 구획선이 없는 연화문 와당의 부가문양대도 발해 와당의 중요한 문양대로 등장하고 있었다. 이러한 사실은 발해 연화문 와당이 고구려 연화+연화문 와당의 선각형 연봉오리 연화, 측면연화와 더불어 사잇문, 주연부, 자방부 그리고 구획선이 없는 연화문 와당의 연주문 형태의 부가문양대라는 형태요소를 각기 수용하여 이것을 발해적인 이미지로 재구성함으로써 새로운 형태의 독창적인 와당으로 발전시키고 있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발해 연화문 와당이 5세기 중엽에 출현하여 7세기 중엽에 이르기까지 평양지역에서만 유행하고 있었던 고구려 연화+연화문 와당의 계통을 계승하고 있었다는 것은 발해의 문화적 요소가 부분적으로 평양지역의 계통을 흡수하고 있었던 것은 아니었을까 생각된다. As the individual elements of design are creative in comparison with neighboring regions, the origin or lineage of the roof-end tiles with lotus design of Balhae is very obscure. In this thesis I reviewed on the roof-end tiles with lotus design of Balhae through analyzing the individual elements of design like the shape of lotus flower, interval design, supplement designs, ovary and composite designs. Then I examined that how the roof-end tiles with lotus design of Balhae succeeded the characteristics of Koguryo roof-end tiles. The roof-end tiles of Koguryo are very creative. When the roof-end tiles of Koguryo transformed from roof-end tiles with clouds design to lotus design, they took lotus bud design as a alternative to lotus petal design which was common in East Asia. As the roofend tiles with lotus bud design express lotus flower independently, they would influence not only lotus flower but also the other design elements. In the divergence process of the roof-end tiles with lotus design, these characteristics of modes were inherited. As a result, the roof-end tiles with the combination of lotus and other designs which alternatively arranged two design elements of lotus + lotus design showed up. For th e roof-end tiles with lotus + lotus design set the same design elementson a side of roof-end tiles, we don’t have to distinguish between central design and composite design. While the lotus design in central design maintains the mode of carved-in-relief lotus bud traditionally, the lotus design in composite design takes the mode of carved-in-line lotus bud or side faced lotus flower to reveal the nature of the roof-end tiles with composite design. And yet the mode of carved-in-line lotus bud and side faced lotus flower which is the characteristics of the roof-end tiles with lotus + lotus design continues to the roof-end tiles of Balhae. In my opinion the roof-end tiles with lotus design of Balhae also expresses lotus buds as a alternative to lotus petals. In addition to the lotus buds, interval designs, ovary which a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roof-end tiles with lotus + lotus design continue to the roofend tiles of Balhae. Besides, supplement designs like lotus pearl design which has non dividing line and excavated in Pyungyang area also succeeded in the roof-end tiles of Balhae. So the roof-end tiles with lotus design of Balhae succeeded the modes of lotus + lotus design of Koguryo roof-end tiles and created new modes of roof-end tiles on it. From the fact that the roof-end tiles with lotus design of Balhae succeeded the modes lotus + lotus design of Koguryo roof-end tiles, I conclude that the roof-end tiles with lotus design of Balhae succeeded the modes of Pyungyang area.

      • KCI등재

        北方故土意識의 推移에 관한 고찰 Ⅰ

        구난희(KU Nan-hee) 고구려발해학회 2012 고구려발해연구 Vol.42 No.-

        발해의 귀속 문제는 발해사만의 문제가 아니라 발해를 정점으로 하는 일련의 역사 전개를 어떻게 이해하는가 하는 논쟁의 접점을 이루고 있다. 중국은 肅愼, ?婁, 勿吉, 靺鞨을 滿族의 선조로 규정하고 渤海建國으로 이 지역에 대한 지배권을 확보하였으며 발해를 거쳐 女眞으로 이어져 왔다고 주장하고 있어 古朝鮮-高句麗-渤海로 이어지는 한국의 고대 북방 이해와는 확연하게 대비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문제의식 하에 이 글은 발해 귀속 논리의 저변을 형성할 수 있는 ‘북방 고토 의식’에 초점을 두고 그것의 형성과 변화 과정을 검토하였다. 우선 논의의 전제로 발해 귀속 논리를 중국의 영토계승적 관점과 한국의 역사계승적 관점으로 대별하고, 전자를 보완하는 논리로서 종족계승과 후자를 보완하는 논리로서 고토계승의 논리가 융합되어 있음을 입론화하였다. 아울러 북방 고토 의식이 역사계승의 관점을 확대하는 순방향적으로만 전개된 것이 아니므로 다양한 성격의 논리가 시기별로 어떻게 작동하면서 북방 고토 의식을 변화시켜 왔는가를 주요 사서에 기술된 고조선, 고구려, 발해 관련 기술을 통해 검토하였다. 발해 멸망 이후 조선 전기에 이르기까지 북방 고토 의식은 소극적이었다. 고토계승은 당대의 영역 내에서만 한정되고 고대 북방의 역사는 탈각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부분적으로는 발해 고토에 대한 관심이 표출되기도 하였지만 이는 한국사로서가 아닌 한국사 흐름에 영향을 미친 인근국 내지는 고구려의 고토가 있었던 지역의 역사라는 애매한 지점에서만 존재하고 있었다. 16세기에 이르면 북방 고토 의식은 새로운 양상을 맞이한다. 韓百謙이 東國地理志에서 언급한 이른바 ‘南自南北自北’ 인식의 영향으로 고구려사를 적극적으로 인식하고 이에 부수한 발해를 재조명해 나가기 시작한다. 고토계승은 당대 영역을 넘어서 확장되었지만 발해를 역사계승의 맥락에 연계시키지는 않았다. 이 글에서는 선행연구의 평가와 달리 李種徽의 東史또한 이러한 입장에 있는 것으로 파악하였다. 高句麗와 渤海모두 本紀가 아닌 世家에서 처리하고 있으며 箕子로부터 高句麗, 渤海로의 연계가 分節的계승이라는 점에서 여전히 미완의 역사계승으로 볼 수밖에 없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18세기 중반부터 19세기는 1712년 정계에 대한 비판에 따른 先春領說, 分界江說등이 부각되고 韓致奫·韓鎭書에 이르는 지리고증의 성과가 축적되면서 다양한 북방 고토 의식이 형성되어 나갔다. 특히 廢四郡復置등 현실 문제에 적극적이었으나 북방 고대에 대해서는 소극적이었던 丁若鏞과 현실 문제에는 소극적이지만 고대북방에 대한 적극적인 인식을 견지한 金正浩는 대조를 이루고 있다. 이 시기에 이르면 북방고토의 확대라는 관념적 역사계승 의식과, 청과의 긴장 속에서 실지 회복이라는 영토 의식을 양 축으로 하는 스팩트럼 속에서 제각각 자신의 입론 지점을 찾아 다양한 논의를 재조정하고 있었다. The question of title to Balhae is not only the matter of Balhae history, but also the point in dispute about how a series of history developments are understood related to Balhae as a focus. China provides that Suksin(肅愼), Uproo(?婁), Mulgil(勿吉) and Margal(靺鞨) are ancestors of Manchu and insists that Balhae foundation secured the control over this area and Balhae led to Jurchen(女眞); it is because this is in considerable contrast to the understanding of Korea’s ancient northern nations, which are Gojoseon(古朝鮮)-Goguryeo(高句麗)-Balhae(渤海). This article has examined how the northern navive land awareness has formed as the base of Balhae reversion logic. First of all, Balhae reversion logic is divided into China’s territory succession view and Korea’s history succession view as a premise of argument and the logic has been argued in that the tribe succession as a complement of the former and the native land succession logic as a complement of the latter are combined. In addition, under the problem awareness that the northern native land awareness had not proceeded in a proactive way, it researched how a wide variety of logic had worked from each period and changed the northern native land awareness through the description related to Gojoseon, Goguryeo and Balhae stated in main history books. In the 16th century, the interest in the ancient northern-district made the history of Goguryeo be actively recognized under the influence of so-called ‘the south from the south, the north from the north(南自南北自北)’, which was addressed in Dong-kuk Chiriji(東國地理志) written by Han Baeg-gyom(韓百謙) and collaterally Balhae started to be recounted. The native land succession was extended into the one above the district of the day but Balhae was not connected to the context of the history succession. This article has grasped that LEE Jong-Whi(李種徽)’s Dongsa(東史)was on this side in contrary to previous researches. Both Goguryeo and Balhae were covered in a distinguished family history(世紀) not in dynastic annals(本紀). This is because the succession is still considered as imperfect in that the connection from Gija(箕子), Goguryeo to Balhae is segmented succession. From the mid of 18th century to 19th century, Seonchunryungseaol(先春領說) and Bungaegalseol(分界江說) were emphasized according to the criticism of political circles from the mid 18th century to 19th century in 1712 and as the results of historical investigation of geography from Han CHI-yun(韓致奫)·HAN jin-seo(韓鎭書) were accumulated, various northern-district awareness was formed. Especially, JEONG Yakyong(丁若鏞), who were positive in realistic matters such as the restoration of abolishing four districts of north provinces but passive in the ancient native land-district awareness, was opposed to KIM Jeong-ho(金正浩), who was passive in realistic matters but positive in the ancient northern-district. At that time, in the spectrum ranging from idealogical history succession awareness, the extension of northern native land to realistic native land succession awareness, the recovery of lost land in tension with Qing dynasty, each one was readjusting various debates, finding out his own argumentation point.

      • KCI등재

        渤海 鹽州城의 최근 발굴성과와 분석

        김은국(Kim eun kuk) 고구려발해학회 2017 고구려발해연구 Vol.58 No.-

        염주(鹽州) 발해성은 문헌으로 확인되는 러시아내 발해성 중 가장 온전한 유적이다. 염주는 발해가 설치한 62개 주(州) 중의 하나로 동해를 통해 신라와 일본과 교류하였던 곳이고 발해의 내륙 곳곳을 거쳐 당, 서역 등과 통하는 교두보였다. 발해는 건국 직후 동해를 통한 해양과 대륙을 함께 경영하기 위해서 현재의 琿瑃 지방으로부터 동해안에 걸쳐 5경 중 하나인 동경용원부와 그 산하에 4개 주를 설치하였다. 염주는 그 중의 하나로 발해가 신라와 일본과 교류하는데 있어서 관문 역할을 한 성이다. 또 이곳에는 대륙으로부터 당나라는 물론, 서역 등의 문화가 집결하여 신라와 일본 등과 교류를 할 수 있었던 국제 항구이기도 하였다. 1990년대 들어 연해주 발해유적은 중국과 북한 내의 경우와 달리 한국과 러시아 학자들과 공동발굴이 계속 진행되어 왔다. 그 결과 최근의 염주성 공동발굴 결과는 발해 조기 문화층과 고구려시기의 층위와 유물의 단초를 확인한데 이어 새로운 염주성 발굴 방향을 제시하여 주었다. 특히 2011년 이후의 발굴을 통해서 염주성 내 계획된 구획 시설이 계속 이어짐을 확인하였고, 고구려 문화의 계승성은 물론 신라· 서역 등 주변국과의 다양한 교류 상을 엿볼 수 있는 중요한 유물들을 속속 출토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특히 ‘발해 조기 문화층’과 고구려시기의 층위와 유물의 단초를 확인하여 새로운 염주성 발굴의 전환을 가져왔다. 이미 필자는 염주성 발굴을 시기별로 3단계로 나누면 1단계는 1980년부터 1992년 이전까지 러시아 측의 발굴과 1992년 이후 2006년의 한-러 공동 발굴 시작 기간이다. 이 시기는 러시아 측의 주도 하에 한국 측이 참여하는 시기이다. 2단계는 2007년부터 2010년으로 이 시기는 한국 측이 정식 발굴단을 구성하여 러시아 측과 명실 공히 공동발굴을 전개시킨 과정에 해당한다. 마지막으로 2011년 이후 현재의 3단계는 이전의 한러양측 발굴 기반 위에 심화와 확장의 이원적인 발굴을 통해 양과 질에서 주목할 만한 발굴 성과를 거두었던 기간이다. 2011년부터 이어지는 염주성 발굴조사는 발해 지방성의 도시구획의 단초를 찾고 관청 혹은 창고시설과 관련되었을 대형건물터와 석축기단 건축물터 등을 확인함으로써 발해 유적조사에 새로운 전기를 마련하였다. 이러한 전환에 간과할 수 없는 것이 있는데 지구물리학적 조사와 그 반영이다. 그간 염주성 발굴의 획기적인 성과는 심화 발굴과 확장 발굴의 이원화를 통해서 결실을 거두었다. 심화 발굴의 성과가 있기까지에는 지구물리학 측정 방법을 통한 지층과 유물의 분포 파악을 발굴을 통해 입증하는 과정의 결과였다. 이 측정은 러시아 학자 Bessonova E.A가 염주성 내에서 분석해 온 것이다. 이 측정을 통해 염주성은 성내 북동부에 타원형 모습의 내성을 상정할 수 있었다. 그리고 베쏘노바는 이 성이 고구려 시대의 축성일 것으로 추정하였던 것이다. 주지하듯이 2011년부터 2015년도에 걸쳐 조사된 도로 유구는 바로 이 측정에 대한 검증 성격을 지니는 발굴의 성과였다. 아직 내성을 뒷받침하는 발굴 결과가 나오지는 못하였지만 그간의 염주성 발굴 성과는 2015년 발굴에 집약되어 나타났다. 그 가장 으뜸은 염주성 발굴 사상 처음으로 노출한 발해 전체 시기의 발해토층을 통해 염주성의 고고학적 역사와 발해문화의 고구려 계승성을 확인할 수 있는 계기를 얻었다는 점이다. 특히 토층에서 수습한 20 여점의 목탄을 분석한 결과는 염주성의 사용 연대를 발해 이전의 고구려 시기부터 설정할 수 있는 근거를 확보하였다. 이는 앞으로 고구려 동해안 및 연해주 지역 경영 연구에 중요한 자료로 활용될 것이라 본다. 다음으로 발해유적 발굴 사상 처음으로 출토한 청동 낙타상은 낙타뼈와 함께 발해가 염주성으로 통해 서역과의 교류를 전개하였음을 확인한 점, 또 저장시설 군이 염주성에서 발견됨으로써 염주성내 공동 저장시설 공간을 설치하고 생활하였던 점, 그리고 편병 한 점은 발해와 신라가 염주성을 통해 해양교류를 하였음을 확인하는 점, 넷째 동서 교차 도로에 이어지는 동서 도로를 확인함으로써 염주성이 상경성과 같이 도시구획을 지닌 도성임을 재확인한 점, 다섯째 확장발굴의 결과 이제는 염주성 행정중심 관청터 발굴을 본격적으로 시작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였다는 점 등이다. 이후 염주성 발굴 방향은 내성의 확인과 함께 북부 중심 지역으로 집중할 수 있겠다.

      • KCI등재

        중국 고성촌 2호 사원지 발해 팔각형 건물지 연구

        양은경 고구려발해학회 2023 고구려발해연구 Vol.77 No.-

        2016년부터 2022년까지 중국 길림성 훈춘시 고성촌에서는 고구려ㆍ발해 시기 창건과 중건이 이루어진 사원지 2곳이 발굴되었다. “壬子年六月作”의 기년명 수막새가 출토된 고성촌 1호 사원지는 현존하는 고구려 최초 사원지로 등극하게 되었으며, 고성촌 2호 사원지는 발해 사원지로는 처음으로 가람배치가 확인된 사실과함께 팔각형 유구가 정식 발굴조사를 거쳐 최초로 드러난 점 그리고 완전한 사리공양구가 발견된 내용 등 발해 불교문화를 복원하는 데 중요한 대상으로 부상하였다. 무엇보다도 고성촌 2호 사원지에서 발견된 발해 팔각형 건물지는 고구려 팔각 건물을 연구하는 데 중요한 비교자료가 된다고 말할 수 있다. 중국 발굴팀은 고성촌 1, 2호 사원지는 고구려, 발해 시기 창건과 중건이 이루어졌으나 두 왕조 사이 불교문화는 어떠한 계승 관계도 보이지 않는다는 입장을 표명하고 있다. 그러나 논고를 준비하는 과정에서 고성촌 2호 사원지의 팔각형 건물지는 기초부의 축조 방식과 초석 배치에 따른 평면 형태 등 고구려 팔각형 목탑지와 직접적인 연결고리를 찾을 수 있음을 알게 되었다. 이에 더 나아가 이러한 토목건축 기술은 고구려─발해를 넘어 요나라까지 일정 부분은 연결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추론하게 되었다. 다만 풍부한 자료의 축적과 심도 깊은 논의를 거치지 않은 현 단계에서 제기된 이 같은 추정은위험성도 내포하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물론 발해 불교문화는 상경성 불교 유적과 유물 그리고 전탑에서중국 당나라 불교문화의 영향도 발견되는 것은 부정하기 힘들다. 만일 고성촌 팔각 건물의 성격을 발굴팀이추정한 바와 같이 탑지로 받아들인다면 발해 탑은 고구려적인 팔각형 목탑과 당나라 전탑을 비롯하여 남조적인 방형 목탑 등 다양한 탑이 존재하였을 가능성을 제기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발해 탑에 적용된 토목 기술은고구려로부터 이어진 건축 전통과 당나라로부터 새롭게 전래된 구축 방식이 함께 공존하였을 가능성이 높아보인다. 고성촌 2호 사원지에서 발견된 팔각형 건물지는 발해 탑을 비롯한 고구려 팔각형 목탑지를 비롯하여 팔각의례건물지와 창고건물지를 연구하는 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또한 구축 방식과 평면 형태는 목탑지 이외에도 고구려, 신라, 일본 등 고대 동아시아 팔각형 건물지의 특징과 기능, 계보, 교류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연구 대상이 되는 것은 명확하기 때문에 향후 연구자들의 지속적인 관심과 연구가 이루어지길 희망한다. Archaeological surveys conducted at Guchengcun(古城村) in the city of Hunchun(琿春), Jilin Province from 2016 to 2022 resulted in the discovery of two temple sites where the temples were founded and renovated in the Goguryeo and Balhae periods. Guchengcun Temple Site 1 where archaeologists found a ceramic rooftile shard with inscription is conjectured to date back to Goguryeo, and Temple Site 2, to Balhae. At the second temple site, archaeologists unearthed remains showing the architectural layout of a Balhae temple, including that of an octagonal wooden pagoda, and a complete set of sarira reliquaries that are regarded as important sources for the restoration of Buddhist culture in Balhae. Similarly, the octagonal wooden pagoda site serves as a crucial source of information for the restoration of the Goguryeo-style octagonal building, which is deemed to have symbolic significance with regard to the development of wooden buildings in East Asia. The temple site is currently attracting wider attention from the Chinese academic world, fueling in-depth discussions while remaining little known among the researchers in Korea.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troduce the Guchengcun Temple Sites to Korean researchers and contribute to the effort to expand the viewpoints of research studies focusing on the sites. A study on the remains of the octagonal wooden pagoda at the Guchengcun Temple Site—conducted in preparation for this paper—revealed that the pagoda had similarities to the Goguryeo-style octagonal wooden pagoda in terms of the layout and structure of the base of the pagoda as well as building techniques. The study also showed that some of the techniques used by Goguryeo and Balhae pagoda builders were also adopted by the builders in the Liao Dynasty, although one needs more convincing proof and in-depth discussions before making a conclusive view regarding the connection between the three. It is undeniable, of course, that the Buddhist cultures in Balhae represented by the artifacts and features of Buddhism in Sanggyeongseong were also under the influence of Chinese Buddhism, particularly that of Tang, as shown by the elements of the Chinese brick pagoda. Therefore, the Balhae’s Buddhist architecture most likely featured a greater variety with the Goguryeo-style pagoda with octagonal structure, Chinese brick pagoda, and square wooden pagoda of the Southern dynasties. In other words, the building techniques adopted for the construction of pagodas in Balhae largely consisted of two: those inherited from Goguryeo and the techniques newly introduced from China. The remains of the octagonal wooden pagoda discovered at Guchengcun Temple Site 2 provide valuable clues not only for the genealogy of the techniques used for the Balhae pagoda but also for the study of Goguryeo-style octagonal wooden pagoda. In conclusion, the structure and layout of the octagonal wooden pagoda at the Gucengeun site are expected to serve as important sources for the study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octagonal buildings built across East Asia in ancient times, including their function, genealogy, and exchange of building techniques. Although probably not conclusive enough, the discussions in this paper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raising the interest of researchers in the topic and promoting in-depth discussions.

      • KCI등재

        高句麗와 渤海의 城郭운용방식에 대한 기초적 검토

        李成制(LEE Seong-je) 고구려발해학회 2009 고구려발해연구 Vol.34 No.-

        일반적으로 고구려는 山城을 위주로 성곽을 운용하였다고 믿어져 왔다. 그러나 이러한 이해와 달리 延邊지역에는 예외적이라고 할 만큼 많은 수의 고구려 시기 平地城이 남아 있다. 이것은 이 지역 소재성곽의 이해와 관련하여 산성과 함께 평지성이 분포하고 있는 특징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는 사실을 알려주는 것이다. 한편 대개의 성곽은 후대의 沿用이 거듭되면서 初築의 시기를 확정하기 곤란한 경우가 많다. 연변지역 소재의 성곽들도 예외가 아니어서, 상당 수의 성곽들은 渤海시기에 축조된 것으로 여겨져 왔다. 그러나 발해시기에 들어서 많은 성곽이 들어서야 할 이유는 찾을 수 없었다. 방어력의 강화 측면에서나 발해에 적대하는 세력과의 관계에서 보더라도 그러하였다. 현재의 연변 지역의 성곽 분포는 발해시기에 갑자기 조밀해진 결과라기 보다는 이전시대인 고구려시기에 주요 거점마다 성곽이 들어서 있던 것을 반영한다고 믿어지는 것이다. 한편 연변 지역 소재 고구려 성의 분포와 그 특징을 알아보기 위해 이 연구에서는 개별 성곽의 축조시기를 판별하는 대신 交通路와 성곽의 관계에 주목하였다. 특히 柵城이 이 지역의 통치 거점으로 자리잡을 수 있었던 것은 책성과 國內城을 잇는 교통로가 있어, 그 경로 상에 축조된 여러 성을 징검다리로삼아 국내성과 연결될 수 있었고, 유사시의 지원도 얻을 수 있었다고 보았던 것이다. 이를 토대로 고구려의 중심지와 연변지역을 연결하는‘沃沮方面路’의 경로를 검토한 결과, 현재의 集安에서 臨江을 거쳐 撫松의 산간지대를 경유하여 安圖에 이르고 여기에서 布??哈通河의 연안로를 따라 西進하는 경로를 파악할 수 있었다. 발해시기에 운용된‘鴨綠道’나 현재 연변지역의 東西를 연결하는 國道의 존재가 이를 뒷받침해 주었다. 또한 무송에서 안도로 들어서는 지점에 위치한 東淸古城址는‘옥저방면로’가 국내성과 책성을 잇는 幹線이었다는 점과 이 경로 상의 요지에 성곽이 축조되었음을 알려주는 실례였다. 이로써 고구려시기 연변지역에는‘옥저방면로’가 개설되었고, 그 경로의 연결과 유지를 위해 성곽들이 세워졌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延邊長城은 이 지역에 조성된 최대 방어시설로서, 고구려가 세웠다는 주장이 있어 검토해 보았다. 그 결과 고구려 조성설의 주장처럼 장성이 북쪽을 지향한다면, 방어의 목적을 이룰 수 없다는 점을 지적하고 그 지향방향이 북쪽이 아닌 남쪽임을 밝혔다. 이로써 축조 연대 역시 고구려시기로 보기 어렵게 되었다. 한편 연변지역에 있어서 고구려 성의 운용은 기본적으로 평지성을 위주로 한 것이었다. 이는 原고구려지역이라는 정치·군사상의 중심지에 축조된 고구려성에 비해, 이 지역의 고구려성은 지역 지배의 중심지로서의 역할에 보다 충실한 결과로 보인다. 그러던 연변지역 특유의 성곽 운용에 변화가 나타나기 시작했음은 평상시의 거주성과 주민의 入居를 전제로 한 대형산성의 축조를 통해 알 수 있었다. 이로써 연변지역에도 대형산성의 축조와 평지성과의 결합이라는 중후기 고구려 성곽의 보편적인 운용방식이 적용되었을 것인데, 변화의 배경과 시기를 확정하는 것은 차후의 과제로 남겨 두었다. 豆滿江북안의 朝東山城은 강 남안의 雲頭山城과 함께 옛 옥저지역의 북과 남을 연결하는 結節點에 세워진 고구려성이었다. 이러한 조동산성의 입지와 雲頭山城과의 조응관계로 보아 고구려시기 연변지역과 咸鏡道東海岸을 연결하는 교통로의 존재를 알 수 있었다. 또한 두만강을 사이에 둔 이 경로는 국내성에서 책성을 잇는 교통로가 먼저 개설되었고, 그 뒤를 이어 책성에서 두만강을 건너 함경도 동해안에 이르는 경로가 추가되었음을 짐작케 해주었다. 이렇게 볼 때 책성은 고구려시기 연변지역의 최대 거점이자 두만강 이남의 함경도 동해안으로 진출하는 전진기지로서도 기능하였다고 보인다. 따라서 연변지역 소재 고구려성의 역할도 함경도 동해안과의 연계선 확보라는 측면에서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 In general, it has been believed that Koguryeo fortresses were built mostly on hills; however, in Yeonbyeon(Yanbian) there exist the remains of many Koguryeo fortresses built on flatland. Accordingly, one must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both types of Yeonbyeonfortresses, hill and flatland, to fully understand their functions. Most fortresses, including those in Yeonbyeon, were repeatedly rebuilt, making it difficult to determine when they were first constructed. Many Yeonbyeon fortresses are thought to have been built during Balhae, yet there is little evidence to show why Balhae should build so many. Fortress construction presumes a need to reinforce defense against hostile powers, thus Yeonbyeon fortresses at major points are not necessarily a product of flourishing construction during Balhae, but rather a reflection of Koguryeo times. To better understand the distribution and the characteristics of Koguryeo fortresses in Yeonbyeon, this paper focuses on traffic routes rather than construction periods. In particular, Chaekseong (Shancheng) was able to grow as a governing center with a route to the Guknaeseong. Along this route, other fortresses were constructed linking the tworegion and provided support in emergencies. A major road, henceforth described as ‘the route toward Okjeo,’which links the center of Koguryeo and Yeonbyeon, passes through the present Jian and Linjiang, the mountain areas of Fusong and Antu, and the coast of Buerhatonghe to the west. This finding is supported by the Abrok route used during Balhae and the present state road linking the east and west of Yeonbyeon. The site of the Dongqing fortress located in the area entering Antu from Fusong shows ‘the route toward Okjeo’was an arterial road linking the Guknae Fortress and Chaekseong, and fortresses were constructed at strategic points along the this route. Therefore, ‘the route toward Okjeo’was constructed in Yeonbyeon during Koguryeo Kingdom and had many fortresses to link and to maintain the route. This paper also examines the Yeonbyeonjangseong (Yanbianchangcheng), the largest defense facility in this area, which some argue was built by the Koguryeo Kingdomto face north. By facing north, the fortress could not have defended the area, and one must presume it faced the south and was not of Koguryeo Kingdom construction. On the other hand, the Koguryeo Kingdom’s fortresses in Yeonbyeon were confined mostly to flatland. Therefore it is reasonable to assume that Koguryeo’s fortresses in Yeonbyeonfunctioned to rule internally, while other fortresses in central area of Koguryeo were constructed for political and military purposes. This fortress style in Yeonbyeon later changed with the advent of grand hill structures for residential purposes during peaceful times. Thereby, the general operating system of fortresses during the mid and late Koguryeo Kingdom applied in Yeonbyeon, that is, the combination of hill and flatland fortresses. This paper omits examination of the circumstances and dates of these changes. Along with Undusanseong, in the Duman River’s southern basin, Jodongsanseong in the northern basin was the Koguryeo fortress constructed to link the north and south of ancient Okjeo. Such a location of Jodongsanseong and its correspondence with Undusanseong during the Koguryeo Kingdomdemonstrates the existence of a traffic route linking Yeonbyeon to the east coast of present Hamgyeong Province. Along this route, with the Duman River between, the part linking Guknae Fortress and Chaekseong was constructed first, and the part linking Chaekseong to the east coast of Hamgyeong Province via the Duman River was built later. Therefore, one can assume that Chaekseong during the Koguryeo Kingdom functioned not only as a strong point in Yeonbyeon but also as an outpost to advance toward the east coast of Hamgeyong Province. Accordingly, one should consider that Koguryeo fortresses in Yeonbyeon were aimed at securing the

      • KCI등재

        발해 구들의 특징과 계승성 연구

        김영현 고구려발해학회 2024 고구려발해연구 Vol.78 No.-

        본 연구에서는 발해 시기 구들의 특징을 검토하였다. 발해 구들은 발해의 영역 내에 있었던 현재의 중국 동북 지역, 러시아 연해주 지역, 한반도 북한 지역에 분포하고 있으며, 현재까지 29개 유적에서 86기가 확인되었다. 그 중 형식 분류의 속성으로 선택한 단일 공간에 시설된 구들의 수, 구들의 평면 형태, 고래의 수 등 3가지속성이 모두 파악 가능한 것은 22개 유적 56기이다. 그 외에도 고래벽의 축조 재료, 아궁이와 고래의 연결 형태, 굴뚝의 위치, 추가 노지의 유무 등도 함께 검토하여 발해 구들의 특징을 파악하였다. 상기한 기준을 바탕으로 단일 공간에 1기의 구들이 시설된 Ⅰ형식과 단일 공간에 2기의 구들이 시설된 Ⅱ 형식으로 크게 구분하였고, 평면 형태에 따라 A형식(‘ㅡ’형), B형식(‘ㄱ’형), C형식(‘ㄷ’형), D형식(‘ ’형), 고래의 수에 따라 a형식(1줄), b형식(2줄), c형식(3줄), d형식(변형)으로 세분하였다. 형식 분류 결과 대부분의 구들이 Ⅰ형식에 포함되었고, Ⅱ형식은 2개 유적에서만 확인되었으며, Ⅰ형식에비해 대체로 늦은 시기에 해당할 것으로 추정된다. 평면 형태상으로 가장 높은 비율을 보이는 것은 B형식이며, D형식은 대부분 굴뚝을 주거지 외벽 바깥쪽으로 일정 거리를 두어 시설하였고, 궁전지를 중심으로 다수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나 위계가 높은 건물 내에 주로 설치되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고래의 수에 따른 분류에서는 b형식이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으며, a형식의 경우 고래의 구조 및 추가 노지의 존재를 통해 볼 때 발해이른 시기에 축조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즉, 발해 시기에는 ⅠBb형식의 구들이 보편적으로 사용되었던 구들형식이었던 것으로 파악된다. 지역별로는 ⅠBb형식이 넓은 지역에 분포하는 대다수의 유적에서 확인된다는 것 이외에는 특별한 지역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지역별로 구들의 형식을 구분하여 사용했다기보다는 유적의 시기, 건물의 성격, 해당 지역 토착 문화에 의한 영향 등에 의해 각각에 맞는 구들을 축조하였던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다만, 신포 오매리 절골 유적에서 확인된 D형식의 구들은 해당 지역에서 지속되었던 고구려 불교 문화의 영향을 받은것으로 보인다. 발해의 구들은 고구려에서 그 기원을 찾을 수 있다. 고구려 시기에는 Ⅰ형식과 함께 Ⅱ형식의 구들이 이미사용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평면 형태상으로는 B형식이 50%로 가장 높은 비율을 보이고 있는데, B형식 구들은 고구려에 이어 발해 시기까지 다수를 차지하고 있어서 자연스럽게 계승ㆍ발전하였던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발해의 위계 높은 일부 건물지에서 보이는 D형식의 구들이 고구려 시기에도 확인된다는 것 역시 발해구들의 고구려 계승을 보여주는 근거라 할 수 있다. 고구려로부터 시작된 발해의 구들은 뒤를 이어 건국되었던 요, 금 및 동하국에서도 계속되었다. 요의 주체였던 거란족, 금 및 동하국의 주체였던 여진족의 문화에는 구들이 없었다는 것이 역사ㆍ고고학적으로 확인되었고, 따라서 이들 영역에서 확인되는 구들은 발해 유민들이 남긴 발해의 문화라 할 수 있다.

      • KCI등재

        발해 동모산 비정에 대한 중국 학계의 최근 논의

        양시은 고구려발해학회 2022 고구려발해연구 Vol.72 No.-

        This paper examined various views on the location of Dongmosan, which Daejoyeong founded Balhae in 698, and Mopancun Mountain Fortress, which emerged as Dongmosan through recent excavations. There are not many clues related to Dongmosan, but what is clear is that it is acidic and that it will be located in the area where the early remains and relics of Balhae are identified. In this respect, the Yukjeongsan burials in Dunhua, where Princess Jeonghye's tomb is located, and the Yongdusan burials in Helong, where Princess Jeonghyo's tomb is located, can be important clues regarding the location of Dongmosan. However, unlike Princess Jeonghyo's tomb, which is a pagoda tomb, Princess Jeonghye's tomb is a horizontal stone chamber according to the tradition of Koguryo tombs, and the traditional Koguryo style’s roof-end tile, is likely to be contrasted compared to Yongdusan burials. However, despite the high possibility of the Chengshanzi Mountain Fortress, which has been designated as Balhae Dongmosan since early on, further discussion is impossible because excavation has not yet been conducted. Recently, in China, Tumen Mopancun Mountain Fortress, which was called Chengzishan Mountain Fortress in Yanji, has been connected to Dongmosan. It is believed that it may be Dongmosan because it was found to have been used from the end of Koguryo to the beginning of Balhae, which has been excavated annually since 2013. However, even if Mopancun Mountain Fortress was used in the early Balhae, additional data are needed to connect to Dongmosan, and the problem of the distance from Sanggyeong to the country mentioned in the literature must also be solved. Balhae, which succeeded Koguryo, possessed national power and cultural capabilities enough to be called Haedongseongguk by Tang. However, due to the absence of its own historical books and the limitations of access to archaeological materials, related research is still not easy. Continuous concern and research are needed in the future. 본고는 대조영이 698년 발해를 건국하였다는 동모산의 위치와 관련한 여러 견해와 최근 발굴조사를 통해동모산으로 부각된 투먼 마반촌산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동모산과 관련한 단서는 그리 많지 않지만, 분명한 것은 산성이라는 점과 발해 초기 유적과 유물이 확인되는 지역에 소재할 것이라는 점이다. 이러한 점에서 발해 3대 문왕의 둘째 딸이었던 정혜공주(貞惠公主) 무덤이있는 둔화 육정산고분군 일대와 발해 3대 문왕의 비인 효의황후(孝懿皇后) 무덤과 넷째 딸인 정효공주(貞孝公 主) 무덤 그리고 발해 9대 간왕(簡王)의 비인 순목황후(順穆皇后)의 무덤 등이 있는 허룽 용두산 고분군(龍頭山 古墳群) 일대는 동모산의 위치 비정과 관련하여 중요한 단서가 될 수 있다. 다만 전실탑묘인 정효공주의 무덤과는 달리 정혜공주 무덤은 고구려 무덤의 전통을 따른 횡혈식석실분이고, 육정산 고분군에서는 유정문 와당을 비롯하여 고구려 전통 양식이 확인된다는 점에서 용두산 고분군에 비해 조영 시기가 이를 가능성이 있다. 다만 일찍부터 발해 동모산으로 비정된 둔화의 성산자산성은 그 가능성이 높음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발굴조사가 이루어지지 않은 관계로 더 이상의 논의는 불가한 상황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투먼 마반촌산성(옌지 성자산산성)을 발해 동모산과 연결시키고 있다. 2013년부터 연차적으로 발굴조사 한 마반촌산성이 고구려말기에서 발해 초기에 사용된 것으로 밝혀졌기 때문에 동모산일 가능성이 있다고 본 것이다. 그렇지만 마반촌산성이 발해 초기에 사용되었다고 하더라도 동모산과 연결시키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자료가 필요하고, 문헌에 언급된 상경에서 구국까지의 거리 문제도 해결해야 한다. 고구려를 계승한 발해는 당으로부터 해동성국(海東盛國)으로 불릴 만큼 국력과 문화적인 역량을 소유하고 있었다. 그렇지만 자체 역사서의 부재와 고고 자료 접근의 한계로 인해 관련 연구는 여전히 쉽지 않은 상황이다. 앞으로도 지속적인 관심과 연구가 필요하다.

      • KCI등재

        『集安高句麗碑』의 발견과 내용에 대한 考察

        孔錫龜(KONG Seok-koo) 고구려발해학회 2013 고구려발해연구 Vol.45 No.-

        고구려 왕릉을 수묘하기 위해 세워진 고구려비가 중국 집안에서 발견되었다. 집안은 고구려의 왕성, 왕릉이 소재했던 곳이다. 이 발견은 4~5세기 고구려사를 새롭게 이해할 수 있는 단서를 제공하고 있다. 이 비석의 발견으로 인하여 고구려의 수묘제와 관련하여 『광개토왕릉비』에 기록된 내용들이 모두 사실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그 내용은 선대왕의 무덤에 비석을 세운 사실, 수묘인의 매매 및 전매금지령의 시행과 처벌규정을 제정한 사실 등을 들 수 있다. 하지만 『광개토왕릉비』에는 보이지 않는 용어들이 있어 당시 수묘제의 실상을 좀 더 구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단서를 제공해주고 있다. 분석 결과, 이 비석은 광개토왕 시기에 건립된 것을 알게 되었다. 이 비석은 광개토왕이 祖先王陵에 건립한 비석 가운데 하나일 것이다. 이 비석의 건립목적은 왕릉수묘의 원활한 유지와 운영을 위한 수묘비로서 파악하였다. 나아가 이 비석의 주인공을 비석에서 가장 가까운 지점에 위치한 천추묘로 비정해 보았다. 『집안고구려비』에는 독자적인 기록이 보인다. 이들 기록을 분석하여 몇 가지 새로운 사실을 알게 되었다. ‘四時祭祀’용어를 통해서 『광개토왕릉비』 건립 이전 시기에 국가제사, 수묘제의 개편이 시행되었음을 추정할 수 있었다. ‘烟戶頭 ?人名’용어를 통하여 고구려왕릉에 20家의 수묘인이 배치된 사실을 알게 되었다. ‘自戊□定律敎□發令’ 용어를 통하여 수묘관련 율령의 제정 시기를 추정할 수 있었고, 『광개토왕릉비』에 기록된 율령관련 기록과 상호비교가 가능하게 되었고, 이 분석을 통해서 『집안고구려비』가 『광개토왕릉비』보다 이전에 건립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렇다면 『집안고구려비』는 현존하는 最古의 고구려시대 비석이라는 의미를 갖게 된다. Recently, a new Koguryo stele monument was unearthed in Jian, China. Jian is the location of the ancient capital of Koguryo and its royal tomb complexh. iTs fresh founding is currently known to provide certain clues to understand 4-5th century Koguryo history from a rather different perspective. The discovery eventually confirms the fact that the tomb-guarding system inscribed on the great stele of king Gwanggaeto is indeed authentic. The tobm-guarding system illustrates that the monument was erected at the tombs of former kings, execution of laws forbidding buying and selling of tomb guardians, and formulation of punimshent of legal violations. However, the latest monument also reveals several new terminologies which were previously not identified on the Gwanggaeto stele, which then helps to crystallize the realities of tomb-guarding structure of the contemporary period. The study results of the new monument are as follows. This stele was founded during the reign of king Gwanggeto. The monument was probably one of the steles arranged for the tombs of predecessors by Gwanggaeto the Great. The motive seems to be a kind of landmark for the amicable maintenance and management of the royal tombs. In this research, it is speculated that this stele belongs to the Cheonchu tomb, which is the closest to the stone. Also, additional terminologies and phrases from the new stele were analyzed, which generated colorful interpretations of the Koguryo tombsn ad ancestral ritual systems.

      • KCI등재

        신라도의 노선과 교류

        윤재운(YUN, Jae-woon) 고구려발해학회 2021 고구려발해연구 Vol.69 No.-

        본 논문은 발해의 교통로 가운데 하나인 신라도의 신라 측 구간의 노선과 이를 통한 교류의 의미를 파악하고자 쓰였다. 발해의 교통로는 국가전략이 반영된 수로, 육로, 해로가 결합하여 있는 것이 특징이라 할 수 있다. 이 가운데 新羅道는 발해에서 신라의 수도 경주까지 이르는 길이다. 신라도는 크게 육상교통로와 해상교통로로 나누어진다. 신라도를 검토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우선 발해와 신라의 경계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발해 무왕 시기에 대동강과 원산만 방면으로도 진출하여 신라와의 경계가 형성되었음을 알 수가 있었다. 735년에 당나라가 신라에 보낸 칙서에 의하면, 신라가 발해에 대비해 浿江에 방어기지를 설치하고자 요청하였고, 당나라가 이를 승인하고 있다. 이를 보면 발해가 한반도의 서북쪽으로 이미 진출해 있었음을 추정할 수 있다. 동해안에서 신라와 泥河를 경계로 접경했던 시기도 정확히 알 수는 없으나, 721년 7월에 신라가 하슬라도의 장정을 동원하여 북쪽 경계에 장성을 쌓았다는 것은 이 무렵에 발해가 이곳으로 진출하였음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이후 발해와 신라 양국은 적어도 721년에서 757년(경덕왕 16)에 주군현에 대한 정비 차원에서 국경을 확정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둘째로 발해와 신라와의 교통로를 동부와 서부, 육로와 해로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먼저 동부교통로는 신라의 ‘北海通’에 해당한다. 그 구체적인 노선에 대해서는 한반도의 동해안을 통했다고 보는 설과, 동해안 경유와 내륙경유 두 개의 루트가 있다고 보는 설이 있다. 문무왕 18년(678)에 北原小京이 설치된 것을 계기로 溟州街道에서 朔州街道로의 전환이 이루어졌고, 남북국시대 발해와 신라의 동부 육상교통로는 북해통 그 가운데서도 朔州街道를 통했다고 보인다. 한편 溟州街道는 對북방 국경 연락의 역할을 상실한 뒤에도 溟州의 치소로 향하는 지선으로 기능을 계속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셋째로 발해에서 신라로 가는 교통로인 新羅道는 크게 동쪽 노선과 서쪽 노선으로 나누어지고, 그 길을 통해서 사절단의 왕래와 민간인들의 교섭이 이루어졌다. This paper was used to understand the route of Silla Road section of Silla, which is one of the transportation routes in Balhae, and the meaning of the exchange. Balhae"s traffic route is characterized by a combination of waterways, land routes and sea routes that reflect the national strategy. Among them, the new road extends from Balhae to Gyeongju, the capital of Silla. Silla Road is largely divided into land and sea transport routes. After reviewing Silla Road, the following conclusion was obtained. First, I looked at the boundary between Balhae and Silla. During King Mu"s reign in Balhae, Daedonggang River and Wonsan Bay were also located in the area, creating a boundary with Silla. According to an edict sent by the Tang Dynasty to Silla in 735 the Silla kingdom requested the establishment of a defense base in Paegang(浿江) in preparation for Balhae, which is approved by the Tang Dynasty. This suggests that Balhae had already advanced northwest of the Korean Peninsula. Second, the transportation routes between Balhae and Silla were divided into east and west, land and sea routes. First of all, the eastern transportation route is equivalent to Silla"s "Bookhaetong(北海通)". The specific routes on the Korean Peninsula about Donghae the estimates for the view that, via East Sea coast and inland there is a theory that there are two root of the way. With the establishment of Bookwonsokyeong(北原小京) in the 18th year of King Munmu"s reign(678), the transition from Myeongjoogado(溟州街道) to Sakjoogado(朔州街道) was made, and the eastern land transportation routes of Balhae and Silla during the North-South period seem to have been through Sakjoogado among them. Meanwhile, it is presumed that the province continued to function as a branch to the northern border after losing its role. Third, the road from Balhae to Silla was largely divided into east and west routes, which led to the movement of envoys and civilian negotia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