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해 본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연구의 실태와 제언

        최정순(Jeong-soon, Choe),윤지원(Ji-won, Yoon) 어문연구학회 2012 어문연구 Vol.74 No.-

        This study aims to suggest the research direction of Korean Education for Academic Purposes through analysing the aspects and issues of each field in Korean Education and clarifying the characteristics of it. Before that, classification and categorization the research results of Korean Education for Academic Purpose by the criteria and procedure will be done. To do that, the notion of ‘Korean for Academic Purposes’ was refined. In this study, ‘Korean for Academic Purposes’ defined as ‘Korean related to academic performance of foreign students whose native language is not Korean from entering the University to graduation’ which included from general Korean to study skills needed in academic situation. The total number of research papers related to Korean Education for Academic Purposes until 2011 are 209(104 dissertations for Masters andDoctorate, 105 academic journal papers). They were analysed after classifying by the year and the category, by the topic(present condition of Korean Education for Academic purposes, contents, method, reference, evaluation), and by the research method(data analysis, needs analysis, study skill analysis, present condition analysis). Research papers on Korean Education for Academic Purposes were presented less than 10 pieces every year from 2000 to 2005 but from 2006 more than 10 papers were presented every year. Furthermore when it was compared total papers presented between 2000 and 2011, they were increased about 40 times in 10 years which indicates that research on Korean Education for Academic Purposes will constantly be increased and it is expected the development of this field. As a result of classification by the research topic of Korean Education for Academic Purposes, contents, method, reference, present condition, evaluation in order were studied. In language skill field, ‘writing’ was mostly studied and ‘vocabulary and grammar’, ‘reading’, ‘speaking’ and ‘listening’ as follow. Lastly, the result of classification by the research method, ‘data analysis’, ‘study skill analysis’, ‘needs analysis’, ‘present condition analysis’ and ‘complex analysis’ in turns were researched. This paper suggests 4 research directions based on the result of analysis. Firstly, the notion of ‘Korean for Academic purpose’ must be clarified clearly. It is needed a profound discussion on detailed classification considering the distinct characteristics of Korean and the matter of the subject and the contents of teaching-learning related to employment and specialities. Secondly, diverse materials for Korean for Academic purpose and evaluation tools must be developed. The basic research and development are required for various reading material in the level of general education course, text books for improving writing skill specified by the speciality like writing report, text book development or strategy for improving the presentation and discussion skills. Thirdly, research for association between other skill to make not to lean too much toward on one skill must be needed. Integrated approach is necessary in Korean study after acquiring certain level in proficiency. Such as writing and reading skill, writing and speaking skill, writing skill and listening skill, appropriated association with other skills and balanced research in language skill area must be studied. ‘Korean for Specific Academic Purposes’ which is differentiated by the area of speciality. Fourthly, the necessity of research method variation and associated research must be reconsidered. The research method of Korean Education for Academic Purpose leaned too much on data analysis and analysis of study skill. For more systematic and various research, the research result must be found through the diverse research method. 본고는 2011년까지의 한국어교육 연구 중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연구의 결과물들을 일정한 기준과 절차에 따라 구분하고 정리하여 각 영역 연구의 쟁점과 양상을 분석한 후, 그 특성을 밝히고 이를 통해 향후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이 나아가야 할 연구 방향을 제안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학문 목적 한국어’에 대한 개념부터 재정리하였다. 본 고에서는‘한국어를 모국어로 하지않는 외국인 학습자 대상의 입학 전부터 졸업할 때까지 학업 수행과 관련된 전반적인 모든 한국어’를 ‘학문 목적 한국어’라 정의하고자 한다. 따라서 ‘학문 목적 한국어’는 ‘공통 한국어’에서부터 대학(원)학업 상황에서 필요한 학업 기술(study skills)까지도 포함할 수 있어야 하며, 그 범주 또한 교양ㆍ전공 별로 다양해 질 수 있을 것이다. 2011년까지의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연구는 총 209편(석ㆍ박사 학위 논문 104편, 학술지 논문 105편)이다. 먼저 연도별ㆍ유형별로 분류하고, 그 다음 주제별(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현황, 내용, 방법, 자료, 평가)로, 그리고 연구 방법별(자료분석, 요구분석, 학습 기술 분석, 현황분석)로 분류한 후 분석하였다.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연구는 2000년에 학술지 논문을 시작으로 2005년도까지 1편에서 9편으로 매년 10편 이하의 논문이 발표되었는데, 2006년부터 해마다 약 10편 이상의 논문이 발표되었다. 또한 2000년과 2011년의 전체 논문 편수를 비교하면 10년 사이 약 40배 이상이 증가하였다는 점으로 미루어 향후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에 관련된 연구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이 분야 연구가 발전할 것으로 기대된다.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연구를 주제별로 분류한 결과, 내용, 방법, 자료, 현황, 평가 관련 연구 순으로 나타났다. 그 다음에 기능 영역별로 나누어 살펴보면, ‘쓰기’ 영역의 연구가 압도적이며, ‘어휘 및 문법’, ‘읽기’, ‘말하기’, ‘듣기’ 순이었다. 마지막으로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연구를 연구 방법별로 분류해보니, ‘자료 분석’, ‘학습 기술 분석’, ‘요구 분석’, ‘현황 분석’, ‘복합 분석’ 순이었다. 위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본고는 총 네 가지의 연구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학문 목적 한국어’의 개념 정립이 명확해져야 한다. 한국어 특수성을 고려한 상세 구분 및 대상의 문제, 전공 및 취업과의 연계를 통한 교수-학습 내용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도 필요하다. 둘째,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을 위한 다양한 자료 개발 및 평가 도구의 개발이 이루어져야 한다. 교양 수준의 다양한 읽기 자료라든지, 보고서 등 전공별 특성화된 쓰기 능력 향상을 위한 교재, 토론 및 발표 능력의향상을 위한 전략이나 교재의 개발 등을 위한 기초 연구 및 개발 등이 필요하다. 셋째, 어느 한 기능에만 편중되지 않고 기능 간의 연계를 위한 연구가 절실하다. 어느 정도의 숙련도를 갖춘 상태에서의 한국어 학습은 더 이상 분리적일 수 없고 통합적인 접근이 절대적이다. 즉, 쓰기 기능과 읽기 기능, 쓰기 기능과 말하기 기능, 쓰기 기능과 듣기 기능 등 다른 기능 영역과의 적절한 연계와 함께 균형 있는 기능 영역 연구가 되어야 한다. 그리고 전공 영역별로 차별화된 ‘특정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Korean for Specific Academic Purposes)’을 위한 연구도 필요하다. 넷째, 연구 방법의 다양화 및 협업연구의 필요성을 재인식해야 한다.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의 연구 방법은 자료 분석 및 학습 기술 분석에만 너무 치우쳐 있다. 좀 더 체계적이고 다양한 연구를 위해서는 복합적인 연구 방법론의 적용을 통해 결과가 도출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아울러 지나치게 큰 주제를 선정한다든지, ‘학문 목적’ 다음에 이어지는 반복적이고 비슷한 주제 연구, 당위성 주장 및 이론 소개 등의 연구에서 벗어나 좀 더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주제나 문제들을 찾아 연구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재만 시인 심연수 시 연구에 나타난 몇 가지 문제

        이성천(Seung-Cheon, Lee) 어문연구학회 2011 어문연구 Vol.70 No.-

        이 논문은 재만(在滿) 시인 심연수 시 연구에 나타난 몇 가지 문제점을 제기하는데 목적이 있다. 심연수는 그동안 한국 현대 시사(詩史)에 잘 알려지지 않은 시인이다. 그러다가 2000년대 이후, 심연수 문학에 대한 연구는 중국과 한국 학계에서 가히 폭발적이라 할 만큼 급속도로 전개되었다. 심연수 초기 작품에 대해 비판적 입장을 견지하는 몇몇 논문을 제외하면 이제까지 선행연구의 공통된 견해는 “일제 암흑기의 대표적인 저항 시인” “또 하나의 시성(詩聖)” “암흑기의 민족의 별”이라는 문구에서 알 수 있듯이, 대개가 민족시인 혹은 저항시인으로 그의 문학사적 위상을 매우 높게 평가하고 있다. 그러나 본고가 판단하기에 이들의 연구는 단순 착오에서부터 논리적 모순과 ‘의도적 왜곡’에 이르기까지 심각한 문제를 노출하고 있다. 이 논문은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한다. 이에 따라 먼저 이 글의 2장에서는 시인의 생애와 초기의 작품들을 살펴보면서 전기적(傳記的) 사실에 대한 오류 및 한계를 지적할 것이다. 이후 구체적 작품 분석을 통하여 심연수의 일부 작품이 기존의 연구논문에서 주장하는 것처럼 민족의식과 저항의식을 드러내기 보다는, 이와는 상반되게 1941년 당시 일제의 정책 이념과 왜곡된 지배 이데올로기에 동화되어 있음을 밝힐 것이다. 3장에서는 『돌아가신 할아버지』라는 작품 해석에 나타난 선행 연구자들의 문제점을 지적할 것이다. 이 작품을 다루면서 기존의 연구자들은 시 본문의 내용을 ‘의도적으로’ 훼손하거나 ‘의미의 과잉’이라는 측면에서 오류를 범하고 있다. 이는 연구자의 윤리적 태도의 문제를 의심하지 않을 수 없다. 본문의 훼손으로 인해 시적 주제 및 작품의 전체적인 구도가 달라질 수 있다는 사실을 염두에 두면, 앞으로의 연구과정에서는 보다 신중한 접근이 요구된다. 4장에서는 심연수가 일본 유학을 떠난 1943년 이후 시인의 행적과 관련된 논의를 펼칠 것이다. 그동안의 선행연구는 심연수 시인의 일본대학 졸업 일자를 1943년 7월 13일로 규정하고 있는 데, 이는 명백한 오류이다. 필자가 확인한 바로는 이 시기 일본 주요 대학의 졸업 일자는 9월 25일 혹은 9월 26일로 기록되어 있다. 따라서 기존의 논문은 실증주의적 연구 방법의 측면에서도 많은 오류를 드러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이 문제가 학병 제도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는 점에서 보다 심도 깊은 논의가 전개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본고는 이제까지 전개된 심연수 시 연구에 나타난 몇몇 문제를 제기하고자 했다. 이러한 본고의 작업은 최종적으로 심연수 문학의 온전한 이해에 도달하고자 하는 선행 연구자들의 목표와 일치한다는 점을 끝으로 밝혀둔다. This paper studies a Korean poet on Manchuria, Shim, Yeon-Su’s poetry raised some issues which are intended. Sim, Yeon-Su’s early work that takes a critical stance with the exception of a few papers, the ever previous studies of common opinion, “In the Period of Japanese Colonial - dark days of the typical resistance poet,” “Another great poet” “Dark Ages of the nation’s star,” the phrase implies, As you can usually resist the national poet, or poet, his literary and historical position is very highly regarded. However, at the discretion of this paper is to study them from a simple mistake, from a logical contradiction and intentional distortion has exposed serious problems. This paper begins with awareness of these issues. Accordingly, in the second chapter, his early works of the poet’s life by looking at the biographical and about the fact that the error will point out the limitations. Specifically, since the number of works by analyzing the abyss of the existing research papers, some work as claimed in national consciousness and a sense of resistance, rather than exposing, 1941 in the period of Japanese colonial ever assimilated into the dominant ideology of the policies that will reveal. Chapter 3, “deceased grandfather” appeared to interpret the work of leading researchers will point out the problem. As this work deals with the contents of the existing body of researchers at the ‘deliberate’ damage or ‘an excess of meaning’ is in terms of committing errors. The researcher’s ethical attitude can not but suspect a problem. Chapter 4, he left to study in Japan since 1943 and a discussion regarding his past. Meanwhile, previous studies of the poet Sim, Yeon-su graduation date July 13, 1943(Nihon University in Japan) to the date of the regulations, which is an obvious error. I got confirmation from the major universities in Japan this time of the September 25 date of graduation or date of September 26 is recorded. Therefore, the leading liberal paper, empirical research reveals many errors in terms of how it can be seen that. In particular, this problem the student conscription system because it is closely related to the more in-depth discussion will be deployed.

      • KCI등재

        빅데이터 분석 방법을 활용한 한시 영향관계 분석을 위한 시론

        이병찬(Lee Byong-chan) 어문연구학회 2017 어문연구 Vol.94 No.-

        현재 한시연구는 작품의 자구 하나는 물론 그 사이 행간의 의미까지 세밀하게 해석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는 많은 시간을 요하며 따라서 한정된 작품에 국한하여 연구를 진행할 수밖에 없다. 작가 개인에 대한 연구는 동시대 혹은 전후시대의 문학들과 연관성이 함께 언급될 때 더욱 의미와 가치를 지닌다. 즉 타자와의 영향이나 차별성이 문학사적 의의를 고구하는 중요한 가치척도이다. 그러므로 연구범주를 설정함에, 특정 몇몇을 대상으로 하는 것보다 비교군이 많을수록 그 성과가 의미를 가진다. 이 때문에 연구는 방대한 자료 분석을 기반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그러나 이는 한 개인의 역량으로 불가능한 일이다. 방대한 자료를 분석하는 연구방법의 미비로 인하여, 연구가 다수의 인물이나 작품을 함께 포괄하는 전반적이고 체계적인 분석에 이르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연구가 결국 연구자 의 연구목적에 의해 미리 한정한 문헌들만을 대상으로 이루어질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 바로 빅데이터 분석이다. 많은 문헌의 처리와 분석이 가능한 빅데이터 분석 방법을 도입한다면 이전에는 시도하지 못했던 개인들의 어휘사용 특성이나 패턴은 물론, 문집들의 상관성과 상호간의 거리, 혹은 고문진보(古文眞 寶)나 두시(杜詩)와의 비교 분석을 통하여 중국 시인들이 우리나라 문인들에게 준 영향의 심도에 대한 수치적 계량화나 구체적 실상에 대한 분석도 가능하다. 그러나 현시점에서 우리가 한문학 자료의 빅데이터 분석을 통하여 얻을 수 있는 결과는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 한국고전종합DB라는 자료가 확보되어 있으며, 빅데이터 분석 기술 이 발전하고 여러 방면에 응용되고 있지만 실제로 분석 기술을 사용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다. 왜냐하면 빅데이터 분석은 대상 데이터의 가공 여부, 분석의 도구로 사용되는 기초 자료의 확충과 정리, 분석 전문가인 프로그래머와 결과를 활용하고자 하는 한문학 전공자의 정확한 소통과 같은 전제 조건이 충족되지 않는다면 원하는 결과를 얻을 수 없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이 제한된 조건임에도 조선 중기의 한시 중 일부를 대상으로 텍스트와 주제어 유사성 분석을 시도하였다. 그리고 수치화하여 도출한 결과가 기존 방식으로 나온 연구 결과, 혹은 일반적인 추론과 어긋나지 않음을 확인하여 빅데이터 분석의 유효 성을 입증하였다. 앞으로 본 연구에서 제시한 그 한계와 문제점을 개선하여 빅데이터 분석을 기반으로 한 연구가 활성화되기를 기대한다. A study on artist individual has more meaning and value when mentioned with the relations with literatures of same period or the post-war period. In other words, differentiation from others is an important measure of value investigating the meaning of literature history. Therefore, the range of research is not a few particular objects and as comparison is more, the outcomes are significant. Therefore, the study must be conducted based on the analysis on massive materials. But, it s impossible with individual capabilities. Because of the insufficient research method to analyze massive materials, the study cannot approach general and systematic analysis including many persons or works together. Therefore, the study cannot help being organized by research purpose of researcher and conducted for only limited literatures. The method to solve the problem is rightly big data analysis. If introducing big data analysis that can treat and analyze lots of literatures, it s possible to measure influence of Chinese poets on our scholars numerically and analyze concrete realities through characteristics or patterns of individual vocabularies that were not tried before, correlations and mutual distance of literature collections, and comparative analysis of gomunjinbo (古文眞寶) or two poems. However, the results of big data analysis of Chinese literature data are restricted at present. Data of Korean classics DB is secured and mention about the possibility of big data analyzing technology is increased. It is tried from several angles, but there are difficulties in using analyzing technology actually. Big data analysis cannot provide desired results if preconditions such as process of objective data, securing and arrangement of basic data used as a tool of analysis, persons majoring in Chinese literature who intend to utilize the results with analytic specialist, programmer, and accurate communication and so on are not satisfied. This research digitized and drew the results through analysis on texts, topic words and similarities for Chinese poems of the middle stage of Joseon in spite of restricted conditions. Therefore, it was confirmed to be same as research results or general inference brought by existing methods. It means that methodological validity utilizing big data analysis to following researches was secured. In the future, the restrictions and problems of this research should be improved and researches based on big data analysis should be vitalized.

      • KCI등재

        한국 현대문학의 재영역화와 연구 방향

        이용욱(Lee Yong wook) 어문연구학회 2018 어문연구 Vol.95 No.-

        이 논문은 AI가 소설을 창작하고 딥러닝 기술이 예술의 알고리즘을 학습하는 디지털시대에, 문학연구는 왜 새로운 학문 영역을 개척하지 못하고 여전히 ‘이광수’와 ‘일제강점기’에 머물고 있는지에 대한 반성에서부터 출발한다. 1990년대에 이미 탈근대를 선언했지만 20여년이 지난 지금도 여전히 근대에 집착하고 있는 학문의 보수성에 대한 비판이기도 하다. 한국현대문학연구에서 ‘디지털스토리텔링’과 ‘디지털서사학’이 새로운 연구 경향으로 확장 발전하지 못하고, 문학의 미래에 대한 국문학 연구자들의 관심이 부족한 이유는 무엇보다도 문학이론의 빈약함 때문이다. 그리고 학문후속세대들의 창의적인 연구를 포용하고 새로운 문학이론의 인큐베이터 역할을 담당해야 할 대형학회와 학술지들이 타성과 순혈주의에 젖어 도전적인 문학연구방법론을 배타하거나 학술논문의 엄정함으로 재단함으로써 이론의 빈곤은 악순환 되고 있다. 가라타니 고진은 일본의 근대문학은 1980년대에 끝났다고 이야기한다. 이제 소설 또는 소설가가 중요했던 시대가 끝났고, 소설이 더 이상 첨단의 예술도 아니며, 영구혁명을 담당하지 못하는 시대가 도래하면서 근대문학의 종언은 근대소설의 종언이라고 해도 무방해졌다. 무엇보다 소설이 지켜왔던 역사와 사회ㆍ개인에 대한 지적이고 도덕적인 책무, 재현과 성찰, 반성과 저항의 가치들은 사라지고 유희와 쾌락의 글쓰기가 소설이라는 이름으로 소비되고 있을 뿐이다. 1980년대를 근대의 마지막 시기로, 1990년대를 근대에서 벗어나려는 시도가 사회 전반에 걸쳐 진행된 탈근대의 시대로 본다면, 현대의 시작은 2000년 이후부터 시작된다. 필자가 근대와 탈근대, 현대의 시기 구분을 한 이유는 우리가 지금 어느 시대에 서 있는가를 확인하기 위해서이다. 우리는 근대에 태어났지만 지금은 현대에 살고 있다. 그리고 현대문학을 연구하는 연구자이다. 근대문학을 현대문학이라고 위장하기에는 우리 앞에 놓인 문학의 현실이 녹록치 않다. 문학의 마지막 보루인 아카데미에서 조차 현대문학 연구를 시작하지 않는다면, 문학은 정말 종말을 고하게 될지도 모른다. 현대문학은 근대문학의 종언에서부터 출발하였다. 종언은 단절과 변별, 새로운 시작을 포함한다. 현대문학은 ‘문자’로부터 ‘리얼리티’로부터 ‘작가’로부터, 그동안 문학을 둘러싸 왔던 모든 관습으로부터 벗어나야 한다. 문학은 이제 새로운 출발선 위에 서 있다. 무엇을 문학의 범주 안에 포섭하던지 간에 중요한 것은 재현과 반영의 서사인가 아닌 가이다. 재현과 반영의 서사라면 그 형식과 무관하게 현대문학 연구의 영역이 될 수 있어야 한다. 현대문학연구는 초언어적 보편구조를 갖는 이야기에 집중하며 새로운 예술미학을 견지하여야 한다. 디지털서사를 연구대상으로 포함해야 하고 위아래가 없고 오로지 토폴로지만 있는 네트워크 중심의 새로운 학문공동체가 만들어져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근대문학의 종언이라는 냉엄한 현실을 인정하는 가장 어려운 일부터 시작하여야 한다. In this paper, I would like to thank the students for their understanding of why AI is writing novels and deep learning technology is learning algorithms of arts. In the digital era, why literature research is still in ‘Lee Kwang Soo’ and ‘Japanese colonial period’ depart. It is a criticism of the conservatism of the scholars who still obsessed with the modern age even though they declared the postmodern in the 1990s. Digital storytelling and digital narrative are not developed as new research tendency in Korean modern literary research, and the lack of interest of Korean literary researchers on the future of literature is due to the weakness of literary theory above all. And large academic societies and journals that embrace the creative research of subsequent generations of scholars and act as incubators of new literary theories are immersed in inertia and pure-bloodism. By exclusion of challenging literary research methodologies or by the strictness of academic papers, It is becoming vicious. Modern literature started from the end of modern literature. The end includes disconnection, discrimination, and a new beginning. Contemporary literature should be free from ‘characters’, ‘reality’, ‘writers’, and all the customs that have surrounded literature in the meantime. Literature is now standing on a new starting line. Whatever is included in the category of literature, what is important is not the narrative of representation and reflection. The narrative of reproduction and reflection should be an area of contemporary literature research regardless of its form. Modern literary studies should focus on stories with a superglobal universal structure and maintain a new aesthetic of art. A new academic community based on networks should be created that includes digital narratives as research subjects and has no top and bottom, but only topology. In order to do that, we must start with the most difficult thing to recognize the cold reality of the end of modern literature.

      • KCI등재

        지방자치 시대 충청지역 한문학 연구 현황과 향후 과제

        이향배 어문연구학회 2022 어문연구 Vol.114 No.-

        지방자치시대를 맞이하여 지역 전통의 정신문화는 곧 그 지역의 경쟁력과도 맞물려 있다. 선비들이 남긴 한문학 자료는 지역 정체성을 밝히는데 중요한 자원이며 아직도 현대인의 몸과 삶 속에 면면히 배어있는 정신문화의 가장 근간이 된다. 본고는 충청지역 한문학 자료와 연구현황을 검토하고 향후 연구 과제를 제시해보았다. 한문학 자료 현황을 살펴보면 근현대 문집은 대략 410여종으로 파악되었으며, 비지정 동산문화재는 수 만 건이었다. 이는 모두 귀중한 한문학 연구 자료이다. 향후 연구과제는 세 가지 측면에서 제시했다. 첫째는 한문학 자료를 기반으로 충청지역 장소에 대한 연구이다. 장소에 대한 연구는 장소성, 장소생성방식, 장소감 세 측면에서 연구할 필요가 있다고 제시하였다. 이는 지역학의 측면에서 한문학 작품을 통해 충청지역의 정체성을 밝히는 일이기도 하다. 둘째는 충청지역 문집 분석 및 문인들의 관계망 연구이다. 문집분석은 예술적인 측면에서 문학성을 밝히고, 문학에 담긴 사상 즉 문학사상을 밝혀야 하며, 문집을 기반으로 작가의 사회관계망을 연구할 수 있다. 셋째는 詩會, 詩社. 契會 등 문학 동호회에 대한 연구이다. 먼저 동호회의 자료가 수집되어야 하며, 자료를 기반으로 동호회에 대한 성격 및 참가자의 규모와 신분 등을 밝혀야 한다. 이는 동호회의 사회 관계망을 밝히기 위한 작업이기도 하다. 다음에는 시회를 비롯한 동호회의 운영방식과 시문의 기록을 분석하여 운영 실태와 작품의 내용에 대해서 연구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미디어 리터러시 확장을 위한 고전소설의 역할

        송주희 어문연구학회 2022 어문연구 Vol.114 No.-

        이 연구는 미디어의 발달에 따른 고전소설과 고전소설 연구자의 대응에 대하여 살펴본 것이다. 먼저 미디어 리터러시의 범주와 활용 현황을 살펴보고, 다음으로 고전소설이 미디어 리터러시 확장을 위하여 유용한 콘텐츠라는 점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고전소설을 미디어 콘텐츠로 원활하게 활용하기 위한 고전소설 연구자의 역할을 짚어보았다. 이러한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미디어 리터러시의 범주와 활용 현황을 살펴보았다. 미디어 리터러시란 미디어와 리터러시의 합성어로, 미디어에 접근하는 역량과 미디어 작동원리를 이해하며 미디어를 비판하는 역량, 그리고 미디어를 적절하게 생산하고 활용할 수 있는 역량을 의미한다. 리터러시의 의미는 다양한 형식이나 개념과 결합하여 확장되는데, 특히 미디어 리터러시는 다양한 미디어 안에 살아가는 우리에게 필수적 능력이다. 그러나 현재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은 초중고를 중심으로 단편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을 뿐 실효성 있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한계를 가진다. 이에 미디어 이용자들이 미디어 리터러시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능력을 길러야 한다. 둘째, 미디어 리터러시의 확장을 위하여 고전소설 콘텐츠가 유용함을 살펴보았다. 고전소설은 미디어 이용자의 다양한 관심사와 지적 호기심을 충족할 수 있는 양질의 콘텐츠로서의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다. 우선 고전소설은 스토리텔링에 적합한 속성을 가지므로 디지털 미디어 시대에도 독서 콘텐츠로서 유효하다. 이에 단순히 콘텐츠를 디지털화하는 것에서 그칠 것이 아니라 디지털 스토리텔링을 통하여 고전소설 작품의 독서는 물론 연관 콘텐츠를 다양한 미디어의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고전소설은 대중성과 환상성을 기반으로 하기에 미디어 영상 콘텐츠로도 활용할 수 있다. 다양한 서사 방식과 환상적 상상력을 가진 고전소설은 오늘날의 디지털 환경에서 미디어로 구현되기에 적합하다. 내실 있는 콘텐츠화를 위하여 대중의 기호를 반영한 과감한 변화도 필요한데, 이는 변화를 거듭하며 전승되던 고전소설의 본래 속성과도 부합한다. 셋째, 디지털 미디어 환경에서 고전소설 연구자의 역할과 고전소설 연구 방향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고전소설이 양질의 디지털 콘텐츠로 활용되기 위해서 고전소설 연구자는 다양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어야 한다. 다시 말해 고전소설 연구자는 고전소설의 콘텐츠화 과정에서 본질을 잃지 않는 작품 분석과 방향성을 제시할 수 있고, 개발된 콘텐츠에 대한 비평가의 역할도 담당해야 한다. 뿐만 아니라 고전소설 연구자는 디지털 분석 기술을 연구에 접목하거나 다양한 기술과 학문 영역과의 교류 등 연구 시각을 확장하여야 한다.

      • KCI등재

        현대문학 연구에서 정동 이론의 성과와 활용

        안미영(Ahn Mi young) 어문연구학회 2018 어문연구 Vol.95 No.-

        이 글에서는 최근 한국현대문학에 등장하는 정동 이론의 성과를 확인하고 점검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우선 ‘정동’의 개념과 연구 범주를 살펴보고, 학술연구의 장에서 이루어진 연구 성과와 활용을 확인하였다. 이데올로기 시대에는 주체화 과정에서 지식과 지각이 중시되었으나, 포스트 이데올로기 시대에는 주체의 인지하고 감각하는 힘이 강조된다. 정동(情動)이론은 변화과정에 있는 대상의 특징을 세밀하게 파악하는데 유용한 연구방법론이다. 관습화된 일상과 삶의 구조를 미시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방법론이다. 정동은 언표화 할 수 없지만 에너지(힘)를 지니고 있다. 정동은 언표화 할 수 없는 힘과 강도로 정의되는 만큼, 긍정적이거나 부정적인 효과는 정동 주체와 상황에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다. 한국에서 정동 이론은 주로 정치적인 관점에서 혐오문제에 관심을 보였으며, 한국 문학에서 정동 이론은 시와 페미니즘 연구에 영향을 미쳤다. 정동이론을 주로 정치적인 관점에서 다루게 된 데서 짐작할 수 있듯이, 한국 연구자들은 있어야 할 미래와 인간의 모습을 구현하기 위해 정동이라는 에너지의 방향성 설정을 위한 노력을 기울였다. 정동은 소설이라는 구조에 유기적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인물의 형상화를 비롯한 주제 구현에 기여한다. 최근 소설은 특정 인물과 사건을 부각시키기보다 인물과 인물, 인물과 사건, 인물과 세계를 둘러싸고 상호간 부대끼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정동의 효과를 보여주고 있다. 독자들은 인물, 사건, 세계에 잠재하는 다양한 가능성을 읽으며 인간과 세계를 구성하는 보편적인 삶의 방식을 확인하고, 그 과정에서 변화와 역능의 잠재성을 읽어나간다. 정동 이론은 이 세계를 구성하고 있는 문화와 현상을 비롯하여 대상이 지닌 변환 가능한 에너지를 분석하고 방향성을 제안할 수 있다는 점에서, 있어야 할 현실을 구상할 수 있는 유효한 담론으로 부상하고 있다. In this paper, we examine the concept and research categories of ‘Affect’, analyzing the achievements of Affect theories in the field of academic research, and confirm that the novel is the root genre of the Affect. In the ideological era, knowledge and perception were emphasized in the process of subjectification, but in the post - ideology era, the power of perception and sense of subject is emphasized. Affecti is equivalent to Latin affectus and affect of English and French. “Affectus / affect” is a re-interpretationand appropriated by Deleuze, the concept of Spinoza. The theory of Affect is a research methodology that is useful for finely grasping the characteristics of objects in the process of change. It is a methodology that can microscopically approach customized daily life and structure of life. In Korea, Affect theory was discussed mainly in relation to politics, especially in the problem of aversion. Affect is unexpressed but have power. As Affect is defined as a power and intensity that can not be expressed, positive or negative effects are bound to be influenced by the situation and Affect itself. In Korea, the interest of Affect theory in the political sphere is also due to the ethical efforts of intellectuals to set the direction of energy in Affect. Affect theory should be used to realize the future and form the human to be. Affect is implemented in the novel structure to organize the subject as well as to shape the character. In recent years, novels have shown the effects of Affect in characters and characters, characters and events, characters, and the world. Readers read the potentials of people, events, and the world, and read the potential of change and capability in the process of identifying the universal way of life that makes up the human and the world. The theory of affect emerges as a discourse that can be read in terms of analyzing the various energies of the object, including the culture and phenomena that make up the world, and suggesting a meaningful direction to it.

      • KCI등재

        1930년대 시(詩)와 漢字(語) 문제 -이상(李箱)의 연작시 기획 「오감도(烏瞰圖)」, 「정식(正式)」에 나타난 한자(漢字) 어휘의 양상과 기능을 중심으로-

        하재연(河在姸) ( Ha¸ Jae-youn )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20 어문연구(語文硏究) Vol.48 No.4

        李箱의 작품들이 보여주는 漢字 어휘 표기 방식은, 작가들 개인의 다양한 朝鮮語 문체 실험이 이루어졌던 1930년대의 文學場 속에서 다른 어떤 작가보다 ‘漢字’ 문자 표기를 적극 실험했던 李箱의 시도를 돌올하게 부각시킨다. 「烏瞰圖」와 「正式」 연작의 각 작품들이 보여주는 표기 및 문체는 상대적으로 차이와 변폭이 크다고 할 수 있는데, 이 논문에서는 이 연작의 작품들이 구현하는 朝鮮語 문장의 이른바 漢字 혼용적 형태를 구분하고 그 효과와 의도를 규명하여, 1930년대 文學場 안의 다양한 漢字(漢文)에 대한 인식과 사용법의 한 구체적 예를 가시화시키고자 하였다. 李箱은 漢字 표기가 강화시킬 수 있는 시각성, 상징과 논리의 기능을 전면화하며, 혼종적인 朝鮮語 문장의 구조와 詩의 배치를 만들어냈다. 李箱의 詩는 당대에 그가 습득한 朝鮮語-日本語-漢文 전통-외국어 등의 여러 가지 선택과 배제의 역학 속에서 자신만의 朝鮮語 문장을 만들어나가고자 한 치열한 시도의 결과이다. 혼종적이고 잡스러운 것, 부자연스러운 것, 율격의 아름다움이 아닌 理智와 보편성의 추구를 朝鮮語 詩에서 보여주었던 李箱의 실험은 여전히 현재적이다. Yi Sang’s inventive Sino-Korean words orthography in his works is the prominent attempt among diverse rhetoric experiments in 1930s’ Korean literary fields. In serial poetry, Ogamdo(烏瞰圖) and Jeongsik(正式), his orthography and poetic styles are varied due to respective works and in this paper, I analyze their variations and his intention to represent rhetoric notion and poetic style about Sino-Korean words. He displays symbolic and reasoning effects along with visualities in his works by hybrid Korean writing and poetic composition through Sino-Korean words orthography. His poetry is the consequence of intense endeavors to achieve own Korean style of writing through the dynamics of selections and exclusions among his acquired languages such as Korean, Japanese, Sinograph and other foreign languages. His poetic experiments, including crossover, hybrid, unnaturalness, universality and intellectuality other than beauty of versification, is still contempora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