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규장각 소장 집부(集部) 도서에 대한 조사와 그 결과 -1 - 『규장각도서한국본종합목록』(1994)의 재정비를 중심으로 -

        오세현,김수진,김하라,이경근,유정열,김대중,최천식,박민수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015 규장각 Vol.47 No.-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이 1994년에 발간한 『규장각도서한국본종합목록』이 소장 자료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지 못한다는 학계의 지적을 받아온 지 오래되었다. 2013년부터 시작된 규장각 소장 귀중본도서 조사사업의 목표 중 하나가 바로 목록의 재정비였던 이유이기도 하다. 목록집의 재정비 외에도 귀중본사업은 1980년대 이후 중단된 귀중본 도서의 선정과 관리, 결본목록에 의거한 규장각 자료의 체계적 확충, ‘선본(善本) 문집 총서’(가칭)의 발간, ‘규장각 장서인(藏書印) 자료집’(가칭)의 발간을 주된 사업 목표로 한다. 본 논문이 지향하는 목록의 재정비에 대한 큰 얼개는 첫째 서명(書名)과 저자(著者)의 오류를 수정하거나 미상을 밝히는 것, 둘째 간사년(刊寫年) 추정, 셋째 분류체계의 재조정이다. 서명과 저자명은 단순 오류를 비롯해 주변 문헌들과의 연계를 통해 저자명 미상을 밝힐 수 있는 사례들인데, 특히 원전 자료에 대한 전수조사와 귀중본으로 분류된 도서에 대한 심층조사, 그리고 귀중본 해제 원고라는 여러 결과물을 토대로 가능했다. 간사년을 추정하는 작업은 서발문 정보에 대한 누락을 바로잡고, 이를 토대로 문집의 간사년을 추정하는 것으로서 문집의 성격을 밝혀줄 수 있는 매우 유의미할 뿐만 아니라 동일본과 이본의 구분에 결정적인 도움이 된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분류체계의 재조정은 특히 학문적․정치적으로 중요한 인물의 경우 문집이 언제 간행된 것이냐에 따라 수록 내용이 다르고, 문집의 성격도 상당히 다르다는 점에서 중요한 일이다. 그리고 동일본과 이본의 구분, 나아가 중국본(中國本)의 재편집과 누락 문헌 등록을 통해 더욱 정확한 규장각의 소장 자료에 대한 정보를 구축하는 일이 가능하다.

      • KCI등재

        象村 申欽(1566~1628)의 道文觀과 思想的 특징

        오세현 조선시대사학회 2013 朝鮮時代史學報 Vol.66 No.-

        Studies of the Philosophical history of the ‘middle’ period of the Joseon dynasty should begin with the attempt to understand the social status of Neo-Confucianism at the time, because the people's perspective upon the most important concept of the Joseon period, ‘Samun(斯文,This Culture of Ours)' was changing at the middle point of the dynasty. Coming into this period, the people were still trying to respect and preserve the inherent quality and virtue of 'literature,' but they also wanted to provide the concept of the 'Way of Life' with a higher status even above literature. The conflict between these two perspectives, which was essentially a conflict over the matter of how to interpret the merit of 'Samun(斯文,This Culture of Ours),' should be kept in mind so that we can explain how the Joseon society actually changed at the end of its early half, and how the early and latter halves were different from each other. Literary capability in the past had been sometimes recognized as ‘less fundamental’ than the "Way of Life" studies, but their skills were vigorously sought for in the government as diplomatic needs arose. In the early half of the Joseon dynasty, people never doubted the notion of literature being the most efficient tool of realizing Confucius' ideals in the real world. Shin Heum(申欽) was the most typical good writer in the middle period when the value of literature and the role of the literary figures still stay after the early period of the Joseon dynasty. Through the influential good writer, Shin Heum’s reaction to the qualitative change of the Joseon dynasty, we can explain how the Joseon society actually changed at the end of its early half, and how the early and latter halves were different from each other. Shin Heum focus on the literary and it’s value of So Sik(蘇軾) who was unilaterally excluded on the forming the legitimate line of succession concerning the Way of life(道統). Jung Yi(程頤) who emphasis the superiority of studies of the Way of Life(Do'hak/道學) to the Literature was set up the core person of the legitimate line of succession concerning the Way of life. Shin Heum object the criticism on So Sik by a moralist in the middle period of the Joseon dynasty, because the criticism is so unilateral and confined. Because Shin Heum’s view on the relation literature and studies of the Way of Life represent the legitimate line of succession concerning the literature, we need to attention about the vested rights of literature and the forming the legitimate line of succession concerning the Way of life and it means the conflict of the social value. The conservative party which was trying to protect the value of literature, and the new progressive stance to place the value of the Way of life studies above all else, were parting from each other in a grand display of divergence at the middle of the dynasty. Shin Heum displayed a positive acknowledgement toward the independent value of literature, as in their eyes Neo-Confucianism was coexisting with Buddhist and Taoist conditions at the time. Most of the Sa/Dae'bu figures of the early Joseon period, while being Neo-Confucian scholars in nature, associated themselves with Taoist practices and Buddhism without hesitation. 조선중기 사상사의 과제는 성리학의 사회적 위상에 대한 이해에서 시작되어야 한다. 그 이유는 전기와 후기의 조선사회를 이해할 수 있는 핵심적인 키워드인 ‘斯文’의 인식에 대한 변화가 중기에 진행되었기 때문이다. ‘文’의 독자적 가치를 유지하려 했던 노력들은 전기부터 지속되었는데 중기에 이르러서는 ‘道’의 가치를 최상에 위치시키려는 움직임 또한 확산되기 시작했다. 조선중기 ‘斯文’의 해석을 두고 벌어진 문과 도의 줄다리기는 전기와 후기 조선사회의 질적 변화를 설명하는 중요한 주제이다. 근본인 도학에 비해 상대적으로 말단으로 인식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문장은 事大交隣이라는 외교적 필요성에 의해 주목받았다. 공자가 강조했던 ‘文質彬彬’의 이상을 현실에서 실천할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수단이 바로 문장이라는 생각이 조선전기 내내 공감대를 형성하고 있었다. 신흠은 문장의 가치와 역할에 대한 사회적 공감대가 조선 개국 초 이래로 지속되고 있던 조선중기의 대표적인 문장가이다. 조선중기 대표적인 문장가인 동시에 영향력 있는 사대부였던 신흠이 이러한 조선사회의 질적 변화에 대응하는 모습을 통해 전기와 후기의 성격이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살펴볼 수 있다. 신흠은 송대 도통론이 성립되는 과정에서 일방적으로 배제되었던 소식의 문장과 그 가치에 주목했다. 성리학의 도통론이 성립되는 과정에서 문장에 대한 도학의 절대적 우위를 주창했던 程頤가 도통론의 핵심 인물로 설정되었던 반면 실제로 당시 사회에서 막중한 영향력을 지녔던 소식은 도학자들에 의해 의도적으로 배제되었다. 신흠은 조선중기 도학자들에 의해 제기되었던 소식의 문장에 대한 비판이 너무 일방적이고 협소하다고 반대했다. 신흠의 도문론이 도통론에 대한 文統論의 견해를 대변하는 것이라는 점에서 문장의 지속적인 기득권과 성리학의 확산에 기반한 새로운 도학의 창출이라는 사회적 가치의 충돌 문제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여기에는 조선전기 유학의 전통을 고수하려는 이들과 조선후기 새로운 성리학 전통을 만들어가는 이들의 사상적 분기가 근본에 자리하고 있다. 신흠이 보여준 문장의 독자적 가치와 그에 대한 긍정은 성리학의 心學化에 바탕한 유불도 삼교의 공존 및 포용과 직접적인 연관이 있다. 조선전기 다수의 사대부들이 유학자임에도 불구하고 노장철학과 불교에 대한 이해 및 동질화의 태도를 보였던 모습을 조선중기 신흠에게도 확인할 수 있기 때문이다.

      • 대규모 인터뷰 작업이 생성하는 집단적 관계성의 의미 - 미디어전시예술 <70mK>를 중심으로

        오세현,OH, Se Hyun 성균관대학교 트랜스미디어연구소 2019 트랜스- Vol.7 No.-

        본 연구는 대규모 인터뷰 작업을 통해 한민족이 가진 집단적 의식의 지형도를 담아내고자 하는 미디어전시작업 <70mK>의 의미를 고찰하기 위해 기술되었다. <70mK>는 개별 존재자들의 인터뷰 영상들을 마치 모자이크와 같은 배치와 형태로 편집, 구성된 영상전시물을 만들고 전시회를 개최하고 있다. 분할된 프레임 속의 개체들은 저마다의 생각과 개성을 드러내는 차이의 연속성을 보여준다. 이것은 개체들의 내재성이 동시다발적이고 총체적인 이미지로 구현된 공시적이고 의식적인 집단적 타자의 형상이다. 인터뷰 영상들은 실제 존재자로서의 자신의 형태를 드러내고 자신이 가진 특유의 내재성을 구술적인 정보로서 발산한다. <70mK>는 특정 집단이라는 동일선의 연장에서 이런 생명적 개체들의 형태와 정보를 미학적으로 구조화하여 새로운 개체화를 이루어낸다. 프레임 속의 존재자들, 각 개체들은 서로가 대화를 나누거나 소통하는 것이 아니라 카메라를 향한 전면 응시, 즉 작품을 관람하는 사람들을 향해 그들이 가진 전개체적 실재로서의 관계성과 개성을 전달한다. 그것은 각 개체들이 보여주는 이질성과 차이의 반복적 배치와 구성인 동시에 그 이면에 집단적 동일성을 내포한 연쇄 작용이다. <70mK>는 개성을 드러내는 인터뷰이들의 직접적인 이미지와 소리를 구조화하여 전시영상작품이라는 새로운 정보전달 방식의 형태를 이루어낸다. 이러한 점은 정신적이고 집단적인 개체화의 의미와 관개체적인 관계성의 의미와 과정을 은유하게 하고 지각하게 한다. 이것은 개체화라는 생성의 과정과 관계의 의미를 현대 기술과 함께 사유한 질베르 시몽동의 개체화론으로 설명하기 적합한 사례이다. <70mK>가 구축한 전시공간은 특정 집단의 개체들 사이를 관통하여 연결되는 정신적이고 집단적인 의미와 그 관계성을 미학적인 방법론으로 함의하고 있다. 시몽동은 개체화라는 과정에 대한 사유와 생성의 의미를 고찰하며 현대의 기술이 가진 가능성과 잠재력을 긍정한 철학자이다. <70mK>는 현대의 기술 매커니즘과 네트워크적 행위들이 매개되어 구조화되고 생성된 윤리적 실재성으로서의 새로운 개체이다. 그것은 기술이 협업 된 개체화 과정에 인터뷰가 어떻게 '변환' 작용으로 기능하는지에 대한 미학적이고 실천적인 방법론을 보여주는 사례이다. <70mK>가 보여주는 직접적인 이미지와 소리는 생명적 개체의 정보들이 운반, 증폭, 축적되며 발산하는 정보의 체계이자 정신적이고 집단적인 풍경으로서의 새로운 개체이다. 그것은 복수의 개체화를 통해 새롭게 생성된 전시예술작품에 내포된 개체초월적인 의미작용과 과정에 대한 하나의 표상이기도 하다. 개체화된 준안정적 상태로서의 미디어전시예술은 작품을 관람하는 이들이 동일한 전개체적 실재를 인지하고 정념적 감정을 느끼는 새로운 관계 맺기를 이끌어낸다. <70mK>의 전시공간은 의미작용의 표상을 넘어 관개체적 집단의 실질적인 가능성을 예비하는 무대가 된다. This study was described to examine the meaning of the media exhibition work <70mK>, which aims to capture the topography of the collective consciousness of the Korean people through large-scale interviews. <70mK> edits and organizes interview images of individual beings in mosaic-like layouts and forms, creating video exhibitions and holding exhibitions. The objects in the split frame show the continuity of differences that reveal their own thoughts and personalities. This is a synchronic and conscious collective typology in which the intrinsic nature of the individuals is embodied in a simultaneous and holistic image. Interview images reveal their own form as a actual being and convey the intrinsic nature of one's own as oral information. <70mK> constructs a new individualization by aesthetically structuring the forms and information of life individuals in the extension of a specific group. The beings in the frame are not communicating with each other and are looking straight ahead. it conveys to visitors their relationship and personality as the preindividual reality. It is the repetitive arrangement and composition of heterogeneity and difference that each individual shows, and is a chain operation that includes collective identity behind it. <70mK> constructs the direct images and sounds of individual interviewee, creating a new form of information transfer called Video Art Exhibition. This makes metaphors and perceptions of the meaning and process of transindividual relationships and the meaning of psychic individuation and collective individuation. This is an appropriate case to explain with modern technology and individualization of Gilbert Simondon thought together with the meaning of becoming and relation of individualization. The exhibition space constructed by <70mK> is an aesthetic methodology of the psychic and collective meaning and its relationship to a particular group of individuals through which they are connected. Simondon studied the meaning of the process of individualization and the meaning of becoming, and is a philosopher who positively considered the potential of modern technology. <70mK> is a new individual as structured and generated ethical reality mediated by modern technology mechanisms and network behaviors. It is an case of an aesthetic and practical methodology of how interviews function as 'transduction' in the process of individualization in which technology is cooperated. The direct images and sounds of <70mK> are systems in which the information of life individuals is carried, amplified, accumulated and transmitted. It is also a new individual as a psychic and collective landscape. It is a newly became exhibition art work through the multiple individualization, and is a representation of transindividual meanings and process. The media exhibition art of individualized metastable states leads to new relationships in which viewers perceive the same preindividual reality and feel affectivity. The exhibition space of <70mK> becomes a stage for preparing the actual possibility of the transindividual group beyond the representation of the semantic function.

      • KCI등재

        東坡 蘇軾을 바라보는 조선중기 사대부의 엇갈린 시선들 -道文論을 중심으로-

        오세현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015 한국문화 Vol.71 No.-

        So-Sik(蘇軾) is the most influential mind during the Koryo and Joseon Dynasty. This article set up the coexisted praise and censure about So-Sik should be formed in the middle of the Joseon Dynasty. Zhu Xi(朱熹) and the followers of Zhu Xi in the middle of the Joseon Dynasty criticize sharply So-Sik and his literature(文章) on the basis of Jeong Ih(程頤)’s Studies of the Way of Life(Do'hak/道學). But the other scholar-gentry who were more concerned with practical value of literature laid stress on So-Sik’s literature and affirmed So-Sik’s study and the other aspect. The middle period of the Joseon dynasty was never a period that demonstrated full establishment of the Neo-Confucian philosophy in Joseon, in terms of politics, ideology and economy. And because it was still not fully integrated into the Joseon society, Neo-Confucianism was not a dominating discourse in the area of literature as well. In fact, the middle period of the Joseon dynasty still had more literary figures who continued to respect and even prioritize the unique and independent role of literature. The criticism So-Sik and his literature on the basis of Zhu Xi’s Do'hak(道學) couldn’t take the lead in the discussion in the middle period of the Joseon Dynasty. The positive or negative reaction about So-Sik and his literature are mixed among the middle period of the Joseon Dynasty and the criticism So-Sik and his sentence still reinforce the logic of commentary.

      • KCI등재후보

        장소 특정적 다큐멘터리의 촬영 방식 연구 - 다큐멘터리 <서울역>, <옥포 조선소>를 중심으로 -

        오세현,Oh, Sehyun 성균관대학교 트랜스미디어연구소 2021 트랜스- Vol.11 No.-

        특정한 장소를 중요한 대상으로 하는 다큐멘터리 <서울역>과 <옥포 조선소>를 중심으로 촬영가의 입장에서 다큐멘터리 촬영의 방법론에 대한 내용을 기술하였다. '구 서울역사'와 '대우조선해양'이라는 장소는 그 자체로 근대적 가치가 반영된 기념비적 공간이며 한국인들의 집단 기억과 무의식, 그 장소에 대한 특유의 감정이 공유되는 곳이다. '구 서울역사'는 장소 정체성이 '문화역 서울 284'라는 새로운 공간으로 변화하였고, '대우조선해양'은 지금도 활발히 기능하는 대규모 산업단지로서 산업구조의 변동에 따라 변화를 모색하는 유기체 같은 곳이다. <서울역>과 <옥포 조선소>는 장소 정체성과 관련된 공간의 이미지들과 그곳과 관련된 사람들의 모습을 관찰하고 기록한다. 특정한 장소의 공간을 응시하고 그 곳에 속한 사람들의 노동과 휴식 같은 실재적인 경험의 순간들을 지속적인 기록과 반복적 배치의 구성을 통해 보여준다. 이를 통해 기록하지 않으면 휘발되는 장소 정체성과 관련된 무형의 서사를 단면을 엿보게 하고 영화를 통해 특정한 장소 경험을 가능하게 한다. 본 연구는 이런 장소 특정적인 다큐멘터리의 촬영방식에 대한 고민과 의미를 두 편의 작품을 중심으로 고찰한다. 각각의 장소 특징에 맞는 촬영 방식과 진행방향에 대한 것을 제작론에 입각하여 기술하였다. This paper focused on documentaries <Seoul Station> and <Okpo Shipyard> for specific places and described the documentary shooting methodology from the perspective of a Cinematographer. 'Old Seoul Station' and 'DSME' (DAEWOO Shipbuilding & Marine Engineering Co., Ltd.) are monumental spaces that reflect the value of Korea modernization and are shared by Koreans' collective memories, unconsciousness, and unique feelings for the place. 'Old Seoul Station' has changed its place identity to a new space called "Culture Station Seoul 284." 'DSME' is a large-scale industrial complex that still functions actively, and it is like an organism that seeks to change according to changes in its industrial structure. <Seoul Station> and <Okpo Shipyard> observe and record images of space related to place identity and the people related to it. It shows the construction of staring into a space in a particular place and continuously recording and placing moments of experience, such as the appearance of people working and resting. If it is not recorded through this, it allows us to see intangible narratives related to volatile place identity, and enables specific place experiences through theaters. This study focuses on production theory based on examples of documentary filming methods for these specific places.

      • KCI등재후보

        규장각 소장 『澤堂集』의 刊行과 다양한 異本 연구

        오세현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014 규장각 Vol.44 No.-

        조선중기는 사상적 측면에서 성리학이 사회의 지향으로 설정되었지만, 여전히 조선 사회의 많은 부분에서는 성리학 이외의 사상에 대한 거부감이 크지 않았다. 서인 道統에 대한 공감과 협찬을 통해 서인 學統 성립에 큰 역할을 했던 李植 역시 문장으로 입신하고 출세했던 문장가라는 점에서 조선중기 사상적 스펙트럼의 다양성을 보였던 인물이다. 그러한 이식의 다양한 사상적 면모를 확인할 수 있는 자료가 규장각에 소장되어 있는 필사본 문집 『澤堂遺稿全集』과 『澤堂遺稿刊餘』이다. 『택당유고전집』과 『택당유고간여』는 기존 학계에서 이식의 면모를 확인하기 위해 전적으로 의존하던 목판본 『택당집』과 비교해 볼 때 정치적, 사상적, 자료적 측면에서 중요한 가치를 지닌다.

      • KCI등재

        수동형 시역전 기반의 음선 기반 블라인드 디컨볼루션 기법을 이용한 수중음향통신 성능 개선

        오세현,변기훈,김재수,Oh, Se Hyun,Byun, Gi Hoon,Kim, J.S. 한국음향학회 2016 韓國音響學會誌 Vol.35 No.5

        본 논문은 음선 기반 블라인드 디컨볼루션 기법을 이용한 수동형 시역전의 통신성능 향상에 대한 결과를 제시한다. 기존의 수동형 시역전에서 복원되는 신호는 수신된 탐침신호의 정합필터를 통해 구해진다. 하지만 수신된 탐침신호는 각 데이터 프레임의 채널 시변동을 반영하지 못하므로 복원된 신호의 통신 성능은 저하된다. 본 연구에서는 음선 기반 블라인드 디컨볼루션 기법을 이용하여 각 데이터 프레임의 채널 시변동이 반영된 전달함수를 모두 추정하고, 추정된 전달함수를 이용하여 수동형 시역전을 수행한다. 해상실험 데이터로부터 제안한 기법이 기존의 수동형 시역전보다 향상된 통신성능 결과를 보여준다. This paper presents the results for the performance improvement of underwater communication in a passive time reversal mirror (PTRM) using ray-based blind deconvolution (RBD). In conventional PTRM, the signal to be recovered is found from matched-filtering the received probe signal. However, the communication performance is degraded because the time-varying impulse response for each data frame is not reflected in the received probe signal. In this study, the time-variant transfer function is estimated from each received data frame using RBD, and the estimated time-variant transfer function is then used to recover the data signal using PTRM. The results from the experimental data show that the suggested method improves the communication performance when comparing with the conventional PTR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