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법교육 영역에서의 초등사회과교육과정의 변화와 초등교사 양성대학 교육과정의 과제

        허종렬(Jong Ryul, Hur)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17 사회과교육 Vol.56 No.1

        본 연구는 법교육 영역에서의 최근 변화와 초등교사 양성대학 교육과정의 과제를 검토한 것이다. 본 연구는 이를 위하여 세 가지 점을 특히 중점적으로 검토하였다. 법교육 영역에서의 최근 초등교육과정 특히 사회과 교육과정의 개정 내용 변화에 대한 분석, 최근 전국 초등교원 양성대학들의 교육과정 특히 사회과 교육과정 개편 동향에 대한 검토, 미국의 교원양성기관의 사회과교육 관련 대학 교육과정 개편 사례 조사 및 비교가 그 중점들이다. 연구 결과 법교육 영역에서의 최근 초등 개정 사회과교육과정의 내용 변화의 두드러진 특징은 종래 형식적으로나마 법교육이 정치교육의 일환인 것처럼 취급되어 왔으나 2015개정 교육과정에 이르러 정치교육과 분리된 독자적 영역으로 취급되기에 이르렀다는 점이다. 그러나 최근 전국의 초등교원양성대학들의 교육과정 특히 사회과교육과정은 이러한 추세에 부응하지 못하고 법교육 관련 강좌 개설에 여전히 소극적이다. 한편 미국 교원양성대학들의 사회과 법교육 영역에서의 강좌 개설현황 조사 결과 우리와 동등하게 비교할 수 없는 다른 환경의 것이었지만, 종합대학교 내의 교원양성대학이라는 장점을 살려 법교육교사 양성 수요에 응하고 있다. 2015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의 취지에 충실한 방향으로 예비교사들에 대한 법교육 훈련이 이루어지도록 교육대학들의 관련 교육과정의 개선이 필요하다. This study examined the recent changes in the field of law education and the tasks of the curriculum of teachers colleges for training elementary school teachers. As a result of the review, it was found that the characteristic of recent revision of the curriculum of elementary social studies in our nation is that it treats law-related education as a domain separate from political education. The 2015 revision curriculum is prominent in this regard. Recently, the curriculum of elementary school teacher training universities in the whole country, especially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failed to follow this trend. They still consider law education as part of political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provide law related education training for preliminary teachers in the faithful direction of the curriculum.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reorganization of the college curriculum is necessary. On the other hand, the current status of the curriculum of law related education in the area of American teacher training universities is different from the status of our curriculum.

      • KCI등재

        전문대학 교육과정 평가 준거 분석

        백남진,김수연 한국직업교육학회 2014 職業 敎育 硏究 Vol.33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valuation criteria of college curriculum. To fulfil the purpose, first, this study reviewed the domain and trend of curriculum evaluation, second, it analyzed the curriculum evaluation criteria of 4 colleges(A, B, C, D college) and KAVE(Korea Accreditation Board for Vocational Education) accreditation criteria relating curriculum domain, third, it drew implications for better evaluating college curriculum. As a result, first, Each of 4 colleges and KAVE had different views about the domain of evaluation, second, 4 colleges and KAVE highlighted to present criteria in relation to ‘context evaluation’, third, all of them focused the connection between curriculum objectives and subjects objectives in criteria, fourth, ‘A college’, ‘D college’ and KAVE stressed the connection between objectives and students evaluation processes in criteria, fifth, all of 4 colleges empathized drawing processes of objectives, while KAVE evaluated whether or not college had objectives in curriculum implementation in general. sixth, ‘B college’ and KAVE put emphasis on reflection of evaluation results for curriculum improvement. Evaluation of college curriculum have to lead colleges to review their own curriculum and to develop quality curriculum. 이 연구는 전문대학 교육과정 평가의 준거 분석을 목적으로 한다. 이 연구는 첫째, 교육과정 평가의 개념 및 영역과 전문대학 교육과정 평가의 동향을 검토하고, 둘째, 4개 전문대학의 교육과정 평가 준거와 고등직업교육평가인증원의 교육과정 관련 평가 기준을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교육과정의 범위 규정에 있어서 분석 대상 대학과 인증원 평가기준 간 차이가 있었다. 둘째, 분석 대상 대학과 인증원은 ‘상황평가’의 준거 제시에 초점을 두었다. 셋째, 분석 대상 대학과 인증원은 교육과정의 목표와 교과목별 학습목표의 일관성 제시에 초점을 두었다. 넷째, 목표와 평가와의 일관성은 일부 대학과 인증원의 준거에서만 제시되었다. 다섯째, 교육목표 설정과 관련하여 대학들은 목표 도출 과정을 중시하고, 인증원은 목표 제시 여부만을 기준으로 제시하였다. 여섯째, 일부 대학과 인증원은 평가 결과가 개선에 활용될 것을 강조하였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향후 이루어질 전문대학의 교육과정 평가에 주는 시사점을 다음과 같이 도출하였다. 첫째, 교육과정 평가에서 졸업생 역량을 중심으로 교육과정의 의미를 폭넓게 파악할 필요가 있다. 둘째, 교육과정 평가에서 역량을 중심으로 교육목표와 평가와의 일관성이 강조되어야 한다. 셋째, 교육과정 평가에서 대학의 자체평가와 외부 기관의 인증평가는 교육과정의 개선 및 변화를 위해 상호보완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넷째, 교육과정 평가는 지속적으로 교육과정의 질을 관리하고 질 높은 교육과정을 위해 개선을 이끄는 것이어야 한다.

      • KCI등재

        대학작문 교육과정 평가에 대한 연구

        서수현(Seo Soo-Hyun) 한국리터러시학회 2013 리터러시 연구 Vol.- No.7

        이 연구에서는 대학작문 교육과정을 평가하기 위한 평가 영역을 대학작문 교육과정에 대한 요구 분석, 대학작문 교육과정 개발, 대학작문 교육과정 운영, 대학작문 교육과정 성과로 설정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특히 교과 관련 변인과 관련하여 대학작문 고유의 학문적 성과를 교육과정이 어떠한 방식으로 구현하고 있는지를 평가하기 위한 평가 준거를 설정하는 데에 초점을 맞추었다. 대학작문 교육과정에 대한 요구 분석에 대한 평가 준거로는 학문적 적절성, 교육목표의 타당성을 설정하였으며, 대학작문 교육과정 개발에 대한 평가 준거로는 절차의 타당성, 내용 선정, 내용 조직을 설정하였다. 또한, 대학작문 교육과정 운영에 대한 평가 준거로는 내용의 적절성, 내용의 실현가능성, 내용의 구체성을, 대학작문 교육과정 성과에 대한 평가 준거로는 내용의 유용성과 내용의 충실성을 설정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ise college composition curriculum evaluation system and develop evaluation strands and criteria. These college composition curriculum evaluation strands have four evaluation categories, needs assessment of college composition curriculum, development of college composition curriculum, implementation of college composition curriculum, and achievement assessment of college composition curriculum. Especially, this study focus on college composition as an academic discipline. Needs assessment of college composition curriculum include appropriateness of the academic discipline and validity of the lesson goals. Development of college composition curriculum include validity of the development process, appropriateness of the content selection and organization of the curriculum. Implementation of college composition curriculum include appropriateness of the contents of the curriculum, practicality of the contents of the curriculum, and concreteness of the contents of the curriculum. And achievement assessment of college composition curriculum include utility of the contents of the curriculum and fidelity of the contents of the curriculum.

      • 경주전문대학 관광과 교육과정 개발에 관한 연구

        이봉석 慶州專門大學 1996 慶州專門大學 論文集 Vol.10 No.-

        미래의 산업사회는 인력구조가 다양하고 복잡해짐에 따라 그 분야마다 하는 일이 고도로 전문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직업분야에 적응할 수 있는 충분한 교육적 여건을 갖춘 전문대학의 역할은 더욱 중요할 것으로 기대된다. 따라서 국가사회가 요청하는 전문대학의 구체적인 역할은 첫째, 중견직업인에 알맞는 전문분야의 지식과 교양을 습득하게 하는 일. 둘째, 실기교육에 중점을 두어 산업체 직무분석에 알맞는 자격인의 배출. 세째, 현장실습을 통한 실제교육으로 졸업 후 즉시 현장에서의 능력 발휘. 네째, 취업지도 및 진로지도. 다섯째, 졸업생 직장인에 대한 추수지도 등으로 요약할 수 있다. 결국, 전문대학이 직업교육의 장으로서 그 역할을 수행하려면 산업사회가 요구하는 적합한 자격을 갖춘 기능인을 배출하지 않으면 안될 것이다. 이에 부응하기 위해서는 직무수행에 적합한 교육과정을 개발함은 물론 이를 전개시켜나갈 제반환경이 갖추어져야 될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우리의 대학이 현 사회가 요구하는 중견직업인의 양성에 알맞는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있는가? 또는 목표를 달성하는 수업을 전개하고 있는가? 그리고 단위시간에 수업의 질을 높일 수 있는 교육환경은 갖추어져 있는가? 라는 물음을 덜질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촛점은 본대학 관광과가 미래산업사회에서 타 대학과의 경쟁에 있어서 우위에 서기 위한 전략적 교육과정의 개발에 있다. 그러나 교육과정이란 어떤 교육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일종의 계획에 불과하기 때문에 아무리 잘 편성되고 구성된 교육과정이라 할지라도 계획대로 실행해 옳기지 않으면 무의미한 일이라 하겠다. 또한 교육과정표에 나타난 교과목명도 중요하지만 어떤 내용을 어떻게 교육하느냐가 더욱 중요하다. 이러한 교육과정을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해서 교수는 끊임없는 연구과 학습방법의 개선을 위해 노력해야 할 것이며, 학생은 뜨거운 향학열로, 학교는 제반교육시설의 확충을, 정부는 전문대학지원을 위한 교육정책의 확대로, 학부모 및 산업체에서는 적극적인 참여와 관심을 가질 때 전문대학의 발전을 기하게 될 것이다.

      • KCI등재

        초등교원 양성대학의 학습자 중심 교육과정 설계 방향 탐색 연구

        최화숙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20

        목적 본 연구에서는 초등교원 양성대학의 교육목적, 목표, 비전 및 교육과정 현황을 분석하여, 이를 토대로 초등교원 양성대학의학습자 중심 교육과정 설계 방향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방법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문헌 고찰과 함께 우리나라 초등교원 양성대학 10개를 대상으로 교육목적, 목표, 비전 및 교육과정 현황을 분석한 후, 워드클라우드 분석 방법으로 키워드를 추출하였다. 추출된 키워드와 문헌 고찰 결과를 종합하여 초등교원양성대학의 학습자 중심 교육과정 설계 방향을 도출하였다. 결과 연구 과정을 통해 도출된 초등교원 양성대학의 학습자 중심 교육과정 설계 방향은 다음과 같다. ① 초등교원 양성대학의 교육과정 문서 체제 재정립, ② 핵심역량 기반의 초등교원 양성대학 교육과정 설계, ③ 초등교원 양성대학 교육과정 개발 주체로서의 학습자 참여, ④ 초등교원 양성대학 교육과정 본연의 가치와 특수성 간 균형 설계 등이다. 결론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초등교원 양성대학의 학습자 중심 교육과정 설계 방향은 시대적인 변화와 초등교원 양성대학의 본질적 가치를 동시에 포함할 수 있는 총체적인 방향이 되어야 한다고 결론지었다. 또한, 본 연구는 초등교원이 직면한 문제 상황에 대한방향성을 제시해 주었고, 초등교원 양성대학의 교육과정 개발 방향과 설계에 대한 이론적 근거를 제시해 주었다는 데 의의가 있다.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analyze the educational purpose, goal, vision, and current status of the curriculum of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 training college, based on this, to explore the learner-centered curriculum design direction of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 training college. Methods In order to achieve this objective, the researcher analyzed the educational purpose, goal, vision and curriculum status of 10 elementary school teacher training colleges in Korea, literature review, and then extracted keywords using the word cloud analysis method. Based on the extracted keywords and the results of literature review, the learner-centered curriculum design direction of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 training college was derived. Results The learner-centered curriculum design direction of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 training college explored through the research process is as follows. ① re-establishment of curriculum document system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training college, ② elementary school teacher training college curriculum design based on core competency, ③ learner participation as the main body of curriculum development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training college, ④ the intrinsic value and specificity of elementary school teacher training college curriculum balance design Conclusions Through these research results, it was concluded that the learner-centered curriculum design direction of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 training college should be a holistic direction that can simultaneously include the changes of the times and the essential value of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 training college. In addition, it is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d a direction for the problem situation faced by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provided a theoretical basis for the development direction and design of the curriculum of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 training college.

      • KCI등재

        단과대학의 역량기반 전공교육과정 설계를 위한 핵심역량과 전공역량 연계 모형 탐색

        유지선(Ji-Sun You),김덕파(Dukpa Ki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15

        목적 우리나라 고등교육에서 역량기반 교육과정은 대학 전체의 교육 방향에 근간이 되는 핵심역량과 전공교육의 기반이 되는 전공역량의 두 요소를 포함한다. 이에 핵심역량과 전공역량의 유기적인 연계는 대학 교육과정이 전체성과 통일성을 갖추는데 기여할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대학의 역량기반 교육 실태 및 현황을 파악하고 핵심역량과 전공역량의 연계 모형을 탐색하여 대학의 역량기반 교육 체계화의 토대를 마련하고자 한다. 방법 본 연구의 절차와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역량기반 전공교육과정 설계 방법을 탐색하고 국내 대학들의 핵심역량과 전공역량 특징 및 연계 유형을 분석한다. 둘째,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핵심역량과 단과대학의 전공역량 연계 모형 초안을 개발한다. 셋째, 초안에 대한 타당성 검증을 위한 FGI 실시 후, 전문가 의견을 반영하여 수정안을 도출한다. 넷째, 종합대학인 A 대학교 교원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수정안을 적용안으로 수정하여 최종안으로 확정한다. 결과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의 역량기반 교육은 교육부 사업 유치와 평가 대비를 목적으로 도입되었다. 이 과정에서 학교 구성원들의 합의를 통한 역량 설정이나 수업설계가 이루어지지 않아 학생들의 실질적인 역량 향상을 돕는 데는 한계가 있었다. 반면 역량기반 교육을 통해 학습자와 사회 요구를 반영한 교육과정 환류 시스템을 구축하고 교육에 대한 책무성이 강조되는 대학교육 질 관리 체계 구축에 기여하였다. 둘째, ‘핵심역량의 포괄성 및 구체성 수준’과 ‘각 단과대학의 학문적 특징’을 기준으로 네 가지 핵심역량과 전공역량 연계 모형인 ‘전공역량 중핵형, 전공역량 일치형, 전공역량 연계형, 전공역량 확장형’을 개발하였다. 결론 핵심역량과 전공역량을 두 축으로 한 역량기반 교육과정은 아직 도입 단계로서 본 연구가 제시한 네 가지 연계 모형을 교육 현장에서 활용하면 보다 완성도 높은 교육과정 수립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한다. Objectives Competency-based education in Korean higher education is twofold - university-wide key competencies which shape the educational direction of the institution and discipline specific major competencies on which major education is based. As such, linking key competencies and major competencies in a systematic way can contribute to achieving totality and unity of university's major curricula. This study aims at laying the foundation for the systematization of competency-based higher education by developing systematic ways of linking key competencies and major competencies via understanding of the current status of competency-based education in Korean universities. Methods This study proposes four models of linking key competencies and major competencies that are developed from the comparative analysis of five universities in Korea. To validate the proposed model, FGI is conducted with curriculum experts, and the applicability of the model is explored by a survey among professors at major universities in Korea. Results First, this study finds the current competency-based education in Korean universities exhibit both a limitation and an advantage. Competency-based education was introduced among Korean universities as a means to evaluate education quality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Oftentimes, competencies were selected without the interest and consensus of school members and competency-based curricula were not properly implemented. As a result, competency-based education in Korean universities was not fully functional in developing students' actual competencies. Nevertheless, the introduction of competency-based education contributed to the advancement of education quality management by systematizing a curriculum feedback system that reflects the needs of learners and society and emphasizing educators' responsibilities. Second, this study proposes four models of linking key competencies and major competencies, which are labelled as core major competencies model, equivalent key-major competencies model, overlapping key-major competencies model, inclusive major competencies model. They differ by the relative scope and specificity of key and major competencies. Conclusions Competency-based education in Korean higher education is in its initial stage. The four models that this study proposes can be utilized to further develop current competency-based major curricula.

      • KCI등재후보

        교육대학의 교양 교육과정의 개선 방안 연구

        변순용,김민수 한국교양교육학회 2012 교양교육연구 Vol.6 No.4

        The 21st century clearly is the age of transition from the old to the new history of civilization, to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society. And in the age, general education(or liberal education) in university is emerging as an important value that is based in humanities. In order to properly respond to these transitions, the major universities in Korea has redefined the phase of general education, improved curriculum, and developed convergence course. University of Education, however, stay put very basic steps for the its correspondence. In this paper, therefore, we propose three directions of the following improvements in order to improve curriculum of general education, while we recognize that it need to University of Education in the present. Firstly, in order to improve curriculum of general education, the executive office for charging curriculum of general education must be installed in University of Education. Secondly, in order to improve curriculum of general education, it should be established as principle that humanities should be the core of composition of curriculum of general education. Thirdly, in order to improve curriculum of general education, it needs to make an approach to convergence of curriculum of general education. In conclusion, with above three directions, we wish to raise the discourse proper for improving curriculum of general education, as to propose a scheme of a concrete curriculum. 21세기는 분명 정보통신사회로의 이행이라는 문명사적 전환을 이루고 있는 시대이다. 그리고 이 시대에 대학교육에 중요한 가치로 부각되고 있는 것이 인문학을 토대로 한 교양교육이다. 이러한 전환의 시대에 올바로 대응하기 위해서, 대한민국의 주요 대학들은 교양교육의 위상을 새롭게 정립하면서 교양 교육과정을 개선하고 그에 적합한 융복합 교과목을 개발하고 있다. 하지만, 교육대학은 아직 그 대응을 위한 기초적인 단계의 걸음마도 떼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우리는 교육대학 역시 현 시대에 적합한 교양 교육과정의 개선이 필요하다고 인식하면서, 본 논고에서 다음과 같은 세 가지 개선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첫째, 교육대학의 교양과정의 개선을 위해서 교양 교육과정을 전담하는 기구를 교육대학 안에 설치해야 한다. 이것을 실천하기 위해서 우리는 교육대학 내부에서 교양 교육과정에 대한 인식의 전환이 꼭 필요하다고 본다.둘째, 교육대학의 교양 교육과정의 개선을 위해서는 인문학이 교양 교육과정 편성의 중핵이 되어야 한다는 대원칙을 이정표로 세워야 한다. 인간을 인간답게 살아가게 하는 것이 교육의 목적이라고 한다면, 교육대학이 위의 대원칙에서 예외일 수는 없다. 셋째, 교육대학의 교양 교육과정의 개선을 위해 융복합적 교육과정으로의 접근 방법이 필요하다. 이를 실천하기 위해서 우리는 대학 교양교육의 구조적 난점이 되고 있는 대학의 의사소통 구조의 개혁이 필요하다고 본다.본 논고에서 우리는 위와 같은 세 가지 방향성과 더불어 그 구체적인 방안을 제안함으로서, 교육대학의 교양 교육과정의 개선을 위한 기초 담론을 제기하고자 한다.

      • KCI등재

        대학생의 인성교육을 위한 교양교육과정 개발 : E대학을 중심으로

        김은주(Eunjoo Kim)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9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9 No.5

        본 연구는 국내 4년제 대학을 중심으로 인성교육의 현황분석 및 E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교양교육과정으로 인성교육을 위해 무엇을, 어떻게 가르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 대학생을 위한 인성교육과정 개발의 방향성을 정립하고자 한다. 분석결과, E대학의 인성교육 개발은 다양한 의견수렴을 통한 교육과정 개발을 위해 재학생과 교수를 대상으로 인성교과목에 대한 만족도와 요구도 조사를 실시하였고, 산업체와 전문가를 중심으로 인성교육에 대한 의견을 수렴하는 과정이 있었다. E대학은 교양교육과정에 EU인성영역을 편성하였고, EU인성영역의 소영역에서 대학의 핵심역량 중 봉사헌신 역량을 제고할 수 있는 교과목을 개설하였다. E대학 인성교육과정은 1학년의 경우, 인간의 본성을 이해하고 대학생활 및 대인관계 능력 함양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2학년의 경우, 인간다움, 소통능력, 리더십 함양에 중점을 두고 있다. 3~4학년은 E대학의 교육이념인 ‘인간사랑과 생명존중’을 기반으로 실천적 인성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나아가서 교과와 연계된 비교과교육과정을 개발하여 단계별 로드맵을 구성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대학생의 인성교육을 위한 교양교육과정 개발은 소극적 차원의 인성교육이 아닌 교양교과와 연계된 비교과교육과정도 함께 개발·운영하여 적극적 차원의 인성교육이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resent situation of personality education centered on domestic 4 - year universities, to examine what and how to teach personality education through liberal arts curriculum focusing on E university cases and to establish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of personality curriculum for university students I want to.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 development of character education in E university was organized into EU character education courses, starting with the required survey of professors and businesses, the satisfaction and demand survey of students and professors on personality subjects, and the process of collecting expert opinions. In the small areas of the EU s human rights area, a subject was opened to enhance the ability of universities to contribute to their services. The personality education course at E University focuses on human nature understanding and adapting to college life in the first grade, while in the second year, it focuses on fostering personality, communication skills and servitude leadership. The third and fourth graders focus on exercising practical leadership based on the university s education concept of human love and life-respect. Furthermore, a step-by-step road map was established by developing comparative and educational courses linked to the curriculum.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personality education for university students should be developed and operated with comparative and education courses related to liberal arts, not passive level personality education, so that a positive level of personality education can be achieved.

      • KCI등재

        NCS 기반 상업계 고등학교 교육과정과 상업교사 양성대학 교육과정의 연관성 분석에 기초한 상업교사 양성대학 교육과정의 개선 방향

        이광호 한국상업교육학회 2017 상업교육연구 Vol.31 No.1

        이 연구의 목적은 NCS 기반으로 개정된 2015 개정 교육과정 중에서 경영․금융 교과 교육과정과 상업교사 양성대학 교육과정의 연관성을 분석한 후에 상업교사 양성대학 교육과정의 개선 방향을 도출하는 것이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상업계 고등학교 교육과정과 상업교사 양성대학 교육과정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연관성은 교과내용 측면에서의 일치 정도를 질적인 측면에서 분석하였고 그 결과를 계량화하였다. 연관성은 다음과 같은 식을 이용하여 산출하였다. 연관성 = 여기에서 SUBk: 2015 개정 경영․금융 교과 교육과정의 과목과 상업교사 양성대학 교육과정상 과목과의 일치도N: 2015 개정 경영․금융 교과 교육과정의 과목수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상업계 고등학교 교육과정과 상업교사 양성대학 교육과정의 연관성은 다음과 같다. ∙ 2009 개정 상업계 고등학교 교육과정의 전체 전문과목과 상업교사 양성대학 교육과정의 연관성: 0.83 ∙ 2015 개정 상업계 고등학교 교육과정의 전체 전문과목과 상업교사 양성대학 교육과정의 연관성: 0.49 ∙ 2015 개정 상업계 고등학교 교육과정의 이론 과목과 상업교사 양성대학 교육과정의 연관성: 0.78 ∙ 2015 개정 상업계 고등학교 교육과정의 실무 과목과 상업교사 양성대학 교육과정의 연관성: 0.30 둘째, 상업교사 양성대학 교육과정의 개선 방향은 다음과 같다. ∙ 상업교사 양성대학 교육과정을 개편할 때, 상업계 고등학교 교육과정과의 연관성을 높여야하며, 이를 위해 학과별로 교육과정위원회를 구성하고 이 위원회에 상업계 고등학교 교사와 산업체 인사가 반드시 포함되도록 한다. ∙ 실무 관련 교재를 다양하게 개발하여 교수․학습과정에 활용한다. 특히 NCS 기반으로 만들어진 학습모듈을 주교재와 함께 활용하여 이론과 실무 내용을 고르게 학습할 수 있도록 한다. ∙ 교수․학습방법을 능력중심 교육으로 개선한다. 실무 능력을 높이기 위해 프로젝트학습, 모듈식 교수-학습, 문제중심학습 방법에 의한 수업의 비중을 높여야 한다. ∙ 산업체 현장실습을 의무화한다. 일정 기간의 산업체 현장실습을 통해 산업체에서의 경험을 의무화하여 학교에서 배운 내용을 실제 산업현장에서 적용하거나 체험해 보는 경험을 갖게 한다. ∙ 교육과정에 대한 주기적 평가 및 피드백을 실시해야 한다. 교육부와 한국교육개발원에서 실시하는 교원양성기관 평가요소에 상업교사 양성대학 교육과정과 상업계 고등학교 교육과정과의 연관성 정도를 포함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improvement direction of the business teacher training college curriculum. In order to achieve these research objectives, we analyzed the relevance between the curriculum of business and financial subject in commercial high school and the curriculum of business teacher training in college. The relevance was first analyzed to achieve the research objective. The relevance was analyzed qualitatively and the results were quantified. The relevance was calculated using the following equation.Relevance = SUBk: Match betwee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in commercial high school and the curriculum of business teacher training in college. N: The number of subjects in the 2015 revised commercial high school curriculum The results of the relevance analysis are as follows. ∙ The relevance of the 2009 revised commercial high school curriculum and the business teacher training college curriculum: 0.83 ∙ The relevance of the 2015 revised commercial high school curriculum and business teacher training college curriculum: 0.49 ∙ The relevance of the 2015 revised commercial high school curriculum and the business teacher training college curriculum in theoretical subjects: 0.78 ∙ The relevance of the 2015 revision of commercial high school curriculum and business teacher training college curriculum in practical subjects: 0.30 The directions of improvement of the curriculum of the business teacher training college are as follows. ∙ When reorganizing the business teacher training college curriculum,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connection with the commercial high school curriculum. To do this, the curriculum committee should be formed for each department, and the committee should include commercial high school teachers and industrial personnel. ∙ Develop a variety of practical teaching materials and use them in the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Especially, the learning module based on NCS is used together with the main texts so that students can learn the theory and practical contents evenly. ∙ Improv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with ability-based education. To increase practical skills,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proportion of teaching by project, modular teaching, and problem based learning. ∙ Industrial field practice should be mandatory in business teacher training curriculum. Students are required to have industry experience through a field workshop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so that they have experience of applying what they have learned to the actual industrial field. ∙ Periodic evaluation and feedback on the business teacher training curriculum should be conducted. It is necessary to include the degree of relevance of the business teacher training college curriculum and the commercial high school curriculum to the evaluation factors of the teacher training institute conduct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the Korea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 KCI등재

        대학 핵심역량기반 교육과정 운영의 상징적 동조 현상에 대한 연구: 교수의 인식과 대응을 중심으로

        김다은,장덕호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3 교육문화연구 Vol.29 No.6

        본 연구는 한국 대학에 급속히 확산된 핵심역량기반 교육과정이 실제 대학에서 어떻게 운영되는지를 교수의 인식과대응을 중심으로 심층적으로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핵심역량기반 교육과정이 대학으로 유입된 국내외적맥락을 고찰하고, 교육과정 개편과정에 배태된 제도적․환경적 요인들과 핵심역량기반 교육과정에 대한 교수의 인식및 대응양상을 알아보기 위하여 7개 대학 교수 9명을 심층 면담하였다. 연구 결과, 객관적 성과관리를 앞세운 대학재정지원사업으로 인하여 핵심역량기반 교육과정의 의미와 필요성에 대한 공감대 확보가 학내에서 두루 실패하고있었다. 핵심역량기반 교육과정 설계 및 운영 과정에서 확산된 대학 내 무기력함은 교수들로 하여금 형식적 순응이라는전형적인 전략을 선택하도록 유도하고 있었다. 대학의 교육과정운영체계는 핵심역량기반 교육과정에 대한 고유한모델링보다는 대체로 동형화적 패턴을 보였고, 대학 안팎의 형식주의적 양상은 정책 당국과 대학, 그리고 교수로이어지는 상징적 동조 현상을 발생시키며 더욱 강화되고 있었다. 이러한 핵심역량기반 교육과정을 매개로 발생하는연쇄적 상징 동조(serial symbolic conformity) 현상은 대학교육의 본질인 교육과정 변화를 꾀하는 정부의 대학혁신전략에 근본적 한계가 있음을 시사한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대학교육 개선을 위한 몇 가지 제언을 밝혔다. This study is to explore how core competency-based curriculum is operated in universities practically. To examine the institutional and environmental factors embedded in the process of reorganizing the core competency-based curriculum,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nine professors from seven universities and their perceptions and confrontations were analyzed. Based on the interviews, the core competency-based curriculum included in the government-funded project tends to be operated in a managerial manner, and the meaning and necessity of the core competency-based curriculum is not shared. The sense of helplessness has pervaded universities, leading professors to adopt a decoupling strategy. The curriculum of universities has become isomorphic, reinforcing a formalistic pattern that fosters symbolic conformity between the Ministry of Education, universities, and professors. This Serial Symbolic Conformity implies the fundamental limitations to the government's university innovation strategy. Based on the findings, suggestions for improving university education were mad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