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 교양교육 연구 및 교육 지원 방안 연구- 학술연구 분야 분류표 개선 제안을 중심으로

        손승남,조혜경,이정금 한국교양교육학회 2018 교양교육연구 Vol.12 No.2

        A Study on the Educational Support for Korean Liberal Arts Education through proposals to improve the classification table of academic research fields Son, Seung Nam(Sun chon University) Cho, Hye Kyung(Dae gu University) Lee, Jung Gum(Sun chon University) So far, we have analyzed the contents of e-mail questionnaires for liberal arts educators, and found out the problems of the academic research classification chart of the Korea Research Foundation and looked for ways to improve them. In the new section of the Korea Foundation for Research on Liberal Arts education, they are responding in the order of "Convergence studies in Liberal Education", "Humanities Education" and "General Education". It seems to be necessary to reorganize the classification table of academic research fields . Overall, it is time to consider the location of liberal arts education in the Korea Research Foundation's Academic Research Classification Scheme. The academic research and policy development on liberal arts and general education should be carried out more broadly and deeply, and it should be implemented in university. In Korea, we should actively nurture and support 'Korean Institute for General Education' and 'Korean Association of General Education' as 'think tank' of Korean liberal education. The National Assembly should establish the "Liberal Arts Education Promotion Act (tentative name)" as soon as possible. 대학 교양교육 연구 및 교육 지원 방안 연구 - 학술연구 분야 분류표 개선 제안을 중심으로손승남(순천대학교) 조혜경(대구대학교) 이정금(순천대학교) 지금까지 우리는 교양교육 담당자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과 교양교육 전문가를 대상으로 한 이 메일 설문의 내용을 분석함으로써 한국연구재단의 학술연구분류표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여 보았다. 한국연구재단 교양교육지원 사업 신설 부분에서 ‘융복합 관련 교양’, ‘인문교양’, ‘기초교육’ 순으로 응답하고 있어, 향후 지원 분야에서 융복합 관련 교양 부문과 인문교양 및 기초교육에 비중을 두고 개편을 해 나가야 할 것으로 보인다. 전체적으로 볼 때 한국연구재단 학술연구분류표 상 교양기초교육의 위치에 대해 숙고가 필요한 시점이며, 향후 분류표 개선 작업과 교양교육지원 시스템을 대대적으로 정비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교양기초교육에 대한 학술적 연구와 정책 개발은 더욱 폭 넓고, 깊이 있게 추진되어야 하며, 이를 대학 현장에서 구현시켜나가야 할 것이다. 국가에서는 우리나라 교양기초교육의 싱크 탱크 로서 ‘한국교양교육기초교육원’과 ‘한국교양교육학회’를 적극 육성, 지원해 주어야 한다. 국회에서 는 하루 빨리 “교양기초교육진흥법(가칭)”을 제정하여, “인성교육진흥법”의 사례에서와 같이, 국가 와 사회, 대학과 학교에 교양기초교육이 두루 널리 퍼질 수 있는 토양을 만들어야 한다. 공기업과 기업 등에서 신입사원을 선발하는 인력 충원 과정에서 대학에서 교양교육을 충실히 받았는지 여 부를 충분히 점검하여 이를 평가에 반영해 나가는 방안도 관계부처에서 검토할 필요가 있다. 나 아가 장기적으로는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맞는 고등교육발전방향을 설정하고, 튼실한 교양교육을 근간으로 하는 방향으로 대학 교육과정을 전면적으로 개편하여 고등교육의 정상화를 기하고, 결 국 교양과 전공이 잘 조화된‘대학다운 대학’을 만들어 나가야 할 것이다. <

      • KCI등재

        교양교육의 <학술연구분야분류표> 재설정에 관한 연구

        김기봉,남진숙,김혜영,박병철 한국교양교육학회 2023 교양교육연구 Vol.17 No.1

        최근 대학에서 교양교육이 전담 조직과 교원의 수에서 가장 큰 성장을 했다. <한국교양교육학회>는 회원이 2,000명이 넘을 정도로 급성장했고, 교양교육연구 를 인용하는 IF (Impact Factor) 지수가 ‘복합학’에서 1위, 전체 학술지로는 7위를 차지할 만큼 학문적 성과도 비약적 성장을 했다. 한국에서 학문적 위상을 설정하는 좌표이면서 연구지원 사업을 위한 국가 R&D 예산의 몫을 분배하는 준거로 사용되는 것이 한국연구재단의 <학술연구분야분류표>이다. 앞에서 열거한 한국교양교육학회의 규모와 저널의 수준은 ‘대분류-중분류-소분류-세분류’로 위계화된 <학술연구분야분류표>에서 적어도 중분류 이상이다. 하지만 실제로는 ‘교양기초교육’이란 이름으로 가장 낮은 단계인 세분류에 위치해있다. 이런 분류체계는 교양의 학문 특성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한다. 이에 학술연구활동 및 연구지원에 있어 현실적으로 적절한 평가를 받기도 어려운 구조이다. 지난 10년 동안 한국교양교육학회, 전국교양교육협의회, 한국교양기초교육원은 연합해서 그런 모순을 시정하는 많은 시도를 지속적으로 했다. 본 연구는 그동안 노력을 역사로 정리하고, 4차 산업혁명의 시대정신에 부응해서 교양의 <학술연구분야분류표>상 위치를 어디에 그리고 어떻게 재설정할지에 대해 모색했다. 융합인재 양성을 요청하는 4차 산업혁명 시대에는 학문 분야의 분류(分流)가 아니라 서로 연결하는 합류(合流)를 지향하면서 교양 르네상스가 일어난다. <학술연구분야분류표>의 어디에 위치하느냐가 교양의 지식범주에 관한 문제라면, 우리 시대가 요청하는 교양의 개념화를 어떻게 하느냐로 그 이후의 분류방식이 결정된다. 교양의 범주와 개념에 관한 연구를 위해서는 ‘교양학’이란 학문 분야의 신설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학술연구분야분류표>에서 교양학의 학문적 위상을 위해, 다음 세 가지 방안을 제안한다. 첫째는 4차 산업혁명의 시대정신을 타고 대분류로 격상시키는 것이다. 둘째는 교양은 “인간이 알아야 할 거의 모든 지식”을 포괄하기에 문과 및 이과의 여러 기초학문의 중분류로 위치시키는 방안이다. 셋째는 종래 가장 유력하게 논의됐던 안인, 대분류 복합학의 중분류로 조정하는 것이다. 궁극적으로 <학술연구분야분류표>의 재설정은 교양교육의 정체성과 독립성을 확보하는 일이다. 본 연구는 <학술연구분야분류표>를 구체적으로 3가지 안을 제시하였다는 점과 학술연구분야분류에 대한 앞으로의 제도적 논의를 대비한 선제적인 준비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전문대학 역량기반 교양교육과정 개발 연구-D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이수현 한국교양교육학회 2020 교양교육연구 Vol.14 No.2

        This study presents a model through the case of D-college for how to develop competency-based Liberal Arts courses in colleges. Since 2014, many colleges have developed and operated an NCS-based curriculum. However, although NCS-based education reflected the characteristics of colleges, it also resulted in the weakening of Liberal Arts education for those colleges. For institutions of higher learning, the importance of Liberal Arts education is relatively low, due to short lectures and a major-oriented education system. At a time when the curriculum of colleges is being transformed into a competency-based one, it is very urgent to change the Liberal Arts education of colleges. The process of developing Liberal Arts education courses at D-college is based on the ADDIE model, but the development process at each stage focused on capacity centers. This article looked at the specific progress of the ‘Analysis-Design -Development’ phase. In the analysis phase, the external environment, internal capacity, and satisfaction of the educational needs were analyzed, while the core competency of the colleges in question was checked. In the design phase, Liberal Arts education goals and policies were established, and Liberal Arts education areas were set. In the development phase, competency-based Liberal Arts subjects were derived and a curriculum profile was developed. As a result, D-college has been able to derive a variety of competency-based subjects, with several tasks remaining for the education to operate effectively. If organizations, human resources, Liberal Arts and math are secured, the competency-based Liberal Arts education process can be operated systematically. 본 연구는 전문대학의 역량기반 교양교육과정을 어떻게 개발할 것인지 D대학의 사례를 통해 하나의모형을 제시하는 글이다. 4차 산업혁명으로 대표되는 미래사회에서 교양교육의 중요성은 그 어느 때보다도 크다. 그러나 전문대학의 경우 짧은 수업연한, 전공 중심의 교육운영체계 등 교양교육의 중요성에대한 인식은 상대적으로 낮은 편이다. 전문대학은 지난 2014년부터 NCS기반 교육과정을 개발⋅운영해왔다. NCS기반 교육은 전문대학의 특성을 반영한 것이었지만, 한편으로 교양교육을 약화시키는 결과를초래하기도 하였다. 전문대학의 교육과정이 역량기반으로 전환되고 있는 지금 전문대학 교양교육의변화는 매우 절실하다. D대학의 교양교육과정 개발 절차는 ADDIE 모형을 기반으로 하되, 각 단계에 따른 개발 과정은역량 중심에 초점을 맞추었다. 이 글에서는 ‘분석-설계-개발’ 단계의 구체적인 진행과정을 살펴보았다. 분석 단계에서는 교양교육을 둘러싼 외부환경 및 내부역량을 분석하여 교양교육과정 개발전략을 도출하였다. 산업체와 학생들 대상으로 수요자 만족도를 분석하였으며, 대학의 핵심역량 및 하위역량, 행동지표를 점검하였다. 설계 단계에서는 핵심역량 함양을 위한 교양교육목표 및 교양교육정책을 수립하였다. 교양교육목표는 대학의 인재상, 교육목표, 핵심역량과의 연계성을 고려하였으며, 교양교육정책은 직업기초능력 및 기초학습능력 교육과의 연관성을 고려하여 수립하였다. 또한 교양교육목표 및 대학 특성을반영한 교양교육영역을 설정하였다. 개발 단계에서는 역량기반 교양교과목을 도출하였다. 교과목 도출시 수요자 요구분석 결과를 반영하였으며, 최종 교과목 도출 후 역량 중심의 교과목 프로파일을 작성하였다. 그 결과 D대학은 교양교육영역별로 다양한 역량기반 교과목을 도출할 수 있었는데, 역량기반 교양교육이 효과적으로 운영되기 위해서는 몇 가지 과제가 남아 있다. 무엇보다 교양교육을 전담하는 기구와 인력을 확보하는 일이 중요하다. 교양교육 전담기구와 인력, 교양이수학점 등이 확보된다면 역량기반 교양교육과정은 체계적인 운영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전문대학의 역량기반 교양교육은 지금부터가 시작이다. 앞으로 전문대학 교양교육에 대한 많은 연구들이 진행되어 핵심역량 함양을 위한 교양교육이 실현될 수 있기를 바란다.

      • KCI등재

        4차 산업혁명시대에 따른 전문대학 교양교육의 개선 방향 연구

        최미숙 한국교양교육학회 2017 교양교육연구 Vol.11 No.6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시대를 맞이하여 초융합과 초연결의 급격한 변화 속에 세계적 수준의 창조적 직업교육을 선도하기 위한 연구로 4차 산업혁명시대에 따른 전문대학 교양교육의 개선 방향을 제시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으로는 1차 설문조사에 W보건대학교 교수요원 100명을 선정하였고, 2차 표적집단인터뷰(focus group interview)에 6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연구절차는 W보건대학교 교수요원들을 대상으로 교양교육에 관한 인식 및 요구정도와 만족도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기 위하여 생명윤리위원회의 연구계획서 심의 승인을 받은 후 1차 설문조사로 양적연구를 진행하였다. 이어 그 결과를 토대로 교수요원들이 인식하고 있는 교양교육의 본질적 목적과 개선방향에 대한 실질적인 내면의 소리를 조사하고자 2차 표적집단인터뷰(focus group interview)를 실시하여 질적연구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따른 전문대학 교양교육의 개선 방향을 다음 3가지로 제시한다. 첫째, 전공교과와 교양교과를 연계한 우수콘텐츠 개발로 교과간 통합과 융합으로 통찰력을 갖출 수 있는 기초역량 강화를 넘어 삶과 연결하는 방향으로 통합적 교양교육의 본질적 목적 실현을 위한 교양교육으로 개선되어야한다. 둘째, 4차 산업혁명을 선도할 창의·융합적 인재육성 관련 교양교육과정 연구개발로 실천적 지식을 포함한 생활문화 전반에 대한 넓은 안목과 지견을 습득할 수 있도록 하는 방향으로 인간의 잠재가능성 향상과 사회적 실천과 연결된 다양한 지식을 줄 수 있는 유기적 교양교육과정으로 개선되어야 한다. 셋째, K-MOOC를 활용한 교양교육 확대실시로 다양한 교과목을 구성하여 대학의 경쟁력 강화와 시대적·사회적 요구에 부합한 방향으로 인류의 행복과 공익성 구현을 위한 자기계발 의식과 공동체적 의식을 확장할 수 있는 교양교육내용으로 개선되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W보건대학을 사례연구로 전문대학 교양교육의 개선 방향을 제시하였다는 점에 의의를 둔다. 또한 본 연구에서 제시한 4차 산업혁명시대에 따른 전문대학 교양교육의 개선 방향 세 가지는 한 대학의 사례를 넘어 국내뿐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전문대학이 기본적으로 추구해야할 공통된 방향성이다. This study aims at suggesting a direction of improvement of liberal education at junior college according to the age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s a research to lead the creative vocational education of the world level, among the rapid changes of super-interfusion and super-connection. As research targets, I selected 100 persons of faculty members of Wonkwang Health Science University at the first survey and selected 6 persons at the second focus group interview. As a procedure of research, I got the deliberating approval about the study plan from the Committee of Biomedical Ethics, and carried out the quantitative research as the first survey to perform a survey concerning awareness and request extent, and satisfaction degree about the liberal education, by taking as targets the faculty members of Wonkwang Health Science University. Subsequently, based on the result, I performed a qualitative research by carrying out the second focus group interview to investigate the substantial voice from within concerning the essential goal and improvement direction of liberal education that the faculty members were aware of. In consequence, I suggest the following three items for improvement direction of liberal education at the junior college according to the age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First, it should be improved into liberal education for the realization of essential goals as integrated liberal education, toward the direction to connect with life beyond strengthening a basic ability to be able to possess the insight through integration and interfusion among subjects by developing excellent contents in connection with major subjects and liberal subjects. Second, it should be improved into the organic liberal education courses to be able to give various knowledges in connection with the improvement of potentials of human beings and social practice, toward the direction to be able to acquire broad discernments and understandings concerning the overall life culture including practical knowledges through the research development of liberal education courses in relation with creative and interfusing cultivation of professionals to lead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ird, it should be improved into the contents of liberal education that helps to be able to extend the consciousness of self-development and the community spirit, for realizing human happiness and the public interest, toward the direction to correspond to the demand of the times and society, and to strengthen the competitiveness of colleges by composing various subjects through extending practice of liberal education to utilize K-MOOC. This study has a meaning that it suggested improvement direction of liberal education at the junior college through the case research of Wonkwang Health Science University. Also, the three kinds of improvement direction of liberal education at the junior college according to the age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suggested at this study, are a common direction that junior colleges should pursue basically all over the world beyond a case of one college.

      • KCI등재

        대학 교양교육과정의 운영과 내용에 대한 학습자 교육요구도 분석

        이청민,정제영,양민석 한국교양교육학회 2020 교양교육연구 Vol.14 No.5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analyze the learner's educational needs for liberal arts education at the university level, to set up the curriculum of liberal arts education, and to find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of liberal arts education course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502 students in the liberal arts department of A University in Seoul. For the analysis of the learners' educational needs,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involving 10 questions related to the operating system of liberal arts education, while 14 questions related to the capacity contribution of classes. The results of the survey were analyzed based on Borich's Request Formula and The Locus for Focus Model. The results of the t-test showed that all 24 questions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nd the importance of the questions was highly recognized by most learner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In the operation of liberal arts education, the learners' educational needs were prioritized in the order of 1) width of diversity and choice of liberal arts, 2) appropriate division and 3) appropriate number of students. The common high priority of Borich's requirements in the composition of the liberal arts curriculum and the The Locus for Focus Model is Improvement of Speaking Ability, which can be seen as a priority policy task for any future reform of the liberal arts curriculum. Borich's other needs also showed that a top priority in the formula was “support for future design of what I want to do”, and the sequential priorities of items, such as support for knowledge and information acquisition of future jobs, improvement of foreign language skills required in the global era, and provision of internationalized educational opportunities such as English lectures, exchange students, etc. All of these are in high demand for practical employment and vocational education. 본 논문의 목적은 대학 교양교육에 대한 학습자의 교육요구도를 분석하여 교양교육의 과제를 설정하고 교양교육과정의 발전방향을 모색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서울 소재 A대학 교양교과목 학부 수강생502명이었다. 학습자의 교육요구도 분석을 위하여 교양교육 운영체계 관련 10문항, 수업내용의 역량기여도 관련 14문항의 온라인 설문조사가 실시되었다. 설문조사 결과는 Borich의 요구도 공식과 The Locus for Focus 모델을 토대로 분석하였으며, 총 24개의 문항의 중요도와 현재 수준은 t검정 결과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문항내용의 중요도는 대부분의 학습자가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교양교육 운영에 있어 학습자들의 교육요구도는 ‘교양과목의 다양성과 선택의 폭’, ‘적절한 분반구성’, ‘적절한 수강인원’의 순서로 우선순위가 높았다. 교양교육과정 구성내용에서 Borich의 요구도 공식과 The Locus for Focus 모델에서 공통적으로 높은 우선순위로나타난 것은 ‘말하기 역량 향상’의 항목으로 향후 교양교육과정 개편에 있어 우선적 정책과제로 볼수 있다. 그 외 Borich의 요구도 공식에서 최우선 순위로 나타난 ‘내가 무엇을 하고 싶은지 미래설계에대한 지원’의 항목과 ‘미래 희망직업에 대한 지식 및 정보습득 지원’, ‘글로벌 시대가 요구하는 외국어능력의 향상’, ‘영어강좌, 교환학생 등 국제화 교육기회의 제공’ 항목들의 순차적 우선순위는 실질적인취업 및 직업 관련 교양교육에 대한 요구도가 높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 KCI등재

        대학 교양교육강화 재정지원정책의 변화와 개선 방안 연구

        김수경 한국교양교육학회 2021 교양교육연구 Vol.15 No.2

        The study looks at the process of changing the financial aid policy used to strengthen college liberal arts education. It also aims to provide improvements to the university liberal arts education financial aid policy in the future. The change process in which the budgets of the CORE(initiative for College of Humanities’ Research and Education) project and the ACE+(Advancement of College Education) project are incorporated into the UIS(University Innovation Support) project budget after 2019, as well as the characteristics of these budgets, are as follows: First, in 2016 CORE was launched and the achievements of liberal arts education were made visible at universities as a result of the humanities education development playing a key part in the budgeting for higher education. Second, from 2016 to 2018 the CORE and ACE+ support periods were not sufficient, nor were the support levels for 2017-2020. Third, as the CORE and ACE+ budgets were incorporated into the UIS budget, CORE and ACE+ were not revealed in the UIS indicators. Fourth, the formula financial support method of UIS emphasizes the autonomous enforcement of universities. Thus, it is important to establish and practice a UIS with the university's commitment to strengthening liberal arts education. In doing so, we hope to maintain the development of basic education courses, humanities literacy education, and humanities-based foundations, all of which have shown positive results in the CORE and ACE+ projects. The suggestions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budget for university liberal arts education should expand the budget for direct support for universities, along with indirect support for researchers and research organizations. Second, the government needs to propose that universities have sufficient budgets to increase liberal arts education to the extent that they do not undermine the autonomy of universities when budgeting for an expanded UIS. Third, meaningful achievements of the CORE and ACE+ need to spread to pan-universities through the UIS. Fourth, we need to set the performance indicators of the university liberal arts education as autonomous performance indicators for the UIS budget. Fifth, a stronger university liberal arts education policy is preferable to a cubicle financial support approach, but only for university liberal arts education. 이 연구는 대학 교양교육강화 측면에서 정부의 재정지원정책의 변화과정을 살펴보고, 향후 대학교양교육 재정지원 정책의 개선방안을 제시하는데 목표를 두고 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고자 이 연구는2016년~2020년 교육부 예산 및 기금운영계획 개요 자료를 토대로 고등교육 예산, 예산편성 방향, 예산편성 주요 내용 및 세부 내용을 분석하였고, 대학 교양교육강화 재정지원사업으로 ACE+사업, CORE사업, 대학혁신지원사업의 기본계획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2019년 이후 대학인문역량강화사업(CORE사업)과 대학자율역량강화지원 사업(ACE+사업)의 예산이 대학혁신지원사업 예산으로 통합되는 과정에서 도출된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2016년인문학 보호육성이 고등교육 예산편성에 주요 내용으로 신설된 결과 CORE사업이 출범하고 정부의실질적인 재정지원이 이루어지면서 대학에서 교양교육강화의 성과가 가시화되었다. 둘째, 대학 교양교육정책의 실효성 측면에서 볼 때, 2016년~2018년 CORE 재정지원사업과 2017년~2020년 ACE+ 재정지원사업의 지원 기간과 지원 수준은 충분성을 갖추지 못했다. 셋째, 2019년 대학재정지원사업 개편에따라 CORE 재정지원사업 예산과 ACE+ 재정지원사업 예산이 대학혁신지원사업에 통합되었으나CORE 사업과 ACE+ 사업 내용이 대학혁신지원사업 핵심지표에서 드러나지 않고 있다. 넷째, 대학여건을 고려하여 재정을 배분하는 대학혁신지원사업의 포뮬러 재정지원방식은 대학의 자율적 집행을강조하는 바, CORE사업과 ACE+사업에서 성과를 보인 기초교양교육과정 개발, 인문 소양 교육, 인문학기반 조성 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대학 교양교육강화에 대한 대학 의 의지를 담아 대학혁신지원사업계획을 수립하고 실천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 연구결과를 토대로 고등교육 예산 편성에서 대학 교양교육을 강화하기 위한 예산을 확대하고, 교양교육 분야만을 지원할 칸막이식 재정지원사업을 마련하며, 대학혁신지원사업 예산에 대학 교양교육강화 예산을 충분히 확보함으로써 ACE+사업, CORE사업에서의 대학 교양교육강화 성과 및 모델 등을유지 및 범 대학으로의 확산할 것을 제안하는 바이다.

      • KCI등재

        메타버스를 활용한 교양철학 교육에 관한 고찰 : ‘VR챗 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윤주한(Yoon, Juhan),이다민(Yee, Damin) 한국교양교육학회 2022 교양교육연구 Vol.16 No.2

        본 연구는 메타버스에서 이루어진 교양철학 강의의 한 사례를 분석함으로써, 비대면화의 물결 속에서 교양철학 교육이 나아가야 할 향방을 모색하고자 한다. 일방적인 지식 전달보다는 토론과 의사소통이 강조되는 철학 교육의 특성을 고려할 때, 양질의 교양 철학 교육이 비대면의 방식으로 어떻게 이루어질 수 있는가에 대해서는 진지한 고찰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식 하에 다음의 세 단계로 이루어진다. 먼저 교양철학 교육의 의미와 필요성에 대해 논의한다. 두 번째로, 동일한 교양철학 강의가 대면으로 진행되었을 때와 비대면으로 진행되었을 때를 비교함으로써 비대면 교양철학 교육의 한계를 검토한다. 마지막으로, 앞선 두 논의에 기초하여 메타버 스 플랫폼을 통한 교육이 교양철학 비대면 교육의 한 가지 대안이 될 수 있음을 보인다. 본 연구는 메타버스 플랫폼 ‘VRChat’에서 실제로 진행된 미학 강의의 사례를 분석하여, 메타버스 플랫폼을 통한 교육이 교수자와 학습자 사이의, 그리고 학습자 간의 상호작용을 보완하고 강화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이점을 갖는다고 주장한다. This study aims to find the direction in which general philosophy education could proceed amid the big wave of virtualization by analyzing a lecture course in general philosophy conducted in the Metaverse.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philosophy education that emphasizes discussion and communication, it would be necessary to consider how general philosophy education could be conducted. With these problems in mind, this study will consist of the following three steps. First, we will discuss the nature and significance of general philosophy education. Second, we will illuminate the limitations of online general philosophy education by comparing cases of a face-to-face lecture with a non-face-to-face one. Finally, based on those previous considerations, we will show that education in the Metaverse might serve as a promising alternative to non-face-to-face general philosophy education. This study analyzes the case of an aesthetics lecture conducted in ‘VRChat’, which is a popular Metaverse platform, and argues that education in the Metaverse has an advantage in that it could supplement and even strengthen interactions, especially between learners.

      • KCI등재후보

        대학설립 초기의 교양교육 전통과 그 창조적 재생

        손승남 한국교양교육학회 2013 교양교육연구 Vol.7 No.2

        This study aims to reexamine the original form of general education in order to reconstruct the present form of general education in universities and colleges. The reason why this study focused on the tradition of general education is deeply connected with the fact that the majority of general education programs have been misunderstood and distorted. On the basis of a historical investigation 7 liberal arts were confirmed as the core of a general education aimed at cultivating humanity(cultum humanitas) and creating a more aesthetic world. The medieval university regarded the humanities as the fundamental elements of a general education and supported a balance between practical/vocational and liberal/general aspects of the university education. This study suggested the following theses for the improvement of a general education in Korean universities and colleges. First, general education should be regarded as an authentic 'anthropology' which reflects on human values and guided us toward a meaningful vision of our lives. Second, general education should cultivate an engagement with ecological issues which includes caring for the natural world and the universe. Third, general education should not be just an instrumental tool for specified education in departments and should be an independent and self-fulfilling education which deals with our total experience and which ultimately leads us to wisdom. Fourth, methodologically the abilities mentioned above can be raised through engaging with 'great books'. The old traditions may lead us on the right path in this rapidly changing world. 교양교육이 자라나는 세대로 하여금 사람다운 삶을 살아갈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교육이라고 할 때 교육에서 이보다 더 근본적이고, 중차대한 일은 없을 것이다. 다행스럽게도 최근에 교양을 본격적으로 가르치는 학부대학이 생겨나고, 교양과 직접 관련된 과목들이 다양하게 개발되면서 대학 교양교육이 부활의 조짐을 보이고 있다. 하지만 ‘교양’이라고 불리는 다양한 과목, 코스, 프로그램들이 그 정신에 걸맞게 운영되고 있는지는 여전히 의문이다. 기초교육원에 군사학 과목을 포함시킨다거나 전공이나 교양에 속하지 않는 모든 실용교과목을 교양교육에 포함시킨다면 교양의 본질은 왜곡될 수밖에 없다. 아무리 교양교육이 대학교육의 화두라고 해도 그 이름값에 걸맞게 구현되고 있는지를 근본적으로 점검해 볼 필요가있다. 이 글은 대학 교양교육의 뿌리를 찾아 그 원형을 다시금 되새겨 보고, 대학설립 당시 교양교육의 본질에 비추어 미래 대학 교양교육의 방향을 탐색해 보았다. 교양교육의 원천에 해당되는 7자유교과의 검토를 통해 교양교육이 인간성의 고양(cultum humanitas)은 물론 ‘인간의 가치’를 넘어 ‘우주’와 ‘미적 세계의 창조’로까지 연결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중세대학 설립 후에도 대학은 전문인으로서 능력을 배양하기 이전에 인간으로서 인간다운 삶을 누릴 수 있는 기본소양으로서 교양을 우선시하였다. 이처럼 대학은 성립초기부터 교양교육을 받게 한 후 전문 직업교육을 받도록 하여 전문성과 교양을 두루 겸비한 인간을 양성하려는 바람직한 전통을 지니고 있었다. 대학설립 초기의 교양교육 전통을 되새겨 보면 몇 가지 시사점을 얻을 수 있다. 최우선적으로 교양교육이 진정한 ‘인간학’으로서의 위상을 확립해야 한다는 것이다. 여기서 말하는 인간학은 인간의 가치를 되돌아보고, 삶의 비전을 제시해 주며, 혼돈의 시대에 올바른 방향설정을 해 줄 수 있는 그런 학문을 말한다. 나아가 인간은 자기 존재의 범위를 넘어서 사유할 수 있는 힘을 지니고 있는 만큼 교양교육을 통해 대자연과 우주에 대한 관심과 책무성을 길러야 한다. 이런 능력을 길러주기 위하여 교양교육은 ‘고전’에 근간을 두어야 한다. 위대한 저서를 배우는 사람은 적어도 인류가 쌓아 온 위대한 가치와 원리를 통하여 현실 사회를 슬기롭게 살아갈 수 있는 지혜를 제공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 KCI등재후보

        의미있는 교양교육 학습성과 성취를 위한 대학 교양교육과정 체제 연구

        신행자 한국교양교육학회 2013 교양교육연구 Vol.7 No.5

        A de-standardization of the education system is being accelerated in domestic colleges and universities such as the three-year bachelor's degree, five years of Bachelor-Master as linked courses. Also liberal education curriculum is improved because undergraduate colleges, liberal arts have been introduced and need to strengthen of liberal education at the University. However, many universities try to liberal education curriculum attempt to improve and to develop quickly, so they trend to emphasize operational aspects and to neglect the essence of liberal education itself. In this study, I explored the nature of liberal education with knowledge-based society, analyzed the liberal education goals and objectives of domestic universities and the status of those liberal education courses. I reflected the explored the nature of liberal education to liberal education curriculum and suggested the step to build rational and systematic curriculum. In other words, first, it should state goals and objectives of liberal education curriculum explicitly. Second, it should organize to achieve those objectives related to course. and non-course program. Third, it should configure contents should be learn that focused on learner-centered activities. During curriculum to build, it should explicitly state objectives for course and non-course program based on Bloom’s objectives, those objectives should match competences across such as higher order cognitive thinking skills, learner-centered learning experiences that represent the affective attitudes and values, and psychomotor skills. In addition, I proposed to run a variety of performance assessment such that discussion, observation, demonstration etc. that is reasonable assessment because of connection with its objective. It is considered that such liberal education curriculum can attain significant learning outcomes are faithful to the nature of liberal education. 빠르게 생성되는 지식들을 끊임없이 학습해야하는 평생교육의 시대가 도래하였고, 국내 대학에서는 전문대학의 3년제 학사과정, 4년제 대학의 5년 학·석사 연계과정 등 교육체제의 탈규격화가 가속되고 있다. 또한 학부대학, 교양학부 등이 도입되고, 대학의 교양교육 강화와 융·복합 교육 도입 필요성으로 교양교육과정이 개선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국내의 많은 대학들은 교양교육과정을 조속히 개선·발전시키려고 하려다 보니 운영적인 측면만 강조되어 교양교육 자체의 본질을 등한시한 경향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지식기반사회의 교양교육의 본질을 고찰하고, 국내 대학의 교양교육 목표와 교양교육과정 현황을 분석하였다. 고찰한 대학 교양교육 본질을 반영하여 선행 연구이론을 토대로 체계적인 교양교육과정을 구축하고 그 단계를 제시하였다. 즉, 교양교육과정 목적과 목표를 명시적으로 진술하고, 그 연관성을 기술한다. 목표 달성 수단이 되는 교과목과 비교과 활동 프로그램을 조직하여, 학습자 중심의 활동에 초점을 두어 학습할 내용을 구성하도록 하였다. 교양교육과정 구축시 교과목과 비교과활동 프로그램들의 학습목표는 고차의 인지적 사고력, 학습자 중심의 학습 활동 경험을 통해 성취되는 정의적 태도와 가치, 그리고 심동적 기술들을 아우르는 본질적인 교양교육의 역량을 함양할 수 있도록 Bloom의 교육목표 진술법을 토대로 구체적으로 진술하도록 제언하였다. 또 그 목표와 연계된 타당한 평가를 위해 토론, 관찰, 실험·실습, 시연 등 다양한 수행평가를 실행하도록 제언하였다. 이와 같은 체제는 교양교육 본질에 충실한 의미있는 교양교육 학습성과를 성취할 수 있다고 사료된다.

      • KCI등재후보

        대학 교양교육에 대한 인식, 만족도 및 교육과정 개선요구에 관한 연구

        박주호,유기웅 한국교양교육학회 2014 교양교육연구 Vol.8 No.2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oncepts, contents, satisfaction and future curriculum needs for instructors, students, and workers for college general education. Using an online survey, this study recruited 441 subjects (125 instructors, 135 students, 181 workers) from the various universities and companies. We conducted analysis of variance (ANOVA) for multiple comparisons and Important-Performance Analysis (IPA) for measuring and comparing the importance, satisfaction, and future needs of college general education.The analyses show that the overall college general education satisfaction is low. With regards to the concepts and contents of college general education,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formation of the whole and autonomous human beings and general education that seeks the truth in knowledge are emphasized in college general education. In addition, the results show that the area of humanities, social science, and natural science should be taken more into account when preparing and developing future curriculum of general education in colleges. Further more, IPA shows that there are increasing needs for the academic subjects like classics emphasized life of human beings and intellectual heritage, the state-of-the-art and critical issues of the contemporary world, and courses for every students to challenge them at every level. 본 연구에서는 교양교과를 현재 담당하고 있는 전국의 41개 대학 소속 교수125명 및 학생 135명, 그리고 국내 20개 대 기업 소속 대졸직장인 181명을 대상으로 교양교육의 개념 및 내용적 차원의 범위에 관한 인식 정도, 교육만족도, 그리고 교양교육과정 운영의 개선 요구도를 분석하였다. 우선, 교양교육의 개념적 범위 인식정도와 교양교육 만족도 조사를 위해 교양교과를 담당하고 있는 교수, 대학생, 그리고 직장인들 간 차이가 있는지 여부는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하여 확인하였다. 그리고 현재 실태 수준(as-is)과 바람직한 미래수준(to-be)을 측정하는 8개의 문항으로 구성된 교양교육과정 개선 요구도 자료는 IPA(Important Performance Analysis) 매트릭스 분석을 실시하였다. 교양교육의 개념 및 범위에 대한 인식의 경우, 교수집단이 학생 및 직장인 집단에 비하여 ‘전인적인 인격체로서의 인간형성에 초점’을 두거나 ‘전공교육에서 성취하기 어려운 보편적 지성교육에 초점’을 두어야 한다는 면에서 더 높은 인식을 보여 주었다. 반대로 학생이나 직장인의 경우, 교양교육을 응용학문이나 실용적 차원으로 인식하는 경향이 더 높았다. 교양교육에 대한 만족도에서는 세 집단 모두 상당히 낮은 수준을 보여 주었고, 특히 학생집단 보다 교수집단이 보다 더 낮은 만족도를 보여 주었다. 교양교육에서 다뤄야할 내용에서는 세 집단 모두 인문사회 및 자연과학(문학, 역사, 철학, 언어학, 경제학, 정치학, 사회학, 심리학, 수학, 물리학, 화학, 생물학 등)을 예체능 영역이나 진로취업 분야 보다 더 중점적으로 다루어야 한다고 응답했다. 교양교육과정의 개선 요구도에 있어서도 세 집단 간에 차이는 크게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편성 교과 면에서 인류의 지적 유산과 관련된 고전적인 내용 반영 교과와 시대적 변화를 고려한 최신 내용을 반영 교과목을 보다 더 많이 편성해야 함을 요구도로 보여 주었다. 그리고 교양교육을 저학년에 만 편중해서 편성 운영하기보다는 대학 전 학년에 골고루 편성할 필요가 있음도 개선 요구사항으로 보여 주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대학교양교육과 관련하여 교수, 학생, 직장인 간에 개념 및 내용범위에 있어 인식의 차이가 있다는 점과, 세 집단 모두 교양교육의 낮은 만족도, 그리고 교육과정에서 편성할 교과목과 학년별 교양교과목 편성에 있어 개선을 요구하고 있음을 밝혔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