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학부교육 질 개선을 위한 경기도 H대학교 대학교육혁신 모델 개발 방향에 관한 적절성 연구

        최화숙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4

        본 연구의 목적은 경기도 H대학교 대학교육혁신 모델 개발 방향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교수-학습센터의 우수사례와 H대학교 현황을 분석하였고, 이를 활용하여 잠정적인 경기도 H대학교 대학교육혁신 모델 개발 방향을 도출하였다. 최종적으로 두 차례에 걸친 전문가 델파이 조사를 통해 경기도 H대학교 대학교육혁신 모델 개발 방향을 구안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얻은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경기도 H대학교 교수-학습 역량 질 관리 시스템을 절차, 영역, 세부내용 및 지표로 각각 구성하였다. 특히, 성과를 측정할 수 있는 지표로는 프로그램 개발 수, 참여율, 만족도 및 역량향상도로 구성하였다. 둘째, 경기도 H대학교 대학교육혁신 모델 개발 방향 도출은 교수-학습 역량 질 관리 시스템과 연구개발 확산모형을 적용하여, 대학교육혁신 단계 모델과 H-맞춤형 대학혁신 모델 방향을 제안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학부교육의 질을 구성하는 개념과 내용 구인을 정립하는 데 이론적 근거를 마련해 주었으며, 향후 학부교육의 질적인 경쟁력을 담보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direction of developing a university education innovation model at H University in Gyeonggi-do. To achieve this goal, I analyzed excellent cases of center for Teaching & Learning and the circumstances of H university, and used them to derive potential direction for developing a university education innovation model at H University in Gyeonggi-do. Finally, the Delphi Survey, which I conducted twice by experts, looked for directions to develop a university education innovation model at H University in Gyeonggi Province. The results of the study obtained through this process are as follows: First, teaching - learning competency quality management system at H University in Gyeonggi-do is composed of procedures, areas, details and indicators. In particular, the number of program development, participation rate, satisfaction level, and competency improvement measures were used to measure performance. Second, the direction of developing a university education innovation model at H University in Gyeonggi-do proposed the university education innovation phase model and the H-personalized university innovation model by applying the teaching - learning quality management system and the R&D diffusion model. These findings are meaningful in that they provided a theoretical basis for establishing the concept and content of the quality of university education and provided an opportunity to ensure the qualitative competitiveness of the future education of the university.

      • 암환자의 심리사회영적 간호

        최화숙,김수지,Choe, Hwa-Suk,Kim, Su-Ji 한국호스피스협회 2006 호스피스 학술지 Vol.6 No.1

        Psycho-social-spiritual care should be included with comprehensive nursing care of cancer patient. Because of human being have four dimensions as physical, psychological, social and spiritual dimension and they do interactional relationship with themselves, others and God. So caregivers of cancer patient have to recognize what they have psycho-social-spiritual needs and have to consider how caregivers can combine these in comprehensive nursing care. Cancer patient will be experienced shock, feeling of crisis and fear of death and will be showed denial, anger, bargaining, depression, accept or give-up, hope, spiritual distress and spiritual needs to which help them to do some rituals or interactions according their religion. Loving attitude is essential of cancer patient care especially of psycho-social-spiritual care. Dr. Kim and her some colleques investigated about this and find out 10 concepts(Caring Behaviors) by Graunded Theory Methodology. They are Noticing, Participating, Sharing, Active Listening, Complimenting, Companioning, Comforting, Hoping, Forgiving, Accepting.

      • 보건의료전달체계 내에서의 호스피스 인력에 관한 연구

        최화숙 연세대학교 간호정책연구소 1999 간호학탐구 Vol.8 No.2

        Hospice Care should be contained of Korean health care delivery system to supply the appropriate hospice service for the more terminally ill patients and their family members.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show basic information about hospice personnel. Data was obtained from 19 hospice experts through Delphi Techniqu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 Key hospice personnel were found to be hospice coordinator, doctor, nurse, clergy, social worker, volunteers. Necessary qualifications for all personnel was that they conditions were resulted as have good health, receive hospice education and have communication skills. Education for hospice personnel is divided into (i)basic training and (ii)special education, e.g. palliative medicine course for hospice specialist or palliative care course in master degree for hospice nurse specialist.

      • KCI등재

        군 적응 상담을 위한 교육과정 내용 모형 설계

        최화숙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7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7 No.10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sign curriculum contents model of adaptation counseling in the soldier’s life. In order to attain the purpose, researcher analyzed literatures related the soldier’s life and counseling program of the soldier’s life.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the curriculum contents model of the military adaptation counseling was extracted category, domain and elements. And then, researcher conducted delphi method to valid the curriculum contents model of the provisional military adaptation counseling by constituting 5 experts of the military counseling and general counseling.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curriculum contents model of the military adaptation counseling was divided into category, domain and elements. The category consists of individual internal and external, and consists of psychological, social, and cognitive domains as individual internal domains, and military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and psychological tests as external domains. And 25 elements were extracted depending on the domains. The results for this study were to be significant in terms of proposing the curriculum contents model which is the key to develop the military adaptation counseling program model and also providing basic data for military adaptation counseling. 본 연구는 군 적응 상담을 위한 교육과정 내용 모형을 설계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군 생활 및 군 상담 프로그램과 관련된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군 적응 상담 교육과정내용 구성을 위한 범주, 영역 및 내용 요소를 추출하였다. 아울러, 군 상담 및 상담 전문가 5인을 구성하여 2차례의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다. 델파이 타당화 과정을 통해 최종적인 군 적응 상담 교육과정 내용 모형을 설계하였다. 연구 결과, 군 적응 상담 교육과정의 내용 모형은 범주, 영역, 하위요소로 구분하였고, 범주는 개인내적·외적으로 구성하였다. 개인내적 범주의 영역으로는 심리적·사회적·인지적 영역으로, 개인외적 범주의 영역으로는 군 조직 특성 및 심리검사로 구성하였으며, 영역에 따라 25개의 하위요소를 추출하여 내용 모형을 설계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군 적응 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근거를 마련하였다는 점과 군 적응 상담에 이론적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KCI등재

        다문화교육을 위한 교사 역량 영역 구안

        최화숙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2013 敎員敎育 Vol.29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e the teachers’ competency domain for the multicultural education. In order to attain this purpose, analyzed Elementary and secondary curriculum associated with multicultural content General Studies, National College of Education's teacher education curriculum and multicultural teacher training curriculum and multicultural education teacher competency category. The content categories and sub-elements of multicultural education teacher training curriculum extracted through the research process were examined through experts review. The results for this study could be arranged as follows :First, the roles of teachers for multicultural education were divided into learning and life aspects. Second, the teacher competency category for multicultural education was extracted into the knowledge, the teaching skills and the recognition and attitude for multicultural education. Third, the each sub-element were extracted according to the teacher competency category.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make sure to be applied as the basic data for multicultural teacher education curriculum model and the development of teacher training programs. 이 연구는 다문화교육을 위한 교사 역량 영역을 구안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문화교육과 관련된 초․중등교육과정, 전국 교육대학 교육과정, 교사연수프로그램 내용에 관한 현황 분석과 다문화교육 교사 역량 범주 및 요소 등을 추출하였다. 연구과정을 통해 추출된 다문화교육을 위한 교사 역량 영역은 전문가 검토를 통해 최종안을 구안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교육을 위한 교사의 역할은 학습적인 측면과 생활적인 측면에서의 역할로 구분하였다. 둘째, 다문화교육을 위한 교사 역량 범주는 다문화교육을 위한 지식, 다문화교육을 위한 교수기술, 다문화교육을 위한 인식과 태도로 추출하였다. 셋째, 다문화교육을 위한 교사 역량 범주에 따른 각 하위요소들이 추출되었다. 이 연구의 결과는 향후 다문화 교사교육과정 모형과 교사연수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학교 교육과정 개발 연구 동향과 시사점

        최화숙,권낙원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0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trend of the school curriculum development and draw its implications. In order to attain this purpose, this study reviewed the literatures of the domestic and foreign research which relate to school curriculum development. Through this research process, the trend of the school curriculum development could be listed as five categories; the significance of the school curriculum development, the teachers' perception and needs of the school curriculum development, the school curriculum development model, the resources of the school curriculum development, the process of the school curriculum development. The implications for the school curriculum development trend could be arranged as follows :First, it is common to need the active participation and professionalism extension of the teachers in the school curriculum development. Second, there was not an agreement point of the school curriculum development range. Third, it was insufficient to the case study which applied to the domestic school. Fourth, it is required to deal with the development process among the school curriculum development model.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provide current and significant points for teachers and researchers to widen the understanding for the school curriculum development.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 교육과정 개발에 대한 연구 동향을 탐색하고, 그에 따른 시사점을 얻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학교 교육과정 개발에 대한 국내․외 관련 문헌들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다섯 가지 연구 동향으로 유형화할 수 있었고, 그에 따른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과정을 통해 얻은 구체적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 교육과정 개발 연구 동향은 학교 교육과정 개발의 의의를 다룬 연구, 학교 교육과정 개발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요구에 관한 연구, 학교 교육과정 개발 모형 연구, 학교 교육과정 개발 요인에 관한 연구, 학교 교육과정 개발 과정에 관한 연구 등으로 유형화할 수 있었다. 둘째, 학교 교육과정 개발 연구 동향에서 공통적으로 시사하고 있는 바는, 교사들의 적극적인 참여와 전문성 신장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셋째, 학교 교육과정 개발의 범위에 대한 공통된 합의점이 없었다. 넷째, 국내 학교 현장에 적용한 실제의 사례 연구가 부족하였다. 다섯째, 연구 동향의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모형 연구에 있어서 모형 개발의 근거를 주로 이론적 탐색 과정에 두었다. 본 연구는 현재 우리나라에서 이슈화되고 있는 학교 교육과정 개발에 대한 연구 동향을 분석해 봄으로써 학교 교육과정 개발의 중요성과 필요성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혀 주었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