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미국 초등 사회과의 통합교육과정 실태 분석

        이은정 한국사회과수업학회 2017 사회과수업연구 Vol.5 No.1

        본 연구는 미국의 초등 사회과 통합교육과정의 실태를 분석한 것으로, 연구자는 미 국의 각 주 교육국 홈페이지를 통해 수집한 초등 사회과 교육과정 총 39개를 살펴보면서 교 육과정에서 직접적으로 통합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지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통합형 22개, 분과형 17개의 교육과정으로 분류하였으며, 통합형 22개의 교육과정을 다시 사회과 영역 간 통합의 A유형, 타 교과와 학제적 통합의 B유형, 주제 중심의 광영역형 통합의 C유형 등 세 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A유형으로는 조지아 주, B유형으로는 애리조나 주, C유형으로는 뉴햄프셔 주의 교육과정을 사례로 선정하여 통합교육과정의 실태를 분석하였다. 조지아 주에 서는 역사 영역을 중심으로 지리, 시민/정부, 경제의 네 영역이 긴밀하게 통합되어 있었다. 애리조나 주는 학제적 통합교육과정을 제시하여 사회과가 읽기, 수학, 과학과 같은 다른 교 과와 통합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뉴햄프셔 주에서는 NCSS의 주제 스트랜드와 유사하지만, 다소 변형된 10개의 주제를 바탕으로 광영역형 주제 통합교육과정을 구성하고 있다. 본 연구 의 결론은 첫째, 주제 스트랜드 방식의 통합만이 아닌 다양한 통합교육과정의 유형들이 있다 는 점, 둘째, 대체로 많은 주가 초등 전 학년에서 통합교육과정을 구성하지만, 경우에 따라서 는 일부 학년에서만이라도 통합을 하고자 하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는 점, 셋째, 저학년에 서도 세계적 관점을 갖도록 하고 있다는 것이다.

      • KCI등재후보

        초등학교 교과 교육과정의 통합 방식 연구 : 총론 개발을 위한 시사점 탐색

        김민환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0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7 No.1

        이 연구는 초등학교 교과 교육과정 개발과 관련하여 기존의 총론에서 제시하였던 교육과정 통합방식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새로운 방향을 탐색하고자 한 것이다. 우리나라 초등학교 교육과정에 통합 교육과정이 나타난 것은 4차 교육과정 때부터이지만, 통합 개념이나 방식에서 아직 통일된 견해가 정착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이에 그동안의 통합 교육과정 관점과 실태를 살펴보고, 앞으로의 개선 방향을 제시하였다. 우리나라 통합 교육과정에서 볼 수 있는 특징과 시사점을 다음과 같이 요약 할 수 있다. 첫째, 교육과정 통합의 의미가 불분명하며, 그 방식도 확고하지 않다. 교과 간 통합으로부터 활동 주제 통합으로 이행되고 있으나 기본 방식은 여전히 교과 간 통합을 완전히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둘째, ‘우리들은 1학년’ 교과만 오로지 내용 통합을 전제로 한 탈 교과 성격을 띠고 있다. 셋째, 각 교육과정 시기별 통합 방식이, 교과에 따라 서로 다르기보다, 모든 교과에서 동일하다. 넷째, 통합 교육과정의 적용 대상이 아직 1, 2학년에 한정되어 있다. 다섯째, 통합 정도가 부분 통합이 지배적이며, 7차 교육과정에 이르러 부분적으로 완전 통합으로 이행하고 있다. 여섯째, 통합 교육과정의 개발 주체가 여전히 국가이다. 이러한 점에 비추어 볼 때 앞으로의 통합 교육과정 개발에서는 다음과 같은 사항을 진지하게 고려하여야 할 것이다. 첫째, 교육과정 통합의 의미와 관점 및 준거 등을 명백하게 하여야 할 것이다. 둘째, 교육과정 통합 방식을 교과의 성격에 따라 다양하게 하여야 할 것이다. 셋째, 교육과정 통합의 대상을 1, 2학년 이상으로 확대 적용하여야 할 것이다. 넷째, 통합 교육과정 개발 주체를 국가 일변도에서 벗어나 교사들이 적극 참여하는 다원화 정책이 필요하다. 다섯째, 통합 교육과정을 효과적으로 실천하기 위한 교사 연수를 지속적이며 체계적으로 실행할 필요가 있다. 교육과정 통합에 관한 올바른 이해와 실천을 도울 수 있는 연수를 강화하여야 할 것이다. Integrated curriculum has been a topic of discussion in the field of curriculum study and the development of national curriculum since the early \ 80s in Korea. It was seen at the 4th national curriculum period for the first time, and lasted 7th national curriculum period at the elementary school level. Nevertheless the concept of integrated curriculum and the implementation has been possessed by the integration of the subject. These are still remained key tasks to solve.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identify the task of integrated curriculum at the elementary school and suggest some implications for the future integrated curriculum development. In the light of critical review of the present curriculum documents, some implications are presented as follows. First, there are no agreements on the definitions of integrated curriculum. The meanings, references and viewpoints of integrated curriculum should be identified more clearly. If the meaning of integration defined plainly, the traits and approaches of integrated curriculum shall be more distinct. Second, the approaches to integration of curriculum should be diverse with relations to the traits of different subjects. Third, it will be considered the objects of integration are extended from 1st or 2nd grade to the above grade. We will have to take into account the desires which much integration of upper class curriculum. Fourth, The main body of development of integrated curriculum is nation in Korea. Teachers have been removed from developing curriculum. More teachers take part in an activity curriculum development at the primary school level in the future. Finally, there will be more need systematic in-service education about integrated curriculum for the teachers\ right understanding and effective implementation. It seems that intensified in-service education is one of the fatal factor of successive implementation of integrated curriculum.

      • KCI등재

        기존 통합교육과정의 한계와 그 극복으로서 홀리스틱 통합교육과정

        명지원(Myung Ji-Won) 한국홀리스틱융합교육학회 2006 홀리스틱융합교육연구 Vol.10 No.1

          본 논문은 홀리스틱 시각에서 모더니즘의 한계 극복과 기존 교육의 한계 극복을 위한 홀리스틱 교육의 접근으로서의 통합교육과정에 대해 탐구한다. 우선 기존의 통합이론과 실제를 통해 통합이론의 실제를 파악하고, 어떠한 유형의 통합교육과정이 있었는지와 그 한계를 밝힌 후, 그 한계의 극복으로서의 홀리스틱 교육과정 통합 방향을 논한다. <BR>  ‘홀리스틱 통합교육과정’은 ‘홀리스틱’이라는 용어 자체가 ‘통합교육과정’을 전제하기에 통합교육과정의 논의는 핵심적인 논의이다. "큰그림(big picture)"은 교육과정 설계의 기본인 통합과 맥락의 개념이며, 귀납과 연역의 상호보완적인 나선형적 교육과정이다.<BR>  홀리스틱 통합교육과정의 단계는 전달(transmission), 교호(transaction), 변용(transformation) 단계에서 통합의 수준을 고려하고 있다. 학문의 통합과는 전달 단계는 다학문적(multidisciplinary) 접근, 교호작용단계는 간학문적(interdisciplinary) 접근, 변용 단계는 탈학문적, 다시 말해, 학문을 초월한(transdisciplinary) 접근을 통해 교실과 그 밖의 세계 사이의 틈을 연결하고, 학습자의 흥미와 질문을 반영하는 상황 구체적인 접근을 통해 생명의 네트워크를 강조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characteristics,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holistic education for a new curriculum paradigm and design. Also, this study suggests an integrated curriculum model from a perspective of holistic education.<BR>  This study indicates that the future curriculum will be a transformation model, characterized as balance, inclusion and connection. The new transformation model concentrates on encountering between the student and the teacher, intrinsic self and the creative talent. In particular, it permits the flexibility of curriculum paradigm.<BR>  The post-modern perspective involves the restoration of meaning and the demolition of modern paradigm that separates bricks of truth and values and facts, and curriculum. The fundamental pursuit is the search for meaning. The post-modern education emphasizes the deconstruction of grand narrative of modern education. The post-modern paradigm of curriculum seeks to restore wholeness of human. The phenomenological curriculum approach focuses the wholeness of humanity and emphasizes interconnection of body and mind.

      • KCI등재

        Ken Wilber의 4상한이론(AQAL)을 토대로 한 Eisner의 교육과정 유형 분석

        김복영 한국홀리스틱융합교육학회 2011 홀리스틱융합교육연구 Vol.15 No.3

        이 연구는 여러 학문 분야에서 이른바 통섭과 통합을 주장하고 있는 시점에서, 자아초월심리학 분야의 대가로 인정받고 있는 Ken Wilber의 통합이론, 즉 4상한 이론을 근거로 통합교육과정에 적용하여 그 시사점을 얻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먼저 Wilber의 사상적 배경, 통합이론을 살펴보고, 교육과정학 분야에 새로운 관점을 제시한 Eisner의 5가지 교육과정 유형(orientations), 즉 인지발달 과정 중심 교육과정, 학문적 합리주의 교육과정, 인간중심 교육과정, 사회적응과 재건으로서의 교육과정, 공학으로서의 교육과정에 관해 논의하였다. 이러한 Eisner의 교육과정 유형과 이들 유형에 속하는 교육과정학자들을 Wilber의 4상한 이론에 적용하여 그림으로 나타냈다. 그 다음으로 환경이라는 실례로 초등학교 통합교육과정의 접근법을 표로 제시하였고, 통합교육과정의 방향을 그림으로 나타냈다. 결론으로 Wilber의 통합사상이 지나치게 서구 중심적・비전논리 중심적으로 동서양의 차이를 무시하고 단선적인 진화론과 획일적 탈형이상학적 관념론에 기반을 두고 있다고 비판을 받고 있지만, 앞으로 교육학 분야, 특히 교육과정 분야에서 계속적으로 연구해 볼 가치가 있다고 본다. At a time when almost all fields of disciplines pursue consilience, fusion, and so forth, this study investigated integral philosopher Ken Wilber's integral theory and its application to integrated curriculum. In order to this, Wilber's philosophical backgrounds and his AQAL (All Quadrants, All Levels) approach was described in detail. After that, famous curricularist Eisner's five orientations in the field of curriculum theory were delineated as follows: development of cognitive processes, academic rationalism, personal relevance, social adaptation and social reconstruction, and curriculum as technology. On the basis of Wilber's AQAL approach, Eisner's five orientations as well as curricular scholars were shown in each quadrant in figures. In conclusion, in spite of weaknesses of Wilber's integral theory, there are much room for the implications of his theory on curriculum studies.

      • KCI등재

        초등 예비교사들의 통합교육과정에 대한 개념인식 및 단원 재구성 사례연구

        김경자,온정덕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교육과학연구소 2012 교육과학연구 Vol.43 No.2

        이 연구에서는 통합교육과정을 학습자들이 내용을 서로 관련시키면서 이해하고, 그 이해의 결과물로 창의적 수행을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간학문적 교육과정 조직의 원리로 보았다. 이러한 관점에서 초등 예비교사들이 통합교육과정의 개념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살펴보았고, 예비교사들이 전통적인 방식과 이해를 목표로 하는 백워드 설계에 따라 통합교과의 단원을 재구성했을 때 어떠한 차이점들이 있는지를 분석하였으며, 단원 재구성 후에 예비교사들의 초기 인식에 변화가 있었는지를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예비교사들의 초기 인식은 통합교육과정을 통합교과를 가르치는 것과 동일시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전통적인 방식으로 단원을 재구성했을 때에 의사결정을 행사한 영역은 주로 교수․학습 활동이었던 반면, 백워드 설계에 따라서 단원을 재구성하였을 때에는 교육내용과 평가 및 교수․학습 활동 모두를 통일성 있는 하나의 틀 안에서 인식하고 재구성을 하기 시작하였다. 단원 재구성 이후 예비교사들은 통합교육과정을 이해를 목표로 하는 간학문적 교육과정 원리로 인식하기 시작하였으나, 교육내용을 사실, 개념, 일반화, 탐구과정으로 추출하고 일반화에 도달하도록 도와주는 핵심질문을 구성하는 것의 어려움을 토로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우리나라 교원양성교육과정과 국가교육과정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We take the perspective that an integrated curriculum should help students relate ideas from different subject areas and reveal their understanding of interdisciplinary concepts through performance. In this study, we examined how a group of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conceptualized an integrated curriculum, and explored if there were any changes in their perception before and after they were involved in two different ways of reconstructing the curriculum. Also, we analyzed if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ir curricular and instructional decision making when they redesigned the same unit by using both the backwards design (i.e. Understanding by Design) and a traditional one. The study findings provide implications for how the national curriculum in Korea can be redesigned to help pre-service as well as in-service teachers identify key ideas around which curriculum can be integrated and to view the integrated curriculum as the underlying logic for curriculum design.

      • KCI등재

        국어과 교육과정에 나타난 국어과 통합 교육에 대한 고려 양상

        김명순 ( Myoung Soon Kim ) 국어교육학회 2011 國語敎育學硏究 Vol.41 No.-

        본고에서는 1차 교육과정부터 2011 개정 교육과정에 걸쳐 국어과 교육과정에 나타난 국어과 통합 교육의 접근 양상을 살폈다. 국어과 교육 일반적으로 통합 교육의 필요성은 언어 사용의 실제, 언어의 도구성, 국어과 교육의 현실 여건, 유기체의 생물적 특성, 학습자의 발달심리적 특성, 학습의 효율성, 교육의 실세계 대응력과 관련되는 측면에서 제기되어 왔다. 국어과 교육과정에서는 기본적으로 통합 교육을 인정하고 긍정하는 입장을 보이고 있었다. 1차, 2차 교육과정에서는 통합 교육의 필요성을 충분히 인식하고 있으며 그 근거를 언어 사용의 실제에서 찾고 있었다. 3차 교육과정에서도 1차, 2차 교육과정의 맥을 잇고 있었다. 이후 2007 개정 교육과정에 와서 국어과의 통합 교육에 대한 안내가 상세화되고 통합 교육의 근거가 다변화되는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가장 기본적으로 언어의 총체성을 근간으로 하여 통합 교육을 강조하는 점은 변함이 없었다. 이점은 가장 최근의 2011 교육과정에서도 동일하게 나타난다. 다음으로 교육과정에 나타난 통합의 범위와 대상에 대해 살펴보았다. 교과 간 통합 지도에 대한 강조는 주로 초창기 국어과 교육과정에 집중적으로 나타나는 경향이 있었다. 1차, 2차 교육과정에서는 교과 간 통합에 대해 매우 적극적인 입장을 보이고 있었다. 3차 교육과정에서도 기본 정신이 이어지고 있었다. 4차 교육과정 이후부터 현재까지 국어과 교육과정에서 말해 온 주요 통합 지도는 영역 간 통합 지도였다. 영역 간 통합은 언어 사용 영역 사이의 통합과 언어 사용 영역과 그 외 영역의 통합으로 구분해 볼 수 있었다. 언어 사용 영역 사이의 통합은 주로 고등학교 심화과목 교육과정에서 나타나는 경향이 있었다. 영역 내 통합의 언급은 2007 개정 교육과정에서 나타나기 시작했다. 이는 2007 개정 교육과정에서의 ``내용 요소`` 신설과 관련되어 있다. 영역 내 통합의 정신은 2011 개정 교육과정에서도 이어지고 있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spect of integrated approach to literacy instruction which was presented from the 1st Korean Language Curriculum to the 2011 Revised Korean Language Curriculum. As a results, a few aspects related integrated approach to literacy instruction were discovered such as followings. Basically, it was revealed the position that recognizes the necessity of integrated approach and recommend the use of it in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From the 1st Korean Language Curriculum to the 3rd Korean Language Curriculum, the necessity of integrated approach was emphasized based on the totality of the activities of use language. In the 2007 Revised Korean Language Curriculum, various bases for the necessity of integrated approach was presented. But in the 2007 Revised Korean Language Curriculum and the 2011 Revised Korean Language Curriculum putting a stress on the totality of the activities of use language was the common with the previous Korean Language Curriculum. Integrated approach between the subjects was mainly showed in the 1st Korean Language Curriculum and 2nd Korean Language Curriculum. After the 4th Korean Language Curriculum, the integrated approach between the fields was placed emphasis on. It was classified integrated instruction between the fields. One is integrating speaking and writing and listening and reading, and the other is integrating the fields of grammar and literature and those of listening, speaking, reading and writing. The first has a tendency to appear in the elective curriculum in the high school. Integrated approach in the same field was introduced in the 2007 Revised Korean Language Curriculum and the 2011 Revised Korean Language Curriculum. This was related to newly-established the contents elements in the 2007 Revised Korean Language Curriculum. This study will provide valuable aid for those who are in search of information about the integrated approach in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 KCI등재

        중국의 초등학교 통합교육교육과정 실행의 문제와 과제

        류팅팅 ( Tingting Liu ),박창언 ( Chang Un Park )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2014 통합교육과정연구 Vol.8 No.2

        본 연구는 중국의 초등학교 통합 교육과저의 실행 과정에 나타난 문제점을 밝혀내고 나아가 개선할 과제를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 목적 달성을 위해 중국의 교육과정체제 및 통합교육과정의 변천 경과를 살펴보고, 중국의 통합 교육과정 구조와 현황에 대해 살펴보얐다. 그리고 통합 교육과정 실행에 다른 문제와 과제를 노의하였다. 논의 결과 통합교육과저이 보격적으로 도입되기 전애 교사가 교과를 통합시킬 수 있는 전문적 능력을 개발하기 위한 제반 노력이 부족하였으므로, 교육현장에서 통합 제대로 실천되는데 제한이 발생하고 있다. 교육현자에서는 통합 교육과정의 실행에서 질적 부분 보다는 양적인면에 치중하는 문제, 교수 방법 문제, 교사 개인 능력의 제한으로 인한 문제 드이 드러나고 있다. 또한, 통합교육과정을 개발할 때 다양한 자원을 활용해야 하지만 중국 서부 및농촌과 같은 낙후 지역에 인적 자원 부족과 도서관, 미디어 등과 같은 교육환경의 시설부족으로 통합교육과저의 질이 도시에 비해 낮다는 문제도 나타나고 있다. 이에 따른 초등학교 통합교육과정의 실행을 개선할 과제로 교사 훈련 및 낙후 지역에 인적 자원 및재정 자원을 지원할 필요가 있다고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presents the development of the integrated curriculum(IC) in Chinese primary schools in future. IC is included in the basiccourse system duiing the eighth course reform in China. The schools also retain the autonomy in developing their own curriculum which suite their needs. Thereby, China has formed the system for the management of curriculums on national, China has formed the system for the management of cutticulums on national, local and school level, Under this system, teachers are allowed the freedom to selecting the content of courses, and carrying out their teachingactivities. However, due to the difference between the teachers, teaching styles and their abilities to convey ideas, along with their abilities to cooperate withother teachers, problems such as the IC focuses more on quantity rather thanquality, teaching method does not match the request of IC and so forth havesurfaced, In addition, due to the shortage of trachers and inadequate infrastructure,there is a significant gap between city and the less developed regions such as western and rutal provinces on the development of IC. so the quality of IC inthese areas is low and are resented as a mere formality. with regard to this, this study proposes that if we intend to improve the quality of IC, we need to focuson the teaining of teachers on IC, and also increase in investment of the educational infrastructure in backward areas.

      • KCI등재

        통합교육과정의 교육적 이상에 근거한 초등예비교사들의 지식, 학습, 수업의 개념 분석

        박기용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2018 통합교육과정연구 Vol.12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deal of the curriculum integration and to relate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 epistemological belief and meaning of instruction. The ideal of the curriculum integration was analyzed and synthesized based on the John Dewey’ ‘Democracy and Education: An introduction to the philosophy of education’(1916).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 epistemological belief was tested using the Chan and Elliott(2004)’s ‘The epistemological belief questionnaires,’ The simple free-response essay test was provided to the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for identifying the meaning of instruc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following. Firstly, 10 ideals of the curriculum integration were selected from the John Dewey’ ‘Democracy and Education’(1916). Secondly, there was no certain or consistent patters in the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 epistemological belief, therefore, relating the ideal of the curriculum integration to the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 epistemological belief was impossible. Thirdly, there is no certain differences between the ideal of the curriculum integration and the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meaning of instruction. The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emphasized communication, interaction, experience, and growth in education according to the their essay. Lastly, the results of analysis of objectives that were written by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the meaning of instruction who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was not yet established. Instruction is merely delivering the knowledge to children and students has to remember, understanding, and apply the knowledge learned that is unrelated to the real life. 통합교육과정은 통합교과에만 적용되는 것이 아니라, 현실교육이 나가야할 방향을 근본적으로 제시한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교사가 통합교육과정의 가치를 학교에서 실현하려면, 국가가 개발한 통합교육과정뿐만 아니라 그것이 지향하는 본질적 이상과 가치를 내면화해야한다. 이 내면화에는 필연적으로 상당한 경험과 성찰이 요구되므로, 교사교육단계에서부터 예비교사들은 올바른 지식관, 학습관, 교육관을 가질 수 있는 경험을 해야 한다. 그러자면 우선은 통합교육과정이 지향하는 교육적 이상과 예비교사들이 가지고 있는 교육적 이상 간의 격차를 확인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이러한 관점에서 우선 통합교육과정이 지향하는 교육적 이상을 Dewey의 ‘Democracy and Education(1916)’에서 분석 및 종합하여, 최종 10개로 선정하였고, 이를 기준으로 초등예비교사가 가지고 있는 지식, 학습, 수업의 개념과 비교한 후, 두 개의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예비교사들은 통합교육과정이 지향하는 교육적 이상과 대조해볼만한 지식과 학습에 관한 자신만의 패턴과 양식 즉, 인식론적 신념 자체가 아직 발달하지 않았다. 일관성 있는 신념이 나타난 예비교사는 44명 중 9밖에 없었으며, 그마저도 3명만이 세련된 신념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합교육과정의 인식론적 명제와 비교적 유사한 측면을 가지고 있는 예비교사는 44명 중 3명밖에 없었다. 둘째, 예비교사들이 이상적으로 ‘생각’하는 수업은 통합교육과정의 교육적 이상과 큰 차이가 없었다. 예비교사들이 생각하는 이상적 수업은 의사소통, 상호작용, 경험, 성장을 강조하고 있다. 그러나 이들이 “직접 만든” 수업계획서에 포함된 목표를 분석한 결과, 예비교사들은 아직 수업에 관한 의미가 확립되어 있지 않았다. 더욱이 이들이 만든 목표가 지향하는 수업은 학생들의 삶과 유리된 지식을 전달하여 학생들이 그 지식을 기억, 이해, 적용(생활과 무관한 단편적 문제해결이나 계산)하도록 하는 그런 수업이었다.

      • KCI등재

        독일의 1990년 통일 전후 과도기의 교육과정 통합

        김진숙(Kim, Jin-Sook),김창환(Kim, Chang-Hwan) 한국비교교육학회 2015 比較敎育硏究 Vol.25 No.6

        동서독 통일이 성공한 요인 중 하나는 통일 전후 과도기에 진행된 정책의 효율성이다. 본 연구는 동독과 서독의 통일 ‘과도기’와 이 시기 동서독간 교육과정 통합의 특징을 분석하고 한국 상황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함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결과 독일 통일의 과도기는 1989년 11월 베를린장벽사건 이전부터 1990년 10월의 통일, 1994년에 이르기까지의 약 5년에 걸친 과정이며, 군사교과 폐지 등의 동독자체개혁기, 동서독 교육위원회시기, 잠정조치시기, 통일 후 법령제정기 등 주요 교육과정 관련 정책 및 교육법의 발표를 중심으로 6개의 시기로 구분되었다. 과도기 동서독 교육과정 통합의 특징은 절차적으로 서독 중심, 자매주 체제적용, 긴급-이행-잠정조치로서 법과 교육과정에서의 통합이고, 내용으로는 학제변화, 주당시수의 증가, 교육외적 이유로 인해 교과 일부가 폐지, 대체, 변화, 신규로 교육과정을 구성하는 ‘이식(移植)’형 통합의 형태를 가졌다. 독일 과도기의 교육과정 통합 경험을 한국의 통일 상황에 적용할 경우 과도기를 3~5년으로 상정하며, 과도기 기간중 이전 체제의 일부 유지, 남북한교육과정통합위원회와 같은 남북한 공동의 교육과정 통합 방안 도출안을 제안하였다. One of the reason why German unification was successful is the efficient policies implemented during the transition period of unifi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fine the transition period of German unification, to analyze the characterstics of curriculum integration and its implecation to Korea. the transition period of German unification lasted from November 1989, the fall of Berlin wall to 1994, the building time of publishing new educational law and curriculum of unified German. The transition period was divided into 6. First characteristics of curriculum integration during German unification was West German based, a sister-Lander affiliation and stepwise procedure of emergency measures-measure of execution- tentative measures. Second is the characteristics of curricumlum integration itself those are the change of education system, the increase of learning hours in school and the change of subjects, I.e. the abolition, replacement, change of subjects and new ones. Especially the pattern of subject change was the transplantation of West German curriculum to East German. The implications of German unification case to Korea are as follows: First, the definition of transition period is “the period that lasts from the movement of unification till the buildment of new curriculum and new law of one Korea. And the period will be 3 or 5 years during the unification. Second, during the transition period, the some ex-system of South and North Korea will be in the schools. Third, the integrated national curriculum of South and North Korea is the best when it is made by the South-North curriculum integration committee.

      • KCI등재

        장애학생의 교수적 통합을 위한 교육과정 차원의 지원 방향: 한국과 일본의 교육과정에 제시된 지침을 중심으로

        박남수 ( Park Nam-su )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9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20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일반학교에서 통합교육을 받고 있는 장애학생의 교수적 통합을 위한 교육과정 차원의 지원 방향에 대해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과 일본의 국가 수준 교육과정에 제시된 통합교육 관련 지침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한국의 교육과정에서는 장애학생의 통합교육에 대한 지침이 총론에만 제한적으로 제시되고 있어 장애학생의 교수적 통합에 도움을 주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반면, 일본의 교육과정에서는 총론에서의 개괄적인 지침과 더불어 각 교과 및 교과외 교육과정, 그리고 교육과정 해설서에 장애학생의 통합교육에 대한 지침이 다양한 수준과 범위에서 제시되어 있어 교수적 통합에 실질적인 도움을 주고 있었다. 하지만 이러한 지침은 각 교과 및 교과외 수업에서 장애학생이 직면할 것으로 예상되는 일반적인 학습곤란 상황을 중심으로 제시되고 있어 장애유형에 따라 다양한 특성을 지닌 학생들의 교수적 통합과 관련한 방향을 제시하는 데는 한계가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장애학생의 교수적 통합을 위한 교육과정 차원의 지원 방향으로 총론에서의 교수적 통합을 위한 방향 제시와 더불어 각론에서는 이러한 총론의 지침에 토대해서 각 교과나 교육활동의 성격과 학생의 장애 유형별 특성을 고려한 교수적 통합을 위한 지침의 제시가 필요함을 지적하였다. 또한 교육과정 해설서 및 교사용 지도서에는 이러한 지침을 반영한 교육과정 수정 전략과 사례들이 보다 체계적이고 다양하게 제시될 필요가 있음을 지적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direction of support on the curriculum-level for curricular inclusion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To this purpose, I analyzed the guidelines presented on the national curriculum in Korea and Japan. As a result of this analysis, in the curriculum of Korea, guidelines for curricular inclusion of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is briefly presented in the general part only, so there is a limit to practical assistance for the curricular inclusion of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each subject class. On the other hand, in the curriculum of Japan, guidelines on the curricular inclusion of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were presented in detail in the general part, as well as in the subjects and extra subject, and they provided practical support in each class. However, these guidelines focus on the learning difficulties that students with disabilities will face in situation of each class, and thus they have limitations in presenting practical directions related to the curricular inclusion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disability area. Based on these results, I discussed the necessity of guideline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ubject and disability area in the curriculum for the curricular inclusion of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tegrated into the general cla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