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교육의 변화와 도덕.윤리과 교육의 방향

        조난심(Nansim Cho)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07 도덕윤리과교육 Vol.- No.25

        이 글에서는 2007년 도덕과 교육과정을 개정․고시한 시점에서 학교의 도덕․윤리과 교육을 좀더 거시적인 한국 교육의 변화 흐름 속에서 살펴보고, 향후 도덕․윤리과 교육이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먼저, 교육에 큰 영향을 미치는 한국 사회의 전망으로 지식기반 사회와 정보화 사회의 고도화, 세계화의 진전, 다문화 사회의 도래 및 학령인구의 급감 문제를 살펴보았다. 이러한 사회 변화에 대응하여 학교교육에서는 1) 미래사회에 필요한 기초 소양과 핵심능력 육성, 2) 학습자의 교육 내용 및 교육 활동 선택권 확대, 3) 학교교육의 질적 심화와 수월성 교육 강화, 4) 유비쿼터스 기술이 통합된 교수학습 체제 구축 등의 노력이 필요하다는 것을 논의하였다. 우리는 도덕․윤리과 교육을 이러한 학교교육 변화의 한 부분으로 인식할 필요가 있으며, 도덕․윤리과 교육 고유의 상황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곧 변화하는 학교교육의 흐름 속에서 도덕․윤리과 교육은 1) 보편윤리의 추구를 확대하여 좀더 폭넓은 인문교육을 도덕․윤리과 교육에 접목, 2) 미래 사회에서 요구되는 핵심역량으로서의 도덕성 부각, 3) 포스트모더니즘적 지향에 대응하여 도덕․윤리과 교육의 접근 방법 및 내용의 변화 등을 검토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도덕․윤리과 교육의 변화를 위한 연구와 실천 방안으로 도덕․윤리과 교육의 정체성 강화와 도덕․윤리과 교육 연구 외연의 확장 및 고교 수준의 윤리과 교육의 전문성 심화를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uggest the directions of Moral/Ethics Education in the context of changes of Korean education according to the new social trends. Especially, in the new Moral Education curriculum which was notifi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 Development in the year of 2007 the main content was reformed in accordance with the current social and ethical issues. Nowadays, the social trends like knowledge-based society, information society, globalization, multi-cultural society and rapid decrease of school-age children in Korea has influenced to the school education. Corresponding to the social trends, school education is trying to change. Schools try to foster students' basic literacies and key competencies, to enlarge elective courses and educational activities, to enhance the quality of school education and excellency education, and to introduce the ubiquitous teaching-learning system. The Moral/Ethics Education is a part of this changing school. And we should consider the future directions of the Moral/Ethics Education in this context. The recommendable future directions of Moral/Ethics Education are as below. 1) integrating liberal education to the Moral/Ethics Education through enlarging the universal ethics education, 2) focusing morality as one of the key competencies for the future society, 3) changing the content and method of the Moral/Ethics Education. Lastly, the way of research and practice of the Moral/Ethics Education was suggested for change. Those were enforcing the identity of the Moral/Ethics Education, enlarging the scope of the Moral/Ethics Education research community, and deepening the depth of high school ethics education.

      • KCI등재

        초・중・고 도덕・윤리 교과교육 연구활동의 변천

        서강식(Kang Sik Suh)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05 도덕윤리과교육 Vol.- No.20

        광복 이후의 도덕교육은 사회과의 공민에 포함되어 시작되었다. 제3차 교육과정 시기에 이르러 도덕과가 교과로 설정되었고, 이후부터 도덕․윤리교과와 관련된 전공학위 논문의 수가 꾸준하게 증가하여 제7차 교육과정시기에는 거의 18 배 정도 증가하였다. 도덕․윤리교과 연구는 국민윤리학회와 한국교육개발원이 주축이 되어 이루어졌는데, 제4차 교육과정 시기에 도덕교육에 인지적 접근이 도입되면서 콜버그와 관련된 연구가 많이 수행되었다. 1980년대 초에 전국 국립대학교 사범대학을 중심으로 국민윤리교육과가 설치되었고, 전국 교대 윤리교육과 교수들을 포함하여 동과 소속 교수들이 주축이 되어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를 창립함으로써 새로운 교과교육연구집단이 등장하였다. 1996년에는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가 창립되었고, 전국 교대 교육대학원에 윤리교육전공이 개설됨으로써 교과교육 연구가 더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1998년에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이 창립되면서 도덕・윤리교과 교육과정과 평가에 관한 연구가 체계적으로 이루어졌다. 제7차 교육과정 시기에 이르러 도덕교육의 접근 기조가 통합적 접근으로 바뀌었는데, 이 시기 동안 교과 교육연구는 양적 및 질적 도약을 가져왔다. 앞으로 도덕․윤리 교과교육학의 학문적 토대를 튼튼하게 하기 위해 도덕교육이론을 비롯한 여러 분야의 연구가 보다 활발하게 이루어져야 하며, 특히 도덕 교과의 성격과 목표, 내용 등에 관해 심도 있는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Since 1945, July 15th, moral education was done within civic subject education. At 1972 Augst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was established, and many moral education research was conducted by KEDI. At the 3rd moral curriculum era, moral education was conducted by the form of a moral subject education. It was titled 「moral」and was taught 2 period per week in school. Since 3rd moral curriculum era, numbers of thesis for moral education was increased steadily. At the 4th moral curriculum era, cognitive development approach in moral subject education was introduced, and many studies was centered on Kohlberg's moral education theory. In 1980s, there were established many Department of National Ethics Education in national and private university. Professors of Department of National Ethics Education established 'The Korean Society for Moral & Ethics Education(KSMEE)'. In 1996, 'Korean Elementary Moral Education Society(KEMES)' was established by professors of eleve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all over the country. In 1998, 'Korea Institute of Curriculum & Evaluation' was established. Really many moral subject education was conducted by KICE. At the 7th moral curriculum era, moral education studies have got a great jump in quantity and quality. But we have to study for moral education theory, teaching-learning theory, curriculum and evaluation theory and so on. We should make a strong basis for moral subject education.

      • KCI등재
      • KCI등재

        미래사회의 특성과 도덕․윤리과 교육의 정체성

        임용경(Lim Yong Kyoung)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07 도덕윤리과교육 Vol.- No.25

        본 연구는 도덕․윤리과 교육이 급변하는 미래 사회에서 정체성을 확립하기 위해 요구되는 과제를 탐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먼저 미래 사회의 특성과 그에 따른 교육 일반 및 도덕․윤리과 교육의 변화 방향을 탐색하였고, 다음으로 정체성 논란의 근원과 쟁점을 검토 하였으며, 마지막으로 미래사회에서의 정체성 확립을 위한 과제를 제시하였다. 미래사회는 유비쿼터스 네트워크가 고도로 발달하고, 이를 토대로 창의적 지식이 사회발전의 동력이 되는 지식기반사회가 될 것이다. 이에 따라 학습형태는 학습자 중심의 개별화 및 적시형 학습으로 바뀌게 되고, 전통적인 학교제도 또한 많은 변화를 겪게 될 것이다. 이러한 미래사회 속에서 도덕․윤리과 교육이 고유한 역할을 담당할 수 있기 위해서는 교과 나름대로의 존재 이유, 즉 정체성을 지니고 있어야 한다. 그런데 그 동안 우리의 도덕․윤리과 교육은 교육과정과 교육주체라는 두 측면에서 자폐성, 망라성, 주체성의 세 기준을 따라 검토했을 때 전반적으로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첫째, 자폐성의 측면에서 볼 때, 다양한 인접학문들이 병렬적으로 나열되어 있을 뿐 이를 유기적으로 통합시킬 이론적 토대가 없었다. 둘째, 망라성의 측면에서 보았을 때, 외형상 다양한 요소를 망라한 것 같으면서도 정작 중심적인 이론이 없어 교과의 목표, 내용, 방법, 대상 등을 일관성 있게 설명 하지 못하였다. 셋째, 주체성의 측면에서 보았을 때, 타력에 의한 압축적 근대화를 거치면서 한국 사회에서의 바람직한 삶의 모습에 대해 주체적 문제의식을 가질 겨를이 없었고, 이것이 자폐성과 망라성의 결여를 불러온 근본적 요인이 되었다. 향후 도덕․윤리과 교육이 그 동안의 정체성 논란을 해소시키고 미래사회에서 정체성을 지속해 나가기 위한 과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폐성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학문적 배경을 윤리학으로 하되 동양과 서양의 전통적인 개인윤리학과 사회윤리학을 아우르는 깊이를 지녀야 할 것이다. 둘째, 망라성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윤리학을 중심으로 미래사회의 도덕․윤리과 교육과 관련이 깊은 도덕심리학이나 정보윤리, 생명윤리, 환경윤리 등을 유기적으로 포괄해야 나가야 할 것이다. 셋째, 이러한 모든 노력은 보편적 윤리를 지향하되, 그 출발은 미래 한국인의 삶을 도덕적으로 이끌어 나가고자 하는 주체적 태도에서 비롯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준비 없이 미래사회를 맞이한다면, 우리는 또 다시 타력에 의한 근대화와 더불어 시작되었던 정체성 혼란을 다시 겪게 될 가능성이 높다. In this study, I studied the identity which moral education should have to implement in the rapidly changing future society. Future society is an information society which has highly developed ubiquitous network and this is also a knowledge-based society that creative knowledge becomes the major power of social change. Therefore, the form of study will change to individualization and we can predict the de-schooling of traditional school system. In the future society, moral education should have its own identity to play its own role. However, according to three standards of closure, completeness, subjectivity, our moral education has weak closure, completeness and subjectivity. To establish identity in the future moral education, we have to study continually to improve our weakness. And, in this procedure, we especially need to focus on the following points. First, to enhance the characteristic of closure, we have to choose ethics as an academic background. Second, to enhance completeness, we have to embrace the moral psychology and the information ethics. Third, all these efforts should head for the universal ethics but should start with subjectivity.

      • KCI등재

        종래의 교육과정에 따른 중·고 도덕과 교과서 개발의 역정

        정세구(Jung Se-Ku)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06 도덕윤리과교육 Vol.- No.22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중학교 ‘도덕’, 고등학교 ‘(국민)윤리’교과서(교사용 지도서 포함)의 개발 역정을 제3차 교육과정기로부터 제7차 교육과정기에 이르기까지 밝힌 것이었다. 제3차와 제4차 교육과정기는 한국교육개발원이 중학교 ‘도덕’, 고등학교 ‘국민윤리’교과서 개발을 전담했던 시기였다. 중학교 ‘도덕’은 학년별 1권씩 3권이 편찬되었는데 교과서 내용선정원칙은 전통적인 윤리학설과 4개 생활영역에 근거하였고, 고등학교 ‘국민윤리’교과서는 전 학년 1권이 편찬되었는데 반공교육과 발달과업 실현의 원리와 가치관 형성의 원리에 따라 편찬되었다. 교과서의 외형적 체제는 중학교 ‘도덕’, 고등학교 ‘국민윤리’ 모두 국판의 소형, 흑백 인쇄의 수준이었다. 제5차 교육과정기는 한국교육개발원이 중학교 ‘도덕’교과서 개발을,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국민윤리교육과에서 고등학교 ‘국민윤리’교과서 개발을 담당한 역할 분담의 시기였다. 중학교 ‘도덕’은 권수나 내용 선정원칙 모두 제3, 4차와 거의 같았다. 고등학교 ‘국민윤리’ 교과서는 종전과 같이 3개 학년 1권이 편찬되었는데 한국인으로서 바람직한 윤리관이나 윤리체계를 갖게 하는데 역점을 두었다. 교과서의 외형적 체제는 종전과 별 차이가 없었다. 제6차와 제7차의 교육과정기는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국민윤리교육과에서 중학교 ‘도덕’교과서와 고등학교 ‘윤리’교과서의 개발을 둘 다 담당한 시기였다. 제6차에서 중학교 ‘도덕’은 종전처럼 3권이 편찬되었는데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의 연구 결과에 따라 내용선정원칙을 정하였다. 고등학교 ‘윤리’는 전 학년 1권인데 내용선정 원칙으로는 한국인으로서의 바람직한 윤리적 인식체계와 이념적 시각을 갖게 하는 것이었다. 제7차에서는 교육과정체계가 근본적으로 변경되어 중학교 1학년부터 고등학교 1학년까지가 ‘도덕’, 고등학교 2~3학년에는 ‘시민윤리’ ‘윤리와 사상’ ‘전통윤리’의 3개 선택과목을 개설하였다. 그에 따른 새 교과서가 편찬되었고, 교과서는 종전에 비해 거의 2배 크기의 판형, 총천연색 사진과 고급지질 등 모든 면에서 선진국형 수준의 교과서를 편찬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the textbook of moral education for the middle school students, and of (national) ethics education for the high school students was developed and edited from the 3rd curriculum period to the 7th curriculum period in Korean secondary schools. The 3rd(1973, 1974-1981) and 4th curriculum periods(1981-1987, 1988) were the time when Korean Education Development Institute took charge of the development of moral education textbook for the middle schools students and of national ethics education textbook for the high school students. The moral education textbooks for the middle schools student, 3 books for each school year, were developed on the theoretical basis of traditional ethical theories, i.e., the deontological and the teleological, while the national ethics education textbook for the high school, 1 book for 3 years, was developed on the principle of anti-communism education plus the realization of values formation The 5th curriculum period(1987, 1988-1992) was the time when KEDI and the Department of National Ethics Education, College of Educ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hared the responsibility of developing secondary textbooks of moral education for the middle school students and of national ethics education for the high school students. The principle of content selection for the moral education in the middle school was very similar to that of 3rd and 4th curriculum period, while that of content selection for the high school was drastically changed to the extent that desirable ethical views and ethical systems of Korea were very emphasized. The 6th(1992-1997) and 7th curriculum periods(1997-2007) were the time when the Department of National Ethics Education, College of Educ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took charge of the development of moral education textbooks for the middle and high schools. However, the textbooks of moral education for the middle school students and of ethics education for the high schools students for the 6th curriculum period were very similar to that of the 5th curriculum but those for the 7th curriculum periods were drastically changed from that of the 6th curriculum: the new 7th curriculum designed 'Moral Education' from the 1st grade in the middle school to the 1st grade in the high school(4grades) plus 3 selective courses of 'Citizen Ethics', ’Ethics and Thoughts', 'Traditional Ethics'. The textbook for the 7th curriculum period showed a very dramatic progress in its appearance and quality of edition to the extent that we can usually meet in the most of development countries.

      • KCI등재

        도덕과교육에서 도덕적 시민 교육의 학문적 근거와 내용 체계

        김상돈(Sangdon Kim)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09 도덕윤리과교육 Vol.- No.28

        본 연구는 도덕과교육에서 도덕적 시민 교육의 위상, 학문적 근거 및 내용 체계에 관한 연구이다. 2007년 2월에 고시된 새로운 도덕과교육과정은 도덕적 시민 교육보다는 도덕적 인간 교육에 초점을 두고 있다. 하지만 도덕적 시민 교육은 역사적으로 도덕과교육에서 도덕적 인간 교육과 대등한 지위를 가지고 있었다. 인간과 국가의 필연적 관계는 도덕적 시민 교육의 이론적, 학문적 정당성을 옹호한다. 도덕적 시민 교육의 학문적 근거는 주로 정치철학을 중심으로 제시될 수 있다. 하지만 도덕적 인간 교육에 도덕철학이 유일한 학문적 근거가 될 수 없고, 도덕심리학이나 도덕사회학 등이 중요한 학문적 근거가 될 수 있는 것처럼, 도덕적 시민 교육에 있어서도 정치철학 외에 정치심리학, 정치사회학, 정치문화론 등이 학문적 근거가 될 수 있다. 도덕적 시민 교육의 학문적 근거가 풍부하게 제시될 수 있다면 도덕적 시민교육의 내용 역시 2007년 개정 도덕과교육과정의 그것보다는 더욱 풍부해져야 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논문은 도덕적 시민 교육의 내용 체계의 안을 제시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rticulate the status of moral citizen education, academic grounding and the contents of it. The new curriculum of moral subject education announced in 2007 is focused on moral man education rather than moral citizen education. However, the history of moral education in Korea shows that moral citizen education is equivalent with moral man education. The necessary relationship of man and state, too, justifies that. The grounding of moral citizen education is given primarily by political philosophy. But, other spheres of politics which have a normative message can be also serve as background of moral citizen education. This is as like as moral philosophy cannot be a sole academic source in moral man education. Moral man education should be supported a lot of science related with it, for example, moral psychology, moral socialization, etc. As like it, moral citizen education have varied spheres of politics, for example, political socialization, political psychology, and a theory of political culture. The revision of curriculum of moral citizen education is needed. In this paper, I will present a proposal for the contents of moral citizen education for it.

      • KCI등재

        일본에 있어서의 전후 도덕교육의 변천과 현상 및 앞으로의 과제

        오시타니 요시오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01 도덕윤리과교육 Vol.- No.13

        본고에서는 한국과 일본의 도덕교육을 직접 비교하는 것이 아니라 비교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되는 사항에 대해 일본의 실태를 정리하여 하나의 시각을 제공함으로써 앞으로의 연구・실천교류를 진행하는데 계기로 삼고자 한다. 첫 번째는 제2차대전 직후의 도덕교육의 개혁에 관한 내용이다. 일본의 경우 그 당시의 문부대신은 예전의 수신교육을 대신하는 새로운 도덕교육을 ‘공민교육’으로서 제창하였다. 번째는 연합국군(GHQ) 점령하의 도덕교육개혁에 관한 내용이다. 학교에서의 ‘공민교육’의 중심이 되는 ‘공민과’는 학교현장에서 실시되는 일이 없이 연합국군의 민간정보교육(CIE) 지도 하에 미국에서 실시되고 있는 Social Studies를 그대로 받아들인 것 같은 사회과가 강압적으로 시행되었다.

      • KCI등재

        도덕과에서의 윤리적 시민교육 성취기준에 대한 비판적 고찰

        이혜진(Lee, Hyejin)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20 도덕윤리과교육 Vol.- No.68

        교육과정의 성취기준은 교과가 의도한 교육 내용과 행동 차원을 구체적으로 반영한다. 따라서 성취기준의 진술 방식을 분석하는 것은 교과의 목표가 얼마나 구현되어 있는지를 평가할 수 있다. 2015 개정 도덕과 교육과정에서 지향하는 인간상은 도덕적인 인간과 더불어 정의로운 시민이다. 시민교육의 차원에서 윤리적 시민성은 도덕과 교육의 주요 목적이다. 이에 부합한 성취기준이 상세화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신교육목표분류학을 토대로 분석했을 때, 성취기준의 내용과 기능의 측면에서 개선해야 할 부분이 있다고 판단된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성취기준을 분석해 윤리적 시민교육을 위한 성취기준을 구상하는 데 시사점을 얻고자 한다. 그 결과 메타 인지적 요소로써 절차적 지식과 비판적 성찰기능의 강화는 앞으로 개정 도덕과 교육과정의 성취기준을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됨을 알 수 있다.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national curriculum reflect specifically intended contents and behavioral targets. Therefore, by analyzing how the achievement standards are stated, we can assess how well the objectives in the subject are implemented. The desirable human character in the 2015 Revised Moral Education Curriculum is a righteous citizen as well as a moral person. In the dimension of civic education, ethical citizenship is the main purpose of moral education. Even though the achievement standards for ethical citizenship should be detailed, it has some areas to be improved in terms of the content and function when analyzed with the New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Based on this problem consciousness, I will analyze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2015 Revised Moral Education Curriculum and gain implications for devising achievement standards for ethical-civic education. As a result, it can be seen that the reinforcement of procedural knowledge and critical reflection functions as meta-cognitive factors helps to improve the achievement standards for moral education curriculum in the future.

      • KCI등재

        일본 2008년 개정 도덕교육 교육과정에 관한 고찰

        구니이유타카(Kunii Yutaka)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10 도덕윤리과교육 Vol.- No.31

        2008년 일본의 초등학교와 중학교 학습지도요령이 전면 개정되었다. 학습지도요령 개정에 앞서 일본에서는 ‘도덕의 시간’에 대한 정식 교과화(敎科化)를 둘러싸고 찬반 논란이 일고 있었다. 수차례의 논의 끝에 결국 정식 교과화는 보류되었으나 도덕교육 내실화를 기하는 방안들이 학습지도요령 개정에 크게 반영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위와 같이 도덕교육의 내실화를 통하여 개정된 학습지도요령을 살펴봄으로써 일본의 도덕교육 교육과정의 특성을 분석하고 한국의 도덕과 교육과정과 비교 고찰하는 데 있다. 교육과정의 특성을 고찰하는 데 있어서는 ‘목표’와 ‘내용’, 그리고 ‘지도방법 및 평가’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또한 일본과 한국의 교육과정을 비교하는 데 있어, ‘목표’에 대해서는 그 형식과 내용을, ‘내용’에 대해서는 내용조직의 구성 원리 및 내용체계와 내용진술을, 그리고 ‘지도방법 및 평가’에 대해서는 그 내용을 살펴보았다. The 2008 Teaching Guidelines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in Japan has been thoroughly revised. Before it was revised, in Japan there was controversy about whether we should put moral education in regular curriculum in school. After numerous discussion, it was postponed that putting moral education in a course of study in school. However, it has great influence on amending current conditions of teaching Ethics in the revision of teaching guidelin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bserve the revised teaching guidelines in order to put some good influence on giving a good moral education to students I divided into 'objection', 'contents' and 'method of guidance and evaluation' in order to study the feature of curriculum. In addition, to compare Korean and Japanese curriculum, I studied the form and contents on 'objection' section, and viewed the principle of organizing contents, a system and a statements on 'contents' section. Also, I studied the contents on 'method of guidance and evaluation' section.

      • KCI등재

        도덕과(科) 창의성 교육에서 공익광고의 활용

        곽병우(Kwak Byong Woo)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14 도덕윤리과교육 Vol.- No.43

        창의성은 새롭고 유용한 생산물을 만들어 내는 능력으로, 오래전부터 인간의 관심사였다. 도덕 과 교육과정에서도 창의성 교육을 강조하고 있으며, 창의성과 도덕교육은 서로를 필요로 한다. 창의성 발달은 형식적?추상적 사고가 발달하는 ‘청소년기’에 이르러서야 비로소 새로움과 적 절성을 모두 갖춘 창의적 성취를 위한 토대를 마련하게 된다. 따라서 도덕과에서는 중고등학 교 학생들의 창의성을 계발하기 위한 방법에 주목해야 한다. 이 논문에서는 이러한 방법으로 공익광고의 활용을 다룬다. 공익광고는 학생들이 창의성의 핵심인 문제 발견을 하고, 그 해결 책을 만들고, 그 해결책을 실천할 동기를 강화시켜주기 때문이다. 광고는 창의성의 결정체이 고, 특히 공익광고는 광고와 도덕과 교육이 만나는 교집합에 해당한다. 도덕과 창의성 교육에서 공익광고를 활용하는 방법은 두 가지가 있다. 하나는 기존의 공익 광고를 도덕과 수업에 수업 주제와 관련하여 활용하는 방법이다. 다른 하나는 학생들이 직접 공익광고를 만들어보게 하는 방법이다. 특히, 공익광고 만들기는 학생들이 도덕적 문제 상황을 직접 발견하고, 이의 해결책을 찾아본다는 점에서 도덕과 창의성 교육에서 큰 의의가 있다. Creativity is an ability to produce something new and valuable. It has been a matter of concern from ancient times. 2011 Revision Moral Subject Curriculum also emphasizes creativity. Creativity development forms the basis of creative achievement(new & valuable) in adolescence. Therefore, moral subject education must strive to develope middle & high school students’ creativity. To develope their creativity, this essay focuses public advertisement. Advertisement is the outcome of creativity, and it can be a good method for creativity education. Especially, public advertisement is placed in the intersection of advertisement and moral subject education. There are two ways to utilize public advertisement in moral subject education for creativity. One is to utilize the existing public advertisement in moral subject class. The other is to make students create public advertisement with their own efforts. Making public advertisement may enhance students’ creativity in moral subject class. It helps students discover moral problem situation, think of making new & useful products to solve i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