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기 우식 병소에서 광원에 따른 형광효과 비교

        전정훈,이난영,이창섭,이상호 大韓小兒齒科學會 2005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32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초기 우식 병소에서 광원에 따른 형광효과를 비교하는 것으로 정량 분석형 laser/light 형광법(Quantitative laser/light-induced fluorescence, QLF)을 이용하여 아르곤 레이저광, 할로겐광, 발광다이오드광(LED),플라즈마광의 형광효과를 비교하였다. 발거된 60개의 치아를 선정한 후, 인공우식용액에 노출되지 않을 부분에 nail varnish를 도포하였고 치아는 24, 48, 72시간 동안 인공우식용액에 보관되었다. 건조 후 QLF영상으로 초기 우식 부위의 광밀도 차이에 의한 탈회정도가 기록되었다. 또한 조영제를 이용하여 동일한 방법으로 실험하였고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염료를 이용하여 같은 방법으로 실험하여 또 다른 결과를 얻었다. 1.각 군의 평균 광밀도를 볼 때, 플라즈마광이 세 군 모두에서 다른 광원들 보다 높았다.(p<0.05). 2.세 군 사이에서 평균 광밀도를 비교해 볼 때, 플라즈마광과 할로겐광이 차이를 보였다.(p<0.05). 3.조영제를 사용하였을 경우 평균 광밀도를 비교해 볼 때, 플라즈마광이 세 군 모두에서 다른 광원들보다 높았고(p<0.05), 발광다이오드광(LED)와 아르곤 레이저광을 제외한 모든 광원이 차이를 보였다(p<0.05). 4.조영제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와 사용한 경우 평균 광밀돌르 비교해 볼 때, 사용한 경우에 모든 광원의 평균 광밀도 차이가 컸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pply the quantitative light-induced fluorescence(QLF) and use of fluorescein-enhanced QLF method for quantitative assessment of early enamel demineralization in vitro, comparing effectiveness of light sources : argon laser, halogen lamp, light emitting diode (LED) and plasma arc lamp. Sixty extracted teeth were used. prepared by gentle pumicing and coating in an acid-resistant nail-varnish. except for an exposure to a demineralizing solution. Teeth were removed at regular intervals(24, 48, and 72hrs), air-dried and QLF image were taken. Mineral loss, as measured by difference of optical density. was recorded. For dye-enganced QLF a 0.075% sodium fluorescein dye was applied after QLF examination and mineral loss was recorded. The following result were obtained: 1.Comparing with mean difference of optical density. plasma arc lamp was higher than other light sources in all group(p<0.05). 2.Comparing each group with mean difference of optical density.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t using plasma arc lamp and halogen lamp. 3.For use of dye-enhanced QLF. comparing with mean difference of optical density, plasma arc lamp were higher than other light sources in all group(p<0.05). 4.With this model dye-enhanced QLF compared with QLF in optical density, dye-enhanced QLF was higher than QLF in optical density. From the results presented in this paper, it was concluded that plasma light source was more effective compared with other light source for the detection and the quantification of early enamel caries.

      • 경주지역 여고생의 초경과 체성장간의 관계

        김준섭,권오구,박진석,오종수,박정현,박제식,안세한,이용환,서정호,신태섭,최영배,김덕수,이관,박수경 東國大學校醫學硏究所 2002 東國醫學 Vol.9 No.1

        본 연구는 경주지역 1개 고등학교 3학년 여고생을 대상으로 초경 시작 전인 초등학교 4학년부터 고등학교 2학년까지의 키, 몸무게, 가슴둘레 수치와 초경 연령을 파악하여 여성의 초경이 빠를수록 체성장 속도의 변화가 있을 것이라는 가설을 기초로 두 요인간의 관련성을 파악하고자 시행되었다. 경주시 1개 여자고등학교 3학년생 총 317명에 대해 ㅊ경 나이, 초경시 심리 상태, 초경이 시작되었을 때의 상담 여부와 상담하였던 사람, 부모 신장과 초경전후의 식사 규칙성, 다이어트 경험, 수면시간, 스트레스, 음주/흡연 여부, 질병력 등에 대한 설문 조사를 시행하였고, 초등학교 4학년부터 고등학교 2학년까지의 키, 몸무게, 가슴둘레에 대한 정보는 건강기록부에서 확보하였다. 상기 대상자 중 건강기록부가 분실된 39명, 초경나이에 대해 응답하지 않았던 29명 및 결석 등으로 조사를 하지 못하였던 42명을 제외한 조사 대상자는 206명으로 선정하였다. 대상자들의 초경연령 평균값(Mean±SD)은 13.0±1.11이었고, 초등학교 4학년부터 고등학교 2학년까지의 초경 이후 신장 성장률은 감소하였으며, 초경연령이 빠른 군이 초등학교 때는 신장에 있어서 우위를 차지하나 고등학교에 오면서 신장은 비슷한 수준이 되었다. 초경후 1-2년 사이에 체중과 흉위의 증가율은 감소하였고, 초경연령이 빠른 군이 초등학교와 고등학교 사이에 체중과 흉위에서 모두 우위를 차지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흔히 이차 성징의 시작 시점 혹은 사춘기의 시작 시점으로 보고있는 초경 연령이 청소년기의 성장과 밀접한 관련성이 있고, 특히 체중과 흉위의 성장 속도와 밀접한 관련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To understand the onset of menarche in relation to changes in physical growth that take place during female adolescence, especially the changes in height and weight velocity. The 207 senior in one women high school of Kyongju were investigated in April 3 to 8, 2001. We collected the information, relation in the age at menarche, height & weight of parents, regularity of eating, and obesity diet, duration of sleeping, sickness & stress near age at menarche, by self-recording. The status of height, weight & chest circumference between the 4th grade of primary school and the junior of high school was collected by individual Health Record. The results were followed; The average age at menarche was 12.95±1.11 years old and the most frequent age of menarche is 13 years. After menarche, the velocity of height, weight and chest circumference were decreased. The most rapid group of menarche hold dominant position in height during elementary school. As time passed, they dont hold dominant position in height. The most rapid group of menarche get an advantage in the weight and the girth of chest after elementary school. The height of subjects is directly proportional to the height of their parent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starting age at menestuation can be closely associated with physical growth and development.

      • 골격근 근형질세망의 ATPase활성도에 대한 Vanillylnonanamide의 영향

        박경섭,홍장희,류영수,성지연,허강민,임종호,이재흔,석정호 충남대학교 의과대학 지역사회의학연구소 1999 충남의대잡지 Vol.26 No.2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vanillylnonanamide(VN) on the ATPase activity of the sarcoplasmic reticulum(SR) of the skeletal muscle, we prepared the SR vesicles from the back muscle of the rabbit, and measured ATPase activity. The results as follows: Ca-ATPase activity was about 50% in the total ATPase activity of skeletal muscular SR. In the reaction mixture with calcium, 100μM VN increased ATPase activity to 20%, and 100 nM and 10 μM thapsigargin(THP) inhibited the ATPase activity to 50% and 60%, respectively. And 100 μM VN plus 100 nM or 10 μM THP more inhibited ATPase activity than THP alone did it. However, without calcium, 100μM VN did not affect ATPase activity, and 10 μM THP inhibited it to 41%, but VN plus THP inhibited it to 31%. The above results show that VN in the reaction mixture with or without calcium has the different action to ATPase activity when it is used alone or together with Ca-ATPase inhibitor THP. This suggests that VN might increase or decrease the skeletal SR Ca-ATPase activity through affecting the lipid membrane around the Ca-ATPase.

      • KCI등재

        매복된 견치의 Tunnel을 통한 교정적 견인

        전정훈,오유향,이난영,이창섭,이상호 大韓小兒齒科學會 2005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32 No.1

        매복된 상악 견치를 위한 외과적 수술을 동반하는 교정치료는 주위조직에 손상을 주지 않고 치열궁내에 적절히 위치시켜야 한다. 이를 위해 매복된 치아의 위치에 따라 다양한 외과적, 교정적 방법이 소개되었으며, 그 방법으로 window procedure, apically positioned flap, closed eruption technique, tunnel traction 등이 있다. 깊은 골연하 매복에서 사용할 수 있는 방법으로 closed eruption technique 그리고 tunnel traction이 있는데, closed eruption technique은 점막 및 치은 하방으로 지나는 견인 와이어의 자극으로 염증 발생 가능성이 높으며 치은퇴축 및 부착 치은의 소실이 발생할 수 있다. 하지만, tunnel traction은 치아의 맹출이 터널을 통해서 유도되어 각화치은에 둘러싸인 채 치조골의 중앙으로 나오게 되므로 치은퇴축이나 치주부착의 소실 없이 적절한 각화치은을 얻을 수 있으며 매복치가 치조골의 중심부로 맹출함에 따라 생리적 맹출과 같은 효과 얻을 수 있다. 본 증례는 깊은 매복을 보이는 상악 견치를 tunnel traction을 이용한 치료를 보고한 것으로, 적절한 방향을 가지고 맹출하였으며 치은퇴축이나 부착치은의 소실이 발생하지 않았다. The impacted maxillary canine is a common problem of which all dental practitioners should be aware. The surgical orthodontic treatment of impacted canines is replaced correction position in dental arch without periodontal damage. Many treatment possibilities have been considered for this goal; window procedure, apically positioned flap, closed eruption technique and tunnel traction. Prognosis for these treatment may be very uncertain in many case(infraosseous impacted tooth). Other steps are required to achieve a satisfactory periodontal outcome. Satisfactory results could be expected if the physiologic eruption pattern is restored by tunnel traction, because permanent tooth erupts through the gingiva near the crest of the ridge so that periodontal damage is reduced. This article report that the surgical orthodontic treatment using tunnel traction is obtained proper position and reduced periodontal damage in facially impacted maxillary canines.

      • 순환적 DTD 구조 처리를 위한 XML 문서 관리 시스템의 설계

        이재호,신판섭,김정은 인천교육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01 과학교육논총 Vol.13 No.-

        XML은 문서의 구조를 독립적으로 작성할 수 있어 문서의 체계적인 구조화가 가능하다. 이러한 이유로 최근, XML 문서를 구조화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 관리하는 XML 문서 관리 시스템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XML 문서 관리 시스템은 XML의 구조 정보를 효과적으로 표현하기 위해 여러 가지 기법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방법들은 XML 문서 구성에 따라 저장 스키마가 유동적이거나 문서 정보 검색의 제약을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DTD의 문서 구조가 순환 관계와 같이 복잡한 형태를 지닐 때, 그 구조를 적절 히 반영하지 못하거나, 구조를 반영하더라도 검색 시, 모든 요소를 순차적으로 탐색해야 하는 등의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XML의 내용 이나 구성에 영향 받지 않는 저장 스키마를 설계하고 정보검색의 제약을 해결 가능한 경로 정보를 제안하였다. 또한 순환 관계를 갖는 DTD의 구조 정보를 비 순환 구조 부분과 순환 구조 부분으로 분리, 정의하고 질의처리 시, 입력되는 XML-QL을 SQL로 변환하기 위하여 XML-QL의 패턴을 분류하고 이에 따른 중 간 단계의 SQL을 정의하여 질의어 변환기법을 제안하였다. During recent years, XML applications are being developed in diverse area. Especially, XML document repository system associated with database is carrying out widely. The previous researches of XML repository system have several defects which are limitation of retrieving and storing XML document with semantics of its. Above all, it is more restricted for storing and retrieving nested XML document structure.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n this paper we suggest relational database schemes that enhance capability of storing and retrieving nested document structure. And suggest query translation strategy using two-phase translation that consists of pattern analyzing phase and SQL generating phase.

      • 기업퇴직연금제도 도입에 따른 회계규정의 개선방안

        김구배,정호섭 전북대학교 산업경제연구소 1999 전북대학교 산업경제연구소 논문집 Vol.30 No.-

        1998년 근로기준법 개정으로 퇴직연금제가 도입되었다. 이로써 우리나라도 3층사회보장체계를 갖추게 되었다. 연금회계기준은 연금제도와 상호영향을 주고 받는 연금제도의 근간을 이루고 있어 이에 대한 회계처리규정시 연금제도의 본질적인 이해가 있어야 한다. 기업회계기준 해석의 개정(1999.6.29)으로 근로기준법상 규정하고 있는 퇴직연금보험에 가입한 경우 회계처리가 규정이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최근에 도입된 퇴직연금에 대한 구체적인 회계처리가 매우 미비한 실정이다. 기업에서는 퇴직연금제 도입에 따른 기업의 재무상태에 미치는 영향을 충분히 고려하여 적절한 회계정보를 산출하여 회계정보이용자에게 보고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문헌조사와 회계처리의 사례분석을 통하여 우리나라의 퇴직급여의 회계처리의 문제점을 살펴보고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도산지수를 이용한 부실예측에 관한 연구

        심갑용,정호섭,조경선 전북대학교 산업경제연구소 1999 전북대학교 산업경제연구소 논문집 Vol.30 No.-

        어떤이 일이 일어나기 전에 그것을 예측하는 것은 그것이 어떤 일이든지 그리 간단하지는 않다. 특히 지진예측은 불가능에 가까울 정도로 어려운 일이라고들 한다. 그에 비해 도산을 사전에 예측하는 것은 훨씬 쉽다. 왜냐하면 지진은 지구의 지각구조가 갑자기 일으키는 현상으로서 그 구조가 충분히 해명되어 있지 않은데 비해, 기업의 도산은 사람이 기업활동을 통해 일어나는 결과로서 그 메커니즘을 상당히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기 때문이다. 기업의 도산은 개인행동이나 기업행동으로서 감지 할 수 있으며 소문이나 기업의 분위기도 기업의 부실이나 도산을 예측하는 중요한 판단 자료일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인지보다는 기업이 제공하는 재무자료를 통해서 그 기업의 경영상태나 재무상태를 알 수 있기 때문에 재무정보를 바탕으로 신뢰성있는 기업의 부실이나 도산을 예측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도산지수라는 새로운 개념을 도입하여 기존의 연구들이 가지고 있는 기업부실예측의 한계점에 극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연구들이 사용하는 재무비율변수를 그대로 사용하지 않고 기업의 부실이나 도산의 예측에 좀 더 적합하도록 하기 위해 수정한 재무비율변수를 사용할 것이다. 따라서 기존연구에서 사용된 재무비율과 상당히 다르다. 이러한 재무변수로 통계적 기법을 사용하여 부실기업과 비부실기업간의 차이 분석을 통해 결과를 도출하고 이렇게 도출된 변수로 도산지수라는 개념을 사용하여 기업의 부실을 쉽고 용이하게 예측하고자 했다. 그 결과 연구가설에서 설정한 5가지 재무변수를 검증한 결과 부실기업과 비부실기업간의 차이가 매우 유의적으로 나타났으며, 또한 부실전 3년간의 부실기업의 도산지수가 1.0보다 상당히 작게 나타났으며 비부실기업의 도산지수는 1.0보다 크지는 않지만 1.0에 매우 근접해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도산지수를 이용하여 부실기업을 예측하는데 일반화 가능성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사례연구도 병행하여 그 적용을 타진해보았다.

      • Four-circle Diffractometer를 이용한 결정방위행렬과 단위포상수 결정

        서일환,이진호,심해섭,이정수,성백석,이창희,김문집 순천향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1999 순천향자연과학연구 논문집 Vol.5 No.2

        A theoretical process to determine the unit cell parameters a, b, c, , β, γ of single crystals and then to collect intensities of ?? using four-circle diffractometer has been shown.

      • 말기신부전 환자의 혈색소 순환 : 투석 방식에 따른 양상 비교 및 관련 인자들에 대한 고찰

        최재혁,김준섭,원기범,박준형,탁우택,이정호 동국대학교 의학연구소 2009 東國醫學 Vol.15 No.2

        혈색소 순환은 말기신부전 환자에서 인체 재조합 적혈구 조혈 인자를 투여하여 빈혈을 치료하는 동안 빈번히 관찰되며 이는 환자의 입원과 사망률과 관계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이에 저자는 투석중인 말기 신부전 환자를 대상으로 혈색소 순환 양상과 이와 연관된 인자들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혈색소 순환의 관련 인자들을 알아보기 위하여 투석 치료를 받고 있는 환자 40명 (혈액투석 환자군: 20형, 복막투석 환자군: 20명)을 대상으로 투석 시작부터 1년 동안의 환자의 나이와 성별, 투석시작 1년간의 평균 Hb, 수혈 횟수, 총입원 횟수, 감염으로 인한 입원 횟수, 혈청 ferritin 농도, 혈청 transferrin saturation (TSAT), 철분제제 복용 유무, 일주일 동안 투여된 rHuEPO 양, rHuEPO의 변화량, 알부민, C-reactive protein (CRP) 및 입원 원인 등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전체 환자 40명 중 33명 (82.5%)에서 혈색소 순환이 관찰되었다. 혈액투석 환자군에 비해 복막투석 환자군에서 혈색소 순환 첫수가 유의하게 높았다 (p=0.037).혈색소 순환 발생군과 혈색소 순환 미발생군의 관련인자들을 비교하였을 경우 혈색소 순환 발생군에서 총 입원 첫수 (p=0.01), 감염으로 인한 입원 횟수 (p=0.036)가 유의하게 많았으며, 혈중 알부민 수치는 유의하게 낮았다 (p=0.003).그러나 두 군간의 나이, 성별, 수혈 횟수, 혈청 ferritin농도, 혈청 transferrin saturation (TSAT) 및 혈청 철분 농도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혈색소 순환의 빈도는 일주일 동안 투여된 r-HuEPO변화량과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p=0.003),혈중 알부민 수치와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p=0.013). 복막투석 환자군에서 혈액투석 환자군에 비해 혈색소 순환이 유의하게 높게 발생하였다. 일주일 동안 투여된 r-HuEPO 변화량, 입원 및 혈청 알부민 수치는 투석 시작부터 1년 동안의 혈색소 순환과 관련이 있었다. Hemoglobin cycling is frequently observed during treatment of anemia with recombinant human erythropoietin (r-HuEPO) in patients with end stage renal disease (ESRD) it is also reported to be associated with hospitalization and morbidity. We analyzed hemoglobin cycling and potential associated factors in patients on dialysis. Forty new dialysis patients (20 hemodialysis, HD and 20 peritoneal dialysis, PD) were recruited during their first year. Age, gender, mean hemoglobin level, frequency of transfusion, frequency of hospital admission, frequency of admission due to infection, serum ferritin, transferrine saturation, iron levels, rHuEPO dose per week, serum albumin, and c-reactive protein were retrospectively evaluated in order to examine the possible correlations with hemoglobin cycling. Thirty-three patients (82.5%) were identified in the hemoglobin cycling group. The PD group had a higher frequency of hemoglobin cycling than did the HD group (p=0.037). The hemoglobin cycling group showed a significantly higher frequency of hospital admission (P=0.001), admission due to infection (p=0.036) and a lower serum albumin level (p=0.003) than the other group,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for age, gender, frequency of transfusion, serum ferritin, transferrine saturation, and iron levels. The frequency of hemoglobin cycling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i-HuEPO dose variation per week (p=0.003) an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serum albumin level (p=0.013). The PD group had a higher frequency of hemoglobin cycling than the HD group, and the change of rHuEPO dose per week, hospitalization and serum albumin were associated with the hemoglobin cycling during the first year of dialysis.

      • 지속적 외래 복막투석 환자에서 복막염과 출구감염의 임상상 및 위험인자에 관한 임상적 고찰

        최영환,김응석,김용섭,이정호 동국대학교 의학연구소 2000 東國醫學 Vol.7 No.-

        지속적 외래복막투석(CAPD)은 전세계적으로 말기 신부전 환자에서 널리 시행되고 있는 신대체 요법으로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이다. 하지만 복막투석에 대한 이해, 수술 기법의 발달, 연결 기구와 도관에 대한 끊임없는 개발에도 불구하고 복막염과 도관 관련 합병증 등은 아직도 중요한 문제로 남아 있으며 복막투석의 실패 원인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나 복막염과 출구감염의 위험 인자에 대한 보고는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저자들은 1994년 4월부터 1998년 12월까지 동국대학교 경주병원 신장내과에서 CAPD를 시행한 말기 신부전증 환자 51명을 대상으로 복막염과 출구감염의 임상상 및 위험인자에 대한 후향적 조사를 시행하였다. 복막염의 발생빈도는 환자당 0.73회/년 이었고 57.3%에서 원인균이 배양되었으며 동정된 균으로는 Staphylococcus aureus(20.4%), Staphylococcus epidemidis(14.9%), Steptococcus species(11.2%) 순 이었고 전체적으로 그람양성 균주가 68%, 복합 균주가 배양된 경우가 17.1% 였다. 복막염의 치료 결과는 항생제로만 치유된 경우가 83.4%, 도관제거 14.8%, 사망 1.8%였고 외래 치료가 44.4%, 입원하여 치료한 경우가 55.6% 였다. 위험인자에 대한 비교에서는 50세 이하환자에서 0.88 회/년, 51세 이상에서 1.21 회/년으로 고령군에서 더 높았으며(p=0.043) 활동성이 있는 군과 없는 군은 각각 0.78회/년, 1.21 회/년으로 활동성이 없는 군에서 더 높았으며(p=0.044) 직업이 없는 군에서 1.12 회/년, 직업이 있는 군에서 0.93 회/년으로 직없이 없는 군에서 발생빈도가 더 높았다(p=0.041). 또한 당뇨군에서는 연평균 1.22 회/년, 비당뇨군에서는 0.99 회/년으로 당뇨군에서 더 발생빈도가 높았고( p=0.039), 출구 감염이 있는 군에서 1.19 회/년,없는 군에서 9.98 회/년으로 출구감염이 있는 군에서 더 발생빈도가 높았다(p=0.047). 그 외 성별, 학력, 거주지, 투석액의 종류 및 도관 종류에서는 통계적 의의가 없었다. 출구감염은 환자당 0.37 회/년의 발생빈도 및 88.6%의 원인균 배양율을 보였으며, 동정된 균으로는 Staphylococcus aureus(34.3%), Staphylococcus epidermidis(17.1%), Sterptococcus species (8.6%) 순 이었고 전체 63개의 도관중 21개(33.3%) 제거되었으며 가장 많은 원인은 복막염 8예(38.1%) 와 출구감염 6예(28.6%)였다. 출구감염에 영향을 주는 인자에 대한 분석에서는 농촌에 거주하는 경우, 당뇨병이 있는 경우, Tenckhoff 카테터를 사용하는 경우에 다소 빈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통계학적 유의성은 없었고 그 외에 나이, 성별, 활동성, 직업의 유무, 학력과도 연관성이 없었다. 이상의 결과로 CAPD 시행 시 환자선정에 있어 나이, 당뇨병 유무, 거주지, 직업 등의 인자를 특히 고려하여 시행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Objectives : CAPD has established itself as an effective therapeutic modality as hemodialysis or renal transplantation in the treatment of patients with end stage renal disease. Although much progress of technology of CAPD has been made, peritonitis or catheter-related complications are still important problem until now. Therefore, we investigated about risk factors which are related to peritonitis and exit infection in CAPD patients. Methods : We analysed retrospectively the clinical results of 51 patients on CAPD at Dongguk University Kyoung-ju Hospital from April 1994 to December 1998. Results : 1) There were 31 male and 20 female patients who are 28 to 79 age-old(mean age 55.4±11 years). 2) Underlying disorders of CAPD patients were diabetic nephropathy(33.3%), hypertensive nephrosclerosis(27.5%) and glomerulonephritis(17.7%) 3) The incidence of peritonitis was 0.73/year/patient and peritonitis free interval period was 9.3±1.4 months. The isolation rate of microorganisms from patients with peritonitis was 57.3% and the order of frequency of isolated organims was Staphylococcus aureus, Staphylococcus epiermidis, Steptococcus species, Pseudomonas species and Acinetobacter species. The peritonitis was treated with antibiotics only(83.4%), catheter removal(14.8%) and death(1.8%) 4) The incidence of peritonitis was higher in patients with older age(>50yr), DM, exit site infection and without occupation, physical activity according to univariate analysis (p<0.05). 5) The incidence of exit site infection was 0.37/year/patient and the order of frequency of isolated organisms was Staphylococcus aureus, Staphylococcus epidermidis, Streptococcus species, and Pseudomonas species. The statistical analysis for risk factor of exit site infection had no significant value. The exit site infection was treated with antibiotics only(45.7), external cuff externalization(8.6%), external cuff removal(28.6%), and catheter removal(14.8%). 6) 21 of catheters(33.3%) were removed. The peritonitis and exit site infection or tunnel infection were main causes of catheter removal. The catheter survival rate was 82%, 73%, 68% and 50% at one, two, three and four years, respectively. Mean survival time of all catheters was 39.3±1.4 months. 7) The causes of death were most frequently cardiac disease(28.4%), followed by vascular disease(14.4%), malignancy(14.4%) and infections(14.4%). The patient survival rate was 92%, 82%, 78% and 70% at one, two, three and four years, respectively. Mean survival time of all patients was 61.2±1.8 months. Conclusion : Although CAPD is an effective therapeutic modality in the treatment of patients with end stage renal disease, CAPD peritonitis and exit site infection are the most important pitfalls of CAPD. From the above results, we can know that the risk factors significantly affecting the incidence of peritonitis were old age, no occupation, no physical activity, DM, and exit site infection. Therefore, we most consider the risk factors affecting the incidence of peritonitis and exit site infection when we choose the renal replace therapy in end stage renal fail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