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보완대체의학에 대한 간호학과 학생의 주관성 연구

        박은영 ( Eun Young Park ),이은남 ( Eun Nam Lee ),강지연 ( Ji Yeon Kang ),주현옥 ( Hyeon Ok Ju ),김삼숙 ( Sam Sook Kim ),최은정 ( Eun Jung Choi ),김학선 ( Hack Sun Kim ) 경희대학교 동서의학연구소 2011 동서간호학연구지 Vol.17 No.1

        보완대체의학은 건강증진과 질병예방을 위한 총체적인 접근법의 하나로 환자뿐 아니라 일반인들 사이에서도 이용률이 증가하고 있고, 교육에 있어서도 보완대체요법 관련 교과목을 의학이나 간호학의 정규 교과과정 내에 포함시키는 대학이 늘어남에 따라 미래의 건강관리 제공자인 간호학생들의 보완대체의학에 대한 인식이나 태도를 파악하는 것은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Q방법론을 이용하여 보완대체의학에 대한 간호학생의 반응을 유형화하고 구체적인 특성을 파악하고자 시도되었다. 보완대체의학에 대한 간호학생의 반응은 4개로 유형화되었으며, 각 유형은 실용적 확신형, 견제형, 가치 인정형, 제한적 수용형으로 명명하였다. 각 유형의 명명에서 볼 수 있듯이 간호학생들은 인식에서 약간씩은 차이가 있지만 보완대 체의학에 대해 비교적 긍정적인 태도를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간호학생들이 보완대체요법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보였음을 보고한 Kim (2004), Kim, Erlen, Kim 과 Sok (2006), Uzun과 Tan (2004)의 연구결과와 일치한다고 할 수 있다. 제1유형은 ‘실용적 확신형’으로 보완대체요법의 효과를 단순히 인정하기보다는 실용성에 초점을 맞춘 유형이다. 보완대체요법의 문제점으로 많이 지적되는 것 중의 하나가 사람마다 효과가 다르기 때문에 일률적으로 적용하기 어렵다는 것인데, 제1유형의 대상자들은 이를 오히려 실용적인 측면으로 인식하여, 보완대체요법의 효과는 사람마다 결과가 다르게 나타날 수 있기 때문에 어떤 치료법을 일률적으로 적용하기보다는 자신한테 맞는 보완대체요법을 찾아야 한다고 인식하는 것이다. 또한 제1유형의 대상자들은 보완대체요법에 대해 효과가 없거나 의미 없는 행위이며 의학적 치료를 방해하거나 효과를 믿을 수 없다는 데는 강하게 반대를 했다. 간호학생의 보완요법에 대한 태도를 조사한 Kim (2004)의 연구에서도 보완대체요법이 엉터리 치료법이라는 데에 대해 가장 부정적인 태도를 보임으로써 본 연구결과와 일치한다. 간호학생의 주관성을 조사한 Hwang (2004)의 연구에서는 간호학생의 인식이 세 가지로 유형화되었는데 ‘긍정적 인정형’으로 명명된 사람들은 보완대체요법이 건강의 유지와 증진에 도움이 되며, 면역력을 향상시키고 심리적 지지를 제공하고 몸을 보호하며 안위를 증진시키는 것으로 인식하고, 엉터리 치료법이고 환자의 치유에 방해가 되므로 사용을 피해야 하고 과학적인 근거를 설명할 수 없으므로 신뢰할 수 없다는 데대해서는 강한 반대의 의사를 표함으로써 본 연구에서 ‘실용적 확신형’으로 명명된 대상자들과 유사한 인식양상을 보였다. 본 연구에서의 ‘실용적 확신형’의 사람은 보완대체요법에 대해 쉽게 접근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효과를 한꺼번에 기대할 수 있다는 점에서 좀 더실용적인 면을 강조한 점이 차이라고 할 수 있다. 제2유형은 ‘견제형’으로 보완대체의학의 부작용에 대한 염려와 효과에 대한 정확한 작용기전의 뒷받침을 요구하는 유형으로, Hwang (2004)의 연구에서 보완대체요법은 체계적인 검증 후에 정통적인 치료와 병행해서 사용해야 효과가 있다고 하여 ‘객관적 수용형’으로 명명한 것과 매우 유사하다. 또한 간호사를 대상으로 한Son (2002)의 연구에서 보완대체요법을 현대의학을 보완해주는 치료법으로 고려하면서 과학적인 근거를 확립하는 일이 필요하다고 제시한 것과 일치한다. Ernst (2000)도 보완대체요법을 이용하는 대상자들은 보완대체요법의 안전성과 효율성에 대해서 알고자 하며, 보완대체요법에 대해 건강관리자와 개방적으로 의사소통할 때 안정성이 확립된다고 하여 본 연구의 ‘견제형’ 유형과 유사한 것을 볼 수 있다. ‘견제형’의 사람들은 보완대체요법에 대한 효과가 사람마다 다르게 나타나므로 보완대체요법을 무조건적으로 받아들이기 이전에 임상적인 효율성에 대한 정확한 근거와 과학적인 검증에 관한 많은 연구들이 이루어져야 할 것을 강조한 유형이다. 이러한 견해는 최근 의학이나 간호학 교육에서 근거중심의 행위를 강조하고 있는 것을 반영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제3유형은 ‘가치 인정형’으로 보완대체의학에 대해 과학적 신뢰를 갖고 있지는 않지만 보완대체요법의 건강증진에 대한 가치를 인정하는 유형이다. 의사를 대상으로 보완대체요법의 치료 효과에 대한 태도를 분석한 Jang 과 Park (2003)의 연구에서 62.2%는 ‘설명하기는 어렵지만 보완대체요법은 효과가 있다’고 하여 작용기전에 대한 이론적 근거는 부족하지만 치료효과에 대해서는 비교적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본 연구 대상자의 ‘가치 인정형’과유사한 태도를 보였다. 또한 초등학교 보건교사를 대상으로 보완대체요법의 문제점에 대한 인식을 조사한 Kim, Kim과 Cho (2007)의 연구에서 40.5%가 ‘과학적인 검증의 부족으로 치료효과가 의심된다’고 지적하였지만 학교보건실무에서 보완대체요법의 적용가능성에 대한 질문에는 72.1%가 ‘가능하다’고 하였으며, 78%가 보완대체요법의 적용이유로 ‘증상완화, 치료보조의 효과’ 때문이라고 답하여 본 연구결과와 유사한 인식을 보였다. 또한 보완대체요법 교과목을 수강한 간호학생들에게 보완대체요법의 치료적 효과에 대해조사한 Kim (2005)의 연구에서도 ‘건강유지증진을 위해 일반 대중들도 보완대체요법을 많이 적용하고 있다’에 대해 5점 만점에 3.7점으로 응답하여 비교적 긍정적 태도를 보였다. 위의 결과들을 종합해 볼 때 보완대체요법이 체계적인 지식체로 인정하기엔 과학적 근거가 부족하지만 신체의 자연 치유력과 면역력을 증가시켜 건강증진에 영향을 미친다는 본 연구의 ‘가치 인정형’과 유사하다고 할 수있다. 제4유형은 ‘제한적 수용형’으로 보완대체의학이 건강증진에 도움이 되고 심리적 안정감을 주는 여러 가지 효과가 있는 반면 부작용이 있을 수 있고 사람마다 효과가 다르게 나타날 수 있으므로 작용기전에 대한 연구도 더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유형으로 무조건적으로 수용하기보다는 제한적으로 수용하는 유형이다. 대학생을 대상으로 보완대체요법의 문제점에 대한 인식을 조사한 Gwon 등(2008)의 연구에서 ‘부작용을 예측할 수 없다’가 37.7%로 가장 높았고, 23.2%가 ‘비과학적이다’라고 응답함으로써 자신에게 맞는 보완대체요법을 찾아 효과를 볼 수는 있지만 부작용에 대한 우려, 효과에 대한 객관성 부족 및 작용기전에 대한 체계적 검증의 필요성을 언급한 본 연구에서의 ‘제한적 수용형’ 대상자와 유사한 인식을 보였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grasp the subjectivity of the nursing students toward CAM and put the outcomes into use as basic facts and figures in developing and applying a curriculum associated with CAM. Methods: Q methodology was employed to explore the nursing students` subjectivity from their rank-order statements. For the Q population,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and literature research were conducted. Finally, 30 participants completed 40 Q statement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QUANL software package. Results: The current survey that probed into the subjectivity of the nursing students relative to CAM abstracted four categories, namely, practical and convinced type, keep-under-control/wait-and-see type, merit acknowledging type and limitedly accepting type. Conclusion: It is recommended that various educational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to shift the awareness of CAM on the part of the nursing students, based on the findings set forth in the current study.

      • SCOPUSSCIEKCI등재
      • KCI등재

        두경부 마사지가 중환자실 환자의 수면과 불안에 미치는 효과

        김미용,전선영,송윤희,최은진,김재희,김미성,주명순,김남선 병원간호사회 2006 임상간호연구 Vol.11 No.2

        Purpose: This study was to apply head and neck massage to patients in intensive care unit and to inventigate the effect of that massage on sleep and state anxiety. Method: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27 patients who were admitted in medical intensive care unit. The study was performed from June thru September of 2005 on the One-group pretest-posttest design and the sleep, state anxiety of the subjects were measured before and after head and neck massage. For data analysis, paired t-test and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were utilized. Result: The first hypothesis that the subjects might have a better sleep after being exposed to head and neck massage was accepted. The second hypothesis that the subjects might feel less state anxiety afrer being exposed to head and neck massage was accepted. The third hypothesis that the sleep of the ICU patients maight be correlated to their anxiety was accepted, as there appeared correlation between their sleep and anxiety. Conclusion: Head and neck massage is identified as one of independent nursing interwentions to improve the sleep of ICU patients and ease their anxiety, and it is necessary to apply it to clinical practices.

      • FORREST II 궤양 출혈의 적절한 치료 유용성 : 전향적 무작위 연구

        김성은,이선영,신정은,주미순,전정현,이경은 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 2003 EMJ (Ewha medical journal) Vol.26 No.2

        Objectives :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clinical and cost effectiveness of various pharmacologic therapies with of without endoscopic procedure in the Forrest II ulcer. Methods : Between May 2001 and June 2002, total of 58 Forrest II bleeding activity patients (37 cases of NBVV, 6 adherent blood clots, 9 flat red spot, and 6 flat black spot) with gastric ulcer(32 cases) and duodenal ulcer(26 cases) were analyzed. UGI endoscopy was performed within 12 hours of the first bleeding episodes, and underwent repetitive endoscopy after 48h. All the patie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receive somatostatin(group I), PPI(omeparzole : group II), only H2 blocker (famotidine, group III), or endoscopic injection therapy followed by famotidine (group IV). We compared with rebleeding rates, changes of ulcer size, and modified estimated costs for 3 day-hospital in four groups respectively. Results : 1) Twelve patients experienced rebleeding(20.7%). 2) The rates of rebleeding were 16.6% (2/12) in group I, 28.6%(4/14) in group II, 5.9%(1/17) in group III, 26.7% in group IV.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rebleeding rate among the groups, but there was low rebleeding tendency in group III, compared with group II(p=0.087).3)Type of stigmata including non-bleeding visible vessels and adherent clots were associated with an increased rate of recurrent bleeding(p=0.01).4) When modified estimated costs were calculated, group III could be treated at the lowest cost(p<0.05). Conclusion : In Forrest II bleeding ulcer, medical therapy, especially famotidine could be suggested prudently as a proper treatment modality for this lesion, considering the cost-effecti-veness. 목적: 위십이지장의 궤양성 출혈은 대부분 특별한 치료없이 보존적인 치료만으로 지혈된다. 그러나 활동성 출혈이 있는 Forrest II 궤양의 경우는 흔히 내시경적인 치료를 하게 되는데 최근 여러 연구에서 약물치료와 비교 연구가 있었으나 다양한 약물들과 내시경 치료의 효과 및 비용-효용성의 비교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방법: 2001년 5월부터 2002년 6월가지 Forrest II 궤양출혈 환자 68명을 전향적으로 포함시켰고 이중 위암으로 진단된 경우와 내시경의 추적 검사를 거부한 경우 또는 다른 중증의 내과적 질환이 동반된 경우를 제외시켜 58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 환자 58명은 위궤양이 32명이고 십이지장 궤양이 26명으로 비출혈성노출 혈관 37명, 신선 부착 혈괴 6명, 적색반 9명, 그리고 흑색반 6명이었다. 초기 상부 위장관 내시경은 내원 후 12시간 이내에 이루어졌고 추적 검사는 48시간 이후에 시행되었다. 치료는 네 개의 군으로 나누어 무작위로 소마토스타틴 투여군(1군), 프로톤펌프 억제제 투여군 (2군), H₂수용체 차단제 투여군(3군), 그리고 내시경적 지혈제 주사군(4군)으로 치료하였고 각 군의 재출혈 여부, 혈압, 수혈, 궤양의 크기, 급성 출혈 흔적 등을 비교 관찰하였고 입원 3일간의 입원치료비용을 계산하였다. 결과: 1) 재출혈은 12명(20.7%) 에서 발생하였다. 2) 각군에서의 재출혈은 제1군이 16.6%(2/12), 제2군에서 28.6%(4/14), 제3군이 5.9%(1/17), 제4군이 26.7%(4/15)로 각 군의 재출혈 빈도는 차이가 없었으나 제3군에서 제2군에 비해 재출혈이 낮은 경향을 보였다.(p=0.087).3) 재출혈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는 노출 현환과 신선 혈괴였다(p=0.01). 4)평균 입원치료 비용은 제3군이 가장 적어 높은 치료 비용-효과를 보였다.(p<0.05).

      • KCI등재후보

        위절제술 환자의 표준진료지침 개발 및 적용 효과

        김은희,김철규,이순교,김순덕,이혜옥,권정순,이경미,이민미,심순미,유용만,신종식,강은희,이상일,김병식,오성태,육정환,박수길 한국의료QA학회 2003 한국의료질향상학회지 Vol.10 No.2

        Background : Gastric cancer is the most common malignant tumor in Korea. surgical operation is one of the major treatment modalities for gastric cancer patients. Therefore, gastrectomy is one of the most common procedures in General Surgery. There were variation in length of hospital stay and medical treatment for gastrectomy between three surgeons at Asan Medical Center. Clinical pathways have received considerable attention as a tool for recucing the medical practice variation, increasing the efficiency of care process, and improving the quality of car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a clinical pathway for gastrectomy in gastric cancer patients. Methods : The clinical pathway for gastrectomy was developed and implemented by a multidisciplinary group in Asan Medical Center. A computerized clinical pathway program was developed and revised after a pilot test. A total of 145 patients underwent gastrectomy by three surgeons at Asan Medical Center. We compared the length of hospital stay, patient satisfaction, and unplanned readmission rate between the pre-pathway group(n=67) and the post-pathway group(n=78). We also investigated the degree of satisfaction among the physicians and nurses who were main end-users of the clinical pathway. Results : The clinical pathway was applied to all target patients. The average length of hospital stay was shortened from 12.7days to 10.6days(p<0.01). The degree of patient satisfaction with the care process changed from 90.3% to 89.2% after the implementation of the clinical pathway, but the difference was of satistically significant(p=0.761). Unplanned readmission rate was 2.9% in the pre-pathway group. More than 90% of physicians and nurses answered that the clinical pathway had been a useful tool in their medical practice. Conclusions : The findings of the study demonstrated that implementation of the clinical pathway for gastrectomy produced substantial reduction in the length of hospital stay while improving the quality of patient outcomes. The computerized clinical pathway program can be used as one of the powerful patient management tools for reducing the practice variations and increasing the efficiency of care process in Korea hospital settings.

      • Duplication or deletion of chromosome 17p11.2-p12 in CMT1 and HNPP peripheral neuropathy patients

        Kim, Hyo-Sun,Jang, Young-Eun,Chung, Ki-Wha 公州大學校 基礎科學硏究所 2003 自然科學硏究 Vol.10 No.-

        CMT와 HNPP 말초신경증은 가장 흔하게 발병하는 운동 및 감각 말초신경계의 선천성 질환이다. CMT1과 HNPP의 유전적 원인으로는 염색체 17p11.2-p12의 1.5 Mb 지역의 중복과 결실이 각각 50%이상과 70% 이상을 차지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본 연구에서 한국인 CMT1 및 HNPP 환자를 대상으로 중복 및 결실을 조사하였는데, 31 CMT1 가족 중 13 가족에서 중복을 보였으며 (42%), 24 HNPP 가족 중 19 가족에서 결실을 보였다 (79%). 17p11.2-p12 중복을 보이는 CMT1A 환자가 HNPP 결실환자보다 발병 연령, 발병 기간, 근육 이양성 및 족 기형성에서 훨씬 심한 증상을 보였다. Charcot-Marie-Tooth disease (CMT) and hereditary neuropathy with liability to pressure palsies (HNPP) are most common inherited motor and sensory peripheral neuropathies. The majority of CMT1 patients have a 1.5 Mb duplication in chromosome 17p11.2 while most HNPP patients have a deletion of the same region. In the analysis of Korean CMT1 and HNPP patients, each HNPP deletion and CMT1A duplication was observed from 79% (19 families) among 24 HNPP families and 42% (13 families) among 31 CMT1 families. CMT1A duplication patients showed more severe clinical symptoms than HNPP deletion patients, when we examined oneset age, disease duration, muscular atrophy, foot deformity and scoliosis.

      • KCI등재후보

        Effects of Phenytoin and Diazepam on the Seizure Activity in the Cortical Dysplasia Animal Models

        Kim, Si-Hyung,Choi, In-Sun,Cho, Jin-Hwa,Park, Eun-Ju,Jang, Il-Sung,Choi, Byung-Ju,Kim, Hyun-Jung,Kim, Young-Jin,Nam, Soon-Hyeun The Korean Academy of Oral Biology 2006 International Journal of Oral Biology Vol.31 No.2

        Dysplasia-associated seizure disorders are markedly resistant to pharmacological intervention. Relatively little research has been conducted studying the effects of antiepileptic drugs(AEDs) on seizure activity in a rat model of dysplasia. We have used rats exposed to methylazoxymethanol acetate(MAM) in utero, an animal model featuring nodular heterotopia,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EDs in the dysplastic brain. Pilocarpine was used to induce acute seizure in MAM-exposed and age-matched vehicle-injucted control animals. Field potential recordings were used to monitor amplitude and numbers population spikes, and paired pulse inhibition in response to stimulation of commissural pathway. Two commonly used AEDs were tested: diazepam 5, 2.5mg/kg;phenytoin 40, 60mg/kg. Diazepam(DZP) and phenytoin(PHT) reduced the amplitude of population spike in control and MAM-exposed rats. However, the amplitude of population spike was nearly eliminated in control rats as compared to the MAM-exposed rats. Pharmaco-resistance was tested by measuring seizure latencies in awake rats after pilocarpine administration(320mg/kg, i.p.) with and without pretreatment with AEDs. Pre-treatment with PHT 60 mg prolonged seizure latency in control rats, but not in MAM-exposed animals.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are that acute seizures initiated in MAM-exposed rats are relatively resistant to standard AEDs assessed in vivo. These data suggest that animal model with cortical dysplasia can be used to screen the effects of potential AED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