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자녀교육지원을 위한 핵심역량 현황 및 인식

        이재분,김혜원,이해영 한국교육개발원 2009 한국교육 Vol.36 No.2

        본 연구는 국제결혼 이주여성들의 자녀교육지원을 위해 필요한 역량이 무엇인지 알아보고 현재 그들의 역량 상태를 진단하며, 역량상태에 대한 본인들의 인식은 어떠한지, 앞으로 국제결혼 이주여성들의 자녀교육지원을 위한 역량계발을 제고할 수 있는 방법이 무엇인지를 탐색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다문화 교육이나 연구를 수행한 경험이 많은 학자, 교사를 포함한 현장 전문가 및 국제결혼 이주여성 등을 대상으로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고, 다문화가정 학생과 그 부모, 담임교사 및 다문화 교육기관 담당 교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및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한국어능력, 자녀양육지도능력, 관계형성능력, 정보활용능력이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자녀교육지원을 위한 핵심역량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자녀교육지원을 위한 역량 수준은 이주여성의 거주기간과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한국어 능력에 있어 중국출신 어머니들이 다른 국가 출신 어머니들 보다 능력이 높았다. 또한 자녀양육지도능력에 있어 일본 출신 어머니들의 능력이 높았으며, 학력에 따라서는 고졸이나 대졸이상의 학력을 가진 어머니가 중졸이하의 학력을 지닌 어머니 보다 교육지원 역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자녀교육지원 역량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심층면담을 실시한 결과, 이들은 자신들의 자녀교육지원 역량 수준이 낮다고 생각하고 있었으며 한국어 능력에 대해 걱정을 많이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부분의 이주여성은 임신 · 출산 · 양육을 포함한 자녀교육을 위한 정보 부족을 걱정하고 있었으며, 사회 및 교육에 대한 적응의 어려움으로 낮은 자아존중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역량 계발을 위한 필요성 및 요구를 가지고 이에 대해 노력하는 모습을 나타내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ore competencies of female immigrants in international marriages in supporting their children's education and to investigate the status of their competency and their perceptions of it. Additionally, this research explores the methods used to develop their core competency. For these purposes, researchers conducted a two-round Delphi survey of multicultural education experts, as well as surveys of and interviews with female immigrants, their children and their teacher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core competencies for supporting child education were Korean language ability, parenting skills, relationship-building ability, and collecting and utilizing information for educating children. In addition, female immigrants in international marriages evaluated their competency status as low and had low self-esteem because of the difficulty they experienced in adapting to this society. They were concerned about their Korean ability and insufficient information for educating their children. Subsequently, they showed efforts to overcome these difficulties and to develop their competencies.

      • KCI등재후보

        초등학교 시민교육의 실제와 개선방향-도덕교과를 중심으로-

        이재분,현주,조성인 한국교육개발원 2003 한국교육 Vol.30 No.1

        For an individual to have harmonious relationships with others, he or she is required to possess several important qualities which are basic elements that form citizenship and generate the behavior required in community living. The period of primary school education can be viewed as the starting point when a child steps out of his or her home, builds new relationships with others and begins his or her social life. Therefore, the period of primary schooling must be regarded as an important one in which children form the very basic qualities required to become desirable social beings. In this sense, it is very meaningful to examine how Korea's primary schools actually guide nourishing students' citizenship and to think about the future of citizenship education in Korea's primary school. This paper reviews analysis of documentary data on relevant curriculum, textbooks, and educational activities. Since 'moral education' is the subject most directly relevant to the issue of citizenship education in Korea's primary school, this analysis is focused upon the subject of moral education. And also this paper surveys teachers' opinions of citizenship education in Korea's primary school. To instill citizenship in primary school students, the following efforts are needed. First, in terms of citizenship and behavioral development of primary school students, we need to make education more geared toward practice dimension. Second, we should put more emphasis upon the values required for instilling the capacity as global citizens in the curriculum and textbooks of moral education at primary school level. Third, we should consider instructional hours and instructional methods. Fifth,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the support system in both inside and outside school. 오늘날 공동체 구성원으로서의 자질에 대한 요구가 증가됨에 따라 시민교육의 중요성은 과거 어느 때보다도 강조되고 있다. 특히 초등학교 시기는 아동을 바람직한 사회인으로 이끄는 기반을 다지는 시기로서, 이 시기에 다른 사람과 더불어 살아갈 수 있는 기본적인 사회적 능력을 기르는 시민교육의 역할은 더욱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초등학교 도덕교과를 중심으로 시민교육의 실제와 개선점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시민교육의 개념을 살펴보고, 도덕과 교육을 통해서 본 시민교육 현황 및 도덕과 수업운영상의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분석결과를 토대로 초등학생의 시민교육을 위한 도덕과 교육의 개선방향에 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초중등 영재학급·교육원의 학생 생활지도 실태 및 과제 : 영재 담당교사들의 인식을 중심으로

        이재분,이미경 韓國英才學會 2014 영재교육연구 Vol.24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초중등 영재학급과 영재교육원에서 나타나는 일상생활 상의 문제들 중 교사들이 생활지도할 때 어렵다고 여기는 문제가 무엇이며, 어떻게 해결하고 있는지, 그 실태를 파악하고 실천적 과제를 도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전국의 초중등 영재학급 및 교육청 영재교육원 담당교사 26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 및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 응답자의 82%정도가 영재교육에서 생활지도가 필요하다고 생각하고 있어 이에 대한 대응이 요구된다. 둘째, 학생들의 이기적 성향 등을 교사들이 가장 심각한 문제로 느끼고 있으며, 이는 영재아 생활지도에서 기본생활습관, 도덕성 등을 중요하게 다루어야 함을 시사한다. 셋째, 학부모들과의 상담에서 학부모들의 영재교육에 대한 잘못된 인식 등이 문제로 지적되고 있으므로 생생한 사례 중심의 학부모 교육이 필요하다. 넷째, 교사들은 생활지도를 도와 줄 수 있는 현실적 방법으로, 인성교육 프로그램, 경험 있는 교사들을 중심으로 한 멘토링 체계 혹은 상담협의체 구성, 사례중심의 영재 생활지도 및 상담 가이드라인 개발 등이 필요하다. 다섯째, 향후 영재아들을 우리 사회공동체에 기여하는 사회적 자원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윤리적 마인드를 갖춘’ 영재를 키우는 한국형 영재교육 모델을 만들어 나갈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roblems and conditions of educational guidance and counselling of teachers in the gifted classes. For the study, 267 teachers were sampled from the Gifted Education Institutes of metropolitan and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and Gifted Classes of the school across Korea, and the questionnaire developed by the researchers were administered to the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First, the 82% of respondents reported that the guidance and counselling in the gifted education is needed. So it demands the active responsive strategies on it. Second, the respondents reported that the selfish or self-centered traits of the gifted students are the most problematic in the gifted classes. It shows the emphasis should be put on the basic life habits and moral education in the guidance and counselling of the gifted education. Third, they pointed out the case-based education is needed for the parents of the gifted to correct their misconceptions about their children. Fourth, to support the teachers of the gifted program, the administrative measures have to be taken, like operation of character education program, forming a consultative group with the experienced teachers, developing the case-based guideline for the guidance and counselling for the gifted education, etc. Fifth, we should develop the Korean model of the gifted education to promote social capital for our future society.

      • KCI등재

        한국과 대만의 국제결혼가정 자녀의 이민자 부모 출신국 언어교육 지원 실천사례 비교 연구

        이재분,김숙이 한국중국문화학회 2011 中國學論叢 Vol.33 No.-

        교육과학기술부의 조사결과에 의하면 2010년 현재, 국제결혼가정 자녀의 재학생 수는 총 34,338명으로 전년대비 38.8%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교과부, 2009, 2010). 이러한 다문화가정 자녀수의 증가와 함께 이들의 교육 문제가 부각되고 있으며, 교육지원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기존 선행연구들2)에서는 다문화가정 아동들의 학습결손 및 이들에 대한 편견과 차별로 인한 학교 부적응 등을 주요 문제점으로 지적하고 있다. 특히 다문화가정 아동들의 학습결손은 학교 부적응을 초래하는 중요 요소로 가장 기본적인 학습 기능인 읽기, 쓰기, 말하기, 듣기 등 언어능력의 발달 지체와 관련이 있다. 여성결혼이민자 대부분은 국내에 입국하면서 한국어와 한국문화에 대하여 교육을 받지만, 이는 입국 초기에 일시적으로만 이루어지고 있으며, 연속적으로 발생되는 임신․출산과 생업 등으로 대부분의 여성결혼이민자들은 교육을 지속적으로 받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여성결혼이민자들의 교육기회로부터의 소외는 자신의 생활ㆍ사회부적응 뿐만 아니라 자녀의 부적응으로까지 연장될 수 있다.

      • KCI등재

        유비쿼터스 사회에서의 평생학습 활성화 전략 수립을 위한 전문가 의견 조사

        이재분,홍지영,이영민,장상필,Lee, Jae-Boon,Hong, Ji-Young,Lee, Young-Min,Jang, Sang-Pil 한국정보교육학회 2007 정보교육학회논문지 Vol.11 No.1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the implications for new strategical policy on promoting lifelong learning in ubiquitous society by gathering the views and ideas of experts. We interviewed with 15 experts in the fields of ubiquitous learning and technology. In the result, we found the following pre-requisites in promoting lifelong learning in ubiquitous society: 1) consensus regarding the ubiquitous society, 2) infra structure and various services, 3) contents based on the citizens' needs, 4) information gap closing, and 5) law and institutions in terms of lifelong learning in ubiquitous society.

      • 다문화가족 자녀의 결혼이민 부모 출신국 언어 습득을 위한 교육 지원 사례 연구

        이재분,박균열,김갑성,김선미,김숙이 한국여성정책연구원(구 한국여성개발원) 2010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Vol.2010 No.3

        결혼이민자 부모가 자녀에게 자신의 출신국 언어(모어)를 교육하는 것은 한국어 능력이 부족해 자녀교육에 자신감이 없는 부모에게 자녀교육에 있어 또 다른 가능성과 희망을 줄 수 있다. 아울러 결혼이민자 부모 출신국의 언어는 그들 자녀에게 개인적으로나 국가적으로 매우 유용한 자산이 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장차 부모의 출신국과 우리 사회를 연결해 줄 수 있는 교량 역할을 할 수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경우, 아직도 국제결혼가정에서 한국어 교육만을 강조하는 경향이 있으며, 자녀교육을 한국어로 해야 한다는 고정관념을 갖고 있다. 한국어뿐만 아니라 결혼이민자 부모 출신국의 언어를 자녀에게 교육하는 것이 중요함을 인식하고, 또한 자녀에게 결혼이민자 부모 출신국 언어를 체계적으로 교육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현재 결혼이민자 부모 출신국 언어를 체계적으로 교육하기 위한 관련정책 및 언어교육 지원에 관한 선행 연구가 부재한 상황이어서, 본 연구에서는 국제결혼가정 자녀에게 결혼이민자 부모 출신국 언어를 체계적으로 교육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 정보를 수집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다음의 사항을 주요 연구내용으로 다루고자 하였다. 우선, 지금까지 수행되고 있는 국내 국제결혼가정의 학령기 아동?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결혼이민자 부모 출신국 언어교육지원 현황에 대해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교육지원 실천사례를 발굴, 분석함으로써 현안 문제와 개선점, 요구사항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또한 결혼이민자 부모 출신국 언어교육의 타당성을 입증하기 위해 국제결혼가정의 형성배경뿐 아니라 역사?문화적으로도 우리와 유사한 환경에 있는 일본, 대만의 교육지원 사례를 중심으로 국외 사례에 대해서도 탐색하고자 하였다. 끝으로 이들 국가의 교육지원 정책, 교육 환경, 교육지원 실태뿐만 아니라 교육실천 사례 분석을 통해 우리 교육에의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추진하기 위해 문헌연구, 관련 자료 및 프로그램 분석, 전문가 의견 수렴을 위한 협의회 개최, 전문가 심층면담 및 수업관찰, 국내외 결혼이민자 부모 출신국 언어 교육지원 현황 조사, 실천사례 수집 분석 등의 연구방법을 사용하였다 When cross-nationally wed immigrant parents residing in Korea teach their children the language of their home countries (mother tongue), such parents lacking confidence in the kids’ education due to their difficulties with the Korean language can gain significant potential and hope in the kids’ education and as well as other areas. Furthermore, not only can the immigrant parent’s mother tongue become a valuable asset to the child individually and to Korea, it can serve in the long-term as a bridge connecting the societies of Korea and the parent’s motherland. In the case of Korea, however, there still exists the tendency to stress only the importance teaching of Korean with families of trans-national marriages and the fixed idea that education of children must be conducted in Korean. Koreans should become aware of the importance of teaching ? in addition to Korean ? the mother tongue of the immigrant parent of trans-national marriages, and it is necessary to create measures to systematically educate children the immigrant parent’s mother tongue. Currently, precedent research concerning policies and the related support for systematically teaching the mother tongue of immigrant parents do not exist.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gather the fundamental data necessary to develop a plan to systematically teach the immigrant parent’s mother tongue to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To these ends, the primary areas of research addressed in this paper are as follows. First, this paper examines the language education support efforts that have been performed thus far in Korea to teach the immigrant parent’s mother tongue to school-age children and adolescents of multicultural families. Secondly, to grasp the demands of the pending issues and areas of improvement, this study digs into and analyzes practice cases. In addition, in order to substantiate the validity of teaching the immigrant parent’s mother tongue, not only the multicultural family’s developmental background but also its historical and cultural elements are examined against case studies of other countries, with the most similar ones of Japan and Taiwan being relied upon the most. Lastly, the paper draws conclusions with the possible implications on Korea’s education from analyses of national education policies, environments, conditions, and case studies. The research methods for this study include literature review, analyses of related material and programs, academic seminars for pooling expert opinions, in-depth interviews and class observations, examinations of the current state of support for teaching the immigrant parent’s mother tongue in Korea and other countries, and collection and analyses of case studies. The study was able to draw the following conclusions for developing measures to systematically teach the mother tongue of the immigrant parent to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First, a policy direction needs to be established for language education, the foremost being the need to establish the language to express “cross-nationally wed immigrant parents mother tongue.” Following an inspection of the many terminology presently being popularly used such as bilingual, mother tongue, and heritage language, a selection of appropriate terms needs to be made. Next, policies need to recognize that multicultural families are important members of Korean society, and these policies should strive to enhance their linguistic and cultural potentials from the standpoint of guaranteeing human rights and securing societal resources. As opposed to a nonrecurring and shortsighted policy, Korea needs policies based on social agreement that will go side-by-side with systematic processes. Secondly, in order to reinforce language education, the immigrant parent’s mother tongue should be adopted as part of regular school curricula, and a legal basis should be instituted to operate within the public education system. From the aspect of legis

      • KCI등재

        유비쿼터스 학습국가 실현을 위한 평생학습 정책 수립의 방향과 과제

        이재분(Lee Jae Boon),이영민(Lee Young Min),장상필(Jang Sang Pil),홍지영(Hong Ji Young) 교육종합연구원 2007 교육종합연구 Vol.5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유비쿼터스 기술 기반 환경에서 국민들의 평생학습을 효과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정책의 비전과 방향을 설정하고 추진과제를 제안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유비쿼터스’와 ‘평생학습’체제에 대한 개념적 탐색과 유비쿼터스 기술을 기반으로 평생학습체제를 구축한 선진국의 관련 정책 분석을 실시하였다. 문헌 및 자료분석 결과에 기초해 유비쿼터스 사회에서 평생학습을 활성화하기 위한 정책비전, 추진방향, 핵심과제, 세부추진과제를 설정하고 추진전략을 제시하였다. 정책추진의 비전은 「유비쿼터스 학습국가 실현」으로 제시하였으며, 정책추진의 방향으로 ‘전 국민의 학습역량 강화’, ‘전사회의 학습문화 확산’, ‘국가의 학습지원 체제 혁신’, ‘국제적 학습파트너십 형성’을 제시하였다. 아울러 각 정책 추진 방향별로 세부추진과제들을 함께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suggest a strategic plan, including future tasks for the promotion of lifelong learning in ubiquitous society. In terms of the review of literature and policy analysis regarding lifelong learning policy and ubiquitous technology policy across nations, we assessed them, using SWOT technique (strengths, weaknesses, opportunities, and threats). Based upon the result of SWOT, we set a new vision for the promotion of ubiquitous lifelong learning in the name of the construction of ubiquitous learning nation and suggested four planning strategies: 1) the strengthening of citizen s learning capabilities; 2) the diffusion of learning culture across the society; 3) the innovation of nations learning support system, and 4) building learning partnership with international countries. We finally addressed a series of specific tasks to be conduc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