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학술지 「한국교육」 에 대한 평가와 과제

        고 전,김영옥,박병기 한국교육개발원 2013 한국교육 Vol.40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academic productivity of The Journal of Korean Education (JKE) and to suggest the tasks that lie before it in the future. To begin with, the characteristics of this journal, including objectives and processes, were reviewed briefly. The JKE has three official objectives: 1)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Korean education, 2) to accelerate the advance and exchange of knowledge and information related to education policy, and 3) to establish an intellectual foundation to contribute to Korean education policies. The strengths and the weaknesses of this journal were examined with a focus on the procedures of submission, acceptance, publication, and quality control. A comparative analysis was conducted with the journals that shared certain characteristics with the JKE: journals published by governmental educational research institutes such as the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and the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and a journal that covered comprehensive issues of education, published by Korea Educational Research Association. A survey was conducted for the purpose of an in-depth analysis of the JKE. Targeted populations were the contributors to the JKE and members of the editorial boards of the JKE; one hundred and fifty-two participants responded to the survey. In addition to the survey data, comments were collected from former editorial board members. Through these processes, the current status of the JKE and expectations for it were identified. Suggestions for future directions and tasks for the improvement of the JKE focused on three goals: 1) to ensure the journal’s status as a main educational journal; 2) to fulfill its role as an institutional journal of KEDI, a primary governmental educational policy research organization; and 3) to function as a mediator between scholars, researchers, schools, and other figures in education in Korea. 이 논문은 학술지 「한국교육」(제1호(1974)∼제40호(2013))에 대하여 그 학술적 성과를 평가하고, 개선하여야 할 과제를 모색하고자 시도된 연구이다. 먼저 이 학술지의 발간 배경과 과정을 개관하였고 그 성격을 진단하였다. 우선 이 학술지의 발간 규정에서 표방하고 있는 세 목적(1. 한국교육의 발전에 기여 2. 교육정책 관련 지식과 정보의 발전 및 교류 촉진 3. 한국교육정책 개발에 기여할 지적 기반의 확보)에 비추어 그 달성 성과를 논의하였다. 이어 이 학술지의 편집 및 발간에 있어서 특징과 관련된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끝으로 국책연구기관 학술지로서 특징을 한국교육과정평가원 및 한국직업능력개발원 학술지와의 비교 통해 논의하였으며, 종합학술지로서의 성격에 대하여 한국교육학회와의 비교를 통해 논의했다. 보다 구체적인 학술지의 문제점 진단을 위하여 학술지의 주요 수요자이자 관계자였던 최근 6년 동안의 투고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회수 152건)를 실시하였고, 한국교육개발원 내외의 전임 편집위원을 대상으로 검토의견을 수렴하였다. 이를 통해 『한국교육』에 대한 이해도 및 기대수준, 문제인식, 개선방안의 경향을 파악할 수 있었다. 결론으로서 향후 학술지 『한국교육』의 과제를 제시하였다. 개선 과제는 첫째로는 교육학 정론지로서 위상 확립 측면에서, 둘째로는 국가 교육정책연구 주무기관인 한국교육개발원 기관 학술지로서 역할 측면에서, 그리고 마지막으로는 학자․연구자․교육현장 간의 교류 및 국제교류의 매개체로서의 기능 측면에서 제안하였다.

      • KCI등재

        한국 특수교육에서의 질적 연구 동향과 발전 과제

        강경숙,강성종 한국교육개발원 2012 한국교육 Vol.39 No.1

        한국 특수교육학계의 연구 패러다임은 양적 연구 시각에 의해 지배되어 왔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한국 특수교육 환경이 점차 변화되고 있는 실정을 고려할 때, 양적 연구 시각만으로 특수교육을 이해하는 데는 한계가 있음이 지적되어 왔다. 따라서 이 연구는 양적 연구 시각의 한계를 극복하고 특수교육 현상의 ‘있는 그대로’를 심도 있게 이해하기 위한 대안으로써 질적 연구 패러다임에 관심을 가지고 추진하였다. 이를 위하여 먼저, 논문 투고 편수의 경향성을 중심으로 진단해본 결과, 학술논문과 학위논문의 연구논리는 양적 연구방법론이 주류를 이루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국외적으로는 특수교육관련 전문 학회와 단체가 중심이 되어 질적 연구방법론의 평가기준을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있다는 것을 문헌연구를 통하여 파악할 수 있었다. 다음으로, 한국 특수교육학계에서의 질적 연구는 양적 연구의 한계를 극복함으로써 질적 연구의 확산 가능성을 확인하였고, 그 대안으로서 각각의 질적 연구방법론에 해당하는 질적 연구 아이디어, 질적 연구의 엄격성, 질적 연구 확산에 대한 재음미를 해 보았다. 마지막으로, 한국의 질적 연구 동향, 문헌 연구 등의 결과에 근거하여 한국 특수교육의 질적 연구 발전 과제를 다섯 가지로 제시하였다. 한국 특수교육의 발전 과제 다섯 가지는 ‘특수교육 연구 패러다임의 다양화’, ‘대학에서 가르칠 수 있는 인적 자원의 확대’, ‘양적 시각으로 질적 연구 보기에 대한 극복 노력’, ‘학문의 동반 발전을 위한 노력’, ‘특수교육 발전을 위한 국가적 지원 요청’이다. 여기서 제시한 한국 특수교육 질적 연구의 발전 과제는 단독으로 추진되기보다는 통합적으로 이루어질 때 그 효과는 배가될 것이다. Special education research in Korea has been dominated by quantitative methodology. Now that the circumstances of Korean special education are gradually changing, though, a research paradigm that focuses mainly on the quantitative aspect is not effective in understanding special education. This study examines the importance of qualitative study in Korean special education as a means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quantitative studies. First, this research shows that the majority of academic articles and degree theses mainly use quantitative methods. A literature review of overseas cases, however, tells us that there are a number of academic societies and special education institutions that suggest specific ways to adopt the qualitative methodology. Furthermore, the fundamental necessity of incorporating qualitative study in Korean special education research is confirmed by showing the limitations of the mathematical quantification method. Qualitative research ideas, the strict rules to follow in implementing a qualitative study and the five particular tasks for qualitative research on Korean special education are presented. The five tasks are ‘diversifying special education research paradigms', ‘increasing faculty members who can teach the qualitative methods in college', ‘overcoming the dependence of the quantitative methods for primarily qualitative issues', ‘seeking the development of both research styles', and ‘demanding more governmental support for special education research'. The tasks listed above can be fulfilled when all of them are processed simultaneously rather than when they are pursued separately.

      • 한국교육의 실패와 희망에 대한 또 하나의 미래교육 담론: Bruner의 내러티브론을 중심으로

        강현석(Hyeon-Suk Kang) 한국교육과정개발원 2024 한국교육과정개발연구 Vol.2 No.2

        It can be said that the discourse on education problems and crises in Korea has always existed in various ways, and it is still being produced and reproduced and disseminated in various way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uss the narrative theory proposed by Bruner as a theoretical perspective for discussing the issue of Korean education, and to examine the direction and future prospects of Korean education based on this theory. Diagnosing the failure of Korean education and constructing a new hope here is possible through the construction of the theory of human education, and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narrative theory as its theoretical foundation. The romantic narratives about the future of education, which are currently being discussed unreasonably, tend to be very bureaucratic and administrative, lacking authentic discussions about the nature and purpose of education and the way of human existence. According to Bruner's discussion, the possibility of renewing the hope of Korean education will be opened up in the path of recreating the language of education by focusing on the construction of the human self as a narrative being. In order to achieve these expectations and objectives, the main issues to approaching these objectives was discussed. 한국의 교육문제와 위기에 대한 담론은 늘 다양하게 존재해왔고, 지금도 여러 방식으로 생산, 재생산되면 유포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한국 교육문제에 대해서 숙고할 수 있는 하나의 이론적 조망으로서 Bruner가 제안한 내러티브 이론을 중심으로 논의하고 그 기반 위에서 한국 교육의 방향과 미래 전망을 해보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한국 교육의 실패를 진단하고 여기에서 새로운 희망의 구성은 인간교육론의 구성으로 가능하며, 그 이론적 토대로서 내러티브 이론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현재 무리하게 논의되는 미래교육에 대한 낭만적 이야기들은 교육의 본질과 목적, 인간 존재 방식에 대한 심각한 논의가 결여된 채로 매우 관료적, 행정적으로 접근하는 경향을 보인다. Bruner의 논의에 의하면 내러티브 존재로서 인간의 자아 구성에 주목하여 교육의 언어를 새롭게 창조하는 길에서 한국 교육의 희망을 새게 모색할 수 있는 가능성이 열릴 것이다. 이러한 기대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관련된 핵심 주제들을 탐색해볼 것이다.

      • KCI등재

        국제결혼가정 초등학생의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김혜원,이재분,이해영 한국교육개발원 2010 한국교육 Vol.37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structural relationship of variables affecting school adaptation, namely the multicultural self-efficacy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the level of social adaptation and the educational support for their children of mother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For this study, data from research conducted by KEDI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chieved through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structural model was verified to have a reasonable fitness by the goodness-of-fit test. Second, it was shown that multicultural self-efficacy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directly affects school adaptation of the children. Third, it was shown that the educational support that mother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give to their children directly affects the multicultural self-efficacy of the children. Fourth, it was shown that the level of social adaptation of mother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directly affects the educational support that the mothers give to their children. The results imply that educational support is critical in enhancing the multicultural self-efficacy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in order to improve their school adaptation. 본 연구는 관련 선행연구들을 기초로 하여 국제결혼가정 초등학생의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 중 어머니의 한국사회적응도와 자녀에 대한 교육적 지원, 그리고 자녀의 다문화적 자아효능감 간의 구조적 인과관계를 분석하고 이들 변인들간의 상대적 영향력을 분석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분석자료는 2009년도 한국교육개발원에서 수행된 다문화가족 구성원에 대한 역량 조사 및 교육적지원에 관한 연구 수행을 위해 수집된 자료를 기반으로 하여 613명의 국제결혼가정 초등학생과 그들의 결혼이민 어머니들의 자료가 분석대상으로 사용되었다. 구조방정식 모델링 분석을 통해 연구문제를 검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제결혼가정 초등학생의 학교적응에 학생의 다문화적 자아효능감이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결혼이주 어머니의 자녀교육에 대한 지원은 국제결혼가정 초등학생자녀의 다문화적 자아효능감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결혼이주 어머니의 한국사회 적응도는 어머니의 자녀교육에 대한 지원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넷째, 결혼이주 어머니의 한국사회적응도나 자녀교육에 대한 지원은 자녀의 학교적응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그러나 자녀학교교육에 대한 지원은 자녀의 다문화적 자아 효능감을 매개로 하여 자녀의 학교적응에, 그리고 어머니의 한국사회적응도는 어머니의 자녀교육에 대한 지원을 매개로 하여 자녀의 다문화적 효능감에 간접효과를 미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국제결혼가정 초등학생 자녀의 학교적응도를 높이기 위해 다문화적 자아효능감을 높일 수 있는 교육적 지원이 필요함을 시사하며, 또한 국제결혼가정 초등학생 자녀의 다문화적 자아효능감을 높이기 위해 결혼이민 어머니의 자녀교육지원 역량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육적지원이 필요함을 시사하였다.

      • KCI등재

        중・고등학생의 학업성취가 사교육 참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종단분석: 강화적 전략과 보완적 전략의 공존

        전하람,심재휘 한국교육개발원 2018 한국교육 Vol.45 No.3

        Purpose: This study purports to examine the causal effect of academic achievement on participation in shadow education and to look into the complicated nature of Korean shadow education intertwined with enrichment and remedial strategies. Methodology: Using the Programme for International Student Assessment (PISA) 2012 and the first to sixth waves of 7th-graders cohort of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KCYPS), we examined the effect of academic achievement on the amount of hours students participated in shadow education. First, we compared the association between academic achievement and participating hours in shadow education across countries. Next, an Ordinary Least Squares (OLS) regression analysis and a Difference Generalized Method of Moments (DGMM) analysis were conducted to estimate the difference in participating hours in shadow education by academic achievement at cross-sectional and longitudinal ways, respectively. Findings: In the comparative analysis using the PISA 2012, a very limited number of countries including Korea showed a positive association between academic achievement and participating hours in shadow education. The OLS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KCYPS also confirmed that positive association with significant effects of family income, the number of siblings and urbanicity on participating in shadow education. The DGMM showed the longitudinal impact of prior academic achievement on participating hours in shadow education. In addition, the longitudinal effect was only significant in the group of low-achieving students. Value: Findings support that shadow education is predominantly used as an enrichment strategy to keep competitiveness for the college entrance and social success. However, shadow education is also widespread among low achievers. Furthermore, we add theoretical and policy implications on the coexistence of two strategies in participating in shadow education. 본 연구는 PISA 2012 데이터와 한국아동청소년패널 중1 코호트의 1~6차년도 데이터를 사용하여 청소년의 학업성취가 사교육 참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PISA 2012 데이터를 이용하여 학업성취와 사교육 참여 시간 간의 관계에 대한 국제비교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한국아동청소년패널 데이터를 이용하여 학업성취에 따른 사교육 참여 시간의 학생 간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OLS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사교육 참여의 지속성과 사교육 참여 시간에 대한 학업성취의 종단적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DGMM 분석을 실시하였다. PISA 2012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한국을 포함한 일부 국가에서만 사교육 참여 시간과 학업성취의 관계가 정적으로 나타났으며, 그중 한국은 양자 간의 관계가 가장 강한 국가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한국아동청소년패널 데이터를 OLS 분석한 결과에서는 학업성취가 높을수록, 가구소득이 많을수록, 형제자매수가 적을수록, 거주지 규모가 클수록 사교육 참여 시간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DGMM 분석 결과는 사교육 참여의 지속성과 학업성취가 사교육 참여에 미치는 정적인 효과를 종단적으로 보여주었다. 한편 집단별 분석 결과 학업성취 ‘하’ 집단에서만 사교육 참여 시간에 대한 학업성취의 종단적 효과가 유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사회에서는 여전히 강화적 전략으로서의 사교육 참여 행태가 더 우세하게 나타나고 있음을 확인하는 동시에 사교육 참여가 저성취 집단에서도 부족한 학업성취를 보완하기 위한 전략의 형태로 나타난다는 점을 보여주었다. 구체적으로 학업성취에 따른 집단 구분을 통해 성적 상위집단에서는 사교육 참여가 포화 상태에 이르러 이전 학업성취가 이후 사교육 참여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성적 하위집단에서는 이전 학업성취 향상도에 따라 부족한 학업을 보완하기 위해 사교육에 참여할 가능성이 높아지는 상이한 양상이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와 함께 학생의 학업성취에 따라 사교육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달리할 필요가 있음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부모의 교육적 지원이 초등학생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 학교생활적응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전지원,전자배 한국교육개발원 2016 한국교육 Vol.43 No.2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over the influenc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djustment to school life and the cognition of receiving educational support from their parents regarding their mental health. Design/methodology/data/approach: For the study, from the dataset of the second year surveys of the Korean Educational Longitudinal Study(KELS) 2013, the authors selected 6,104 elementary school students living with their parents to figure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students’ mental health and the degree of their adjustment to school life, considering the degree of support from their parent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applied as a part of the analysis. Findings/Results: The result of the study demonstrates that students’ adjustment to school has a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ducational support by their parents and their mental health, which indicates the importance of school as a place for nurturing growth and building resilience in the minds of students. Value: Based on the findings of above, policy implications are suggested as follows: there is a need to strengthen effective cooperation between families and schools. Both family and education policies must be considered to foster healthy human resources. Parents also need to be empowered through parental education so that they can lead the mental growth of their children to a balanced mental growth for their future. 본 연구는 초등학생이 인지한 부모의 교육적 지원 및 학교생활적응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한국교육개발원의 한국교육종단조사 2013(2차년도) 자료를 사용하여, 부모와 동거하는 6,104명의 전국의 초등학교 6학년 학생을 조사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초등학생의 정신건강은 부모의 교육적 지원에 의해 영향을 받지만, 이러한 영향은 부모의 교육적 지원 때문에 형성된 학교생활적응으로 매개된 영향임을 증명하였다. 이런 결과는 가정과 학교가 건강한 발달과 교육이라는 공통의 목적을 가지고, 학생의 정신건강 확보 및 증진을 위하여 책임을 공유해야 함을 재확인하였다. 동시에 교육정책과 가정정책의 파트너십은 건강한 사회를 만드는 기반이 된다는 점에서, 두 대상의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협업이 절실히 요구됨을 본 연구의 실천적 의의로 두고자 한다.

      • KCI등재

        진보교육감의 혁신학교 정책에 대한 초등교사들의 적응유형과 대응전략 : K도를 중심으로

        정영애,오영범 한국교육개발원 2016 한국교육 Vol.43 No.3

        Purpose: This paper aims to identify the teachers' adaptation types and the corresponding strategies that drive an Innovative School Policy recently introduced by a progressive superintendent in K province. Design/methodology/data/approach: This study employed qualitative methods by conducting observations and interviews, and by collecting reflection journals from forty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e participants consisted of teachers who work in the same school, those who regularly participated in the teacher learning community, and those who met a researcher via training or seminar. Data were analyzed by using a three-step method: transcription, coding, and theme finding. Findings/Results: The results suggested four types of teachers' responses to the new educational policy: (a) active agreement, (b) ideological agreement, (c) formal practice, and (d) complete rejection. Those who selected “active agreement” included teachers who completely accepted the values of the new policy and tried to put the policy into practice in their school. Those who selected “ideological agreement” included teachers who viewed the values of the new policy positively but declined to implement the policy. Within those who selected “formal practice”, there are two sub-groups: one consisting of teachers who viewed the policy negatively but still reluctantly followed it and another consisting of relatively young teachers who possess less knowledge regarding the new educational policy but tried to implement the policy because they are curious about its potential value. Those who selected “complete rejection” included teachers who resisted the new educational policy and were unwilling to change their teaching practice. Value: The present study found that teachers were autonomous in their response to the new educational policy. They applied various adaptation strategies according to differing situations. The results suggested that policy makers should take a holistic approach in introducing new educational policies by considering teachers' adaptation strategies. 이 연구는 진보 성향의 교육감이 추진하고 있는 혁신학교 교육정책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들의 적응유형과 대응전략을 밝히려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K도에서 근무하고 있는 초등학교 교사 40명을 대상으로 참여관찰, 인터뷰, 성찰일지를 통한 질적 연구방법으로 접근하였다. 연구 결과, 진보 교육감의 혁신학교 교육정책이 추구하는 가치와 실천에 대한 수용과 거부를 바탕으로 4가지 유형으로 나눌 수 있었다. 첫째, 적극적 동조형이다. 이 유형은 혁신학교의 교육적 가치를 적극적으로 수용하면서 교육 실천과 연결 지으려고 노력하는 교사들이다. 둘째, 관념적 동조형이다. 이 유형은 혁신학교의 교육적 가치는 긍정적으로 수용하나 교육적 실천으로 연결시키는 것은 거부하는 교사들로서 주로 기존 방식에 익숙한 중견 혹은 고경력의 교사들로 이루어져 있다. 셋째, 의례적 실천형이다. 이 유형은 그 안에서 다시 두 가지로 나뉘는데, 하나는 혁신학교의 교육적 가치는 동의하지 않지만 마지못해 교육현장에서 혁신학교를 실천하는 유형이 있고, 다른 하나는 혁신학교 교육정책은 잘 모르나 잠재적 가치에 대한 호기심을 가지고 교육현장에서 혁신학교를 실천하는 교사들로서 젊은 교사들이 이에 속한다. 넷째, 부정적 거부형은 변화에 대해 부정적이며 강한 저항 의식을 가지고 있는 교사들로서 변화할 의지도 없으며 새로운 교육정책이나 환경의 변화에 대해 강한 저항을 표출하는 교사들이다. 결론적으로 교사들은 혁신학교에 대하여 교사 각자가 처한 상황 속에서 다양하게 의미부여를 하면서 적응 내지는 전략을 구사하는 자율적인 존재라는 사실을 밝힘으로써 혁신학교 교육정책은 물론이고 어떠한 교육정책이든 교사들의 다양한 대응전략을 고려하여 총체적으로 접근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퀸즈랜드 주를 중심으로 한 호주 유아기 환경교육의 맥락적인 배경 및 특성 고찰

        지옥정 한국교육개발원 2011 한국교육 Vol.38 No.3

        This study clarifies the contextual backgrounds and characteristics of environmental education for early childhood in Australia, focused on the state of Queensland. This study uses three methods: analysis of related literature and internet materials, interviews with environmental education specialists, and field observation in Queensland state. The analysis of contextual backgrounds shows the following: 1) overall emphasis on environmental education in all education levels; 2) reflection of sustainability in early childhood curriculum; 3) strengthening the system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4) maintaining consistency in education through integration of government offices. Moreover, this study determin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developmental process as the following: 1) activation of environmental education by organizing networks; 2) emphasis on environmental education from early childhood at a national level; 3) united efforts from the related personnel i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field; and 4) emphasis on the perspective of sustainability. The characteristics of current environmental education are determined to be the following: 1) administration of program focusing on sustainability; 2) a whole setting approach; 3) participation of various institutions in environmental education in addition to formal educational institutions; 4) raising preschool children's awareness as citizens through participation in local social issues; and 5)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based on constructivism. In conclusion, to maintain the sustainability of Korean environmental education, it is suggested that environmental education begin in early childhood, and every related institution, organization, and concerned party in the community should join forces with formal education institutions. 본 연구의 목적은 퀸즈랜드 주를 중심으로 한 호주 유아기 환경교육의 맥락적인 배경 및 특성을 밝히는 것이다. 연구방법은 세 가지로서 관련 문헌과 인터넷 자료의 수집 및 분석, 퀸즈랜드 주의 유아기 환경교육 전문가 면담, 그리고 퀸즈랜드 주 내의 유아기 환경교육현장 참여관찰이다. 분석결과, 퀸즈랜드 주를 중심으로 한 호주 유아기 환경교육의 맥락적인 배경은 ‘교육 전 분야에서 환경교육 중시’, ‘유아교육과정에 지속가능성 반영’, ‘유아교육체제 강화’, ‘유보관리관청의 통합을 통한 일관성 있는 교육 추진’이었다. 그리고 발전과정 상의 특성은 ‘유아기환경교육네트워크 조직을 통한 환경교육 활성화’, ‘국가 차원에서 유아기부터의 환경교육 중시’, ‘유아교육 관계자 연합 노력’, ‘지속가능성 관점 강화’로 나타났으며, 현행 환경교육 운영 상에 나타난 특성은 ‘지속가능성 추구의 프로그램 운영’, ‘기관 전체 접근’, ‘형식적 교육기관 외에도 다양한 기관이 환경교육에 참여’, ‘유아의 지역사회 문제 참여로 시민의식 고양’, ‘구성주의 이론에 기초한 교수학습활동’이었다. 결론적으로 우리나라 환경교육도 지속가능발전 관점에서 ‘유아기를 시작 시점으로 한 환경교육’으로 강화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 형식적 교육기관에서의 환경교육을 넘어서 지역사회의 다양한 기관, 단체, 그리고 관계자들이 함께 노력하여야 한다.

      • KCI등재

        한국의 정부주도형 교육체제의 비판과 새로운 지향점에 관한 철학적 논의

        이성호 한국교육개발원 2013 한국교육 Vol.40 No.4

        I have two purposes in this paper. First, I want to present a critical review of the government-initiated education system in South Korea, which is otherwise called ‘authoritarian bureaucracy’ or ‘bureaucratic heteronomy,’ in terms of both its contributions and problems. Second, I intend to propose a future orientation for the Korean educational system through its philosophical discussions. The paper comprises four main parts. The first part deals with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the government-initiated educational system of Korea in comparison with the educational systems of the West. The second part is an analysis of the current education system; the focus lies upon the power and roles of both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in Korea, and also upon the achievements and limitations of the current system. The third part is a critical review of the three alternatives suggested earlier: the market model, the business model, and the decentralization model. In the last part, I endeavor to search for a new orientation for the Korean educational system by offering some conditions of government intervention as well as justifying the autonomy in education through its philosophical analysis. 본 연구에서는 흔히 ‘중앙집권적 권위주의적 관료주의’나 ‘관료주의적 타율’ 등으로 지칭되는 현상, 즉 중앙정부나 지방정부가 교육에 관한 제반 사안들을 관장하는 체제를 ‘정부주도형 교육체제’로 규정하고, 이러한 교육체제의 문제점과 공적을 성찰해 보고, 정부주도형 교육체제와 관련된 주요 쟁점들에 대한 철학적 논의를 통해 향후 한국의 교육행정체제의 방향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내용은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우선, 한국의 정부주도형 교육행정체제의 역사적 배경을 살펴본다. 특히 이 부분에서는 정부주도형 교육이 동양적인 전통이라는 점을 서양 교육사와의 비교를 통해 부각시킨다. 다음으로, 정부주도형 교육체제의 실태를 분석하는데, 여기서는 현재 중앙의 교육부와 교육지방자치단체가 관장하고 있는 업무를 고찰함과 동시에, 정부주도형 교육체제의 공적과 문제점에 대해 논의한다. 다음 부분에서는, 시장 모형, 기업식 모형, 분권화 모형 등의 기존의 대안들을 비판적으로 분석한다. 끝으로, 철학적 논의를 통해 정부개입이 허용될 수 있는 조건을 제시하고 교육의 자율성을 정당화함으로써 새로운 교육체제의 지향점을 제시한다.

      • KCI등재

        대학 전공교육과정 개편과정의 문제점에 대한 근거이론적 분석

        박민정 한국교육개발원 2018 한국교육 Vol.45 No.2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problems and issues in academic planning and curriculum development at the university level. Design/Methodology/Data/Approach: A grounded theory study into the experiences of faculty members was undertaken to develop theory about the curriculum development process at the university. Findings/Results: The results show that curriculum is developed and implemented in virtue of the rule of thumb that faculty members make judgements and decisions without deliberation. The curriculum tends to be revised at the formal and passive level, to be merely recognized as paperwork, and to be maintained at the current level. This paper also identifies obstacles to the deliberative process of curriculum development: greater emphasis on research compared to teaching within the contemporary higher education system, the lack of support system for quality curriculum, conservatism and individualism, the lack of communication and collaboration, workload, etc. This paper explores ways to initiate critical curriculum conversations in support of curriculum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이 연구는 근거이론을 적용하여 대학에서의 전공교육과정 개편과정과 그 속에 내재된 문제점에 대한 실체이론을 구축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결과, 전공교육과정 개편은 교수들의 관심과 숙의를 통한 집단적 합의를 통해 이루어지보다 무관심, 갈등, 임기응변적 대응 속에서 주먹구구식으로 이루어지고 있었다. 전공교육과정 개편은 학과장의 문서작업으로 간주되고 있고, 형식적이고 피상적인 수준의 교육과정 개편이 만연해있으며, 급격한 사회변화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교육과정이 유지 운영되고 있었다. 그 결과, 각 교과목 수업은 전공교육과정을 중심으로 통합적으로 운영되기보다 개별 교수자의 관심과 관점에 따라 독자적으로 운영되고 있고, 교수들의 전공영토주의로 인해 교육과정은 시대적 요구와 학생들의 요구를 제대로 수용하지 못하고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대학에서의 교육과정 개편 및 운영에 대한 관심이 필요하고, 교육과정을 개편과 운영을 지원해줄 수 있는 체제를 구축할 필요가 있으며, 교수들의 교육활동을 지원하고 격려해줄 수 있는 지원체제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