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APEC 국제교육협력사업을 위한 교육정책가의 교육정보화 역량모델 개발 연구

        이지연,이은배,윤헌철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2023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29 No.2

        The current study aims to develop a competency model that systematically defines the competencies required of education policymakers responsible for ICT in education policies in APEC member countries. The study employs a literature review of previous studies on competency models and a survey of APEC national education policymakers. To ensure the validity of the competency model, two rounds of expert review were undertaken. The final draft of the competency model for ICT education policymakers derived from this study is largely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common competency, informatization competency, and education informatization competency, each composed of subcompetencies. Common competencies include thinking, executive, and affective skills needed to perform public duties. Informatization capabilities consist of strategic planning for informatization, managing informatization, and informatization acceptance and diffusion. education informatization competency is divided into strategic planning for education informatization, building infrastructure for education informatization, promoting its acceptance and diffusion, and ICT integration for education informatization, overarching tasks that span from policy establishment to close cooperation with practitioners. It is expected that the competency model for education informatization policymakers developed from this study could be employed in hiring processes, the development of training programs to enhance job competencies, the allocation of roles and responsibilities, and the establishment of performance evaluation standards. 현재 포스트 코로나, 4차 산업혁명, 디지털 대전환을 동시에 겪고 있는 격변기에 국가의 교육정보화 정책 수립 및 지원을 주도하는 교육정책가의 역할과 책임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교육정보화 정책을 담당하는 교육정책가에게 요구되는 역량을 체계적으로 정의한 역량모델을 개발하고자 수행되었다. 본 연구를 위해 역량모델 관련 선행연구 문헌조사와 APEC 회원국 교육정책가 대상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를 토대로 개발한 교육정책가 교육정보화 역량모델의 타당성 검토를 위해 전문가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교육정책가 교육정보화 역량모델 최종안은 크게 교육정책가가 갖추어야 할 공통 역량, 정보화 역량, 교육정보화 역량의 세 범주 및 범주별 세부역량으로 구성되었다. 공통역량은 공직자의 직무 수행에 필요한 사고력과 실행 능력, 인성을 포함한다. 정보화 역량은 정보화 기획 및 예측, 정보화 관리 및 추진, 정보화 수용 및 활용으로 세분화된다. 교육정보화 역량은 비전 수립, 인프라 구축, 수용 및 확산, 교육 현장의 ICT 통합으로 구성되며 정책 수립부터 교육 현장과의 긴밀한 협력까지를 직무를 아우른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교육정책가 교육정보화 역량모델은 향후 교육정보화 정책수립 및 시행을 위한 전문성을 갖춘 교육정책가 선발 및 평가, 직무역량 강화를 위한 연수 프로그램 개발, 조직과 업무 분할, 성과평가의 기준을 제시하는 등 인적자원 도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어 진다.

      • KCI등재

        교육정보미디어학회와 교육공학회의 학문적 정체성 탐구에 관한 연구

        김희배 ( Hee Bae Kim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06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12 No.4

        한국에서 교육공학 분야의 연구 활동을 주도하고 있는 두 학회가 "교육공학회"와 "교육정보미디어학회"임은 주지의 사실이다. 두 학회는 이제까지 다양한 교육공학 이론의 소개와 실제적 개발 적용을 위해서 각각 20여년, 10여년의 학문적 역사를 가지고 활동해 오고 있다. 본 연구를 통해 교육정보미디어학회와 교육공학회가 어떻게 하면 상호공존하면서 호혜적으로 협력 발전해 나갈 수 있는지를 시론적으로 모색해보고자 한다. 두 학회가 걸어온 지난날의 모습을 재조명해보는 가운데 두 학회의 학문적 관심과 주요 활동을 비교 분석해보고, 그를 토대로 지금까지 수행된 주요 학문적, 실천적 성과와 반성을 통해서 두 학회가 각각 자기 정체성을 가지고 제 역할을 올바로 수행해 나갈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향후 두 학회가 학문적 동반자로서의 길을 함께 가는 미래지향적 발전 방향 및 과제를 탐색하는데 본 논고의 의의가 있다 하겠다. It is unquestionable that the two major societies, The Korean Society for Educational Technology and The Korean Association for Educational Information and Media, have been leading educational researches in Korea. They have been introducing theories of educational technology and applying them to practical fields for 10 or 20 years. The Korean Society for Educational Technology, obviously has founded the base in the history of educational technology, but both of them, in practice, have been contributed to academic results and official approvals. In considering the present ways of practice by the two societies, however, we educational technologists think that it is the time to re-establish the identity of each society and to find out the developmental direction for the future through cooperating each other. In this respect, this study is to seek the theoretical ways for development of the two societies in co-existence. That is, it is to look back what they have contributed, to compare their major academic interests and activities, and to reflect their academic achievements. Furthermore, it is to find out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for each society to perform its appropriate tasks in the future.

      • KCI등재

        초·중등 SW 교육 현황 및 추이 분석 : 교육정보화 실태조사(2014-2016)을 중심으로

        윤일규,김한성,Yoon, Ilkyu,Kim, Hansung 한국정보교육학회 2018 정보교육학회논문지 Vol.22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매년 우리나라의 전체 초중등학교를 대상으로 주기적으로 조사되고 있는 '교육정보화 실태조사'의 기초 데이터를 활용하여 2018년부터 필수화를 앞두고 있는 국내 SW 교육 준비 현황을 객관적으로 분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교육정보화 실태조사 지표인 인적, 물적, 활용 지표 중 SW 교육과 관련된 지표를 추출하고 2014년부터 2016년까지 3개년 간의 국내 교육정보화 수준의 추이 변화를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정보교과를 담당하는 전체적인 교사 수는 3개년 간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중학교의 정보 교과 담당교사 중 정보 컴퓨터 정교사 자격증 소지자 비율은 2014년(71%)부터 2016년(54%)까지 지속적으로 줄어들고 있으며, 타교과로 이동하는 정보 컴퓨터 전공 교사 수는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역설적인 상황이 발생하고 있다. 둘째, 예산 및 인프라와 관련한 추이 분석 결과, 2014년부터 초 중등 학교운영비 대비 교육정보화 예산의 총액이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초등학교의 정보(컴퓨터) 관련 창의적 체험활동 운영 비율은 2015년 87.7%, 2016년 84.6%로 낮아졌으며, 중학교의 정보(컴퓨터) 교과 교육 운영 학교 비율 또한 2014년 34.8%, 2015년 30.8%, 2016년 28.2%로 점차 낮아지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초 중등 공교육 현장에 SW 교육의 안정적인 정착을 위한 방안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objectively the current state of preparation of SW education in Korea based on the survey of educational technology of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which is investigated periodically every year. For this purpose, we extracted indicators related to SW education from educational technology level indicators such as human, material, and utilization and analyzed the change in the level of domestic educational technology level from 2014 to 2016.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the ratio of teachers who have informatics teacher certificates among middle school informatics teacher is continuously decreasing from 2014(71%) to 2016(54%), and the number of information and the number of informatics teachers moving from informatics subject to other subjects is steadily increasing. On the other hand, there is a paradoxical situation in which the total number of teachers in informatics subject is continuously increasing for three years. Secondly, the total amount of ICT related budgets for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has been steadily decreasing since 2014. Thirdly, The ratio of informatics(computer) related creative activities in elementary schools dropped to 87.7% in 2015 and 84.6% in 2016. Also, the ratio of informatics subject operating school in middle school is gradually decreasing from 34.8% in 2014, 30.8% in 2015, and 28.2% in 2016.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this study suggested a method for stable settlement of SW education in elementary and secondary public education field.

      • KCI등재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교육정보화 정책 분석: 교육정보화백서를 중심으로(2008~2019년)

        송연옥 ( Song-Yeon Ok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2021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27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교육정보화 정책의 주요 이슈와 전개양상을 입체적으로 살펴보는데 있다. 이를 위해 2008년~2019년까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에서 발행한 교육정보화백서 12건을 이명박 정부, 박근혜 정부, 문재인 정부로 분류하여 네트워크 텍스트 분석을 진행하였다. 분석결과, 교육정보화 정책 주요 이슈는 교육 및 학습 지원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정 정부에서만 확인되는 주제어는, 이명박 정부 ‘가정’, ‘원격’, ‘품질’, 박근혜 정부 ‘기술’, ‘온라인’, ‘정책’, ‘활동’, 문재인 정부 ‘ICT’,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학교’ 등이었다. 둘째, 의미 연결망의 경우 역대 정부 모두 교육, 학습, 지원에 대한 연결성이 가장 높았다. 셋째, n-gram의 경우 이명박 정부와 박근혜 정부는 원격, 사이버, 온라인과 학습, 수업 활동에, 문재인 정부는 ‘소프트웨어-교육’, ‘서비스-지원’에 보다 더 강조점을 두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CONCOR 분석 결과 정부별 상위 키워드의 수가 가장 많이 포함된 군집으로 이명박 정부 ‘학생 지원 시스템’, 박근혜 정부 ‘온라인 학습’, 문재인 정부 ‘정보화 연수’ 등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사회 변동성 측면을 고려한 논의, 정책적 공조 체계 마련, 학습격차 완화를 위한 제도 마련, 정부에서 먼저 손 내미는 소통노력, 교육의 기본가치를 지키기 위한 내실 다지기 등 향후 교육정보화 정책 방향에 대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ain issues and developmental aspects of the Korean government's education informatization policy from a multidimensional perspective. To this end, a total of 12 white papers on the educational informatization policy-issued annually from 2008 to 2019 by the Korea Education and Research Information Service-were classified into the Lee Myung-bak administration, the Park Geun-hye administration, and the current Moon Jae-in administration for network text analysis (NTA). The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the main issue of the education informatization policy common to the three administrations was education and learning support. Keywords that appeared only in the policy of a specific administration were as follows: “home,” “remote,” and “quality” for the Lee administration; “technology,” “online,” “policy,” and “activities” for the Park administration; and “ICT,” “software,” “program,” and “school” for the Moon administration. Second, in terms of the semantic network, all three administrations showed the highest connectivity for education, learning, and support. Third, the n-gram analysis revealed that the two previous administrations placed more emphasis on remote, cyber, online and learning, class activities, while the Moon administration focused more on software education and service support. Finally, through the convergence of iteration correlation (CONCOR) analysis, the clusters containing the highest number of top keywords for each administration were as follows: “student support system” for the Lee administration, “online learning” for the Park administration and “informatization training” for the Moon administration. Based on the above analysis results, this study presented specific implications for the education informatization policy.

      • KCI등재

        정보 교과의 ‘문제 해결’ 주제의 성취 목표 및 교수-학습 방법에 관한 연구

        정인기 한국정보교육학회 2014 정보교육학회논문지 Vol.18 No.2

        정보화 사회에서 필요한 능력은 정보 능력을 바탕으로 한 문제 해결 능력의 습득이며 이러한 핵심 역량에 대한 교육 필요성과 함께 급변하는 정보화 사회에서 새로운 기술의 발전과 사회 환경의 변화로 인하여 교육 과정을 새롭게 구성해야 할 필요가 발생하였다. 따라서 한국정보교육학회에서는 정보 교과의 내용 체계에 대한 개정안에 대하여 연구하였으며, 정보 교육 내용을 ‘소프트웨어’, ‘컴퓨터 시스템’ 및 ‘융합 활동’의 세 영역으로 구분하였다. 이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소프트웨어’ 영역의 ‘문제 해결’ 주제에 대하여 초등학교 1학년부터 중학교 3학년까지의 교육과정을 연구하였다. 먼저 ‘문제 해결’의 교육 내용을 ‘문제 이해 및 분석’, ‘데이터 관리’, ‘문제 해결 전략 수립’, ‘문제 해결 방법 탐색 및 개발’ 및 ‘문제 해결 방법 검토’ 등으로 분류하고 이에 대한 성취 기준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이 성취 기준을 도달하기 위한 교수 학습 방법과 평가 방안을 학년군 별로 세분화하여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문제 해결’에 대한 교육과정은 정보화 사회에 필요한 인재 양성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We need problem solving abilities based on the information abilities in information-oriented society. New curriculum is demanded by new technology and circumstance to need the core competencies. Korea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has studied new curriculum and suggested new plans that contents of information education classified by ‘Software’, ‘Computer System’ and ‘Convergence Activities.’ Therefore, we studied on ‘Problem Solving’ topic of the ‘Software’ section of first grade to ninth grade. In this paper we firstly categorized ‘Problem Solving’ as ‘Problem Comprehension and Analysis’, ‘Data Management’, ‘Strategy Establishment for Problem Solving’, ‘Problem Solving Method Seeking and Development’ and ‘Examination of Problem Solving Method.’ We nextly suggested the achievement goals, teaching-learning methods and evaluation methods of ‘Problem Solving’ topic. We expect that the achievement goals and teaching-learning methods we suggested about ‘Problem Solving’ topic will contribute to training talented individuals.

      • KCI등재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의 정보영역 교육과정 분석

        이재호,장준형,정홍원 한국정보교육학회 2021 정보교육학회논문지 Vol.25 No.6

        본 연구의 목적은 2018년부터 2020년까지의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의 교육과정을 분석하여 전체 수업 중 정보영역이 차지하는 비중과 수업내용 등을 분석하여 연구 기간 중 정보영역에 대한 추세 변화를 확인하는 것 이다. 총 수업 시수에서 정보교육이 차지하는 시수를 분석한 후 정보교육을 컴퓨터 활용 교육, SW코딩교육, SW융합교육의 세 가지로 분류하여 교육과정을 세부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 째, 전체 교육에서 차지하는 정보교육의 비중은 2018년 대비 점차 확대되어 가는 추세이다. 둘째, 정보교육 내의 컴퓨터 활용 교육의 비중은 상대적으로 줄어들고, SW코딩교육과 SW융합교육이 확대되어 가고 있다. 다양한 형 태로 정보교육의 분야가 확대되고 영재 학생들에게 여러 형태의 SW교육이 제공되고 있으며 그 변화의 속도도 빠른 것을 보았을 때, 앞으로는 보다 체계화된 정보교육이 학생들에게 제공되고 그 유용성도 빠르게 증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urriculum of the University-affiliated Science Gifted Education Center from 2018 to 2020 to analyze the proportion of the information area in the total class and the contents of the class, thereby confirming the trend change in the information area. After analyzing the number of hours that information education occupies in the total number of class hours, information education was classified into three categories: computer use education, SW coding education, and SW convergence education, and the curriculum was analyzed in detail. The analysis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propor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in total education is gradually increasing compared to 2018. Second, the proportion of computer utilization education in information education is relatively decreasing, and SW coding education and SW convergence education are expanding. Considering that the field of information education has been expanded in various forms, more systematic information education will be provided to students in the future and its usefulness will increase rapidly.

      • KCI등재

        초·중등 공교육에서의 교육정보 공유 및 유통 방안

        서순식,김성완 한국정보교육학회 2010 정보교육학회논문지 Vol.14 No.3

        정보사회에서 공교육 기관인 학교는 사회의 공기(公器)로서 개인의 능력 육성 및 인류 사회가 축적해온 귀중한 지적 성취를 대물림해 주는 전수자로서, 또한 교육 기회의 평등을 유지하는 균형자로서 그 존재 가치를 선취해야 한다. 그럼에도 공교육 기관의 교수학습 질의 수월성에 대한 사회계층의 기대와 우려가 팽배해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 연구는 초·중등학교별 교사들의 교수방법 및 교수자료 등 우수한 교육정보의 공유 및 유통 활성화 전략을 도출하기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교육정보 서비스의 공유 및 유통과 관련된 최근 기술 동향을 분석하고, 정보화 선도 교사들을 대상으로 집단토론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연구내용을 바탕으로 참여, 공유, 개방이라는 Web 2.0의 패러다임을 적용한 교육정보 공유·유통체제의 구축 및 활성화 방안을 제안하였다. It is required that public schools in information society should act as a balancer between the equal educational opportunity and development of the personal capacity. However, public schools have faced a situation to be blamed and praised by social parties concerned from the point of view of educational excellenc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suggest some conceptual ideas for sharing & delivery system of educational information, which is based on the paradigm of web 2.0 characterized as participation, sharing, and openness. To do it, we analyzed the recent technological trends and took a group discussion with leading teachers in educational information.

      • KCI등재

        초등학교에서 정보, 정보기기, 운영체제 교육을 위한 내용 선정의 적합성 조사 분석

        박남제,신수범,김철 한국정보교육학회 2016 정보교육학회논문지 Vol.20 No.6

        초등학교에서의 정보과 교육과정에서의 정보, 정보기기, 운영체제 교육을 위해 국내외 교육과정의 내용체계 등의 선행연구 자료들을 비교 및 분석하여 새로운 개선 및 시사점을 고찰하였다. 그리고 이 내용에 선정에 대한 필요성과 교육 시기, 내용 선정의 적합성을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설문하였고, 그 연구결과로 초등학교에서 정보, 정보기기, 운영체제 교육을 위한 교육 내용을 선정하고 성취기준을 마련하여 제안한다. 본 연구 결과는 국가 수 준의 초등 정보과 교육과정 개발 및 초등학생들의 핵심 교육역량을 양성하는 것으로 이용할 수 있다. 본 논문은 일부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를 분석의 근거로 삼았다는 점에서 결과를 일반화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 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초등 정보과 교육과정 영역 내용 성취기준의 적합성 분석을 세부적으로 시도한다는 점과 이를 통해 초등 정보과 교육과정의 안정적인 운영과 초등 정보과 교육과정의 개선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For the education on information, information appliances and operating systems of the information curriculum in elementary schools, precedent studies on the content structure of domestic and foreign curricula and etc. were compared and analyzed, and the ways of improvement and implications were examined. In addition, the necessity to select these contents, time of education, appropriateness of the selected contents were surveyed by professionals, and as the research results, the contents for the education on information, information appliances and operating systems in elementary schools were chosen, and achievement standards were set and proposed. The paper results can be used for the development of national level of elementary information curriculum and for the cultivat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key educational capacities. This paper has the limit that its results cannot be generalized because its analysis was based on the outcome surveyed only by some experts. Nevertheless, it is meaningful in that it specifically tried to analyze the appropriateness of the content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elementary information curriculum, and through which, it offers the information necessary for the stable management of elementary information curriculum and the improvement of elementary information curriculum.

      • KCI등재

        초등학교 소프트웨어 교육에서 ‘정보’ 영역의 성취 목표 및 교수-학습 방법에 관한 연구

        정인기 한국정보교육학회 2015 정보교육학회논문지 Vol.19 No.4

        정보 사회로 발전하면서 세계의 주요 나라에서는 정보 교과의 교육을 강화해 가고 있으며 최근에는 소프트웨어 교육을 확대한 정보교과 교육과정이 제시되고 있다. 따라서 한국정보교육학회에서는 소프트웨어 교육을 위한 표준 모델에 대하여 연구해서 2014년에 발표된 표준 모델을 보완하여 발표하였다. 여기에서는 소프트웨어 교육 내용을 ‘소프트웨어’, ‘컴퓨터 시스템’ 및 ‘융합 활동’의 세 영역으로 구분하는 소프트웨어 교육 표준 모델을 제시 하였다. 이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한국정보교육학회에서 제시한 소프트웨어 교육 표준모델의 ‘소프트웨어’ 대영역 의 ‘정보’ 영역에 대한 초등학교의 성취 기준을 단계별로 마련하였다. 그리고 이 성취 기준을 도달하기 위한 교수 -학습 방법과 평가 방안을 단계별로 세분화하여 제시하였다. 이와 같이 본 연구에서 제시한 ‘정보’ 영역에 대한 성취 기준, 교수 학습 방법, 평가 방법은 향후 초등학교 소프트웨어 교육 과정 개발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As society evolves into the information society, major countries strengthen software education. Especially, the curriculums of school to enlarge software education are made in major countries. Therefore, Korea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KAIE) have studied a standard model for software education and revised the standard model that was published in 2014. The KAIE suggested a new plan that contents of software education classify by ‘Software’, ‘Computer System’ and ‘Convergence Activities.’ Therefore, I studied on a curriculum for ‘Information’ topic in elementary school. In this paper, I suggested the achievement goals for education of ‘Information’ topic. I nextly suggested teaching-learning and evaluation methods to meet the achievement goals. And I expect that the achievement goals, teaching-learning and evaluation methods I suggested about ‘Information’ topic will contribute to develop the curriculum for software education.

      • KCI등재

        일본의 초등학교 컴퓨터 교육과정에 대한 연구

        신승기,배영권 한국정보교육학회 2014 정보교육학회논문지 Vol.18 No.4

        일본 문부과학성에는 21세기를 이끌어갈 어린이들에게 필요한 것을 ‘사는 힘’이라고 정의하였으며, 이를 위해 ‘신 학습지도 요령’을 개발하여 2011년부터 초등학교에 적용하고 있다. 변화하는 교육현장에 대응하기 위해 정보 교육과 관련하여 2010년에는 ‘신 성장 전략 회의’를 실시하였으며, ‘교육 정보화에 관한 지침서’를 공표하였고, 2011년에는 ‘교육에서 ICT를 활용하기 위한 방향’이라는 연구를 통해 내용체계가 구성되었다. 특히 초등학교에 서는 각 교과에서 정보교육을 통합하여 필수내용으로 실시되고 있으며, 이는 중등교육에서 본격적으로 시작되는 정보교육을 준비하기 위한 과정이라고 하였다. 이와 같은 초, 중, 고등학교가 연계된 정보교육의 일원화된 교수 학습방법과 정보과학적 사고를 토대로 이루어진 정보교육이 우리나라의 정보교육의 방향에 미치는 시사점이 크 다고 할 수 있다. Ministry of Education, Culture, Sports, Science and Technology in Japan defined the needs for children who will lead the 21st is “Strength to lead a life” and the “New course of study” was developed and it have been adapted into elementary school from 2011 year. In order to respond to changing educational environment in terms of Information education, in 2010 year, “New Growth Strategy Conference” was held and “New Strategy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y” was announced, instructional system was made up through the research “The Vision for ICT in Education” in 2011 year. In particular, elementary schools is doing Computer Science Education in connection with general subjects, it means that preparation process for secondary education in terms of Computer education which is started in earnest. These Computer Education in Japan imply the further ways of Computer Education in Korea which are instructional system linked with Elementary school and Secondary school and computer education based on informatic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