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이재호,허경,손원성,김갑수,김종우,김홍래,마대성,박선주,안성훈 한국정보교육학회 2021 정보교육학회논문지 Vol.25 No.2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에서 정보 교과 신설의 필요성과 운영 방향을 알아보고자 초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차기 초등학교 교육과정에서 ICT 소양교육 및 SW․AI 교육을 위해 정보교육 의 수업 시수 확대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이 매우 높게 나타났고 차기 초등학교 교육과정에서 ICT 소양교육 및 SW․AI 교육을 위해 정보교과 신설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매우 높게 나타났으며, 정보 교과 신설이 어려울 경 우라면 학교장 재량 시간을 활용해 자율과목으로의 편성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도 매우 높게 나타났다. 이와 같 은 분석 결과에 비추어볼 때 차기 초등학교 교육과정에서는 ICT 소양교육 및 SW․AI 교육을 위해 정보교과를 신설할 필요가 있으며 만약 신설이 어렵다고 하더라도 배우기를 희망하는 학생들을 위하여 자율과목 형태로 운 영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수업시수는 3학년이상에서 적어도 주당 1시간이나 2시간 정도 가 확보되어야할 것으로 판단된다. In this thesis, a survey was conducted on elementary school teachers about the establishment of information subjects in elementary schools. As a result, the opinion that information subjects should be newly established for ICT literacy education and SW/AI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was very high. In addition, if it is difficult to establish a new information subject, opinions in favor of the organization of the information subject as an autonomous subject using the discretionary time of the principal were high. In light of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it is judged that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new information subject for ICT literacy education and SW/AI education in the next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However, if it is difficult to establish a new information course, it is necessary to come up with a plan that can be operated in the form of autonomous subject for students wishing to learn SW/AI. And it is judged that the number of class hours should be secured for at least 1 hour or 2 hours per week in the 3rd grade and above.
초등학교에서 정보과학교육을 위한 정보기기교육의 내용 체계
김현배 한국정보교육학회 2014 정보교육학회논문지 Vol.18 No.2
본 연구는 초등학교 정보과학교육을 위한 정보기기교육의 내용체계에 관한 연구이다. 연구 결과로 초등학교 정보과학교육을 위한 정보기기교육에 대한 교육내용을 조직하고 성취기준을 마련하여 제안한다. 이를 위하여 여러 나라의 정보기기교육 내용과 우리나라의 정보기기교육 내용을 조사한다. 그리고 정보과학 교육과정에 적용할 수 있는 정보기기교육의 내용을 선정하여 학년 군별로 내용체계를 구성한다. 그래서 국가 수준의 정보과학 교육과정 개발에 기여한다. This is the study of contents framework of information devices education for the computer science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In this study, we organize and suggest the educational contents of the information device education and its achievement for computer science education in elementary. For this, the educational contents of information device education in Korea and other countries were investigated. Then we selected some contents of information device education that can be applied to the computer science education. With this contents framework of information devices education for the computer science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were made.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curriculum development of computer science at the national level.
한국정보교육학회 게재 논문들의 추세적 변화에 대한 고찰
문외식 한국정보교육학회 2018 정보교육학회논문지 Vol.22 No.6
Many papers are published in KCI-listed journals for objectively validating research results and evaluations. This study collected articles published from 2008 to October, 2018 (10 years) of KAIE, which is a representative KCI registration institute which publishes various research related to elementary information education, and classified and analyzed by 10 subject areas . As a result, 34.2% of the papers published in the topic related to software education were found in the whole papers, and 33% of the papers published in this society showed the highest number of citations of papers relating to software education. Many of the remaining articles analyzed by subject area were overlapped with software education in the field of small scale medicine. In the future, a considerable number of researchers are expected to focus on software education. 많은 논문들은 연구성과와 평가를 객관적으로 검증받기 위해 KCI에 등재된 학술지에 게재하고 있다. 본 연구는 초등정보교육에 관련된 다양한 연구물을 게재하는 대표적 KCI등재 학회인 한국정보교육학회지의 2008년부터 2018년 10월(10년간)까지 게재된 논문을 수집하고 10개의 주제분야별로 분류하고 분석하였다. 결과로서, 소프트웨어교육에 관련된 주제로 발표된 논문이 전체 게재 논문 중에서 34.2%로 나타났으며, 본 학회에 게재된 논문 중에서 소프트웨어교육 관련 논문의 인용회수가 33%로 가장 많이 나타났다. 나머지 분석된 주제분야별 게재논문에서도 상당수가 소주제분야에서 소프트웨어교육과 중첩되어 있었다. 향후, 상당수의 연구자들 연구방향은 소프트웨어교육에 치중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재호,장준형,정홍원 한국정보교육학회 2021 정보교육학회논문지 Vol.25 No.6
본 연구의 목적은 2018년부터 2020년까지의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의 교육과정을 분석하여 전체 수업 중 정보영역이 차지하는 비중과 수업내용 등을 분석하여 연구 기간 중 정보영역에 대한 추세 변화를 확인하는 것 이다. 총 수업 시수에서 정보교육이 차지하는 시수를 분석한 후 정보교육을 컴퓨터 활용 교육, SW코딩교육, SW융합교육의 세 가지로 분류하여 교육과정을 세부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 째, 전체 교육에서 차지하는 정보교육의 비중은 2018년 대비 점차 확대되어 가는 추세이다. 둘째, 정보교육 내의 컴퓨터 활용 교육의 비중은 상대적으로 줄어들고, SW코딩교육과 SW융합교육이 확대되어 가고 있다. 다양한 형 태로 정보교육의 분야가 확대되고 영재 학생들에게 여러 형태의 SW교육이 제공되고 있으며 그 변화의 속도도 빠른 것을 보았을 때, 앞으로는 보다 체계화된 정보교육이 학생들에게 제공되고 그 유용성도 빠르게 증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urriculum of the University-affiliated Science Gifted Education Center from 2018 to 2020 to analyze the proportion of the information area in the total class and the contents of the class, thereby confirming the trend change in the information area. After analyzing the number of hours that information education occupies in the total number of class hours, information education was classified into three categories: computer use education, SW coding education, and SW convergence education, and the curriculum was analyzed in detail. The analysis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propor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in total education is gradually increasing compared to 2018. Second, the proportion of computer utilization education in information education is relatively decreasing, and SW coding education and SW convergence education are expanding. Considering that the field of information education has been expanded in various forms, more systematic information education will be provided to students in the future and its usefulness will increase rapidly.
서순식,김성완 한국정보교육학회 2010 정보교육학회논문지 Vol.14 No.3
정보사회에서 공교육 기관인 학교는 사회의 공기(公器)로서 개인의 능력 육성 및 인류 사회가 축적해온 귀중한 지적 성취를 대물림해 주는 전수자로서, 또한 교육 기회의 평등을 유지하는 균형자로서 그 존재 가치를 선취해야 한다. 그럼에도 공교육 기관의 교수학습 질의 수월성에 대한 사회계층의 기대와 우려가 팽배해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 연구는 초·중등학교별 교사들의 교수방법 및 교수자료 등 우수한 교육정보의 공유 및 유통 활성화 전략을 도출하기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교육정보 서비스의 공유 및 유통과 관련된 최근 기술 동향을 분석하고, 정보화 선도 교사들을 대상으로 집단토론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연구내용을 바탕으로 참여, 공유, 개방이라는 Web 2.0의 패러다임을 적용한 교육정보 공유·유통체제의 구축 및 활성화 방안을 제안하였다. It is required that public schools in information society should act as a balancer between the equal educational opportunity and development of the personal capacity. However, public schools have faced a situation to be blamed and praised by social parties concerned from the point of view of educational excellenc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suggest some conceptual ideas for sharing & delivery system of educational information, which is based on the paradigm of web 2.0 characterized as participation, sharing, and openness. To do it, we analyzed the recent technological trends and took a group discussion with leading teachers in educational information.
정보 개념에 대한 초ㆍ중학교 정보교과의 교육과정 구성에 관한 연구
안성훈,김종우 한국정보교육학회 2014 정보교육학회논문지 Vol.18 No.2
IT 산업의 비중이 높아지면서 세계 주요 국가들에서는 정보교과의 교육을 강화해 가고 있으며, 최근 소프트웨 어의 중요성이 점차 부각되면서 소프트웨어 교육을 확대하려는 정보교과 교육과정이 제시되고 있다. 따라서 한국정보교육학회에서는 정보 교과의 내용 체계에 대한 개정안에 대하여 연구하였으며, 정보 교육 내용을 ‘컴 퓨터 시스템’, ‘소프트웨어 제작’ 및 ‘융합 활동’의 세 영역으로 구분하는 내용체계를 제시하였다. 이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한국정보교육학회에서 제시한 정보교과 내용체계의 ‘소프트웨어 제작’ 영역 중 정보 에 대한 초등학교 및 중학교의 성취 기준을 학년군별로 마련하였다. 그 결과, 초등학교 1-2학년군에서는 정보 의 이해를, 3-4학년은 정보의 종류를, 5-6학년은 정보의 표현을, 중학교 1-3학년군은 멀티미디어 정보의 표현 을 각각 선정하였다. 그리고 이 성취 기준을 도달하기 위한 교수 학습 방법과 평가 방안을 학년군 별로 세분화 하여 제시하였다. 이와 같이 본 연구에서 제시한 ‘정보’에 대한 성취기준, 교수 학습 방법, 평가 방법은 향후 초 ․중등학교 정보교과 교육과정을 개발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Rising rate of IT industry in world economy, major countries strengthen IT education. Especially, Owing to SW become significant in IT industry, curriculums of school to enlarge SW education are made in major country. Korea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have studied a new curriculum and suggest a new plan that content of information education classify by ‘computer system’, ‘SW production’ and ‘fusion activity’. Therefore we study on a curriculum for information of SW production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In this paper we firstly suggest object to achieve on information of SW production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Next we suggest teaching learning method and evaluation method on them. we expect that the object to achieve on information of SW production we suggest will contribute to develop the curriculum of ICT subject.
초등학교 정보교육의 국가수준 교육과정 편성에 대한 내용체계 구성 연구
신승기 한국정보교육학회 2021 정보교육학회논문지 Vol.25 No.1
본 연구에서는 국가수준교육과정의 총론과 정보관련 교육과정에 대한 내용을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정보교육의 흐 름을 살펴보고 교육과정 편성의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최근 정부에서는 2022 개정 교육과정을 앞두고 인공지 능교육을 국가수준교육과정에 도입하기 위한 지침을 발표하였다. 현행 교육과정에서 제시된 SW교육과 AI교육은 서 로 다른 형태의 교육이 아니라 정보교육이라는 틀에서 편성이 되어야 하며 프로그래밍을 통한 문제해결의 과정이라 는 공통점을 갖는다고 할 수 있다. 초등학교 정보교육에서는 ICT소양교육을 체계적으로 실시함으로서 SW교육과 AI 교육의 기틀을 마련함과 동시에 교과별 정보기반교육을 위한 기초소양을 마련할 수 있다. 따라서 차기 개정교육과정 에서는 정보화사회에서 추구하는 인간상으로서 정보화의 내용을 반영하고 현행 교육과정에서 제시하고 있는 지식정 보처리역량과 연계하여 총론이 구성되어야 한다. 또한 보통교육으로서 정보교육을 추구하여 공교육을 강화하고 사교 육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도록 학교급별 위계가 고려된 체계적인 정보교육의 교육과정이 편성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ttempted to systematically analyze the Korean national curriculum to look through the history of computer education of elementary school in order to suggest the implications for the next version of national curriculum. The government recently presented the guidelines for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into the national curriculum ahead of the 2022 revised curriculum. SW education and AI education should not be in a different type of education but be organized in the framework of computer education because they share a problem-solving process through computer programming. The students could enhance their problem-solving ability and creativity through SW and AI education based on the ICT literacy. Therefo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formation society should be considered in the next national curriculum. It should be also constructed in connection with the information processing ability suggested as a required skill. This suggested hierarchical curriculum for computer education would be helpful for the national education system to enhance the future skill for elementary students.
초등학교에서 정보, 정보기기, 운영체제 교육을 위한 내용 선정의 적합성 조사 분석
박남제,신수범,김철 한국정보교육학회 2016 정보교육학회논문지 Vol.20 No.6
초등학교에서의 정보과 교육과정에서의 정보, 정보기기, 운영체제 교육을 위해 국내외 교육과정의 내용체계 등의 선행연구 자료들을 비교 및 분석하여 새로운 개선 및 시사점을 고찰하였다. 그리고 이 내용에 선정에 대한 필요성과 교육 시기, 내용 선정의 적합성을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설문하였고, 그 연구결과로 초등학교에서 정보, 정보기기, 운영체제 교육을 위한 교육 내용을 선정하고 성취기준을 마련하여 제안한다. 본 연구 결과는 국가 수 준의 초등 정보과 교육과정 개발 및 초등학생들의 핵심 교육역량을 양성하는 것으로 이용할 수 있다. 본 논문은 일부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를 분석의 근거로 삼았다는 점에서 결과를 일반화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 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초등 정보과 교육과정 영역 내용 성취기준의 적합성 분석을 세부적으로 시도한다는 점과 이를 통해 초등 정보과 교육과정의 안정적인 운영과 초등 정보과 교육과정의 개선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For the education on information, information appliances and operating systems of the information curriculum in elementary schools, precedent studies on the content structure of domestic and foreign curricula and etc. were compared and analyzed, and the ways of improvement and implications were examined. In addition, the necessity to select these contents, time of education, appropriateness of the selected contents were surveyed by professionals, and as the research results, the contents for the education on information, information appliances and operating systems in elementary schools were chosen, and achievement standards were set and proposed. The paper results can be used for the development of national level of elementary information curriculum and for the cultivat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key educational capacities. This paper has the limit that its results cannot be generalized because its analysis was based on the outcome surveyed only by some experts. Nevertheless, it is meaningful in that it specifically tried to analyze the appropriateness of the content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elementary information curriculum, and through which, it offers the information necessary for the stable management of elementary information curriculum and the improvement of elementary information curriculum.
신승기,배영권 한국정보교육학회 2014 정보교육학회논문지 Vol.18 No.4
일본 문부과학성에는 21세기를 이끌어갈 어린이들에게 필요한 것을 ‘사는 힘’이라고 정의하였으며, 이를 위해 ‘신 학습지도 요령’을 개발하여 2011년부터 초등학교에 적용하고 있다. 변화하는 교육현장에 대응하기 위해 정보 교육과 관련하여 2010년에는 ‘신 성장 전략 회의’를 실시하였으며, ‘교육 정보화에 관한 지침서’를 공표하였고, 2011년에는 ‘교육에서 ICT를 활용하기 위한 방향’이라는 연구를 통해 내용체계가 구성되었다. 특히 초등학교에 서는 각 교과에서 정보교육을 통합하여 필수내용으로 실시되고 있으며, 이는 중등교육에서 본격적으로 시작되는 정보교육을 준비하기 위한 과정이라고 하였다. 이와 같은 초, 중, 고등학교가 연계된 정보교육의 일원화된 교수 학습방법과 정보과학적 사고를 토대로 이루어진 정보교육이 우리나라의 정보교육의 방향에 미치는 시사점이 크 다고 할 수 있다. Ministry of Education, Culture, Sports, Science and Technology in Japan defined the needs for children who will lead the 21st is “Strength to lead a life” and the “New course of study” was developed and it have been adapted into elementary school from 2011 year. In order to respond to changing educational environment in terms of Information education, in 2010 year, “New Growth Strategy Conference” was held and “New Strategy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y” was announced, instructional system was made up through the research “The Vision for ICT in Education” in 2011 year. In particular, elementary schools is doing Computer Science Education in connection with general subjects, it means that preparation process for secondary education in terms of Computer education which is started in earnest. These Computer Education in Japan imply the further ways of Computer Education in Korea which are instructional system linked with Elementary school and Secondary school and computer education based on informatics.
국가경쟁력 향상을 위한 정보교육진흥법 제정의 필요성과 입법 방향
안성훈 한국정보교육학회 2011 정보교육학회논문지 Vol.15 No.2
본 우리나라는 전 세계 IT 생산량의 7%를 차지하는 IT 강국이지만 정보교육을 소홀이 다루고 있어 핵심 원천기술과 SW를 개발할 인력이 부족한 형편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열악한 교육체제를 개선하고 정보교육을 활성화하기 위한 「정보교육진흥법」의 제정 방안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이법에서 담아야할 내용으로 체계적이고 안정적인 정보교육의 활성화를 위한 국가와 지방자치단체의 “정보교육종합계획 수립”에 대한 책무, 정보교육의 활성화를 추진하기 위한 위원회 구성, 학교교육과 사회교육에서의 정보교육 활성화 방안, 정보활용능력인증제 도입 등에 대한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하였다. 따라서 본 논문을 통해 도출되는 연구 결과는 침체되어 있는 우리나라의 정보교육을 활성화할 수 있는 「정보교육진흥법」 제정의 방향을 제시해 주는 지표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Korea is a powerful nation in field of IT that has a 30 percent of world market. However Because of the IT education have been treated unimportant, korea has a shortage problem of manpower that develop core technology and software. Therefore, in this paper we propose a direction of the enactment of Information Technology Education Promotion Law to improve an education system and to promote education for IT. Also, we propose detailed contents to include in this law - the duty of country for a comprehensive planning of Information Technology Education, the organization of committee to promote Information Technology Education, a method to promote Information Technology Education in school and society, certification system of Information Technology using ability. Therefore, we expect that the result of this paper will contribute to enact an Information Technology Education Promotion Law that can improve an education system for 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