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변단면 보와 중공 슬림플로어 시스템에 대한 실험적 연구

        이세정,정경수,이득행,주현진 국제차세대융합기술학회 2022 차세대융합기술학회논문지 Vol.6 No.11

        이 연구에서는 단면을 효율적으로 구성하기 위해서 변단면을 갖는 강-콘크리트 합성 슬림플로어 시스템 을 제시하였으며, 이에 대한 구조적 성능을 실험적으로 규명하기 위해 중공과 전단연결재의 유무를 주요 변수로 휨 및 전단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체들의 부모멘트와 전단성능은 공칭강도를 상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매립 된 철골과 콘크리트 사이의 부착성능이 완전합성단면으로 거동하기에 충분하지 않았기 때문에 공칭강도보다 낮은 정모멘트 성능을 나타내었다. 특히, 전단연결재가 배치되지 않은 부재의 경우, 철골과 콘크리트 사이의 부착이 상 실됨에 따라 급격한 성능 저하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강-콘크리트 합성 슬림플로어의 충분한 구조성능을 확보하 기 위해서는 이질재료 간의 충분한 수평전단성능이 보장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In this study, a steel-concrete composite slim floor system with variable steel cross-sections was proposed to efficiently use the structural member. An experimental study was conducted with hollow-core and shear connectors as key variables to identify the structural performance of flexure and shear. The specimens showed structural performances under negative moment and shear force higher than the nominal strengths, but lower positive moment strength than the nominal strength since the bond capacity between steel and concrete was not sufficient to have full composite behavior.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a member in which the shear connector was not placed, the loss of bond between the steel and the concrete led to a drastic decrease in performance.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sufficient horizontal shear capacity between two different materials should be guaranteed to have sufficient structural performance of the steel-concrete composite slim floor system.

      • KCI등재

        비스페놀 A (Bisphenol-A)로 유도된 지방세포 분화에 미치는 갓 추출물의 항오비소겐 효과

        이세정,나윤주,최선일,한웅호,문효,이윤환,김현덕,김윤정,이옥환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2021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Vol.36 No.6

        본 연구는 십자화과 채소인 갓(Brassica juncea) 추출물 을 이용하여 지표성분인 sinigrin의 함량을 분석하고, 내분비계 교란물질 환경호르몬인 비스페놀 A (BPA)로 분화를 유도한 3T3-L1 전구지방세포에서 갓 추출물과 sinigrin 처 리에 대한 지방세포 분화 및 활성산소종(ROS) 생성 억제, 지방 생성 전사인자(PPARγ, C/EBPα, aP2)의 단백질 발현 감소 효능을 평가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HPLC를 이용하여 측정한 갓 추출물 중 sinigrin의 함량은 21.27±0.2 mg/g 인 것으로 나타났다. BPA로 유도된 3T3-L1 전구지방세포에 서 XTT assay 결과 sinigrin 180 μM 및 갓 추출물 300 μg/ mL 농도에서 세포 독성을 보이지 않았으며, 지방세포 분화과정 중 세포 내 지방 축적량과 ROS 생성량을 비교하였을 때 갓과 sinigrin을 처리한 지방세포의 경우 지방축 적량 및 ROS 생성량 모두 유의적으로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갓 추출물 및 sinigrin을 처리하였을 때 지 방세포 분화를 조절하는 전사인자 PPARγ, C/EBPα 및 aP2 의 발현이 억제됨을 확인하였다. 이 결과를 통해 갓은 환 경호르몬 비스페놀 A로 유도된 지방세포 내 지방 축적 억제와 더불어 ROS 저감에 효과적으로 작용함을 확인하였다. 향후 sinigrin을 함유한 갓은 BPA로 인한 지질 대사 장애를 예방하는 천연물 유래 기능성 식품 소재로 활용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기대되며, 추가로 임상 연구 및 작용기전 입증을 위한 in vivo 모델에서의 후속 연구가 진 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ntent of sinigrin, an index component, in Brassica juncea extract and to evaluate the differentiation of lipocytes, inhibition of production of reactive oxygen species (ROS) and reduction of protein production by lipogenic factors (PPARγ, C/EBPα, aP2) in the processing of Brassica juncea extract and sinigrin in 3T3-L1 preadipocytes which induces Bisphenol A (BPA), an endocrine disrupting environmental hormone. From the investigation, the content of sinigrin in Brassica juncea extract, measured by HPLC, is found to be 21.27±0.2 mg/g. The XTT assay result on BPA-derived 3T3-L1 adipocytes shows there is no cytotoxicity found from 180 μM of sinigrin and 300 μg/mL of Brassica juncea extract. Moreover, both intracellular lipid accumulation and ROS production during differentiation of lipocyte are significantly reduced in cells processed with Brassica juncea extract and sinigrin. Lastly, it was also found that the production of transcription factors of lipocyte differentiation, PPARγ, C/EBPα and aP2, were found to be suppressed by the application of Brassica juncea extract and sinigrin. Such results reveals that Brassica juncea is effective in not only suppressing lipid accumulation in the environmental hormone bisphenol A-derived lipocyte, but also in reducing the ROS. The sinigrin-containing Brassica juncea is highly expected to be used in natural functional supplements that prevents the lipid metabolism disorders caused by BPA. There are necessities for additional clinical research and follow-up studies on the in vivo model to verify the relevant mechanisms.

      • KCI등재

        다이아그리드 구조시스템의 접합부개발과 성능평가

        이세정,이성희,김진호,최성모,Lee, Se-Jung,Lee, Seong-Hui,Kim, Jin-Ho,Choi, Sung-Mo 한국공간구조학회 2010 한국공간구조학회지 Vol.10 No.2

        Recently, High-rise building are irregular-shaped to be city landmarks and function as vertical cities to enable the efficient use of land. 3T (Twisted, Tilted & Tapered) designs are being suggested for irregular buildings and studies to develop new structural system have been actively made to satisfy slender shape ratio. In diagrid system, not only gravity load but also lateral load is delivered based on the triangular shape of diagrid, so most of columns are eliminated. Because shearing force is delivered by the axial behavior (tensile/compressive) of diagrid to minimize shearing deformation, the system is more applicable to irregular buildings than existing system where shearing force is delivered by the columns. In this study, the process of selecting connection details and the structural safety of the selected details are verified using the finite element analysis with focus given to the construction overview of the Cyclone Tower. However, the relersed methods of stress concentration are suggested and the performance of stress concentration relieves that it's suggested for the appropriate cap plate thickness and extended length. 최근 초고층 건축물은 비정형적 외관을 갖는 랜드 마크적인 역할과 택지의 효율적인 사용을 위한 수직 도시 기능을 수행한다. 건축물의 외관은 비정형적인 요소로서 3T형태(Twisted, Tilted, Tapered)의 설계안들이 대부분 제안되고 있으며, 세장한 형태의 형상비를 만족하기 위한 새로운 구조시스템의 연구 개발이 활발히 진행 중이다. 다이아그리드 시스템의 하중 전달 메커니즘은 대각 가새(Diagrid)의 삼각형 형상에 기인하여 중력하중 뿐만 아니라 횡하중을 전달하기 때문에 대부분의 기둥이 제거되게 된다. 또한 대각 가새의 축방향 거동(인장/압축)에 의해 전단력을 전달하여 전단 변형이 최소화되기 때문에 기둥이 전단력을 전달하던 기존 방식에 비해 비정형적인 외관에 쉽게 대응할 수 있는 구조시스템이다. 본 연구에서는 싸이클론 타워의 건축 계획안을 바탕으로 접합부 디테일 선정 과정과 접합부의 구조안전성을 유한요소해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이를 통해 응력집중 완화 방안을 제시하여 적절한 캡 플레이트 두께와 캡플레이트 확장 길이를 제시하여 응력집중 현상을 완화하였다.

      • KCI등재

        국내 미지정 식품첨가물의 식품 중 분석법 개발에 관한 고찰

        이세정,권민섭,한웅호,문효,최선일,이옥환 한국식품과학회 2022 식품과학과 산업 Vol.55 No.1

        Processed foods using food additives designated as the other countries but not yet in Korea can be mixed and distributed among imported foods in Korea.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 analysis method of undesignated food additives in order to continuously monitor. This paper introduced a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nalytical methods conducted in academia. The development of analytical methods was conducted using the analytical methods presented in previous studies. We first exhibited that simultaneous analysis of 12 food dyes was easy to reproduce, but the second introduced analytical method of emulsifiers cannot be utilized analysis using expensive equipment not provided in general laboratories, and it is difficult to reproduce due to the old publications. Therefore related national institutions, research and industry-academia circles need to constantly conduct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analytical methods for undesignated food additives.

      • KCI등재

        중학교 1학년 기술·가정 교과서의 ‘전통 기술의 이해’ 단원의 분석

        이세정,김기수,이창훈 한국기술교육학회 2011 한국기술교육학회지 Vol.11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ystemize the understanding of traditional technologies unit in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textbook for the 1st year student of middle school. The results from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composition of small unit and types of listed traditional technologies were differently indicated in each of 11 different publishers. Second, some traditional technology experience, investigation, discussion programs were too broad or far from being relevant with the characteristics of technology subject. The followings were suggested in basis of study results. First, intended clear definition for traditional technologies and its contents needed to be created to achieve the goal of curriculum in technology subject; and intensive study to extract the contents of traditional technologies that raises the importance and interests is required. Second, the developments of experience, investigation and discussion programs to help students had more positive images towards traditional technologies and instill student’s pride are necessary. Third, more experimental and technologies that extend to modern era needed to be found and its various training courses for teachers need to be developed. 이 연구는 2007개정 교육과정 중학교 1학년 기술·가정의 ‘기술의 발달과 미래 사회’ 대단원 안에 있는 ‘전통 기술의 이해’ 중단원의 내용을 체계화하고, ‘전통 기술의 이해’ 단원을 우리의 전통 기술 중 중요도가 높으면서 학생들에게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는 심도 있는 내용으로 구성하여 교육과정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교과 내용으로 구성하는데 필요한 자료를 제공하려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술․가정 1학년 11종의 교과서의 ‘전통 기술의 이해’ 중단원의 소단원과 소항목을 분석한 결과, 9종의 교과서는 제조, 건설, 수송, 통신, 생명 등 기술학의 지식체계에 근거하여 구성되어 있고, 2종의 교과서는 이 지식체계를 따르지 않고 독자적인 방법으로 단원을 구성하였다. 그리고 소단원에 이 지식체계를 나타내고도 소항목에는 구분이 애매한 용어(형용사)를 사용하여 구성한 교과서가 1종이 있었다. 둘째, 교과서에 수록된 전통 기술의 종류를 추출한 결과, 각 교과서에 평균 37.91가지의 전통기술이 수록되어 있었고, 가장 많은 것은 59가지, 가장 적은 것은 21가지로 교과서별로 전통 기술의 개수에 큰 차이를 보였다. 이 중 중복된 내용을 추출한 결과, 총 11종의 교과서에 155가지의 서로 다른 전통 기술이 수록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에서 11종의 교과서에 모두 수록된 전통 기술은 2가지, 9종에 수록된 내용이 2가지, 1종의 교과서에만 수록된 전통 기술은 76가지였다. 셋째, 전통 기술에 관련된 체험활동을 분석한 결과, 한지공예나 천연 염색 등 미술교과 영역과 중복되는 내용이 있었다. 넷째, 전통 기술에 대한 조사·토론 활동을 분석한 결과 교과서에 제시된 조사․토론 활동이 일반적으로 4~6가지였고 가장 많이 수록된 교과서에는 11가지의 조사․토론 활동이 수록되어 있었다. 그리고 제시된 주제가 광범위하거나 지나치게 전문적인 내용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