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술 교육 연구 동향 분석 - 한국기술교육학회지를 중심으로 -

        손다미,노진아,김태훈 한국기술교육학회 2011 한국기술교육학회지 Vol.11 No.1

        이 연구는 기술교육의 연구동향을 파악하기 위해 한국기술교육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하고 있는 한국기술교육학회지를 중심으로 현재까지 발간된 228편의 논문을 비교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로부터 얻은 결론은 첫째, 한국기술교육학회지는 매년 2회의발행을 통해 일정량의 논문을 꾸준히 게재하고 있다. 둘째, 한국기술교육학회지의 경우 기술교육 논문이 공업교육이나 기타교육 관련 논문에 비해 주를 이루고 있으며,기술교과교육학 연구는 교수‧학습방법, 교육과정, 교육공학과 같은 일부 영역에 편중되어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기술교과내용학 연구에서도 제조기술과 통신기술에 치우친 연구를 하고 있음을 미루어 보았을 때 한국 기술교육의 연구는 특정 영역 중심으로 수행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기술교육연구에 사용된 연구 방법으로는 조사연구, 문헌고찰/내용분석, 개발연구를 선호하고 있고, 사례연구는 거의 드물었다. 넷째, 연구자는 단독에 비해 공동연구가 압도적으로 많았으며 특히 대학교에 소속을두고 있는 경우가 많았다. This study compared and analyzed 228 articles which have been published from the first edition of The Korean Journal of Technology Education, the central part in Korean Technology Education, to understand the research trend of the Korean Journal of Korean Technology. When it comes to the result from the conclusion, firstly the Korean Journal of Technology Education has steadily published a sort of the article twice a year. Secondly, in the Korean Journal of Technology Education, the articles of Technology Education are published more than the other kind of the article such as vocational industrial education and the rest of education In the research of The Pedagogy of Technology Education it reveals that most of the studies researches on Teaching-learning method, Curriculum, Educational Technology. Also in the research of The Contents of Technology Education it reveals that most of the studies researches on Manufacturing Technology,Communications Technology. As we can see through, the research of Korean Technology Education has studied around of specific area. Third, the research methods which are used for the study of Technology Education are Survey Study , Literature investigation, Contents Analysis, development research but Case Study has been used rarely. Fourth, most of the researches have been conducted by co-research which especially belongs to the university more than one researcher.

      • KCI등재

        기술 교과에서 기술적 창조성 교육 방안에 관한 선행 연구 분석

        류창열 한국기술교육학회 2008 한국기술교육학회지 Vol.8 No.1

        If technology teacher wants to teach student technological creativity in the classroom, he wanders how to, and what it mean. In spite of the value of teaching technological creativity, the cognitive process of technological creativity in technology class are not defined clearly yet. In going to approach to teach technological creativity, one must consider both the thinking that is involved and what constitutes creativity itself.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analyze the trends of technological creativity researches. The research questions are (1)'how many researches were conducted in the area of educating technological creativity, and (2)what content areas were studied and what were the valuable researches findings for improving student's technological creativity in the classroom. In this research, the researches trends of teaching technological creativity were reviewed based on previous researches.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could be useful resources to improve technology education and could give basic data for future researches. 21세기에 들면서 기술교육에서는 어떻게 하면 학생의 기술적 창조성을 함양할 수 있는가의 문제가 가장 중요한 연구 주제가 되었다. 이러한 문제 인식에서 이 연구는 기술적 창조성에 관한 선행 연구의 사례를 분석하여 이에 대한 시사점을 얻으려고 수행되었다. 이 연구는 선행 연구 분석 방법으로 수행되었다. 분석 대상 선행연구는 기술적 창조성의 의미와 그에 관한 교육 방안에 관하여 국내 및 국외에서 10년 동안에 발표된 기술교육 관련 학술지였다. 국내 학술지로는 한국기술교육학회지를, 그리고 외국 학술지로는 Journal of technology education(JTE), Journal of technology education research(JTER), International Journal of Technology and Design Education(IJTDE), Journal of Industrial Teacher Education(JITE)를 선정하였다. 이 연구는 이들 학술지에서 최근 10년 동안 발표된 기술적 창조성 관련 연구를 대상으로 학문적 연구와 실천 사례 등의 경향을 조사하였다. 이를 기초로 우리 기술교육에서 창조성 함양교육을 위하여 어떻게 하여야 할 것인가에 관한 연구와 실천 방안을 마련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려 한다.

      • KCI등재

        공학기술에 기초한 융합교육 연구 동향분석 -국내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강경균,이승원,김승현,연정아,홍영지 한국기술교육학회 2016 한국기술교육학회지 Vol.16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earch for the trend of convergence education centered on engineering technology by analyzing thesis related to convergence education based on engineering technology, to examine its characteristic and flow and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researches on convergence education centered on engineering technology in the future.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5 types of domestic academic journals related to engineering technology were analyzed. The 5 domestic academic journals, as academic journals related to engineering technology were Journal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The Korean Journal of Technology Education, Practical Arts Education Research,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Education and Engineering Education Research based on the journal’s published edition till April 30th 2016.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journals, out of 83 volumes in total, more than 10% per academic journal contained thesis related to convergence education. In particular, the most number of thesis were being published in The Korean Journal of Technology Education. This indicates that researches are being conducted more actively in the secondary education than practical arts education and in the analysis result per researcher, there were more researchers who were middle-school teachers than elementary school teachers. With regards to the subject of the study, literature analysis was indicated to the highest and with regards to the research method, researches such as education trend analysis, program development and effects were being conducted in majority of convergence education researches so quantitative researches took up a large part. As for researches related to convergence education, verifications on the assessment and effects were conducted the most and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 per researcher, the number of professor researches was the highest in both independent research and joint research. In case of joint research, there were many field teachers. This confirms that as researches are conducted in connection with education sites in the majority of STEAM education researches, joint researches were being conducted rather than independent researches. 본 연구의 목적은 공학기술에 기초한 융합교육 관련 논문 분석을 통하여 공학기술 중심의 융합교육 동향을 탐색하고, 그 특징 및 흐름을 살펴봄으로써 앞으로의 공학기술 중심의 융합교육 연구의 발전에 도움을 주고자 함이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공학기술 관련 국내 5종의 학술지를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국내 5종 학술지는 공학기술 관련 학회지로서 학회지 발간 호부터 2016년 4월 30일까지를 기준으로 한국실과교육학회지, 한국기술교육학회지, 실과교육연구, 대한공업교육학회지, 공학교육연구를 대상으로 하였다. 학회지 분석 결과 전체 83편중 각 학회지 별로10%이상의 융합교육 관련 논문이 발표된 것으로 볼 수 있었다. 특히 한국기술교육학회지에서 가장 많은 논문이 발표 되고 있었다. 이는 실과교육보다 중등교육에서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연구자별 분석 결과에서도중학교 교사가 초등학교 교사보다 연구자가 많았다. 연구 대상에 있어 문헌분석이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연구 방법에 있어서 대부분의 융합교육 연구에서 교육 동향분석,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등의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에, 양적연구가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었다. 융합교육에 대한 연구로는 평가 및 효과에 대한 검증을가장 많이 실시하였고, 연구자 별 분석결과는 단독 연구 및 공동 연구 모두 교수 연구자가 가장 많았으며, 공동 연구의 경우는 현장교사가 많았다. 이는 대부분의STEAM 교육 연구에서 교육 현장과 연계되어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에, 단독연구보다 공동연구로 진행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2015 개정 교육과정 중학교 기술·가정 교과서의 생명기술 관련 내용 분석

        권혁수 한국기술교육학회 2018 한국기술교육학회지 Vol.18 No.1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biotechnology related contents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middle school technology and home-economics textbooks. To accomplish the research goal, this study analyzed biotechnology related contents and hands-on activities of twelve middle school technology and home-economics textbooks guided by the 2015 revised curriculum.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ll textbooks included biotechnology as one of the large learning units. There were four textbooks including biotechnology independently and seven textbooks including biotechnology and sustainability. Second, all textbooks had biotechnology system, application of biotechnology, and impacts of biotechnology. Biotechnology system was explained in the context of ‘input – process – output (feedback)’. Biotechnological applications were described as the areas of agriculture, medical/medicine, and environment/energy. The impacts of biotechnology was described in the positive and negative perspectives with a balanced manner. Also, seven textbooks introduced biotechnology related careers or vocations and the bio-engineer was the most frequent career. Lastly, there were diverse students’ activities such as investigation, presentation, discussion or debate associated with biotechnology in the textbooks. Biotechnology related problem solving hands-on activities presented an instructional flow, ‘understanding problem – planning – implementation - assessment’ in six textbooks. Middle school technology and home-economics textbooks should be written with diverse students’ activities considering connections with elementary school practical arts textbooks. 이 연구의 목적은 2015 개정 교육과정에 의해 개발된 중학교 교과서의 생명기술교육 내용을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의 목적을 이루기 위해 이 연구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 의해 개발된 중학교 교과서 12종을 분석 대상으로 하였으며 교과서의 구성 내용과 체험활동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이 연구에서 얻어진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모든 교과서에 생명기술과 관련된 대단원명이 존재하였다. 생명기술만 독립된 대단원으로 구성한 교과서는 모두 4종이며 ‘지속가능’이라는 핵심개념과 합쳐진 대단원은 7종이었다. 둘째, 모든 교과서에서 생명기술과 관련된 내용으로 생명기술 시스템, 생명기술의 이용, 생명기술의 영향을 모두 포함하고 있다. 생명기술 시스템은 ‘투입-과정-산출’이라는 맥락을 중심으로 본문이나 그림으로 설명되어 있다. 생명기술의 이용은 농업 분야, 의료 분야, 환경 및 에너지 분야로 나누어 기술되어 있다. 생명기술의 영향은 생명기술이 우리 개인과 사회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과 부정적인 영향을 모두 균형 있게 다루고 있다. 또한, 7종의 교과서에서 생명기술과 관련된 진로 및 직업을 소개하고 있고 생명공학연구원이 가장 많이 소개되었다. 마지막으로, 모든 교과서에서 생명기술에 대한 조사, 발표, 토의 및 토론 학습이 가능한 활동을 가지고 있다. 생명기술과 관련된 문제해결활동이나 체험활동은 6종의 교과서에서 ‘문제 확인하기-계획하기-실행하기-평가하기’의 맥락에서 제시되고 있다. 중학교 기술가정교과서에서 생명기술관련 내용은 초등학교 실과 교과서에서의 생명기술 내용과의 연계성을 고려해 다양한 학생활동으로 구성되어야 한다.

      • KCI등재

        예비 기술교사들의 2015 개정 기술 교육과정 내용요소에 대한 중요도 및 수행도 분석

        최유현 한국기술교육학회 2016 한국기술교육학회지 Vol.16 No.1

        이 연구는 예비 기술교사들의 2015 개정 기술 교육과정 내용 요소에 대한 중요도및 수행도의 진단과 분석을 통해 대학 수준의 기술교사교육에 있어 시사점을 얻기위해 수행되었다. 102명의 예비 기술교사를 대상으로 중학교 기술 18요소, 고등학교기술 12요소, 고등학교 공학일반 17요소에 대한 중요도와 수행도 인식을 알아보았고, 중요도와 수행도를 분석하는 IPA 분석방법을 기술교사를 양성하는데 있어 필요한 학습내용을 찾고자 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 기술교사들은 개정 기술 교육과정의 각 내용요소가 전반적으로 중요하다고 판단하고 있었으나, 수행도는 중요도에 비하여 전반적으로 낮지만, 수행 수준이 만족할만하였다. 둘째, 개정 기술 교육과정에 따라 예비 기술교사 교육에서 보다 중점적으로 반영되어야 할 내용은 중학교 기술은 통신기술 문제해결, 지속가능한발전, 발명아이디어의 실현, 고등학교 기술은 발명과 창업, 기술과 직업, 지속가능한발전, 그리고 고등학교 공학일반에서는 IT 기반 융합 공학, 공학 진로탐색, 바이오기반 융합공학 등으로 분석되었다. 즉 문제해결, 발명, 직업 진로, 융합, 지속가능 발전 등의 내용에서 상대적으로 중요성은 높게, 수행도는 낮게 인식하여 중점투자 영역으로 분석되었다. 이 연구의 결과로부터 얻은 시사점은 개정 교육과정의 내용에 중요성을 인지하고있는 점은 교사교육에 긍정적 신호이며, 아울러 수행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관심을두어야 할 요소에 대한 교사교육과정에서의 반영노력이 뒤따라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the improvement for technology teacher education curriculum by analyze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perceived on National Curriculum Technology Contents revised in 2015. IPA Matrix was applied when analyzing importance and performance analysis of 102 4th grade undergraduate students on technology contents of new national curriculum. The conclusions as a result of analysis were as follows. First, generally most of subjects shows a lower performance level compared to their perception level of importance in terms of each contents of revised technology national curriculum. However, overall performance level was over expectation. Second, technology education contents that should be treated with more weight on educating technology teachers according to the revised national curriculum for middle school, problem solving of communication technology, sustainable development, and realization of invention idea. For high school technology, invention and start-up, technology and vocation, and sustainable development. And for high school general engineering IT based integrated engineering, career exploration for engineering, and Biotech based integrated engineering. Suggestion from the results of our study was that students knowing importance of each contents in the revised national curriculum is certainly positive attitude for educating teachers and more efforts are required upon contents showing relatively poor level of performance.

      • KCI등재

        2015 개정 교육과정에 기초한 중학교 ‘기술․가정’ 교과서 ‘제조기술’ 관련 단원 체제 분석

        김미영,이경택 한국기술교육학회 2019 한국기술교육학회지 Vol.19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tructure of 'manufacturing technology' unit of middle school 'Technology·Home Economics' textbook according to the 2015 revised curriculum to provide basic data for 'manufacturing technology' class. The subject of analysis is a total of 12 books in the textbooks of middle school 'Technology·Home Economics' edited under the 2015 revision curriculum, which contain contents related to 'manufacturing technology'. The system of unit related to ‘manufacturing technology’ in each textbook is analyzed in terms of the organization elements and the composition elements of the unit. The unit organization elements are composed of the number of units related to 'manufacturing technology', the ratio of unit composition, content presentation way, and the number of illustrations for each textbook. The unit composition elements include learning objectives, content composition system, experiment and practice activities, and evaluation by each textbook.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is the analysis result of the unit organization element. The number of 'manufacturing technology' related middle-class units are 2 ~ 3 and small-class units are 5 ~ 11. The proportion of 'manufacturing technology' related units is within the range of 16.1 ~ 32.2% in all textbooks. In order to know how to present contents related to 'manufacturing technology', the contents of learning reflected in the standards for the 2015 revised curriculum were analyzed in all textbooks. Illustrations are presented in the order of picture, drawing. Second, it is the analysis result of the unit composition element. In the section on 'manufacturing technology', If the analysis of the statement type is divided into content-behavior classification, the learning goals are classified into cognitive domain, definitive domain, and dynamic domain in order of quantity. Most textbooks are similar in content structure. The type of supplementary enrichment activity is mostly survey activity. In order to summarize and evaluate large learning and intermediate learning units, the form of unit summarization and problem solving is mainly presented. 이 연구는 ‘제조기술’ 수업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기술·가정’ 교과서의 ‘제조기술’ 관련 단원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분석 대상은 2015 개정 교육과정이 적용된 중학교 ‘기술·가정’ 교과서에서 ‘제조기술’ 관련 내용을 담고 있는 ①권으로 총 12권이며, 단원 조직 요소와 단원 구성 요소로 나누어 각 교과서의 ‘제조기술’ 관련 단원 체제를 비교·분석하였다. 단원 조직 요소는 교과서별 ‘제조기술’ 관련 단원 수, 단원 구성 비율, 내용 제시 방식, 삽화 수로 설정하였으며, 단원 구성 요소는 교과서별 학습 목표, 내용 구성 체제, 실험·실습 활동, 보충 심화 활동, 정리 및 평가로 설정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단원 조직 요소 분석 결과이다. ‘제조기술’ 관련 단원 수는 중단원이 2~3개, 소단원이 5~11개로 교과서별로 차이가 있다. ‘제조기술’ 관련 단원 구성 비율은 모든 교과서가 기술 전체 분량 대비 16.1~32.2% 범위 내에 있다. ‘제조기술’ 관련 내용 제시 방식을 알기 위해 2015 개정 교육과정 성취기준에 반영된 학습 내용을 교과서별로 분석하였으며, 삽화는 사진과 그림 순으로 많이 제시된 것을 확인하였다. 둘째, 단원 구성 요소 분석 결과이다. ‘제조기술’ 관련 단원에서 학습 목표 진술 방식을 내용-행동으로 이원 분류하여 분석한 결과, 학습 목표는 인지적 영역, 정의적 영역, 심동적 영역 순으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내용 구성 체제는 대부분의 교과서가 비슷하게 이루어져 있다. 실험·실습 활동은 교과서별로 1~2개로 구성되어 있다. 보충 심화 활동 형태는 조사활동이 가장 많았다. 대단원 정리 및 평가, 중단원 정리 및 평가를 위해 단원 정리 및 문제 풀이 형태가 주로 제시되고 있다.

      • KCI등재

        예비 기술 교사들의 창의공학설계 수업에 대한 인식 연구

        김성일 한국기술교육학회 2014 한국기술교육학회지 Vol.14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a basis information about ’creative engineering design’ lesson in college course and high school course by analyzing the preliminary technology teachers'(preliminary technology teachers with experience and inexperience in ’creative engineering design’ lesson) recognition about ’creative engineering design’ lesson. The survey questionnaires with 34 questions of 6 region to investigate on the recognition were collected from the 96 preliminary technology teachers of 3 universities and analyzed by using SPSS program.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First, in a high school lesson, the educational goals of creative engineering design lesson was to improve problem solving and creativity, the range of creative engineering design lesson was preferred to idea sketch, design and production manufacturing. A variety assessment methods are preferred for the assessment. Second, in a high school and academic lesson, the preliminary technology teachers’ was prefer the task to remedy inconveniences in human life and to improve the existing product in succession. Third, in an academic lesson, it is stated by preliminary technology teachers that product ideation is most difficult in creative engineering design lesson and the lack of time and engineering knowledge is also similar. Therefore the product ideation is priorly needed. Fourth, to enhance the satisfaction of creative engineering design of the preliminary technology teachers in an academic lesson, the preparation like education for creative product selection, solution to lack of time, method which can help the lack of professional knowledge, and solution of expense trouble were needed. Therefore, the lesson of the preliminary technology teachers’ product manufacturing should be developed as programs with creative product thinking method, appropriate idea selection in time, method which can help the lack of professional knowledge and expense trouble. 이 연구의 목적은 예비 기술 교사(창의공학설계를 경험한 예비 기술 교사와 창의공학설계를 경험하지 않는 예비 기술 교사)들을 대상으로 고등학교 과정의 창의공학설계 수업에 대한 인식과 창의공학설계를 경험한 예비 기술 교사들을 대상으로 대학 과정의 창의공학설계 수업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여 창의공학설계 수업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3개 대학의 예비 기술 교사를 대상으로 6개 영역(교육 목표, 교육 내용, 교육 범위, 교수․학습 방법, 운영, 평가) 34개 문항으로 작성된 설문지를 배포하여 얻어진 96명의 데이터를 SPSS 프로그램으로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결론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고등학교 수업에서 창의공학설계의 교육 목표는 문제 해결 능력과 창의력 향상이고, 교육 범위는 아이디어 구상, 설계와 제작까지를 선호하고 있다. 평가에서는 다양한 평가 방법을 선호하였다. 둘째, 대학이나 고등학교 수업에서 예비 기술 교사들은 생활 속의 불편한 점을 개선하는 작품을 가장 선호하였고, 그 다음으로 기존의 작품을 변형하여 제작하는 수준이었다. 셋째, 대학 수업에서 창의공학설계를 경험한 예비 기술 교사들은 제품 구상이 가장 어렵다고 하였고, 그 다음으로 시간과 전공 지식의 부족 순이었다. 따라서 제품 구상 교육이 우선적으로 요청된다. 넷째, 대학 수업에서 예비 기술 교사들의 창의공학설계에 대한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수업 전에 작품 구상을 위한 사고 기법 교육, 시간 부족과 전공 지식의 부족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방안, 실습 재료비의 준비가 필요하다. 따라서 예비 기술 교사들의 창의공학설계 작품 제작 수업은 창의적인 제품 구상 교육, 시간에 맞는 적절한 작품 선택, 전공 지식 및 실습 재료비 문제 해결하는 방안으로 교육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한다.

      • KCI등재

        예비기술교사를 위한 생명기술 교육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

        권혁수 한국기술교육학회 2018 한국기술교육학회지 Vol.18 No.2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biotechnology educational program for pre-service technology teachers and investigate pre-service technology teachers’ transitions through this developed program. To accomplish the research goal, this study performed literature research, developmental research, and field study. A developmental process of the preparation, development, and advancement was performed to develop an introductory biotechnology educational program and the developed program implemented at one of the technology teachers’ institutes. Based on the literature, foundation of biotechnology, plant biotechnology, animal biotechnology, medical biotechnology, environment and energy biotechnology, and bioethics were chosen for major learning components of the biotechnology educational program. And the leaning components were adjusted by the expert group meeting and students’ feedback and confirmed for a semester field study with 52 participants who enrolled in the pre-service technology teachers’ track. Pre-service technology teachers’ biotechnology related knowledge, biotechnology teaching ability, and expectancy and value of teaching biotechnology were significantly improved through the developed educational program. Concretely, their knowledge level and biotechnology teaching ability on six learning components was improved. Moreover, pre-service technology teachers perceived the significance and value toward teaching biotechnology and confirmed their beliefs toward teaching biotechnology in this study. This study confirmed that taking biotechnology programs could be a significant factor for sufficient implementation of biotechnology education. Also,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further studies such as students centered instruction and process based assessment were recommended. 이 연구의 목적은 예비기술교사를 위한 생명기술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통한 예비기술교사들의 변화를 조사하는 것이다. 이 연구는 연구의 목적을 이루기 위해 문헌 연구, 개발 연구, 현장 투입 연구를 실시하였다. 예비기술교사를 위한 생명기술 교육프로그램은 준비, 개발, 개선의 3 단계를 통해 개발되었고 중부 지역에 있는 기술교사교육기관 중 한 곳에서 교육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기술교육에서 생명기술교육과 관련된 선행 연구를 검토함으로 예비기술교사들을 위한 생명기술 교육프로그램의 영역을 추출하였다. 그 영역은 생명기술의 기초, 식물분야에서의 생명기술, 동물분야에서의 생명기술, 의료 분야에서의 생명기술, 환경 및 에너지 분야에서의 생명기술, 생명기술의 영향과 윤리로 확정되었다. 이후 이 영역은 전문가 회의와 학생들의 피드백을 통해 보충되어 15주 강의로 결정되어 52명의 예비기술교사들에게 투입되었다. 개발된 생명기술 교육프로그램을 통해 예비기술교사들의 생명기술 관련 지식, 생명기술교육 관련 실천 능력, 그리고 생명기술교육 관련 기대-가치 인식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구체적으로, 생명기술 관련 6개의 강의 영역에 있어서 예비기술교사들은 지식의 수준과 교육실천의 능력이 향상되었다. 또한 이 연구에서 예비기술교사들은 생명기술교육에 대한 중요성과 매력을 배우고 자신의 교육실천에 대한 믿음을 가지게 되었다. 이 연구를 통하여 생명기술과 관련된 교육 및 연수의 기회가 기술교사들에게 생명기술교육을 실천하게 하는 중요한 요소임을 확인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를 근거로 생명기술교육과 관련된 학생 활동중심의 교수법과 과정 중심의 평가 관련 연구의 후속 연구를 제언할 수 있다.

      • KCI등재

        중학교 기술·가정 교과서의 정보통신기술 단원에 제시된 유명인 분석

        이은상 한국기술교육학회 2019 한국기술교육학회지 Vol.19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famous people presented in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unit of middle school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textbooks recently published in Korea. To do this, 83 illustrations presented in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units of the last two curriculums were analyzed. The researcher used analytical methods that revised and supplemented the methods of previous stud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described as follow. First, a very limited historical famous people related to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has been presented. The main figures for famous historical were Bell, Moss, Marconi, and Gutenberg. Most famous people related to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were westerners, and all were males. Second, the type of characteristics of famous people were similar in two curriculum. Based on the results, the researcher suggested implications for the future direction of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unit. 이 연구의 목적은 최근 국내에서 출판된 중학교 기술・가정 교과서의 정보통신기술 단원에 제시된 유명인을 분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2009 개정 교육과정 및 2015 개정 교육과정 기술․가정 교과서의 정보통신기술 단원에 제시된 83개 유명인 이름이 포함되어 있는 삽화를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이 연구에서 사용한 연구 방법은 선행 연구를 참조하여 이 연구의 목적에 맞게 수정한 분석 방법을 이용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보통신기술과 관련된 매우 제한된 고전적인 인물이 제시되고 있었다. 정보통신기술 단원에 제시된 주요 유명인의 이름은 벨, 모스, 마르코니, 구텐베르크 등 이었다. 또한, 정보통신기술과 관련된 유명인은 대부분 서양인이었으며, 성별은 모두 남자라는 특징이 있었다. 둘째, 두 교육과정에서 유명인 특징의 제시 유형은 거의 유사하였다. 이에 연구자는 이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교과서에 실린 유명인들이 주는 교육적 시사점과 향후 정보통신기술 단원의 집필 방향 등에 대해 제언하였다.

      • KCI등재

        기술 교육 전문가들의 인식에 기초한 기술영향평가 도구 개발

        박헌미,최완식 한국기술교육학회 2009 한국기술교육학회지 Vol.9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echnology Assessment tool for the general public to participate in the Technology Assessment, and to improve and apply the cognition of the Technology impact in the technology education. For this purpose, I had accomplished a literature study and four sequential Delphi studies with the experts who are in various fields of Technology Education. Technology Assessment tool was developed using its categories and sub-categories that were derived from the results of the four Delphi studies. The reliability tests were made by middle school students, high school students, university students, teachers and experts to evaluate the reliability of Technology Assessment tool that this researcher developed. Derived results from this research are stated below : First, the categories of Technology Assessment consisted of 5 fields : individual, social, environmental, technological, and ethical aspects. Second, the twenty sub-categories of Technology Assessment were derived: the effects on humans' physical states, on individuals' mental states, on living styles, on organizing social groups, on cultures, on educations, on politics, on economics, on national defences, on natural environments, on artificial environments, on conservations and protections of nature, on the technological knowledge, on other technology systems, the possibility to propose alternative plans, on efficiency of production, on individuals' ethics, on social ethics, on bioethics, and on property rights protection. Third, the total average of sub-categories' importance degree in Technology Assessment was 4.51 and every sub-categories' importance degree was over 4.21. The reliability coefficient of the importance degree, Cronbach's α was .907 so the reliability was so high. Fourth, Technology Assessment tool that consist of 20 sub-categories was developed based on the result of Delphi studies. The Cronbach's α of the main studies was .900 that shows so high reliability. Therefore, it proved that the Technology Assessment tool was the measurement tool that can be relied on. 이 연구의 목적은 일반 대중이 기술영향평가에 쉽게 참여할 수 있고, 기술 교과 교육에서의 기술영향평가에 대한 인식 제고 및 활용을 위하여 기술영향평가 도구를 개발하는 것이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문헌 고찰 후 기술 교육과 관련된 여러 분야의 전문가들을 통하여 델파이 조사 연구를 실시하였다. 델파이 조사를 통해 도출된 기술영향평가 항목을 바탕으로 기술영향평가 도구를 개발하였으며, 기술영향평가 도구의 일반 대중에 의한 신뢰도를 확보하기 위하여 중학생, 고등학생, 대학생, 교사,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신뢰도 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술영향평가 영역은 개인적 측면, 사회적 측면, 환경적 측면, 기술적 측면, 윤리적 측면으로 도출되었다. 둘째, 기술영향평가 항목은 인간의 신체에 미치는 영향, 개인의 심리에 미치는 영향, 생활 양식에 미치는 영향, 사회 집단 구성에 미치는 영향, 문화에 미치는 영향, 교육에 미치는 영향, 정치에 미치는 영향, 경제에 미치는 영향, 국방에 미치는 영향, 자연 환경에 미치는 영향, 인공 환경에 미치는 영향, 환경 보호와 보전에 미치는 영향, 기술적 지식에 미치는 영향, 다른 기술 시스템에 미치는 영향, 대안 제시의 가능성, 생산의 효율성에 미치는 영향, 개인 윤리에 미치는 영향, 사회 윤리에 미치는 영향, 생명 윤리에 미치는 영향, 재산권 보호에 미치는 영향이 도출되었다. 셋째, 델파이 조사 결과 기술영향평가 항목에 대한 중요도의 전체 평균은 5점 척도에서 4.51이었고, 모든 항목이 4.21 이상으로 높게 도출되었다. 중요도의 신뢰도 계수 Cronbach's α는 .907로서 신뢰도가 매우 높았다. 넷째, 기술영향평가 항목을 바탕으로 20개 문항의 기술영향평가 도구를 개발하였다. 기술영향평가 도구의 일반 대중에 의한 신뢰도를 확보하기 위하여 실시한 검사의 Cronbach's α값은 .900으로서 신뢰도가 상당히 높았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 개발한 기술영향평가 도구는 신뢰할 수 있는 측정 도구임이 증명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