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생의 핵심역량 증진을 위한 장·단기 교양교육 성과분석

        최선일,조무정 인문사회 21 2019 인문사회 21 Vol.10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re competency change of university students who have completed liberal arts curriculum. For this purpose, data were collected using HY-CCA, a total of 1,040 students, including 826 students who took liberal arts curriculum for one semester and 214 students who took classes for two semesters at H university. And SPSS 23.0 was used to perform a corresponding sample t-test and Wilcoxon sign rank test.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communication, creative, convergence competency and total core competence of the undergraduate students who completed liberal arts curriculum for one semester and two semesters all developed. Second, there was a difference in communication, creativity, convergence competence, total core competence, and sub-factors when students were classified by college. Third, there was a difference in competency development according to the duration of liberal arts education. Fourth, the students with academic achievement level also showed differences in competency development according to the duration of liberal arts education. This suggests that liberal education curriculum should be implemented based on the detailed definition of those who want to improve their core competencies in order to develop core competencies of college students. Based on these findings, the implications of the liberal arts curriculum for the improvement of core competencies of university students were discussed, and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future research were presented. 본 연구의 목적은 교양교육과정을 이수한 대학생들의 핵심역량 변화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H대학교에서 교양교육과정을 한 학기 수강한 826명, 두 학기 수강한 214명 등 총 1,040명을 대상으로 한양핵심역량진단도구(HY-CCA)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고, SPSS 23.0을 이용하여 대응표본 t검증 및 Wilcoxon 부호 순위 검정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양교육과정을 한 학기 및 두 학기 이수한 대학생들의 소통・창의・융합역량 및 핵심역량 전체는 모두 발달하였다. 둘째, 단과대학별 학생들은 소통・창의・융합・핵심역량 및 그 하위 요인들의 변화에 차이가 있었다. 셋째, 입학 유형별 학생들은 교양교육 수강 기간에 따라 역량 발달의 차이가 나타났다. 넷째, 학업성취수준(학점)별 학생들 또한 교양교육 수강 기간에 따라 역량 발달의 차이가 나타났다. 이는 대학생들의 핵심역량 발달을 위해서는 교양교육 대상의 세밀한 정의를 바탕으로 교양교육과정이 시행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중심으로 대학생의 핵심역량 증진을 위한 교양교육과정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고 본 연구의 한계점 및 후속 연구 내용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피부 섬유아세포에서 밤나무 잎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노화 효능

        최선일,이종석,이사라,이혜진,김병직,여주홍,정태동,조봉연,최승현,이진하,김종예,이옥환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2017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Vol.32 No.3

        Intracellular and extracellular oxidative stress initiated by reactive oxygen species (ROS) causes skin aging, which is characterized by wrinkles and atypical pigmentation. Use of antioxidant is an effective approach to prevent symptoms related to ROS-induced aging of the skin. Therefore, the antioxidant and anti-aging effect of Castanea crenata Siebold & Zucc. extracts (LCE) was investigated in this study. The LCE markedly reduced the hydrogen peroxide-induced cell damage, intracellular ROS, and oxidative stress-induced senescence in human dermal fibroblasts (HDF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LCE might have beneficial effects on oxidative stress-induced damage and thus reduce skin aging.

      • KCI등재

        중국 파견학생 문화역량 향상을 위한 교육방안 제시

        최선진(Choi, Seon-Jin)(崔善珍) 대한중국학회 2019 중국학 Vol.68 No.-

        국제화 시대에 따라 해외 파견 유학생이 많아지고 있으며, 각 대학에서도 교환학생 프로그램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와 함께 해외 교류에 필요한 문화역량에 대한 관심도 커지고 있다. 해외 한국인 유학생 현황에 따르면 중국지역 유학생 수가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데 반해, 이에 대한 전문적인 조사나 연구가 거의 없다. 따라서 본 연구는 중국지역 교환 프로그램을 통한 문화역량 변화와 교환 전과 과정 중의 요인에 대한 문화역량의 관계를 조사·분석해 보았다는 데 의의가 있다. 이를 조사하기 위해 A 대학 중국학부 학생 중 2016년부터 2018년까지 중국지역으로 파견 간 교환학생을 대상으로 교환 전과 후 2차례에 걸쳐 설문조사를 시행하였고, 2차례 설문에 모두 참여한 동일 집단 53명을 연구대상 범위로 정하였다. 통계 결과와 주관식 의견을 토대로 교환학생 프로그램에 대한 문제점과 개선해야 할 부분을 파악하여 3가지 교육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1)교환학생 선발방법 변경 또는 추가 조건제시, 2)기 경험자가 참여하는 정보망 구축, 3)교환 전 교내에서부터 현지인과의 교류를 적극적으로 지원 하자이다. 본 연구의 제시방안을 활용하여 중국지역 파견뿐만 아니라 해외 교류 프로그램의 양적 성장과 질적 성장이 함께 이루어지길 바란다. With the advent of globalization, each universities actively run a student exchange program. In addition, there is a growing interest in cultural competency for international exchanges. These days, more and more Korean students are going to China to study its language and culture but no research has been conducted to make better programs or systems for students. Therefore, this study is meaningful to identify changes of cultural capacity through the exchange program in China. For research, the survey was conducted in A university’s Chinese studies students who participate in exchange student program in China from 2016 to 2018. A group of 53 students responded survey on two separate occasions. Based on the statistical results and opinions on the subject matter, researcher identified the problems of current exchange student program, the way for further improvements and three options for educational methods. 1) Changing the method of selecting exchange students or suggesting additional conditions, 2) Establishing an information network with prior experience in exchange student, 3) Supporting various interacting programs with natives inside a college before exchanging.

      • KCI등재

        읽기 이해 전략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읽기 이해력과 학습전략 특성에 미치는 효과

        최선일,최선 한국독서학회 2018 독서연구 Vol.0 No.46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a reading comprehension strategy program on the reading comprehension abilities and learning strategies of university students. In order to better understand the effect of the reading comprehension strategy, initial tests were completed with 152 current first-year university students from the capital region and the region of Chungcheongbuk-do, examining their reading comprehension abilities test and their multi-dimensional learning strategies test. Following the initial tests, the reading comprehension strategy program, which was developed through an analysis and compilation of the sub-factors of a reading comprehension strategy examined through fifteen experimental testings, was applied to the 152 college students; and the previous tests, examining reading comprehension abilities and learning strategies were performed again. Any changes found post-application of the reading comprehension strategy program in the students’ reading comprehension abilities and learning strategies were then analyzed using a matching sample t test. Based on the results, the reading comprehension strategy program was found to have an effect in the students’ abilities to understand both story text and expository text. Specifically, among the sub-factors of story text, a meaningful effect was found in the students’ abilities to text inference and knowledge integration. Among the sub-factors of expository text, a meaningful effect was found in the students’ abilities to text inference, knowledge access, and knowledge integration. However, in expository writing, a meaningful effect was not found in the students’ abilities to remember data. Furthermore, the reading comprehension strategy program was also found to have an effect in shaping the learning strategies of the university students. Specifically, positive effects were seen in personality characteristics, such as in efficacy or persistence; emotional characteristics, such as irritability; motivational characteristics, such as avoidance; and behavioral characteristics, such as time management, class attitude, note-taking, focus, reading, and memorial ability. Therefore, in order to encourage the learning abilities of university students, we see the importance of actively teaching the reading comprehension strategy program and discussing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of this program. 본 연구의 목적은 읽기 이해 전략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읽기 이해 능력과 학습전략 특성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고자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수도권 및 충북 소재 대학교 1학년 재학생 152명을 대상으로 남영택·유신복· 이명숙(2015)이 개발한 읽기 이해 능력 검사와 박동혁(2006)의 다차원 학습전략 검사를 사전 검사로 실시하였다. 그 후, 읽기 이해 전략의 하위 요인들을 분석·종합하여 개발된 15차시의 읽기 이해 전략 프로그램을 대학생들에게 적용시켰으며, 프로그램 적용 후 읽기 이해 능력 검사와 다차원 학습전략 검사를 사후 검사로 실시하였다. 읽기 이해 전략 프로그램의 사전·사후의 읽기 이해 능력과 학습전략 특성의 변화는 대응표본 t검증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읽기 이해 전략 프로그램은 이야기 글과 설명식 글을 이해하는 데 모두 효과가 있었으며, 세부적으로 이야기 글 이해의 하위 요인 중 자료추론과 지식통합에, 설명식 글 이해의 하위 요인 중 자료기억을 제외한 자료추론, 지식접근, 지식통합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다. 또한, 읽기 이해 전략 프로그램은 대학생의 학습 전략 특성에도 효과가 있었으며, 구체적으로 성격적 특성의 효능감과 성실성, 정서적 특성의 짜증 및 예민함, 동기적 특성의 회피동기, 행동적 특성의 시간관리, 수업태도, 노트하기, 집중전략, 책 읽기, 기억 전략 등의 하위 요인들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에 대학생의 학습 역량 증진을 위한 읽기 이해 전략 프로그램의 적극적인 교수 필요성과 교육적 시사점을 논의하고자 하였다.

      • KCI등재후보
      • KCI등재

        18세기 후반 조각승 계심의 활동과 불상 연구

        최선일 동악미술사학회 2015 東岳美術史學 Vol.0 No.17

        본 논문은 온양민속박물관 소장 목조불상 2구와 의정부 덕수사 목조대좌를 제작한 조각승 계심에 관한 연구이다. 보살상과 대좌에 적힌 묵서에 의하면 이 유물들은 1778년에 원적암에 서 조각승 계심, 행안, 천민, 세관, 융감이 제작하여 전북 고창 선운사 백련암과 정읍 내장사 원적암에 봉안한 것으로, 선운사 백련암에 있던 관음보살상은 중수와 개금하고, 아미타불과 대세지보살을 새로 만들고 아미타삼존불로 봉안하였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불상을 만든 원 적암은 조각승 계심이 거주하던 사찰일 가능성이 매우 높다. 불상을 만든 조각승 계심은 1720년대 태어나 1771년에 수화승 상정과 경북 김천 직지사 불상을 개금할 때 부화승으로 참여하고, 수화승으로 1778년에 전남 강진 정수사 목조삼세불 좌상 등을 개금한 후, 전북 고창 선운사 백련암과 정읍 내장사 원적암에 봉안할 불상을 제작 하였다. 또한 그는 1780년에 전남 장흥 보림사 천왕상 등을 개금·중수하고, 1787년에 전북 고창 선운사 대법당 등의 불상을 개금하였다. 그와 같이 작업한 조각승을 보면, 그의 계보는 진열(-1695-1722-), 태원(-1698-1748-) → 상정(-1743-1775-) → 계심(-1771-1787-), 우학(-1745- 1771-), 행안(-1765-1787-)으로 이어졌다. 지금까지 밝혀진 그의 활동 시기는 1771년부터 1787년까지로, 1771년에 불상 중수에 부화승으로 참여한 것을 보면 나이와 경륜이 적지 않았 을 것이다. 조성발원문이 발견된 대세지보살좌상은 정수리 부분에 단순하게 조각한 보계를 끼웠고, 화 염문과 화문 일부가 남아있는 커다란 보관을 쓰고 있으며, 귀 밑으로 늘어진 보발은 어깨 위 에서 둥글게 말린 뒤에 세 가닥으로 늘어져 있다. 전체적인 형태는 여래상과 유사하지만, 하 반신을 덮은 대의자락은 복부에서 늘어진 중앙의 옷자락이 S자형으로 처리되고, 옆으로 다섯 가닥으로 펼쳐져 대좌까지 길게 늘어져 마치 끝자락 사이사이에 연봉오리가 튀어나온 것 같 이 표현하였다. 또한 승각기는 가슴에서 수평으로 묶어 상단에 연판형 주름을 넣어 자연스럽 게 좌우대칭을 이루고 있다. 보살상이 앉아 있는 연화대좌 사이사이에 옷자락이 자연스럽게 늘어져 있는 표현은 스승인 진열이나 상정이 만든 불상에서 볼 수 있고, 봉현이나 계심 등이 만든 불상에서도 나타난다. 이번 연구를 통하여 조각승 계심은 진열, 태원 → 상정 → 계초, 봉현 등으로 이어지는 18세 기를 대표적인 조각승 계보에 속하는 스님임을 알 수 있다. 특히, 계심이 태원의 손상좌라는 것은 진열과 그 계보 조각승의 연관성을 밝힐 수 있는 중요한 단서이다. This paper is a study about monk sculptor Gyesim(戒心), who made Two Wooden seated Bodhisattvas in Onyang Fork Museum and Wooden Lotus Throne at Deoksusa in Uijeongbu. A dedicative inscription shows that monk sculptor Gyesim, Haengan, Cheonmin, Segwan, Yunggam made these statues and throne at Wonjeokam and enshrined those relics at Jeonbuk Gochang Seonunsa Beakryenam, Jeoneup Naejangsa Wonjeokam. Also we can know that they repaired Wooden Avalokitesvara at Seonunsa Beakryenam and newly producted Wooden Amitabha and Mahasthamaprapta. Judging from this fact, monk sculptor Gyesim likely live in Wonjeokam. Monk sculptor Gyesim, born in ealry 18th century, participated in various Buddhist sculptures rendering projects. Following leader sculptor Sangjeong, he repaired Wooden seated Buddha at Gyengbuk Gimcheon Jikjisa in 1771. Then he took charge of gold mending project of Wooden triad buddha at Jeonnam Gangjin Jeongsusa in 1778. Also he repaired not only Four heavenly kings at Jeonnam Jangheung Borimsa in 1780 but also Terracotta buddha enshrined in Main hall at Jeonbuk Gochang Seonunsa in 1787. I can present that Gyesim belonged to monk sculpture school’s pedigree: Jinyeol (-1695-1722-),Teawon(-1698-1748-)→Sangjeong(-1743-1775-)→Geysim(-1771-1787-), Uhak(-1745-1771-), Haengan(-1765-1787-). Wood seated Mahasthamaprapta having revealed a dedicative inscription wears a crown with flower and flame patterns, installed simple topknot in top of head. The overall appearance of this boddhisattva looks similar with buddha statues, but shape of garment drapery has its own distinct features. The features of Garment drapery like this sculptor is similar with buddha sculptor made by monk sculptor Jinyeol, Sangjeong, Bonghyen working in late 17th century. For this study, the fact that Gyesim was a monk, first in line to succeed his master Teawon, is very important clue. Because it has a lot to do with connection about Jinyeol and his monk sculpture school’s pedigree.

      • KCI등재
      • KCI등재

        고성 옥천사 명부전 불상과 조각승 경옥

        최선일,조태건 한국불교선리연구원 2019 禪文化硏究 Vol.26 No.-

        This paper is a study for a monk sculptor, Gyeong Ok(敬玉). Recently, the votive inscription of Goseong Okcheonsa(玉泉寺) Myeongbujeon(冥府殿) shows that Geong Ok and three monks carved Ksitigarbha triad, the Ten Kings and other attendants. This Myeongbujeon sculpture is the only work that can analyze his sense of sculptor. Gyeongok is a sculptor whose existence is known through research on the sculpture Seung Il(勝一), Hee Jang(熙藏), and Do U(道祐)), all of whom represent the mid - 17th century’s main figures of monk sculptor. He work with Seong Il in 1648, and during 1649~1650 he participated in Hee Jang's Buddhist sculpture rendering project. From 1653 to 1655, he jointed Do U's three Buddhist sculpture making assingmnets around Dea - gu(大邱) district. Through his training activities, Gyeong Ok can be seen as a sculptor belonging to Seung Il and Hee Jang monk sculptor school. However, the fact that Gyeongok created most of the Buddha statues in stone rather than wood can be inferred from his connection with Seung - ho, who work within Hee Jang monk sculptor school. In particular, the shape of the Ksitigarbha holding a sphericity, which belongs to Seung - ho sculptor school, appears to have shared the same iconographical understanding in terms of how to create a Ksitigarbha statue. the Ten Kings and other attendants seem to share similar a sense of sculpture in Ssanggyesa in Jindo, which wre created by Hee Jang in 1666. Although there is nothing in common with the material difference between wood and stone, one can find the same sense of composition between the two temple's statue of the Ten Kings. Through this, Gyeong Ok seems to have faithfully followed the instructions of Hee Jang's sculptor school. Although only one temple in Okcheonsa has been discovered to Geong Ok's work, Buddha sculptures, sharing a similar style of Gyeong Ok, remain in many Buddhist temples in Gyeongsang-do. By doing so, Gyeongok can be judged as a monk sculpture monk who was actively involved in stone Buddha's statues in Gyeongsang Province in the late 17th century along with Seungho. If many votive inscriptions, enshrined in temples across the country, is systematically disclosed, it is hope that the analysis to Gyeong Ok's stylistic features, can be further diversified. 본 논문은 고성 옥천사 명부전 불상을 조성한 조각승 경옥(敬玉)에 대한 연구이다. 고성 옥천사 명부전 발원문은 이들 존상들이 1670년 경옥을 포함한 4명의조각승에 의해 조성된 것을 알려준다. 고성 옥천사 명부전 권속은 경옥이 수화승으로 활동한 유일한 작품으로 그의 조형 감각을 분석할 수 있는 귀중한 자료이다. 경옥은 17세기 중반을 대표하는 조각승 승일(勝一), 희장(熙藏), 도우(道祐)에대한 연구를 통해 존재가 알려진 조각승이다. 경옥은 1648년에는 승일의 정수사불상 조성불사와, 1649년부터 1650년까지 희장의 불상 조성불사에 참여하였다. 1653년부터 1655년까지는 도우와 함께 대구 3건의 조성 불사에 참여하였다. 이러한 수련기 활동을 통해 경옥은 크게 승일과 희장 계보에 속한 조각승으로 볼수 있다. 그러나 경옥이 나무가 아닌 석조로 대부분의 불상을 조성한 점은 희장계보에서 함께 수련기를 보낸 승호와의 관련성도 유추해 볼 수 있다. 특히 보주를쥔 지장보살좌상의 형태는 승호 및 그 계보에 속한 조각승이 조성한 지장보살좌상에서도 동일하게 나타나는 것으로 경옥과 승호는 명부전 지장보살좌상 조성방식에 있어서는 동일한 도상적인 이해를 공유했던 것으로 보인다. 명부전 하부권속에서는 희장이 조성한 진도 쌍계사 존상들과 유사한 조형감각을 찾을 수 있다. 비록 목재와 석조라는 재질 차이와 신체비례에서는 공통점을찾을 수 없지만, 변화가 없는 시왕 관모 형태, 10구 시왕상을 거의 동일하게 조성한 점, 장신구(관모와 광다회) 표현 및 장군상의 날개장식 등을 통해 두 사찰명부전 존상들 사이에서 동일한 조형 감각을 발견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경옥은희장이 속한 계보의 조각승으로 수련기를 보내면서, 그 계보 명부전 조상 지침을충실히 따랐던 것으로 보인다. 현재까지 밝혀진 경옥의 조상활동은 고성 옥천사 1건 뿐이지만, 경상도 일대다수 사찰에 유사한 조형감각을 공유하는 불상들이 남아있다. 이를 통해 경옥은17세기 후반 승호와 함께 경상도 일대 석조불상 조성 활동에 왕성하게 참여하였던 조각승으로 판단할 수 있다. 앞으로 전국 사찰에 봉안된 조선후기 불상의 조성발원문이 체계적으로 공개된다면 조각승 경옥과 관련된 분석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