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북사건 이후의 사북 - ‘복지’라는 외피를 쓴 일상적 감시

        김세림 역사문제연구소 2019 역사문제연구 Vol.23 No.2

        The present study attempted to understand the legacy of the Sabuk Incident for the Sabuk region. Therefore, the study summarizes the Chun Doo-hwan administration’s interest in the mining region subsequent to the Sabuk Incident and examines the Comprehensive Mining Region Development Plan as a manifestation of that interest. Although the Comprehensive Mining Region Development Plan contained the specifics of improving the welfare of mine workers and urban development, the coal industry was already in decline and the Chun administration was formulating plans to switch fuels to natural gas. Consequently, they were restructuring large-scale coalfields by proposing bills including the Mining Industry Act and the Coal Industry Act. Furthermore, plans purportedly providing the opportunity for mine workers to devote themselves to increase production by stabilizing their livelihood were being implemented without an actual rise in wages and the price realization of coal. Putting up noticeable buildings like a welfare center and a bathhouse may have made Sabuk residents feel as though changes were being made after the Sabuk Incident but these buildings were never properly managed while actual increases in wages were excluded from the very beginning during the planning stage. The government was forcing mining companies to increase production while maintaining low coal prices, which ultimately meant maintaining the low prices and the burden of production fell upon the coalfields and the mine workers. The plan implemented during this process was simply a temporary buffer to prevent a ‘second Sabuk Incident’. As the chance of actually stabilizing the livelihood of mine workers became remote, it was apparent that changes in appearance, namely, the ‘visible welfare’ endowed to Sabuk, were packaged as ‘dispensation’ bestowed upon the mines by the Chun administration. By expressing a special interest in Sabuk, and, at the same time, by defining Sabuk as a ‘lawless area’, the Chun administration silenced the mine workers of Sabuk who were both “rioters as well low-lifes subject to government benefits”. Participants in the Sabuk Incident were not able to enjoy their ‘visible welfare’ but instead suffered alienation in the region. In an area where people shared a sphere of life centered on company life, those unable to maintain life in the company had no choice but to leave the region, and those remaining had to endure the violent system of surveillance enacted by the government. Violence and fear, misunderstanding and hatred between residents, exclusion of workers and welfare, urban development and exhibition, inspection and surveillance─all of these converged upon Sabuk at the time. 본고는 사북사건이 사북 지역에 무엇을 남겼는지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에 전두환 정권이 사북사건 후 탄광지역에 보인 관심을 정리하고, 그 관심의 실제로서 『광산지역종합개발계획』을 살펴보았다. 『광산지역종합개발계획』은 광산노동자 후생복지 및 도시개발의 내용을 담고 있었지만, 석탄산업은 이미 사양화되고 있었으며 전두환 정권은 도시가스로의 연료 전환을 구상하고 있었다. 이에 「광업법」과 「석탄산업법」등 법안 발의를 통해 대단위 탄좌 중심의 구조조정을 진행해 가고 있었다. 또한 탄광노동자들의 생활을 안정시켜 증산에 매진하도록 한다는 이 계획은 노동자들의 실질임금상승과 탄가현실화 없이 진행되고 있었다. 복지관, 목욕탕 등 실제 눈에 띄는 건물들이 세워지는 것은 사북지역민들로 하여금 사북사건 후의 변화를 느끼게 하는 것들이었지만, 제대로 운영되지 못하였으며 실질임금상승은 애초에 계획단계에서부터 배제되어있었다. 정부는 저탄가를 유지하며 탄광업체에 증산을 강요하고 있었는데, 이는 결국 저탄가 유지와 생산의 부담을 탄좌와 탄광노동자들이 져야만 하는 것이었다. 이 과정에서 수행된 계획은 ‘제2의 사북사태’를 막는 일시적 완충역할을 할 뿐이었다. 실질적인 생활안정은 요원한 채 눈에 보이는 것들만 바뀌었던 변화, 사북에 주어진 ‘가시적 복지’는 전두환 정권이 탄광에 내리는 “시혜”로 포장되었다. 전두환 정권은 사북에 특별한 관심을 드러냄과 동시에 사북을 ‘무법지대’로 규정함으로써 “폭도이면서도 정부 시혜의 대상이 된 막장인생”인 사북의 탄광노동자들을 침묵하게 만들었다. 사북사건 참여자들은 ‘가시적 복지’도 누릴 수 없었으며, 지역에서 소외를 겪고 있었다. 기업 중심의 생활권을 공유하는 사북에서 회사 생활을 유지하지 못하는 사람들은 결국 지역을 떠날 수밖에 없었고, 남은 사람들은 국가의 폭력적인 감시체계를 견뎌야만 했다. 폭력과 공포, 주민 사이의 오해와 미움, 노동자 배제와 복지, 도시개발과 전시, 시찰과 감시 이 모든 것이 교차되고 있던 것이 당시의 사북이었다.

      • 갈래에 따른 문학 상상력 작용 차이 연구

        김세림 한양대학교(ERICA캠퍼스) 한국미래문화연구소 2021 미래문화 Vol.0 No.2

        문학 상상력의 범주는 문학과 문학 교육의 영역 안에서 다양한 연구를통해 중요성을 인정받았다. 문학과 상상력의 관계를 밝히거나 학습자가 텍스트를 접하며 발휘하는 상상력에 대한 접근 등이 기존 연구의 방향들이다. 선행연구들은 상상력을 유형화하며 대략 인식적- 재현적 상상력, 조응적- 조작적 상상력, 초월적-창조적 상상력으로 범주화하였다. 본고에서는 이 상상력의 유형을 다시 텍스트의 ‘갈래’를 기준으로 살펴, 교수·학습의 수행에서 중요하게 강조해야 하는 상상력이 갈래에 따라 다를 수 있음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고전 시가는 역사와 시대의 변화로 인해 해석이나 즐거움을 위한 향유에어려움이 따르므로 갈래에 대한 문학사적 이해와 당대 상황에 대한 이해가선행되어야 한다. 따라서 학습자가 고유의 의미를 온전히 향유케 하기 위해서 인식적이고 재현적인 상상력의 활성화가 우선 고려해야 할 것이다. 고전 산문에서는 유기적으로 얽힌 이야기의 흐름을 학습 수행 과정에서 파악할 수 있으므로, 이미지의 재현보다 텍스트의 해석과 확장에 이르는 조응적이고 조작적인 상상력의 중요성이 더욱 커 보인다. 본고에서는 작품의 수용이 결국 학습자가 스스로 끌어내는 것이므로 작품을 구체화하는 데 일정한 의미를 주는 정도로 상상력을 적용하고 그 작용 차이를 견지할 수 있도록 환기하고 있다. 상상력의 층위가 수준의 차이를 말하는 것은 아니므로 학습자에게 부족한 부분을 확인하고 채워주려는교수·학습 측면에서의 접근이 필요함을 제안한다. The importance of the literary imagination category has been recognized by various studies, in the fields of literature and literary education. Such studies have had directions for elucid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literature and imagination or for approaching the imagination that readers exercise as they are exposed to texts. The researchers roughly categorized imagination into the imagination of awareness-reproduction, the imagination of world ordering-operating and the imagination of transcending-world making, by stereotyping it. This paper attempted to verify that each imagination to be importantly stressed when learners are exposed to texts is varied, by investigating the types of it based on the 'genres' of texts. Since it is difficult to interpret or enjoy classical poems for pleasure because of changes in history or times, the literary historical understanding of genres and the understanding of the contemporary circumstances should be achieved in advance. It is, therefore, necessary to initially consider the activation of the imagination of awareness and reproduction, for learners to soundly enjoy the inherent meaning of literature. Since the flows of organically woven stories can be grasped from classical proses, the imagination of world making and operating leading to the interpretation and extension of texts seems to be more important than the reproduction of images, for them. This paper applies the imagination so as to provide some meanings to the embodiment of works and encouraged learners to perceive difference in how the imagination works, as the acceptance of works is spontaneously induced by learners. The layers of imagination do not refer to the difference in levels, so it is suggested that teaching/learning approach is required to check up on and complement inadequate skills in learners.

      • KCI등재

        임상검사실에서의 액체크로마토그래피-질량분석을 위한 권고안: 제3편. 질 보증

        김세림,이상국,문수영,박형두,송상훈,이경훈,최현정,이수연 대한진단검사의학회 2020 Laboratory Medicine Online Vol.10 No.3

        The use of liquid chromatography-tandem mass spectrometry (LC-MS/MS) in clinical laboratories is increasing and is likely to expand into even more clinical venues in the future. Mass spectrometry is the standard method for analyte identification in the clinical chemistry field; however, differences in mass spectrometry protocols and handling affect the accuracy and reliability of these tests and prevent direct comparisons of results between laboratories. For example, the results of laboratories using LC-MS/MS methods are less likely to be reproducible than those of laboratories using conventional, automated methods. This is due to inadequate handling of the equipment and/or poor quality control after the implementation of the method, which may result in unnecessary medical expenditures or even adverse outcomes for the patients. Unfortunately, guidelines to monitor the accuracy of LC-MS/MS-based clinical tests are still lacking. In general, the quality control methods used in conventional clinical tests could also be applied to LC-MS/MS. However, additional quality control methods specific to LC-MS/MS techniques must be continuously employed to maintain the same quality level achieved during method development and verification. This report is intended to help clinical laboratories that operate LC-MS/MS improve the accuracy and reliability of their testing by providing guidance for quality assurance and improvement, based on a collection of existing guidelines and expert opinions from the literature. 임상검사실에서의 액체크로마토그래피-탠덤질량분석기(liquid chromatography-tandem mass spectrometry, LC-MS/MS)의 활용은 점차 늘어나고 있으며 앞으로 더욱 다양한 임상검사 분야로 확대될 가능성이 높다. 일반적으로 임상화학 분야의 대부분의 검사항목에 있어서 질량분석법이 표준측정법으로 알려져 있지만, 질량분석법을 사용한다는 사실 만으로 검사의 정확도 및 신뢰성을 담보하기는 어렵다. 실제로 LC-MS/MS 검사법이 기존 자동화검사법보다 오히려 더 큰 검사실 간의 결과 차이를 보일 수 있다. 이는 검사 도입 이후 질량분석 장비의 운용 및 검사의 품질 관리가 미흡하거나 부적절한 상황에서 발생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환자에게는 불필요한 의료비 지출이나 불리한 결과가 발생할 수 있다. 하지만, LC-MS/MS를 이용한 임상 검사들의 검사법 도입 후의 질관리 감시(post-implementation monitoring)에 대한 지침은 아직도 부족한 상태이다. 통상적으로 임상검사에 적용되는 질관리 방법이 LC-MS/MS를 이용한 검사에 그대로 적용될 수 있는 부분도 있지만, LC-MS/MS 검사의 특성을 고려한 추가적인 질관리 방법을 통해 많은 시간과 노력을 통해 완성한 검사법이 개발 및 검증 당시와 동일한 질 수준을 유지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 권고안은 기존의 권고안을 포함한 문헌 및 전문가들의 의견 수집을 기반으로 LC-MS/MS를 운영하는 임상 검사실의 질 보증 및 개선을 위한 방향을 제시함으로써, 일상적인 임상 검사실 환경에서 LC-MS/MS 검사의 정확성 및 신뢰성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을 주고자 마련되었다.

      • KCI등재

        언어유형론적 관점에서 본 러시아어 연속동사구문 연구

        김세림 한국노어노문학회 2023 노어노문학 Vol.35 No.3

        연속동사구문(serial verb construction, 이하 SVC)이란 둘 이상의 동사가 하나의 동사구에서 연결 표지 없이 연속된 문장을 말한다. SVC는 세계의 여러 언어에 존재하는 보편적인 현상으로 언어유형학에서 활발히 논의되어 왔다. 그러나 러시아어의 SVC에 관한 연구는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은 실정이다. 이에 본고는 러시아어 SVC의 지위를 언어유형론의 관점에서 고찰하였다. 범언어적으로 확립된 유형론적 보편성은 개별 언어의 문법 현상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 SVC의 정의와 범위는 기존의 주요 연구를 종합하여 발전시킨 Haspelmath(2016)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SVC의 정의는 ‘구문’, ‘단일절’, ‘독립적인 동사들’, ‘동사 사이에 연결 요소 부재’ 그리고 ‘술어-논항 관계에 있지 않은 동사들’이라는 5가지 핵심적인 기준들로 이루어진다. 이에 근거하여 본 연구는 러시아어 SVC의 범위를 규정하고, 동사의 성질과 논항의 실현을 기준으로 통사 구조를 분류하였다. 코퍼스 용례를 분석하는 과정에서는 구문의 통사 구조와 그것을 형성하는 첫 번째 동사들의 의미 부류가 다소 제한됨을 관찰하였다. 그럼에도 일부 예외를 제외하고 러시아어의 SVC는 Haspelmath(2016)가 도출한 SVC의 일반화된 특성들을 고루 갖추고 있다. 이러한 높은 수준의 범언어적 보편성은 구문 의미의 측면에서도 점검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Serial verb construction(SVC) is a sentence in which two or more verbs occur consecutively without a linking marker in a single verb phrase. SVC is a universal phenomenon that exists in many languages around the world, and therefore has been actively discussed in linguistic typology. However, not enough research has been done on SVC in Russian.In this regard, this study examines the status of Russian serial verb constructions from a linguistic typological perspective. The typological universals have the advantage of providing insight into the grammatical phenomena of individual languages. This paper reviews the definition and scope of SVC, focusing on Haspelmath(2016), which put the existing comparative studies together. The definition of SVC consists of five key components: ‘construction’, ‘monoclausal’, ‘independent verbs’, ‘no linking element’ and ‘no predicate–argument relation between the verbs’. In accordance with these criteria, the range of SVC in Russian was defined, and its syntactic structure was classified based on the nature of verbs and the argument realization. In the process of the description and corpus-based analysis of Russian SVC, it was observed that the syntactic structure and the semantic classes of the first verbs were somewhat limited. Despite some exceptions, it was confirmed that Russian serial verb construction has most of the typological generalizations derived by Haspelmath(2016). This high level of universality needs to be checked in terms of construction meanings as well.

      • KCI등재
      • KCI등재

        시조 스토리텔링의 유형 및 활용 방안

        김세림,김상진 한국시조학회 2019 시조학논총 Vol.51 No.-

        “Storytelling” can be understood as creating a narrative around a subject for the purpose of invoking interest in that subject. It is also a useful methodology, in that it makes subjects more valuable, enriches and refines their meanings, and helps form a deeper appreciation of them. This study examines the types and usages of Sijo literature, which allow it to function as the main texts for storytelling. The study utilizes form-based storytelling, which means that the storytelling of the series is based on the Yeonsijo form. The Sijo series seems to fulfill the requirements of storytelling, in that multiple Sijo stories created under one title are woven into a single theme. Poets intentionally and effectively used the form of thematic Sijo series to enable readers to contemplate the flow of narrative. They formed a continuous plot by connecting each stanza, and increased readers' concentration on by stimulating their imagination. The contents-based storytelling, on the other hand, attempts to categorize the subjects of the Sijos into “responded” and “combined” Sijos: the former is the type in which characters embellish its contents through the exchange of dialogue, and the latter is the type in which its meaning is extended by a combination of similar themes. The Ginyeo Sijo series has examples of both “responded” and “combined” Sijo types. This is due to the peculiarity of the group of creators, Ginyeos, and their ease at weaving emotions into a story. The storytelling of the Sijos has received some attention from various fields, where their contents have been used as a general basis in certain films and dramas. However, it is time to actively seek out and promote these storytelling narratives based on the Sijo series. Today, Sijos can be used for their cultural contents, for their expression of seasons, and for the way music and fine art are expressed around the characters. Their educational effect, therefore, is self-evident. The storytelling of Sijos is expected to lead readers to deeply appreciate subjects and expand the horizon of the studies on it by invoking their empathy through the extension of imagination. ‘스토리텔링’은 흥미를 목적으로 작품에서 이야기를 만들어내는 것으로 이해되곤 한다. 그러나 스토리텔링은 작품을 더 가치 있게 만들고 그 의미를 풍성하게 가다듬으며 작품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를 도와준다는 점에서 유용한 방법론이기도 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시조 문학이 스토리텔링의 주요 텍스트로 가능할 수 있도록 유형과 활용 방안을 모색해보았다. 크게는 시조를 형식과 내용으로 나누어 형식 기반 스토리텔링과 내용 기반 스토리텔링으로 살펴보았다. 형식 기반 스토리텔링은 연시조 형식을 기반으로 한 연작형 시조의 스토리텔링을 말한다. 하나의 제목 아래 다수의 시조가 창작된 형식이 같은 주제를 두고 엮이면서 스토리텔링의 요건을 갖추고 있다고 보았다. 작가는 효과적인 주제의 전달을 위하여 의도적으로 연시조 형식을 사용하며, 이 흐름을 짚어내는 과정에서 향유자들은 스토리텔링이 가능해진다. 각 연을 연결하면서 일정한 줄거리를 형성하여 독자의 상상력을 자극하고 작품에 몰입하여 공감도를 높이는 효과를 거두기도 한다. 내용 기반 스토리텔링은 시조의 내용을 중심으로 분류를 시도한 것으로, 화답형 시조와 결합형 시조로 나누었다. 화답형 시조는 대화를 하듯 인물들이 화자와 청자의 역할을 주고받으며 내용을 꾸며나가는 유형이고, 결합형 시조는 비슷한 주제끼리 결합하여 의미를 확장하는 유형을 말한다. 두 유형 모두 기녀 시조가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는데, 이는 기녀라는 창작자 집단의 특수성 덕분에 정서를 엮어 이야기를 만들어내기 수월하기 때문이다. 시조 스토리텔링은 영화, 드라마 등 다양한 분야에서 조금씩 제시되고 있다. 이러한 방식이 해당 콘텐츠의방향에서 시조를 활용한 것이었다면, 이제는 시조의 관점에서 적극적으로 스토리텔링화 방안을 모색할 차례이다. 앞서 제시한 형식 기반과 내용 기반의 스토리텔링 이외에 시조의 인물을 스토리텔링하여 문화콘텐츠로 활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본고에서는 논외로 하였지만 시조의 정서를 음악, 미술로 표현하기 위한 원텍스트로서의 스토리텔링도 가능하다. 이러한 스토리텔링은 흥미가 전제가 된다는 점에서 교육적 효과는 더욱 자명하다. 시조 스토리텔링을 통해 시조 작품 자체의 깊이 있는 감상을 도모하고, 상상력의 확장을 통한 공감을 불러일으켜 시조 연구의 지평을 넓힐 수 있기를 기대한다.

      • 일부 한국 여대생들의 영양상태 평가에 관한 연구

        김세림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원우회 1987 원우논총 Vol.5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obesity measure, food intake, activity time & expenditure energy, eating habit and athletic status and to show relationship by the nutritional status of a group of female college students in Korea. This survey was conducted on 188 student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for two weeks from May 27 to June 10 in 1986.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ing; 1. Mean age, height and weight of the subjects were 20.0 ± 1.45 years old, 157.9 ± 5.0 ㎝ and 51.1 ± 5.8 ㎏ respectively. 2. Mean triceps skinfold thickness value of subjects was 16.52 ± 4.2㎜, mean suprailiac skinfold thickness was 25.03 ± 5.1㎜, mean body fat was 20.6 ± 4.1% and body density was 1.0582 ± 0.0597 g/㎖. 3. Mean abdomen circumference value of subjects was 64.34 ± 4.81 ㎝, mean right thigh circumference was 51.08 ± 3.98㎝, mean right forearm was 22.68 ± 1.61㎝, mean body fat was 17.70 ± 3.98%, mean weight of body fat was 9.21 ± 2.97㎏, mean free fat weight was 41.93 ± 3.61 ㎏. 4. Obesity measure based upon height and weight was obesity(5%), above of weight(13%), normal weight(68%), below of weight(14%), obesity measure by skinfold thickness was obesity(2%), normal(97%), weak(1%), fat measure by circumference was obesity(1%), normal(95%), weak(4%). 5. There is high significant relationship at 0.001 level between the obesity measurements. 6. Subjects who recognized their weight status correctly were 70% of all subjects and incorrectly were 30%. 7. Average calorie intake of subjects per day was 1749.21 ± 372.96 kcal which is 87.5% of Korean female recommended dietary allowance, average protein intake was 69.59 ± 18.91 g the other nutrients were higher than the RDA except only Fe. 8. Intake status of food distribution was almost twice than the National standard level in meat, milk, egg and fruits but it was lower in cereals, starch, fishes, vegetables and miscellaneous( drinks, seasonings). 9. The ratio of percent calorie of carbohydrate:protein:fat was 67:10:23. 10. The sitting time was higher than the standing & walking time. Mean energy expenditure was 1715.7 ± 66.4 kcal/day which was similarly to intake energy 1749.21 kcal. 11. The level of eating habit of the subjects was "B" in A,B,C. The result of diet rhythm diagnosis was as follows. Subjects who skipped breakfast one or three times a week (56.4%) were more than who not skipped(41%). Coparing lunch and dinner, the ratio was diminished 45.74%, 28.19% respectably. Most subjects had high specific gravity on dinner (51.6%), subjects(15.96%) had the same importance on lunch and dinner and the others (11.2%) the equal gravity on three meals. Subjects (67.56%) who had a regular or almost regular meal time was more than subjects(32.44%) who had a irregular time. Subjects taking meal amount suitable was the most(63.3%), but subjects who being fulled was the least(6.38%). 12. The status of athletic irregular(56%) was higher than the regular (8.0%). The frequence of exercise was mainly one or three times a week(55.85%) and the time was 30 minute or an hour(52.6%). 13. There is high significant relationship at 0.01 level between the obesity measure and the eating habit, but there is not relationship among the intake energy, energy expenditure and athletic status.

      • SCOPUSKCI등재
      • KCI등재

        Simple sequence repeat marker development from Codonopsis lanceolata and genetic relation analysis

        김세림,정지희,정희,김지현,길진수,유제민,엄유리,김옥태,김태동,김용열,이동훈,김호방,이이 한국식물생명공학회 2016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Vol.43 No.2

        In this study, we developed 15 novel polymorphic simple sequence repeat (SSR) markers by SSR-enriched genomic library construction from Codonopsis lanceolata. We obtained a total of 226 non-redundant contig sequences from the assembly process and designed primer sets. These markers were applied to 53 accessions representing the cultivated C. lanceolata in South Korea. Fifteen markers were sufficiently polymorphic, and were used to analyze the genetic relationships between the cultivated C. lanceolata. One hundred three alleles of the 15 SSR markers ranged from 3 to 19 alleles at each locus, with an average of 6.87. By cluster analysis, we detected clear genetic differences in most of the accessions, with genetic distance varying from 0.73 to 0.93. Phylogenic analysis indicated that the accessions that were collected from the same area were distributed evenly in the phylogenetic tree.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re is no correlative genetic relationship between geographic areas. These markers will be useful in differentiating C. lanceolata genetic resources and in selecting suitable lines for a systemic breeding program.

      • KCI등재

        코로나19 상황에서 기혼 직업군인의 자기통제력, 직장-가정 갈등, 조직침묵이 직무배태성에 미치는 영향요인

        김세림,박완주 한국군사회복지학회 2022 한국군사회복지학 Vol.15 No.2

        본 연구는 기혼 직업군인의 자기통제력, 직장-가정 갈등, 조직침묵의 정도를 파악하고, 대상자의 직무배태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에 참여한 대상자는 대한민국 육군 부대에서 복무한지 1년을 경과하고 2021년 기준 기혼인 직업군인 164명이다.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SPSS 23.0 program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 대상자의 직무배태성과 자기통제력 간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났으며, 직무배태성과 직장-가정 갈등, 조직침묵 간은 각각 통계적으로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대상자의 직무배태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직장이 가정에 갈등을 미치는 경우, 체념적 침묵, 가정이 직장에 갈등을 미치는 경우, 자녀수 1명, 분거형태의 가족인 경우, 연장복무 형태 순으로 영향을 미쳤고 해당 회귀모형의 설명력은 50.2%이었다. 따라서 본 연구가 추후 기혼 직업군인의 직무배태성을 높이기 위한 군 정책 마련에 학문적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