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한국 언어문화 교육의 질적 향상 방안

        윤여탁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2015 한국언어문화학 Vol.12 No.1

        이 글은 한국 언어문화 교육의 내용과 실제는 주로 한국 사회・문화 교육의 차원에서 이루어지지만, 다른 한국어교육의 영역에서도 유용 하다는 점을 전제로 하였다. 즉 한국어교육에서 언어와 문화는 뗄 수 없는 관계라는 점을 전제로 하여, 한국어교육의 맥락에서 이루어지는 언어교육, 문화교육의 통합 교육적 현상을 한국 언어문화 교육이라는 개념으로 포괄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논의를 통해서 한국 언어문화 교육의 질적 향상 방안을 살펴보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서 세부적으 로는 한국 언어문화 교육 내용의 구체화, 한국 언어문화 교육 방법의 다양화, 한국 언어문화 교육 연구의 심화라는 문제에 초점을 맞추어 그 해결 방안을 모색하였다. 특히 언어문화 교육 방법에서는 필자의 전공인 한국문학 작품을 활용하는 교육적 효용성에 중점을 두고 구체 적인 교수-학습 방법을 제안하였다. Journal of the International Network for Korean Language and Culture 12-1, 1-22. This study assumes that contents and practices of languagecultural education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re useful not only for social-cultural education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but also for other area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the relation between language and culture is inseparable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this study intends to integrated language education and culture education that are conducted in the contex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through the concept of language and culture education.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a qualitative improvement plan for language and culture education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order to the purpose, this study focuses on actualizing educational contents, diversifying educational methods and intensifying educational researches of language and culture education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Particularly, focusing on educational usefulness, this study offers education methods that make use of Korean literatures that is my major study.(Seoul National University)

      • KCI등재

        문화 능력의 재개념화를 통한 한국어 문화 교육 내용 연구 - 문화 교재 분석을 중심으로 -

        오지혜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2013 한국언어문화학 Vol.10 No.1

        이 연구는 문화 능력의 개념을 재고하고, 교육 내용의 영역을 설정하여 이를 토대로 한국어 문화 교육 활동을 구성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와 더불어 실제 한국어 문화 교육 활동 내용을 문화 교재 분석을 통해 제시하고자 하였다. 먼저, 문화 능력을 크게 인지적, 비판적, 정의적, 행위적 차원으로 나누어, 문화 이해력, 문화 비판력, 문화 적응력, 문화 적용력의 하위 요소로 설정하였다. 또한 한국어 문화 교육을 위한 교육 내용으로서 언어 활동은 문화 능력의 하위 요소와 관련지어, 각각 기술의 언어, 해석의 언어, 반응의 언어, 참여의 언어 활동으로 구성하였다. 이는 언어와 문화의 통합 교육적 관점에서 한국어 문화 능력을 위한 교육내용이자 교육활동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한국어 문화 교육 내용 및 활동 체계를 바탕으로 하여 한국어교육용 문화 전문 교재 5종을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먼저, 문화 이해력, 문화 비판력, 문화 적응력, 문화 적용력 가운데 문화 이해력을 위한 언어 활동의 비중이 크다는 점이다. 반면에 문화 비판력과 문화 적응력과 관련한 교육 내용은 적은 비중으로 구성되어 있었는데, 특히 문화 적응 활동은 거의 제시되어 있지 않았다. 이상과 같이 이 연구는 문화 간 의사소통적 접근으로부터 문화 능력의 개념을 재정리하고, 이를 기반으로 교육 내용 영역을 설정하고, 교육 활동을 구안함으로써 한국어 문화 교육의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This study is aimed at designing, also presenting educational contents through an analysis of Korean language-culture textbooks, based on redefinition of cultural competence, establishment of categories and areas for Korean language-culture education. Cultural competence is divided into four sub-components, savoir comprendre culturel, savoir s'engager culturel, savoir-être culturel, savoir-faire culturel, setting up 4 facets such as cognitive, critical, affective, behavioral factors. Resulting from analysing five kinds of Korean language-culture textbooks, it is concluded as follows. First of all, language activities are mainly composed of those for ‘savoir comprendre culturel’ among four sub-components of cultural competence. On the other hand, language activities each for ‘savoir s'engager’, ‘savoir-être culturel’ are just few of those. Especially. those related to ‘savoir-être culturel’ are little presented.

      • KCI등재

        한국 언어문화 리터러시에 나타난 북한이탈대학생의 경험에 관한 연구

        정지현,최희,김영순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2015 한국언어문화학 Vol.12 No.3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 언어문화 리터러시에 나타난 북한이탈대학생의 경험의 의미를 탐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한 연구문제는 첫째, 북한이탈대학생의 한국 언어문화에 대한 리터러시는 어떠한가? 둘째, 한국 언어문화 리터러시에 나타난 경험의 의미는 무엇인가? 이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우선 북한이탈대학생의 현황과 적응 과정의 어려움을 선행연구를 통해 파악하고, 언어문화와 리터러시의 개념을 고찰하였다. 이어 북한이탈대학생들의 한국 언어문화 리터러시에 나타난 경험을 비판적 이해, 소통적 참여, 성찰적 실천의 관점으로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비판적 이해의 관점에서 ‘같은 언어, 다른 언어문화’, 소통적 참여의 관점에서 ‘소통의 장벽이 되는 이중언어문화’, 성찰적 실천의 관점에서 ‘사회 구성원으로서 인정받기 위한 노력’이라는 주제를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를 통해, 시민교육의 차원에서 다수 한국 대학생들에게 북한의 언어문화적 배경을 이해할 수 있는 상호언어문화 이해교육을 제언하였다. The aim of this research is to explore the significance of Korean language and culture literacy that North Korean defector students experience. The first research question of this study is “How is North Korean defector students’ literacy to the Korean Language Culture?”, and the second is “What is the significance of the literacy of Korean language and culture performed by North Korean defector students?”. In solving these research question, previous studies was examined. Through the exam we acknowledge the better grasp the North Korean defector students’ current situation and their difficulties that they face in their assimilation process. The other hand, we reviewed the concept of the literacy of Korean language and culture. By analyzing the significance of the North Korean defector student’s Korean language and culture literacy, this study give an indication to the possibility of understanding mutual language culture and the perspective of educating citizens, that enables the for many Korean university students to understand North Korean language and cultural background.

      • KCI등재

        「한국언어문화학」의 연구 동향 - 네트워크 분석과 내용 분석의 활용 -

        양길석,구민지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2021 한국언어문화학 Vol.18 No.1

        본 연구의 목적은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의 학술지에 실린 논문의 연구 경향을 분석하여 학회의 정체성을 공고히 하고 학회지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모색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창간호부터 17-3호까지의 학술지에 게재된 440편의 논문을 대상으로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법과 내용 분석법을 병행, 적용하여 연구 경향을 분석하였다. 네트워크 분석 결과 키워드 출현 빈도 측면에서는 ‘한국어교육, 문화 교육, 한국어, 언어문화, 한국어 교재’ 등의 빈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이를 시기별로 구분했을 때 ‘한국어교육, 문화교육, 한국어, 요구분석, 한국어 교재’ 등은 시기와 구분 없이 출현 빈도가 높았으나 등재지 이후 시기에는 보다 한국어교육에 초점화된 키워드의 빈도가 높게 나타났다. 중심 구조 측면에서는 ‘한국어교육, 문화교육, 언어문화, 한국어 교재/한국어, 한국 문화/문화’ 등의 순으로 연결중심성 값이 높게 나타났고 이 키워드들은 전체 시기의 연구 경향을 대표한다고 볼 수 있다. 내용 분석 결과 전체적으로 한국어교육 관련 주제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시기별로 살펴보면 초창기 언어문화를 포함한 문화 자체를 주제로 한 연구가 꽤 많았으나 최근으로 올수록 언어 관련 연구와 교육 관련 연구의 비중이 점차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방법 측면에서는 전반적으로는 질적연구 방법의 비중이 높고 시기별로 보면 최근으로 올수록 설문조사 연구 및 양적 연구방법의 비중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dentity of the society by analyzing the research trends of papers published in the journals of ‘the International Network Korean Language and Culture’, and to seek the direction the journal should proceed. To this end, the research trend was analyzed by applying the keyword network analysis method and the content analysis method in parallel for 440 papers published in the journals published in the first issue through 17-3. As a result of network analysis, in terms of the frequency of occurrence of keywords, the frequency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culture education, Korean language, language culture, Korean language textbooks’ was found to be high. When categorized by period, ‘Korean language education, cultural education, Korean language, Needs analysis, and Korean textbooks’ appeared in a high frequency regardless of the period, but the frequency of keywords focused on Korean language education was higher than in the period after registration. In terms of the central structure, the value of connection center was high in the order of ‘Korean education, cultural education, language culture, Korean textbooks/Korean, and Korean culture/culture’, and these keywords can be considered to represent the research trend of the entire period. As a result of the content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many topics related to Korean language education. Looking at each period, there were quite a lot of studies on the subject of culture itself, including language culture in the early days. In terms of research methods, overall, the proportion of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is high, and the proportion of survey research and quantitative research methods tends to increase as they become more recent.

      • KCI등재

        한국어 문학교육을 통한 문화적응 가능성의 모색 - 학부 유학생을 대상으로

        신영지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2012 한국언어문화학 Vol.9 No.1

        외국어 습득과정에서 학습자는 필연적으로 자문화와 목표언어의 문화 충돌을 경험하게 된다. 언어는 문화의 산물이며 양자는 서로 긴밀하게 영향을 주고받기 때문이다. 따라서 언어학습의 과정에서 문화적 충격과 문화의 수용은 자연스럽게 이루어진다. 외국어 교육현장에서는 이러한 점에 주의하여 언어를 통한 문화의 습득을 모색하게 되는데 그 한 가지가 문학의 활용이다. 문학작품은 언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의 문화가 함축된 자료이며 언어적 자료로서의 가치도 높기 때문이다. 또한 문학교육은 텍스트의 수용 과정에 교육이 개입하여 문학이 독자에게 수용되는 과정에 관여하게 된다. 따라서 문학작품을 외국어 교육에 활용하는 경우에는 언어능력의 향상만이 아니라 학습자(독자)가 작품(텍스트)을 이해하는 과정에 교육이 관여하여 대상언어의 문화를 이해하고 문학작품의 향유도 꾀하게 된다. 또한 그 과정에서 외국어 학습자가 겪는 문화적 스트레스나 문화 부적응은 지식의 습득이 아니라 작품 안에 내재된 문화를 이해하고 수용하는 과정에서 문화적 적응 단계를 거치며 줄어들 수 있다. 그러한 효과는 한국어 문학교육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한국어 문학교육은 국내 대학에 재학 중인 유학생을 대상으로도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유학생들이 겪는 1차적인 어려움은 한국어와 대학수업과 관련된 것이지만 대다수가 생활습관과 사고의 차이로 인한 문화적 스트레스와 부적응을 경험한다. 이 논문은 유학생 대상으로 개설된 한국어 문학수업에서 문학작품의 향유를 통해 이루어지는 학습자들의 문화적응을 소개하고자 한다. 한국어 문학교육을 통해 학습자들은 언어능력의 향상과 함께 한국문학에 대한 지식을 쌓고 아울러 이질화와 동질화 경험을 통해 문화를 수용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또한 한국 문화의 수용과 이해를 통해 단편적으로나마 문화적응의 양상을 보여 주고 있다. While acquiring a foreign language, learners undoubtedly experience cultural collision between a target language and theirs. It is because language is a product of culture and has been formed through cultural background. Thus, it is natural for learners to accept culture shock and, in the end, embrace it. Considering this point of view, literary works of the target language is one of the best ways to learn a foreign language in education. Literature is historical materials of the people who share the same sentiments, thoughts, and living by using the same language. It contains invaluable abundant linguistic materials. If the literary works are used in the language education, it is possible for the learners to understand culture and improve their linguistic ability of the target language. In addition, the literary works make the learners to ease their emotional feelings by appreciating them. Thus, they can sometimes work as a resource to reduce the learners’ stress and maladjustment to the culture while learning the target language. This fact can also be applied to the language education for internationalstudents who have recently grown so fast in colleges in Korea. The international students, first of all, have a problem with acquiring a Korean language and later they experience cultural maladjustment due to different life habits and thoughts. It is certain that by learning Korean literary works, learners can not only improve their linguistic ability, but they also find a way to lessen their cultural stress and maladjustment. This research is for introducing the Korean literary works to the international students in colleges and examining their usefuln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