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강지민,고은미 한국식품과학회 2023 한국식품과학회지 Vol.55 No.6
Anthocyanins are very unstable pigments that are sensitive to temperature, light, oxygen, and other environmental factors.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stability of anthocyanins in encapsulated aronia extracts, which were coated with maltodextrin (MD) and hydrophilic gums such as carboxymethyl cellulose (CMC), gum Arabic (GA), or xanthan gum (XG), in beverage model solutions for 6 weeks at 4oC. The loss of anthocyanins was lowest (12%) in MD+XG and highest (20%) in MD+GA. Despite the decrease in anthocyanin content, redness of the solutions significantly increased, suggesting that another factor contributed to the color in beverage model solutions. Furthermore, yellowness also significantly increased, while lightness decreased. Turbidity increased in MD+XG and MD+CMC after 6 weeks. On the contrary, MD+GA, which had four-fold higher turbidity on the first day, showed a decrease in turbidity after 6 weeks. The results indicate that MD+XG is a promising wall material to protect anthocyanins against unfavorable environmental conditions.
지방정부 연구개발사업 성과관리 개선방안 연구 : 경기도 연구개발사업을 중심으로
강지민 혁신클러스터학회 2021 혁신클러스터연구 Vol.12 No.1
본 연구에서는 지역 기술개발사업을 중심으로 과학기술 정책사업의 연구성과 관리·활용체계를 점검하고, 연구개발 프로세스 단계별 성과관리·평가 개선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지역과학기술정책, 연구개발 성과평가‧관리 관련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경기도 연구개발 성과관리 평가체계를 검토하고 개선방안을 도출하였다. 이를 위해 경기도 과학기술정책, 연구개발 성과관리‧평가 관련 전문가를 대상으로 표적집단면접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지방정부 과학기술 정책사업의 거버넌스 확립, 연구개발사업 기획을 통한 중점투자 방향설정, 지역특성을 반영한 연구개발 성과지표의 개선, 조사·분석 시스템의 고도화, 성과 사후관리 및 추적조사의 정례화 등을 통한 전주기적인 선순환 시스템 구축을 정책적 시사점으로 제언한다.본 연구는 경기도 연구개발사업을 대상으로 성과관리 단계별 개선방안을 도출함으로써 지역 과학기술정책 수립에 현실적인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자전거 이용자의 소비패턴 분석을 위한 연구: 연구 방법론의 탐색과 분석 결과의 적용 방안 제시
강지민,김도경 한국도로학회 2025 한국도로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 초록집 Vol.2025 No.03
자전거 이용 증가는 도시 환경과 생활 환경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도시화, 인구 밀도 증가, 그리고 대기 오염과 같 은 문제들에 대응하기 위해 전 세계 도시들은 교통 패러다임을 자동차 중심에서 대중교통, 자전거, 보행 중심으로 전환 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변화가 개인의 활동적인 생활 방식을 촉진하고, 교통 혼잡 및 소음 문제를 완 화시켜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음에 주목한다. 특히 자전거는 단거리에서 중장거리 이동까지 모두 적용 가능한 이동 수단으로서, 필요한 주행 및 주차 공간이 적고, Door to Door 통행이 가능하여 매우 효율적인 교통수단이다. 또한 자전 거 이용자들은 승용차 운전자보다 더 자주 지역 내에서 소비하며, 한 번에 지출하는 금액은 적지만 더 자주 지출함으로 써 총 소비량은 승용차 운전자보다 더 크다. 이러한 이유로 자전거 이용은 지역 경제 활성화에도 기여할 수 있다. 본 연 구는 이 부분에 착안하여 자전거 이용을 활성화시키면서 지역 경제 활성화에 더 크게 기여할 수 있는 방안을 검토하고 자 한다. 본 연구는 국내외 여러 도시에서 운영 중인 공공 자전거 대여 서비스의 현황을 조사하여 자전거 이용 증진을 위한 기 반을 분석하였다. 국내에서는 서울의 따릉이, 대전의 타슈, 광주의 타랑께 등 다양한 지자체가 자전거 활성화를 위해 노 력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자전거 이용자의 특성에 따라 기존의 자전거 기반 시설을 효율적으로 활용하여 자전거 이용 을 더욱 증진시킬 수 있는 방안을 탐구한 연구는 아직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의 저자는 서울시를 중심으로 자전 거 이용자의 소비패턴을 분석하고, 이를 활용하여 자전거 이용자를 활성화시키고, 지역 상권의 활성화에도 기여할 수 있 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기존 연구의 분석 방법론을 검토하고, 분석에 필요한 데이터를 조 사하였으며, 향후 연구에서는 실질적인 자전거 활성화 방안을 제시할 예정이다.
판교 스타트업 생태계 활성화를 위한 정책적 함의에 관한 연구
강지민 한국창업학회 2018 한국창업학회지 Vol.13 No.6
Since the establishment of the startup campus in 2016, Pangyo has created a start-up ecosystem led by public startups and support institutions. As the Pangyo startup ecosystem is established in a short period of time as part of local governments and government policies, it is time for smooth cooperation between startups and related organizations and quality growth of ecosyste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implications for support policy for ecosystem activation by analyzing the advantages and limitations of Pangyo startup ecosystem. This study collects data on the status of the Pangyo startup ecosystem and analyzes the subjects and roles of innovation such as government, startup, and support institutions in a comprehensive manner. In addition, through the focus group interviews of startups and support institutions, the policy implications are derived based on analyzing the merits and limitations of the Pangyo startup ecosystem, including the policy support factors to overcome the limitations. As a result, the advantages of the Pangyo startup ecosystem are excellent startup support environment, innovation base, information sharing due to geographical integration between innovators, and ease of manpower securing. On the other hand, public-led Pangyo startups ecosystem had limitations such as lack of cooperation and linkage with the startup companies, limited private participation, difficulties in sharing information between support agencies, duplication of support projects and short-term support project operation. In order to activate the Pangyo startup ecosystem, this study presents the following recommendations: promoting the continuous inflow of startups of high technology and cooperation, establishing institutional basis for expansion of insufficient innovation base, mid-term and long-term support through the creation of open spaces, the establishment of an open platform for startup support, and the promotion of networks through the creation of coworking spaces. 판교는 ‘16년 스타트업캠퍼스 건립 이후 스타트업과 지원기관이 집적하면서 공공의 주도로 스타트업 생태계가 조성되었다. 지자체와 정부정책의 일환으로 판교 스타트업 생태계가 단기간에 조성됨에 따라 스타트업과 관련 기관과의 원활한 협력과 생태계의 질적 성장이 필요한 시점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혁신클러스터 내 공공주도로 조성된 판교 스타트업 생태계의 장점과 한계점을 파악함으로써 생태계 활성화를 위한 지원정책에 관한 시사점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판교 스타트업 생태계 현황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고 정부, 스타트업, 지원기관 등 혁신주체와 역할에 대하여 종합적으로 분석하였다. 또한 스타트업 인터뷰와 지원기관 집단심층면접을 통하여 판교 스타트업 생태계의 장점과 한계점은 무엇이며 이를 극복하기 위한 정책지원 요소는 무엇인지에 관하여 정책적 함의를 도출하였다. 그 결과 판교 스타트업 생태계의 장점은 우수한 스타트업 지원환경과 혁신기반, 혁신주체간의 지리적 집적으로 인한 정보공유, 인력확보의 용이성을 들 수 있다. 반면 공공주도의 판교 스타트업은 선도기업과 스타트업과의 협력 및 연계 부족, 제한적인 민간 참여, 지원기관 간 정보공유의 어려움, 지원사업 중복, 단기적인 지원사업 운영 등의 한계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를 기반으로 본 연구에서는 판교 스타트업 생태계를 활성화를 위하여 첫째, 첨단기술 분야 스타트업의 지속적인 유입 촉진과 협력 활성화, 둘째, 부족한 혁신기반 확충을 위한 제도적 기반마련, 셋째, 정부와 지자체의 정책협력을 통한 중장기적인 지원, 넷째, 스타트업 지원의 오픈 플랫폼 구축, 다섯째, 코워킹스페이스 조성을 통한 네트워크 활성화를 공공정책 측면에서 제안한다.
강지민,한경자,조빈,김춘추,김선무 대한조혈모세포이식학회 1999 대한조혈모세포이식학회지 Vol.4 No.2
연구배경: 급성 백혈병의 화학요법제에 대한 내성은 성공적인 치료의 주요 장애물이 되어왔다. 최근 여러가지 화학요법에 대한 교차내성을 나타내는 백혈병 세포가 mdr 유전자 산물인 PGP를 발현한다는 사실이 밝혀졌으며, 이외에 다약제 내성과 관련된 지표들로 MRP나 LRP에 대한 연구도 소수 보고되고 있다. 최근에는 이러한 다약제 내성의 원인에 따라 이것을 극복하는 방법이 다름이 알려지면서 환자에 따라 다약제내성 원인을 규명할 필요가 대두되었으나, 실제급성 백혈병에 대해 이 세 지표들을 함께 분석한 경우는 거의 없다. 이에 저자들은 급성 비림프구성 백혈병 세포의 다약제내성 지표들의 발현 여부를 조사하고, 이들과 세포의 면역표현형 및 환자의 임상경과와 비교 분석하여, 이 지표들이 백혈병의 예후와 어떤 연관성을 갖고 있는지, 그리고 이들 지표들의 발현이 서로 연관성을 갖고 있는지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방법: 대상은 145예의 급성 비림프구성 백혈병 환자로서 de novo ANLL군과 재발 및 불응군으로 구분하였으며, 모든 환자의 초기 진단목적 골수검사용 골수흡인검체를 이용하여 백혈병 세포 표면 항원 CDllc, CD13, CD34, HLA-DR과, 다약제 내성지표 MRP, LRP, PGP에 대한 단클론 항체로 염색하여 유세포 분석기로 분석하였다. 각 환자의 의무기록 조회로 간장·비장·림프절의 비대, 이들 장기 이외의 골수외 침범여부, 관해유도 요법 후 4-6주의 완전관해 성공 여부, 재발여부 등을 확인하고 상기지표들의 발현 양상과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CD34 양성에는 MRP 음성이 많았다. LRP와 PGP 양성율은 재발 또는 불응 ANLL 군에서 de nove ANLL 군보다 높았으며 추적검사에서도 초진시와 유의하게 양성율이 증가되었다. PGP 양성인 예들은 음성인 예들보다 완전 관해율이 낮았다. MDR 지표 세가지는 서로 연관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ANLL 진단 초기에는 PGP 발현 여부를 검출하여 약제내성을 좀더 정확히 예측하여 불량한 경과를 미리 극복하는 치료법을 사용할 것으로 추천된다. 그러나 MRP나 LRP 발현은 좀더 다수의 증례에서 연구하여 ANLL에서 이들의 의의를 더 밝힌 후 임상에 적용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생각된다. Background: The chemotherapeutic trials against acute nonlymphoblastic leukemia (ANLL) are often hindered by intrinsic or acquired resistance. Recently, several markers corresponding to multidrug resistance (MDR) including multidrug resistance associated protein(MRP), lung resistance protein (LRP) and P-glycoprotein (PGP) have been described in solid tumors and leukemia. However, expression of these three markers and their relationships in ANLL have been rarely studied. We Analyzed MDR markers were MRP, LRP, and PGP in ANLL patients and tried to find out their interrelationship and the clinical significance. Methods: One hundred forty five (145) ANLL cases, 109 de novo ANLL and 36 relapsed or refractory ANLL cases, were enrolled in this study. CD11c, CD13, CD34, and HLA-DR were selected among the surface antigens of leukemic cells. Analyzed MDR markers were MRP, LRP and PGP. These markers were analyzed using flow cytometry, and the Chi-square test and Wilcoxon rank sum test were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Results: CD34 was expressed more frequently in MRP negative cases. LRP and PGP were more frequentily expressed I relapsed or refractory ANLL than de novo ANLL, and PGP expressed ANLL showed low complete remission rate after induction chemotherapy than PGP negative ANLL. Three MDR markers were associated to each other. Conclusion: PGP is the most important MDR market in ANLL and all 3 MDR markers are correlated each other. Therefore, analysis of PGP at the time of diagnosis seems to be enough to select ANLL cases showing MD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