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2021년 형사법분야 대법원 주요판례와 평석

        홍영기 안암법학회 2022 안암 법학 Vol.- No.64

        The precedent, in which simply linking to the uploaded video without copyright holder's permission was viewed as criminal facilitation of the copyright infringement, showed us that its implication for criminal justice system precedes various principles of law. The court didn't determine following situations as house-trespass; one who entered a dwelling house only under some of co-resident's permission but not others' consents, and when one of co-resident entered his dwelling without one's permission who does not dwell that time. It's because court saw that a breach of the peace is legally protected interest in house-trespass. The precedent overturned its own decision and stated that the disposal of real estate by trustee in two-way trust is no longer viewed as embezzlement. This change is one of the remaining fruitions of efforts to decriminalize in the area of embezzlement and breach of trust. It only matters whether the act of actor caused any monetary damage to others in evaluating whether such act establish a breach of trust, while how much he benefited from is neither here nor there. It's because a breach of trust is a type of crime causing harm others just like other crimes. It is reasonable decision for Supreme Court to try to recognize admissible evidence under stricter requirements, when physical evidence was submitted during the investigation by third party rather than voluntarily submitted by accused himself. The judgment that the prosecutor abused his right to prosecute by prosecuting the same case again 4 years after the suspension of indictment, implies that court limited the discretion of criminal prosecution. Putting a great effort to evaluate the reliability of testimonial evidence strictly is court's decision to clarify the intended purpose of court-oriented trials, if the prosecutor interviewed same witness already at investigation institution who would later also be questioned in court even before questioning witness in trial proceeding. 2021년 형법분야의 몇몇 전원합의체 판결은 이론적으로 중요한 의미가 있는 테마에 대해 긴 분량을 할애하여 논구하고 있다. 그 가운데 저작권자의 허락 없이 업로드한 영상을 단지 링크행위를 통해 옮기는 것을 저작권법 위반의 방조행위로 판단한 판례에서는 형사정책적 의도로부터 여러 형법원리가 후퇴되는 모습이 드러난다. 공동거주권자의 허락 없이 일부 거주권자의 허락만 받고 주거에 들어간 것과, 공동거주권자가 주거에 현재하는 사람의 허락 없이 들어간 것을 주거침입죄로 평가하지 않은 판례는 주거침입죄의 보호법익을 사실상 평온으로 보려는 태도를 더욱 분명히 하고자 한 것이다. 형사소송법 분야에서 공소권남용을 긍정한 판례는 그 학술사적, 이론적으로 의미가 큰 데에 반해 판례에서의 논증이 대부분 생략되어 있어 아쉬움을 준다. 반면에 피의자 아닌 제3자에 의해 물증이 임의제출된 경우에 대법원이 피의자로부터 영장에 의해 압수된 경우에 상응하는 요건 하에 증거능력을 인정하고자 한 것이나, 공판과정에서 증인신문이 이루어지기 전에 미리 수사기관에서 검사가 증인이 될 사람을 면담한 후 증인신문한 경우 증언의 증명력평가를 엄격하게 하려 한 판례는, 적법절차원칙과 공판중심주의를 강화하려는 최근 법원의 경향을 그대로 이어가고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 KCI등재후보
      • KCI등재
      • KCI등재

        형법이 보호하는 명예 - 사실적시 명예훼손죄 비범죄화논의와 관련하여 -

        홍영기 헌법재판연구원 2020 헌법재판연구 Vol.7 No.2

        In contemporary society, a reputation protected by criminal law is not merely one’s reputation or dignity among other people, but a key factor to participate in society where each members of society forms communities driven by free communication. It is also one of the fundamental elements of life, which deserves to be respected on account of the fact that each and every lives are functioning as existential subject coexisting with conflicts between others. As the benefit and protection of the criminal law or the idea of reputation, such understanding of legally protected good can be sufficiently accepted, especially when you think of someone’s helpless life where his/her reputation was disgraced, so that he/she can not possibly communicate with one another in a local community, and besides, one would not struggle for any resistance to restore tainted reputation or at least to recover from this situation. It needs to be clarified first what actual meanings do these following principles carry in order to insist that defamation via true statement is imposing restriction the fundamental rights, such as freedom of speech, expression and information(=the right to know) etc. Isolating someone from his/her community by spreading the word(facts; true statements) about him/her could not be considered as exercise of fundamental rights and respected in a sense of freedom of expression. Likewise, it is not possible to use theoretical framework for enabling a person to sue for defamation with obscure intention, which has been disguised as freedom of information to know some facts about a certain individual. Many people who are not familiar with legal solutions are more likely to let go of their grudges and bitterness or sense of injustice by putting all the blame on certain individual and giving publicity to what he/she has done, when they have been mistreated by him/her. Even if that sort of intent would be acceptable to the public, Constitutional Court of Korea should not approve such methods of taking the law into one’s own hands, lynching for instance, legally. Decriminalizing the defamation via true statement is not so different from showing the way to isolate certain individual from the society in terms of reason why an abstract value is supposed to be expanded. 현대사회에서 형법이 보호하는 명예는 단순히 사람들 사이의 평판이나 체면이 아니라, 사회구성원 각자가 의사소통 안에서 공동체를 이루며 살아가기 위한 핵심적인 참여조건이다. 각 인간의 삶 자체가 다른 사람과 마찰을 겪는 관계 안에서 공존하는 실존주체이기에 마땅히 존중받아야 하는 삶의 토양이기도하다. 이와 같은 명예관념 또는 형법상 법익으로서 법익에 대한 이해는, 명예가 실추되어 도저히 공동체안에서 대화를 이어갈 수 없을 뿐만 아니라, 그로부터 회복하기 위한 어떠한 저항도 무력해진 사람의 삶을 떠올려 볼 때 충분히 납득된다. 사실적시 명예훼손죄가 표현의 자유, 알 권리 등 기본권을 제한한다는 주장을 하기 위해서는 이러한원칙들이 어떠한 의미를 지니는지를 우선 분명히 해야 한다. 타인을 둘러싼 사실을 불특정 또는 다수에게 전달하여 그를 공동체로부터 절연시키는 방식은 표현의 자유영역에서 존중될 수 있는 권리행사가 아니다. 마찬가지로 특정인에 대한 사실을 막연히 알고 싶어 하는 의도가 알 권리로 포장되어 명예훼손을가능하게 하는 이론적 근거로 이용될 수도 없는 것이다. 특정인으로부터 부당한 일을 당했을 때 법적인해결방법에 익숙하지 아니한 많은 사람들은 그 타인이 행한 일을 널리 알려 그를 사회에서 매장시키고자신의 억울한 마음을 풀어내려 하기 쉽다. 그와 같은 의도가 일반인들 사이에서 납득된다고 하더라도, 헌법재판소가 이와 같은 사적 제재 수단을 법적으로 승인해주어서는 안 된다. 사실적시 명예훼손죄를 비범죄화하는 것은 추상적인 가치를 확대해야 한다는 근거에서, 특정된 개별 대상자를 사회로부터 소외시키는 방식을 이용하도록 길을 내어주는 것과 다르지 않다.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