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초등과학교육 교재연구 및 내용 지도법 관련 교재 편찬 논의

        전영석,박형민,나지연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021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학술대회 Vol.79 No.-

        초등과학교육 관련 강좌는 초등학교 예비교사가 과학수업 전문성을 갖추는 첫 시작점이 된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전국 교육대학교에서 다루어지고 있는 초등과학교육 관련 강좌는 수업 내용, 수업방식이 서로 달라, 내실 있고 일관된 교원 양성 체제를 이루기 어렵고, 이로 인해 예비교사들의 학습 부담이 매우 과중한 실정이다. 2020년 동계 학술대회에서 초등 과학교육 관련 강좌가 가진 문제점에 대한 인식을 같이 하는 초등과학교육학회 회원들이 모여 교육 실태를 파악하고 개선점을 논의하였다. 그 논의의 주된 내용 중 한 가지는 초등과학교육 이론과 관련하여 개발된 교재는 몇 종 있으나, 구체적인 초등과학교육 지도방법과 관련된 교재는 찾기 어렵고, 현실적으로 그에 대한 자료가 축적되고 공유되는 것이 더욱 필요하다는 것이었다. 이에 따라 초등과학교육학회에서는 ‘초등과학교육 교재연구 및 내용지도법’ 관련 과목의 교재를 학회 차원에서 개발하기로 하였다. 그 첫걸음으로 교과서의 단원별, 차시별 교수법과 관련된 강의 사례를 수집하고 논의하여 교재 개발을 위한 기초 작업을 수행하고자 한다. 사전에 학회 회원을 대상으로 교재에 담겨야 할 내용에 대한 의견을 수합하였고, 본 워크숍을 통해 구체적인 집필 방향과 일정에 관해 관심 있는 회원들과 함께 논의하고자 한다.

      • ‘초등과학교육’ 학술지의 연구동향 분석

        신원섭,박형민,김남일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021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학술대회 Vol.79 No.-

        이 연구는 1970년에 설립된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의 50년 역사를 정리하고 반추함으로써 학회의 발전을 도모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진행되었다.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의 학술지인 ‘초등과학교육’ 1권(1983년)부터 39권 2호(2021년 2월호)까지 1,018개의 논문을 메타 분석하여 연구동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초등과학교육 1권(1983)부터 6권(1987년)은 초등과학교육 총서 1집(輯)의 데이터를 활용하였고, 7권부터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의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였다. 메타 분석은 1) 연구자 수(단독, 2인, 3인, 4인 이상), 2)연구 종류(순수, 학위, 연구지원, 기타), 3)1저자 정보(학생, 교사, 교수, 교육기관, 기타), 4)교신저자 지역(교신저자 표기 없을 경우 1저자 기준), 5)연구대상(학생, 예비교사, 교사, 교사+학생, 예비교사+교사, 교과서, 교육과정, 기타), 6) 연구 분야(물리, 화학, 생물, 지구과학, 학문간 융합, 과학교육 전반, 영역 융합, 기타), 7) 연구방법(조사, 실험, 개발, 문헌, 기타), 자료 분석방법(양적기술, 양적통계, 질적, 혼합, 기타), 8) 효과 검증(지식, 탐구, 태도, 지식+탐구, 지식+태도, 탐구+태도, 지식+탐구+태도, 창의성, 창의성+α, 기타)으로 총 8개의 기준으로 연구동향을 분석하였다. 또한 학술지의 제목표기, 저자표기, 교신저자, 요약, 편집 등의 논문 체제의 변화도 함께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초등과학교육의 연도별 연구동향을 분석을 바탕으로 본 학술지의 미래 발전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 초등과학교재연구 강좌의 수업 개선을 위한 실행 연구

        권혁순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019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학술대회 Vol.76 No.-

        본 연구는 초등 교사 양성을 위해 교육대학교에 필수과목으로 개설된 초등과학교재연구 강좌의 수업 개선과 관련한 실행 연구이다. 교육대학교 교수로 재직하는 연구자가 초등과학교재연구 강좌를 17년간 담당하면서 수업 과정에서 경험한 문제와 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시도한 다양한 노력 과정을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예비교사 교육을 위한 과학 교육학 강좌의 수업 개선과 관련된 정보를 공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C 교육대학교의 초등과학교재연구 강좌는 3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학기마다 6개 반이 개설되는 필수 강좌이다. 이 강좌에서는 초등학교 과학 교과서에 등장하는 주요 과학 개념을 소개하고 실험 등 탐구 활동 중 일부를 직접 경험함으로써, 수강생들이 장차 교사가 되었을 때 과학 수업을 원활히 진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초등 과학을 네개 영역으로 나누어 각 영역별로 다른 교수가 주당 1시간씩 빠르게 수업하는 상황에서, 문과 출신이 대부분인 수강생들은 과학에 대한 흥미와 과학교수에 대한 효능감이 부족하여 수업 진행이 매우 어려운 형편이다. 수업의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한 첫 번째 시도로써, 초등 과학 교과서에서 다루는 과학 개념 및 탐구 활동에 대한 소개는 동영상으로 제작한 후 인터넷을 통해 공개하여 학생들이 미리 예습하게 함으로써, 동일한 내용을 여러 반에서 반복하여 강의하는데 따른 문제와 배당된 수업 시수의 부족 문제를 해결하려고 하였다. 그러나 매 주 제시한 동영상 강의와 교사용 지도서 내용을 미리 예습하지 않고 수업에 참여함으로써 내용 숙지가 안 된 채로 각 단원의 일부 활동만 경험하는 학생들은 교과서의 전체 구조와 내용을 파악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이에 수업 초반에 학생들의 예습 정도를 파악하기 위한 퀴즈를 실시하였다. 초기에는 쪽지 시험 형태로 실시하였으나,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온라인 퀴즈를 도입하여 학생들이 즉석에서 응답하고 결과를 받아보게 하였다. 이러한 시도는 예습을 강제하고 교수가 중요하다고 판단하는 일부 내용에 대한 학생의 이해도를 파악하는 효과는 있으나, 학생들이 잘 이해하지 못하는 부분을 수업에서 파악하여 해결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견되었다. 따라서 매 주 수업 시작과 함께 학생들이 먼저 질문하고 그것에 대해 함께 생각하고 논의하는 시간을 가짐으로써 학생들의 자발적이고 능동적인 학습 의욕을 고취하고자 하였다.

      • 한 초등교사의 내러티브를 통한 과학 수업의 어려움과 교수 효능감 탐구

        권혁순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019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학술대회 Vol.77 No.-

        초등 교사들의 과학 수업에 대한 어려움이나 과학 교수 효능감에 대한 연구가 많이 있지만, 과학 교수 효능감과 관련하여 초등교사의 상황을 잘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 심층적인 사례 연구라든가, 스토리를 도출하는 연구는 찾기 어렵다. 과학 수업에서 겪는 어려움이나 과학 교수 효능감은 개인마다 다른 특성을 가지고 있기에, 연구 참여자의 경험에 대한 내부자적 통찰을 제공하고, 그 경험의 의미를 탐구한다는 점에서 질적 연구 방법의 하나인 내러티브 탐구가 적절한 방법이 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내러티브 탐구 방식을 통해 초등학교 교사들이 과학 수업에서 겪는 어려움과 과학 교수효능감에 대하여 탐구하였다. 내러티브 탐구는 ‘이야기로 살아내는 삶의 이야기’로서, 특정 시간과 장소에서 연구자와 연구 참여자가 관계를 맺고, 지속적인 만남과 협력을 통해 개인적이며 사회적인 삶을 구성하는 경험의 이야기들을 ‘살아내고, 이야기하고, 다시 살아내고, 다시 이야기’하는 가운데 탐구를 마무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전형적인 초등학교 교사(고등학교 문과 계열 출신으로 교육대학교에 입학하고, 과학 계열이 아닌 심화 전공으로 졸업한 여자 교사) 중에서, 현재는 과학 교수 효능감이 높은 교직 경력 10년 차 교사 한 명을 연구 참여자로 접촉하였다. 연구 참여자가 교육대학교에 입학하기 전, 교육대학교에 재학 중, 초임 교사 시절, 그리고 대학원에 입학한 이후의 네시기로 나누어서 과학 및 과학 수업과 관련된 그의 내러티브를 수집하였고, 내러티브의 의미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서 교육 경험의 축적, 과학교육의 성격 이해, 만남과 교류, 그리고 외연확장과 도전이 초등교사의 과학교수 효능감을 향상시키는 데 영향을 미쳤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초등 예비교사 양성과 초등교사들의 교수 전문성 신장에 주는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 초등학교 과학교과목표, 지도방법 및 평가방법의 변화 분석

        김효남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014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학술대회 Vol.67 No.-

        우리나라 과학과 교육과정의 초등학교 과학교과목표, 지도방법 및 평가방법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교수요목기부터 2009개정교육과정기까지 살펴보았다. 한국교육과정평가원 홈페이지에 수록된 국가교육과정을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우선 초등학교 과학교과목표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과학교과목표로 교수요목기부터 2009개정교육과정까지 과학 개념의 이해, 기초적인 탐구방법, 자연에 대한 흥미와 과학적 태도는 꾸준히 제시되고 있었다. 둘째, STS 관련 교과목표는 6차교육과정부터 2009개정교육과정까지 제시되고 있었다. 셋째, 제1차교육과정에서 탐구능력과 과학 관련 태도가 구체적으로 다양하게 제시되고 있었다. 넷째, 과학 지식의 문제해결에의 적용은 5차부터 2009개정교육과정까지 제시되고 있었다. 초등학교 과학교과 지도방법의 변화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탐구적인 지도방법과 안전지도는 2차부터 2009 개정 교육과정까지 모든 교육과정기에서 강조되었다. 둘째, 학생중심의 활동위주의 지도는 4차부터 2009개정교육과정까지 강조되었다. 셋째, 과학사, 첨단과학 내용의 지도는 5차부터 2009개정교육과정까지 국가교육과정 문서에서 언급되었다. 넷째, 교과내용의 재구성은 2차, 4차-2009개정교육과정에서 언급되고 있다. 다섯째, 발문에 대한 언급은 4-7차 교육과정에서 찾아 볼 수 있었다. 평가에 대한 내용 변화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과정에서 과학과 평가에 대한 내용은 4차 교육과정 부터이다. 둘째, 과학지식, 탐구능력은 4차-2009개정교육과정에서 꾸준히 언급되고 있다. 셋째, 평가방법으로 지필, 면담, 실기, 관찰을 4차부터 강조하였다. 국가교육과정에서 강조되고 있는 과학교과목표, 지도방법 및 평가방법은 초등학교과학 교과서 개발 및 지도자료 개발에 큰 영향을 주었고, 반영되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얼마나 학교 현장에서 구현되고 있는가 하는 것은 또 다른 문제라고 볼 수 있다.

      • KCI등재

        초등과학교육 학술지 논문의 결론 구조 분석

        김민재,김동렬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022 초등과학교육 Vol.41 No.1

        This study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clusions” section of a thesis i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and presents a conclusion model that can be used i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In the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journal published by the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Association, the conclusion section was analyzed on the four-year academic papers published. First, the title of the concluding chapter and the number of conclusions frequently used i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were identified. Results showed that most commonly used title for the conclusion section was “Conclusion and Suggestion,” and the length of the section was 85.4 lines or 2.1 pages.. Then,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nclusions of elementary science journals in sentence units, we found stages as a kind of semantic unit frequently used i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papers. Further, we obtained that these stages are often used in connection with specific stages. Finally, a conclusion template for papers commonly used i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was presen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when drafting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papers. Furthermore, specific thesis regarding education plans and educational materials might be prepared for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graduate students based on the present results. 본 연구는 초등 과학 교육 분야 논문에서 ‘결론’ 부분에 대한 특성을 분석하여 이를 토대로 초등 과학교육 분야에서 통용될 수 있는 결론 모형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를 위해 초등 과학 교육 학회에서 발간되는 ‘초등과학교육’ 학술지에 게재된 4개년간의 학술논문을 대상으로 결론 부분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 과학 교육 분야에서 자주 사용되는 결론 장의 제목과 결론의 분량을 파악하였다.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결론 장의 제목은 ‘결론 및 제언’ 이였다. 결론 분량의 경우 평균 85.4줄로 분석되었으며 이를 ‘쪽’ 단위로 분석하였을 경우 평균 2.1쪽의 분량으로 집계되었다. 둘째, 초등과학교육 학술지논문 결론의 내용을 문장단위로 분석한 결과 초등 과학 교육 분야 논문에서 자주 사용되는 일종의 의미 구성단위로서의 단계들을 발견하였고 이러한 단계들이 특정 단계와 연결되어 구조를 이루며 사용되는 경우가 빈번함을 발견하였다. 셋째,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초등과학 교육 분야에서 통용될 수 있는 논문의 결론 모형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초등 과학 교육논문 작성 시 기초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결과자료를 바탕으로 초등 과학 교육 분야 교육대학원생을 위한 구체적인 논문 작성 교육 방안과 교육자료가 마련되기를 기대한다.

      • 소규모학교 과학실험 보조교사의 경험이 초등 예비교사들의 과학 수업 불안 및 과학 교수 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현동걸,신애경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019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학술대회 Vol.76 No.-

        이 연구의 목적은 소규모학교 과학실험 보조교사로 참여한 경험이 초등 예비교사들의 과학 수업 불안 및 과학 교수 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소규모학교 과학실험 보조교사 운영’은 J도 교육지원청에서 재정을 지원하고, J대학교 교육대학과 사범대학에서 2018년 3월부터 12월까지 초ㆍ중등학교를 대상으로 운영한 사업이다. 이 연구는 J대학교 교육대학에서 참여한 예비교사들을 대상으로 하였고, 선정된 예비교사들은 지역의 소규모 초등학교에서 과학실험 보조교사로 참여하였다. 이 연구를 위해 J대학교 교육대학 2, 3학년 학생 중 보조교사로 참여할 의사가 있는 21명의 예비교사들을 선정하였다. 선정된 예비교사들은 주 1회 배당된 학교에 가서 8시간을 근무하면서 과학 실험 준비 및 과학 수업 보조 역할을 주로 하였다. 과학실험 보조교사 참여 경험이 초등 예비교사들의 ‘과학 수업 불안’과 ‘과학 교수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이 사업에 참여한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사전과 사후에 ‘과학 수업 불안’ 검사지와 ‘과학 교수 효능감’ 검사지를 투입하여 그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 초등 과학영재 및 일반 학생의 창의성, 과학 유머 창의성, 과학 유머 만들기의 교육적 효과에 대한 인식의 관계

        손민희,강훈식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019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학술대회 Vol.77 No.-

        본 연구에서는 초등 과학영재 및 일반 학생의 창의성, 과학 유머 창의성, 과학 유머 만들기 활동의 교육적 효과에 대한 인식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특별시 소재 일반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5학년 학생 42명과 해당 교육청의 과학영재교육원 소속 학생 38명을 선정하였다. 이 학생들을 대상으로 창의성 검사, 과학 유머 만들기 활동, 과학 유머 만들기의 교육적 효과에 대한 인식검사를 실시하였다. 학생들이 만든 과학 유머를 본 연구에서 고안한 기준에 따라 분석하여 각 유머에 과학 유머 창의성, 그 하위 요인인 과학 유머 유창성, 과학 유머 융통성, 과학 유머 독창성, 과학유머 유용성 점수를 산출하였다. 마지막으로, 각 변인 사이의 관련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피어슨 상관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과학 유머 창의성과 정적 관계가 있는 창의성 요소는 과학영재 학생 및 일반 학생 집단별로 달랐다. 전체를 대상으로 했을 때 과학 유머 창의성은 창의성 전체와 유의미한 관계가 있었으며, 그 외에도 하위 요소인 유희성, 호기심, 지식, 상상력, 민감성, 융통성, 유창성이 과학 유머 창의성 또는 그 하위 요인과 부분적으로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과학영재 학생의 경우, 창의성 중 유희성, 집요성, 호기심, 지식, 상상력 요소가 일반 학생의 경우, 유희성, 호기심, 상상력, 민감성, 정교성, 유창성 요소가 과학 유머 창의성 또는 일부 하위 요인과 정적 관계가 있었다. 둘째, 창의성과 과학 유머 만들기 활동의 교육적 효과에 대한 인식 사이에서는 ‘호기심’ 요소를 제외하고, 유의미한 상관이 없었다. 창의성의 요소 중 호기심만이 인지적 측면, 정의적 측면, 인식 전체 측면에서의 교육적 효과에 대한 인식과 모두 유의미한 관계가 있었다. 셋째, 과학 유머 창의성과 과학 유머 만들기 활동의 교육적 효과에 대한 인식 사이에서는 유의미한 관계를 찾을 수 없었다. 넷째, 과학 유머 창의성 및 하위 요소 간에는 모두 유의미한 관련이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로 얻을 수 있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창의성과 과학 유머 만들기 활동의 산출물 간 관련성에 대해 직접적이고 실증적인 정보를 제공하였으므로, 과학 유머 만들기 활동이 과학영재 학생들에게 적합한 교수학습 전략으로써 활용 가치가 있음을 보여준다. 더 나아가 창의성을 영재성과 동일시한다는 관점에 따라, 이와 같은 결과는 과학 유머 만들기 활동이 영재 판별 도구 및 평가 도구로서 가치가 있음을 시사한다. 둘째, 과학 유머 만들기 활동에서 창의성 관련 요인을 고려한 지도 방향을 설정하는 데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다. 셋째, 과학 유머를 포함한 학생들의 창의적 산출물에 대한 정량적 평가 및 효과성 검증 방법을 모색하는 데 유용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다.

      • KCI등재

        유치원과 초등학교 교육과정에 나타난 과학교육 내용의 연계성 분석

        김주희 ( Kim¸ Juhee ),강은주 ( Kang¸ Eunju ),박종호 ( Park¸ Jongho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021 초등과학교육 Vol.40 No.3

        학생들의 지속적인 성장과 발전을 위해서 학교급에 따른 학습 내용의 연계성은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유아교육과 초등학교 과학과 교육과정의 연계성에 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부족한 편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유아교육에서 전체적으로 제시하고 있는 과학 관련 학습 내용과 초등학교 과학과 교과 과정 간의 연속성에 대한 분석이 선행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2015 과학과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14개의 소영역으로 구성하고, 유치원과 초등학교 과학교육의 핵심 내용을 대응 관계로 제시하였다. 그 결과, 유치원에서만 제시된 학습 내용, 초등학교에만 제시된 학습 내용, 유치원과 초등학교의 명확한 연관성이 보이는 학습 내용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유치원과 초등학교 과학과 교육과정의 연계성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For the continuous growth and development of students, continuity of learning content according to the school level is essential. However, research on the continuity of kindergarten education and elementary school science curriculum is relatively insufficient. In this respect, it is necessary to precede the analysis of the continuity between the science-related learning content presented in kindergarten education and the science curriculum in elementary school. In this study, the 2015 science curriculum was organized into 14 small sections, and the core contents of science education in kindergartens and elementary schools were presented as correspondence. As a result, it was possible to classify learning contents presented only in kindergarten, learning contents presented only in elementary schools, and learning contents showing a clear continuity between kindergarten and elementary school.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resents implications for the continuity between the science curriculum of the kindergarten curriculum and the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 논문 구두 발표 : B. 창의인성과 과학교육 ; B-04 : 과학과 독서,토론 수업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을 통한 창의성과 바른 인성 배양

        김대유,나은수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014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학술대회 Vol.66 No.-

        이 연구에서는 초등 과학 수업에서 창의?인성교육의 실제적인 사례를 중심으로 소개하고 있다. 창의?인성교육의 가치와 그 의미를 학교 현장에 어떻게 적용하고 있는지 실제적인 수업 사례를 중심으로 기술하고 있으며, 스토리텔링 및 융합수업 등 초등학교 과학수업에서 적용된 사례를 수업안과 관련 프로그램을 제시하였다. 평소 창의?인성교육에 대한 개념과 이해가 부족한 학교 교사들을 위한 창의?인성교육의 개념과 의 미를 설명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실제 과학 수업에 적용한 내용을 5학년 2학기 "용해와 용액" 단원과 "운동과 속력" 단원의 수업안과 관련 프로그램으로 제시하였다. "용해와 용액" 단원에서는 단원 전차시를 학생들이 재미있게 수업에 흥미를 갖고 참여 할 수 있도록 ``도로시의 이상한 나라의 오즈 여행``이라는 스토리텔링으로 다시 재구성 하였으며, 차시별 프로그램 내용을 소개하였다. 또한 "운동과 속력"단원에서는 교과융합형 수업을 과학뮤지컬이라는 융합형 수업 사례를 통해 앞으로의 대한민국의 새로운 교육 모델로 제시되고 있는 창의?인성교육이 교육 현장에서는 어떤 식으로 적용되고 있는지 기술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