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Selenium 공급방법이 수경재배 토마토의 생장과 Se 흡수에 미치는 영향

        이철규(Cheol-Kyu Lee),조경철(Kyung-Cheol Cho),이정현(Jeong-Hyun Lee),조자용(Ja-Yong Cho),서범석(Beom-Seok Seo),양원모(Won-Mo Yang) (사)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2005 생물환경조절학회지 Vol.14 No.4

        토마토 ‘모모타로’를 공시하여 셀레늄 10㎎ㆍL?¹의 관주 및 엽면시비 등의 단용 및 혼용처리가 수경재배 토마토의 생육 및 과실 내 셀레늄 축적 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였다. 토마토 종자를 50공 트레이에 파종하여 70일 동안 육묘한 후 유묘를 코코피트 슬라이브를 이용한 수경재배 시스템에 정식하였다. 양액은 일본원예시험장 배양액 표준처방으로 조성하였으며, pH 5.8~6.2와 EC 2.3 ㎎ㆍL?¹ 등으로 조절하여 공급하였다. 셀레늄은 무기태 SeO₂와 sugar fatty acid ester에 킬레이트화 한 유기태 셀레늄을 10 ㎎ㆍL?¹으로 조성하여 관주, 엽면시비, 관주와 엽면시비를 병행하여 처리하였다. 초장, 엽수, 엽면적 및 엽록소 등의 토마토 생장반응은 셀레늄의 엽면시비, 그리고 엽면시비와 관주를 병행한 처리구에서 현저히 증가하였다. 과실 내 셀레늄 축적 함량은 킬레이트화 한 유기태 셀레늄을 엽면시비와 관주를 병행하여 처리한 경우에 0.302 ㎎ㆍL?¹으로 가장 높았다. 무기태와 유기태 셀레늄의 엽면시비와 관주 등의 단용 처리 보다는 혼용 처리가 전반적인 과실 생장과 체내 셀레늄 축적에 효과적이었다. 무기태 설레늄(SeO₂) 보다는 sugar fatty acid ester에 킬레이트화한 유기태 셀레늄 처리가 셀레늄을 함유한 기능성 토마토의 수경재배에 더 효과적이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larify the effects of supplying methods of selenium on the growth and Se uptake of hydroponically grown tomato plants. Tomato seeds (Lycopersicum esculentum Mill. cv. Momotaro T-93, Daki Seed Co.) were sown in plug tray with fifty holes, and raised for sixty days. Tomato seedlings transplanted to coco fiber slabs were supplied with the nutrient solutions adjusted to EC 2.3 dSㆍm?¹ and pH 5.8~6.2 recommended by the Japanese Horticultural Experiment Station. Selenium forms used were inorganic SeO₂ (here in after referred to Se) and organic selenium chelated with sugar fatty acid ester (here in after referred to chelated-Se). 10 ppm selenium solutions were treated to tomato plants with foliar applications, drenching, and foliar application plus drenching. Growth characteristics in terms of plant height, number of leaves, leaf area and chlorophyll content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plot of foliar application of Se, and in the plot of foliar application plus drenching of chelated-Se than other plots, respectively. Transported contents of selenium into the tomato fruits were highest as 0.302 ppm in the plot of foliar application plus drenching of chelated-Se. Also, it had tended to be higher in the plot of foliar application plus drenching than in the plots of foliar application or drenching in both of Se and chelated-Se. Foliar application and drenching of organic chelated-Se were effective to produce the functional tomato fruits.

      • KCI등재
      • 요석 환자에서 대사 이상의 평가

        이석영,서정원,윤석중,이상철,김용태,김원재 충북대학교 의학연구소 2001 忠北醫大學術誌 Vol.11 No.2

        연구목적: 요석은 대사적 질환의 일종이라 할 수 있으며 이는 소변의 유체 역학의 장애나 혹은 배설되는 대사 산물의 생화학적 불균형으로 초래하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24시간 요검사를 통하여 요석 환자들에서 요중 대사적 이상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연속적으로 내원한 재발성 요석 환자 151명(남자 114명, 여자 37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요석이 완전 치유된 후 최소 3개월이 지나고 24시간 소변을 채취하여 요량, 나트륨, 인, 요산, 칼슘, 마그네슘, 수산 및 구연산에 대하여 분석하였으며 대사 이상의 종류 및 빈도를 조사하였다. 결과: 요석 환자들에서 가장 호발하는 대사적 이상은 저구연산뇨증(47.1%)이었으며 다음으로 고나트륨뇨증(43.2%), 저소변량(30.5%), 고칼슘뇨증(23.5%), 고요산뇨증(22.1%), 고수산뇨증(10.7%), 그리고 저마그네슘뇨증(9.4%) 순이었다. 151명의 환자 중 적어도 한가지 이상의 대사 이상이 136명에서 관찰되었다. 결론: 요석 환자들에서 요중 대사 이상은 90.1%에서 관찰되었으며 저구연산뇨증과 고나트륨뇨증이 요석의 생성과 재발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러한 요중대사적 평가는 요석 환자의 진단 및 예방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Urolithiasis is a metabolic disease which arises from disturbances of the physico-chemical balance or the hydrodynamic system of the urine.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metabolic abnormalities through the 24-hour urine examination in patients with urolithiasis. Materials and Methods: The 24-hour urine specimens of 151 RSF (114 men, 37 women) were analyzed for volume, sodium, phosphorus, uric acid, calcium, magnesium, oxalate, and citrate. The incidence and frequency of metabolic abnomalities in RSF were determined. Results : The most frequent metabolic abnormality in RSF was hypocitraturia (47.1% ), followed by hypernatriuria (43.2%), low urine volume (30.5% ), hypercalciuria (23.5%), hperuricosuria (22.1%), hyperoxaluria (10.7%), and hypomagnesiuria (9.4%). At least one metabolic abnormality was found in 136 out of 151 RSF. Conclusion : Our results showed that RSF had metabolic abnormalities were found up to 90.1% of them. Hypocitraturla and hypernatriuria could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development and recurrence of urolithiasis. This data suggested that metabolic evaluation might be the useful tools for urolithiasis detection and prevention.

      • 클러스터형 VOD서버에서 고가용성을 고려한 자체 복구 시스템

        이좌형,서동만,방철석,김병길,정인범 강원대학교 정보통신연구소 2004 정보통신논문지 Vol.8 No.-

        While clustered VOD (Video On Demand) servers that have been proposed for building large-scale VOD system recently, have the advantages of high availability and scalability, the system level reliability of the clustered VOD servers could be decreased by adding more servers to scale up the capacity of the server. To alleviate this reliability problem and support server-level fault tolerance, this paper proposes and analyzes self recovery system based on RAID-3 and 4 with pipelining concept. The proposed self recovery system could increase the efficiency of the disk by accessing the disk with large size block as in RAID-4. The network resource could be used efficiently and the workload of memory could be decreased by sending data in small size block as in RAID-3. By introducing pipeline concept, the recovery tasks are processed at several nodes in parallel so that the workload in CPU, network, and memory could be distributed to several nodes.

      • KCI등재

        대퇴동맥을 통한 경피적 관동맥 중재시술 환자의 천자부위 지혈을 위한 Angioseal^(�) 사용과 고식적 용수 압박법의 비교 : 전향적 연구

        김용훈,권현철,김필호,안석진,유철웅,최진호,이상철,김준수,김덕경,전은석,이상훈,홍경표,박정의,서정돈 대한내과학회 2004 대한내과학회지 Vol.66 No.5

        목적 : 경피적 관동맥 중재술은 최근 양적 및 질적으로 급격한 발전을 보였지만 시술 시 천자부위의 혈관 합병증은 아직 해결해야 할 문제점이다. 저자들은 대퇴동맥을 통한 경피적 관동맥 중재술을 환자에게 천자부위 지혈을 위한 혈관폐쇄기구인 안지오실의 안전성과 유용성을 고식적인 용수 압박법과 비교 연구하고자 하였다. 방법 : 2002년 4월부터 2003년 5월 사이에 삼성서울병원 심장혈관센터에서 대퇴동맥을 통한 경피적 관동맥 중재술을 성공적으로 시행한 200명의 환자(안지오실 사용군: A군, 100명, 고식적 용수압박법 사용군 B군, 100명)를 대상으로 시술 후 주요 합병증 및 경한 합병증, 지혈 후 환자가 자리에 앉기까지의 시간, 보행개시 가능시간, 총 재원 기간과 시술 1주 후의 합병증을 전향적으로 조사하여 비교 연구하였다. 결론 : 두 군에서 연령, 성별, 기저질환, 심혈관 질환의 위험요소, 시술의 종류, 시술 중 사용한 헤파린의 양, clopidogrel의 양, ticlopidine의 양, 지혈 시 수축기와 확장기혈압, ACT (activated clotting time)는 차이가 없었다. A군이 B군에 비해 시술 후 자리에 앉기까지의 시간 (A군: 4.3±0.3시간, B군: 13.7±0.8시간, p=0.004) 및 보행개시까지의 시간(A군: 6.8±0.5시간, B군: 18.8±2.1시간, p=0.013)이 유의하게 짧았다. 시술 후 주요 합병증은 두군 모두에서 관찰되지 않았으며, 경한 합병증의 전체발생은 A군에서 유의하게 적었다(A군: 28명, B군: 19명, p=0.003). 반상출혈의 경우는 A군에서 유의하게 낮았지만(A군: 3명, B군: 12명, p=0.01), 혈종, 출혈의 발생은 두군간에 차이가 없었다. 총 재원기간에는 두 군간에 차이가 없었다(p=0.239). 시술 1주 후 경과관찰에서 주요합병증은 역시 두 군 모두에서 관찰되지 않았으며, 경한 합병증의 전체발생은 두 군에서 차이가 없었다(A군: 15명, B군: 13명 p=0.418), 반상출혈의 빈도는 차이가 없었지만 혈종의 발생은 A군에서 더 낮았다(A군: 2명, B군:6명, p=0.004). 두 군 모두에서 출혈은 발생하지 않았다. 결론 : 대퇴동맥을 통한 경피적 관동맥 중재술을 시행한 환자에서 안지오실의 사용은 고식적 용수 압박법에 비해 환자의 침상 안정시간을 줄여 조기 활동개시가 가능하게 하였으며 국소합병증의 위험도를 일부 낮추어, 시술에 따른 환자의 불편을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다고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Background : Although the number and the quality of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have been recently increased dramatically, the vascular complication at puncture site is still the major cause of patients' morbidity. We evaluated the safety and efficacy of newly of newly-developed collagen-based arterial closure device, Angioseal after transfemoral percuatenous coronary intervention. Methods : This study was designed as a prospective single center non-randomized comparative study. A total 200 patients undergoing transfemoral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were enrolled between April 2002 and May 2003. They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ngioseal group (group A, n=100) and manual compression group (group B, n=100). The baseline clinical and angiographic characteristics were reviewed. The time to sit up, the time to ambulation, the duration of hospital stay, major and minor vascular puncture site complications were monitored. The patients were followed-up for 1 week after procedure by telephone. Results : The baseline clinical characteriwtics, clinical diagnosis, cardiocascular risk factors, typesof procedure, doses and numbers of anticoagulants were similar between two groups. The blood pressure and activated clotting time were also similar. The time to sit up (group A: 4.3±0.3 hours, group B: 13.7±0.8 hours, p=0.004) and the time to ambulation (group A: 6.8±0.5 hours, group B: 18.8±2.1 hours, p=0.013) were shorter in group A. No major vascular complications were noted. The incidence of hematoma and bleeding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wo groups. The incidence of ecchymosis, however, was significantly lower in group A (group A:12%, group B: 3%, p=0.001) The duration of gospital stay was similar between groups. During 7 days of follow-up period incidence of hematoma was significantly lower in group A (p=0.004). Although the incidence of ecchymosis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wo groups. Conclusion : The angioseal may be associated with earlier ambulation and less patients' morbidity with low incidence of local complication rate compared to manual compression after transfemoral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 KCI등재
      • 진성 복압성 요실금 환자에서 복강경하 방광경부현수술의 유용성: 타술식과의 비교 연구

        김용태,엄민식,이석영,신관희,서정원,윤석중,이상철,김원재 충북대학교 의학연구소 2001 忠北醫大學術誌 Vol.11 No.2

        연구목적: 진성 복압성 요실금의 치료법으로서 복강경을 이용한 Burch 수술을 타수술법과 비교하여 그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진성 복압성 요실금을 주소로 본원 비뇨기과에서 수술을 시행받은 44명의 환자를 수술법별로 분류하여 수술법에 따른 성공률, 수술 시간, 입원 기간 및 합병증의 빈도를 비교 분석 하였다. 결과: 전체 환자에서 수술 성공률은 86.4% 였으며 이들 중 복강경을 이용한 Burch 수술군에서는 성공률이 100% 이었다. 복강경을 이용한 Burch 수술군은 타수술군에 비하여 입원 기간이 짧았다. 복강경을 이용한 Burch 수술군은 합병증이 매우 경미하였으며 전체 환자의 31.8%에서 단기간의 배뇨곤란을 호소하였으나 장기간의 배뇨곤란은 없었으며 슬링 수술군에서는 3례(16.7%)에서 심한 절박성 요실금을 호소하였다. 결론: 복강경을 이용한 Burch 수술은 높은 치료 성공률과 낮은 합병증의 빈도를 나타내어 진성 복압성 요실금의 치료에서 매우 우수한 수술법으로 사료된다. Purpose: We performed this study to investigate the usefulness of laparoscopic Burch colposuspension as a treatment of genuine stress incontinence compare to other anti-incontinence operation. Materials and Methods : We analyzed success rate, operation time, admission day, and complication rate of various anti-incontinence operations in 44 genuine stress incontinence patients who have been received operation in our hospital. Results : Overall success rate was 86.4%, but laparoscopic Burch coposuspension showed 100% success rate. Laparoscopic Burch colposuspension required shorter admission day compared to other anti-incontinence oparations. Complication rate was lower in laparoscopic Burch colposuspension group. Short-term voiding problems were identified in 31.8% of total patients but 3 patients(16.7%) who have received sling operation complained severe urge incontinence. Conclusion : Laparoscopic Burch colposuspension is considered as an effective surgical method for genuine stress incontinence due to high success rate and low complication rate.

      • TNF-α 유전자형과 방광암과의 관계

        정필두,김은정,엄민식,서정원,윤석중,김종석,이상철,김원재 충북대학교 의학연구소 2001 忠北醫大學術誌 Vol.11 No.2

        연구목적: TNF-α는 일부 종양의 종양화 과정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TNF-α 발현에 영향을 미치는 TNF-α 촉진자 -308 부위의 유전적 다형성이 방광암과 관련이 있는지 유무를 알고자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유전자 분석을 위하여 환자 113명 및 대조군 109명으로부터 혈액을 채취하여 genomic DNA를 분리한 후 PCR-RFLP 및 direct DNA sequencing을 통하여 TNF-α유전자의 다형성을 조사하여 방광암의 발생, 병기 및 분화도와 비교 검토하였다. 결과: TNF-α 촉진자 -308 부위의 유전형은 대조군에서는 GG형이 83.5%(90례 및 GA형이 16.5%(19례)로 관찰되었으며 AA형은 없었다. 환자군에서는 GG 형이 85.4%(97례), GA형 및 AA형은 각각 13.1%(15례)및 0.8%(1례)에서 관찰되었다. 두 군 모두에서 GG형이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GA형을 보이고 AA형은 1례의 방광암 환자에서만 관찰되었다. -308부위의 경우도 두 군 사이에 유전자형의 차이는 없었다(p=0.259) 분화도별 분포를 보면 grade I이 20례, grade II가 49례, grade Ⅲ은 34례였고 병기별로 표재성인 경우가 90례였으며 침윤성은 14례였다. 분화도가 나빠질수록 GA형이 증가하였다(p=0.04). 그러나 병기와 TNF-α promoter -308부위의 유전자형 사이에는 유의한 상관 관계가 없었다(p=0.123). 결론: 방광암 환자의 혈액에서 GA genotype이 관찰되는 경우, 분화도가 나쁠 가능성이 매우 높기 때문에 좀 더 적극적인 치료와 세밀한 추적관찰을 함으로써 방광암으로 인한 사망과 암의 진행을 예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Purpose : Tumor necrosis factor-alpha (TNF-α) is involved in tumorigenesis of several cancers as an endogenous tumor promot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genetic polymorphism of TNF-α promoter region (-308) was associated with human bladder tumor. Materials and Methods: The DNA from 113 and 109 respective blood samples of bladder tumor Patients and control group was analyzed by PCR-based 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RFLP) and direct DNA sequencing methods to characterize the genetic polymorphism of -308 promoter region of the TNF-α gene in bladder tumor patients. We compared the association of bladder tumor with genetic Polymorphism of TNF-α promoter region(-308) in relation to the stage, grade, recurrence and progressio. Results : Eighty-six percents(97/113) of bladder tumor patients and 83.5% (90/109) of control group showed genotype GG at -308 region of TNF-α. Difference in genetic variations of TNF-α promoter (-308) did not exist between bladder tumor patients and control group(p=0.259). Tumor grade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GA genotype (p=0.04). The higher is the grade in bladder tumor, the more frequent was the GA genotype. Tumor stage, recurrence and progression were not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genetic polymorphism of TNF-α promoter region (-308). Conclusion: The GA genotype of TNF-a promoter region (-308)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NF-α production and was related to higher grade tumor compared to GG genotype. TNF-α serum levels in bladder tumor patient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controls. These data suggested that TNF-α might involve the tumorigenesis of the bladder rather than treatment or prevention of bladder tumor.

      • T1b 병기의 신세포암에서 수술 후 예후를 예측할 수 있는 임상 및 병리학적 인자에 대한 연구

        오승용, 김영원, 윤형윤, 서성필, 이상근, 김원태, 윤석중, 이상철, 김원재, 김용준 충북대학교 의과대학 충북대학교 의학연구소 2014 忠北醫大學術誌 Vol.24 No.1

        연구목적: T1병기의 국소신세포암(localized clear-cell renal cell carcinoma)은 근치적신적출술이 나 부분신절제술이 표준치료이며 수술 후 타 병기에 비해 양호한 예후를 보인다. 하지만, 많은 수의 환 자에서 추적관찰 중 재발 및 사망이 발생하는데, 이는 T1b 병기에서 더 높게 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 에서는 국소신세포암 중 T1b 병기의 신세포암에서 표준적 치료 후 환자의 예후에 영향을 주는 임상 및 병리학적 인자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9년부터 2011년 까지 5개 기관에서 근치적신적출술이나 부분신제술을 시행 받은 3567명의 국소신세포암 환자들 중 병리학적 병기가 T1b로 확진 된 70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들 환자가 가지는 임상 및 병리학적 특성 [연령, 성별, 고혈압, 당뇨, 비만도, European Cooperative Oncology Group(ECOG) 수행도, 증상유무, 수술방법, 종양크기, 분화도, 조직학적 형태 등]을 이용 하여 환자의 예후 [무재발생존율(relapse-free survival), 암특이생존율(cancer-specific survival) 및 전체생존율(overall survival)]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에 대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비교분석 하였다. 결과: 추적 관찰 기간은 34.0개월 (중앙값, 0-152개월)이었으며, 이 기간 중 재발, 사망 및 암특이사 망은 각각 72례 (10.3%), 57례 (8.1%) 및 24례 (3.4%)에서 발생하였다. 단변량 및 다변량 Cox 비례위험회귀분석에서 다양한 인자들이 무재발생존율(당뇨 유무, 종양크기 및 Fuhrman등급), 암특이 생존율(나이, 체질량지수, 당뇨 유무, 종양크기) 및 전체생존율(나이, 체질량지수, ECOG 수행도, 종 양크기)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독립적 예후인자였다. 결론: 본 연구결과 국소신세포암의 예후를 예측할 수 있는 다양한 임상 및 병리학적 인자를 확인 할 수 있었다. 이러한 위험인자를 가지고 있는 환자는 보다 적극적인 추적관찰을 통하여 재발을 조기에 발 견한다면 이들의 생존율 향상에 많은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