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성실성과 지적투자특성이 업무지식과 과업수행에 미치는 영향

        정민지 대구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830

        본 연구의 목적은 성실성과 지적투자특성이 업무지식에 정적인 직접효과를 보이는지 알아보고 이 두 성격특성이 업무지식을 경유하여 과업수행에 간접효과를 보이는지 알아보는 데 있다. 그리고 이에 앞서 von Stumm과 Ackerman(2013)이 제안한 지적투자특성의 구성개념을 확인하였다. 두 차례의 조사가 진행되었으며 일차 조사에는 성인 203명(여성 132명, 남성 64명)이 참여하였고(평균 연령=29.25, 표준편차=10.30), 이차 조사에는 국내통신사에서 근무 중인 전화상담사 211명(여성 183명, 남성 28명)이 참여하였다(평균 연령=29.78, 표준편차=5.37). 지적투자특성 척도(전형적 지적참여, 인지욕구, 호기심)의 72개 문항을 토대로 탐색적 요인분석을 한 결과, 총 5개의 요인이 추출되었다. 이들 요인은 지적사고선호, 지적호기심, 지적도전, 지적해결몰두, 지적여가활동이다. 그리고 5개 요인으로 구성된 지적투자특성의 구성타당도는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적투자특성이 업무지식에 미치는 증분적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성실성이 업무지식에 미치는 효과를 통제하고도 지적투자특성의 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성실성이 업무지식과 과업수행에, 지적투자특성이 업무지식과 과업수행에 영향을 주는 구조방정식 모형에 대한 검증결과, 모형의 전반적 부합도(TLI=.979, RMSEA=.070, SRMR=.042)는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세부지수에 대한 분석 결과 성실성에서 업무지식과 과업수행으로 가는 두 개의 경로와 지적투자특성에서 업무지식, 업무지식에서 과업수행으로 가는 경로계수는 모두 정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성실성에서 업무지식을 경유하여 과업수행으로 가는 간접효과와 지적투자특성에서 업무지식을 경유하여 과업수행으로 가는 간접효과 모두 유의하게 나타났다. 주요어: 성실성, 지적투자특성, 업무지식, 과업수행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positive direct effect of conscientiousness and intellectual investment trait on job knowledge and to examine indirect effect of two personality traits on job knowledge and task performance. Prior to test the above relationship, constructs of investment trait suggested by von Stumm and Ackerman(2013) were confirmed. Two surveys were conducted. In the first survey, 203 adults(132 females, 64 males) participated(average age=29.25, SD=10.30) and in the second, 211 telemarketers(183 females, 28 males), working for a telecommunication company, participated(average age=29.78, SD=5.37). As a result of EFA analysis of 72 items of the intellectual investment trait scales(typical intellectual engagement, need for cognition, curiosity), total 5 factors were extracted. The 5 factors are preference for thinking, intellectual curiosity, intellectual challenge, intellectual absorption, intellectual leisure activity. And satisfactory construct validity of the intellectual investment trait consisting of the 5 factors was identified by CFA. As a result of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for testing incremental effect of intellectual investment trait on job knowledge, the effect of this variable was significant even after controlling the effect of conscientiousnes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about whether two personality traits influence to job knowledge and task performance showed acceptable overall fit(TLI=.979, RMSEA=.070, SRMR=.042). In the model, coefficients of two paths from conscientiousness to job knowledge and task performance, a path from investment trait to job knowledge, and a path from job knowledge to task performance were positively significant. And the indirect effect from two personality traits to task performance through job knowledge were positively significant. Keywords: conscientiousness, intellectual investment trait, job knowledge, task performance

      • 초등학교 학습자의 지적 특성 및 정의적 특성과 학업 성취도와의 관계 분석

        이미숙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1995 국내석사

        RANK : 248765

        본 연구의 목적은 학생들의 학업성취도와 관련된 다양한 변인 중에서 학습자 변인 즉 학습자의 지적 특성 및 정의적 특성들간의 상호관계 및 이러한 변인들이 학업성취도에 어떠한 영향을 주고 있는지를 밝혀보는 데 있다. 따라서 상기의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학습자 변인에 있어 지적 특성 변인과 정의적 특성 변인들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둘째, 학습자의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학습자 변인들의 영향력은 어떠한가? 셋째, 학습자 변인별 학법성취도의 차는 어떠한가? 이러한 연구 문제를 알아 보기 위하여 국민학교 6학년 남학생 112명, 여학생 86명 등 198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지적 특성 변인으로 지능, 창의력, 인지양식, 선행학습능력 등을 조사하였고, 정의적 특성 변인으로 성취동기, 학업적 자아개념, 불안, 기대지각, 학습습관 등을 조사하였다. 자료 처리는 각 변인들간의 상관계수를 구하고,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의 영향력을 알아 보기 위하여 희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적 특성은 성취동기, 학업적 자아개념, 기대지각과 같은 정의적 특성과는 정적 상관을 보이고 있으나 불안과는 부적 상관을 보이고 있다. 둘째, 학습자 변인을 모두 투입했을 경우, 학업성취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유의미한 변인은 선행학습능력, 창의력, 학업적 자아개념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correlation between learner variables, that is learner's intellectual characteristics and emotional characteristics, and to find how these variables affect learning scor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98 among 6 grade of elementary school. Intellectual characteristics variables were measured by IQ, creativity, cognitive style, prior knowlege. Emotional characteristics variables were measured by achievement motive, learned self-concept, anxiety, teacher's expectation level which children were perceived, learning havites. The Statistics was analyzed by correlation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arid path analysis, MANOVA using SPSS-PC^(+).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Between learner variables(intellectual characteristics and emotional characteristics) were significantly shown by correlation. 2. Learner variables except learning havites were significantly shown by positive correlation. But anxiety was significantly shown by negative correlation. 3. In case inputted learner variables, significant variables which were influenced directly degree of learning achievement were prior knowlege, creativity, learned self-concept.

      • TiNi 섬유가 형상기억복합재료의 피로균열진전제어에 미치는 영향

        신인수 東亞大學校 大學院 1999 국내석사

        RANK : 248668

        본 연구에서는 형상기억합금중에서 우수한 지적특성과 상변태에 의한 체적변화를 아울러 겸비한 TiNi 형상기억합금을 강화섬유로 사용하여 분말야금법(powder metallugy)과 용탕단조법(squeeze casting)으로 형상기억복합재료를 제작, 복합재료의 기지와 강화섬유 사이의 계면의 조직특성을 비교하였으며 TiNi형상기억합금에 의한 복합재료의 섬유강화 효과 및 형상기억효과에 의하여 발생한 압축잔류응력이 복합재료의 피로균열진전제어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적으로 비교검토하기 위하여 상온 및 강화섬유의 역변태온도 이상에서 피로 실험을 수행하여 하였다. 또한 유한요소해석을 통하여 섬유강화효과를 확인하였다. 이상의 연구로부터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TiNi/Al 및 TiNi/A16061 형상기억복합재료에 있어서 상온과 363k에서의 피로특성을 비교하여 보면 순수Al재료를 기준으로 상온에서는 동일 균열진전속도에서는 낮은 △K를 보이고 반대로 363k에서는 동일균열진전속도에서 높은 △K를 나타낸다. 2. 유한요소 해석결과 fiber체적률이 증가할수록 기지에 대한 응력집중 현상이 fiber로 천이되고 있으며 이 때 fiberrk 받는 응력은 fiber체적률이 3%인 경우보다 1%인 경우가 더 크게 나타난다. 이는 fiber의 섬유강화효과를 나타낸다. 3. 용탕단조로 제조된 복합재료에 있어서 섬유사이의 조직상의 변화를 알수 있으며 이는 TiNi 섬유를 강화재로 사용하는 경우 섬유 자체가 기지재의 냉각시 기지재의 열을 빼앗아 섬유사이의 구간에서는 급속냉각을 일으킴으로서 조직이 치밀하게 변화되고 이외의 구간에서는 이러한 영향을 덜 받게됨으로서 조직이 조대화되어 나타나는 것이라 판단된다. 4. 상온에서의 피로균열전파저항은 TiNi/A16061 복합재료의 경우가 TiNi/Al 복합재료보다 우수함을 알 수 있으며 이는 기지금속이 피로균열전파에 미치는 영향이 큼을 나타내 예변형효과는 크게 나타나지 않았다. 5. 고온에 있어서의 피로균열제어효과는 섬유 체적률에 따라 뚜fut한 증가를 나타내며, 예변형에 의해서도 그 효과가 큼을 알 수 있다. 이는 TiNi 형상기억합금의 예변형에 의한 형상기억효과로 발생한 압축잔류응력이 피로균열 선단에서 균열의 구속원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피로균열진전제어가 일어난 것이며 강화섬유의 체적률에 따라 그 정도는 높아진다. In this study, the shape memory composite was fabricated by powder metallugy and squeeze casting, using the TiNi shape memory alloy fiber as reinforce which has intellegent properties and volume change by phase transformation and compared microstructure properties of interface between fiber and matrix. Also, to compare the influence of compressed residual stress, accured by fiber reinforce effect and shape memory effect, to the fatigue crack propagation control, the fatigue test was carried at room temperature and above inverse transformation temperature. Furthermore, authenticate the fiber reinforce effect through finite element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1. Compared the fatigue properties of TiNi/Al and TiNi/A16061 shape memory composite at room temperature and 363K in terms of pure Al, fatigue properties show the lower △K at room temperature and higher △K at 363K in the same crack propagation speed. 2. A stress concentration on matrix transported to fiber with increasing volume fraction of fiber and the stress of composite with 3vol% fiber was larger than that of 1vol% fiber by finite element method. 3. The change of microstructure between fibers in the composite, fabricated by squeeze casting, was observed. Since the fibers absorb the heat of matrix in cooling, the parts between fibers have fine microstructure by fast cooling and others have coarse microstructure by less this influence. 4. The fatigue crack propagation resistance of TiNi/A16061 composite at room temperature is higher than that of YiNi/AI composite. This show the matrix has a much influence on fatigue crack propagation but the effect of fiber reinforce was not observed in both composite 5. The effect of fatigue crack propagation control at 363K increases according to the increase of volume fraction and prestrain in both composite. This show compressed residual stressproduced by prestrain of TiNi alloy interfere the crack propagation around the crack tip and the degree of control effect increases according to the increase of volume fraction.

      • 용탕단조법에 의한 TiNi/Al 형상기억 복합재료의 지적특성과 강화기구에 대한 연구

        박민식 東亞大學校 大學院 1996 국내석사

        RANK : 248667

        Enhancement of the mechanical properties (stiffness, yield strength and fracture toughness) of composite and suppression of the degradation damage (crack, delamination) occurred during service are very important subject in the development of new composite system. In this study, It is introduced that TiNi/Al-radical shape memory composite as one of new material that used shape memory alloy (SMA) It is a method to produce a better strength of composite by occuring compressive residual stress in matrix, using shape memory effect of TiNi fiber. This method is replaced of tensile residual stress happened by difference of coefficients of thermal expansion (CTE) between fiber and matrix, one of the significant faults of metal matrix composite (MMC). In this paper, shape memory composites are made by squeeze casting and powder metallurgy. And then, an self-strengthening effect of the composites by shape memory effect above inverse transformation temperature A_(f) of TiNi alloy are discussed. Moreover, TiNiCo/Al composite is made by using TiNiCo alloy as fiber. And it is discussed about affection of Co in the shape memory composite. The results of the intelligent properies of TiNi/Al-radical shape memory composite, using SMA, by a squeeze casting and powder metallurgy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strength of TiNi/Al-radical shape memory composite increase in proportion to adding of volume fraction of TiNi fiber. This fiber reinforced effect is related to the increase of volume fraction 2. TiNi/Al-radical shape memory composites are higher the strength of in 363K than that of in room temperature. And the strength of the composites are much increased by a prestrain. It seems to be caused by a compressive residual stress in the matrix, which occurs shape memory effect (SME) of the TiNi fiber, and this compressive residual stress is more increased by a prestrain 3. The strength increase effect by compressive residual stress much shows in case of shape memory composite by squeeze casting method than by powder metallurgy. It seems to be caused by the extent differance of interface joining of composites. 4. The tensile strength of TiNiCo wire is much higher than that of TiNi wire. It seems to be due to stable degradation of transformation as adding TiNi alloy to Co 5. The strength of TiNiCo/Al composite is generally higher than that of TiNi/Al composite. It seems to be caused by the strength difference of TiNi and TiNiCo wire as fiber

      • 한국아동의 지적 특성에 관한 문헌연구 : 한국 웩슬러 유아 및 아동 지능검사 수행 분석을 중심으로

        윤소영 울산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32446

        This study literature reviewed academic publications reporting the performance measured by the Korean-Wechsler Preschool and Primary Scale of Intelligence (K-WPPSI) to investigate Korean children's intellectual characteristics. First of all, prior to analyzing Korean children's intellectual characteristics, I categorized these publications by the published year, the number of participants(n), ages of participants, and participant grouping (either general children and exceptional children) and organized them. Second, I analyzed the performances measured by the Korean-Wechsler Preschool and Primary Scale of Intelligence(K-WPPSI) (Park, Kwak, Park, 1996b), Korean-Wechsler Preschool and Primary Scale of Intelligence-IV (K-WPPSI-IV) (Park, Lee, Ahn, 2016), Korean-Wechsler Intelligence Scale for Children-III(K-WISC-III) (Kwak, Park, Kim, 2001b), and Korean-Wechsler Intelligence Scale for Children-IV(K-WISC-IV) (Kwak, Oh, Kim, 2011) by focusing on subtests, indexes, and the levels of IQ to analyze Korean children's intellectual characteristics. The research outcome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 found the total of 4 publications reporting on both the general children and exceptional children's performance among the 70 publications reporting on performances measured by the K-WPPSI, which include 46 publications measuring performances of the general children and 20 publications measuring those of the exceptional children. The numbers of participants on the general children varied from n=1 to 360, which averaged n=64. The participants' ages ranged from 3 to 7. Among the result of performances on the subtests, the Geometric Design showed the highest scores (M=12.73(SD=3.92)) and the Vocabulary showed the lowest scores (M=9.79(SD=2.57)). By the performances of the IQ indexes, the Performance Intelligence Quotient(PIQ) (M=103.68(SD=16.53)) and Vocabulary Intelligence Quotient(VIQ) (M=103.68(SD=14.82)) showed similar scores and the mean of the Full-Scale Intelligence Quotient(FIQ) was 103.23(SD=15.06). The numbers of the exceptional children whose performances measured by the K-WPPSI varied from n=1 to 40, and the average was n=11. The participants' ages ranged from 3 to 13. By performances of the subtests, the Information showed the highest scores (M=7.01(SD=1.73)) and the Geometric Design showed the lowest scores (M=5.50(SD=2.12)). By performances of the IQ indexes, PIQ(M=81.45(SD=14.00)) showed the higher scores than the VIQ(M=77.56(SD=12.92)), and the average of the FIQ was 82.61(SD=10.37). Finding the between-group similarity as to the performances measured by the K-WPPSI, both the general children and exceptional children showed the higher scores on the performances of the PIQ than VIQ. The intellectual characteristics of Korean children whose age ranges suitable for the K-WPPSI greatly represent the ability that is influenced by genetic and biological factors rather than experiential or learning factors. Whereas searching the between-group difference, the general children showed the highest scores on the Geographic Design, but the exceptional children showed the lowest scores on the performance of the Geographic Design. The younger general children showed the higher ability in visual memorization and visual-motor integration, yet the exceptional children showed lower abilities in these categories than the general children. Second, the number of publications reporting the performances measured by the K-WPPSI-IV was 10 and all were subjected to the general children. The numbers of participants on the general children varied from n=36 to 148, which averaged n=88. The participants' ages were 2 to 7. By performances of the subtests, the Bug Search showed the highest scores(M=12.24(SD=2.75)) and the lowest scores(M=8.32(SD=2.51)). By performances of the basic indexes, the Processing Speed Index(PSI) showed the highest scores(M=108.65(SD=13.29)) and Verbal Comprehension Index(VCI) showed the lowest scores(M=97.44(SD=13.68)). The average performance of the FSIQ was 104.30(SD=12.85). Comparing the performance outcomes of the general children measured equally by the K-WPPSI and K-WPPSI-IV, both examinations showed the lowest scores on the VCI. The intellectual characteristics of the younger general children were associated with a lack of vocabulary and language expression ability. On the other hand, the K-WPPSI showed the highest scores on the Geographic Design, and similarly, the highest scores were shown on the Bug Search that was conducted in a similar manner of measuring the Geographic Design outcomes, although I acknowledge that the Geographic Design was excluded on the K-WPPSI-IV so that it might not be possible to directly compare to one another. It could be interpreted that the intellectual characteristics of the younger general children were associated with the superior ability in visual memorization, visual-motor integration. Third, among the total of 88 publications reporting the performance outcomes measured by the K-WISC-III, 14 studies examined both the general and exceptional children, 16 studies solely conducted to the general children and the rest of 58 examined the exceptional children. The numbers of the general children participants ranged from n=1 to 357, which averaged n=62. The ages of the participants were from 3 to 16. By the subtests, the Similarities showed the highest scores M=11.01(SD=2.99)) and the Digit Span resulted in the lowest scores (M=8.85(SD=2.25)). By the indexes, the VCI showed the highest scores (M=103.35(SD=12.42)), and the PSI resulted in the lowest scores(M=100.14(SD=13.50)). By performances of the IQs, VIQ(M=104.07(SD=14.84)) showed the higher scores than the PIQ(M=102.26(SD=14.87)) and the FIQ score was 102.89(SD=14.07). The numbers of participants in the studies conducting the K-WISC-III to exceptional children varied from n=1 to 297 and the average was n=38. These participants' ages were 5 to 16. Performances by the subtests showed that the Similarities was the highest(M=10.25(SD=2.71)) and the Mazes was the lowest(M=7.55(SD=2.74)). Performances by the indexes proved that the Perceptual Organization Index(POI) was the highest M=92.30(SD=15.68)), the Freedom from Distractibility Index(FDI) was the lowest(M=90.38(SD=14.75)). Performances by IQs resulted that VIQ(M=93.59(SD=13.95)) was higher than the PIQ(M=91.82(SD=14.09)) and the average performance FIQ was 90.60(SD=13.25). Looking up the between-group similarity of the performances measured by the K-WISC-III, both the general children and exceptional children reached to the highest scores on the Similarities subtest. The Korean children whose age ranges suitable for the K-WISC-III had the superior ability in verbal conceptual formation and reasoning. Additionally, the similar outcome was also convinced that both of them performing higher VIQ scores than PIQ scores. The intellectual characteristics of the older Korean children showed the advanced ability in verbal knowledge and number concepts that are influenced by experience and learning. Whereas the performance difference of the between-group was that the general children scored the lowest in the Digit Span subtest, but the exceptional children performed the lowest in the Mazes subtest. The intellectual characteristics of the older general children showed limited attention, concentration, and short-term memory. Whereas the exceptional children showed the lacks of intellectual characteristics in planning, visual-motor integration, speed, and precision. Fourth, among the 15 publications adapted the K-WISC-IV, the total of 4 publications both examined the general children and exceptional children, another 5 studies conducted to the general children, and the rest of 6 studied with the exceptional children. The numbers of the participants in the studies relevant to the general children ranged from n=6 to 200, which the average was n=39. The participants' ages ranged from 4 to 16. Performances by the subtests showed that scores of the Cancellation were the highest (M=12.50(SD=5.41)) and the Coding scores were the lowest (M=9.04(SD=2.74)). Performances by the indexes showed that the PRI scored the highest (M=99.76(SD=14.19)) and the PSI scored the lowest(M=95.24(SD=14.07)). The FSIQ performance average was 97.05(SD=13.43). The numbers of participants in the studies conducting the K-WISC-IV to the exceptional children varied from n=1 to 91, which averaged n=22. The participants' ages varied from 5 to 19. Performances by the subtests showed that the Picture Completion scored the highest(M=8.63(SD=3.39)) and the Letter-Number Sequencing scored the lowest(M=6.34(SD=2.72)). Performances by the indexes showed that the PRI scored the highest (M=88.64(SD=14.82)) and the PSI scored the lowest(M=81.26(SD=12.89)). The FSIQ performance average was 79.72(SD=7.66). Looking up the commonality of the between group measured by the K-WISC-IV, both the general children and exceptional children scored the highest on the PRI and the lowest on the PSI. The intellectual characteristics of Korean children whose age ranges suitable to using the K-WISC-IV showed the superior ability in perception construction, spatial perception, and reasoning, but they were relatively deficient at mental acuity, visual memorization. While the difference of the between-group was that the general children showed the lowest scores in the Coding subtest and the exceptional children scored the lowest in the Letter-Number Sequencing subtest. The older general children lacked in the mental acuity, yet the exception children showed the limited mental control and concentration. Comparing the performance outcomes of the general children and exceptional children measured by both K-WISC-III and K-WISC-IV, the general children showed the lowest scores on the PSI in the both examinations. Additionally, similar outcomes were found that the exceptional children scored higher on the performances by the factors and indexes than the FSIQ performances. The older general children showed a relatively less intellectual ability in mental acuity and short-term memory. On the other hand, I found the similar outcome that the exceptional children showed a lower ability in both examinations of the Coding subtest. This result can be interpreted that the older exceptional children may lack mental acuity and visual-motor integration. As comparing the outcomes of the general children and exceptional children measured by the K-WPPSI and K-WISC-III, both groups scored higher on the PIQ than the VIQ in the K-WPPSI. In particular, scores on the subtests of the Object Assembly and Picture Completion were high.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K-WISC, the PIQ scores were lower than the VIQ scores. In particular, scores on the Information, Similarities, Arithmetics, and Vocabulary were relatively high. The younger Korean children showed the superior ability in visual memorization that was greatly determined by genetic and biological factors, yet the older children gradually made an improvement in the numeric concept or verbal ability influenced by experience or learning. Comparing the K-WPPSI-IV and K-WISC-III performances of the general children, it showed that the PSI showed the highest scores in the K-WPPSI-IV and the VCI scored the lowest in the K-WISC-III. Whereas the VCI showed the highest scores in the K-WISC-III and the PSI reached to the lowest scores. The younger Korean children have gradually improved verbal ability that is influenced by experience or learning. In conclusion, this study significantly contributes to the children's intellectual characteristic research through the comprehensive literature review of the studies relevant to performances measured by the K-WPPSI, K-WPPSI-IV, K-WISC-III, and K-WISC-IV. Additionally, it not only provides baseline data of Korean children's intellectual characteristics but also suggests some potential research directions for the future. Keywords: General children, Exceptional children, Intellectual characteristics, Korean-Wechsler Preschool and Primary Scale of Intelligence(K-WPPSI), Korean-Wechsler Preschool and Primary Scale of Intelligence-Fourth edition(K-WPPSI-IV), Korean-Wechsler Intelligence Scale for Children-Third edition(K-WISC-III), Korean-Wechsler Intelligence Scale for Children-Fourth edition(K-WISC-IV) 본 연구에서는 한국아동의 지적 특성을 연구하기 위하여 한국 웩슬러 유아 및 아동 지능검사의 수행을 보고한 논문을 중심으로 문헌자료 분석을 실시하였다. 먼저 한국아동의 지적 특성을 분석하기 전에 조사대상 논문의 특성을 논문발표연도, 출처, 연구대상자 수(n), 연구대상연령, 연구대상집단(일반아동과 특수아동)으로 분류하여 정리하였다. 다음으로 한국아동의 지적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한국 웩슬러 유아지능검사(K-WPPSI)(박혜원, 곽금주, 박광배, 1996b), 한국 웩슬러 유아지능검사 4판(K-WPPSI-IV)(박혜원, 이경옥, 안동현, 2016), 한국 웩슬러 아동지능검사 3판(K-WISC-III)(곽금주, 박혜원, 김청택, 2001b)과 4판(K-WISC-IV)(곽금주, 오상우, 김청택, 2011)의 수행을 중심으로 소검사, 지표, 지능수준에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 웩슬러 유아 지능검사의 수행을 보고한 논문 70편 중 일반아동과 특수아동을 모두 검사한 논문은 4편이었으며, 일반아동만을 검사한 논문은 46편, 특수아동만을 검사한 논문은 20편이었다. 일반아동에 대한 논문별 연구대상자 수(n)는 편당 1명에서 360명까지였고, 평균 64명이었다. 연구대상연령은 만 3세에서 만 7세까지였다. 소검사별 수행의 평균은 도형(M=12.73(SD=3.92))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어휘(M=9.79(SD=2.57))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IQ별 수행의 평균은 동작성IQ(M=103.68(SD=16.53))와 언어성IQ(M=103.68(SD=14.82))가 유사하게 나타났고, 전체IQ는 103.23(SD=15.06)이었다. 특수아동에 대한 한국 웩슬러 유아 지능검사의 수행을 보고한 논문별 연구대상자 수(n)는 편당 1명에서 40명까지였고, 평균 11명이었다. 연구대상연령은 만 3세에서 만 13세까지였다. 소검사별 수행의 평균은 상식(M=7.01(SD=1.73))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도형(M=5.50(SD=2.12))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IQ별 수행의 평균은 동작성IQ(M=81.45(SD=14.00))가 언어성IQ(M=77.56(SD=12.92))보다 높게 나타났고, 전체IQ는 82.61(SD=10.37)이었다. 집단간 한국 웩슬러 유아 지능검사 수행의 공통점을 살펴보면 일반아동과 특수아동 모두에서 동작성IQ 수행이 언어성IQ 수행보다 높게 나타났다. 즉 유아용 검사의 사용연령에 해당하는 한국아동의 지적 특성은 경험이나 학습에 의해 형성되는 능력보다 유전적ㆍ생물학적 요인의 영향을 반영하는 능력이 상대적으로 높은 편임을 알 수 있다. 집단간 검사 수행의 차이점을 살펴보면 일반아동의 경우 도형 소검사 수행이 가장 높게 나타났지만, 특수아동의 경우 도형 소검사 수행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이를 통해 낮은 연령의 일반아동의 지적 특성은 시각적 기억 능력과 시각-운동협응 능력이 상대적으로 높은 편이었지만, 특수아동의 경우 이러한 능력들이 일반아동에 비해 낮은 편임을 알 수 있다. 둘째, 한국 웩슬러 유아 지능검사 4판의 수행을 보고한 논문은 10편이었고, 모두 일반아동을 검사하였다. 일반아동에 대한 논문별 연구대상자 수(n)는 편당 36명에서 148명까지였고, 평균 88명이었다. 연구대상연령은 만 2세에서 만 7세까지였다. 소검사별 수행은 동형찾기(M=12.24(SD=2.75))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어휘(M=8.32(SD=2.51))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기본지표별 수행은 처리속도(M=108.65(SD=13.29))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언어이해(M=97.44(SD=13.68))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전체IQ 수행 평균은 104.30(SD=12.85)이었다. 한국 웩슬러 유아 지능검사와 4판 모두를 통해 연구된 일반집단 아동만을 대상으로 두 검사의 수행특성을 비교해 보면 두 검사 모두에서 어휘 소검사 수행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이에 대해 낮은 연령의 일반아동의 지적 특성은 단어 지식과 언어표현 능력에서 상대적으로 낮은 편임을 알 수 있다. 한편 한국 웩슬러 유아 지능검사에서는 도형 소검사 수행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나 이 소검사가 4판에서는 삭제되었기 때문에 직접적인 비교는 어렵지만 도형 소검사와 유사한 실시방법으로 측정되는 동형찾기 소검사의 수행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는 것도 유사한 점이라 볼 수 있다. 이 점에서 낮은 연령의 일반아동의 지적 특성은 시각적 기억 능력과 시각-운동협응 능력이 상대적으로 높은 편임을 알 수 있다. 셋째, 한국 웩슬러 아동 지능검사 3판의 수행을 보고한 논문 88편 중 일반아동과 특수아동을 모두 검사한 논문은 14편이었으며, 일반아동만을 검사한 논문은 16편, 특수아동만을 검사한 논문은 58편이었다. 일반아동에 대한 논문별 연구대상자 수(n)는 편당 1명에서 357명까지였고, 평균 62명이었다. 연구대상연령은 만 3세에서 만 16세까지였다. 소검사별 수행은 공통성(M=11.01(SD=2.99))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숫자(M=8.85(SD=2.25))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요인별 수행은 언어이해(M=103.35(SD=12.42))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처리속도(M=100.14(SD=13.50))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IQ별 수행은 언어성IQ(M=104.07(SD=14.84))가 동작성IQ(M=102.26(SD=14.87))보다 높게 나타났고, 전체IQ 수행 평균은 102.89(SD=14.07)로 나타났다. 특수아동에 대한 한국 웩슬러 아동 지능검사 3판의 수행을 보고한 논문별 연구대상자 수(n)는 편당 1명에서 297명까지였고, 평균 38명이었다. 연구대상연령은 만 5세에서 만 16세까지였다. 소검사별 수행은 공통성(M=10.25(SD=2.71))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미로(M=7.55(SD=2.74))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요인별 수행은 지각조직(M=92.30(SD=15.68))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주의집중(M=90.38(SD=14.75))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IQ별 수행은 언어성IQ(M=93.59(SD=13.95))가 동작성IQ(M=91.82(SD=14.09))보다 높게 나타났고, 전체IQ 수행 평균은 90.60(SD=13.25)이었다. 집단간 한국 웩슬러 아동 지능검사 3판 수행의 공통점을 살펴보면 일반아동과 특수아동 모두에서 공통성 소검사 수행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점에서 아동용 검사의 사용연령에 해당하는 한국아동의 지적 특성은 언어적 개념형성 능력과 추론 능력이 상대적으로 높은 편임을 알 수 있다. 또한 일반아동과 특수아동 모두에서 언어성IQ 수행이 동작성IQ 수행보다 높게 나타났다는 점도 유사한 점으로 볼 수 있다. 즉 높은 연령의 한국아동의 지적 특성은 경험이나 학습에 의해서 영향을 받는 언어적 지식 및 수 개념에 대한 능력이 상대적으로 높은 편임을 알 수 있다. 집단간 검사 수행의 차이점을 살펴보면 일반아동의 경우 숫자 소검사 수행이 가장 낮게 나타났지만, 특수아동의 경우 미로 소검사 수행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이 결과를 살펴보면 높은 연령의 일반아동의 지적 특성은 주의력 및 집중력과 단기기억 능력이 상대적으로 낮은 편이었고, 반면에 특수아동의 지적 특성은 계획 능력, 시각-운동협응 능력, 속도 및 정확성이 상대적으로 낮은 편임을 알 수 있다. 넷째, 한국 웩슬러 아동 지능검사 4판의 수행을 보고한 논문 15편 중 일반아동과 특수아동을 모두 검사한 논문은 4편이었으며, 일반아동만을 검사한 논문은 5편, 특수아동만을 검사한 논문은 6편이었다. 일반아동에 대한 논문별 연구대상자 수(n)는 편당 6명에서 200명까지였고, 평균 39명이었다. 연구대상연령은 만 4세에서 만 16세까지였다. 소검사별 수행은 선택(M=12.50(SD=5.41))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기호쓰기(M=9.04(SD=2.74))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지표점수별 수행은 지각추론(M=99.76(SD=14.19))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처리속도(M=95.24(SD=14.07))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전체IQ 수행 평균은 97.05(SD=13.43)로 나타났다. 특수아동에 대한 한국 웩슬러 아동 지능검사 4판의 수행을 보고한 논문별 연구대상자 수(n)는 편당 1명에서 91명까지였고, 평균 22명이었다. 연구대상연령은 만 5세에서 19세까지였다. 소검사별 수행은 빠진곳찾기(M=8.63(SD=3.39))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순차연결(M=6.34(SD=2.72))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지표점수별 수행은 지각추론(M=88.64(SD=14.82))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처리속도(M=81.26(SD=12.89))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전체IQ 수행 평균은 79.72(SD=7.66)로 나타났다. 집단간 한국 웩슬러 아동 지능검사 4판 수행의 공통점을 살펴보면 일반아동과 특수아동 모두에서 지각추론지표 수행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처리속도지표 수행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이 결과들을 해석해 볼 때, 아동용 검사의 사용연령에 해당하는 한국아동의 지적 특성은 지각구성 능력, 공간지각 능력, 추론 능력이 상대적으로 높은 편이었지만, 정신적 작업의 민첩성, 시각적 기억 능력이 상대적으로 낮은 편임을 알 수 있다. 집단간 검사 수행의 차이점을 살펴보면 일반아동의 경우 기호쓰기 소검사 수행이 가장 낮게 나타났고, 특수아동의 경우 순차연결 소검사 수행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이 경우에는 높은 연령의 일반아동의 지적 특성은 정신적 작업의 민첩성이 상대적으로 낮은 편이었고, 특수아동의 지적 특성은 정신적 통제 능력과 집중력이 상대적으로 낮은 편임을 알 수 있다. 한국 웩슬러 아동 지능검사 3판과 4판 모두를 통해 연구된 일반집단과 특수집단 아동을 대상으로 두 검사의 수행특성을 비교해 보면 일반아동의 경우 두 검사 모두에서 처리속도지표 수행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이 점을 통해 높은 연령의 일반아동의 지적 특성은 정신적 작업의 민첩성과 단기기억 능력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편이 아니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특수아동의 경우 두 검사 모두에서 기호쓰기 소검사 수행이 낮은 경향으로 나타난 것도 유사한 점이라 볼 수 있다. 이는 높은 연령의 특수아동의 지적 특성은 시각-운동협응 능력과 정신적 작업의 민첩성이 상대적으로 낮은 편임을 알 수 있다. 한국 웩슬러 유아 지능검사와 아동 지능검사 3판 모두를 통해 연구된 일반집단과 특수집단 아동을 대상으로 두 검사의 수행특성을 비교해 보면 일반아동과 특수아동 모두에서 유아용 검사의 경우 동작성IQ 수행이 언어성IQ 수행보다 높게 나타났다. 특히 모양맞추기, 빠진곳찾기 소검사 수행이 높은 편임을 알 수 있다. 반면 아동용 검사의 경우 동작성IQ 수행이 언어성IQ 수행보다 낮게 나타났고, 특히 상식, 공통성, 산수, 어휘 소검사 수행이 높은 편임을 알 수 있다. 즉 낮은 연령의 한국아동은 시각적 기억 능력과 유전적이며 생물학적 요인이 결정하는 능력이 상대적으로 높은 편이었지만, 연령이 높아질수록 경험이나 학습에 의해서 영향을 받는 수 개념 및 언어능력이 더 높은 경향으로 나타났음을 시사하고 있다. 한국 웩슬러 유아 지능검사 4판과 아동 지능검사 3판 모두를 통해 연구된 일반집단 아동만을 대상으로 두 검사의 수행특성을 비교해 보면 유아용 검사의 경우 처리속도지표 수행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언어이해지표 수행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반면 아동용 검사의 경우 언어이해 수행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처리속도 수행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이 결과 역시 경험이나 학습에 영향을 받는 일반아동의 언어능력은 연령이 높아질수록 더 발달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이처럼 본 연구는 한국 웩슬러 유아 및 아동 지능검사의 수행을 보고한 논문을 종합적으로 고찰하여 한국아동의 지적 특성을 연구해 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한국아동의 지적 특성에 관한 기초자료를 제공함은 물론이고, 향후 관련 연구의 방향 설정에 시사점을 줄 수 있다는 점에서도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주요어: 일반아동, 특수아동, 지적 특성, 한국 웩슬러 유아 지능검사(K-WPPSI), 한국 웩슬러 유아 지능검사 4판(K-WPPSI-IV), 한국 웩슬러 아동 지능검사 3판(K-WISC-III), 한국 웩슬러 아동 지능검사 4판(K-WISC-IV)

      • 지식검색서비스특성이 이용동기 및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 지적호기심의 조절역할을 중심으로

        최영윤 경북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32415

        Porter sites have tried to increase their business potentials by helping users easily engage in diverse on-line activities such as search, entertainment, online communities, and others. Knowledge search engine is one of the most successful killer applications increasing user loyalty. However, most studies have independently focused on search engine technology such as search keyword algorithm, presentation of information, and user characteristics such as cognitive style, search experiences, and skill levels. However, these previous studies lack an integrated understanding of causal links among critical factors predicting user motives and intention involving more situation-specific user characteristics. To fill these gaps in the literature, the present study focuses on whether knowledge characteristics such as expertise, accuracy and variety, and system characteristics such as inter-activity, responsiveness, and channel richness are important in forming user motives and intention. The present study also identifies a moderating role of epistemic curiosity in the links between motives and intention. 539 res-pondents confirmed that all independent factors except expertise improve ease of use. Expertise, variety and channel richness improve usefulness. Variety, interactivity, responsiveness, and channel richness improve enjoyment. And all user motives have a positive impact on intention. The results also confirmed that D-type epistemic curiosity has a moderating effect on the links between ease of use and intention.

      • 여성의 지역운동 참여요인에 관한 연구 : 인천연대를 중심으로

        김지연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32396

        21세기는 세계화의 기본단위인 지역이 더욱 중요한 의미를 지니게 되고 지역 발전의 원동력을 제공하는 지역운동은 그 영향력이 점차 증대되면서, 여성의 참여는 지역운동 발전의 중요한 관건이 될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어떤 여성들이 지역운동에 참여하며, 또한 어떤 요인들이 참여를 이끌어 내는 것인가를 밝히는데 그 목적이 있다. 우리 나라에서 지역운동이 등장한 것은 1980년대 이후의 일이며, 그 구조적 배경에는 산업화의 과정에 따른 지역구조의 변화로 인한 지역적 불균형이 자리잡고 있다. 90년대 이후의 지역운동은 지역개발과 관련된 문제를 포함해 환경, 교통, 여성, 교육, 인권, 문화, 소비 등 다양한 영역에 관심을 가지고 활동영역을 넓혀가고 있다. 지역운동은 개인과 특정하게 관련된 이해가 아닌 공적인 지역관심사가 주된 내용이므로 지역주민의 참여가 지역운동 발전의 중요한 관건이 되며, 특히 지역운동의 영역이 이렇게 다양하고, 활발해지면서 여성참여는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었다. 즉 지역운동이 다루고 있는 문제들이 여성의 관심과 실천적 협조가 없이는 해결이 불가능한 것들이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지역의 궁극적 발전을 가능하게 해주는 지역운동 안에서의 여성의 역할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여, 운동에 참여하는 여성들의 특성을 밝히고, 지역운동 참여를 결정하는 요인이 무엇인가를 규명하는 일은 매우 중요하다. 이 연구에서는 참여를 결정하는 요인을 크게 인구학적 특성, 심리사회적 특성, 지역사회관계특성, 성인지적 특성의 네 가지로 나눈 후 이 가운데 어떠한 요인이 가장 중요하게 영향을 미치는가를 밝힌다. 인구학적 특성은 연령, 거주기간, 활동기간, 결혼유무, 종교유무 등의 요인으로 나누어 보고 심리사회적 특성은 기존 사회운동의 참여요인으로 나온 상대적 박탈감과 행동을 선택할 때 영향을 미치는 자기효능감으로 살펴본다. 지역사회관계특성은 주민의식과 사회관계망을, 성인지적 특성은 성평등의식으로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학적 특성과 관련된 분석에서는 활동기간만이 유의미한 영향력이 나타났고, 연령, 거주기간, 결혼유무, 종교유무는 지역운동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활동기간이 길다고 하는 것은 이 지역에서 거주한 기간이 어느 선 이상이라는 전제가 가능한 일이기 때문에 지역여성들이 지역운동에 한번 참여하게 되면 이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동기부여를 해주는 것이 중요함을 의미한다. 둘째, 심리사회적 특성과 관련된 분석에서는 자기효능감과 상대적 박탈감이 참여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지역환경에 불만이 많음에도 불구하고 상대적 박탈감이 참여의 중요한 요인은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지역사회관계특성에서는 주민의식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고, 사회관계망이 참여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 결과는 지역사회의 구성원들이 기존의 사회관계망을 통해 충원된다는 기존의 결과와 일치하며 개인이 조직행동을 함에 있어서 기존의 조직활용이 중요하다는 것을 말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도 인천지역의 여성들이 인천연대의 조직을 통해 지역운동에 참여하고 있듯이, 조직을 통한 사회관계망 형성이 활발함을 나타내고 있다. 넷째, 성인지적 특성과 관련된 분석에서는 가정성평등의식, 교육성평등의식, 직업성평등의식, 사회문화성평등의식이 지역운동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았다. 이 중에서 가정성평등의식과 교육성평등의식이 유의미하게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냈다. 기존의 사회운동과 마찬가지로 지역운동안에서도 어느 정도의 가부장성을 내포하고 있는데, 지역운동조직의 정책결정이나 리더의 역할을 하는 남성의 비율이 여성보다 현저히 높은 것으로 미루어 보아도 알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이렇게 지역운동에 참여하는 여성들은 사회운동 및 지역운동 안에서의 가부장성을 극복하고 여성과 남성의 역할규정에 대한 비판적 인식을 가지고 있고 높은 성평등의식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위의 네 가지 특성의 요인들이 참여에 미친 영향을 종합적으로 보면 인구학적특성의 활동기간, 지역사회관계특성의 사회관계망, 성인지적특성의 가정성평등의식, 교육성평등의식이 참여에 영향을 미치고 활동기간이 참여를 전제하고 있는 점으로 보면 사회관계망이 참여를 결정하는 가장 큰 요인임을 알 수 있다. 즉 사회관계망의 크기가 클수록 지역운동에 활발히 참여함을 의미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로 여성의 지역운동 참여요인은 한가지 요인이 아니라 다양한 변인들이 복합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지역사회관계특성과 성인지적 특성의 영향력을 고려해 보면, 기존의 지역사회 안에 있는 조직을 활용하여 지역여성들에게 지역현안에 대한 홍보와 이들이 조직에 참여할 수 있도록 체계적인 정책들과 프로그램 등 효과적인 대안을 제시하여, 지역에 대한 새로운 인식을 심어주고, 효과적인 사회관계망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또한 성인지적 교육을 통해 지역운동에서 여성들 스스로가 자신의 가치를 인정하고 동등한 협력자와 리더로서 인식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In this era of globalism, community became more important than ever, and its movement which is the driving force of community is playing much greater role. Addition to this, the number of woman participating in community movement is also increasing. So it is widely expected that community movement will considerably promote. The study here is conducted to see what kind of woman get involve in it, and to clarify the factors mostly leading their participation. It is after 1980s when community movement started in Korea, but it has several structural problems such as imbalance in regional development caused by the process of industralization. Since 1990s, it expanded its territory to various sectors. Basically local issues, but they also included environment, women, education, human rights, culture and consumption. What community movement count on is participation of local citizens. It is because its goals are set for public interests, not personal. Especially women participation got full attention when it became more active than before. Many of problems dealt in the area of community movement could not be solved without their cooperation. Since women's role in community is so crucial in this circumstances, it is needed to recognize their value and to know what makes them to participate in the movement. First, the study will classify the factors causing women participation into four categories and make clear what is the key factor among them. Four categories are demographic, social psychological, community relation and gender perspective characters. Demographic characters is divided into age, residence years, activity years, marital status and religion. Social psychological characters covers relative deprivation and self fulfillment which has influence on determining one's decision. Community relation characters implies the sense of community and social network, and gender perspective characters, gender egalitarianism. The following is the results. In the first analysis of demographic characters, age, residence years, marital status and religion have nothing to do with women participation in community movement. Only activity years has impact on it. When they say activity years is long, it means a person has to reside in a certain place for a long time. So, once a person starts participating, it is considered important to make her to get motives constantly to maintain activity. Second, in the social psychological characters, neither has relative deprivation and self fulfillment meaning to women participation. Even when a person is discontented with her surroundings in which she lives, relative deprivation is not likely to be a big motive to participation. Third, in the analysis of community relation characters, social network turns out to be a great deal to woman participation in community movement. On the other hand, the sense of community is on the contrary. The result accords to the existing report in which people in a local society come together through the social network. It also says that utilizing the established organization is very useful when an individual displays activity in the organic system. In this study, we can take women living in Incheon area for example for this. By getting involved in the community movement through the Incheon Solidarity which is a the local organization, they show that people are being active when they can form a social network. The analysis of gender perspective characters was done by using several different measures. Family gender egalitarianism, education gender egalitarianism, work gender egalitarianism, and social and culture gender egalitarianism are four of them. Among these, family gender egalitarianism and education gender egalitarianism proved to be influential to woman participation. Like old social movement, community movement has a bit of patriarchy in it. The rate of male leaders is much higher in the community and they do the most of decision making in the movement. So, women participating are who overcame this obstacle, and they are very critical on fixed sex role. They also have high sense of gender egalitarianism. Putting together the results above, women participation is influenced by four factors like activity years in demographic characters, social network in community relation characters and family gender egalitarianism, education gender egalitarianism in gender perspective characters. Especially, social network in community relation characters comes first as far as effecting women participation concerned. That is to say, the better social network is organized, the more active women be in community movement. Consequently, many of variables leading women to community movement are connected each other, and does not work individually. Considering community relation characters and gender perspective characters, the best way of heading women participation is to reuse the established organization and suggest systematic policies and programs. By doing thus, effective social network can be formed. Women can have a vision on local community and be exposed to public information through this network. Education on gender perspective characters also counts. It is significant for women to acknowledge their value and recognize themselves as leaders or cooperators equally with men.

      • 지적장애학생의 적응행동 특성 분석

        안수진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32383

        지적장애인의 높은 적응행동 수준은 삶의 질과 만족도와 직결되며 특수교육의 궁극적인 목표이기도 하다. 그러나 많은 수의 장애학생들이 적응행동에 어려움을 겪다보니 학교 졸업 후 지역사회에 적응하여 독립적으로 살아가지 못하고 가정이나 시설로 다시 돌아가는 경우가 많다. 지적장애 학생들에게는 지능과 더불어 적응행동을 기반으로 한 정확한 진단과 분류를 통해 대상자들을 초점화하고 전환교육 프로그램을 통한 의도적인 교육 및 중재를 실시하여야 한다. 이를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적응행동 요인에 기초한 지적장애학생의 적응행동 특성분석과 특히 지역사회 적응과 관련한 핵심 영역인 직업생활 관련 적응행동 특성분석이 요구된다. 지금까지 지능을 바탕으로 지적장애를 정의하고 분류하려는 작업들이 주를 이루었는데 이제 적응행동을 중심으로 지적장애학생들의 적응행동 특성을 밝힐 필요가 있으며 특성의 명료화를 위해 비장애학생들의 적응행동과의 비교를 통해 분석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필요성을 바탕으로 하여 적응행동 수준(Ⅰ,Ⅱ,Ⅲ)에 따라 지적장애와 비장애학생 적응행동 총점이 일정할 때 적응행동 요인 및 하위영역에 대한 차이 양상이 어떻게 나타나는지와 직업생활 관련 영역을 중심으로 한 적응행동 하위유형 구성 비율이 지적장애와 비장애학생에 따라 어떻게 차이가 나타나는지를 알아보았다. 이를 위하여 서울, 인천·경기, 대전·충청, 광주·전라, 대구·경북, 부산·경남 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비장애 유치원생(6세 ~ 7세) 213명, 초등학교 1 ~ 3학년에 재학 중인 비장애학생 706명을 포함한 총 919명과 장애인복지관에서 재활서비스를 받고 있는 고등학생 이상의 지적장애학생 143명을 대상으로 지역사회적응검사(CIS-AⅡ)를 실시하였고 이 중 검사 중도 포기학생 1명을 제외한 142명을 데이터 분석에 포함시켰다. 연구가설을 검증한 결과와 그에 따른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지적장애학생과 비장애학생의 적응행동 총점이 일정할 때 낮은 적응행동 수준(Ⅰ)에서 높은 적응행동 수준(Ⅲ)에 이르기까지 개념적 적응행동 요인의 기초개념 영역에서는 지적장애학생이 비장애학생보다 낮은 점수를 보였다. 또한 적응행동 수준이 높아질수록 개념적 적응행동 요인의 하위영역 중 지적장애학생이 낮은 점수를 보이는 영역이 더 많아졌는데 이는 적응행동 수준이 높아질수록 개념적 적응행동의 수준뿐 아니라 내용적 다양성의 측면에서도 그 요구정도가 높아짐을 나타낸다. 둘째, 지적장애학생과 비장애학생의 적응행동 총점이 일정할 때 사회적 적응행동 요인인 대인관계와 예절 영역은 낮은 적응행동 수준(Ⅰ)일 때 지적장애학생이 비장애학생에 비해 낮은 점수를 보였고 중간 적응행동 수준(Ⅱ)과 높은 적응행동 수준(Ⅲ)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이는 지적장애학생의 적응행동 수준이 높을 때보다 낮을 때 사회적 적응행동 요인이 더 큰 걸림돌이 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적응행동 수준이 낮을 때에는 지적장애 분류와 전환교육 중재 시 사회적 적응행동 요인의 양상을 특히 고려할 필요가 있다. 셋째, 지적장애학생과 비장애학생의 적응행동 총점이 일정할 때 실제적 적응행동 요인인 지역사회 서비스 영역에서는 낮은 적응행동 수준(Ⅰ)에서 높은 적응행동 수준(Ⅲ)에 이르기까지 지적장애학생이 비장애학생보다 높은 점수를 보였다. 특히 높은 적응행동 수준(Ⅲ)에서는 실제적 적응행동 요인의 지역사회 서비스 영역뿐 아니라 직업기능 영역에서도 높은 점수를 보았다. 반면, 높은 적응행동 수준(Ⅲ)일 때 실제적 적응행동 요인인 건강과 안전, 금전관리영역은 지적장애학생이 비장애학생에 비해 낮은 점수를 보였는데 이는 적응행동 수준이 높아질수록 실제적 적응행동 요인에서도 비장애학생 수준으로 향상도가 요구되는 영역이 더 많아짐을 나타낸다. 넷째, 지적장애학생과 비장애학생의 직업생활 관련 적응행동 영역을 중심으로 한 잠재집단 프로파일 분석을 통해 하위유형을 알아보고 비장애학생과 지적장애학생의 하위유형 구성비율 차이를 살펴본 결과 지적장애학생들의 직업생활 관련 적응행동 결손이 심각한 수준이었으며 금전관리와 대인관계에 결함을 보이는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적장애학생들을 대상으로 직업기술과 개념적 기술만을 중심으로 교육 프로그램을 계획할 것이 아니라 실제적인 금전관리 기술을 비롯하여 사회적 기술 훈련과 사회적 의사소통 단서 해석 방법을 교수할 필요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 청소년기 지적장애 학생들의 행동특성 개선을 위한 원예치료 적용

        이예지 高麗大學校 生命環境科學大學院 2010 국내석사

        RANK : 232382

        This study, targeting at middle school students with intellectual and developmental disabilities who are attending M middle school at the city of Suwon, aimed at examining the effect of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on the attention deficit action and behavioral characteristic of social skill of adolescent students with intellectual and developmental disabilities by introducing eco-friendly gardening activity into their activity space 20 times for 90 minutes every time twice per week from April, 2009 and enforcing proper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to the subject. It examined the characteristic of social, psychological, and emotional behavior before and after the operation of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Matson's standard of social skill assessment for child, and the degree of being skilled. And summary of result of the study is as follows. The experiment group which examined the characteristic of social, psychological, and emotional behavior was from pre-average 89.80 to post-average 95.00 and showed statistically similar difference(p=.003). The control group was from pre-average 91.13 to post-average 92.20 and showed statistically similar difference at the level of p<.05(p=.010), but there was a big difference in total average as compared to the experiment group. In case of Matson's standard of social skill assessment, the experiment group was from pre-average 169.80 to post-average 199.87 and showed statistically very similar difference(p=.000). The control group was from pre-average 183.07 to post-average 186.93 and showed statistically similar difference(p=.021) at the level of p<.05, but there was a difference in average as compared to the experiment group. In case of examining the degree of being skilled, the experiment group was from pre-average 12.40 to post-average 19.07 and showed statistically very similar difference(p=.000), and the control group was from pre-average 12.467 to post-average 11.933 and thus, the average was decreased and the experiment group was increased dif6.67 in average. Therefore, it is indicated that the degree of being skilled to the gardening activity was improved at the experiment group after the operation of horticultural therapy. In case of ACTeRS, the experiment group was from pre-average 47.40 to post-average 52.73 and showed statistically similar difference(p=.035). The control group was from pre-average 47.87 to post-average 48.40 and didn't show statistically similar difference(p=.072) at the level of p<.05. Accordingly, it was assessed and analyzed that the horticultural therapy has a positive effect on ADHD and the behavioral characteristic of social skill of adolescent students with intellectual and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thus, the degree of being skilled is improved and it was also efficient to social, psychological, and emotional behavior. At an adolescent period that one grows rapidly physically and mentally during one's lifetime, students with intellectual and developmental disabilities lack attention and go through emotionally difficult time because of neurological problem, lack of functional development, and shortage of perceiving abilities. The social skill represents sociality to students with intellectual and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if the improvement of behavior of social adaptation is the most important goal of education, it was indicated that the horticultural therapy is possible to approach to students with cognitive retardation without a psychological burden while at the same time it is very effective to the improvement of social skill. The follow-up study of professional long-term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for the juvenile disabled is constantly necessary in the future, and you can look forward to considerable rising effect on the expansion of the base of horticultural therapy and recognition about the specialized area by the existence and activity of that field of study. 본 연구는 청소년기 지적장애학생이 원예활동을 통하여 집단 활동을 체험하게 하여 식물을 가꾸면서 정서적 안정 및 행동특성을 알아보아, 그들의 활동 공간 내에 자연친화적인 원예활동을 도입시켜 대상에 적절한 원예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그것이 청소년기 지적장애 학생들의 행동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수원시의 M중학교에 재학중인 지적장애 중학생들을 대상으로 2009년 4월부터 매주 2회씩 매회 90분간 20차에 걸쳐서 실시하였다. 원예치료 프로그램 실시 전과 실시 후에 사회적 · 심리적 · 정서적 행동 특성검사, ACTeRS(ADHD 주의력 결핍행동 교사용 평정지), Matson의 아동용 사회기술평가척도, 숙련도 검사를 하였으며 비교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사회적 · 심리적 · 정서적 행동 특성검사 실험군은 사전 평균 89.80에서 사후 평균 95.00으로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 사전, 사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전체적 평균을 볼 때에도 실험군이 원예치료 프로그램 실시 후 사회적 · 심리적 · 정서적 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Matson의 사회기술 평가척도의 경우에도 실험군은 사전 평균 169.80에서 사후 평균 199.87 으로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 사전, 사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원예치료 프로그램이 청소년기 지적장애 학생들의 사회기술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숙련도 검사의 경우 실험군은 사전 평균 12.40에서 사후 평균 19.07으로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 사전, 사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전체적 평균을 볼 때에도 실험군과 대조군 사이에는 큰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원예활동이 청소년기 지적장애 학생들의 숙련도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의력 결핍행동의 경우 실험군은 사전 평균 47.40에서 사후 평균 52.73으로 실험군 사전, 사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전체적 평균을 볼 때에도 실험군과 대조군 사이에는 큰 차이가 있었다. 이에 원예치료가 청소년기 지적장애 학생들의 주의력 결핍행동과 사회기술 행동특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이에 따라 숙련도가 향상되며 사회적 · 심리적 · 정서적 행동에도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청소년기 지적장애 학생들의 행동특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평가, 분석되었다. 일생 중 신체적 · 정신적 성장이 급격히 이루어지는 시기인 청소년기는 지적장애 학생들에게는 더욱 신경학적 문제, 기능적 발달의 결핍, 지각능력의 부족에 의해 주의력이 결핍되고 사회적, 정서적으로 힘든 시기를 보내게 된다. 지적장애 학생에게 있어 사회기술이란 사회성을 대표하며, 사회적응행동의 향상이 가장 중요한 교육의 목표라고 할 때, 원예치료는 인지적 지체를 가진 학생들에게 심리적인 부담 없이 접근 가능함과 동시에 사회기술 향상에 효과가 매우 큰 것으로 나타났다.

      • 단어목록 회상에서 경도 지적장애 성인의 구어기억 특성

        류수연 대구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32350

        본 연구에서는 단어목록 회상에서 경도 지적장애 성인집단과 언어연령을 일치시킨 일반 학생집단 간의 수행력을 비교하여, 경도 지적장애 성인의 양적(단어 회상양), 질적(계열 위치효과, 목록 유형 효과, 오기억 현상) 구어기억 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경도 지적장애 성인 9명과 수용․표현 어휘력 검사(REVT)를 통해 언어연령을 일치시킨 일반 학생 9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구어기억의 양적, 질적 측정을 위해 오기억 연구의 대표적 도구인 DRM(Deese - Rodieger - McDermott) 패러다임의 단어목록을 수정·보완하여 즉각회상 과업을 실시하였다. 연구를 통해 얻어진 자료들은 t검정과 반복측정 분산분석(repeated measure ANOVA)을 통해 통계적 처리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경도 지적장애 성인집단과 언어연령을 일치시킨 일반 학생집단 간의 단어목록 회상(자유 회상)에서 총 회상 단어 수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경도 지적장애 성인(71.78)은 언어연령을 일치시킨 일반 학생(42.33)보다 총 회상 단어 수가 유의미하게 낮았다. 즉, 경도 지적장애 성인들은 일반 학생에 비해 구어기억의 용량이 양적으로 제한된다는 것을 나타낸다. 둘째, 경도 지적장애 성인과 일반 학생의 계열위치에 따른 회상률을 살펴본 결과 두 집단 모두 마지막위치, 처음위치, 중간위치 순으로 높은 회상률을 나타내며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경도 지적장애 성인의 계열위치 효과에는 상대적으로 결함이 없다는 것을 나타낸다. 셋째, 경도 지적장애 성인과 일반 학생의 목록유형에 따른 회상률을 살펴본 결과, 두 집단 모두에서 목록유형별 회상률의 평균이 의미유형, 복합유형, 음운유형 순으로 높았다. 각 집단 내에서 목록유형별 회상률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며, 높은 의미유형 목록의 회상률은 의미연상이 음운연상 및 복합된 연상에 비해 높고 정확한 회상에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다. 이를 통해 지적장애인의 목록유형 효과 및 활성화 확산현상이 비교적 보존됨을 알 수 있다. 넷째, 경도 지적장애 성인과 일반 학생의 목록유형별 오기억 회상 단어 수를 비교해 본 결과, 경도 지적장애 성인의 경우 복합유형, 의미유형, 음운유형 순으로 많은 오기억 회상을 보였고, 일반 학생은 복합유형, 음운유형, 의미유형 순이었다. 주목할 점은 두 집단 모두에서 처리 과정을 반영하는 오기억 현상이 나타난 것으로 이는 경도 지적장애 성인집단에서 기억 처리 과정이 비교적 보존됨을 반영한다고 볼 수 있다. 두 집단 모두 복합유형에서 가장 많은 오기억을 회상하였는데, 이는 복합목록이 오기억 회상을 초래하는 초 가성효과를 유도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즉, 두 집단 모두에서 목록유형별 오기억 회상 양상이 유사함으로 경도 지적장애 성인의 초가성 효과 및 오기억 현상은 비교적 보존됨을 확인할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경도 지적장애인의 기억 능력의 결함이 제한된 용량에 의해 특징 지어지며, 기억 처리 과정은 비교적 온전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performances of the adult group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y and the normal group of students with language age in word list recall and to investigate the quantitative(Total word recall) and qualitative(Serial Position Effect, effect of list type, false memory phenomenon) memory characteristics of adult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y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9 adults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9 normal students who matched the language age through the acceptance and expression vocabulary test (REVT). For th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measurement of verbal memory, the word list of the DRM(Deese - Rodieger - McDermott) paradigm, which is a representative tool of false memory research, was revised and supplemented and immediate recall task was carried out. The data obtained through the study were statistically processed by t-Test and repeated measure ANOV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difference of the total number of recall words in the recall of word list between adult group with mild intellectual(42.33) disability and general student groups that match language age the adults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ies had significantly lower total recall words than the general students(71.78) who matched the language age. That is, adults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ies have a quantitative limit on the capacity of verbal memory compared to general students.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recall rate according to the Serial Position of adults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y and general students, both groups showed the highest recall rate in the order of the last position, the first position, and the middle position, and did not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Serial Position Effect of adults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ies is preserved. Thir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recall rate according to list type of adults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y and general students, In both groups, the mean recall rate by list type was higher in the order of semantic type, hybrid type, and phonological type.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ecall rates among the list types in both groups. The recall rate of the high semantic type is found to affect the higher and more accurate recall than the semantic associative and hybrid associative. This suggests that the effect of list type and spreading activation phenomenon is relatively preserved in adults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y. Fourth,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number of false recall words by list type of adults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y and general students, in the case of mild intellectual disability, there were many false recall in the order of hybrid type, meaning type and phonological type. General students were followed by hybrid type, phonological type, and semantic type. It is noteworthy that false memory phenomenon process was reflected in both groups, indicating that the memory process of adults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y is relatively preserved. Both groups recalled the most false memory in the hybrid list, indicating that the hybrid list induces a superadditive effect resulting in false recall. In other words, it was confirmed that the superadditive effect and false memory phenomenon of mild intellectual disability were relatively preserved because the false recall patterns of the two groups were similar.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memory deficits of mild intellectual disabilities are characterized by limited capacity and memory processing is comparatively intac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