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예비음악교사들의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교육과정 만족도 조사 : 부산·경남지역으로

        임예지아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9695

        50년 역사를 통해서 많은 성장을 한 교육대학원은 우리나라의 교육발전에 많은 공헌해왔다. 교육대학원의 학생유치 경쟁은 앞으로도 더욱 치열해질 것이라는 사실과 각 교육대학원은 생존을 위해 수요자 중심의 교육의 질을 높이고 학생들에게 만족할 만한 교육을 제공할 필요가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교육에 있어 교육과정 만족도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재학생들이 수강하고자 하는 교과목을 다양하게 선택할 수 있는지, 연장선상에 이뤄지고 있는 학습 과제가 적절한지, 성적평가에 있어서 학생들이 만족하고 있는지 등의 여러 요인과 교육 만족도는 수요자들의 교육의 질적 요인에 영향을 미친다. 이에 본 연구는 부산·경남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교과과정 운영체제에 대한 문제점을 파악하고 미래의 교육대학원의 발전 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었으며 부산·경남 4개의 음악교육전공 교육과정 만족도 조사를 재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분석을 통한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대부분의 교육대학원 재학생들은 진학동기 이유 중 교사가 되기 위해 진학했다는 답이 가장 많았으며, 교사가 되기를 희망하고 졸업 후 교사로 활동하기 원하는 학생들이 진학하는 만큼 교육대학원에서는 수요에 따른 질 높은 교육과정을 제공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부산·경남 소재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재학생들의 교과과정 운영체제에 대한 만족도 조사 분석에 의한 불만족 요인들과 그에 대한 해결책을 기초로 하여 음악교육전공 교과과정이 더욱 발전하기를 기대한다.

      • 현 예술계 고등학교에서 한국무용의 교육현황에 관한 연구

        김현숙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는 예고교육의 교과과정의 편성과 실기교육의 실태를 조사, 분석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이고 이상적인 한국무용 교육의 방향을 제시하는 데에 그 목적을 두었다. 위의 논제를 해결하기 위한 연구방법으로는 문헌연구와 조사자료를 통한 선행연구사례, 무용교사 등의 인터뷰를 중심으로 이루어졌고, 서울지역을 표본으로 부산, 경남지역의 7군데를 대표적으로 선정하여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이론적 배경으로는 무용교육의 개요와 한국무용 교육의 역사적 전개를 살피고, 내용분석으로는 현행 예술계 고등학교 무용과 교육과정과 한국무용 실기교육의 실태를 조사, 분석하였다. 이상의 과정을 통해서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무용교육은 무용이 체육의 한 영역으로서 교육의 목적이 아닌 수단으로 국한 해석하는데 그 모순점이 있다. 따라서 예고교육은 국한된 교육이념과 제도, 교육과정을 취할 수밖에 없으며, 무용을 전문으로 하는 예고의 교육실정에는 맞지않는 교과과정이 편성될 수밖에 없다. 특히, 보통교과와 전문교과과정 중 전문교과의 비중이 우선시 되어야할 예술고등학교가 일반고등학교와 차별성 없는 교과과정 편성기준으로 말미암아 노력과 시간의 낭비를 초래하고 있다. 때문에 예고교육이 전문교육기관으로서 그 특성화를 살리기 위해서는 전문교과의 폭넓은 교재개설과 시수확충은 물론 그에 따른 실기수업의 비중을 대폭 강화하는 단계적이고도 전문적인 교육내용으로 새로운 교과과정의 개편을 이루어야한다. 둘째, 한국무용이 국가경쟁력을 키우기 위해서는 단계적 교육방법에 의거한 조기교육과정이 필요한데, 현 교육체제는 전문무용 교육기관을 고등학교에 집중적으로 편중시키고 있어 전문가양성을 위한 초등학교의 전문무용 교육기관은 전무한 상태이다. 또한 전국 예술고등학교의 무용과 현황은 15개 교로서 4개교 정도가 서울지역에 분포하고 있고, 그 밖에 각 도별로 1개교가 설립되에 있으나, 유일하게 강원지역에서만 전무한 상태여서 학생들이 강원지역에서 전문무용 교육을 받을 기회가 전혀 없다. 때문에 서울지역에만 편중되어있는 예술고등학교를 각 지역별로 골고루 분산시키고, 예술초등학교의 설립을 시발점으로 하여 중, 고등학교에서 대학교로 이어지는 연계성 있는 전문가양성으로 단계적 전문교육을 이루어야한다. 셋째, 한국무용 실기교육은 춤의 기능전수에만 급급한 '따라하기식'의 비능률적 교육방법으로서 교사의 몸짓에만 의존하여 지도해왔다. 특히, 무용은 속성상 추상적이고 비구체적인 분야이기 때문에 교사를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기존의 시범, 모방위주의 무용수업 형태는 그 성과면에서 좋은 결과를 기대하기란 쉽지 않다. 때문에 학생들의 실기지도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는 하나의 통일된 한국무용의 용어정립과 함께 한국무용 실기교재 개발이 이루어져야한다. 또한 예고의 무용교육이 창의력에 바탕을 둔 정서교육이란 점에 비추어볼 때, 창작관련 과목의 개설은 예고교육에서 매우 중요하며, 필수적 요소이다. 따라서 창작관련 교과서가 학습자의 주된 도구로서 기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는 학생들의 지도에 용이한 지침서로서의 창작무용 모형개발 프로그램도 함께 이루어져야한다. 넷째, 한국무용 실기수업의 내실화를 위해서는 전문실기 교육을 심화해야 한다. 때문에 교사들은 무용연수나 기능 보유자들을 통해 자신의 기량과 자질을 함양시킴은 물론 무용교사 상호간의 정보교류와 친밀한 유대관계를 통해 끊임없는 자기개발을 이루어야 한다. This research aims at suggesting more efficient and ideal directions of Korean dance education by examining and analyzing the curriculum and technical education in artistic high schools. Among the research methods were the investigation of the concerned literature and some previous studies as well as the interviews with dance teachers. With a sample in the Seoul area, seven places in the Pusan and Kyongnam regions were arbitrarily chosen. For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is thesis, the general outlines of dance education and the historical developments of Korean dance education were reviewed. In addition, the current curriculum of the Dance Dept. and the technical education practices of Korean dance in domestic artistic high schools were analyzed. The conclusions shown below sum up the results: 1. The key problem with dance education is the fact that dance, as part of physical education, is interpreted not as an educational objective but as a means. So the education in artistic high schools has an improper curriculum owing to the limited educational ideology and system. The significance of special courses is neglected, and lots of time and efforts are wasted due to the curriculum similar to that of general high schools. Therefore, in order that artistic high schools regain their place as a special institution, a new curriculum with specific courses and weighted technical education should be prepared step by step and professionally. 2. Early education is absolutely necessary for Korean dance to be globally competitive. The present dance education system is heavily focused on high schools, while no special institutions at the level of elementary schools are available. There are 15 artistic high schools in Korea, 4 in Seoul and one each in provinces except the Kangwon do area. Then, Seoul-centered artistic high schools need to be evenly scattered throughout the country, and artistic elementary schools should be established as soon as possible for hierarchical specialist rearing education from early age to adulthood. 3. The technical education of Korean dance has so far been ineffectively dependent on the method of imitating and following the techer's movements. Since dance belongs to a rather abstract filed, the classes centered on demonstrations and mimicry can hardly achieve good results. That's why we need the development of technical education textbooks and a unified book of dance glossaries. In addition, as dance education is both emotional and creative, the opening of creativity-concerned courses is a must. Also, model development programs of creative dance are desirably required. 4. Special practical skill education should be strengthened for a fruitful and qualitative technical education of Korean dance. The techers, therefore, should incessantly strive to be over qualified through frequent dance training sessions and information exchanges.

      • 대학부설 평생교육기관 성인학습자의 프로그램 만족도에 관한 연구

        유재열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는 부산지역 대학부설 평생교육기관에서 수강 중인 성인학습자를 대상으로 프로그램에 대한 참여경험, 만족도 및 요구내용을 조사·분석함으로써 지역사회 성인학습자의 평생학습적 요구를 만족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의 개발 및 운영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부산지역 대학부설 평생교육기관에서 수강 중인 프로그램에 대한 성인학습자의 참여경험은 어떠한가? 둘째, 부산지역 대학부설 평생교육기관에서 수강 중인 프로그램에 대한 성인학습자의 참여 만족도는 어떠한가? 셋째, 부산지역 대학부설 평생교육기관에서 수강 중인 프로그램에 대한 성인학습자의 요구내용은 무엇인가? 이를 위해 평생교육에 관한 국내ㆍ외의 문헌을 수집하고 분석하는 문헌연구와 조사연구를 병행하였다. 이론적 고찰에서는 평생교육의 개념과 이념적 속성, 대학평생교육의 발전, 대학평생교육의 국제적 동향과 우리 나라 대학평생교육의 발달에 대하여 선행연구를 토대로 살펴보았다. 조사연구에서는 선행연구와 관련 자료를 참작하여 설문지를 작성하였으며, 부산지역 대학부설 평생교육기관의 강좌에 참여하고 있는 성인학습자 600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최종 분석에는 미회수 및 무성의한 응답지를 제외한 471부를 이용하였다. 자료처리 방법은 조사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포와 백분율을 산출하였으며, 집단 간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교차분석과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모든 통계는 유의수준 1%와 5%에서 검증하였으며, 자료분석은 SPSSWIN. 10.1 통계 프로그램으로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프로그램의 참여경험에 대한 결과로서 성인학습자들이 평생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목적은 지식 및 정보의 습득, 직업능력의 향상, 기타, 여가선용, 대인관계의 증진 순으로 나타났다. 직업에 따라서도 전체적인 반응양상과 크게 다르지 않으나 단지, 학생의 경우에는 지식 및 정보의 습득(45.5%)보다 직업능력의 향상(50.9%)이 더 높게 응답되었다. 이는 직업 및 취업과 관련한 자기계발을 목적으로 학생들이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경우가 많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프로그램의 참여경로는 아는 사람의 소개를 통해, 홍보물을 통해, 대중매체를 통해의 순으로 나타났다. 연령에 따라서는 50대 이상의 경우 아는 사람의 소개를 통해서가 다른 연령 대에 비해 훨씬 높게 나타났다. 이는 50대 이상의 경우 젊은 연령층에 비해 대중매체나 홍보물을 접할 기회가 다소 제한 받고 있음을 유추해 볼 수 있다. 평생교육 프로그램의 참여를 통한 생활의 도움 정도에 대해서는 조사대상의 86.2%가 긍정적으로 평가했으며, 대학부설 평생교육기관을 선택한 이유로서는 유명 강사진, 기타, 저렴한 수강료, 편리한 교통, 우수한 시설의 순으로 응답하였다. 그러나 월평균 수입이 200만원 미만인 저소득층의 경우에는 유명 강사진 보다 저렴한 수강료를 더 많이 선택하였다. 저소득층 성인학습자의 경우 수강료가 평생교육기관을 선택함에 있어 가장 큰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평생교육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성인학습자의 95.1%가 필요하다고 응답함으로써 대부분의 성인학습자들은 평생교육이 필요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프로그램 수강 중 겪은 애로사항으로서는 시간 부족, 거리상의 문제, 수강료 부담, 학습능력의 부족, 기타의 순으로 나타났다. 시간 부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정기적인 설문조사를 통해 성인학습자의 선호시간을 조사·분석하고 이를 기초로 프로그램의 개설시간을 편성해야 할 것이다. 또한 직장인을 위한 주말 반을 개설하는 등 프로그램의 개설시간을 보다 다양화 해야 할 필요가 있다. 둘째, 대학부설 평생교육기관에서 수강 중인 성인학습자의 프로그램 참여 만족도에 대한 결과로서 성인학습자의 대부분은 평생교육 프로그램에 대해서 대체로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여성보다는 남성이, 미혼보다는 기혼이, 세대 구성원이 많은 학습자가 세대 구성원이 적은 학습자 보다 프로그램에 대한 참여 만족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각 영역별 프로그램 참여 만족도 대해 살펴보면 수업분위기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다음으로 수업의 질, 수강인원, 강의방법 및 강사의 강의준비에 대한 만족도가 비교적 높게 나타난 반면, 교육기간, 교육시설, 수강료에 대한 만족도는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특히 수강료에 대한 만족도가 낮은 것은 성인학습자들이 대학부설 평생교육기관을 이용함에 있어서 수강료 부담을 큰 애로점으로 여기는 것과 일치된 반응으로 볼 수 있다. 셋째, 대학부설 평생교육기관에서 수강 중인 성인학습자의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사항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프로그램의 적정 수강인원은 10-20명 미만, 20-30명 미만, 10명 미만, 30명-40명 미만, 40명 이상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1회 수업시 적정 교육시간으로는 2-3시간 미만, 1-2시간 미만, 3-4시간 미만, 1시간 미만, 4시간 이상의 순으로 나타났다. 주당 적정 교육횟수로는 주2회, 주1회, 주3회, 주4회 이상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프로그램의 적정 교육기간으로는 2-3개월 미만, 5개월 이상, 3-4개월 미만, 4-5개월 미만, 2개월 미만의 순으로 나타났다. 효과적인 강의방식으로는 실습 및 현장교육, 강의식 수업, 토론식 수업, 발표식 수업, 기타의 순으로 나타났다. 평생교육 프로그램의 적정 수강료는 10-15만원 미만이라는 응답이 가장 높았다. 그러나 월평균 수입이 100만원 미만인 성인학습자는 5-10만원 미만(54.1%)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월평균 수입이 적은 성인학습자들의 경우 고소득 성인학습자에 비하여 수강료에 대한 부담을 많이 느낄 수밖에 없으므로 저렴한 수강료를 선호하는 것으로 보인다. 마지막으로 대학부설 평생교육기관에서 보완해야할 사항이 무엇이냐는 질문에 대해서는 시설·설비, 수강료 부담, 강의방법, 강사자질, 기타의 순으로 나타났다. 대학부설 평생교육기관은 다른 교육기관에 비해 양질의 교육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으로 인식되어 왔으나, 이외로 많은 성인학습자들이 시설·설비의 보완과 수강료 부담을 해소해 줄 것을 요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제 대학은 지역사회의 봉사자로서 평생학습체제의 구출과 평생교육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평생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이나 운영에 있어 이러한 성인학습자의 요구를 충분히 고려해야 할 것이다. To help develop and run programs that meet adult learners' demand on continuous learning in the local community, with the subjects of adult learners enrolled in continuing education centers attached to universities in Busan, this study examines and analyzes their experiences about and satisfaction with programs offered and their suggestions and demand on programs. The study questions set up to achieve the goal are as follows: (ⅰ) what kinds of experiences do adult learners have who are enrolled in programs offered by continuing education centers attached to universities in Busan?; (ⅱ) how much these adult learners are satisfied with the programs they are in?; (ⅲ) what they think need to be improved to make better programs? To answer these questions, efforts were made to study domestic and international literature on the programs of university continuing education centers and construct the questionnaires circulated to 600 adult learners of continuing education centers in Busan. With the exception of uncollected and unsatisfactorily answered questionnaires, 471 copies were examined in two methods: first, frequency and percentage were calculated to explore the general property of the subjects and then cross analysis and analysis of variance were made to test the differences between groups.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for continuing education centers to develop a variety of high-quality programs to meet adult learners' demand on continuous learning and run those programs effectively. This sounds reasonable in that most of the adult learners of continuing education centers take classes to develop themselves and learn more. Second, there is a need to offer various classes at different time, given that adult learners surveyed pointed out the lack of time as the most serious problem they have. It is suggested that the time zone preferred by adult learners be investigated and reflected in scheduling classes and that weekend classes be offered for those who are not available during weekdays. Third, now that there are many people who wish to enroll but can't for financial reasons, it seems that more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 by the central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 is in need to encourage more local residents to participate in the programs. At the same time, universities themselves should put more focus on the service function of their continuing education centers to the society than on their commercial aspects. Fourth, universities are advised to open more school facilities to the students of their continuing education centers and make more efforts to improve educational environments in various ways. More validity is given to this suggestion by the fact that contrary to the general belief that most university continuing education centers provide high-quality education services based on their human and material resources, a great number of the center students think that the university facilities they can use are not fully satisfactory in terms of number and quality.

      • 교과 간 융합의 통합음악교육에 관한 학위 논문 총람 분석 : 중학교 대상 연구논문을 중심으로

        최윤정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9663

        오늘날의 사회는 빠르게 변화하고 그로 인한 정보의 방대함은 통합교육에 있어 당위성을 제공한다. 모든 정보를 가르친다는 것은 실질적으로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통합교육은 교과 간 경계를 극복하고 지식 간의 중복을 피해 상호 관련된 정보의 수용에 탁월한 효율성을 부여한다. 본 연구는 사회기류에 따른 개연적 결과로 인한 통합교육이라고 하는 교육 사조가 음악교과 내에서만 이루어지는 교육이 아니라 교과 간 융합적 통합교육으로의 확고한 저변형성에 도움이 되고자하며, 더불어 그 방향의 모색에 주된 목적을 두었다. 연구에 앞서 ‘통합교육’을 주제로 하여 국내 학술지 및 석·박사 논문의 연구 동향을 분석한 6편의 석사학위논문을 고찰하였다. 이론적 배경으로는 통합교육의 개념과 등장배경 및 정립된 이론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그리고 우리나라 국가주도 하의 교육과정에 도입되어 시행되고 있는 통합음악교육에 대하여도 파악하였다. 이러한 통합교육에 대한 이론적 배경 고찰을 바탕으로 중학교 음악교과와 타 단일교과 간의 통합교육을 주제로 한 국내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자의 학위논문 총 27편의 연구동향을 다음과 같이 분석· 연구하였다. 첫째, 외적 분석으로 연구된 연도별· 교과과정별· 교육대상별· 통합교과별 통합음악교육의 현황을 조사하였고 이를 표와 그래프로 나타내었다. 둘째, 내적 분석으로 본 연구의 대상인 학위논문들의 연구방법과 연구내용을 세부적으로 분류하면 연구별로 연구자의 성향에 따라 학자의 교육이론을 적용한다거나 스마트 기기를 활용하는 등의 다양한 특징이 연구에 반영되기도 하였다. 통합교육에 관한 연구는 2009년 이후 대폭적인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다. 음악교과와 통합된 타 단일교과의 비율을 보면 사회·미술·국어 교과 순으로 선호도가 높으며 그 외 교과의 선호도는 낮은 것으로 연구되었다. 본 연구의 대상 학위논문 27편은 모두 지도안의 형태로 연구되었는데 이는 단편적인 지식 전달이 아닌 창의적이고 능동적인 교사역량의 중요함을 시사하며 또한, 이는 아무리 강조하여도 지나치지 않을 것이다. 현대 사회는 지식의 다양성에 대한 그 효율적 가치를 인정하며 인재육성을 위하여 교과 간 융합의 면모를 갖춘 진정한 의미의 통합음악교육을 필요로 한다. 진정한 의미의 통합이란 단순히 물리적으로만 이루어지는 표면적인 것이 아니라, 교과 간의 관계를 뛰어넘어 동시적인 교육을 통하여 새로운 것을 창출해 낼 수 있는 교과로의 목표점을 지향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가 차후 통합음악교육의 발전에 도움이 되며, 그 교육적 가치를 높이는 데에 기여할 수 있는 긍정적 역할을 수행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한국 교육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연구 : 독일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박의석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9663

        현재 한국은 교육과 관련하여 많은 문제들이 사회적 이슈가 되고 있고 많은 문제들이 학부모 단체나 교육관련 단체들에 의해 제기되고 있다. 이런 문제들의 원인은 우리의 교육제도가 대학입시를 중심으로 움직이고 있다는 것에 있다. 표면적으로는 시대에 맞는 인재를 양성하고 인성을 개발하는 등의 목표를 제시하고 있기는 하지만 사회적인 풍토나 실질적인 운영 면에서는 오로지 대학입시라는 한가지 목표를 위해 교육제도가 움직이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러한 문제로 인하여 한국은 현재 고학력 취업난과 제조업 인력난이라는 이중고를 겪고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외국인 근로자를 고용하거나 취업 및 재취업교육을 강화하는 등의 대책을 시행하고 있으나 이 또한 각종 부작용으로 인하여 사회문제를 야기하고 많은 사회적 비용을 발생시키고 있다. 이러한 상황을 타개하기 위해서는 학벌보다 진정한 능력과 실력을 가진 인재를 키워내는 교육이 필요하고 본 연구에서는 그 모델을 독일의 교육제도에서 찾아보고자 한다. 독일은 완전히 복선화 된 교육과정을 통해 무조건적인 대학진학이 아닌 직업교육과 대학진학이라는 큰 틀 속에서 다양한 선택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대학교육도 입학만 하면 졸업이 가능한 한국과 달리 철저한 관리 없이는 학위취득이 불가능한 독일의 교육시스템은 독일이 막대한 통일비용을 부담하면서도 세계 경제에서 여전히 강대국의 지위를 확보하는 밑거름이 되었다고 생각한다. 본 연구에서는 교육제도와 독일의 학제, 학교의 운영 방식을 문헌자료를 이용하여 서로를 비교하고 독일제도의 장점을 수용하여 한국 교육제도의 개선방안을 찾아보았다. 현재의 한국의 6-3-3-4학제를 개편하여 유치원 교육을 초등학교 과정에 포함시킨 6-3-3-4제도로 개편하거나 유치원 교육도 기본 학제에 포함시키고 중등교육과정을 완전 복선화 하여 중등교육 2단계를 대학진학이나 산업현장 진출을 의한 실습 및 준비과정으로 하는 6-4-2-4제도로 한국의 기본 학제를 개편할 필요가 있다. 공교육부분에서 제외되어 있던 유치원 교육을 공교육제도 안으로 포함시키고, 중등교육에서 중복되고 있던 과정을 좀더 효율적으로 운영하며, 독일과 같이 현장과의 연계정책과 대학진학 준비과정의 교육을 효율적으로 운영하여 우수 인력을 조기에 확보하고, 대학은 입학과 동시에 전공 과정을 이수하기 시작하여 연구기능을 강화해야 것이다. 이러한 학제의 개편과 아울러 독일처럼 초·중등과정의 학교에 상담전문교사나 전문 상담사를 배치하고, 학교의사나 보건전담 교사를 배치하는 등 교육환경개선이 필요하다. 또한, 전체적인 수업 시간 축소를 통해 다양한 경험을 하고 교과과정 이외의 다른 곳에서 직접 보고 체험하면서 배울 수 있는 기회를 늘리는 등 한국 교육제도를 전반적으로 개선해야 한다. Today there are many social issues on nation's education in Korean society and lots of them are presented by parents' group and educational kinds of groups. The reason of these issues is that Our educational system is dependant on entrance system to the collage. In the superficial point of view, it suggests the goal for raising competent persons and developing good human nature, but in the substantial point of view, our educational system is just for collage entrance. Due to these kinds of problems, high educated persons have trouble in getting job and manufacturing industry has trouble in getting human resources. To solve these problems, though, some industries have hired foreign workers or enforce re-education for career, this policy has causes lots of social problems and lots of loss in society through various ill side effects. To solve this serious problems, our education system must put stress upon raising a competent person, so in this research, I want to look for the proper model in the Germany educational system. In Germany, two other curriculums provide various choices such as vocational Education and education for collage. In the collage, German educational system does not permit graduation without complete self-management. The power which German has in the world is based on this educational system. In this research, comparing with educational system, curriculum, management in German through various previous researches, I tried to search for improvement of our educational system. At first, I suggest that our 6-3-3-4 educational system should be changed to 6-3-3-4 system which includes kindergarten. Second, I think that our current system had better change into 6-4-2-4 system which includes kindergarten and two-way system in middle school - one is for collage and the other career. This system will provide efficient human resources to the industries and proper preparation for collage education. If so, collage has to enforce function for research. In addition to this change of educational system, every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should have professional counsellor, school doctor, etc. And by reduction in classes, school have to give various experience to students. In short, we should escape from education for exam and provide students various experiences in various social fields to help them choose their future for themselves.

      • 중등학교 융합형 디자인교육 방안연구

        이채희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9663

        중등학교 융합형 디자인교육 방안연구 A Study on the Research for Education Plan of Focused on Design in Secondary Schools 디자인․공예교육전공 이 채 희 지 도 교 수 하 상 오 지식을 기반으로 하는 정보화 사회로 접어들면서 중등교육은 과학, 기술, 예술 등 학문 간의 융합을 통해 다양성과 전문성을 조화시킬 수 있는 능력 계발학습의 필요성에 직면해 있으며, 디자인 학계도 이에 관련한 연구에 집중하고 있다. 그러나 융합교육과 관련한 중등 디자인교육의 학교 현장은 일부 시범적으로 시행하고는 있으나, 미술과 교사들의 융합교육에 대한 이해 그리고 전문교사의 부족으로 교과내용 및 교육프로그램 등의 완성도가 미흡한 실정이다. 현재 융합을 통한 중등 미술교육은 대체로 과학과 수학을 중심으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예술과 다른 학문분야와의 융합은 아직 적극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와 같은 배경은 안정적 융합 교육의 정착을 위해서 현행 미술 교육과정의 이론과 실습내용에 대한 변화를 필요로 한다. 그러나 현재 우리나라 2009년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에서 융합 디자인 관련 교육은 거의 시행되지 않고 있으며, 미술교과서 내용 또한 융합 디자인과 관련된 부분은 극히 미미하였다. 이것은 아직 중등학교 미술과 교사들의 융합디자인에 대한 이해의 부족 그리고 전문교사의 부족으로 교육현장에 적용하기 어려운 질적․양적 문제에 직면해 있다는 의미이다. 이와 관련하여 일부학교에서 시범 시행되는 주제(프로젝트)중심의 디자인교육은 융합디자인 교육의 방향을 제시하는 참고사례가 되고 있다. 외국의 경우는 미국과 영국을 제외하고 별도로 융합교육이라는 명칭은 사용하지 않고 있으며, 미국과 영국의 경우도 ‘주제 중점별 융합디자인 교육’이 주를 이루었다. 특히 일본과 싱가포르의 디자인 교육은 디자인 기초학습에 관한 ‘조형교육’과 ‘문제해결 능력’을 중시하고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우리나라와 외국 사례를 비교분석해 본 바, 사교육과 입시위주의 파행적 교육 상황 등에 비추어 볼 때, 미국과 영국의 ‘주제중점별 융합디자인 교육’은 방과 후 학습 및 동아리 활동학습이 우리나라에 적합하고, 일본과 싱가포르는 ‘기초 조형교육과 문제해결 중점 교육’이 정규 중등교육 융합디자인 교육 모델로 우리의 교육현실에 적용 가능하다는 결론을 얻었다. 융합디자인 교과 내용과 연계과목 등은 실제 교육의 연구 분석이 동반된 이론전개가 필요하므로 다음 연구과제로 남긴다. 주요어 : 융합형, 디자인, 융합디자인교육, 교육과정, 미술교육

      • 북한음악관련 한국 석·박사학위 논문의 총람 및 내용분석

        김현주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논문은 북한음악관련 논문들을 정리·분석함으로써 앞으로 이 분야의 연구자들에게 체계적인 정보를 주어 논제선정과 북한음악의 새로운 연구 방향을 제시해주는데 필요성과 목적이 있다. 북한음악 전체를 대상으로 하였으나 특히 음악교육에 중심을 두고자 한다. 이를 위해 북한음악관련 37편의 논문을 외형적으로 분석하고, 그 중 북한음악교육에 관련된 30편의 논문을 내용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외형적 분석에서 지역별로는 서울에서 연구된 논문이 67.7%로 가장 많았고, 대학은 성신여대가 13.5%로 가장 많은 논문을 발표하였다. 내용은 교과서 분석 59.4%, 음악교육 관련 연구가 24.3% 그리고 기타 16.3%로 교과서 분석에 지나치게 치우쳐 있었다. 연구 대상은 인민학교가 35.1%, 고등중학교가 40.5%로 고르게 연구되었다. 둘째, 내용적 분석은 음악교육 분야와 교과서 분석 분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음악교육 분야를 연구한 8편의 논문은 교육과정·교육제도·교육실태·제안으로서의 통일교육방안 연구로 분류하였다. 북한의 교육은 사회주의 건설에 매진할 수 있는 공산주의자를 양성하는데 목표를 두고 교육과정을 제6차까지 개편하였다. 또한 11년의 기본학제와는 별도로 각종 특수학교를 설치하고 예·체능분야의 특기교육과 출신성분에 의거한 특수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음악교수형태는 개별교수·앙상블교수·전공실습·현실체험 등의 교수형태가 있으며, 교육방법에는 깨우쳐주는 교수방법, 예술이론과 전공실시교육 및 창조·실천·활동의 결합, 학교교육과 가정교육의 배합, 조직생활의 강화 등의 방법이 있다. 여기서 알 수 있는 사실은 음악가를 양성하기 위한 북한의 음악예술교육은 그 목표부터 우리의 음악교육과는 다르게 설정되어 있으며, 교육내용과 교육방법에서 우리와 많은 차이점이 있다는 것이다. 교과서 분석 분야의 연구는 인민학교 10편과 고등중학교 12편이 있었다. 교과서 분석은 크게 가창·기악·창작·시창으로 분류하고, 교재구성·영역별 분류·내용 분석·외형 분석·작사자·작곡자·음악용어 비교 등을 중심으로 연구되었다. 이상과 같이 북한음악관련 논문 37편을 외형적·내용적으로 살펴본 결과, 북한음악에 관한 연구는 자료의 한계 때문인지 유사한 방법의 연구가 계속 이루어지고 있었고, 심지어 내용이 대동소이한 논문도 있었다. 이 연구가 앞으로 북한음악 분야를 연구하는 연구자들에게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여 북한음악교과서 분석이라는 한계에서 벗어나 좀 더 다양한 주제의 연구가 이루어 질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researchers with a systematic information of North Koran music through reviewing and analyzing theses about the music, proposing new directions in researching North Korean music and determining main subjects of the research. For the purpose, this researcher analyzed characteristics of 37 theses about North Korean music apparently. Out of the total theses, then, 30 which discuss the music education of North Korea were processed through content analysis. Results of the study can be described as follows. First, out of the 37 theses whose apparent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here, 67.7% were presented in Seoul and 13.5% of the presentations were made by Sungshin Women's University, more than any others located in the same city. Out of the total theses, 59.4% focused on the review of North Korean music textbooks, followed by 24.3%, the music education of North Korea and 16.3%, others. Among the analyzed textbooks, 35.1% were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40.5% for middle and high school ones. Second, for their content analysis, the 30 theses about the music education of North Korea were classified here into two groups, those of music education and textbook analysis. The former group contained 8 theses which were herein regarded studies about ways of unified education focusing on the curriculum, system, status and suggestions of North Korean music education. While the latter consisted of 12 theses analyzing North Korean music textbooks for the elementary school level and 12, middle and high school levels. These results show that studies regarding North Korean music have continued and now still continue. Finally the researcher hopes that the study provide researchers an accurate information of North Korean music and thereon helps them study North Korean music in various aspects rather than restricting themselves to the analysis of the music textbooks.

      • 사회교육원 스포츠프로그램 참가자의 소비행동에 관한 연구

        강동식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는 일반대중의 생활체육활동에 대한 활성화 측면에서 공공성을 가진 대학 부설 사회교육원 스포츠프로그램 참가자의 기대정도와 만족도를 중심으로 소비자들의 의견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서비스 개선 요구가 무엇인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그리고 대학 부설 사회교육원 스포츠프로그램 운영에 있어 향후 보완·개선되어야 할 지침을 마련하여 각 대학들의 사회교육원이 지역주민의 필요와 욕구에 부응한 스포츠활동의 장으로서 그 운영의 기초자료를 얻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부산광역시의 각 대학 부설 사회교육원 스포츠프로그램 교육과정에 참여하고 있는 506명의 회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여 통계처리 하였다. 이와 같은 자료분석을 통하여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중 성별에 따라서 남자는 207명(40.9%), 여자는 299명(59.1%)으로 여자의 참가율이 높게 나타났다. 연령별에 따라서 20대 148명(29.2%), 30대 189명(37.4%), 40대 122명(24.1%), 50대 이상은 47명(9.3%)으로 30대가 가장 높은 참가율이 나타났다. 직업별로는 주부가 168명(33.2%), 사무직이 146명(28.9%), 학생이 91명(18.0%), 자영업이 76명(15.0%), 경영직이 25명(4.9%)으로 주부의 참가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스포츠프로그램 참여형태에서는 수영 221명(43.7%), 헬스 179명(35.4%), 테니스 42명(8.3%), 에어로빅 30명(5.9%), 스쿼시 28명(5.5%), 스포츠댄스 6명(1.2%)으로 수영의 참가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용형태별 구성비는 단기회원제 389명(76.9%), 자유이용제 90명(17.8%), 평생회원제 27명(5.3%)으로 단기회원제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스포츠프로그램 참가자의 참가전 기대정도의 특성에서 성별과 직업에서는 시설 기대정도, 연령에 따라서는 지도자 자질에 대한 기대정도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모든 변인들에서 공통적으로 지도자 자질에 대한 기대정도에서 가장 높은 점수를 나타내고 있는 것은 다른 변인들보다 스포츠프로그램에 참여를 할 경우 지도자 자질이 가장 중요한 변인으로 나타났다. 넷째, 참가후 서비스 만족도에서 성별에 따라서는 시설과 편의성에 대한 만족도, 연령에 따라서는 지도자 자질에 대한 만족도, 직업과 결혼유무에 따라서는 시설에 대한 만족도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고, 모든 변인들에서 공통적으로 지도자 자질에 대한 만족도에서 가장 높은 점수를 나타내고 있는 것은 다른 변인들보다 스포츠프로그램 참여후 지도자 자질이 가장 중요한 변인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참가전 기대정도와 참가후 만족도와의 상관관계에서는 모두 높은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그리고 시설에 대한 기대정도와 만족도사이의 상관계수가 .683으로, 지도자 자질에 대한 기대정도와 만족도사이의 상관계수가 .750으로, 스포츠프로그램에 대한 기대정도와 만족도사이의 상관계수가 .686으로, 편의성에 대한 기대정도와 만족도사이의 상관계수가 .648로 나타났다. 모든 기대정도와 만족도 사이의 상관관계는 평균적으로 .600 이상으로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이상을 종합하여 보면 스포츠프로그램 참가자의 참가전 기대정도와 참가후 만족도에서 지도자의 자질이 매우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그러므로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지도자는 이론적인 지식과 실천적인 전문기술을 단계적이고 체계적으로 전달하여야 한다. 이는 스포츠프로그램 이용자에게 각종 프로그램에 지속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 주는 것이며, 각 대학 부설 사회교육원이 추구하는 지역사회 발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research intends to compare and analyze the expectations and satisfaction of the participants of living sports programs provided by social education centers (or extensions or lifelong education centers) attached to some universities. It also aims to reveal what the program customers want to be improved in program management as the basic data for the successful activities of the centers to meet local residents' diverse desires and needs. The subjects were 506 members in the centers' sports facilities in the Pusan area, and the questionnaire method was adopted and statistically treated. The results thought the analytical are as the follows. 1. Demographically speaking, there were 207 males (40.9%) and 299 females (59.1%). Those in their 20s were 148 (29.2%), 30s 189 (37.4%), 40s 122 (24.1%), and above 50s 47 (9.3%). So people in their thirties show the greatest participation rate. The sports program members by job division were in the order of housewives (168, 33.2%), office workers (146, 28.9%), students (91, 18.0%), independent enterprisers (76, 15.0%), and administrators (25, 4/9%). 2. The most popular sports program was swimming (221, 43.7%), followed by physical fitness training (179, 35.4%), tennis (42, 8.3%), aerobics (30, 5.9%), squash (28, 5.5%), and sports dance (6, 1.2%). By consumption patterns, 27 used lifelong membership, 90 ticket membership, and 389 short-term membership. 3. In the subjects' expectations before program participation, some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noticed in leader quality(by age) and sports facilities(by sex and job). But the expectation about the leader's quality obtained the highest score as the most important factor. 4. In their service satisfaction after joining the programs, some significance was noted in leader quality(by age), convenience(by sex), and facilities(by job, and marital status). Above all, the factor of the leader's characteristics showed the greatest score and proved to be the most vital factor. 5.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program consumers' prior expectations and posterior satisfaction were all high, more than .600 on the average. The correlation coefficient was .683 (sports facilities), .750 (leader quality), .686 (sports programs), and .648 (convenience). In conclusion, leader quality serves as a very important factor both in program expectations and satisfaction. So the program leader should be able to deliver theoretical knowledge and practical skills systematically and gradually. In this way, sports program consumers will continue to use various programs, while the social education centers can have an affirmative influence on the progress of regional society.

      • 秘書職 專門人力 養成을 위한 專門大學 敎育課程改善 方案 硏究

        손상영 東亞大學校 敎育大學院 1994 국내석사

        RANK : 249663

        Current technological advances and international trends toward golbalization demand more competent businessmen and professional secretaries. It is, thus, important to educate secretary majoring students to be equipped with quality professionalism in secretarial posi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rvey current curriculum adopted in junior college secretary departments, and to suggest a desirable curriculum meeting various societal demands upon secretarial work. Specific problems in this study were (a) to clear the meaning of secretarial work and secretarial administrations, (b) to find out the needs that both currently employed secretaries and employers have, (c) to analyze current curriculum adopted, and (d) to suggest a desirable curriculum for secretary education in junior college level. Both literature review and research were done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is study. As the results of this study, following conclusions are obtained. 1. There is a need for more specific and specialized curriculum for secretary education in junior college level. 2. Newly employed secretaries seem to be in need of more information as well as better skills to meet job demands. 3. As criteria for employing secretaries, competency and qualification should have priority over personal appearance. 4. Profession-oriented curriculum, instead of task-oriented one, should be encouraged for secretary education in junior college. 5. Practice-oriented curriculum, instead of theory-oriented one, should be encouraged for secretary education in junior college. 6. The frist item with which secretaries are to be equipped for qualification are business etiquette, and organization skill, inter-personal relationships, common sense. office management, and secretarial pratice are included as for the secretarial qualification ite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