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윤소영의 졸업 작품 『Moment』의 해설

        윤소영 동덕여자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63

        소논문은 석사과정 이수를 위한 졸업공연 「Moment」에서 연주한 4곡의 자작곡에 대한 작곡배경과 작사의도를 설명하는 결과물이다. 소논문의 목적은 4작품의 작곡 배경, 형식구조, 악기편성, 선율의 해설을 통하여 각 작품의 특징을 설명하고자 하는데 있다. 졸업작품 「Moment」는 성인기를 초기, 중기, 후기로 나누어 각 시기마다 다양한 역할을 가지며 느낄 수 있는 감정을 바탕으로 작사, 작곡하였다.

      • 집단회상프로그램의 효과성에 관한 연구

        윤소영 숭실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47

        국문초록 집단회상프로그램의 효과성에 관한 연구 노인복지 전공 윤소영 지 도 교 수 허준수 본 연구 목적은 집단회상프로그램이 노인의료복지시설(노인요양시설)에 입소 중인 어르신의 우울감 및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효과에 관해 파악하고 나아가 우울감과 생활만족도가 인지기능 향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는데 있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하여 사회복지사가 직접 진행하는 집단회상프로그램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프로그램이 진행되는 기관은 Y시에 위치하며 노인장기요양보험 법에 의한 장기요양기관(노인전문요양시설)이다. 연구대상은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설계를 적용하여 본 연구가 진행되는 기관의 입소자로 실험군, 통제군 각 12명이다. 연구기간은 2010년 7월 6일부터 10월 6일까지 3개월간 진행되었으며 주 1회 60분씩 총 12회기의 집단회상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프로그램 효과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인지기능, 생활만족도, 우울감을 측정하는데 사용한 척도는 다음과 같다. 인지기능 측정은 Folstein(1975)이 개발한 MMSE를 권용철과 박종환(1989)이 한국 노인들에게 사용할 수 있도록 보완한 MMSE-K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생활만족도 척도는 Stones와 Kozma가 1980년에 개발한 척도를 근거로 윤진(1982)이 우리나라 노인의 생활만족도를 측정하기 위해 제작한 것이다. 우울 정도를 측정하기 위해 15문항으로 구성된 단축형 노인 우울척도 (Short-Form Geriatric Depression Scale : SGDS, Sheikh & Yesavage, 1986)를 사용하였다. 또한 분석에 있어서도 양적연구(SPSS/WIN 사용)와 질적 연구를 함께 실시함으로써 집단회상프로그램의 효과성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인지기능 변화에서는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차이를 명확하게 확인할 수 있었으며, 결과를 통해 프로그램 효과성을 입증할 수 있었다. 실험집단의 경우 약 2점이 향상되는 것이 발견되었고, 통제집단의 경우는 약 2점 정도가 감소하였음을 알 수 있으며, 생활만족도와 우울감 또한 긍정적인 방향으로 변화하였다. 이는 회상프로그램의 특성상 부정적인 과거 경험이나 해결되지 않은 갈등이 프로그램이 진행되는 과정동안 재고되고 재통합될 수 있기 때문에 중간검사 때 우울정도가 일시적으로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집단회상프로그램을 통해 집단의 인지기능, 생활만족도, 우울감 변화를 프로그램 내용 분석을 통하여 확인한 결과, 연구 대상 집단의 인지기능, 생활만족도, 우울감 향상에 있어 의미 있고 긍정적인 질적 변화 양상을 보였다. 이상의 연구결과에서 집단회상프로그램이 요양시설 거주 노인의 인지기능, 생활만족, 우울감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고 볼 수 있다. 이것은 요양시설 거주노인 노인에게 제공할 수 있는 심리사회적 서비스로써 집단회상프로그램이 효과적으로 적용 될 수 있음을 시사하며 유용함을 제시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 결과를 근거로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앞으로는 요양시설 거주노인 중에서도 질병진단이나 심리상태에 따른 대상자 구분을 하고 임상적 특성에 따른 단계별, 유형별 회상프로그램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필요하다. 둘째, 요양시설 거주 노인은 생활문제 전반에 걸친 이해와 관심을 토대로 한 접근이 꼭 필요하기 때문에 요양시설에서 근무하고 있는 사회복지사의 프로그램 과정 안에서 개입은 매우 중요하다. 회상프로그램은 집단을 운용하는 집단지도자의 역할이 중요하다. 구조화되고, 체계적으로 구성된 매뉴얼을 토대로 사회복지사가 프로그램을 담당하고 상황에 맞는 개입을 한다면 프로그램 효과성은 매우 높을 것이다. 셋째, 아직까지 많은 요양시설들이 프로그램을 운영할 때에 적합한 장소를 확보하지 못하고 있다. 다양한 프로그램과 회상프로그램의 효과성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시설의 여건에 따른 프로그램 실을 마련을 통해 프로그램 운용 시 필요한 환경과 다양한 소재들을 제공한다면 보다 나은 긍정적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넷째, 프로그램을 직접적으로 운영하는 집단지도자는 관련문헌 검토와 같은 한 가지 방법으로는 프로그램을 구조화시키기가 어렵다. 사회복지사가 프로그램 내용과 방법을 구조화 할 때 현장 전문가, 다양한 직종 종사자간의 입소노인의 대한 정보가 공유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ABSTRACT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Group Reminiscence Programs YOUN, SO-YOUNG Department of Elderly Welfare Graduate School of Social Welfare Soongsil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group reminiscence programs on life satisfaction as well as depression of the elderly who were institutionalized in the medical welfare facilities for the elderly (nursing homes for the elderly), and to explored what impact both depression and life satisfaction level has on the improvement of cognitive function. Furthermore, it was aimed at providing basic materials of group reminiscence programs that social workers conduct directly. The facility in which these programs are operated is located in Y city and is a long-term nursing institution covered by the long-term care insurance for the elderly law. The respondents were those who was institutionalized in a facility where this research is conducted, and there are 12 people for the experiment group and the control group respectively. The research is conducted for three months from July to October, 2010, and a total of twelve sessions, one hour per session once a week, of group recall programs have been taken.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s and, we measure cognitive function, life satisfaction level and depression, and the measures used are as following. Regarding cognitive function measure, we used MMSE-K, which Kwon and Park (1989) complemented MMSE developed by Folstein (1975) to suit to the Korean elderly. Yoon (1982) devised the life satisfaction measure based on the measurement, which is developed by Stones and Kozma in 1980, to measure the life satisfaction level of the Korean elderly. To measure the degree of depression, we used short-term geriatric depression scale (SGDS), Sheikh & Yesavage, 1986, which is composed of 15 questionnaires. As for analysis, we analyzed the effectiveness of group recall programs by implementing both the quantitative research (used SPSS/WIN) and qualitative research simultaneously. Conclusions drawn from this research are as following. First, we were able to clearly confirm the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led group relating to the change to cognitive function, and were able to prov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s through results. In the case of experimental group, about two points were improved and about two points were dropped in the case of the controlled group. In addition, both life satisfaction level and depression have changed in positive direction. This indicates that the level of depression gets higher temporarily at the point of mid-term test because either negative past experiences or unresolved conflicts can be improved in the course of the programs. Second, as a result of confirming changes to cognitive function, life satisfaction level and the sense of depression of the group through the content analyses of the programs via group reminiscence programs and, there has been significant and positive qualitative changes in the improvement of cognitive function, life satisfaction level and depression of the group. Taking the cue from the research result, the group reminiscence programs had positive effects on the improvement of cognitive function, life satisfaction and the sense of depression of the elderly who reside in nursing facilities. It indicated that group reminiscence programs can be effectively applied to the elderly who live in nursing facilities as psychosocial services, and it is meaningful in presenting their usefulness. Recommendations for follow-up research based on the result of this research is as following. First, it is necessary to classify subjects according to diagnosed diseases or psychological status among the elderly who inhabit nursing facilities, and consistent study on reminiscence programs per phase and type according to clinical properties is required. Second, interventions of social workers within programs who work in nursing facilities were very important because access based on understanding of and interest in overall life matters is necessary for the elderly who live in nursing facilities. The role of the group leader who runs the reminiscence programs is important.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s will be greater if social workers take charge of the programs and intervene appropriately with situations by relying on manuals that are structured and designed systematically. Third, it is fact that many nursing facilities failed to secure proper places in running programs. We can get better and positive effects if we provide the environment and various materials necessary for administering programs by securing program rooms tailored to conditions of facilities for the maximization of the effectiveness of various programs and recall programs. Finally it is difficult to structure programs with one such way as reviewing related literature by a group leader who directly operates programs. Professionals experts and workers of various jobs must share information on the elderly who live in the nursing facilities when social workers structure content and method of programs.

      • 수학학습부진아를 위한 ‘식의 계산' 단원의 단계별 교육자료 개발과 적용

        윤소영 순천대학교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47

        I developed step by step exercise materials about ’calculation of expression' and applied for the highschool students who are poor at mat hematics. I observed how much the application influenced the learning attitude and the inclination for mathematics of the students. To develop the step by step exercises materials I followed the example of elem entary school curriculum. The learning materials consisted of the hierarchical contents and activities which had 11units, 22 times. The worksheets were made as four steps each unit : grasping the question, seeking the question, resolving the question, and applying the question In this thesis, it is shown that the application for students influence the learning attitude and the inclination for mathematics positively. Af ter studying with the materials, the students had more self -confidence, interest, curiosity, motivation, concentration, and so on. The materials helped the students considerably to understand the four rules of arithmetic, monomial and polynomial expressions, and multiplication formulas.

      • IF 영역과 ERLBD에 의한 아밀로이드성 단백질의 피브릴 형성 조절 연구

        윤소영 세종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47

        Amyloidogenic proteins is known to form of amyloid fibrils in human bodies, causing diseases such as Alzheimer's disease and Parkinson's disease. Among these proteins, α-Synuclein is known to induce Parkinson's disease, and hIAPP is known to form amyloid fibrils in the pancreatic β-cells of type 2 diabetes patients. Previous studies have shown that FKBPIF protein increases amyloid fibril formation of the fusion hIAPP when compared to FKBP protein. In order to examine the function of the IF domain more precisely, the amino acid sequence, that forming the secondary structure in the IF domain, was removed. In addition, the ERLBD was recombined or fused for investigate the effect of ERLBD on the amyloid fibril formation of amyloidogenic proteins. For investigate the amyloid fibril formation of fusion hIAPP proteins and ERLBD and fusion αSyn* (ERLBD-L23-αSyn*), recombinant DNA were overexpressed using IPTG. Overexpressed proteins were purified by Ni2+-NTA affinity chromatography and anion exchange chromatography, and amyloid fibril formation was observed using Thioflavin T fluorescence. Binding assays were performed to verify that ERLBD have functionality. Coumestrol is a molecule that binds to the estrogen receptor as a ligand, and fluoresces itself. Using this, ERLBD was combined with coumestrol to change the fluorescence spectrum and judged that ERLBD was folded properly. In ThT flourescence, fusion hIAPP proteins were found to form amyloid rapidly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FKBPIF-L23-hIAPP, and some of them showed inhibition of amyloid formation than the conventional FKBPIF-L23-hIAPP. In the case of ERLBD, it was shown to inhibit amyloid fibril formation of αSyn.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17 β-estradiol and Tamoxifen in inhibation effect of ERLBD, which have different effects on ERLBD ligands, I observed amyloid fibril formation in ThT fluorescence. 아밀로이드성 단백질은 사람의 몸에서 아밀로이드 피브릴을 형성하여 Alzheimer’s disease, Parkinson’s disease와 같은 질환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단백질들은 다양하게 존재하지만 이 중 αSyn은 Parkinson’s disease를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있으며, hIAPP는 제 2형 당뇨병의 환자의 췌장의 베타세포에서 아밀로이드 피브릴을 형성하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이전 연구에서 FKBPIF단백질이 기존의 FKBP단백질과 다르게 융합체 hIAPP의 아밀로이드 피브릴 형성을 증가한다는 것을 확인하였고, IF영역의 기능을 좀 더 자세히 알아보고자 IF 영역에서 이차구조를 형성하는 아미노산 서열을 제거하였다. 이와 더불어, ERLBD가 아밀로이드성 단백질의 아밀로이드 피브릴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보고자 단백질을 재조합 및 융합하였다. 융합체 hIAPP와 ERLBD 및 융합체 αSyn*(ERLBD-L23- αSyn*)의 아밀로이드 피브릴 형성을 보고자 재조합된 유전자들을 IPTG를 이용하여 과발현시켰다. 과발현된 단백질들을 Ni2+-NTA 친화성 크로마토그래피와 음이온 교환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였으며, 정제된 단백질들을 형광을 내는 분자인 Thioflavin T를 이용하여 아밀로이드 피브릴 형성을 관찰하였다. ERLBD가 기능을 가지는 지 알아보기 위해 binding assay를 시행하였다. Coumestrol은 에스트로겐 수용체에 리간드로써 결합하면 형광을 내는 분자이다. 이를 이용하여 ERLBD가 coumestrol과 결합하여 형광 스펙트럼을 변화시켜 ERLBD가 제대로 접혀 기능을 가진다고 판단하였다. ThT flourescence에서는 융합체 hIAPP들은 기존의 FKBPIF-L23-hIAPP과 비교하여 빠르게 아밀로이드 형성하는 것을 확인하였고, 이 중 일부는 기존의 FKBPIF-L23-hIAPP보다 아밀로이드 형성을 억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ERLBD의 αSyn의 아밀로이드 피브릴 형성을 억제하는 것을 보였다. 이에 ERLBD의 리간드에서 각각 다른 효과를 보이는 17과 Tamoxifen이 ERLBD의 아밀로이드 억제 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보고자 ThT fluorescence에서 아밀로이드 피브릴 형성을 관찰하였다.

      • 인공 심박동기 이식 환자의 증상경험과 삶의 질

        윤소영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인공 심박동기 이식 대상자의 증상경험과 이식 후 삶의 질 수준을 파악하여 효율적인 간호 중재 개발의 기초 자료를 마련하고자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본 연구의 자료수집은 2004년 10월 4일부터 12월 22일까지 연구목적에 동의하고 자료수집을 허가한 서울 소재 3차 의료기관인 Y 대학 부속병원 심장혈관 병원의 인공 심박동기 클리닉에서 시행하였으며, 연구 참여에 동의한 인공 심박동기 이식자 총 143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한 질문지법을 통해 이루어졌다.연구도구는 본 연구자에 의해 개발된 인공 심박동기 이식 전, 후 증상경험 측정도구, 삶의 질은 Medical Outcome Study 36-item Short Form Health Survey(Ware & Sherbourne, 1992)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부호화하고 SPSS 12.0 for Window program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등으로 분석하였다.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1. 인공 심박동기 이식 대상자의 이식 전 증상경험은 평균 29.80점으로 경미하게 나타났으며, 증상경험의 빈도는 9.07점, 강도는 9.86점, 고통감은 10.87점으로 고통감 차원의 점수가 가장 높았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F=3.080, p=.047). 이식 전 경험한 증상 중 어지러움, 호흡곤란, 심계항진, 만성피로 등이 빈도, 강도, 고통감의 모든 측면에서 평균점수가 가장 높게 나타나 간호 중재와 관리를 요하는 주요 증상으로 나타났다.2. 인공 심박동기 이식 대상자의 이식 후 증상경험은 평균 4.23점으로 크게 호전되었으며, 증상경험의 빈도는 1.41점, 강도는 1.31점, 고통감은 1.51점으로 고통감 차원의 점수가 가장 높았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F=.040, p=.960). 이식 후 경험한 증상 중 만성피로, 어지러움, 만성두통, 호흡곤란 등이 평균점수가 높게 나타나 간호 중재와 관리를 요하는 주요 증상으로 나타났다.3. 일반적 특성에 따른 이식 후 증상경험은 여성(p=.019)과 직업이 없는 경우(p=.032) 빈도, 강도, 고통감의 3차원에서 증상경험의 정도가 심했다. 질병치료 관련 특성에 따른 이식 후 증상경험은 NYHA 단계가 높을수록(p=.016), 약물을 복용 할수록(p=.002) 빈도, 강도, 고통감의 3차원에서 증상경험의 정도가 심했다.4. 인공 심박동기 이식 후 삶의 질은 미국 일반 성인을 대상으로 한 평균 50점, 표준편차 10점으로 보고한 기준 점수와 비교하여 신체적 측면 45.17점, 정신적 측면 46.51점으로 약간 낮았다. 100점을 기준으로 한 하부 영역별 점수는 사회적 기능 82.08점, 통증 76.34점, 신체기능 71.99점, 정서적 문제로 인한 역할제한 68.53점, 정신건강 64.59점, 신체적 문제로 인한 역할제한 64.34점, 활력 52.80점, 전반적 기능 49.49점 순서였으며 총체적 삶의 질 점수는 530.15점이었다.5. 일반적 특성에 따른 삶의 질은 여성이 신체기능(p=.023), 통증(p=.000), 전반적 건강(p=.003), 활력(p=.003), 사회기능 영역(p=.011)에서 남성보다 삶의 질 수준이 낮았으며 연령이 높을수록 신체기능(p=.000), 신체문제로 인한 역할제한(p=.000), 활력(p=.000), 정서문제로 인한 역할제한 영역(p=.003)에서 삶의 질이 낮았다. 결혼상태에 따라 신체기능 영역(p=.018) 삶의 질이 차이가 있었으며 교육수준에 따라 신체기능(p=.003), 신체문제로 인한 역할제한(p=.007), 사회기능(p=.018), 정서문제로 인한 역할제한 영역(p=.030)에서 삶의 질 차이가 있었다. 직업이 있는 경우 신체기능(p=.000), 신체문제로 인한 역할제한(p=.000), 통증(p=.003), 전반적 건강(p=.000), 활력(p=.006), 사회기능(p=.000), 정서문제로 인한 역할제한 영역(p=.000)에서 삶의 질 수준이 높았으며 경제수준에 따라 신체기능(p=.006), 활력(p=.036), 정서문제로 인한 역할제한 영역(p=.023)에서 삶의 질 수준의 차이가 있었다.6. 질병치료 관련 특성에 따른 삶의 질은 진단명에 따라 방실차단의 경우 동결절 기능장애에 비해 전반적 건강(p=.008), 활력 영역(p=.023)에서 삶의 질 수준이 더 높았으며 이식 전 NYHA 단계가 낮을수록 신체기능(p=.020), 신체문제로 인한 역할제한(p=.026), 통증(p=.036), 활력(p=.035), 사회기능(p=.001), 정서문제로 인한 역할제한(p=.001), 정신건강 영역(p=.009)에서 삶의 질 수준이 높았다. 박동장애 외 타 질환이 없는 경우 신체기능(p=.004), 신체문제로 인한 역할제한(p=.001), 정서문제로 인한 역할제한 영역(p=.001)에서 삶의 질 수준이 더 높았다.7. 인공 심박동기 이식 대상자의 증상경험과 삶의 질 간의 관련성을 살펴본 결과 증상경험은 삶의 질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r=-.414)를 나타냈으며 빈도(r=-.422), 강도(r=-.407), 고통감(r=-.380)의 각각의 차원과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즉, 증상경험의 빈도가 높고, 강도가 심하며, 고통감이 높을수록 삶의 질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인공 심박동기 이식 대상자들의 이식 전, 후 증상경험에 대한 다차원적인 분석 결과를 고려해 임상 실무에서 증상에 대한 간호 접근 방식을 다양화 하는 것은 간호 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증상경험의 정도와 삶의 질 수준과 관련 있는 일반적 특성 및 질병치료 관련 특성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여 대상자마다 다른 차별화된 간호 전략을 구사하는데 기여할 수 있으며 나아가 간호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증상경험에 대한 효율적인 간호 관리와 중재를 통해 궁극적으로 삶의 질 수준을 높일 수 있다는 관련성에 대한 이해는 향후 만성질환자들의 삶의 질 증진을 위한 간호 중재 프로그램의 개발에 과학적이고 합리적 근거를 마련해줄 것으로 사료된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 the levels of symptom experience and quality of life in implantable pacemaker patients and to provide a baseline for nursing intervention programs for these patients.The research design was a descriptive approach, using a cross sectional research design.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143 patients with implantable pacemaker who were being treated in the pacemaker outpatient department, hospital located in Seoul, Korea. Data were collected from October, 4, 2004 to December, 22, 2004. The instrument used in study ware a qustionnaire on symptom experience for implantable pacemaker patients developed by the researcher, Medical Outcome Study 36-item Short Form Health Survey(MOS SF-36) for quality of life, especially symptom experience was composed of symptom occurrence(frequency), symptom severity(intensity), symptom distress.Statistical method employed wer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t-test, ANOVA and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1. The mean scores of pre-implant stage symptom experience were relative low (M=29.80, SD=17.32). Of the domains of symptom experience, the mean score for frequency was 9.07, for intensity, 9.86, and for distress, 10.87. The dimension distress had the highest score, there was sigm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m (F=3.080, p=.047). The most symptom experienced by all of the dimensions was dizziness. Dyspnea, palpitation, fatigue were also reported as having high symptom experiences.2. The mean scores of post-implant stage symptom experience were very low (M=4.23, SD=6.89). Of the domains of symptom experience, the mean score for frequency was 1.47, for intensity, 1.31, and for distress, 1.51. While the dimension distress had the highest scor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m (F=.040, p=.960). The most symptom experienced by all of the dimensions was fatigue. Dizziness, headache, dyspnea were also reported as having high symptom experiences.3. In the post-implant stage, symptoms experience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y demographic variables. By sex(p=.019) and occupation(p=.032) were significantly influenced by all dimensions of symptom experience. In the post-transplant stage, symptoms experience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y disease related characteristics. NYHA class(p=.016) and medication(p=.002) were significantly influenced by all dimensions of symptom experience.4. The mean score for quality of life was relatively low (M=530.15, SD=169.89) more than healthy American people. Of the eight subcategory, the mean score for Social Functioning(SF) was the highest(M=82.08), and that of General Health(GH), the lowest(M= 49.49).5. In the post-implant stage, quality of life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y demographic variables. Quality of life was correlated with sex(Physical function(PF) p=.023, Bodily Pain(BP) p=.000, GH p=.003, Vitality(VT) p=.003, SF p=.001), age(PF p=.000, Role-Physical Functioning(RP) p=.000, VT p=.000, Role-Emotional Functioning(RE) p=.003), marital status(PF p=.018), education level(PF p=.003), RP p=.007, SF p=.018, RE p=.030), occupation(PF p=.000, RP p=.000, BP p=.003, GH p=.0000, VT p=.006, SF p=.000, RE p=.000), economic level(RE p=.023).7. In the post-implant stage, symptoms experience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y disease related characteristics. Quality of life was correlated with diagnosis(GH p=.008, VT p=.023), NYHA class(PF p=.020, RP p=.026, BP p=.036, VT p=.035, SF p=.001, RE p=.001, Mental Health(MH) p=.009), other disease(PF p=.004, RP p=.001, RE p=001).8. There was significantly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three dimensions of symptom experience and quality of life(r=-.414). Of the dimensions of symptom experience, the relationship for frequency was r=-.422, for intensity r=-.407, and for distress r=-.308.In conclusion, the result of this study provide evidence that enhacing quality of life by symptom management. So it is suggested that symptom management program for patients with implantable pacemaker be developed taking consideration multi-dimension of symptom experience. In addition, understanding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ymptom and quality of life will be a helpful in the improvement of nursing quality for increasing quality of life for patients with chronic disease.

      • 포아송모형과 음이항모형에 대한 베이지안 모형선택

        윤소영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에서는 포아송모형과 음이항모형의 두 모형 중 적절한 모형을 선택하는 베이지안 방법을 논의한다. 이때, 각 확률모형의 모수들에 대하여 객관적인 비정보 사전분포를 가정하고 이 문제의 해결을 위하여 베이지안 방법을 고려하였다. 각 분포의 Default Bayes Factor인 AIBF, MIBF, GIBF, FBF를 계산하여 자료를 가장 적합시키는 모형을 찾는다. 덧붙여서 사후확률도 살펴보기로 한다. 마지막으로 이론적인 결과의 확인을 위해 실제자료에 적용시켜 포아송모형 혹은 음이항모형 중 어느 모형에 더 잘 적합한지를 검정하는 예를 보인다. In this paper, we discuss the Bayesian procedure to choose more appropriate model between a Poisson model and a negative binomal model. Under the assumption of noninformative improper prior distribution are computed default Bayes factors such as the AIBF, the MIBF, the GIBF, and the FBF and posterior probabilities using these to select the model. Finally, we apply the theoretical result to two real data sets.

      • 강원도교육청 다문화교육정책의 변화와 과제 : '지역성' 반영을 중심으로

        윤소영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rocess of change in multicultural education policies promoted by the Gangwon-do Office of Education and analyze policies that reflect multicultural locality in terms of the importance of regional policy promotion to find the direction of Gangwon-do multicultural education policy. Since the state-led multicultural education policy was implemented in earnest in 2006, research and analysis on the multicultural education policy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have been continuously conducted. However, research on multicultural education policies of the metropolitan and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which are in charge of practical implementation of policies directly related to the local community, is being conducted very passively. In multicultural education policies,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the metropolitan and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share the basic direction and core tasks of multicultural education, but the role and function of policy implementation as a central and regional area must be different. Accordingly, the study of this paper was approached from two main directions. First, during the 15 years of the implementation of the multicultural education policy of the Gangwon-do Office of Education, the pattern and change of the policy of the Gangwon-do Office of Education were simultaneously analyzed, and the change of the multicultural education policy was considered in terms of the role of the metropolitan and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Second, it is an analysis of the project to reflect locality in the multicultural education policy of the Gangwon-do Office of Education, which is to be dealt with as a major issue in this paper. This started from the perspective that it is justifiable and essential to reflect the specificity of the region in the direction and content of policy implementation, as local community members are targeted against the background of local spatiality. Accordingly, the Gangwon-do Office of Education's multicultural education policy diagnosed projects reflecting regional factors and presented problems and alternative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limited to the Gangwon-do Office of Education's basic plan for multicultural education policy from 2007 to 2021 and the Ministry of Education's basic plan for multicultural education policy from 2006 to 2021. In addition, the policy changes in the multicultural education policy of the Gangwon-do Office of Education were analyzed by dividing them into policy targets and contents, which are the main areas of policy implementation.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acceptance and change of the Gangwon-do Office of Education's multicultural education policy, the Gangwon-do Office of Education maintained almost the same content and form as the Ministry of Education, focusing on four key tasks: "support for multicultural students," "improve and spread multicultural education." After the establishment of the foundation for the implementation system in the early stages of the policy, these projects focused on 'improving the educational power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supporting adaptation to school life' accounted for the largest portion. On the other hand, only a small number of projects under the theme of "multicultural understanding education" were operated to support non-multicultural students, and the contents of education were actually separated according to the cultural background between residents and migrant background students. The detailed projects for each area of each task were carried out mainly on the basic projects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there was no policy differentiation such as the establishment of a Gangwon-do model or the operation of regional special projects. In addition, the overall policy change showed a repetitive pattern of aligning the contents of the implementation with the change in the policy stance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the presentation of new projects. As a result, problems related to the policy implementation in the form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were excessive bias in educational content for each project, arbitrary use of multicultural terms without clear concept definition, simplicity of multicultural understanding education for non-multicultural students, and sticking to cultural diversity education. In addition, as a result of analyzing multicultural education policies reflecting regional characteristics to be focused on in this paper, it was difficult to find clear results in policies reflecting regional specificity factors in Gangwon-do from the period and experience of policy implementation. There were no projects that could be seen as distinctive, unique, sustainable, and educational effects represented by Gangwon-do's regional customized projects, and most of the policies considered for locality ended as short-term projects within three years, showing insufficient overall policy implementa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find a policy that contributes to the change of local multicultural society from the perspective of a policy approach necessary to create a foundation for a community that embraces cultural diversity. To this end, I would like to present the following measures. First, multicultural education should be operated according to mid- to long-term planning as a priority task to respond to changes in the local multicultural society. Second, multicultural education needs to be expanded to mutual cultural education to be treated as an educational principle based on the value necessary for active co-prosperity between members of society. Third, in order to effectively implement multicultural education, substantial educational activities should be carried out by enhancing teachers' multicultural capabilities. Fourth, it is necessary to enhance policy synergy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a complementary and cooperative system with the local community. Fifth, a regional customized basic plan that reflects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of regional specificity should be established. The Gangwon-do Office of Education expects to explore the direction of more advanced multicultural education policies through consideration of these proposals in that it leads the independent role of responding to the reality of the local multicultural society and promoting educational policies for future changes. 본 연구의 목적은 강원도교육청이 추진한 다문화교육정책의 변화 과정을 고찰하고, 지역에 기반한 정책 추진의 중요성 차원에서 다문화 지역성 반영 정책을 분석하여 강원도 다문화교육정책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모색하는 것이다. 2006년 국가 주도의 다문화교육정책이 본격적으로 추진된 이래 교육부 다문화교육정책에 대한 연구와 분석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지역사회와 직접적으로 연관되는 정책의 실질적 시행을 담당하는 시·도교육청의 다문화교육정책에 대한 연구는 매우 소극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다문화교육정책에서 교육부와 시·도교육청은 다문화교육의 기본방향과 핵심 과제는 공통으로 추진하지만 중앙과 지역으로서의 정책 추진 역할과 기능은 다르게 이루어져야 하는 측면이 있다. 이에 따라 본 논문의 연구는 크게 두 가지 방향에서 접근하였다. 첫째, 강원도교육청의 다문화교육정책 추진 15년 동안 교육부 정책 수용 양상과 변화를 통시적으로 분석하고, 시·도교육청의 역할 차원에서 강원도교육청의 다문화교육정책의 변화를 고찰하였다. 둘째, 본 논문에서 주요 논점으로 다루고자 한 강원도교육청 다문화교육정책에서의 지역성 반영 사업에 대한 분석이다. 이것은 정책의 영향력이 미치는 범위가 일정한 지역 공간성을 배경으로 지역 공동체 구성원이 대상이 되므로 정책 추진의 방향과 내용에 지역이 가진 특수성을 반영하는 것은 당위적이고 필수적인 것이라는 관점에서 출발하였다. 이에 따라 강원도교육청 다문화교육정책에서 지역성 요인들이 반영된 사업을 진단하고 그에 따른 문제점과 대안을 제시하였다. 연구의 분석 대상은 2007년부터 2021년까지의 강원도교육청 다문화교육정책 기본계획 문서와 2006년부터 2021년까지의 교육부 다문화교육정책 기본계획 문서로 한정하였다. 그리고 강원도교육청 다문화교육정책의 정책 변화는 정책 추진의 주요 영역인 정책 대상과 내용 측면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먼저 강원도교육청 다문화교육정책의 수용 양상과 변화를 분석한 결과, 강원도교육청의 다문화교육정책은‘다문화학생 교육 지원’, ‘다문화 이해 제고 및 확산’, ‘교원의 교육전문성 제고’, ‘다문화교육 지원체계 강화’의 네 가지 핵심 과제들을 중심으로 추진되면서 전체적으로 교육부와 거의 동일한 내용과 형태를 유지하였다. 이 과제들은 정책 초기의 추진체제 기반 조성 이후, ‘다문화가정 자녀의 교육력 제고와 학교생활 적응 지원’에 초점을 맞춘 사업내용이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였다. 반면 비다문화학생을 지원하는 사업은 ‘다문화 이해 교육’을 주제로 하는 사업이 소수 운영되는 데 그쳐 실제적으로 정주민 학생과 이주배경학생 간의 문화적 배경에 따라 교육내용이 분리되었다. 각 과제의 영역별 세부사업은 전체적으로 교육부의 기본사업을 위주로 추진되어 강원도형 모델 구축이나 지역 특색사업 운영과 같은 정책 차별성은 보이지 않았다. 그리고 전반적인 정책의 변화는 교육부의 정책 기조 변화와 새로운 사업의 제시에 따라 추진 내용을 함께 맞추어가는 패턴이 반복되는 형태를 보였다. 이에 따라 교육부의 정책과 유사한 형태로 추진된 정책 추진 내용상의 문제점으로는 사업 대상별 교육내용의 지나친 편중성, 분명한 개념 정의 없이 사용하는 다문화 용어의 자의적 사용, 비다문화학생에 대한 다문화 이해 교육 내용의 단순성, 그리고 문화다양성 교육 유형의 고착화와 같은 부분들이 나타났다. 그리고 본 논문에서 중점적으로 다루고자 한 지역성 반영 다문화교육정책에 대한 분석 결과, 그간의 정책 추진 기간과 경험으로 볼 때 강원도의 지역 특수성 요인을 반영한 정책은 뚜렷한 실적을 찾기 어려웠다. 강원도의 지역맞춤형 사업으로 대표할 만한 차별성이나 독자성, 지속성, 교육효과성이 뚜렷하다고 볼 수 있는 사업은 없었고, 지역성이 고려된 정책도 대부분이 3년 이내의 단기사업으로 종료되어 전체적으로 정책 추진의 미진함이 나타났다. 따라서 지역성 반영 다문화교육정책 사업의 운영은 문화다양성을 수용하는 지역사회의 기반 조성을 위해 지역 교육청이 담당해야할 역할이자, 세계성과 지역성의 새로운 접합이 다문화시대에 걸맞는 지역정체성으로 거듭나도록 하는 데에 반드시 필요한 정책적 접근이라는 관점에서 지역 다문화사회 변화에 기여하는 정책적 모색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다문화교육은 지역 다문화사회의 변화에 대응하는 중점과제로 중장기 계획 수립에 따라 운영되어야 한다. 둘째, 다문화교육은 사회구성원간의 적극적 상생에 필요한 가치를 기반으로 하는 교육원칙으로 다루어지도록 상호문화교육으로의 확장이 필요하다. 셋째, 다문화교육의 효과적인 실행을 위해 교사의 다문화역량 제고를 통한 내실 있는 교육활동이 이루어져야 한다. 넷째 지역사회와의 상보적·협력적 시스템 구축을 통해 정책적 시너지 효과를 제고해야 한다. 다섯째, 지역 특수성의 강약점을 반영한 지역맞춤형 기본계획이 수립되어야 한다. 강원도교육청은 지역 다문화사회의 현실 대응과 미래 변화를 위한 교육정책을 추진하는 주체적 역할을 주도한다는 점에서 이러한 제안에 대한 고려를 통해 더 발전적인 다문화교육정책의 방향을 모색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학습자의 어휘량 및 문맥 내 어휘추측능력과 영어 읽기 속도 간의 상관관계

        윤소영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오늘날 우리는 정보화, 국제화 시대에 살면서 영어로 된 수많은 자료를 접하고 있고 이러한 많은 정보 중에서 필요한 정보를 효율적으로 선택하고 적절하게 활용하기 위해서는 빠른 시간 내에 많은 자료를 읽고 이해할 수 있는 능력이 요구된다. 뿐만 아니라 교육부의 지침에서도 고등학교 영어 독해 수업에 있어서 정독과 다독뿐만 아니라 글을 빠르게 읽는 요령을 터득하고 빠르게 읽는 습관을 기르도록 지도할 것을 강조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학생들은 문법적으로 한 문장씩 따져가면서 번역하고, 모르는 어휘가 나올 때마다 사전을 찾는 등 지나치게 이해도의 정확성에만 신경을 쓰고 읽기 속도에 대한 연습은 이루어지고 있지 않는 것이 현실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학습자의 독해력 함양을 위해 영문 독해에 있어서 내용 이해뿐만 아니라 읽기 속도 증진의 필요성을 다시 한 번 강조하며, 독해력의 주요 요소 중의 하나인 어휘와의 관계를 파악하는 것이다. 즉, 학습자의 어휘량과 읽기 속도와의 상관관계, 그리고 학습자가 문맥을 통해서 모르는 어휘의 의미를 추측해 낼 수 있는 능력과 읽기 속도와의 상관관계를 알아본다. 더불어 학습자의 어휘량이 많은 것이 문맥을 통한 어휘의 의미를 잘 추측해낼 수 있는 능력과 상관관계가 있는지를 알아본다. 본 연구는 경기도 성남시에 위치한 한 남자 고등학교의 인문계열 2학년 학생 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를 위해 학생들의 어휘량, 문맥 내 어휘추측능력, 읽기 속도를 각각 두 번의 실험을 통해 측정하였는데, 읽기 속도 측정 시에 내용에 대한 이해를 무시한 채 빠르게 읽은 학습자와 내용을 잘 이해하면서 빠르게 읽은 학습자를 구분하여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자의 어휘량과 영어 읽기 속도 간의 상관관계에 대에서는 학습자의 수준에 따라 다른 결과가 나왔다. 내용 이해도가 높은 상위 학습자의 경우는 학습자의 어휘량이 많을수록 읽기 속도가 빨라졌으나, 내용 이해도가 낮은 하위 학습자의 경우는 읽기 자료에 따라서 어휘량과 영어 읽기 속도 간에 상관관계가 다르게 나타났다. 또한 본 연구의 결과 고등학교 2학년 학생이 1분 동안 80단어 미만의 단어를 읽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러한 읽기 속도는 내용 이해도를 저해하는 아주 느린 수준이다. 이것은 읽기 속도의 증진을 위한 독해 전략과 기술 연습이 절실히 요구됨을 시사한다. 둘째, 학습자의 문맥 내 어휘추측능력과 영어 읽기 속도 간의 상관관계에 대한 결과는 모든 수준에서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그 양상은 매우 달랐는데, 상위 학습자의 경우에는 문맥 내 어휘추측능력이 높을수록 영어 읽기 속도가 빨라지는 결과가 나타났고, 하위 학습자들은 문맥 내 어휘추측능력이 높을수록 영어 읽기 속도가 느려지는 결과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학습자의 문맥 내 어휘추측능력을 기르기 위한 효과적인 지도와 학습이 이루어져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한편, 하위 학습자들의 경우는 문맥을 통한 어휘추측이 자동화되지 않아 독해 과정에서 모르는 어휘를 만났을 때 주변의 단서를 찾아 그 의미를 추측하는 것이 오히려 읽기 속도에 방해가 될 수 있다는 결과를 통해 문맥을 이용하여 모로는 어휘의 의미를 추측하기 위해서는 일정한 수준 이상의 어휘량과 이해도를 갖추어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셋째, 학습자의 어휘량과 문맥 내 어휘추측능력 간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결과는, 상위 학습자와 하위 학습자 모두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즉 학습자가 알고 있는 어휘 지식에 있어서 단순히 양적인 측면에서 어휘를 많이 알고 있다는 것은 실제로 독해 과정에서 모르는 단어가 나왔을 때 문맥을 통해 그 의미를 추측해 내는 능력과는 별개의 것이라 할 수 있다. 비록 어휘 지식이 많은 학습자라 할지라도 영문을 읽을 때 모르는 단어를 자주 접하게 되는데, 이때 학습자의 어휘량이 모르는 어휘를 문맥 속에서 추측하는 능력과 상관이 없다는 결과를 통해서 영어 읽기 속도의 증진을 위해서는 많은 양의 어휘를 알아야함과 동시에 문맥에서의 어휘 의미 추측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연습도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The ability to read fast is essential for processing the large amount of information we are exposed to nowadays. Especially in Korea, secondary school students must have good or excellent English reading proficiency in order to pass college entrance examinations. The current 7th Korean National Secondary School Curriculum also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reading speed. However, if we consider both the past and current state of Korean secondary school students' reading ability, most students have had and continue to have very poor reading spe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the importance of reading speed as well as reading comprehension as key components of English reading ability in Korean students. Only when reading speed and comprehension are competent can the students be regarded as efficient readers. This study also aims to identify correlations between reading speed and vocabulary amount, and between reading speed and ability to guess meanings of words in context, and between vocabulary amount and ability to guess meanings of words in context. The subjects were 117 boys who studied at a high school in Gyeonggi province. The students' amount of known vocabulary, reading speed, and ability to guess meanings of words in context was measured by some tests. The students were then divided into two groups: one upper-level group which consisted of those who understood the text well while reading fast and the other a lower-level group whose understanding was poor while reading fast.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the upper-level group, the students' vocabulary amount was related to their reading speed. The more English words a student knew, the faster he could read the English text. But in the lower-level group, the result did not support the hypothesis of a correlation between vocabulary amount and reading speed. Also, the average reading speed of the subjects, less than 80 words per minute, shows that the students' reading speed was too low to understand the text. Second, the correlation between reading speed and ability to guess meaning of words in context was supported by the results of this study, but the study showed a different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factors in each group. In the case of the upper-level students, the better a student guessed the meanings of words in context, the faster he read the text.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lower-level students, the better a student guessed the meaning of words in context, the slower he read. Presumably, to get hints from contextual clues to guess the meaning of the words in context while reading quickly, students need a certain amount of vocabulary. Third, vocabulary amount did not have any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ability to guess the meanings of words in context. This result implies that not only a certain amount of vocabulary but also ability to guess the meanings of words in context is needed for the efficient reading ability. However, this study has some limitations. First, the number of subjects is too small to generalize the results of this study. Second, the subjects of the research were all males. Third, experiment period and the vocabulary amount used for the test were not enough. Thus, variables such as the number and sex of subjects should be considered in future studies.

      • 일차두통환자의 두통 자기효능감, 수면위생실천과 수면의 질

        윤소영 제주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aims to examine Headache Self-Efficacy, Sleep Hygiene Practice and Quality of Sleep of Primary headache patients. This study largely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s among them and identifies the associated factors, desiring to develop intervention that can increase Quality of Sleep of primary headache patient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a total of 184 primary headache patients who had attended Neurology outpatient clinic of J university hospital in J city and agreed to participate in the survey, conducting from October 1st to November 20th, 2020. General characteristics, Headache related characteristics, Medication related characteristics, Headache Self-Efficacy, Sleep Hygiene Practice and Quality of Sleep were measured with a questionnaire. Using SPSS WIN 20.0 program, a descriptive analysis was conducted, providing frequency, mean, and standard deviation. In this study, a statistical test was carried out extensively while a multiple regression model was develop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mean of Headache Self-Efficacy score is 88.14 (±26.87). The means of headache prevention score and Headache Management score, which are sub components of Headache Self-Efficacy score, are 38.61 (±11.44) and 49.53 (±16.56), respectively. Next, the mean of Sleep Hygiene Practice score is 79.98 (±21.62), consisting of Awareness behavior score 24.82(±8.31), Sleep schedule score 22.77 (±6.34), Food/Beverage intake behavior score 12.18 (±5.18), Sleep environment score 20.22 (±8.38). Finally, the mean of Sleep quality score is 8.82 (±3.79). 2. From the General characteristics, Headache related characteristics, Medication related characteristics perspectives, the significant differences in headache self-efficacy, sleep hygiene practice and quality of sleep are as follows: 1) A Headache Self-Efficacy score is significantly different in whether a patient has a job (t=-2.19, p=.030). The significant differences include headache duration (F=2.70, p=.047), headache intensity (F=14.04, p>.001), and headache with other disease (t=-2.21, p=.028). There are also significant difference in prescription type (F=3.60, p=.015), the number of prescription drug for headache (F=4.49, p=.005), and appropriateness of the quantity of prescription drug (t=6.37, p=.002). 2) A Sleep Hygiene Practice score is significantly different in presence of spouse (t=-2.37, p=.019), presence of job (t=-2.14, p=.034), and appropriateness of the quantity of prescribed pill (t=4.37, p=.014). 3) A Quality of Sleep score is significantly different in gender (t=-2.13, p=.034), presence of spouse (t=-1.98, p=.049), headache duration (F=3.38, p=.020), headache frequency (F=3.55, p=.016), headache intensity (F=3.99, p=.020), frequency of taking over-the-counter-drug (F=3.58, p=.033) and appropriateness of the number of prescription drug for headache (F=3.89, p=.010). 3. Quality of Sleep is negatively correlated with Headache duration(r=-.19, p=.010), Headache Self-Efficacy(r=-.24, p<.001), positively correlated with Headache frequency(r=.22, p=.003), Headache intensity(r=.18, p=.014), Sleep Hygiene Practice (r=.41, p<.001) at the significance level. 4. Factors associated with Quality of Sleep are Sleep Hygiene Practice (β=.40, p=<.001), gender (β=.15, p=.025), Headache intensity(β=.14, p=.037), Headache Self-Efficacy(β=.14, p=.041) explaining 21.0% of Quality of Sleep (F=13.18, p<.001).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and further studies are as follows: 1. The results of this study do not necessarily represent the overall primary headache patients. This is because the sample was collected from only one university hospital located in J city while Quality of sleep were measured only one time. Therefore, a larger sample collected across the country is needed for a further study. 2. To increase the Quality of Sleep of primary headache patient, a study is needed to develop a program promoting Headache self-efficacy and Sleep Hygiene Practice to analyze its effect on Quality of Slee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