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기독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갈등과 진로태도성숙 간 관계에서 불안의 매개효과

        최나래 숭실대학교 기독교학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3433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ether anxiety plays a mediating role in relation to parental conflict as perceived by Christian youth and career attitude matur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come a useful reference for resolving the negative impacts of parental conflicts that Christian youth deal with through Christian career counseling, as well as providing basic data for career counseling and career education oriented towards Christian youth to aid them in their search for a God-given vision for the future. To this end, the relationship between anxiety, parental conflict perceived by Christian youth and career attitude maturity was investigated, and the impact of parental conflict perceived by Christian youth on career that must be treated need to be explored, and there is a need for healing through Christian counseling.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parental conflict effects various aspects of Christian youth lives; consequently, there is a need for Christian parental education, couples communication training, and Christian marriage counseling which recognizes the considerable influence that parents have on their children. Second, through the research results which indicated that parental conflict perceived by Christian youth and anxiety have less of an impact on ‘Purpose’ and ‘Preparedness’ (sub-factors of career attitude maturity) then on other sub-factors, it was found that because for Christian youth there exists the importance of Christian values and a special Christian community where they can reflect on their future career and vision more than other teenagers, there is a need for career education or Christian career counseling in church settings. Third, through the research results which indicated that anxiety influences career attitude maturity, it was confirmed that emotional factors also influence career. There is a need for emotional coaching for Christian youth which is able to assist them in positively controlling important feelings of anxiety; by providing a safe and accepting environment through Christian counseling, counselors will be able to locate the source of their patient’s anxiety and stability. Through the results of the above study the influence of parental conflict perceived by Christian youth on anxiety and career attitude maturity was confirmed, and by discovering the mediating effect of anxie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conflict perceived by Christian youth and career attitude maturity, it was verified that anxiety is one of the predictors of career attitude maturity. This suggests that parental conflict perceived by Christian youth and emotions of anxiety are important in the process of maturing the attitudes of Christian youth towards their future career path. * Keywords: Christian youth, parental conflict, anxiety, career attitude maturity 본 연구의 목적은 기독 청소년들이 지각한 부모갈등이 진로태도성숙에 미치는 영향을 불안이 매개하는지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는 기독 청소년들에게 내재되어 있는 부모의 갈등으로 인한 부정적인 영향들을 기독교적인 진로상담을 통해서 해소하고 하나님이 주신 비전을 찾아 나아갈 수 있도록 기독 청소년의 기독교적 진로상담이나 진로교육에 유용한 기초가료가 될 것이다. 이를 위해 기독 청소년들이 지각한 부모갈등과 진로태도성숙, 불안의 관계에 대해 살펴보고, 기독 청소년들이 지각한 부모갈등이 진로태도성숙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으며, 기독 청소년들이 지각한 부모갈등과 진로태도성숙의 관계에서 불안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하여 연구자는 서울, 경기 지역 내에 위치한 개신교 교회 15 곳에서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청소년 24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각 연구문제에 따라 Hayes가 제안한 PROCESS의 Model 4인 단순매개모형의 분석절차를 진행하였으며, Sobel 검정의 결과를 통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기독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갈등과 불안은 유의미한 정적상관을 나타냈고 기독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갈등과 진로태도성숙은 유의미한 부적상관을 나타냈으며 불안과 진로태도성숙도 유의미한 부적상관을 나타냈다. 둘째, 기독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갈등과 진로태도성숙의 관계에서 불안의 매개효과는 부분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독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갈등이 진로태도성숙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불안을 통해 간접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연구결과들을 바탕으로 살펴본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독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갈등이 불안과 진로태도성숙에 직접적인 영향을 준다는 결과를 통해 기독 청소년의 진로 상담을 할 때에 부모갈등이나 가정환경에서 오는 다양한 치유해야 하는 상처나 문제들에 대해 탐색하는 것이 필요하며 기독교적인 상담을 통해 치유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부모갈등이 청소년 자녀의 다양한 측면에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며 청소년 자녀에게 부모가 미치는 영향이 크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는 기독교적인 부모교육과 부부 간의 의사소통 교육, 기독교적인 부부상담 등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기독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갈등과 불안이 진로태도성숙의 하위요인인 목적성과 준비성에 다른 하위요인보다 덜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를 통해 기독 청소년에게 기독교적인 가치관의 중요함과 일반 청소년들보다 기독 청소년들은 진로나 비전에 대해 더 생각해 볼 수 있는 특수한 교회 공동체가 더 존재하기 때문에 교회에서의 기독교적인 진로 교육이나 기독교적인 진로 상담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불안이 진로태도성숙에 영향을 미치는 결과를 통해 정서적인 부분도 진로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청소년들에게 중요한 불안한 감정을 조절하여 긍정적으로 발휘할 수 있는 청소년 감정코칭이 필요하며, 기독교적인 상담을 통해 상담자는 안정적이고 수용적인 환경을 제공함으로써, 내담자의 불안한 감정 또한 안정을 찾을 것이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기독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갈등이 불안과 진로태도성숙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으며, 기독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갈등과 진로태도성숙의 관계에서 불안의 매개적 역할을 발견함으로써 불안이 진로태도성숙을 예측하는 변인 중 하나임을 확인하였다. 이는 기독 청소년의 진로에 대한 태도를 성숙하게 하는 것에 기독 청소년이 지각하는 부모갈등과 불안한 정서가 중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 성인초기의 눈치와 주관적 안녕감, 대인관계의 관계에서 사회적 문제해결능력의 매개효과

        최혜진 숭실대학교 기독교학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3433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problem solving ability on the relationship off nunchi to subjective well-being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among the young adulthood group. Additionally, this study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s of social problem solving abilities among the Christian group in comparison to non-Christian group. The results were expected to enrich the understanding of the relationships among those variables and inform clinicians of how to better help people in young adulthood increase their subjective well-being and enhance their interpersonal relationships. To this end, the researcher distributed and collected the questionnaires that consisted of nunchi, subjective well-being,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social problem solving ability measurements to 266 people in their 20s. The url questionnaires were also utilized. The participants were recruited from three 4-year universities in Seoul and Gyeonggi area and three churches in Seoul and Gyeonggi area.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o analyze the data according to the research ques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variables of nunchi and subjective well-being,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social problem solving ability had significant relationships with each other. Second, social problem had the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of nunchi to subjective well-being. Third, social problem solving ability had the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of nunchi to interpersonal relationship. Fourth, the averages of relavant variables between the Christian group and the non-Christian group did not yield any significant differences. The mediating effects of problem solving ability among the Christian group versus the non-Christian group were compared. The Christian group showed the full mediating effect of social problem solving ability on the relationship of nunchi to subjective well-being, and the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of nunchi to interpersonal relationship. In the non-Christian group, the partial mediating effect of social problem solving ability on the relationship of nunchi to subjective well-bing was confirmed, but the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of nunchi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 was not confirmed. The results of this study support, the mediating effects of social problem solving ability in the relationship of nunchi to subjective well-being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in young adulthood. It is suggested that the results should inform further research and counseling to help those in their young adulthood enhance subjective well-being and healthy interpersonal relationship. * Key words: nunchi, social problem solving ability, subjective well-being, interpersonal relationship 본 연구의 목적은 성인초기 집단을 대상으로 눈치가 사회적 문제해결능력을 매개로 주관적 안녕감과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데 있다. 또한 기독교 성인초기 집단과 비기독교 성인초기 집단의 비교를 통해 종교별 성인초기의 사회적 문제해결능력의 매개효과를 살펴보고자 했다. 이를 통해 성인초기의 주관적 안녕감과 대인관계의 어려움을 겪는 청년들에게 눈치와 사회적 문제해결능력이 어떤 식으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 적절한 상담계획을 수립하여 돕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자는 서울, 경기 지역의 4년제 대학 3곳에 재학하고 있거나, 서울, 경기지역의 교회 3곳에 출석하고 있는 사람들과, URL 설문지를 이용하여 20대 청년 266명을 대상으로 눈치, 주관적 안녕감, 대인관계, 사회적 문제해결능력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배포하고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연구문제에 따라 기술통계, t-test,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눈치는 주관적 안녕감, 대인관계, 사회적 문제해결능력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사회적 문제해결능력도 주관적 안녕감과 대인관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눈치와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사회적 문제해결능력의 매개효과는 완전매개효과로 나타났다. 셋째, 눈치와 대인관계의 관계에서 사회적 문제해결능력의 매개효과는 부분매개효과로 나타났다. 넷째, 성인초기의 기독교인 집단과 비기독교인 집단의 각 변인들의 평균은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하지만 두 집단의 변인 간 관계 양상은 다르게 나타났다. 기독교인 집단은 눈치와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사회적 문제해결능력의 완전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고, 눈치와 대인관계의 관계에서 사회적 문제해결능력은 부분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기독교인 집단에서는 눈치와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사회적 문제해결능력의 부분매개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지만, 눈치와 대인관계의 관계에서 눈치는 대인관계에 유의한 영향이 있었으나 사회적 문제해결능력의 매개효과는 확인 할 수 없었다. 본 연구의 의의는 성인초기의 눈치가 사회적 문제해결능력을 통해 주관적 안녕감과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봄으로써, 성인초기의 주관적 안녕감과 대인관계의 건강한 발달을 위한 연구 및 상담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한 것에 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상담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 주요어 : 눈치, 사회적 문제해결능력, 주관적 안녕감, 대인관계

      • 성인초기의 성인애착과 대인관계 문제의 관계에서 거부민감성과 정서표현양가성의 매개효과

        박단비 숭실대학교 기독교학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34335

        본 연구의 목적은 20대 청년들을 대상으로 성인애착이 거부민감성과 정서표현양가성을 매개로 대인관계 문제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데 있다. 또한 20대 청년들의 기독교 집단과 비기독교 집단을 비교하여 종교별 거부민감성과 정서표현양가성의 매개효과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하여 성인애착과 대인관계 문제의 관계에 대한 이해를 확장하고, 성인초기의 성인애착이 거부민감성과 정서표현양가성을 통하여 대인관계 문제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봄으로써, 보다 더 구체적인 상담 계획을 수립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대인관계에 어려움을 나타내는 청년들에 대한 적절한 상담계획을 수립하는데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서울과 지방 지역의 사람들을 대상으로 성인애착, 거부민감성, 정서표현양가성, 대인관계 문제로 구성된 URL설문지를 배포하여 총 277부를 수집하였으며, 응답을 누락하였거나 불성실한 응답자 7부를 제외한 270부를 본 연구의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연구문제에 따라 기술통계, 상관분석, t-test, 중다회귀분석을 통하여 분석하였으며, 매개효과를 재검증하기 위해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성인애착, 거부민감성, 정서표현양가성, 대인관계 문제 간의 관계는 모두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둘째, 성인애착과 대인관계 문제의 관계에서 거부민감성은 부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성인애착과 대인관계 문제의 관계에서 정서표현양가성은 매개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기독교인 집단과 비기독교인 집단의 각 변인들의 평균은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그러나 두 집단의 변인들 간의 관계는 다르게 나타났다. 기독교인 집단에서는 성인애착과 대인관계 문제의 관계에서 거부민감성과 정서표현양가성 모두 부분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대로 비기독교인 집단은 성인애착과 대인관계 문제의 관계에서 거부민감성은 부분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성인애착과 대인관계 문제의 관계에서 정서표현양가성은 매개효과를 확인 할 수 없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상담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s of rejection sensitivity and emotional expression ambivalence in the relationship of adult attachment to interpersonal problems among those who are in the early stage of adulthood. In addition, we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rejection sensitivity and emotional expressive ambivalence by comparing the Christian group of 20 's young adults with the non-Christian group.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tend the understanding of the relationship between adult attachment and interpersonal problems and to establish the more concrete counseling plan by examining the effect of early adult attachment on the interpersonal problems through the ambivalence of rejection sensitivity and emotional expression And it can be used as the basic data of interpersonal problem counseling for early adult. And to provide them as basic data for establishing appropriate counseling plans for young people who have difficulties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distributed a total of 277 copies of the URL questionnaire consisting of adult attachment, rejection sensitivity, positive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interpersonal problems to people in Seoul and the provinces, and collected 7 replies 270 copies were used as the analysis data of this stud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t-test,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ccording to research problem, and Sobel test was conducted to revalidate mediating effec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relationship between adult attachment, rejection sensitivity, emotional expressiveness, interpersonal problem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Second, rejection sensitivity is partially mediat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dult attachment and interpersonal problem. Thir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dult attachment and interpersonal problems, emotional expressiveness was not mediated. Fourth, the mean scores of the early Christian and non-Christian groups did not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However,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variables of the two groups were different. In the Christian group, both the rejection sensitivity and the emotional expression affinity were found to have a partial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dult attachment and interpersonal problem. The non-Christian group showed that the rejection sensitivity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dult attachment and interpersonal problem, but the mediating effect of emotional expression ambivalence could not be confirm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dult attachment and interpersonal problem. Based on the results of the research, I suggested some suggestions for counseling and follow-up research.

      • 기독교 청소년의 내면화된 수치심이 자살사고에 미치는 영향: 하나님 이미지와 자기용서의 연속다중매개 효과

        동희원 숭실대학교 기독교학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34319

        본 연구의 목적은 기독교 청소년을 대상으로 내면화된 수치심과 자살사고의 관계에서 하나님 이미지와 자기용서의 연속다중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자살사고로 인해 어려움을 겪는 기독교 청소년에 대한 이해를 확장하고, 이들을 도울 수 있는 상담적 개입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자료 수집을 위해 개신교 교회에 출석하는 중∙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총267부의 자료를 가지고 SPSS 25.0와 SPSS PROCESS macro를 활용하여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내면화된 수치심, 하나님 이미지, 자기용서, 자살사고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모든 변인 간에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내면화된 수치심은 자살사고와는 유의미한 정적 관계를, 하나님 이미지 및 자기용서와는 유의미한 부적 관계를 보였다. 하나님 이미지는 자살사고와는 유의미한 부적 관계를, 자기용서와는 유의미한 정적 관계를 보였다. 자기용서는 자살사고와는 유의미한 부적 관계를 보였다. 둘째, 내면화된 수치심은 자살사고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독교 청소년에게 내면화된 수치심은 자살사고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변인임을 시사한다. 셋째, 내면화된 수치심과 자살사고의 관계에서 하나님 이미지는 매개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내면화된 수치심이 높은 기독교 청소년은 부정적 하나님 이미지를 가질 수 있으나 부정적 하나님 이미지를 가진다고 하여 자살사고가 반드시 높은 것은 아님은 의미한다. 넷째, 내면화된 수치심과 자살사고의 관계에서 자기용서는 부분 매개하였다. 이는 내면화된 수치심이 자살사고에 직접 영향을 미치기도 하며, 자기용서를 통하여 간접 영향도 주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결과는 내면화된 수치심이 높은 기독교 청소년의 자살사고가 자기용서를 통해 낮아질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마지막으로, 내면화된 수치심과 자살사고의 관계에서 하나님 이미지와 자기용서는 연속 매개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내면화된 수치심이 높을수록 하나님 이미지는 부정적이며, 그 결과 자기용서가 어려워 자살사고가 높게 나타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는 긍정적 하나님 이미지를 가지게 되면 자기용서 수준이 높아져 낮은 자살사고를 보일 것으로 예측된다. 본 연구에 대한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내면화된 수치심과 자살사고의 관계에서 하나님 이미지의 매개효과를 경험적 연구를 통해 검증하였다. 둘째, 내면화된 수치심과 자살사고의 관계에서 하나님 이미지와 자기용서의 연속매개 경로 검증을 통해 기독교 청소년들의 자살사고를 다룰 때 필요한 개입 전략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중심으로 기독교 청소년 상담에 대한 시사점과 본 연구에 대한 한계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erial multiple mediating effects of God-Image and Self-Forgivenes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alized Shame and Suicidal Ideation among Christian Adolescents. This study aims to extend the understanding of Christian adolescents who are suffering from suicidal ideation and provide implications for counseling interventions. In this regard, a survey was conducted on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who attend the Protestant Church in South Korea. Data from a total 267 participants were analyze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using SPSS 25.0 and SPSS process macro. The result of this study is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alized shame, God-image, self-forgiveness, and suicidal ideation determined that the correlations among all variables were significant. To be specific, internalized shame was significantly positively correlated with suicidal ideation and negatively correlated with God-image and self-forgiveness. God-image was significantly negatively correlated with suicidal ideation, and positively correlated with self-forgiveness. Self-forgiveness was significantly negatively correlated with suicidal ideation. Second, internalized shame had a positive effect on suicidal ideation. This implies that internalized shame to Christian adolescents is a chief variable to have an effect on suicidal ideation. Third, God-image did not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alized shame and suicidal ideation. This means that Christian adolescents who have high internalized shame are possible to have a negative God-image but having a negative God-image is not necessarily linked to high suicidal ideation. Fourth, self-forgiveness had partial-mediation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alized shame and suicidal ideation. This shows that internalized shame directly affects suicidal ideation, and indirectly affects suicidal ideation through self-forgiveness, too. The result predicts that Christian adolescents who have high internalized shame might have low suicidal ideation when they are possible to forgive themselves. Lastly, God-image and self-forgiveness had significant serial multiple medi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alized shame and suicidal ideation. The result shows that high internalized shame leads to a negative God-image, and it causes difficulty in forgiving themselves. As a result, it might have high suicidal ideation. This means that as having a positive God-image, self-forgiveness can be possible, and it might leads to low suicidal ideation. The contribu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verified the mediating effect of God-imag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alized shame and suicidal ideation through empirical research. Second,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d the fundamental data for counseling intervention to deal with Christian adolescents’ suicidal ideation, verifying the serial mediating effects of God-image and self-forgivenes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alized shame and suicidal ideation. Based on these results, the implications for christian adolescents counseling were made, and limitations in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the further studies were discussed.

      • 기독교인 대학생의 생활 스트레스와 자살사고의 관계에서 하나님 이미지와 감사성향의 매개효과

        임영광 숭실대학교 기독교학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34319

        연구의 목적은 기독교 대학생 대상으로 생활 스트레스와 자살사고의 관계에서 하나님 이미지와 감사성향 각각의 단순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스트레스와 자살사고로 어려움을 겪는 기독교 대학생에 대한 이해를 확장하고 상담적 개입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자료 수집을 위해 하나님을 믿고 있는 기독교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273부의 자료를 가지고 SPSS 25.0와 SPSS PROCESS macro를 활용하여 매개효과 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생활 스트레스, 하나님 이미지, 감사성향, 자살사고 간 모든 변인 간에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활 스트레스는 자살사고와 유의미한 정적 관계를, 하나님 이미지 및 감사성향과는 각각 유의미한 부적 관계를 보였다. 또한 하나님 이미지와 감사성향은 자살사고와 각각 유의미한 부적 관계를 보였다. 둘째, 생활 스트레스는 자살사고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독교 대학생들에게 생활 스트레스는 자살사고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인임을 시사한다. 셋째, 생활 스트레스와 자살사고의 관계에서 하나님 이미지는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생활 스트레스 자체가 자살사고에 영향을 미칠 수도 있고, 생활 스트레스가 하나님 이미지를 매개로 자살사고에 영향을 미칠 수도 있음을 의미한다. 넷째, 생활 스트레스와 자살사고의 관계에서 감사성향은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생활 스트레스 자체가 자살사고에 영향을 미칠 수도 있고, 생활 스트레스가 감사성향을 매개로 자살사고에 영향을 미칠 수도 있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 대한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생활 스트레스와 자살사고의 관계에서 하나님 이미지와 감사성향 각각의 단순 매개효과를 경험적 연구를 통해 검증하였다. 둘째, 생활 스트레스와 자살사고의 관계에서 하나님 이미지와 감사성향이 부분 매개의 검증을 통해 기독교 대학생의 자살사고에 대한 개입 방안과 기초자료를 제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중심으로 기독교 대학생 상담에 대한 시사점과 본 연구의 한계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simple mediating effect of God's image and gratitude disposition respectivel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aily life stress and suicide ideation for Christian college students. Through this, we intend to help those students by presenting basic data to expand our understanding of Christian university students suffering from stress and suicide ideation and to provide implications for counseling intervention measures. In order to collect the data of this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on Christian university students who believed in God. A total of 273 students were used to analyze the mediating effect using SPSS 25.0 and SPSS PROCESS macro. The summary of the research results is as follows. First, the correlation between daily life stress, God's image, gratitude disposition, and suicide ideation was analyzed, and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all variables. Specifically, daily life stress showed a significant proportional relationship with suicide ideation, and the image of God and gratitude disposition showed a significant inverse proportional relationship with suicide ideation respectively. Second, daily life stress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suicide accidents, whichsuggests that daily life stress is a major factor of change influencing suicide ideationfor Christian college students. Third, God's image was found to partiall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daily life stress and suicide ideation, which suggests that daily life stress itself may affect suicide ideationdirectly, or daily life stress may affect suicide ideation indirectly through God's image. Fourth, gratitude disposition was found to partially mediate he relationship between daily life stress and suicide accidents, which suggests that daily life stressf may affect suicide ideation directly, or daily life stress may affect suicide ideation indirectly through gratitude disposition.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aily life stress and suicide ideation, each simple mediating effect of God's image and gratitude disposition was verified through empirical research. Second, it is meaningful tha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aily life stress and suicide ideation, the verification of mediating roles of God's image and gratitude disposition presented intervention measures and basic data for suicide accidents of Christian university students.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implications for counseling for Christian university students,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ollow-up studies were made.

      • 기독 성인의 초기 부모애착과 정서조절곤란 관계에서 하나님애착의 매개효과

        임지연 숭실대학교 기독교학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3430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attachment to Go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arly parental attachment and emotion dysregulation in Christian adults. Through this, it is intended to help the understanding of Christian adults suffering from difficulties in emotional regulation and to suggest counseling intervention measures. For this study, data were collected using a self-report survey method for Christian adults in Seoul and Gyeonggi-do metropolitan areas. A total of 367 copies of data were used for the analysis of the results, and the scales used for this study were Early Parental Attachment Scale(EPAS), Korean Version of the Difficulties in Emotion Regulation Scale(KDERS) and Korean Attachment to God Inventory(K-AGI). Statistical analysis was done with SPSS 3.3 statistical analysis program by utilizing Baron and Kenny’s(1986) hierarchical analysis method with Process Macro’s Bootstrap. The study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rrelations between early parental attachment, emotion dysregulation, and attachment to God, early parental attachment and attachment to God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And it was found that anxiety and avoidance in early father attachment and anxiety and avoidance in early mother attachment ha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emotion dysregulation, respectively. Also, anxiety and avoidance in attachment to God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emotion dysregulation. Second,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there was a mediating effect of attachment to God between attachment to early father mother and dysregulation. There was a full mediating effect of anxiety attachment to Go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arly anxiety attachment to father and emotion dysregulation, which implies that anxiety attachment to father does not have a direct effect on emotion regulation difficulty, but affects it only via anxiety attachment to God. In addition, attachment to God had a significant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arly parental attachment and emotion regulation difficulty in all cases of the combinations of avoidance in the attachment to father and avoidance in the attachment to God, of anxiety in the attachment to mother and anxiety in the attachment to God, and of avoidance in the attachment to mother and anxiety in the attachment to God. This means that while avoidance in early attachment to father and to mother and anxiety in early attachment to mother have a direct effect on difficulty in emotional regulation, they also indirectly affects it throughout attachment experience with God. The significance of the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re is the significance that we could clarify the importance of attachment to God as attachment to God has a mediating effect between early parental attachment and emotion regulation difficulty in this study. Thus, future studies how to enhance a secure attachment to God are required. Second, this study contributes to ascertaining the continuity of the internal working model that early attachment to parents continuously has affected the relationship with God by verifying the indirect effect of early parental attachment on emotion regulation difficulty through which attachment to God has been influenced by. This significance leads to take notice of disturbing factors that Christian adults could not have an intimacy nor emotional connection with God based on the past experience that they had no emotional bond with their early parents. Finally, there is a significance in the sense that this study examined both of the attachments to father and mother regarding to the effect of early parental attachment on emotion dysregulation, and its result was shown in both cases as well. The findings of this study shows that not only attachment to mother, a primary caregiver has an vital effect on emotion dysregulation, but also attachment to father. Based on these results and significance, the implications for Christian counseling were made, and limitations in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the further studies were discussed. 이 연구의 목적은 기독 성인의 초기 부모애착과 정서조절곤란의 관계에서 하나님애착이 미치는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통해 정서조절곤란의 어려움을 겪는 기독 성인들에 대한 이해를 돕고 상담적 개입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위해 서울, 경기 수도권 지역의 기독 성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한 자가 보고법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총 367부의 자료가 결과 분석에 이용되었고, 초기 부모애착 척도(EPAS) 및 정서조절곤란 척도(KDERS) 그리고 한국판 하나님애착 척도(K-AGI)가 사용되었다. 통계 분석은 SPSS 3.3를 활용하여 Baron과 Kenny(1986)의 위계적 회귀분석방법과 Process Macro의 부트스트랩(Bootstrap)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초기 부모애착, 정서조절곤란 그리고 하나님애착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초기 부모애착과 하나님애착은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여주었다. 그리고 초기 부 애착에서 불안 및 회피 그리고 초기 모 애착에서 불안 및 회피가 각각 정서조절곤란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하나님애착 불안 및 회피는 정서조절곤란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둘째, 초기 부모 애착과 정서조절곤란의 관계에서 하나님애착의 매개효과 결과를 검증하였다. 초기 부애착의 불안과 정서조절곤란의 관계에서 하나님애착 불안은 완전매개효과를 나타냈다. 이는 부애착 불안이 정서조절곤란에 직접적으로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고 부애착 불안이 하나님애착 불안을 거쳐야만 정서조절곤란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를 의미한다. 또한, 부애착 회피와 하나님애착 회피, 모애착 불안과 하나님애착 불안, 그리고 모애착 회피와 하나님애착 불안 조합에서는 모두 하나님애착이 부분매개효과를 가진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초기 부애착 회피와 모애착 불안 및 모애착 회피가 정서조절곤란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기도 하지만, 초기 부애착 회피와 모애착 불안 및 모애착 회피는 하나님과의 애착 경험을 통해 간적접으로 정서조절곤란에 영향을 미치기도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 대한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국내 기독 성인의 초기 부모 애착 경험이 정서조절곤란에서 미치는 영향에서 하나님애착이 매개효과를 나타냄으로 하나님과의 애착 경험의 중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따라서 하나님애착을 높일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초기 부모애착 경험이 하나님애착 경험에 영향을 끼쳐 정서조절곤란에 간접효과를 확인해 봄으로써 어린 시절 애착 경험이 하나님과의 애착 관계에서도 지속적인 영향을 미쳐 내적작동모델의 연속성을 확인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겠다. 이러한 의의는 초기 부모와 정서적 유대감을 형성하지 못했던 과거 경험을 바탕으로 하나님과 친밀한 관계를 맺지 못하게 하는 혹은 정서적 교류를 방해하는 요인들이 무엇인지 주목하게 한다. 셋째, 초기 부모애착이 정서조절곤란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아버지와 어머니 애착 모두를 살펴 보았고 연구 결과 역시 아버지와 어머니 애착 모두에게서 나타났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주 양육자인 어머니 애착 뿐만 아니라 아버지 애착 역시 정서조절곤란에 중요한 영향력을 미치고 있음을 나타내고 있음을 시사한다. 이러한 연구 결과 및 의의를 중심으로 기독교 상담에 대한 시사점과 본 연구에 대한 한계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 목회자의 직무스트레스가 우울과 탈진에 미치는 영향

        정근화 숭실대학교 기독교학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34303

        본 연구의 목적은 목회자의 직무스트레스로 인한 우울과 탈진의 현상을 파악하고 부교역자의 직분에 따른 정도의 차이를 확인하려 한다. 또한 목회자의 상담 요구도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내의 신학대학교에 재학 중인 목회자 136명을 표본으로 진행하였으며, 설문은 생태학적 조사, BDI, 직무 스트레스, 직무 탈진 등의 자료로 구성이 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연구문제에 따라 빈도분석, 상관분석, 회귀분석, t-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목회자의 직무스트레스는 목회자의 우울, 탈진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목회자의 직무 스트레스가 높으면 목회자의 우울과 탈진이 높아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부교역자의 직분에 따라 직무 스트레스, 우울 등이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교역자의 직분을 부목사 집단과 전도사 집단으로 나눠 비교하였을 때 직무 스트레스, 우울, 탈진 모두 부목사 집단에서 평균값이 높게 나타나고, 직무 스트레스와 우울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음이 나타났다. 셋째, 부목사 집단과 전도사 집단에서 직무 스트레스는 우울과 탈진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목사 집단에서는 역할갈등과 대인관계가 우울에, 그리고 대인관계는 탈진에 정적영향을 미치며 전도사 집단에서는 역할갈등이 우울에, 그리고 역할갈등과 대인관계는 탈진에 정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목회자의 직무 스트레스가 목회자 상담 요구도와 목회자 가족 상담 요구도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목회자가 스트레스의 상승은 자신 및 목회자 가족의 상담 요구도도 높아짐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목회자의 스트레스를 확인하고 문제들을 살펴보면서 그들의 현실적인 어려움에 대한 이해와 상담학적 접근의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job stress on the occurrence of depression and burnout of clergy. The study was conducted using a questionnaire survey and comparison between associate pastors and ministerial interns. A questionnaire paper was sent to 136 clergy working in six major denominations in South Korea. The denominations chosen were the Presbyterian Church, Methodist Church, Korea Evangelical Holiness Church, etc. Scales of measurement included Ivancevich’s work stress Scale, Beck Depression Inventory(BDI), and Maslach Burnout Inventory. Results indicated that job stress put both the associate pastors and ministerial interns at a higher risk of depression and burnout. However, the associate pastor group was found to have a higher amount of stress than the intern group. There was also a difference found between the associate pastor group and intern group. To be more specific, in the associate pastor group, both role conflict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ffected the occurrence of depression, while only interpersonal relationships had an effect on the occurrence of burnout. On the other hand, in the intern group, only role conflict was found to have an impact on depression, while the occurrence of burnout was affected by both role conflict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Findings also indicated that job stress not only has an effect on the occurrence of depression and burnout in the clergy, but also on the counseling needs for clergy themselves along their families.

      • 성인진입기 청년들의 아동기 학대경험과 경계선 성격성향의 관계에서 내면화된 수치심의 매개효과

        김수빈 숭실대학교 기독교학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34287

        본 연구의 목적은 내면화된 수치심이 성인진입기 청년의 아동기 학대경험과 경계선 성격성향의 관계를 매개하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통해 성격장애로 진단받지는 않았지만 경계선 성격성향으로 인해 개인·사회적으로 어려움을 겪는 성인진입기 청년들을 이해하고, 적절한 상담전략 수립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위해 2019년 9월∼10월 두 달 간 서울과 경기지역 대학교,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성인진입기(만 18세∼25세)청년들에게 자기보고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를 위해 사용한 척도는 아동기 외상 질문지(CTQ), 갈등관리행동척도(CTS)중 부부폭력노출 척도, 내면화된 수치심 척도(ISS), 경계선 성격장애 척도(PAI-BOR)이다. 수집된 자료는 Baron과 Kenny(1986)의 매개검증분석방법을 활용하여, SPSS 18.0 통계분석프로그램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자면 다음과 같다. 첫째, 주요 변수인 아동기 학대경험과 내면화된 수치심, 경계선 성격성향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모든 변수 간에는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각 변수의 하위요인 간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아동기 학대경험의 하위요인인 신체적 학대와 내면화된 수치심의 하위요인인 실수불안을 제외하고 두 변수 간 모든 하위요인은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아동기 학대경험의 모든 하위요인은 경계선 성격성향의 모든 하위요인과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으며, 내면화된 수치심과 경계선 성격성향의 모든 하위요인 간에도 유의한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는 다른 선행연구와 같은 맥락의 결과이며, 아동기 학대경험의 빈도가 많을수록 내면화된 수치심의 정도가 심해지며, 내면화된 수치심과 경계선 성격성향의 관계도 정도 면에서 그렇다는 의미이다. 둘째, 아동기 학대경험이 경계선 성격성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아동기 학대경험은 경계선 성격성향에 유의한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아동기 학대경험이 많을수록 경계선 성격성향의 정도가 심해지는 경향이 있다고 할 수 있다. 셋째, 아동기 학대경험과 경계선 성격성향의 관계에서 내면화된 수치심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내면화된 수치심은 아동기 학대경험과 경계선 성격성향의 관계를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이는 아동기 학대경험이 경계선 성격성향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기도 하지만, 내면화된 수치심도 경계선 성격성향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인진입기라는 현대사회문화를 반영한 발달단계에 있는 청년들의 아동기 학대경험이 경계선 성격성향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둘째, 내면화된 수치심이라는 보다 본질적인 심리적 변수가 경계선 성격성향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자 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최근의 경계선 성격성향 연구들이 언어화되거나 이해되기 어려운 초기경험과 관련된 심리적 변수에 주목하는 것과 맥을 같이 하고자 하였다. 셋째, 학대경험에 부부폭력노출을 포함하면서, 비교적 연구가 적은 부부폭력노출과 내면화된 수치심, 경계선 성격성향이라는 주요변수로 연구를 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넷째, 상담장면에서 경계선 성격성향 증상의 어려움으로 내방한 내담자의 사례를 개념화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내면화된 수치심이 상담자에 의해서도 자극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할 수 있어야 한다는 점을 조명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internalized sham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xperience of childhood abuse and borderline personality traits in emerging adults. This study aims to provide a foundation to better understand emerging adults who are having difficulty in their personal and social life due to borderline personality traits and provide a means to establish an appropriate counseling approach. For this study, a self-report inventory was provided to emerging adults (age between 18∼25) throughout the universities located in Seoul and Kyeonggi and online community. The Scale used for this study is Childhood Traumatic Questionnaire(CTQ), exposure to marital violence in Conflict Tactics Scales(CTS), Internalized Shame Scale(ISS), and Personality Assessment Inventory-Borderline Features Scale (PAI-BOR). Collected data had been analyzed by utilizing Baron and Kenny’s (1986) Mediation Method and SPSS 18.0 statistical analysis program. An overview of the results is as follows. First, by analyzing the correlation existing between major variable such as childhood abuse experience, internalized shame, and borderline personality traits, the existence of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each variable had been confirmed. Additionally,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subfactors of each variable revealed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all subfactors of two variable excluding the fear of failure, a subfactor of internalized shame, and physical abuse, a subfactor of childhood abuse. All subfactors of childhood abuse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all subfactors of borderline personality traits and internalized shame. Such result matches those of precedented studies meaning more exposure to childhood abuse results in more intense internalized shame and such positive correlation exists between the intensity of internalized shame and the extent of displaying borderline personality traits. Second, by conducting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n order to determine the effects of childhood abuse on the development of borderline personality traits, it was confirmed that experience of childhood abuse does exert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development of borderline personality traits. This suggests that more frequent exposure to childhood abuse is related to a stronger degree of borderline personality traits. Third, by conducting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n order to determine the mediating effect of internalized shame between childhood abuse and borderline personality traits, it was confirmed that internalized shame does partially mediate between childhood abuse and the development of borderline personality traits. This means that although the development of borderline personality traits is directly affected by previous experience of childhood abuse, internalized shame also exerts an indirect effect on borderline personality traits. This study and its findings are meaningful in following ways. First, the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validated the effect the experience of childhood abuse has in the development of borderline personality traits in emerging adults. Second, the study investigated to prove how internalized shame, a more essential psychological variable, affect borderline personality traits. Such attempt was in context with other recent studies which focused on psychological variable related to earlier experience which can be difficult to verbally express or understood. Third, by including exposure to parental-conflict within the category of childhood abuse, the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major variable such as exposure to marital violence, internalized shame, and borderline personality traits, three variables which only a limited number of study covers. Last, the study is significant in providing basic data for conceptualizing cases of subjects who sought counsel due to the difficulties related to symptoms of borderline personality traits. The study highlight the necessity of understanding the fact that internalized shame of a subject may be affected by the counselor as well.  

      • 부부의 내현적 자기애와 결혼만족도의 관계에서 내면화된 수치심의 매개효과 :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

        박유진 숭실대학교 기독교학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34287

        본 연구의 목적은 부부 관계에서 부부의 내현적 자기애가 내면화된 수치심을 매개로 결혼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 내현적 자기애, 내면화된 수치심, 결혼만족도의 관계를 규명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변인들 간의 관계를 이해하고 부부상담에 대한 함의를 얻고자 한다. 연구의 목적을 위하여 부부간의 상호작용을 분석하기에 적합한 자기-상대방 상호의존모형(Actor-Partner Interdependence Model: APIM)을 활용하여 경로분석을 실시했다. 경로 분석을 위해 사용된 자료는 남편과 아내 한 쌍으로 이루어진 총 142쌍 부부의 자료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내현적 자기애가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아내의 자기효과만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내현적 자기애가 내면화된 수치심에 미치는 영향은 남편과 아내 모두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가 유의하였다. 셋째, 내면화된 수치심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남편의 자기효과, 아내의 자기효과, 아내의 상대방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넷째, 남편의 내현적 자기애가 남편의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자기효과에서 남편‧아내의 내면화된 수치심은 완전매개 하였고, 아내의 내현적 자기애가 아내의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자기효과에서는 아내의 내면화된 수치심만 부분매개 하였다. 다섯째, 남편의 내현적 자기애가 아내의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상대방효과에서 아내의 내면화된 수치심만 완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아내의 내현적 자기애가 남편의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상대방효과에서는 남편‧아내의 내면화된 수치심이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부부의 내현적 자기애와 결혼만족도의 관계에서 내면화된 수치심의 매개효과에 대한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부부 상담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고, 나아가 본 연구의 한계를 논하고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the covert narcissism of couples in a marital relationship affects marital satisfaction through trait shame, it is to establish the relationship of covert narcissism, trait shame and marital satisfaction. Through this, we want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of the variables and get implications for marital counseling.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path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a suitable Actor-Partner Interdependence Model (APIM) to analyze interactions between couples. The data used for path analysis used were data from a total of 142 couples, consisting of a husband and wife. To summarize the research results, First of all, the effect of covert narcissism on marital satisfaction only showed that the wife's actor-effect was significant. Second, the effect of covert narcissism on trait shame resulted in significant actor and partner Effects for both husband and wife. Third, the effect of trait shame on marital satisfaction was significant in the effect of husband's actor-effects, wife's actor-effects, and wife's partner-effects. Fourth, the trait shame of the husband and wife in the actor-effects of the husband's covert narcissism on the husband's marital satisfaction was completely mediated, and only the trait shame of the wife was partially mediated in the actor-effects of the wife's marital satisfaction. Fifth, It was found that the trait shame of the wife was completely mediated in the partner-effects of the husband's covert narcissism on the wife's marital satisfaction, and that the trait shame of the husband and wife was completely mediated in the partner-effects. Through this, it was possible to check the and actor-partner effects of trait sham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uple's covert narcissism and marital satisfaction. Based on these findings, implications for marital counseling were derived, furthermore,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and suggestions were made for further research.

      • 대학생의 내현적 자기애와 SNS 과사용의 관계에서 영성과 우울의 이중매개효과

        송다솔 숭실대학교 기독교학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34287

        본 연구는 내현적 자기애와 SNS 과사용의 관계에서 영성과 우울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서 대학생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했으며, 총 386명의 자료를 최종 분석하였다. 연구도구로는 내현적 자기애 척도(CNS), 한국어판 영성평가 척도(K-SAS), 통합적 한국판 우울 척도(K-CES-D), 대학생용 SNS 중독 경향성 척도를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 기술통계분석,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PROCESS macro 6번 모형을 사용하여 영성과 우울의 순차적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또한 부트스트래핑을 사용하여 간접효과를 검증했으며, 그에 대한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요 변인 간의 상관분석 결과 내현적 자기애와 우울, SNS 과사용은 정적으로 유의한 상관이, 영성은 부적으로 유의한 상관이 나타났다. 영성은 우울과 부적으로 유의한 상관이 나타났으며, 우울은 SNS 과사용과 정적으로 유의한 상관이 나타났다. 영성과 SNS 과사용의 경우에는 유의미한 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내현적 자기애와 SNS 과사용의 관계에서 영성과 우울이 각각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내현적 자기애가 영성과 우울을 순차적으로 매개하여 SNS 과사용으로 이어지는 이중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이 결과는 내현적 자기애 성향이 높을수록 영성을 형성하는 것이 어렵게 되고, 그 결과 우울 수준이 높게 나타남으로 인해 SNS 과사용의 수준도 높게 나타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이를 통해 높은 내현적 자기애 성향을 가진 사람의 영성을 높여줌으로서 우울의 수준을 낮추고, 그에 따라서 SNS 과사용의 수준 또한 낮춰줄 수 있다는 치료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e the mediated effects of spirituality and depress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vert narcissism and SNS overuse. To proceed with this sutdy, the target of survey was university students over online, and a total of 386 students were finally analyzed. The research tools were a Covert Narcissism Scale, Korean version of Spirituality Assessment Scale, Korean version of the Center for Epidemiological Studies-Depression Scale, and SNS Addiction Proneness Scale for college students. For data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performed through the SPSS program, dual mediated effects of spirituality and depression were analyzed by using PROCESS macro 6 model. In addition, the bootstrapping was used to appraise indirect effects, an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the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the main variables, there were a positive correlation with expressive narcissism, depression, and SNS overuse, an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spirituality. Spirituality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depression, and depression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SNS overuse. There was no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spirituality and SNS overuse. Secondly, it was foun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covert narcissism and SNS overuse is partly mediated by mentality and depression. Finally, covert narcissism mediates spirituality and depression in sequence, which leads to SNS overuse as the effect of the dual parameter. This result shows that the higher the covert narcissism tends to be, the more difficult spirituality is formed. Due to the effect, it provides therapeutic implications that the level of depression can be lowered by enhancing the spirituality of those who are high covert narcissism tendencies, and accordingly, the level of SNS overuse can also be lower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