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터널 유지관리 자동화 계측시스템(부착식 내공변위계)의 계측분석기법 및 적정성에 관한 연구

        임영광 漢陽大學校 産業大學院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터널 유지관리 기준치 제시를 위한 계측 분석기법 및 부착식 내공변위계에 의한 자동화 계측시스템의 적정성을 분석하였다. 계측자료 분석을 위한 모델을 설정하기 위해서는 숏크리트와 라이닝 사이의 방수재를 고려한 접촉요소(Interface element)를 사용하였으며, 시공자료를 충분히 검토하여 역해석한 결과를 지반 물성치로 사용하여 시공에 적용하였다. 유지관리 기준치 제시를 위해 터널 상부 지표면에 상재하중을 가하여 라이닝에 강재변위를 발생시켜 라이닝의 허용응력이 초과할 때의 천단부 연직변위를 부착식 내공변위계가 설치된 자동화 계측시스템의 기준치로 설정하였다. 부착식 내공변위계의 적정성을 증명하기 위하여 광파기와 Tape Extensometer에 의해 각각 측정된 오차 값을 비교한 결과 부착식 내공변위계가 가장 안정한 것으로 측정되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 제시한 계측분석기법을 토대로 유지관리 기준치를 설정하고 이를 부착식 내공변위계에 의한 자동화 계측시스템에 적용한다면 효과적인 터널 유지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북한 초등교원 양성에 대한 연구

        임영광 총신대학교 신학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통일이후 남북한 교육통합과 교육개혁을 준비하기 위하여 북한의 교원교육체계에 나타나는 정치적 통제와 교원전문성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는 것이다. 본 연구는 북한 교원교육을 사회문화재생산 이론에 근거한 정치적 시각으로 접근했으며, 3대 세습이 이어지는 북한의 교육에 초점을 맞추었다. 현재 북한교육에 영향을 준 환경변수와 이에 대응하는 교육변화는 다음과 같다. 1990년대 ‘고난의 행군’으로 불리는 총체적 위기를 맞아 체제유지와 개방이라는 딜레마에 빠진 북한은 교육 변화를 통한 생존을 모색하였다. 이에 북한의 교육은 체제수호를 위한 ‘수령결사 옹위’정신과 선진 과학기술로 무장된 공산주의 후비대 양성을 목적으로 하며, 교원교육은 두 가지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다. 첫째, 북한의 교원교육은 체제유지를 위하여 혁명전통, 계급교양과 같은 정치사상교육을 강화함으로서 정권에 정당성을 부여하고 있다. 둘째, 김정은 시대의 ‘선경정치(先經政治)’ 부상으로 국가경쟁력 강화를 위한 것이다. 이에 수재교육 등에 교육역량 집중, 수학과 물리학 등의 기초 지식과 영어와 컴퓨터교육과 같은 실용적인 교과 강화, 학교시설 현대화, 지능교수를 통한 창의력과 사고력 향상, 교원재교육을 통한 교원의 질제고 등이다. 북한의 교원교육체계의 특성은 당��국가기관의 정점을 장악한 수령의 유일적지도체계가 교원교육의 내용과 방법을 결정하는 주체가 된다는 것이다. 또한 민주적 중앙집권제에 의해 교육행정의 의사결정권은 최고 권력기관에 집중되고, 중앙의 행정장악력이 지방의 하급기관까지 미치도록 체계화 되어있다. 당��국가체제의 이중적 교원통제체계는 교원의 선발, 양성, 배치, 재교육에 이르기까지, 정치화된 행정과 조직의 2원적 체계로 나타난다. 체제유지를 위한 관료적 통제의 심화와 자율성 제한은 학교와 교원 모두의 전문성 경화를 가져왔다. 정치화와 관료제의 기능을 지원하는 도구로서 당��국가체제의 이중적 구속에 속박된 교원은 정치적 통합을 위한 도구적 존재로 전락하게 된다. 정치적인 교원 통제는 의무적인 자격검정시험, 규정된 교육강령의 집행, 교수안 검열, 각종 총화, 정치조직 활동으로 나타난다. 그 외에도 교원의 전문성을 저하하는 요인으로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교원은 자신의 결정만으로는 교수��학습을 구성하거나 변경할 수 없으며, 행정적 의사결정에 참여할 수 없고, 선택적 연수의 기회가 없다. 교원에게 최저생계를 위한 급여마저 지급되지 않으며, 교원 1인당 학생 수가 40인 정도로 많고, 사회주의 행정의 특성상 수많은 문서와 행정업무가 주어진다. 과도한 업무와 당��국가체제의 교육행정은 교원의 전문성을 낮추고 교육 관료로서의 기능만을 높이고 있다. 정치적 요구는 교원으로 하여금 단순한 기술의 전달자, 정치적사회화 매개촉진자로서의 기능만을 요구한다. 결론적으로 북한의 교원교육은 정치사회화 기능의 비대증으로 자율성을 바탕으로 한 교원의 권능부여와 전문성 신장을 요원하게 하고 있다. 정치화 된 교원교육으로는 교육개혁을 통해 북한사회에 주어진 과제를 해결할 수 없으며, 수령의 결사옹위대를 양산하는 것 이상의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

      • 1970년대 민족문학 담론 연구

        임영광 계명대학교 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dissertation is to define the structure of the 1970s' ethnical literature argument; in particular, its thesis, the formation of the argument, and the strategy of differentiation. Grasping 1970s' literature criticism, its object is to clarify various literature arguments and the relation of literature theories. Also, the object of this paper is to grasp that the 1970s' literature criticism argument opposes control ideology; it is bound up with the formation of national literature argument and its process, opposed to ideological distinction and its relation to various process of 1970s' literature theory by critically looking at study as history of national literature or history of national literature argument . By this time, most of the 1970s' literature criticism study didn't treat this subject aggressively. Choosing 1970s' literature as a focus of study has been an obstacle in that a minute amount of time has elapsed since this time period to look at this research objectively. In this climate, continuous study was deeply grasped by the tendency to use historical meaning for 1970s' national literature argument. However, it is difficult to understand the relation of each literature theory or macroscopic 1970s' literature argument--although the national literature argument divides 'national literature arguments' or each literature theory, occurring in history; therefore, the terms of each literature theory has a cause and effect. Past historical studies have not created a standard in researching national literature: this dissertation will argue for a standard. The standard argues the creation of social change that induces change in human recognition, which induces the argument to be reconstructed. It is essential to utilize discussion composition body and non-discussion composition body to change the argument or to form a new argument in the national literature. In this point, we must have a prerequisite to understand 1970s literature criticism; that is, we must have an understanding the 1960s' literature criticism argument with recognition of society at that time. The 1970s' capitalistic modernization brought not only enlargement of social wealth but also restraint and plundering to the masses. A critic represents recognition of a changing society in his writings. In the third chapter, the argument states that the subjects of literary works become the objects of literary criticism; paralleling the tendencies of the market. Social change and recognizing its change, alters the way in which literature is written. When this change in literature occurs, it is important that literature dissociates itself with commercial novels and common novels. If we establish that commercial novels exploit those in a subordinate position, we ascertain that commercial novels are irrelevant to the discussion of literature. In addition, the new generation of critical discussion of the 1960s' form a burden on the 1970s' literature argument, criticizing serious literature through realism (dividing the debate are "Fiction Writing and Criticism" and "Literature and Intelligence") The fourth chapter presents argument object and the burdens of the time period's national literature opposing itself in order to create a new theory and argument to have opposition to conservative national ideology. The opposition against conservative national literature led to the early stages of national literature discussions in public affairs, and resisted the creation of: "Fiction writing and Criticism" and "Literature and the Intelligence;" the sincerity to develop a literature objection to governing ideology; and hold a special location to discuss opposition ideology. During the 1970s, "Fiction Writing and Criticism" becomes the recognized form of nationalism for the people. In addition, democratic imagination makes a serious study about realism in order to describe downtrodden reality. As a result of epistemology within this historical point, the third world establishes and utilizes this theory. In contrast, 'the citizen' in "Literature and the Intelligence" integrates with Western philosophy, ideology, and theory. Personal imagination contradicted realism, and created realistic freedom and autonomy to interpret literature. Also, this autonomy to protect analysis of reality and its understanding through structuralism develops. This difference of subjective theory and national literature theory evolve into arguments within popular literature theory, agrarian theory, realism, and third-world theory; which develops into a discontinuation of subject theory and national literature theory. This conservative national literature theory opposed social self-recognition theory, and national literature theory created a discrimination strategy between the two groups to develop a literature objection. It is this dissertation's thesis that the public grasped literature criticism during the 1970s. This paper debates a deeper and broader historical view with a broad view of the 1970s national literature argument, along with various literature theories of the time and the interaction between each and the usefulness we can expect from each. 1970s historical criticism defined by "Fiction Writing and Criticism" was a progressive national literature theory, which was opposed by "Literature and Intelligence's," which stipulated character theory, not found in national literature theory, and thus an argument between both ensued on which was correct. Between "Fiction Writing and Criticism" and "Literature and Intelligence," these two contrasting theories and arguments are achieving during the 1970s a similar point, and thus causes a discontinuation between these groups; therefore, it is important and significant to study this matter seriously. 본고는 1970년대 민족문학 담론의 구조, 특히 주제적 담론과 담론의 형성 그리고 차별화 전략을 밝히고 나아가 1970년대 문학비평을 파악하여 다양한 문학논쟁들과 문학이론들의 관계를 명확히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이 논문은 민족문학사 혹은 민족문학논쟁사 등으로 역사화된 의미로서 1970년대 문학비평을 연구하는 것을 비판적으로 바라보면서, 1970년대 문학비평 담론을 지배이데올로기의 대항이데올로기로 파악하고 그것이 민족문학 담론의 형성 및 전개에 밀접한 연관성을 갖고 있으며 이러한 대항 이데올로기적 특징이 1970년대 문학이론의 다양한 입론과정들과 관련이 있음을 입증하는 것에도 그 목적을 두었다. 지금까지 대개의 1970년대 문학비평 연구는 적극적으로 다루어진 주제가 아니었다. 이는 1970년대를 연구대상으로 선정하는 것이 연구대상으로 삼을 만한 객관적인 거리라는 시간적 거리가 필요하거니와 무엇보다도 1970년대 문학의 구도가 지금의 문학계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점으로 인해 객관적 연구에 장애가 된다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 풍토 속에서 현재까지 진행된 연구는 1970년대 민족문학 담론을 역사적 의미에서 파악하고자 하는 경향이 농후하였다는 점이다. 그러나 이러한 연구는 민족문학 담론을 '민족문학론' 혹은 각 개개의 문학이론들로 담론을 해체하고 역사화 시켜 각 문학이론 간의 전후관계 파악에는 중요한 의의를 갖지만, 각 문학이론 간의 상호관계 파악 혹은 1970년대 문학 담론의 거시적 파악에는 어려움을 겪을 수밖에 없다. 지금까지의 연구가 민족문학 담론을 역사화 시키는데 반하여 이 논문에서는 1970년대 문학비평의 담론을 공시적으로 바라보는데, 이를 위한 기준을 설정하여야만 한다. 그 기준으로는 사회적 변화가 사람들의 인식의 변화를 유도하고 마침내는 담론의 변화를 유도한다는 것이다. 하나의 담론이 변화를 하기위해서는 혹은 새로운 담론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담론구성체와 비담론구성체의 형성이 필수적이다. 이러한 점에서 볼 때 1970년대 문학비평 담론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그 사회에 대한 인식과 함께 1960년대 문학비평 담론의 이해가 전제가 된다. 그러한 면에서 1970년대 자본주의적 근대화는 사회적 부의 증대라는 일면의 효과를 거두기는 하지만 이와 동시에 민중에 대한 억압과 수탈이라는 이면적인 부정적 효과도 동시에 나타내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변화하는 사회에 대한 뚜렷한 인식을 비평가들이 그들의 글에서 분명하게 보여주고 있다. Ⅲ장에서는 이러한 전제를 바탕으로 문학비평담론의 대상이 되는 문학 작품과 담론의 주체들의 형성을 밝혔다. 1970년대 문학에서는 사회적 변화와 그에 대한 인식의 변화가 문학 작품의 변화를 유도하고 있다. 문학 작품의 변화 속에서 중요한 점이 바로 대중소설과 본격소설이 분리되었다는 점이다. 이러한 분리를 통하여 대중소설은 하위문화로 치부되면서 문학 담론의 논외 대상이 된다. 그리고 1960년대 신세대 비평가로 분류되던 비평가들은 본격문학을 그 대상으로 삼으면서 리얼리즘 논쟁을 통해 『창작과 비평』과 『문학과 지성』으로 분리되면서 1970년대 문학비평의 담론의 주체를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Ⅳ장에서는 담론 대상과 주체들이 지배이데올로기인 보수적 민족문학론에 반대하여 자신들의 문학론을 입론하고 대항이데올로기로 그 의미를 가질 수 있는지 파악하고 있다. 보수적 민족문학론에 대한 반대를 통해 민족문학 담론의 초기부터 지배이데올로기에 공히 저항한 『창작과 비평』과 『문학과 지성』은 각각의 문학이론을 발전시키면서 대항이데올로기로서의 담론 내부의 언표적 위치를 차지하게 된다. 『창작과 비평』은 1960년대 '시민'이라는 인식의 주체가 1970년대 민족주의라는 역사의식을 만나게 되면서 민중을 발견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민중적 상상력은 그들의 억압받는 현실을 극적으로 그려내기 위하여 리얼리즘에 대한 진지한 탐구를 시작하게 만든다. 그리고 민중에 대한 인식론적 확장의 결과 전지구적 관점에서 제3세계론으로 발전하게 된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문학과 지성』의 경우 '시민'이라는 인식의 주체가 서구 보편론과 결합하면서 개인의 의미를 강화하게 된다. 개인적 상상력은 결국 리얼리즘에 대한 반대라는 의미로 해석되며 현실적 자유와 더불어 문학적 자율성을 옹호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자율성을 옹호하기 위해 현실에 대한 분석적 이해를 통해 분석적 구조주의로 발전해 나간다. 이러한 차이는 주제적 담론인 민족문학론에서 시작되어 대중문학론, 농민문학론, 리얼리즘론, 제3세계론 등의 다양한 논쟁 속에서 획득되고 발전해 나간 것으로 이러한 논쟁들은 두 그룹간의 연관과 단절을 동시에 보여주는 것이다. 이러한 보수적 민족문학론에 대항하여 사회에 대한 인식을 통해 자신들만의 문학이론을 구축하고 두 그룹간의 차별화 전략을 통해 각각의 문학이론을 발전시켜 나간 것이다. 이 논문의 논의는 1970년대 문학비평 담론을 대상으로 삼고 이들을 공시적으로 파악하였기 때문에 일정한 한계가 있다. 그러나 본고의 논의를 좀 더 심화․확장할 때 역사적 관점과 더불어 1970년대 민족문학 담론을 거시적으로 파악하고 이 시기에 나타난 다양한 문학이론의 발생과 각 문학이론 간의 상호연관성을 파악하는데 유용한 효과를 거둘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1970년대 비평사를 정리하면서 진보적 민족문학론의 중심인 『창작과 비평』과 이에 대한 반론적 성격으로만 의미가 규정된 『문학과 지성』이 아니라 보수적 민족문학론에 대항하여 형성된 두 가지 방법의 문학이론과 그 입론 과정이라는 담론으로 파악하는 것이 민족문학 담론에 대한 올바른 파악이라는 점을 분명히 한다. 『창작과 비평』과 『문학과 지성』 두 그룹이 1970년대 문학비평사 혹은 담론의 내부에서 동일한 지위와 위치를 획득하고 있다는 점, 그리고 이러한 두 그룹 간의 연관과 단절이 동일하게 중요시 되어야한다는 것을 지적했다는 점에서 본고의 의의가 존재한다. 핵심어: 1970년대 문학비평, 1970년대 민족문학 담론, 비담론형성체, 담론형성체, 담론 대상, 담론 주체, 주제적 담론, 차별화 전략

      • 관성측정장치를 이용한 보행단계 및 보행환경 추정에 관한 연구

        임영광 한국산업기술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보행분석은 보행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를 조사하고 평가하는 것으로 재활분야 뿐만 아니라 로봇 분야 에서도 중요한 요소 기술이다. 보행분석에는 광학식 모션 측정 시스템이나 지면반력기가 주로 사용되며 높은 정확성과 정밀성을 가진다. 그러나 이러한 보행분석 시스템은 설치공간의 제약과 고가의 가격으로 인해 대학병원이나 특수병원에서 밖에 보유를 하지 못해 일상생활에서의 접근이 어려우며 또한 설치 공간의 제약으로 인해 제한된 구간에서만 보행분석이 가능한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기존 보행분석 장비보다 공간제약이 적고 비용이 저렴한 관성측정장치를 이용한 보행단계 및 보행환경 추정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알고리즘은 관성측정장치를 통해 추정된 무릎 관절각을 이용하여 보행단계 및 보행환경이 추정 가능한 알고리즘이다. 보행단계와 보행환경에 따른 무릎관절각의 특징점을 분석하여 설계되었으며 극점 검출기와 유한상태기계로 구성된다. 보행 단계 및 보행환경 추정 실험은 관성 측정 장치의 가속도 센서와 각속도 센서를 이용하였으며 센서 융합을 통해 각각의 센서가 가지는 단점을 보완했다. 제안하는 알고리즘의 효용성 평가를 위해 실험 환경을 구성하여 제안하는 알고리즘의 효용성 평가를 진행하였다. 제안하는 알고리즘의 보행 단계 검출 정확도는 평지에서 98%, 오르막에서 97%, 내리막에서 92%로 평균 95%의 정확도를 보였으며 보행환경 검출정확도는 평지에서 98%, 오르막에서 97%, 내리막에서 92%로 평균 95%의 정확도를 보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관성측정장치를 이용한 보행단계 및 보행환경 추정 기법은 보행단계에 따라 요구되어지는 기능과 동작을 통해 충실히 이행했는지 평가하는데 도움이 되며 일반인의 보행능력 평가 및 보행보조 로봇, 지능형 의족 등과 같은 로봇 제어 분야에 사용이 가능할 것으로 확인되었다.

      • 기독교인 대학생의 생활 스트레스와 자살사고의 관계에서 하나님 이미지와 감사성향의 매개효과

        임영광 숭실대학교 기독교학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연구의 목적은 기독교 대학생 대상으로 생활 스트레스와 자살사고의 관계에서 하나님 이미지와 감사성향 각각의 단순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스트레스와 자살사고로 어려움을 겪는 기독교 대학생에 대한 이해를 확장하고 상담적 개입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자료 수집을 위해 하나님을 믿고 있는 기독교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273부의 자료를 가지고 SPSS 25.0와 SPSS PROCESS macro를 활용하여 매개효과 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생활 스트레스, 하나님 이미지, 감사성향, 자살사고 간 모든 변인 간에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활 스트레스는 자살사고와 유의미한 정적 관계를, 하나님 이미지 및 감사성향과는 각각 유의미한 부적 관계를 보였다. 또한 하나님 이미지와 감사성향은 자살사고와 각각 유의미한 부적 관계를 보였다. 둘째, 생활 스트레스는 자살사고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독교 대학생들에게 생활 스트레스는 자살사고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인임을 시사한다. 셋째, 생활 스트레스와 자살사고의 관계에서 하나님 이미지는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생활 스트레스 자체가 자살사고에 영향을 미칠 수도 있고, 생활 스트레스가 하나님 이미지를 매개로 자살사고에 영향을 미칠 수도 있음을 의미한다. 넷째, 생활 스트레스와 자살사고의 관계에서 감사성향은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생활 스트레스 자체가 자살사고에 영향을 미칠 수도 있고, 생활 스트레스가 감사성향을 매개로 자살사고에 영향을 미칠 수도 있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 대한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생활 스트레스와 자살사고의 관계에서 하나님 이미지와 감사성향 각각의 단순 매개효과를 경험적 연구를 통해 검증하였다. 둘째, 생활 스트레스와 자살사고의 관계에서 하나님 이미지와 감사성향이 부분 매개의 검증을 통해 기독교 대학생의 자살사고에 대한 개입 방안과 기초자료를 제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중심으로 기독교 대학생 상담에 대한 시사점과 본 연구의 한계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simple mediating effect of God's image and gratitude disposition respectivel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aily life stress and suicide ideation for Christian college students. Through this, we intend to help those students by presenting basic data to expand our understanding of Christian university students suffering from stress and suicide ideation and to provide implications for counseling intervention measures. In order to collect the data of this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on Christian university students who believed in God. A total of 273 students were used to analyze the mediating effect using SPSS 25.0 and SPSS PROCESS macro. The summary of the research results is as follows. First, the correlation between daily life stress, God's image, gratitude disposition, and suicide ideation was analyzed, and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all variables. Specifically, daily life stress showed a significant proportional relationship with suicide ideation, and the image of God and gratitude disposition showed a significant inverse proportional relationship with suicide ideation respectively. Second, daily life stress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suicide accidents, whichsuggests that daily life stress is a major factor of change influencing suicide ideationfor Christian college students. Third, God's image was found to partiall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daily life stress and suicide ideation, which suggests that daily life stress itself may affect suicide ideationdirectly, or daily life stress may affect suicide ideation indirectly through God's image. Fourth, gratitude disposition was found to partially mediate he relationship between daily life stress and suicide accidents, which suggests that daily life stressf may affect suicide ideation directly, or daily life stress may affect suicide ideation indirectly through gratitude disposition.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aily life stress and suicide ideation, each simple mediating effect of God's image and gratitude disposition was verified through empirical research. Second, it is meaningful tha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aily life stress and suicide ideation, the verification of mediating roles of God's image and gratitude disposition presented intervention measures and basic data for suicide accidents of Christian university students.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implications for counseling for Christian university students,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ollow-up studies were made.

      • 은퇴결정요인과 은퇴 후 소득에 관한 연구

        임영광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receeding studies have examined to verify the determinants of retirement decision. In this paper, I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determinants of retirement decision and to analyze the determinants of retirement decision according to voluntary retirement presence and income post-retirement. The perfect retirees selected among total respondents were explained on a specific character of the retirees.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Among the variables related to the determinants of retirement decision age, sex, education period, a spouse's working presence and public transfer income, private transfer income, financial asset show that significantly positive sign and increase the retirement probabilities. And I estimate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using KLoSA and I estimated the marginal effect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Second, Among the variables related to the determinants of retirement decision according to voluntary retirement presence education period, sex, marriage presence, private pension joining whether or not show that significantly positive sign and increase the retirement probabilities. And I estimate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using KLoSA and I estimated the marginal effect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hird, Among the variables related to income post-retirement multi regression analysis education period, health level, region, marriage presence, household number show that significantly positive sign and income post-retirement. Fourth, I examined on specific character of the perfect retirees. the results show that there is major reason for retirement to worse a respondent's health. In retirement satisfaction survey, an half of the respondents were satisfied for retirement. However, comparing in pre-retirement and post-retirement, over an half of respondents were not satisfied. I assume that mainly reason why because of economic difficulties. 인구고령화현상은 출산율 저하와 더불어 세계적으로 주된 관심사 중의 하나이다. 노동시장 구조의 변화와 기업내부의 변화로 인해 강제은퇴(퇴직)가 증가하고 있으며 은퇴시기가 점차 빨라지고 있다. 은퇴는 주된 일자리에서 완전히 그만두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곧 노동공급의 중단상태를 나타낸다. 기존 선행연구에서는 은퇴의 결정기준으로 은퇴에 대한 응답자의 주관적인 평가, 경제활동참가여부, 노동시간이나 임금수준, 주된 일자리로부터의 은퇴, 연금수급시점 등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고령화연구패널(KLoSA) 1차년도(2006) 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은퇴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고, 자발적 은퇴여부에 대한 은퇴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해 분석하였다. 그리고 은퇴 후 소득에 대해서도 실증 분석하였다. 한편 전체 분석대상 중 완전은퇴자 대상으로 은퇴자의 특성을 설명하였다. 본 논문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은퇴결정요인의 실증분석결과에 따르면 연령, 성별, 교육기간, 배우자의 근로여부, 공전이전소득, 사전이전소득, 금융자산 등이 은퇴결정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은퇴확률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발적 은퇴여부에 대한 은퇴결정요인의 분석결과에 따르면, 교육기간, 성별, 결혼유무, 사적연금가입여부 등이 은퇴결정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은퇴확률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은퇴 후 소득에 관한 다중회귀분석결과에 따르면, 교육기간, 건강수준, 지역, 결혼유무, 가구원수가 은퇴 후 소득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은퇴확률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완전은퇴자를 대상으로 은퇴자의 특성에 대해 살펴 본 결과에 따르면, 은퇴의 주요사유로는 건강악화를 들 수 있으며, 은퇴에 대한 만족도에 대해서는 응답자의 과반 수 이상이 은퇴에 대해 대체로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은퇴 전과 은퇴 후에 대한 비교에서는 과반 수 이상이 은퇴 전보다 은퇴 후가 만족스럽지 못하다고 응답하였다. 본 논문의 분석결과에 따르면, 개인특성변수인 성별이나 교육기간의 경우는 은퇴결정이나 은퇴 후 소득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그 외에 개인특성변수와 소득변수, 자산변수, 연금변수 등은 각각의 실증분석에 따라 다른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은퇴결정에 공적이전소득과 사전이전소득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조기은퇴와 강제은퇴 현상이 가속화될 경우 이전소득에 대한 의존도가 보다 더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사회보장제도가 은퇴결정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하였으나 분석결과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