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폴리에테르 폴리올 제조용 이중 금속 시안화물 촉매제조 및 활성에 관한 연구

        김수빈 순천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47

        폴리우레탄Polyurethane, PU)은 기초화학과 접착제의 제조기술 및 배합조건에 따라서 그 종류와 용도가 다양하여 산업용뿐만 아니라 일상생활에서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PU는 디이소시아네이트와 폴리올을 이용하여 합성된다. 여기서 사용되는 폴리올은 다가 알코올 또는 방향족 아민 등의 개시제와 산화프로필렌(PO) 또는 산화에틸렌(EO)을 염기성 촉매 하에서 반응시켜 얻어진다. 제조된 폴리올은 에폭사이드 중합시 부반응에 의해 불포화 폴리올이 생성된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염기성 촉매가 아닌 불포화 폴리올이 적게 생성되는 DMC 촉매를 사용하였다. DMC 촉매는 Zn과 Co의 몰 비, 촉매의 제조온도 및 건조온도, 여과분위기 및 적가여부, 배위자를 변화시켜 제조하였고, 촉매의 성능은 제조된 폴리에테르 폴리올의 물성을 측정하여 평가하였다. DMC 촉매의 물성은 SEM 이미지, XRD 패턴 및 BET 비표면적으로 조사하였으며, 폴리에테르 폴리올의 물성은 수산기가, 점도 및 불포화도로 평가하였다. 폴리에테르 폴리올의 제조에는 통상적인 회분식 가압반응장치를 이용하였다. 제조한 DMC(Zn/Co) 촉매에서 Zn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BET 비표면적은 증가하였다. Zn 함유량이 가장 많은 10:1-Zn/Co 촉매는 DMC 구 조를 가짐을 알 수 있었다. 50℃의 제조온도와 100℃의 건조온도에서 제조된 촉매가 효과적이었고, Zn/Co의 몰 비를 10:1로 하여 제조한 촉매(10:1-Zn/Co)의 활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N2의 여과분위기에서 적가시켜 제조한 촉매가 더 많이 수득되었다. 제조된 폴리올의 분자량은 사용한 촉매량에 비례하여 증가하였으며, 불포화도는 사용한 촉매량과는 무관하게 거의 일정하였다. 촉매에 사용된 배위자 중 t-BuOH가 효율이 좋았다. 폴리올 제조시 개시재의 분자량이 높을수록 촉매의 활성 까지의 시간이 단축 되었으며, 140℃ 이상의 반응온도에서 촉매의 활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10:1-Zn/Co 촉매상에서 반응온도를 140℃로 하였을 때, 수산기가40.4(KOHmg/g), 분자량 2,770(g/mol), 점도 610(cp) 및 불포화도 0.0051(meq/g)인 폴리올이 얻어졌다. 본 연구에서 제조한 촉매는 불포화도가 낮으면서 분자량이 높은 폴리올의 제조에 효과적인 것으로 생각되었다.

      • 프랑스의 지방 문화 활성화 정책(1981-1986) : 박물관 설립 및 문화 콘텐츠 개발을 중심으로

        김수빈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47

        France enforced the state-led cultural policy since Ancien Régime by the state directly intervenes in policy. However, cultural infrastructures were concentrated in Paris causing a considerable cultural gap between the capital and the locals. Locals had no enough chances and places where they could get ‘Cultural Capital (Capital Culturel)’, so France government campaigned diverse activities through the Ministry of Culture in the late twentieth century to solve the structural discrimination. François Mitterrand, a socialist candidate, was elected President in May, 1981 and the ruling Socialist party held the majority of the parliament of France. Mitterrand showed eagerness for cultural policies for the locals and Jack Lang, the Minister of Culture was a person who most consistently implemented plans of Mitterrand. Jack Lang emphasized the vitalization of local culture to the point that he summarized his policies in two ways, “creation and decentralization (création et décentralisation)”. His so-called ‘Cultural democracy (Démocratie culturelle)’ was not only just providing works of art but also including daily life of the French people into the culture area. In the context of decentralization that continued since the 68 revolution (May 1968), the Socialist Party, which took power in 1981, gradually increased the budget of the Ministry of Culture and attempted to redefine the concept of culture. In addition, the party recognized that the state and the locals are partners to each other so it empowered DRAC (Regional Directorate of Cultural Affairs, Direction Régionale des Affaires Culturelles) to implement policies that suit to the unique character of each region. One of the various efforts of the ruling Socialist Party for the ‘Decentralization of culture (Décentralisation culturelle)’ was the establishment of local museums. Between 1981 and 1986, many local museums and art galleries were newly created or refurbished. A total of 17 museums were newly constructed or reopened with the support of the government have two characteristics: a historical archaeological museum that deals with local history or a museum that deals with fine arts (Beaux-Arts). Museums were founded and renovated primarily for small and mid-sized cities and were distributed nationally in balance. This expansion of local museums was the policy which encouraged to increase the cultural capital of the relatively poor regions and to develop and enjoy local cultures that had been treated exclusively. This allowed local people to create a culture on their own and appreciate it, thus narrowing the cultural gap between the capital and the locals. In addition, for ‘Decentralization of culture’, the ruling Socialist Party, which was represented by President Mitterrand and minister Lang developed and supported various cultural contents between 1981 and 1986. The party tried in many ways to encourage cultural growth in the local area: they attracted and supported various festivals such as music festival, and opened local cultural heritages in small cities so that local people can enjoy it freely. And they promoted art education through the 'Art History City and Region' certification project to help local people experience culture on their own. These cultural content development activities enriched the unique local cultures. This movement is the result of the Socialist Party's efforts for ‘Decentralization of culture’ as an opportunity for many people to enjoy culture. Rather than one-sided delivering from the central government but the communication with the central government and locals made the locals able to manage its own cultural policies to meet each local's circumstances. 프랑스는 구체제(Ancien Régime)에서부터 국가가 직접 문화정책에 개입하는 ‘국가 주도형 정책’을 시행해왔다. 그러나 문화 인프라는 수도인 파리에 집중되어 있어, 지방과의 수준 차이가 극심했다. 지방은 ‘문화 자본(Capital Culturel)’을 제공받을 기회와 장소가 현저히 부족하였기에, 이러한 구조적 차별을 해소하고자 20세기 후반에 프랑스는 문화부를 통하여 다양한 활동을 전개한다. 1981년 5월 치러진 대선에서 사회당 후보였던 미테랑(François Mitterrand)이 대통령으로 당선되고, 사회당(the Socialist Party, PS)은 의석의 다수를 차지하여 집권 여당으로 활동할 수 있게 되었다. 지방과 문화정책에 상당한 열의를 보인 미테랑의 계획을 가장 오랫동안 잘 실천한 것은 문화부 장관 자크 랑(Jack Lang)이다. 그는 자신의 정책을 “창조와 지방분권(création et décentralisation)” 두 가지로 요약할 만큼 지방 문화 활성화를 중시하였다. 이른바 ‘문화 민주주의(Démocratie culturelle)’라고 불리는 그의 정책은 단지 예술 작품을 제공하는 것에서 그치지 않고, 전 프랑스 대중의 일상 생활방식 그 자체를 문화영역에 포함시켰다. 1981년에 집권한 사회당은 68혁명(May 1968) 이후 지속된 ‘지자체와 지방분권’의 흐름 속에서 문화부 예산을 점진적으로 증가시키고 문화라는 개념에 대해 재 정의를 시도하며 지방 문화에 접근했다. 또한 국가와 지역을 동반자로 인식함에 따라, 각 지역에 배치된 DRAC(지역문화사업국, Direction Régionale des Affaires Culturelles)라는 기관을 통해 고유한 특성에 걸맞은 정책을 시행할 수 있도록 하였다. ‘문화의 지방분권(Décentralisation culturelle)’을 위한 집권 사회당의 여러 노력들 중 하나는 지방 박물관의 건립이다. 1981년부터 1986년 사이에는 많은 지방 소재의 박물관이나 미술관 등이 신설되거나 재 단장하였다. 그 중 정부의 지원을 받아 신설되거나 재재관한 총 17개의 박물관들은 지역사를 다루는 역사 고고학 박물관 혹은 순수미술(Beaux-Arts)을 다루는 박물관이라는 두 가지 특징을 지닌다. 주로 중소도시를 대상으로 설립 및 보수되었고, 국토 균형적으로 분포되어있다. 이러한 지방 박물관의 확대 움직임은 상대적으로 빈약하던 지역의 문화 자본을 증대시키고 배타적으로 취급되던 지방 고유의 문화에 주목하고 개발하여 향유할 수 있도록 장려되는 정책이었다. 이를 통해 지역민들은 문화 격차를 보다 좁히고, 주체적으로 향유하고 창조해낼 수 있게 되었다. 더불어 ‘문화의 지방분권’을 위하여 미테랑 대통령과 랑으로 대표되는 집권 사회당은 1981년부터 1986년 사이 다양한 문화 콘텐츠를 개발하고 지원하였다. 음악 축제와 같은 각종 축제들을 유치하고 지원하였으며, 지역민들로 하여금 자유로이 즐길 수 있도록 중소 도시에 각 지역의 문화유산을 개방하고, 스스로 주체가 되어 향유할 수 있도록 ‘예술 역사 도시와 지역’ 인증 사업을 통해 예술 교육을 장려하였다. 위와 같은 문화 콘텐츠 개발 활동들은 지역 고유의 문화를 융성하게 하였다. 이러한 흐름은 많은 사람들이 문화를 향유할 수 있게 된 계기로서 ‘문화의 지방분권’을 위한 사회당의 노력이 맺은 결실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정부가 일방향으로 전달하는 방식이 아닌, 상호 소통하여 지역 실정에 맞게 자체적으로 꾸려나갈 수 있는 정책을 주도적으로 시행할 수 있게 한 것이다.

      • 적응 클록 기법을 이용한 모바일 용 DC-DC Converter 설계

        김수빈 서울시립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47

        PMIC(Power Management IC)는 스마트폰과 태블릿 PC 등 모바일 기기가 성장하면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대부분의 모바일 기기의 하드웨어는 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해 입력 배터리 전압보다 낮은 전원 전압을 사용한다. 배터리 전압보다 낮은 전압을 공급해 주기 위해 높은 효율을 갖는 PMIC가 필요하다. PMIC 회로는 linear regulator 회로와 스위칭 DC-DC 컨버터가 있다. Linear regulator 회로는 리플이 작고 안정적인 전압을 공급해주지만 효율이 감소하는 단점이 있다. 스위칭 DC-DC 컨버터는 스위치 동작에 따라 리플이 존재하고 시스템의 복잡성이 증가하지만 다양한 입출력이 가능하고, 전력 변환 효율이 매우 높은 장점이 있다. 따라서 낮은 전원전압을 제공해주고, 높은 전력 변환 효율을 갖는 스위칭 DC-DC 컨버터가 모바일 기기의 전원 공급에 적합하다. 본 논문에서는 적응 클록 기법을 이용하여 모바일 기기에 적합한 DC-DC buck 컨버터를 설계하였다. 스위치의 온 타임 생성시 간섭으로 인해 PWM(Pulse Width Modulation)이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하며, 이러한 오 동작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최소 온 타임 구간을 설정하여야 한다. 그러나 고정된 최소 온 타임을 사용할 경우 작은 부하에서 과도한 전류 공급으로 출력 전압의 리플이 증가 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부하 크기에 따라 회로가 효율적으로 동작 할 수 있도록 가변 최소 온 타임 기법을 제안 한다. 본 논문에서는 DC-DC 컨버터 중 모바일 기기에 적합한 DC-DC buck 컨버터의 구조로서 인덕터 전류가 불연속적으로 동작하는 DCM(Discontinuous Conduction Mode) 방식을 선택하였고, DCM의 동작 특성 및 전달 함수를 특성을 분석하였다. 두 번째로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적응 클록 기법에 필요한 부하 정보를 얻기 위해 전류 분로 방식을 이용한 상단 전류 감지 회로 방식을 채택하였다. 세 번째로 적응 클록 기법을 이용한 모바일 용 DC-DC 컨버터를 설계하였다. 설계된 DC-DC buck 컨버터는 입력전압 1.8~3.6V, 출력전압 1.7V, 부하 전류 5~50mA 조건에서 90% 이상의 효율을 갖는다. PMIC (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 should play an important role as mobile devices such as smartphones and tablet PCs have been developed. A supply voltage lower than the input battery one is utilized in most mobile hardware in order to improve efficiency. PMIC is needed to provide the supply voltage that is lower than the battery one. There are mainly two types of building blocks for PMIC - linear regulator and DC-DC converter. Stable output can be achieved with smaller ripple in the linear regulator while lower efficiency are inevitable. On the other hand, various input-output schemes and higher efficiency can be obtained in DC-DC converters although switching ripple becomes significant and system complexity increases. Therefore switching DC-DC converters are suitable for providing supply voltages for mobile devices. In this paper, a DC-DC converter with adaptive clocking scheme is proposed for mobile devices. Minimum on-time of switching operations should be guaranteed in order to prevent malfunction due to switching interference in PWM (Pulse Width Modulation) operations. Fixed on-time, however, results in increased output voltage ripple due to excessive current in the case of light loads. Adaptive minimum on-time scheme is proposed in this paper with which the converter efficiently operates according to the magnitude of load. In this paper, DCM (Discontinuous Conduction Mode) where the current of an inductor flows discontinuously is chosen for mobile DC-DC converters and its characteristics and transfer function are analyzed. Secondly, the load current can be sensed with high-side current shunting method to capture information about load currents for the proposed adaptive clocking scheme. Finally, a DC-DC converter is designed with adaptive clocking scheme for mobile applications. Input and output voltages are 1.8~3.6V and 1.7V, respectively for the load current of 5~50mA. Efficiency of the converter is higher than 90%.

      • 파노프스키의 도상해석학을 적용한 민화 감상 프로그램 개발 연구 : 고등학교 미술교육을 중심으로

        김수빈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고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에르빈 파노프스키(Erwin Panofsky)의 도상해석학 이론을 적용하여 조선시대 서민 문화를 엿볼 수 있는 민화를 감상하는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 연구 목적을 두었다. 도상학의 관점에서 예술 작품 속 그 시대의 사회적인 문화를 파악할 수 있는 파노프스키의 도상해석학을 통해 조선시대 민화 속에 내재된 상징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미술 감상 교육 프로그램에 관해 살펴보면, 펠드먼의 미술 비평 이론·앤더슨의 미술 비평 이론·게히건의 비평적 탐구 이론을 적용한 감상·비평 프로그램은 쉽게 찾아볼 수 있었지만, 파노프스키의 도상해석학 이론을 적용한 감상 프로그램은 찾아보기 힘들었다. 또한,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작품에 내재된 의미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도상학적 관점에서 미술 작품을 감상하는 능력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였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민화의 상징성을 효과적으로 수업하기 위해 파노프스키의 도상해석학을 적용하였다. 이를 위해 2장에서는 파노프스키의 도상해석학을 적용하기 위하여 정의, 이론적 배경, 조선시대 민화의 관련성에 대해 조사하고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에 대해 알아보았다. 프로그램 개발을 필요로 하는 이유는 민화의 상징적 의미를 해석하는 능력을 함양하고 그 의미를 통해 우리 조선시대 서민 미술 문화에 대해 이해하기 위함이었다. 또한 파노프스키 도상해석학에 의한 민화를 감상하여 미술 작품 감상 능력에 대해 함양하고자 하였다. 개발에 앞서 10종의 고등학교 《미술》 교과서에서의 교육 현황에 대해 알아보고 실제 고등학교 수업에서의 실시 현황에 대해 조사하였다. 그 결과 학교 현장에서는 파노프스키의 도상해석학에 관련된 감상 교육 현황은 거의 실시하지 않는 것을 볼 수 있었고, 민화 관련 수업은 표현 영역을 활용한 수업 정도만 진행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3장에서는 2장에서 연구한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파노프스키의 도상해석학을 적용한 민화 감상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사례 분석을 진행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 대상을 고등학생으로 설정하였다. 2015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의 감상 영역을 바탕으로 교수·학습 계획을 세우고 이에 따른 수업 모형을 세웠다. 그리고 본격적으로 개발한 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전도상학에 의한 책거리도 감상 프로그램, 도상학에 의한 풍속도 감상 프로그램, 도상해석학에 의한 십장생도 감상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수업개요, 교육과정 분석 및 수업설계, 교수·학습 과정안, 수업자료, 평가 방법 및 도구, 활동지 결과, 활동 과정 및 결과 분석을 진행하였다. 세 가지의 프로그램에는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첫째, 책거리도는 도상해석학 이론의 첫 번째 단계인 전도상학 단계를 중심으로 적용하였다. 둘째, 풍속도는 도상해석학 이론의 두 번째 단계인 도상학 분석을 중심으로 적용하였다. 셋째, 십장생도는 도상해석학의 세 번째 단계인 도상해석학 해석을 중심으로 적용하였다. 그 결과 학생들이 조선시대의 민화 감상을 통해 조선시대의 문화를 엿볼 수 있었고, 민화에 내재되어 있는 상징성에 대해 이해할 수 있게 되었다. 4장에서는 파노프스키의 도상해석학을 적용한 민화 감상 프로그램의 교육적 효과와 활성화 방안에 대해 연구하였다. 교육적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민화에 내재된 상징적 의미를 분석할 수 있는 능력이 향상되었다. 둘째, 문화적 관습 결부를 통해 맥락적 이해 능력이 향상하였다. 셋째, 도상해석학에 의하여 작품을 감상하는 방법을 이해하고 미술 작품 감상 능력이 향상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프로그램의 활성화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민화 관련 프로그램 연계 수업이 필요하다. 둘째, 다양한 비평 이론을 활용하여 민화를 감상하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여야 한다. 셋째, 민화 박물관 체험 수업 연계 활동이 진행되어야 한다. 미술교과의 감상 영역에서 도상학 관점으로 접근하여 작품을 감상하는 방법을 학습하게 된다면 미술 문화 이해 능력뿐만 아니라 미술 작품에 내재된 맥락적 이해 능력까지 기를 수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의 프로그램과 같이 파노프스키의 도상해석학 이론을 적용하여 미술 문화에 대해 감상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면 우리 조선시대의 미술 문화를 향유하고 이해할 수 있는 능력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 엔트로피를 응용한 바디아트 작품 제작 연구

        김수빈 성신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631

        엔트로피(Entropy)는 무질서의 정도를 나타내는 단위로 엔트로피의 양은 미시적인 열운동에서부터 인간의 환경, 지구의 에너지에 이르기까지 모든 물질-에너지 현상에서 비가역적으로 증가하게 되는 열역학 이론의 특징을 가진다. 오늘날 이러한 특징을 가진 엔트로피는 사회, 문화, 예술 등 전반에 걸쳐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고 확대되면서 그 파장이 강화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내·외면에 혼란(Chaos)과 무질서 그리고 질서를 동반하고 있는 회화, 조각, 건축 등의 현대예술 경향이 질서와 무질서의 상호관계를 통해 다각적이고 균형적인 관점으로 접근하기 위해 엔트로피를 매개체로 활용하였으며, 이렇게 도출한 엔트로피 특성을 예술적, 정보적, 비평적 측면별로 분류하여 바디아트 작품에 적용 제작하였다. 엔트로피 현상을 생산자와 수용자의 관점에서 분류된 3가지 측면에 적용하여 회화, 조각, 건축의 현대예술 사례에서 도출한 엔트로피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회화, 조각, 건축의 현대예술 사례에서 나타난 형태와 와해의 다양화를 통해 예술적 측면에서의 생산자 관점에서 형태에 의한 다양성과 와해에 의한 다양성으로 분류하였다. 둘째, 예술적 측면의 다의(多義)적 특성은 작품을 해석하는 수용자 관점에서 발생할 수 있는 엔트로피 특성으로서 자율성에 의한 다의성과 상대성에 의한 다의성으로 분류하였다. 셋째, 생산자에 의해서 표현되는 카오스(Chaos)적인 복잡성을 노이즈(Noise)에 의한 복잡성과 능동성에 의한 복잡성으로 분류하여 엔트로피 특성이 정보적 측면의 생산자 관점에서 가지는 특성을 도출하였다. 넷째, 정보적 측면에서 수용자가 받아들이는 생산자나 작품의 의도는 잠재적이고 효율적으로 전달될 수 있는 유용성이 존재하기 때문에 잠재적 정보에 의한 유용성과 효율성에 의한 유용성으로 분류하였다. 다섯째, 비정형은 비평적 측면으로서 생산자에 의해 행해진 작품의 형태 및 의미체계의 변화를 통해 수용자에게 새로운 시·지각 경험의 가능성을 보여주며, 비정형의 방식으로는 이질성에 의한 비정형과 표현에 의한 비정형으로 분류하였다. 여섯째, 수용자는 엔트로피의 고-저의 흐름에서 요소와 전체의 상관관계를 통해 구조적이고, 균형적인 관점이 요구되기 때문에 구조에 의한 질서와 무질서로 분류할 수 있다. 또한, 무질서 극대화 방법을 통해 역설적으로 질서와 균형의 필요성을 나타낼 수 있다는 점에서 역설에 의한 질서와 무질서로 분류하였다. 현대예술의 특성을 분석하는데, 생산자 측면과 수용자 측면에서 엔트로피의 관점을 분류하여 현대예술의 한 부분인 바디아트를 바라보고자 시도하였다. 이를 통하여 바디아트 또한 쌍방향적 소통을 바탕으로 전통의 신체 장식에서부터 현재의 진보된 형태로까지 예측 불가능성과 불확정성을 보이며 발전되고 있다. 이 과정에서 생산자와 수용자는 고-엔트로피 현상을 보게 된다. 하지만 이처럼 바디아트의 화려하고 복잡화 되어가는 외적 모습의 이면에는 엔트로피 관점에서 내적질서도 존재할 수 있으며, 현대예술의 다양한 분야와 마찬가지로 다양한 환경과 시대, 관점 등에 따라 생산과 수용에서의 엔트로피 고-저가 유동적일 수 있다는 점을 통해 생산자와 수용자 관점에서 균형적으로 각각 바라보며 관점과 경향을 재인식할 수 있다. 이 연구를 토대로 바디아트에 대한 재인식은 물론 엔트로피의 특성을 활용한 현대예술의 다양한 분야를 바탕으로 후속 연구가 이루어지기를 바란다.

      • 북극해 태평양 해역에서의 순환 변화와 고·저염 냉수대의 출현

        김수빈 인하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지구 온난화에 따른 북극해의 여름철 해빙 농도 감소는 관측을 통해 확인되고 있으며, 특히 북극해 태평양 인접 해역인 척치해는 다른 해역보다 높은 비율로 해빙 농도가 감소되고 있다고 알려져 있다. 이에 영향을 미치는 북극해 해수 변동성을 파악하기 위해 쇄빙선 아라온호는 매년 8월 척치해를 포함한 북극해 태평양 인접 해역에서 해양 관측 조사를 수행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2012, 2015~2018년까지의 정점 연직 수온·염분 관측 자료를 분석하여 북극해 태평양 인접 해역의 전반적인 수괴를 분류하였다. 연구해역의 수괴는 일반적으로 Melt Water(MW), Pacific Water, Atlantic Water(AW)로 나누어지며, Pacific Water는 세부적으로 Pacific Summer Water(PSW), Remnant Winter Water(RWW), Newly-ventilated Winter Water(NVWW)로 구분된다. 그런데, 2017년부터 기존의 분류에 해당되지 않는 냉수 수괴가 관측되었고, 염분을 기준으로 고염냉수(High Salinity Cold Water, HSCW), 저염냉수(Low Salinity Cold Water, LSCW)라 명명하였다. 두 냉수의 분포와 특징을 확인하기 위하여 Mendeleev 해령 근처인 북위 82°부터 서경 165°까지 L자 모양의 관측 정점 자료를 자세히 분석하였다. 고염냉수는 34~34.5psu의 염분을 가진 수괴로 동북극해 대륙 주변부에 존재하는 유사한 수온과 염분 범위를 가진 저온염분약층(Cold Halocline Water, CHW)으로부터 파생되었을 것이라 생각되며, 2015~2016년까지 Mendeleev 해령 부근 북위 78°보다 높은 곳에서 분포하다 이후 대륙사면을 따라 동남쪽으로 이동한 것을 파악하였다. 저염냉수의 경우 31.6~32.1 psu의 염분을 가지며 빈도수 T-S Diagram을 통해 RWW와 NVWW와는 다른 염분 및 수온 범위에 수괴가 집중되어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2015~2016년에는 존재하지 않다가 2017년 동시베리아해의 대륙붕에서 분포하던 수괴가 연구해역으로 유입된 것으로 보인다. 특히 두 냉수의 유입이 시계 방향의 해수 순환이 이루어졌던 다른 연도와 달리, 바람 방향의 변화로 발생한 반 시계 방향의 순환이 강했던 2017년에 발생하였음을 확인하였다. The Arctic Ocean has seen a continuous decrease of its sea ice concentration (SIC) in summer. Especially, the Chukchi Sea, a part of the Pacific Arctic Sector, shows higher decreasing rate than other regions in the Arctic Ocean. To identify the Arctic seawater variability that affects the SIC changes, icebreaker Araon has conducted in-situ observations every August in the region around the Chukchi Sea. This study analyzed the observed temperature and salinity profiles collected in 2012 and 2015 to 2018 to classify the overall mass of waters in the Chukchi Sea. Previous studies divided water masses in the study area into Melt Water (MW), Pacific Water, and Atlantic Water (AW). In addition, Pacific Water was divided into Pacific Summer Water (PSW), Remnant Winter Water (RWW), and Newly-ventilated Winter Water (NVWW). Interestingly, the water properties in 2017 reveal water masses that do not correspond to the traditional classification. The newly found water masses were named High Salinity Cold Water (HSCW) and Low Salinity Cold Water (LSCW) based on their salinity ranges. In order to identify the distribution and characteristics of the two cold waters, temperature and salinity data from near the Mendeleev ridge of 82°N to 165°W were analyzed in detail. The HSCW, ranging between 34 and 34.5 psu, seems to originate from Cold Halocline Water that has similar temperature and salinity ranges and is located around the Northeastern Arctic continent. In 2015–2016, the HSCW was found near the sea surface in a limited region north of 78°N, and then it seems to have moved southeastward along the continental slope in 2017 to occupy at depths of 100–200 m in the southwestern part of the Chukchi Sea. The occurring frequency T-S Diagram confirms that the water properties of LSCW, ranging between 31.6 and 32.1 psu, are different from those of RWW and NVWW. The wind pattern in the Pacific Arctic Sector in 2017 was different from other years, which reversed the oceanic circulation from clockwise to the anti-clockwise. This seems to have caused the appearance of the two cold waters by moving them southwestward from the continental shelf of the Eastern Siberian Sea.

      • 디지털 탄소중립 인식 제고를 위한 UX 디자인 가이드 연구 : 모바일 푸시메세지 UI를 중심으로

        김수빈 국민대학교 테크노디자인전문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전 세계적으로 기후위기의 심각성이 대두되었고, 이에따라 2050탄소중립(Netzero)이 선언되며 탄소중립을 위한 노력을 하고있다. 코로나19 장기화로 인해 온라인 데이터 사용량은 급증하게 되었고, 이로인해 전 세계 온실가스의 약 3.7%가 온라인 데이터로 발생했다. 온라인에서 소비하는 시간은 점점 늘어나고 있으나 온라인 데이터의 사용으로 탄소가 배출되고 있다는 사실은 모두가 외면하고 있다. 이제는 디지털 탄소중립을 위한 실천을 해야하는 시점이다. 디지털 탄소중립을 위한 노력으로는 기업과 정부 의 에너지 생산 및 효율성 증대를 위한 기술적인 측면만 강조되고 있는 반면, 개인이 실천 가능한 에너지 사용 절감 및 낭비 방지와 같은 사용적인 측면에 대한 실질적인 가이드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디지털 탄소중립 인식 제고의 필요성과 정량적인 탄소 발자국 수치를 통한 전달방식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을 파악하였으며, 정량적인 탄소 발자국 수치를 모바일 사용유형별로 분류하였다. 디지털 탄소중립 실천의 어려움으로 1. 디지털 탄소중립의 사회적 인식 부족, 2. 실천 가이드의 부재 두 가지의 문제점을 제시했다. 이후 사용자에게 직접적인 인지를 위한 정보전달 요소 중 하나인 푸시메세지를 중심으로 설문조사와 사용유형별 푸시메세지 사용성 테스트, 심층인터뷰(In-depth Interview)를 진행하여 디지털 탄소중립에 대한 정보와 실천 가이드에 대한 사용자 니즈가 있음이 도출되었고, 사용에 영향이 미치는 요인을 ‘편의성, 접근성, 신뢰성, 당위성’ 4가지로 분류하였으며 모바일 사용유형에 따른 사용빈도와 적용효과의 상관관계를 발견하여 푸시메세지UX 디자인 가이드를 도출했다. 본 연구는 디지털 탄소중립 인식 제고와 푸시메세지UX 디자인 가이드를 통한 실질적인 가이드와 정보를 제공하여 실천의 어려움을 상쇄하는것에 의의가 있으며, 향후 모바일의 사용에서 디지털 탄소중립을 위한 실천 가이드를 위한 참고 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The seriousness of the climate crisis has emerged around the world, and accordingly, 2050 carbon neutrality has been declared and efforts are being made to achieve carbon neutrality. Due to the prolonged COVID-19, online data usage has soared, resulting in about 3.7% of greenhouse gases worldwide being generated from online data. Although time spent online is increasing, everyone is turning a blind eye to the fact that the use of online data is emitting carbon. It is time to practice digital carbon neutrality. While efforts to achieve digital carbon neutrality emphasize only technological aspects to increase energy production and efficiency of companies and governments, there is a lack of practical guides for practical aspects such as reducing energy use and preventing waste that individuals can practice. To address this problem, previous studies were analyzed to identify the necessity of enhancing digital carbon neutrality awareness and the necessity of research on delivery methods through quantitative carbon footprint figures, and quantitative carbon footprint figures were classified by mobile use type. Due to the difficulty in practicing digital carbon neutrality, two problems were presented: 1. lack of social awareness of digital carbon neutrality and 2. absence of a practice guide. Afterwards, a survey, in-depth message usability test by type of use, and in-depth interview were conducted focusing on push message, one of the factors for direct recognition to users, and user needs for digital carbon neutrality information and action guides were classified into four categorie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enhancing digital carbon neutrality awareness and providing practical guides and information through push message UX design guides to offset practical difficulties, and it is expected to be used as a reference for digital carbon neutrality in mobile use in the future.

      • 특성화고등학교 조리과 학생들의 교육 서비스와 교육 만족 그리고 진로 결정에 관한 연구

        김수빈 한성대학교 경영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특성화고등학교의 교육 서비스가 교육 만족과 진로 결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고자 하였다. 설문 응답은 모바일 및 설문을 이용한 자기 기입법으로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 분석 조사는 서울특별시 특성화고등학교 조리과에 재학 중인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이 진행되었다.

      • 전자기록물 기록관리시스템 개선을 위한 블록체인 기술 적용 방안에 관한 연구

        김수빈 중부대학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4차 사업혁명을 기반으로 블록체인 기술이 등장했다. 처음에는 비트코인 기반의 기술로 등장했다. 현재 블록체인 기술은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방안을 모색하는 미래 핵심 기술로 평가받고 있다. 블록체인 기술은 블록 내 저장된 정보의 위변조 여부와 진위 여부를 검증하는 기능을 하고, 특정 기록물을 임의로 조작하거나 삭제하는 행위를 어렵게 하여 투명한 감사추적이 가능하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록관리체계에 블록체인 기술을 적용하는 방안에 대해 모색하는 방향을 설정하였다. 이를 위해 기록관리 프로세스와 기록관리 시스템에 대해 살펴보고 블록체인 기술의 특성 및 동향을 살펴봄으로써 기록관리에 블록체인 기술이 적용 가능한지 살펴보았다. 그리고 블록체인 기술과 IPFS 기술을 연계하여 기록관리체계에 블록체인 기술을 적용 가능한지에 대한 기술의 응용 가능성을 도출하였다. 기록물의 모든 생애주기에 블록체인을 적용함으로써 기록물의 위변조를 막아 신뢰성을 높이고 기록물의 모든 이력을 남겨 추적할 수 있게 하여 신뢰성을 높였다. 현행의 기록관리 프로세스의 여러 기능을 간소화하거나 대체할 수 있는 모델을 제시하고자 한다. Blockchain technology appeared based on the 4th business revolution. It initially appeared as a technology based on Bitcoin. Currently, block chain technology is evaluated as a future core technology seeking to be utilized in various fields. Blockchain technology has the feature of verifying whether or not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block has been forged or altered and whether it is authentic or not, and can prove this by suggesting arbitrarily manipulating or deleting a specific record. In this study, the direction to seek for the application of blockchain technology to the records management system was set. To this end, the records management process and records management system were examined, and the characteristics and trends of blockchain technology were examined to see if blockchain technology could be applied to records management. And by linking blockchain technology with IPFS technology, the applicability of the technology was derived as to whether the blockchain technology can be applied to the records management system. By applying blockchain to all life cycles of records, forgery and falsification of records is prevented, reliability is increased, and reliability is increased by leaving all histories of records so that they can be traced. We would like to present a model that can simplify or replace several functions of the current records management proc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