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간호대학생에게 적용한 팀기반학습과 강의기반학습의 효과 비교연구

        유영미(Ryu Young Mi),김해진(Kim Haeji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12

        Purpose: The aim of the study was to compare effects of team-based learning and lecture-based learning on learning motivation, communication, problem-solving, and learning satisfaction in nursing students. Methods: A total of 94 2nd students in a nursing school, who took pathology, participated in the study. Six-week of lecture-based learning was provided in the first half of the spring semester in 2017. Then, another 6-week of team-based learning was provided. Data were collected in the 1st , 8th , and 15th week using self-report questionnaires. Paired t-test was used to analyze the effects. Results: Attention, subarea of learning motivation, was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team-based learning. Communication was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team-based learning compared to lecture-based learning. Problem solving showed no difference between two learning methods, however, problem recognition, information gathering, and analysis of problem solving were increased significantly after team-based learning. Learning satisfaction was significantly lower after team-based learning than lecture-based learning. Conclusion: Although participants were satisfied with lecture-based learning rather than team-based learning in pathology course, team-based learning needs to be introduced to nursing students for positive effects of team-based learning. Gradual implementation of team-based learning or supplemental team-based learning with a lecture is recommended when adopting team-based learning in pathology. 본 연구는 간호학과 병리학 교과목에 팀기반학습을 적용하고 일반 강의기반학습과 비교하여 간호학생의 학습동기, 의사소통, 문제해결능력,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연구대상자는 일 대학 간호학과에서 2017년도 1학기 병리학 교과목을 수강하는 학생으로 3회의 설문조사에 모두 응답한 94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통계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대응표본 t-검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학습 동기의 하위 영역인 주의력과 의사소통능력은 강의 기반학습에 비해 팀기반학습 후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문제해결능력은 두 학습법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지만 하위 영역을 살펴본 결과, 팀기반학습 후에 문제 인식, 정보 수집 및 분석 영역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학습만족도는 팀기반학습보다 강의 기반학습 후에 유의하게 높았다. 병리학 수업에 참여한 학생들은 팀기반학습보다 강의기반학습에 더욱 만족하였으나 의사소통능력 향상과 같은 팀기반학습의 긍정적 효과를 고려할 때, 간호학생에게 팀기반학습 적용을 고려해 볼 수 있다. 그러나 팀기반학습을 교과목에 처음 도입할 때는 점진적으로 적용하거나 팀기반학습과 강의를 병행하여 상호 보완하는 방법을 권장한다.

      • KCI등재후보

        유아놀이지도에 대한 팀 기반 학습(Team-Based Learning)의 효과 - 학습태도, 학습동기,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중심으로 -

        이경희,손은경 대한사고개발학회 2012 사고개발 Vol.8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sent the direction which is improving the problem solving ability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by analyzing learning attitude, learning motivation, academic achievement on Team-Based Learning applied preschooler play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objects of study was 156 students those who have major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ttending D community college in B city. Play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class was progressed 3 hours a week for 15 weeks. The results of this study as follows; first, Team-Based Learning didn't improve the learning attitude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because there is no difference in communication between period and group. Second, the group applied Team-Based Learning gave more impact to learning motivation difference than previous teaching class, because learning motivation had a meaningful difference. Third, because of difference between the objects of study and non- object of study, both Team-Based Learning and previous teaching class gave impact to the academic achievement. In conclusion, the more students notice that importance of team work, the more they have better learning attitude. Share and active attendance by giving a role and having a praise relay will improve learning motivation. Academic achievement will have positive effects when accomplishment degree is improved by Team-Based Learning. So, Teachers need practical education through Team-Based Learning which provide them with opportunities to solve various problems. 본 연구는 유아놀이지도 교과목에 팀 기반학습을 적용하여 학습자의 학습태도, 학습동기,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측정하고 이를 분석하여 예비유아교사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B광역시에 소재한 D 전문대학교 유아교육과 2학년 재학생으로, 집단의 동질성 검증을 확보한 실험집단 80명, 비교집단 76명 총 156명 이었다. 유아놀이지도 수업은 일주일에 3시간씩 15주 동안 시행되었으며 비교집단 역시 동일 교육과정으로 운영되었다. 연구결과는 첫째, 집단과 시기간의 상호작용 효과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아, 예비유아교사들에게 학습태도를 증진시키지는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습 동기는 실험집단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 팀 기반 학습을 실시한 집단이 전통 강의식 수업집단보다 학습동기변화에 더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집단과 시기간의 상호작용 효과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 팀 기반 학습은 학습동기를 불러일으키는데 효과적이라 보여 진다. 셋째,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변화는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에서 모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팀웍의 중요성을 인식하며 협동심을 키워 나갈 수 있을 때 학습태도도 증가될 것이라 사료된다. 또한 팀 기반 학습은 학습에 대한 주의력과 만족감을 경험하면서 학습동기를 유발시키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향상 시킬 수 있음을 입증하였다. 따라서 팀 기반 학습을 통해 다양한 상황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문제해결을 위한 기회제공의 교육이 절실히 필요하겠다.

      • KCI등재후보

        응급구조사 양성 교육과정에서 토론을 바탕으로 한 팀기반학습의 만족도

        황호진,고석훈,권오영 대한의료커뮤니케이션학회 2019 의료커뮤니케이션 Vol.14 No.2

        Background: Team-based learning is known for its effective and satisfying education methods in the study of various medical schools. This study was prepared to confirm the satisfaction of applying this team-based learning to the training course of emergency medical technician. Methods: A total of 165 new members of the course of second grade National Emergency medical technician at 2019 were finally enrolled in the study. Data were collected with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The team-based learning method was organized with eight students per group to conduct pre-learning and then proceed to open book to encourage active discussion among individuals.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questions about the satisfaction of the discussion process, such as whether the knowledge gained from the discussion was appropriate, and whether collaboration between colleagues was successful during the discussion, and about the benefits of team-based learning, how well knowledge transfer compared to existing lectures, and the replacement of existing lectures. The questionnaire used a Likert 5 point scale, and the data obtained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version 22.0. Results: The overall rating of team-based learning was 7.8 ± 1.5 out of 10. Many students answered positively (88.5%) for benefits, while 87.9% responded positively to whether the knowledge transfer effect was better compared to existing lectures. In addition, the satisfaction of team-based learning was generally high, with more than 90 percent of education students giving positive answers to the replacement of other lectures with team-based learning. Conclusion: The learners gave positive answers to the satisfaction, usefulness and learning effects of team-based learning. Team-based learning is a discussion-based study, so it is a good way to improve communication skills. Since communication and teamwork are important in first aid activities, the characteristics of team-based learning could lead to improvements in first aid services, leading to high-quality emergency medical services. Back ground: 팀기반학습은 여러 의과대학의 연구에서 효과적이고 만족도가 높은 교육 방식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토론 위주의 팀기반학습을 응급구조사 양성과정에 적용하였을 때의 그 만족도를 확인하기 위해 이 연구는 계획되었다. Methods: 이 연구는 2019년 신규 임용된 소방공무원의 2급 구조사 교육과정에 있는 교육생을 대상으로 하였다. 수업 시작 전에 연구 목적을 설명하였고, 자발적인 서면 동의를 받았으며 수업 종료 후 설문조사지를 배부하였고 충분한 응답을 한 165명의 교육생 설문을 최종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팀기반학습 방법은 그룹당 8명의 교육생이 편성되어 사전학습을 시행한 후 개인 간의 활발한 토론을 유도할 수 있게 오픈북으로 진행하였다. 설문은 토론을 통해 얻게 된 지식이 적절했는지, 토론 도중 동료 간의 협동은 잘 이루어졌는지 등의 토론과정의 만족도를 묻는 질문과 팀기반학습의 유익성, 기존 강의와 비교했을 때 지식전달이 잘 되는지, 기존 강의를 대체하는 것에 대한 질문 등 팀기반학습의 만족도를 묻는 질문으로 구성되었다. 각 문항 측정도구는 Likert 5점 척도로 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version 22.0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Result: 팀기반학습의 전체적인 평점은 10점 만점에 7.8±1.5점이었다. 유익성에 대해서는 88.5%가 긍정적인 답변을 하였고, 기존 강의와 비교했을 때 지식전달 효과에 대한 응답에서는 87.9%가 긍정적인 답변을 하였다. 다른 강의를 팀기반학습으로 대체하는 것에 대해서도 90% 이상의 교육생이 긍정적인 답변을 하는 등 대체적으로 팀기반학습의 만족도가 높았다. Conclusion: 교육생들은 팀기반학습에 대해 만족도, 유용성, 교육 효과등의 부문에서 긍정적인 평가를 하였다. 팀기반학습은 토론을 기반으로 한 학습이므로 의사소통 기술을 향상시킬 수 있는 좋은 교육방법이다. 구급활동에서 의사소통과 팀워크가 중요하기 때문에 팀기반학습의 특징은 응급구조서비스의 향상으로 이어져 고품질의 응급의료 서비스로 이어질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대학 팀 기반 프로젝트 학습에서 팀 구성방식이 학습결과에 미치는 영향

        이영미(Young Mi L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5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5 No.1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the team composition on the learning outcomes in the team based project learning. Participants in the study were surveyed the knowledge level and individual personality in the team learning. Based on the result of the pre survey, the students were organized into three teams; knowledge level based team composition, personality based team composition, knowledge level and personality mixed team composition. The last team was student selected team. The end of the class achievement, awareness of team learning, satisfaction, interest and participation were measured individually. And team efficacy, interpersonal understanding, proactivity in problem solving were also surveyed. The results are following. In the aspect of achievement and team learning awarenes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eam compositions. Particularly, personality based team were more effective than other team compositions. In other way, student selected team was ineffective in the achievement and awareness of the team learning. In the learning-satisfaction,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eam compositions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eam compositions in the learning interest and participation as well. To consider the effectiveness of team activity(team efficacy, interpersonal understanding, proactivity in problem solving) knowledge level and personality mixed team composition was more effective than other team compositions. Based on the result, the team composition that are based on the various students characters such as gender, achievement, personality, learning style and awareness level are suggested for the success of the team based learning in university. 본 연구의 목적은 팀 기반 프로젝트 학습에서 팀 구성방식이 학습결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전공 지식과 성격검사를 실시하였고 이를 기준으로 4가지 유형의 팀을 구성하였다. 1팀은 전공지식 수준이 다양한 팀으로 구성하고 2팀은 성격 유형이 다양한 팀으로 구성하 였으며 3팀은 성격유형과 전공지식 수준이 다양한 혼합 팀이며 4팀은 학습자 자율 적인 팀으로 구성하였다. 15주간의 수업이후 팀 구성방식별 학습효과를 측정하기 위 해 전공지식, 팀 학습인식, 학습만족도, 학습흥미 및 학습 참여도를 조사하였으며 팀 활동 수준으로 측정하기 위해 팀 효능감, 대인관계의 이해, 문제해결의 적극성을 조 사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성격에 의한 팀 구성방식이 다른 팀에 비해 전공지식과 팀 학습인식에서 효과적으로 나타났고 학생 자율에 의한 팀 구성방식이 상대적으로 비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팀 활동 수준을 알아보기 위한 팀 효능감, 대인관계 이 해, 문제해결의 적극성에서는 전공지식과 성격 혼합 팀 구성방식이 다른 팀 구성방 식에 비해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팀 기반 프로젝트 학 습 수행에 있어서 팀을 구성하고자 할 때는 학생 자율적으로 팀을 구성하기 보다는 학습자 성격이나 다른 학습자 특성을 고려하여 팀을 구성하는 것이 성공적인 팀 기 반 프로젝트 학습으로의 확률을 높이는 방안이라 제안할 수 있다.

      • KCI등재

        대학의 팀 기반 수업에서 협동적 학습양식과 팀 구성 방식에 따른 학습 성과

        이용진 ( Lee Yongjin ) 안암교육학회 2016 한국교육학연구 Vol.22 No.4

        본 연구에서는 팀 기반 학습(TBL) 모형을 적용하여 서울 소재 A대학 사범대 교직 수업을 위한 학습 과제 및 활동을 설계하였다. 팀 기반 학습활동을 진행한 수업에서 학습 성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학생들의 협동적 학습양식과 팀 구성방식에 따른 학습 성과의 차이를 분석함으로써 팀 기반 학습 모형의 적용에 대한 함의점을 도출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에 본 수업 사례에서는 학생 자율적 팀 구성 방식과 무선 할당의 방식으로 집단을 구성한 두 수업을 구분하고, 수업 내 학생들의 협동적 학습양식의 수준에 따라 학습 성과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자 하였다. 그 결과, 학생 팀을 구성하는 방식에서는 자율적 의사에 따른 팀구성과 무선 할당의 이질적 집단의 특성에 따라 학습 성과의 차이가 유의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반면 협동적 학습양식의 경향이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을 비교하였을 때 학업 성취에 있어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양적 결과와 더불어, 본 연구에서는 팀 학습 활동에 대한 학생들의 성찰일지 내용을 살펴봄으로써 학생들이 팀 기반 학습 과정에 대하여 어떻게 성찰하였는지를 학습 성과의 일환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실증적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팀 기반 학습을 대학 수업에 적용할 시에 고려해야할 실제적 함의점 및 협력 학습의 교수 설계 전략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applied the Team-Based Learning model in two courses of teacher education in a university. Within the designed course settings,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ollege students` collaborative learning style and team-formation methods (randomly assigned vs. student-selected team) on knowledge gain and satisfaction of the team learning. The study subjects were 69 college students who enrolled in the two courses in which the team-based learning tasks and procedures were applied. One group included 7 student-selected teams based on their friendship, and the other group included randomly-assigned five teams by using computer. Each team was consisted of 6 or 7 students and lasted for the whole semester. The student teams participated in several team activities and accomplished team tasks. The study administrated pre-and post-achievement tests, questionnaires for team learning satisfaction, and Grasha- Reichmann`s collaborative learning style inventories to collect data from students. Statistical analysis methods including two-way ANOVA and ANCOVA were employed to analyze the data. The first result showed that the collaborative learning style affects the students` cognitive knowledge gains. Seco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atisfaction with the team-based learning between groups. In addition, the study analyzed the content of students` reflection journals related to their team-based learning experiences.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provided educators with practical implication for designing and implementing the TBL model in higher education settings.

      • KCI등재

        전공심화과정의 영유아 학급운영관리 과목에서 팀 기반학습(Team based-learning) 적용에 관한 실행연구

        곽영숙 ( Young-suk Kwak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7 유아교육연구 Vol.37 No.4

        본 연구는 몇 년째 강의해오던 영유아 학급운영관리 과목에서 적용했던 교수학습방법이 학습자에게 스스로 참여하고 의사결정을 할 기회를 제공하지 못한다는 문제의식을 가지고 팀 기반학습을 적용하고자 한 실행연구이다. 개선을 위한 계획을 수립하고, 실행하고, 평가하는 순환과정의 실행연구를 통해 팀 기반학습 적용의 실행과정과 팀 기반학습 적용의 실행이 학습자들에게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Kemmis와 McTaggart(2005)가 제시한 순환적인 실행연구 과정에 따라 총 5회차의 실행이 이루어졌으며, 실행 중 적용된 팀 기반학습은 사전계획단계, 선행학습단계, 준비도 확인단계, 개념적용 문제해결단계 의 절차를 거쳤다. 5차 실행을 거칠 때마다 구체적인 문제를 파악하고 개선계획을 수립하고, 실행과정을 관찰하고, 평가하고, 평가와 반성을 기초로 다시 계획을 수정하고는 과정을 순환적으로 반복하며 연구를 진행해 나가고자 하였다. 팀 기반학습이 학습자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한 질적 자료는 팀 기반학습에서 나의 역할 돌아보기, 실제 현장의 적용 가능에 대한 기대감, 팀 학습에 대한 매력 느끼기, 팀 학습이 학습과 성장에 기여하는 것들을 체감하기로 분석되었다. 팀 기반학습이 학습자에게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팀만족도와 팀 효능감 의 사전-사후 조사를 통해 팀 만족도와 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action research project examines the application of a team-based learning system in response to the problem that the historic approach to teaching and learning in infant-toddler class operation management does not give learners opportunities to participate or to make decisions for themselves. This research aims to examine how team-based learning processes and practices affect learners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improvement plans and practices, as well as cyclical action research for evaluation. This study conducted practices on five occasions according to the cyclical action research model proposed by Kemmis and McTaggart(2005). The team-based learning consisted of the following stages: preplanning stage, prerequisite learning stage, readiness assurance stage, and conceptual application with problem resolution stage. By conducting the practices five times, this study intended to repeat the following evaluation criteria, on an ongoing basis, identification of specific issue and establishment of improvement plan, observation and evaluation of the procedure, and, modification of the plan based on the evaluation. The qualitative data related to the effect of team-based learning on learners is analyzed as searching for the individual s role in team-based learning systems, recognizing applicable expectations in real education field, being drawn to team learning, and experiencing how team learning affects learning and growth. It was verified through the pre-to-post investigation of team satisfaction and team efficacy that these two areas were positively affected, by team-based learning.

      • KCI등재

        교양교육의 팀기반 학습에서 대학생의 팀효능감이 학습참여와 개인 성과에 미치는 영향

        심화영,김세현 한국교양교육학회 2023 교양교육연구 Vol.17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team efficacy on learning engagement and learning outcomes in team-based learning. For this purpose, we analyzed class cases conducted through team-based learning at C University's College of General Education. To achieve our purpose, the results of team efficacy, learning engagement, and learning outcomes of 130 learners who experienced team-based learning were analyzed.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from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team efficacy, learning engagement, and learning outcomes, we foun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differences among the three variables. Second, in team-based learning, team efficacy had a positive effect on learning engagement and learning outcomes. Third, from analyzing whether there were differences in team efficacy, learning engagement, and learning outcomes by gender and field in team-based learning, we found that female students partook in higher learning engagement than their male counterparts. However, we also found the sam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female and male students in regards to their majors, as the data showed that female students enrolled in the humanities scored higher when it came to their learning engagment, but not as high as male students taking science and engineering course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suggest that systematic instructional design is needed to promote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team efficacy in order to increase learner engagement in team-based learning and to maximize learning outcomes. 본 연구는 팀기반학습에서 팀효능감이 학습참여와 개인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목적이있다. 이를 위해 C 대학교 교양대학에서 팀기반 학습으로 진행된 교양수업 사례를 분석하였다. 연구의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팀기반학습을 경험한 130명의 학습자의 팀효능감, 학습참여, 개인성과의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팀효능감, 학습참여, 개인성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세 변수 간의 차이가 모두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음을 발견하였다. 둘째, 팀기반 학습에서 팀효능감은 학습참여와 개인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팀기반 학습에서 성별, 계열별로 팀효능감, 학습참여, 개인성과가 차이가 있는지 분석한 결과, 남학생보다 여학생이, 자연⋅공학⋅의학계열보다 인문⋅사회⋅사범계열이 학습참여가 높았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결과를 기초하여 팀기반 학습에서 학습자의 참여를 높이고, 개인성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팀효능감의 형성과개발을 촉진시키기 위한 체계적인 수업설계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 KCI등재

        팀 구성 방식에 따른 학습활동 만족도 : 질적 자료 분석에 의한 사례연구

        강인애(Inae Kang),정은실(Eun-Shil Jung) 한국교육방법학회 2010 교육방법연구 Vol.22 No.3

        학습공동체를 경험할 수 있는 출발점은 소그룹 팀 구성에 의한 학습 환경이라고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학생들은 협력적 학습력을 익히면서 자연스럽게 학습공동체의 일원으로서의 경험을 하게 된다. 이에 본 연구는 협력학습의 활성화 방법으로서 소그룹 학습 팀을 구성하여 구성 방법에 따른 학생들의 학습 활동에 대한 만족도를 질적 연구 자료 분석 소프트웨어인 Nvivo8을 활용하여 비교 분석,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교양 교직수업을 듣는 S 대학의 동일전공 학생들로서, 친분관계에 따라 학생들 스스로 구성한 학생자율팀과, 학습유형 측정결과에 따라 이질 유형으로 구성된 학습유형 팀으로 2개 반을 나누어 한 학기 동안 수업을 진행하였다. 이후 4항목으로 구성된 개방형 질문지를 나누어주어 소그룹 학습팀으로 운영되는 학습 활동에 대한 만족도를 작성하도록 하였으며, 성찰저널과 함께 자료는 Nvivo8 이라는 질적 자료 분석 방식의 소프트웨어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소그룹 학습팀 활동에 대한 만족도는 두 팀 모두 70% 이상으로 높게 나타났으나, 불만족도에서는 학생자율팀이 학습유형팀보다 훨씬 다양한 이유와 더불어 더 높은 수치가 나왔다. 학생자율팀이 지적한 만족과 불만족의 이유는 대부분이 친한 관계에서의 편안한 학습 분위기라는 사실에서 비롯되 었는데, 결과적으로 이 팀은 ‘사회적 공동체적 관계’에서 학습이 이루어졌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반면에 학습유형팀은 팀 활동과 관련하여 불만족스러운 이유는 거의 없었으며 대부분이 만족스럽다는데 높은 점수를 주고 있었다. 이는 이들 팀은 수업의 처음부터 끝까지 ‘학습공동체적 관계’를 유지하면서 진지한 학습활동, 문제해결과정 자체에 몰입하고 있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결국 본 연구의 결과를 볼 때, 소그룹 학습 팀에 의한 수업은 팀 구성방식이 어떤 것이든 간에 학생들에게는 분명학습 환경으로서는 긍정적인 경험으로 인식되고 있었으나, 만일 학습활동 자체를 강조하기 위해서는 학습유형에 따른 이질집단으로 구성된 학습유형팀이 학생들 간에 친분관계를 중심으로 자율적으로 구성한 학생자율팀보다 좀 더 바람직한 결과를 기대하게 한다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how different would be the satisfactory levels on the learning environments according to team-organizing methods. This study, first, divided the total 62 students of the same majors in a 2 year college into two learning groups: The first group is called ‘student-selected teams’ which were organized according to the degree of friendship as the team-organizing criterion, while the other group was called 'learning style-based teams' which were organized the students with different learning types based on the result of 'Learning Style Inventory' by Kolb, which was conducted before the class began. Each group(i.e., Student-selected teams and Learning style-based teams) which was consisted of several subgroups with 4 to 5 students per group and lasted for the whole semester, was supposed to write their thoughts on the given ‘open-ended questionnaire’ with 4 questions at the end of the semester. Their answers to the questionnaire have been analyzed in order to compare their specific reasons and contents for or against the team-based learning environments by using Nvivo8, a program for qualitative research data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general satisfactory levels to the learning activities from the both groups were almost equally high (more than 70%), 2) yet, more specific content analysis of the questionnaire by Nvivo clarified some differences between these two groups: The student-selected teams were inclined to show the characteristics of 'social community', in which friendly relationships in relaxed, comfortable environments were highly valued and appreciated, and which, in turn, rather became disturbing factors for then serious learning engagement; on the other hand, the learning style-based teams were, from the beginning of the class, characterized as 'learning community' where the team members worked hard with a strong sense of community, thus, responsibility for their roles as a team member in the learning community, and fully immerging into the learning activity for problem-solving as a team. In conclusion, it is clear that collaborative learning groups should be positively considered as a way of learning activities. Yet, at the same time, this study showed more meaningful and valuable results from the learning style-based teams than the student-selected teams in terms of learning engagement and effects.

      • KCI등재

        The Meanings of Experiencing Team-based Learning in an Early Childhood Profession Course

        권민균 ( Myn-gyun Kwon ) 한국유아교육학회 2021 INTERNATIONAL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Vol.27 No.1

        This study explored the experience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participating in team-based learning (TBL) in an early childhood profession course to understand the meanings of ownership of learning and team learning. In this study, the contents of reflective journals written by thirty-one junior year pre-service teachers during their participation in team-based learning were analyzed and compared to the established literature on ownership of learning and team learning. Results indicated that motivation, monitoring, persistence, and efficacy were the themes emerged as the meanings with relation to the ownership of learning. Encouragement for solving problem and accommodation with different perspectives were the themes emerged as the meanings to team-based learning. The value of team-based learning in self-directed learning is discussed not only in the individual ownership of learning but in the collective agency of learning for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profession.

      • KCI등재

        대학생 조별과제 참여, 학습동기, 문제해결력 간의 관계와 관련 변인들에 대한 연구

        전희정,이정화,이연우,이유미,황희숙,한지원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20 인문사회과학연구 Vol.21 No.1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eam-based learning participation on learning motivation and problem-solving skills. Further, this study identified two contributing factors (student-centered learning atmosphere and meaning of collaboration) and one hampering factor (negative emotion) to team-based learning. The research hypotheses were constructed as a structural model. The participants were 382 college students who attended a university in the Kyungnam province(mean age=20.19). The proposed structural model was supported with the explained variances of 25.4% in team-based learning participation, 7.1% intrinsic learning motivation, and 43% in problem-solving skills. The hypothesized effects of team-based learning participation were rejected in relation to learning motivation and problem solving skills. Further, student-centered learning atmosphere was found to have an in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team-based learning participation. However, the hypothesized effects of meaning of collaboration and negative emotion on team-based learning participation were supported. Lastly, the path from student-centered learning atmosphere to intrinsic motivation and problem solving skills was supported, which indicates the positive effect of student-centered learning occurring at the individual level. This study implied that the collaboration process of team-based learning need to be reevaluated. It was discussed that college educators need to understand the prerequisite conditions and essential components of group learning that requires collaboration/cooperation. 대학수업에서 빈번히 사용되는 조별과제의 교육적 효과를 학습동기와 문제해결력과 의 관계를 통해 알아보았다. 더하여 조별과제 참여에 공헌하는 변인으로 학습자중심수 업분위기와 협업의 의미 그리고 저해하는 변인으로 부정적 정서를 선정하여 이들 변인 들이 조별과제 참여에 가지는 영향력을 알아보았다. 선정된 변인들 간의 가정된 관계를 바탕으로 구조모델을 구성하였으며, 가정된 구조모델의 적합도를 검증하였다. 연구참 여자는 경남지역 소재의 한 4년제 대학교에서 재학중인 382명의 남녀대학생이며, 이들 의 평균 연령은 20.19세이고, 절반이상이 설문지가 실시된 학기에 6회이상 조별과제에 참여한 것으로 보고하였다. 연구 결과, 가정된 구조모델은 선정된 변인들 간 관계를 적합 하게 설명하는 것으로 지지되었으며, 조별과제 변량의 25.4%, 내재적 학습동기 변량의 7.1% 그리고 문제해결력 변량의 43%를 설명하였다. 분석결과, 조별과제 참여의 긍정적 효과가 모두 기각된 점이 두드러진다. 조별과제 참여가 내재적 및 외재적 학업동기 그리 고 문제해결력에 가지는 교육효과가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습자중 심수업분위기가 조별과제 참여에 미치는 영향력도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협업의 의미는 조별과제 참여에 긍정적인 효과를 가지며 부정적 정서는 부정적인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결과하였다. 협업을 통한 학업동기와 문제해결력에 있어서의 긍 정적 효과는 지지되지 않았으나, 학습자중심수업분위기는 내재적 학습동기에 긍정적인 효과를 가지며, 내재적 학습동기는 문제해결력에 긍정적인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 나 개인적 수준에서는 수업자중심수업분위기와 내재적 학습동기가 가지는 교육효과가 지지되었다. 본 연구는 조별과제시 학생들이 서로 상호작용하며 발생하는 교육과정에 대한 재검토가 필요함을 시사해 준다. 대학생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조별과제에 대한 선결 조건 및 협업의 필수적인 요소가 수반된 조별과제 모델이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