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산 이상정의 경(敬)사상 고찰

        안유경 ( An Yoo Kyoung ) 한국사상사학회 2018 韓國思想史學 Vol.0 No.59

        본 논문은 대산 이상정(1711~1781)의 경 사상을 고찰한 것이다. 사람의 마음은 본래 천지의 중정한 이치를 받아서 성으로 갖추어져 있으니 그 본체는 바르고 선하다. 그렇지만 기의 영향으로 기품에 구애되고 물욕에 가려져서 악으로 빠지기 쉬운데, 이때에 악으로 빠지지 않도록 마음을 잡아 지켜주는 것이 바로 ‘경’이다. 여기에서 대산은 경 공부를 내외(內外)와 동정(動靜)의 관계로 설명한다. 내외의 관계에서는 안을 근본으로 하면서도 밖으로의 정제엄숙(整齊嚴肅)을 강조한다. 또한 동정의 관계에서는 고요함을 근본으로 삼으면서 일상의 동적인 상황에서 경을 유지할 것을 강조한다. 이때에 동과 정을 지나치게 구분함으로써 혹 발생할 수 있는 공부의 단절을 방지하기 위해 대산은 ‘동 속에 정이 있고 정 속에 동이 있음[動中之靜 靜中之動]’을 강조한다. 이것은 동정이 하나의 이치임을 강조한 표현으로, 고요할 때에도 움직이는 이치가 갖추어져 있으므로 고요하다가도 일이 생기면 바로 일에 대응할 수 있고, 움직일 때에도 고요한 이치가 갖추어져 있으므로 일이 끝나면 다시 고요함으로 돌아갈 수 있다. 이로써 고요할 때에 온갖 이치가 갖추어지게 되고 움직일 때에도 절도에 맞지 않음이 없게 된다. 이것이 바로 불교의 좌선(坐禪)과 구분되는 유가 경 공부의 특징이며, 대산 경 사상의 이론적 특징이라 할 수 있다. This thesis examines the 'Kyoung' ideas in Daesan(Lee Sang-jeong, 1711~1781). The mind of the people is upright and pure, and his body is filled with Jungjeong of Li. However the influence of Ki is easy to fall into evil ways. It is 'Kyoung' to keep him from falling into evil. Here the Daesan explains the 'Kyoung' as inside and outside, Dong and Jung of relations. In relation to the inside and outside, the inside of the building to the core, emphasizes the outside of 'Jungzaeuemsuk'. Also in relation to the 'Dong' and 'Jung', emphasize of keeping quiet in the dynamism of everyday life with the 'Jung' of th the serenity. In order to prevent the recurrence of studies that can be caused by excessive separation between 'Dong' and 'Jung', Daesan emphasizes Dong of Jung and Jung of Dong. This is an expression of sympathy, which emphasizes the 'Dong and Jung' one thing. Even though there is still a sense of stillness in the stillness, when the stillness happens, it can respond to the task immediately. There is still a sense of stillness, so you can return to tranquility after work. And this makes in every Li when it comes to stillness, action is appropriate even when moving. This is a characteristic of confucianism of 'Kyoung' study, which is distinguished by Buddhism, and it is a theoretical characteristic of the Daesan 'Kyoung' ideas.

      • KCI등재

        연구논문 : 퇴계의 경(敬)사상에 있어서 몸의 문제

        김부찬 ( Boo Chan Kim )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11 儒學硏究 Vol.25 No.-

        본 논문은 체육철학의 관점에서 퇴계의 경(敬)사상을 조망하고자 하는 것이 목적이다. 인간이란 마음과 몸으로 구성되어 있다. 철학이란 이상적인 인간이 되기 위한 지적·도덕적·예술적·종교적 활동의 총체라 할 수 있다. 퇴계의 학문의 목표는 한마디로 성인이 되기 위한 것이며, 그 성격은 도학(道學)이라고 생각한다. 그리고 그의 사상은 정이(程이)와 주자(朱子)의 영향을 받았다. 퇴계철학에 있어서 몸 혹은 심신관(心身觀)에 대한 그간의 논의는 『활인심방(活人心方)』에 나타난 양생법에 주목되어 있었다. 그런데 퇴계가 인식하고 있던 몸의 중심문제는 ``성인됨으로서 몸가짐을 어떻게 해야 하는가?``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퇴계의 경사상에 있어서 몸의 문제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본고는 이러한 문제의식 아래 퇴계의 경사상이 집약된 『성학십도(聖學十圖)』에 나타난 몸의 문제를 살펴보았다. 특히 ``소학도(小學圖)``와 ``숙흥야매잠도(夙興夜寐箴圖)``의 내용을 분석하여 퇴계의 몸에 대한 인식을 도출하고, 이러한 인식과 경사상 간의 유기적 관련성을 규명하였다. In this study I look at Toegye`s Concept of ``Kyoung`` in the context of the philosophy of physical education. A man consists of mind and body, and philosophy is a variety of activities, be it intellectual, moral, aesthetic, or religious, he performs to perfect himself. The goal of Toegye`s studies was to become a man of integrity, and that is why he is a moral philosopher. He was influenced by cheng yi(程이) and zhu zi(朱子). Traditionally, discussions on Toegye`s view of body and mind have been focused on the regimen he described in Hoal-In-Sim-Bang(活人心方). However, his real goal in all that talk on health seems to have been finding a way to properly manage one`s body to become a holy man. In addition, the problem of body is central in his concept of kyoung. Songhak Sipdo(聖學十圖) is a good place to start when we want to study his view of body and kyoung. I focus on Sohakdo(小學圖) and The Collecyion of comments about the Sukhengyamaejangdo(夙興夜寐箴圖) in that text and discuss the organic connection between his view on body and the concept of kyoung(敬).

      • KCI등재

        사미헌 장복추의 『숙흥야매잠집설(夙興夜寐箴集說)』에 대한 고찰

        안유경 ( An Yoo-kyoung )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2018 嶺南學 Vol.0 No.66

        본 논문은 四未軒(張福樞, 1815~1900)의 『夙興夜寐箴集說』에 보이는 敬의 내용과 이론적 구조를 고찰한 것이다. 「숙흥야매잠」은 중국 남송 때의 남당(진백)이 지은 것으로서, 이른 아침부터 늦은 밤까지 하루의 일과 속에서 어떻게 경을 실천할 것인지 그 구체적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퇴계는 이것을 그림으로 만들어(「숙흥야매잠도」) 『성학십도』의 제10도에 수록한다. 한편 사미헌은 퇴계의 「숙흥야매잠도」의 구성에 근거하여 「숙흥야매잠」의 내용을 체계적으로 분류하는데, 이 과정에서 중국과 우리나라 여러 선현들의 격언을 뽑아 모아서 장별로 분류하여 『숙흥야매잠집설』을 저술한다. 『숙흥야매잠집설』이란 말 그대로 「숙흥야매잠」의 중심개념인 敬에 대한 여러 선현들의 학설을 모아놓은 ‘집설’이다. 따라서 본문에서는 경에 대한 여러 선현들의 학설을 모아놓은 사미헌의 『숙흥야매잠집설』에 보이는 ‘경’의 내용과 그 이론적 구조를 밝힌 것이다. This paper is consider of the contents and theoretical structure, which is seen in the Kyoung of Samiheon(1815~1900) of 'Sukheungyamaejamjipseul'. 'Sukheungyamaejam' was written by Namdang(Jinbaek) in China, which is offering concrete ways to how you're going to behave in a day's Kyoung in the morning from early morning to late night. Toegye makes it into a painting titled 'Sukheungyamaejamdo' in Seonghaksipsido 10th. Meanwhile, Saminheon details the 'Sukheungyamaejam' based on the construction of Toegye's 'Sukheungyamaejamdo'. In this process, he gathered various proverbs from China and Korea of scholars and divided them into chapters to edited the 'Sukheungyamaejamjipseul'. It is a collection of theories about the theory of the Kyoung. Thus in the text of the book, Samicheon's essay on the theory of Kyoung, which collect a theories of different ancestors and considers its theoretical structure.

      • KCI등재

        퇴계의 경사상과 『활인심방』에서의 마음치유

        엄찬호(Eom, Chan-Ho)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7 인문과학연구 Vol.0 No.53

        퇴계(退溪)는 만병의 근원은 마음이라고 인식하고 마음을 치유함으로써 병의 근원적인 문제를 해결하는 방향을 제시하며 그 방법으로 ‘경(敬)’을 통한 심신의 수양을 제시하였다. 마음의 치유를 위한 수양론은 마음 다스리기이고, 마음의 다스림은 몸의 치유로까지 이어진다고 본 것이다. 퇴계는 경을 지극히 엄숙하고 정제된 자세로서 마음이 미발인 상태에서는 존양의 도를 실천하는 것이며 기발의 상태에서는 성찰의 도를 실천함으로써 흐트러진 마음을 다시 모아 심기를 일전시켜 몸의 치유까지 이르게 한다고 하였다. 이러한 수양의 일단으로 제시하고 마음 치유의 방법으로 활용한 것이 『활인심방(活人心方)』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활인심방』에서는 ‘중화탕(中和湯)’과 ‘화기환(和氣丸)’으로 마음의 수양을 약에 비유하여 마음을 다스림으로써 만병을 치료하고자 하였던 것이다. 이와 같이 퇴계는 마음을 다스리는 실천방법을 형상화시켜 구체적으로 제시해 줌으로써 병에 걸리지 않고 예방할 수 있는 수련법을 제시하였다. Toegye(退溪) recognizes that the source of all diseases is the mind, and suggests a direction to solve the underlying problem of the disease by healing the mind. The method is mind and body training through ‘Kyoung(敬)’. The cultivate one’s mind for the healing of the mind is the reign of the mind, and the reign of the mind leads to the healing of the body. According to Toegye, ‘Kyoung’ is an extremely solemn and refined posture, and in a state where the mind does not move, it is to nurture a good character that is the original mind. And when the mind is already moving, it gather the scattered mind again by reflection, and healing the body by changing the mind. It is Hwal-In-Shim-Bang(活人心方) that it is presented as a part of this fostering and used as a method of healing the heart. Especially, Hwal-In-Shim-Bang tried to treat the mind by comparing the discipline of mind to drugs such as ‘Joonghwatang(中和湯)’ and ‘Hwagihwan(和气丸)’. As such, Toegye suggested a method of training that can be prevented without getting sick by presented the concrete way to practice the mind.

      • KCI등재

        남명의 공부론, 어떻게 주자학적인가?

        황금중 ( Keum Joong Hwang ) 한국교육사학회 2007 한국교육사학 Vol.29 No.2

        이 논문에서는 남명 공부론의 성격을 규명하되, 남명사상에 관한 기존의 많은 연구들이 그것의 비주자학적 성격을 부각해 온 점을 고려하면서, 남명 공부론이 과연 주자학적인가 아닌가의 의문을 푸는 일로부터 출발했다. <神明舍圖·銘>이나 『學記類編』([學記圖]) 등, 남명이 남긴 많지 않은 저술에서 확인되는 그의 공부론에는 소학·대학교육과정, 경(敬), 성(誠), 지행병진(知行竝進), 하학이상달(下學而上達) 등의 주자학적인 요소가 깊이 뿌리내려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는 경을 사족으로 여기는 양명학의 치양지(致良知)나 지행합일(知行合一)의 공부방법, 그리고 소학이나 하학에 대한 깊은 논의가 없는 양명학의 공부론과는 전혀 다르다. 나아가 남명의 주자학적 공부론과의 연계 하에 제시되는 그의 형이상학이나 진리관도, 노장이나 불교의 그것과 분명히 구분된다. 남명 공부론은 분명 조선 주자학의 흐름 속에서 창출된 것이되, 그 특징으로서 지공부와 행공부의 거리가 보다 밀접해진 양상, 그리고 주자학적 맥락에서의 공부론의 심학화 양상을 포착할 수 있었다. Was Jo Sik`s theory of Gongbu in the category of Jujahak or not? This study investigated Jo Sik`s theory of Gongbu from this question, taking a skeptical view upon the existing studies about Jo Sik`s thought that featured on its alleged non-Jujahak elements. The result of this study suggests that Jo Sik`s theory of Gongbu, which was placed especially in the simhak-oriented stream, was never out of the boundary of Jujahak, His major works, such as <Sinmyoengsado·myoeng> and <Hakkiryupyoen (hakkido)>, contain characteristics of Jujahak, in particular, ``the curriculum of sohak and daehak``, ``kyoung``, ``seong``, ``jihaengbyoengjin``, and so on. These characteristics are different from those of the theory of Gongbu in Yangmyoenghak that proposes the methods of chiyangji, jihaenghabil, without emphasizing kyoung or sohak. Furthermore, his metaphysics and viewpoint of truth that is deeply related to his theory of Gongbu in context of Jujahak, is distinguished from Taoism or Buddhism. Jo Sik`s theory of Gongbu, although his simhak-oriented aspects have caused controversy, obviously developed within the scholarship of Jujahak.

      • KCI등재후보

        산실된 사미헌 경전주석 잔편의 회집과 소개 -『사미헌문집』 소재 『대학』과『논어』 주석의 회집을 중심으로-

        이영호 ( Young Ho Lee )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2009 嶺南學 Vol.0 No.16

        Jang, Bok-Chu(Samiheon) was a prominent figure of Confucian scholars in Youngnam province in the late Joseon Dynasty. He wrote many significant literary works. Among these works, his Saseogyemong needs special attention in the history of the Study of Korean Confucianism. Unfortunately, sections of Daehak and Noneo in the book were lost during the Korean War. This paper aims to explore Samiheon`s annotations of Daehak and Noneo in his collection of literary works, Samiheonmunjib. It finds 14 segments of annotation about Daehak and 29 about Noneo. This paper reveals that Samiheon`s research on Confucian Classics has a general characteristic of the Chu Hsi School in the Joseon Dynasty. However, it also has unique characteristics which include special focus on Kyoung(敬, reverential seriousness), investigation of overall structure and meaning of Confucian Classics, and independent interpretations on Confucian Classics based on his own worldview.

      • KCI등재

        성재<SUP>惺齋</SUP> 금난수<SUP>琴蘭秀</SUP>의 실천적 위기지학 - 퇴계심학의 실천적 계승과 발휘

        안영석(Ahn, Young-seok) 한국국학진흥원 2020 국학연구 Vol.0 No.42

        본 논문은 성재 금난수의 학문을 고찰하여 그 특징을 드러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퇴계 문하에서의 그의 수학 활동과 학문 역정을 고찰하여 그것이 퇴계학의 충실한 수용 과정이었음을 밝혔다. 그리고 그 과정에서 드러난 그의 학문적 성향을 ‘경의상수敬義相須의 심학적 학문 성향’으로 이름하고, 이를 ‘퇴계학적 사유 내에서의 심학’으로 규정하였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그의 학문은 퇴계학 내에서도 ‘실제적인 심성공부와 사회적 교화 실현’이라는 보다 실천적인 측면이 더 부각되어 계승된 ‘퇴계학파 내의 실천적인 위기지학의 흐름’이었음을 주장하였다. This paper attempted to reveal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of Sungjae Geumnansu’s study. To this end, I first looked at his academic activities and processes in the Toegye School and revealed that it was a faithful acceptance process of Toegye Studies. And I called his academic tendency revealed in the process as “the tendency of Simhak(心學) with Gyeongui-sangsu(敬義相須)” and defined it as “Simhak within the Toegological Reason”. And finally, I insisted that his study was ‘the flow of practical learning for self-perfection(爲己之學) within the Toegye School’, which was inherited by emphasizing the more practical aspects of ‘actual realization and social edification’ within Toegye.

      • KCI등재후보

        주희의 서원 교육 방법론

        정낙찬 ( Nak Chan Jung ) 한국교육철학회 2003 교육철학 Vol.24 No.-

        The paper were argued education teleology, education methodology, modern educational meaning. Chu-Hsi understood the human as the existence which was independent in creation development of space. He made bright the inside by preserving seong(誠), myoung(明), kyoung(敬), yi(義), chung(忠), shin(信), outside deed apply the society by doing deed so that we were irreproachable in the education teleology. His the education methodology which is the complement relation of moral education, knowledge education, practical education was inclined moral education rather than knowledge education, practical education. Therefore his education method was active in the solution and reform of reality problem. Modern educational meanings were the education of human, life education, the association of the justice, the attention concentration. the community education. the harmony of teacher and student and so on.

      • KCI등재

        녹문 임성주의 수양론 연구 ― <맹자부동심장설>을 중심으로 ―

        배병대 ( Bae Byeong-dae ) 동양철학연구회 2019 東洋哲學硏究 Vol.97 No.-

        이 논문의 목적은 녹문 임성주의 수양론을 <맹자부동심장설>을 중심으로 고찰하여 그 구조와 성격을 드러내는 데 있다. 녹문은 조선의 6대 성리학자로서 이기동실(理氣同實)과 심성일치(心性一致)를 학문의 종지로 삼았다. 그는 악의 근원을 타고난 기질의 차이에 두지 않고, 후천적으로 발생하는 사재(渣滓)로 지목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먼저 녹문의 이기심성론을 사재설과 관련지어 살펴본다. 녹문은 이동기이(理同氣異)의 틀에서 벗어나 이기동실의 관점에서 본체로서 기의 순일성을 제시한다. 그리고 담일한 ‘기의 찌꺼기[渣滓]’가 심과 성에 영향을 줄 수 있지만 수양을 통해 자연스럽게 제거되는 일시적인 현상임을 보여준다. 다음으로 녹문 수양론의 구조와 성격을 드러내기 위하여 그의 <맹자부동심장설>을 분석한다. ‘북궁유에서부터 고자에 이르기까지 부동심의 방법’, ‘뜻을 지킴과 기를 포악하게 하지 않음’, ‘뜻과 기의 관계’, ‘그 기 됨에 있어 의와 도가 짝한다’, ‘의를 축적함’, ‘반드시 호연지기를 기름에 종사하되 효과를 미리 기대하지 말라’, ‘마음에 잊지도 말고 조장하지 말라’, ‘지언과 양기의 관계’를 중심으로 살펴본다. 마지막으로 녹문의 <맹자부동심장설>의 분석 내용을 중심으로 녹문수양론의 구조와 성격을 조명한다. 이 논문은 녹문의 수양론을 내외(內外)·동정(動靜)·체용(體用)이 종횡으로 관통하는 구조로 파악하고, 그 핵심에 ‘경(敬)’과 ‘지지(持志)’가 있음을 주장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ress its structure and character of the Nokmoon Lim Seungju's self-cultivation theory by focusing on ‘explanation of the Mengzibudongxin(孟子不動心)’. Nokmoon, the top six Neo-Confucianist of Joseon Dynasty, made ‘liqidongshil(理氣同實)’ and 'simseongilchi(心性一致)' the core of his studies. He points to the origins of evil as a acquired Sajae(渣滓), not as a difference of natural temperament. In this paper, we first look at the theory of self-interest in greenback. First, this study looks at Nokmoon's theory of ‘liqisimseong(理氣心性)’ in relation to theory of ‘Sajae(渣滓)’. Nokmoon gets out of the 'lidongqiyi(理同氣異)' frame and presents purity of qi(氣) as the main body in terms of ‘liqidongshil(理氣同實)’. And the Sajae(渣滓), which is the residue of pure qi(氣), can affect mind(心) and nature(性) but it is a temporary phenomenon that is removed naturally through the self-cultivation. Next, this study analyzes his ‘explanation of the Mengzibudongxin(孟子不動心)’ to reveal the structure and character of the Nokmoon's self-cultivation theory. This paper focuses on the contents of ‘budongxin methods from BeigongYou(北宮黝) to Gaozi(告子)’, ‘Keep the will(持志) and don't make the qi vicious(無暴其氣)’, ‘the relationship between meaning and qi’, ‘Righteousness and the Way are a match for being qi(配義與道)', 'the accumulation of righteousness(集義)', 'Be sure to work on cultivating Haoranzhiqi(浩然之氣) but do not anticipate the effects(必有事焉,而勿正)', 'Don't forget your heart and do not encourage it(心勿忘,勿助長)', 'the relation of Zhiyan(知言) and Yangqi(養氣)'. Finally, this study highlights structure and character of Nokmoon's self-cultivation theory based on analysis of a Nokmoon's ‘explanation of the Mengzibudongxin(孟子不動心)’. This paper considers Nokmoon's self-cultivation theory as a structure through which Nei-wai(內外), Dong-Jing(動靜), and t'i-yung(體用) penetrate vertically and horizontally, and claims that there are kyoung(敬) and chizhi(持志) at the core.

      • KCI등재

        한국의 전통교육사상과 공손 표현에 관한 연구

        손화희 ( Son Hwa-hee ) 대구가톨릭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1 인문과학연구 Vol.- No.42

        Through the study of finding the origin of the Korean traditional education thought, I had taken a look at the fact “our traditional educational thought” is formed with “Hongikinkan(弘益人間) humanism” and “the personality-centered thought” that consider ‘the life worthy of a life’ as being the most valuable. And, by preparing a base of life, I had considered about the form of the life of the whole ethnic group regarding the aspects of the use of the honorific words and the development of the politeness expressions. Also, as a practical principle for materializing the attitude of respect, which can be said to be the origin of the Korean, traditional education thought, the need for the use of the honorific words and the politeness expressions had been explained. Today, in the Korean education, regarding the thing that is needed first above anything else, rather than injecting the simple knowledge regarding the culture, the people, the language, the history, etc. of Korea into the students through the education, the specific, behavioral patterns regarding the use of the honorific words and the politeness expressions that reflect the ‘kyoung(敬)’ respect thought centered on the family and the school must be shown through a model. Also, I propose that, in the society in which the human relationships are considered to be important, the values, too, regarding ‘the life worthy of a person’ and ‘the life worthy of a life’ that reflect the Korean traditional education thought must be emphasiz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