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南塘 韓元震의 深衣幅巾像

        강관식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014 한국문화 Vol.65 No.-

        Namdang Han Wonjin is the savant of Hohak (the school of Chungcheong-do Province) which genuinely inherited Neo-Confucianism of Giho (Chungcheong-do Province), the leader of the in-law government of the late Joseon period. Han emphasized Hua-Yi distinction (Sino-barbarian dichotomy) and Cheoksa (the theory of rejecting heterodoxy) in particular. His ideology spreaded throughout Hongju culture area (South Western Chungcheong-do Province), and it had a great influence on the development of the Wijung Cheoksa (defending orthodoxy and rejecting heterodoxy) movement and the emergence of the righteous armies, or Uibyeong since the late 19th century, when the imperialist pillage moved into high gear with the western powers occupying Asia and forcing to open ports. As Han’s works on Neo-Confucianism affected the late Joseon period, Han's portrait is also noteworthy in that it delineates how Sim-ui Bok-geon (attired in formal Confucian dress, with a top for exalted personage and a formal bandana) portrait - the most beloved form of Yuhyeon (eminent Confuscian scholar) portraits, including those of Song Siyeol and Gwon Sangha - was inherited and proliferated since Neo-Confucianism became indigenous in the late Joseon era. The Sim-ui Bok-geon portrait of Han Wonjin was first drawn by Jin Eung-hoe in 1740, through the good offices of Han's pupil Gim Geun-hang. Afterwards, in the late 18th century and the early 19th century, Han's students, admirers and descendants enshrined and revered his portraits in private, resulting in the diffusion of the paintings. Furthermore, the Confucians of the early 19th century proposed to build the shrines and private Confucian academies, or set up Han’s memorial tablets and portraits in shrines and private academies of footholds, where key figures of same school or faction with Han are enshrined. When both ethnic and national existence of the country was threatened by the invasion of the Western powers and the Empire of Japan since the late 19th century, Joseon shedded light on Han's ideology that emphasized Hua-Yi distinction and Cheoksa theory to uphold orthodoxy and eradicate heterodoxy, and also on his portraits as visual representation which symbolized his ideology. During its repeated succession and proliferation, Han's portrait was replicated in creative ways in order to enshrine the optimal form of the portrait according to each period. Not only the icon but even the appearance of the portrait were modified, but not to the extent of marring the original countenance. Contrary to the common misconstruction that the portrait of late Joseon period pursued "naturalistic realism" under the slogan "Ilho Bulsa (One different hair, whole different person)", the variations of Han's portraits demonstrate the "ideal realistic" tendency in the Joseon portrait, ameliorating the features not to such an extent that these alterations did not impair the essence of the model's appearance.

      • KCI등재

        남당 한원진의 도통(道統) 개념 -정통, 학통의 결합과 정치로의 지향-

        송재혁 ( Song Jae Hyeok ) 한국사상사학회 2019 韓國思想史學 Vol.0 No.61

        남당 한원진(南塘韓元震, 1682~1751)은 주자 이후 유학의 도가 동방으로 옮겨와 이이(李珥), 송시열(宋時烈), 권상하(權尙夏)로 이어졌다고 생각했다. 그는 스승인 권상하의 행장에서 비록 권상하가 평생 벼슬을 하지 않아 송시열과 같은 사업의 공로는 없었지만, 전현들의 학문을 잇고 이를 발전시켰다는 이유로 도통(道統)의 반열에 올려놓았다. 그리고 한원진은 자신이 언급한 도통의 계보를 잇기 위해 평생 노력을 경주했다. 불교와 양명학과 같은 이단, 그리고 같은 주자성리학 내에서도 퇴계학파, 낙학파에 대한 그의 격렬한 비판은 그러한 노력의 실천이었다. 기존 연구에서 김태년은 “입정학(立正學)”이라는 개념을 가지고 이러한 한원진의 사상을 설명하고 있다(김태년, 2006). 그의 연구는 한원진의 행적을 “학문적 권력을 획득하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한다. 그러나 한원진이 일생동안 끊임없이 보여준 정치로의 지향을 고려한다면, 그가 얻고자 했던 권력은 단순히 학문적인 차원에 머물지 않는다. 그는 송시열의 도통에 대해 설명하면서, “천지를 위해 마음을 세우고 생민을 위해 도를 세워, 성대한 사업을 더불어 다툴 수가 없었다.”고 표현하면서 정치적 업적의 측면을 강조했다. 한원진은 이이와 송시열을 본받아 현실정치를 꿈꾸었으며, 이후 실제로 권력으로의 지향을 끊임없이 보여준 인물이었다. 이 글에서는 도통이라는 개념에 주목하여, 실록과 문집에 나타난 한원진의 행적을 순차적으로 추적한다. 그가 사용한 도통의 개념은 이이와 송시열이 그랬던 것처럼, 정치적 업적의 측면인 정통(政統)과 학문적 측면인 학통(學統)이 결합된 것이었다. 한원진은 당대의 군주였던 영조(英祖)를 설득하는 데 실패하고 결국 권상하의 길을 택할 수밖에 없었지만, 항상 이이, 송시열과 같은 정치가가 되고자 하는 정치적 지향을 품었던 인물이었다. Han WonJin(韓元震, 1682~1751) believed that after the death of Zhuxi(朱熹) Confucian Dao(the Way) had been transmitted to those scholars in Joseon(東方) including Lee Yi(李珥), Song SiYeol(宋時烈), and Gwon SangHa(權尙夏). As an academic successor of Gwon SangHa, he wrote in Gwon's eulogy that Gwon was one of the transmitters of the daotong(道統) despite the fact that Gwon had never served in the government as Song SiYeol had. Through his whole life, Han made effort to transmit the daotong of the teachers he mentioned. This is why Han strongly disapproved of other schools of neoconfucianism, not to mention heresies including Buddihism and Yangming school. While explaining Han’s thought using the concept of “Lizhengxue(立 正學)”, Kim TaeNyeon’s work does not go further than arguing Han intended to “seize the academic power.” Considering Han’s lifelong orientation to politics, however, his ultimate goal should be more than that. Han wanted to work in real politics and kept trying to hold political power. The supporting evidence is that Han honoured Song SiYeol’s outstanding political achievement, saying Song was the one“make up his mind for the world, build the dao for the people, so there is no one who can compete with him in those great works.” This paper reviews Han’s life in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focusing on the concept of the daotong. Han’s concept of the daotong, similar to those of Lee Yi or Song SiYeol, is the combination of Zhengtong(political orthodoxy, 政統) and Xuetong(academic orthodoxy, 學統). Although Han failed to persuade the then king Youngjo(英祖) and followed suite of Gwon SangHa, he always dreamt of becoming politicians like Lee Yi and Song SiYeol.

      • KCI등재

        남당(南塘) 미발론과 공부론의 현실적 함의

        이승환 ( Seung Hwan Lee ) 고려대학교 철학연구소 2010 철학연구 Vol.0 No.40

        이 글에서는 남당 한원진의 미발(未發)에 관한 견해를 외암 이간과 비교의 관점에서 고찰하고자 했다. 남당은 `미발` 성체(性體) 및 `미발` 심체(心體)를 공히 `기질`과의 연관성 속에서 파악하고자 했다. 그는 현실인간의 성(性)은 `기` 안에 타재된 리(理)를 가리키는 것이므로 본연지성이라 할 수 없고 다만 기질지성이라고 해야 한다고 보았다. 그리고 현실인간의 `성`은 아무리 `미발` 시라 해도 품부받은 기질의 차이로 인해 서로 다를 수밖에 없다고 보았다. 이것이 그가 `미발성체 성범부동론(聖凡不同論)`을 내세우는 이유이다. 그는 또 인간의 심(心)은 `기`로 이루어진 것이므로, 아무리 `미발` 시라 하더라도 품부받은 기질의 차이로 인하여 `미발의 중`(未發之中)에 이르는 일은 사람마다 편차가 있다고 보았다. 이것이 그가 `미발심체 성범부동론(聖凡不同論)`을 내세우는 이유이다. 남당과 달리 외암은 `미발` 시에는 일체의 `기`가 용사(用事)하지 않게 되어 하늘이 명한 본연지성이 누구에게나 환하게 모습을 드러내게 된다고 여겼다. 이것이 그가 `미발 성체 성범동론(聖凡同論)`을 내세우는 이유이다. 외암은 또 `미발` 시에는 `기`가 용사하지 않는 본연지심(本然之心)의 상태가 되어, 성인과 범인을 막론하고 동일하게 `중`에 들 수 있다고 보았다. 이것이 그가 `미발 심체 성범동론(聖凡同論)`을 내세우는 이유이다. 남당은 인간의 심·성이 `미발` 시에도 기질의 영향력에 구속되어 있다는 `기국(氣局)`의 관점을 강하게 견지함으로 말미암아, 현실인간의 심성은 대부분 순수하지 않다는 결론에 도달한다. 남당의 이러한 비관적인 인간인식은 공부론과 관련하여 두 가지 실천적인 함의를 내포한다. 첫째는 세상에 `리`를 구현해야 하는 막중한 책임을 가진 사인(士人)들이 기질변화와 함양공부를 통하여 기질의 영향력을 철저하게 걷어냄으로써 궁극적으로 `심`과 `리`의 합일(心與理一)에 이르러야 하고, 다른 하나는 현실세계에 춘추(春秋)의 의리(義理)를 구현해야 할 최종 권능을 가진 국왕이 함양공부를 통해 허명(虛明)한 심체를 갖춤으로써, 기질변화가 불가능한 소인(小人)과 이적(夷狄)들을 단호하게 토죄(討罪)해야 한다고 보았다. 품부받은 기질에 따라 `미발 성체`와 `미발 심체`에 등차가 있다는 남당의 주장은 결국 소인에 대한 군자의 지배력 강화, 그리고 스스로 변화할 수 없는 소인과 이적들에 대한 단호한 토죄(討罪) 등의 현실적 의미를 함축한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clarify Han wonjin`s understanding of wei-fa(not-yet-arousal) in comparison with that of Yi Gan. According to Han Wonjin, human nature in phenomenal world solely designates the li inherent in qi. Therefore, human nature in real world cannot be directly identified with the original nature(ben-ran-zhih-xing), but merely designates the physically endowed nature(qi-zhih-zhih-xing). He also contends that human mind, whether it is already-aroused(that is, already-intentional) or not-yet-aroused(that is, pre-intentional), is always composed of qi. Therefore, human mind, even in the phase of not-yet-arousal(wei-fa), is hard to arrive at the state of pure equilibrium(zhong), due to the influence of physicality(qi) which is the ontological foundation of human existence. In contrast with Han Wonjin, Yi Gan contends that when human mind is in the phase of not-yet-arousal(wei-fa), the original nature brightly discloses its essential form without any interference of qi. Han Wonjin`s conception that human nature and human mind are predestined by the influence of qi implies a pessimistic view of human nature and human mind. His pessimistic view on human-being automatically leads him to a moral rigorism in two ways. On the one hand, literati, who are charged with self-assigned mission of realizing the moral principle(li) in the world, have to rigorously cultivate themselves until the turbid temperament originated from the qi totally removed. On the other hand, the monarch, who has the actual power to realize the moral principle(li) in the political world, has to cultivate himself until the mind totally becomes empty and bright by removing the influence of opaque qi. Han Wonjin`s pessimistic view on human nature and human mind finally leads him to a conclusion that small persons(so-in) whose temperament is fatally impure should be dominated by the exemplary persons(gun-ja) who already have arrived at the stage of "oneness with the principles(li)" through a rigorous self-cultivation of transforming the temperament.

      • KCI우수등재

        한원진의 인물성이론(人物性異論)을 통해 본 물(物)의 형이상학과 윤리학

        배제성 한국철학회 2022 철학 Vol.- No.152

        본 논문은 인성과 물성의 차이를 주장한 한원진의 인물성이론의 철학적 함의를 이해하는 지평을 확장하기 위한 시도이다. 이를 위해 퍼킨스가 제안한 ‘물(物)’에 관한 해석에 주목하였다. 그는 ‘물’이 중국철학사의 중요한 용어 중 하나이며, 그 중요한 의의는 개체로 존재하는 대상이 개별화되는 원리를 논하는 데 있다고 주장하였다. 여기서 ‘물’에 관한 담론은 개별적인 대상이 존재하게 되는 방식뿐만 아니라, 그 대상들이 서로 관계 맺는 적절한 방식을 포함한다는 점에서 형이상학적 측면과 윤리학적 측면을 포괄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한원진의 주요한 문제의식이 개별화의 원리를 이해하는 방식으로 파악될 수 있다고 제안한다. 이러한 인식을 바탕으로 본 논문에서는 규명하는 하는 바는 두 가지이다. 첫째, 한원진의 인물성이론이 개별화의 원리를 어떤 방식으로 구현하는지를 보일 것이다. 둘째, 한원진의 인물성이론을 통해 제시될 수 있는 개별화의 원리가 성리학적 지향과 특징을 어떻게 구현하는지를 보일 것이다. 이를 통해서 중국철학사라는 더 넓은 맥락과의 연관 속에서 한원진의 주장을 평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동시에 유가적 관점이 반영된 개별화의 원리를 보여주는 ‘물(物)의 형이상학과 윤리학’의 한 예시라는 측면에서 그의 성론(性論)을 조망할 수 있을 것이다. 결론적으로, 그의 성론(性論)은 유가적 조화의 이상이 개체의 성을 통해 실현되는 방식과 그 세계관에 대해서 구체적이고 정교한 이해를 제시하고 있다. In this paper, I try to expand the horizon to understand the philosophical implications of Han Wonjin’s theory of nature, which argue for the difference between the nature of human beings and nature of things. For that purpose, I focuses on Perkin’s interpretation of ‘thing’. He suggested that the term ‘thing’ is important because the term is a main category in which principle of individuation was discussed in history of Chinese philosophy. The discourse on thing can encompass metaphysical and ethical aspects, for it includes not only the way in which individual objects exist, but also the appropriate way in which they relate to each other. I suggest that Han Wonjin’s approach can be grasped in a way to explain a kind of principle of individuation. So, more specifically, I will try to demonstrate the two features of Han Wonjin’s theory of nature. First, how does that theory represent the principle of individuation? Second, how does the principle of individuation to which his theory is applied reflect the orientation and characteristics peculiar to Neo-Confucianism? By answering these questions, we can evaluate Han Wonjin’s theory in connection with the wider context of history of Chinese philosophy. Not only that, we can shed light on his theory as a example of the metaphysics and ethics of thing, which fit well with the Confucian view of the world. Finally, Han Wonjin’s theory of nature presents a sophisticated picture of the way how a confucian ideal of cosmic harmony can be realized by the nature of all individual objects.

      • KCI등재

        인물성론에 대한 도덕형이상학적 이해 —이간과 한원진의 심을 중심으로—

        손미애 한국철학사연구회 2020 한국 철학논집 Vol.0 No.65

        This paper examines the point of view of Moral-Metaphysics about Theory of Human Nature and Thing’s Nature focus on Oiam Yi Gan and Namdang Han Wonjin. I examine Yi Gan and Han Wonjin’ Theory of Human Nature and Thing’s Nature relationship with Xin(心, Mind). And, It talks about how ‘Moral-Metaphysical structure’ to Theory of Human Nature and Thing’s Nature. Moral-Metaphysics has two structural characteristics. First, Nature of everything is included in Moral-Principle. Every being has a Moral-Principle. Second, It refers to the reason for the being of all things based on Moral practice. The reason for being is revealed through Moral practice. Yi Gan and Han Wonjin’ Theory of Human Nature and Thing’s Nature related to the Ontological Concepts of Li(理, Principle)⋅Qi(氣, Meterial force) and Axiological Concepts of Xin(心, Mind)⋅Xing(性, Nature). Yi Gan focused on the Ontological identity of all things and derived the Moral-Metaphysical basis for all the beings that constitute the world. Han Wonjin provided a stage for reaching Moral-Metaphysics through the empirical and practical appearance of morality in the Phenomenon-world. Yi Gan and Han Wonjin’ Theory of Human Nature and Thing’s Nature discussed the difference in the completion for ‘Moral-Metaphysics’. 본 논문은 외암 이간과 남당 한원진을 중심으로 진행된 인물성론을 도덕형이상학의 관점에서 검토한 것이다. 이간과 한원진의 인물성론을 심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살펴본 다음, 인물성론이 어떠한 ‘도덕형이상학적 구조’를 이루고 있는가에 대해 설명한다. 도덕형이상학은 두 가지 구조적 특징을 포함한다. 첫 번째 특징은 만물의 존재성을 도덕적 가치로 환원하는 것이다. (도덕)형이상학적 원리가 만물에 동일하게 부여되어, 모든 존재가 도덕적 원리를 품부하고 있는 구조이다. 두 번째 특징은 만물의 존재 이유를 완성해나가는 방법으로, 도덕 실천을 위주로 하는 구조이다. 만물은 동일한 (도덕)형이상학의 원리에 의해 존재하며, 존재의 당위는 도덕 실천을 통해 드러나게 된다. 이간과 한원진의 인물성론은 리와 기라는 존재론적 개념과 심과 성이라는 가치론적 개념이 밀접하게 연관된 것이다. 이간은 만물의 존재론적 동일성에 집중하여, 세계를 구성하는 모든 존재물에 대해 ‘도덕형이상학적 근거’를 도출하였다면, 한원진은 현상세계의 경험적이고 실제적인 도덕의 양상들을 통해 ‘도덕형이상학에 도달하기 위한 단계’를 제공한다. 그러므로 본 논문은 이간과 한원진의 인물성론이 ‘도덕형이상학’의 완성을 위한 구조적 차이임을 논의한다.

      • KCI등재

        남당 한원진의 김창협 지각론 비판

        이선열 ( Sun Yuhl Yi ) 한국철학사연구회 2013 한국 철학논집 Vol.0 No.36

        본 논문의 목적은 18세기 湖學의 종장이었던 남당 한원진의 김창협 지각론에 대한 비판을 구체적으로 분석해 보는 것이다. 당시 호락논쟁에서 지각과 관련된 논쟁을 주도했던 인물은 김창협이었고, 따라서 당시의 지각 담론은 대체로 그에 대한 찬반 논의로 전개되는 양상이었다. 洛學과 대립한 한원진에게 농암설을 성공적으로 반박하는 것은 湖學의 학파적 입장을 정립함에 있어 주요한 사안이었다. 쟁점은 주로 지각의 연원에 관한 문제, 혹은 智와 知覺의 관계에 관한 문제였다. 김창협은 智와 知覺이 본질상 별개의 범주에 속하며 양자 간에 體用의 관계가 성립하지 않는다고 본다. 그는 智와 知覺의 관계를 실현되어야 할 ‘道’와 그것을 실현해야 할 ‘器’의 관계, 또는 객체(所)와 주체(能)의 관계로만 보는 입장을 정식화 한다. 나아가 김창협은 心의 지각활동이 본성과 직결된 것이 아니며 그로부터 비롯되는 것도 아니라고 주장하여 心의 독자성을 강조한다. 한원진은 그러한 김창협의 구도가 性과 心을 분리하며 궁극적으로 본성이 아니라 마음을 본체로 삼는 오류에 빠질 수 있음을 경계한다. 그는 心의 지각 활동이 본성이라는 절대적 근거가 없이 이루어진다면, 결국 지각은 자의적으로 대상과 관계맺는 맹목적인 인지활동에 지나지 않게 된다고 본다. 만약 본성에 근거하지 않더라도 지각이 도덕적 성격을 띠게 된다고 가정 할 경우, 이는 본성이 아니라 마음 자체에 도덕의 근거가 내재한다는 얘기가 되므로 결국 본체를 性과 心둘로 나누는 셈이 되고 만다. 한원진에 따르면 인간의 지각이란 도덕본성에 근거하여 이루어지는 활동이어야 한다. 그렇게 볼 때 김창협이 도덕실현의 주체로서 지각의 역할을 강조하는 입장이라면, 한원진의 경우 도덕실현을 가능케 하는 본원으로서 智의 위상을 중시하는 입장에 선다. This paper aims to analyse Han Wonjin`s criticism centered on Kim Changhyup`s theory of Jigak(知覺). In the early 18th century, Kim Changhyup whose position considered as the leader of Rakhak(洛學) circle was the central figure in the debate on the controversial subject of Jigak. Han Wonjin as an opinion leader of Hohak(湖學)`s legacy was required to argue with his counterpart in order to establish his circle`s standpoint. The main issue they discussed was the relationship between Ji(智) and Jigak. Kim contends that Ji and Jigak belong to different categories, and that the substance-function(體用) relation cannot be applied to them. According to him, the relation between Ji and Jigak is that of Do(道) and Gi(器). Similarly, the relation between Sim(心) and Sung(性) is that of subject and object. He also maintains that Jigak is not the phenomenalized mode of Ji, but the innate capability that employs Sung as the source of morality and turns it into feelings. In contrast, Han argues that Ji, as a ontological foundation of Jigak, is what enables Jigak to be a moral activity. In criticizing Kim Changhyup, Han maintains that if one denies the relation between Ji and Jigak, then one would have to characterize Jigak as a blind function with no moral sense. If one admits Jigak can have moral contents on its own without the connection with Ji, then one would have to allow two moral foundation, which leads one`s idea into heretical beliefs. Han holds that Jigak can a moral function only when it is grounded upon Ji. In conclusion, Han emphasizes Ji as the base of Jigak that enables Jigak to realize morality while Kim emphasizes the role of Jigak as the principal agent of moral activity.

      • KCI등재

        한원진의 인심도심론 -‘형기’에 관한 논의를 중심으로-

        윤상수 한림대학교 태동고전연구소 2022 泰東古典硏究 Vol.48 No.-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Theory Of The Human Mind And The Moral Mind (人心道心論) in Han Wonjin(韓元震), especially focusing on the interpretation of Xingqi(形氣) in Preface to Commentary on the Doctrine of the Mean(中庸章句序). For this purpose, I arranged the writings of Han Wonjin on the The Human Mind And The Moral Mind in chronological order, divided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the contents, and then reviewed for the first group. First, I reviewed Han Wonjin's Treatise on The Human Mind And The Moral Mind(人心道心說) and discussed that the most characteristic feature of his theory is the interpretation of Xingqi. Next, I revealed that his interpretation of Xingqi was the succession and development of the teachings of his teacher, Kwon Sangha(權尙夏). Finally, I looked at how Han WonJin criticized the theory of The Theory Of The Human Mind And The Moral Mind of the scholars of the past, based on his theory, especially the interpretation of Xingqi. 이 글에서는 「중용장구서(中庸章句序)」의 ‘형기(形氣)’에 대한 해석에 초점을 맞추어 한원진(韓元震)의 인심도심론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한원진의 인심도심에 관한 저술을 시대순으로 정리하여 내용에 따라 세 개의 그룹으로 나누고 나서 첫 번째 그룹에 대해 검토하였다. 먼저 한원진의 「인심도심설(人心道心說)」을 검토하여 그의 인심도심론에서 가장 특징적인 점이 형기에 대한 해석임을 논하였다. 다음으로 그의 형기에 대한 해석이 스승인 권상하의 가르침을 계승 발전시켰다는 점을 밝혔다. 마지막으로 한원진이 자신의 인심도심론, 특히 ‘형기’에 대한 해석을 중심으로 어떻게 역대의 주자학자들을 비판하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 KCI등재

        한원진 성삼층설의 현대적 해석

        최해숙 ( Choi Hae-suk )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16 儒學硏究 Vol.36 No.-

        이 연구는 보편적인 인성론의 맥락에서 한원진(韓元震; 1682-1751)의 성삼층설(性三層說)을 철학적으로 고찰하고 그것의 현대적 의미를 조명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기존의 연구는 한국의 전통철학 내지는 유학으로서 분류되는 학술분류의 영역에서 한원진의 성삼층설을 테마로 삼는다. 그러나 유학은 일반적으로 현대적인 의미에서의 철학이라기보다는 전통철학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서 간주되기 때문에 한원진의 성삼층설 또한 이러한 맥락에서 철학사적으로 연구되고 있는 것이 대부분이다. 이러한 연구는 역사적이고 전통적인 맥락에서 그것을 이해할 수 있게 하지만, 이로써 이것을 현대적인 철학의 범주 안에서 이해하는 것을 방해한다. 이 연구는 이러한 일반적인 방식에서 벗어나 먼저 한원진의 성삼층설을 소개하고, 이를 기반으로 인성론을 철학적으로 고찰한다. 이것은 먼저 사람과 사물이 모두 같은 초형기(超形氣)의 성과 사람과 사물이 다른 인기질(因氣質)의 성이 존재 및 본질규정이면서 동시에 도덕의 원천이 된다는 것을 밝힌다. 그리고 나아가 사람과 사람이 다른 잡기질(雜氣質)의 성이 도덕실천의 대상이 된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로써 이 연구는 한원진의 철학이 성삼층설에 포괄적으로 집약되어 있다는 것을 체계적으로 밝히고 있으며, 또한 이것이 지금 여기에서 자기 본성을 묻는 인간에게 자기 자신을 돌아볼 수 있는 새로운 창이 되기를 희망한다. This paper aims to make a philosophical examination, in the context of the universal theory of human nature, of Han Wonjin(韓元震: 1682-1751)`s Theory of three-tiered nature(性三層說) and to interpret its meaning from the contemporary perspective. Most of existing studies deal with Han Won-jin`s doctrine of three-tiered nature based on the typical theory of human nature classified into Korean traditional philosophy or Confucianism. In general Confucianism is considered ethics rather than philosophy, and studies on Han Won-jin`s theory of human nature also discuss it in the historical context of Confucianism or traditional philosophy. Those studies only regard the theory as a bygone theory of human nature. In contrast to such conventional approaches, this study introduces Han Won-jin`s doctrine of three-tiered nature before it examines theories of human nature on the basis of it. Which reveals that the nature of Chohyonggi(超形氣) and the nature of Ingijil(因氣質) defines existence and essence and at the same time it becomes the origin of morality and the nature of Jabgijil(雜氣質) become the objects of moral practice. This study explains Han Won-jin`s philosophy is condensed into his doctrine of three-tiered nature and hopes the explanation will be a new window through which human beings questioning themselves about their own nature look at themselves.

      • KCI등재

        수암 권상하 문하의심성 논쟁과 호학의 형성

        김용헌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 2020 동아시아 문화연구 Vol.80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philosophical debates between the disciples of Kwon Sangha(權尙夏) in the early 18th century and to identify how mainstream thoughts of Kwon Sangha's School are formed in the process of the disputes. His many disciples, including Han Wonjin(韓元震) and Yi Gan(李柬), gave different opinions on the human mind and the nature of all things. At first the debates began as a free discussion among the disciples, but soon they each tried to be acknowledged by their teacher, Kwon Sangha, that his own theory was correct. As a result, the teacher opposed the opinions of Yi Gan and supported the views of Han Wonjin. Since then, most scholars in the Kwon Sangha school have followed Han Wonjin’s arguments at the will of the teacher. Regarding this rigid academic climate, Yi Gan complained that there should be a free discussion even between the teacher and the students. However, Han Wonjin’s argument, supported by the teacher, was widely recognized among Chungcheong local scholars. As a result, Hohak(湖學), which means the learning of Chungcheong area scholars, was established. Since then, Hohak has maintained its identity, arguing fiercely with Nakhak(洛學), which is the learning of Seoul and its surrounding areas. The two core theories of Hohak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potential of good and evil exists in the mind even when the mind is not working. Second, Since things do not have all five moral natures, the nature of things is different from the human nature. 이 논문은 호학(湖學)의 형성 과정을 추적하고 그 과정에서 있었던 이간 학설이 어떻게 배제되어갔는지를 검토하는 것이 주된 목적이다. 17세기 초반 호서 지역의 수암(遂菴) 권상하(權尙夏) 문하에서는 리기심성론의 세부적인 내용을 두고 논쟁이 시작되었다. 그 논쟁은 먼저 한원진과 최징후(崔徵厚)․한홍조(韓弘祚) 사이에서 시작되었으나 이간(李柬)이 한원진(韓元震)의 견해를 비판함으로써 논쟁의 구도가 한원진과 이간을 중심으로 재편되기 시작했고 논쟁의 쟁점도 점차 미발론과 인물성동이론 두 가지로 수렴되는 경향을 보였다. 이 논쟁 과정에서 변곡점이 된 것은 그들의 스승인 권상하의 개입이다. 권상하는 미발론과 인물성론 모두에서 한원진의 견해를 공개적으로 지지하는 한편 제자들에게 자신의 생각을 따르도록 적극적으로 권유하였다. 심지어 이간에게는 “한원진이 미발일 때 선악의 종자가 있다고 말한 것이 무슨 병통이 있기에 그처럼 꾸짖는가?”라고 하여, 그의 한원진 비판이 못마땅하다는 뜻을 분명히 하였다. 그 이후 호서 지역에서는 이간과 현상벽(玄尙璧) 등 일부를 제외하고 다수의 학자들이 인물성이론과 미발기질유선악론으로 기울어져 갔다. 이에 대해 이간은 “선생님의 말씀이 한 번 나오면 사방의 학자들이 그것을 확정된 이론으로 여긴다.”면서 경직된 학문 풍토를 비판했으나, 한원진의 견해가 수암 문하의 주류 학설, 즉 호학으로 자리 잡게 되는 대세를 막기에는 역부족이었다. 그 결과 18세기 초반을 넘어서면서 심성 논쟁의 전선이 자연스럽게 호서의 학자들과 낙하의 학자들 사이에 형성되는데, 이것이 이른바 호락논쟁이다.

      • KCI등재

        남당 한원진의 양명학 비판론 연구 - 심(心)과 리(理), 그리고 유학전통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

        배제성(裵帝晟) 한국양명학회 2021 陽明學 Vol.- No.62

        본 논문에서는 남당 한원진의 양명학 비판을 검토함으로써 주자학과 양명학 사이의 쟁점을 조명하였다. 퇴계 이황 이래로 조선 주자학자들의 양명학 비판은 대체로 주자학적 입장에 기초한 일방적인 비판에 가까우며, 한원진의 비판 역시 크게 다르지 않다는 것이 선행연구의 평가이다. 이는 주로 심즉리ㆍ치양지ㆍ지행합일에 대한 한원진의 비판에 초점을 맞춘 평가이다. 본 논문에서는 그가 제시한 다른 비판들을 중점적으로 다루었다. 그것은 주로 유학전통을 통해 계승된 지식의 가치와 성격을 이해하는 방식이 반영된 내용들이다. 이를 드러내기 위하여 심과 리의 관계를 이해하는 방식에서 나타나는 주자학과 양명학의 이론적 차이를 출발점으로 삼아서 도덕적 수양과 유학전통과의 관계라는 문제로 확장하여 논의를 전개하였다. 이를 통해 주자학과 양명학 사이의 중요한 관점 차이가 전승된 유학전통의 지식이 도덕수양에서 가지는 의미와 중요성을 이해하는 방식에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비록 주자학과 양명학의 차이에 대한 기존의 이해에서 크게 벗어나는 것은 아니지만, 기존 연구와 다른 각도에서 조선 주자학자의 양명학 비판의 의미를 발견하여 드러내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결론적으로, 한원진은 유학전통에 기반을 두어 공동체의 보편적 가치 기준을 수호해야 한다고 믿었고, 그러한 공동선의 추구라는 관점에서 사물에 대한 탐구의 중요성도 주장하고 있다. 그리고 그러한 필수적인 가치와 지식이 인간의 도덕성과 본래적으로 일치한다는 신념이 주자학의 심성론과 격물설에 반영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This study illuminates the issues between ZHU Xi 朱熹School of Neo-Confucianism and WANG Yangming 王陽明School of Neo-Confucianism by reviewing Han Wonjin’s criticism of WANG Yangming’s philosophy. According to prior studies, since YI Hwang criticized WANG Yangming’s philosophy, the criticism on Yangming’s philosophy by Joseon Neo-Confucianists mainly followed YI Hwang’s logic. In additoin, the prior studies evaluated that the logic was unfair because it already strongly presupposed ZHU Xi’s view. Some studies on Han Wonjin’s criticism of Yangming’s philosophy concluded that Han’s criticism was also one of the typical types of criticism of Neo-Confucianists in Joseon. These studies focused on Han Wonjin’s criticism of the claims such as “mind-heart is principle”, “to realize bright wisdom”, and “Knowledge and practice are united as one”. On the contrary, this study focuses on another aspects of his criticism. They are chiefly related to how to understand role and significance of accumulated moral knowledge in long Confucian tradition. Through this approach, this paper plans to show that an critical issue between ZHU xi’s philosophy and WANG Yangming’s philosophy is how to understand the importance of the moral knowledge in the process of moral cultivation. In conclusion, Han Wonjin believed that universal and objective standard of value in the community must be protected based on Confucian tradition and the knowledge. He also claims that knowledge gained through the investigation of things 格物is essential for the pursuit of common good. ZHU Xi’s theory of mind-heart and investigation of things reflects a belief that the such knowledge is inherently consistent with human moral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