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ACE사업 평가의 쟁점과 과제

        김병주 한국교육정치학회 2016 敎育政治學硏究 Vol.23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evaluation for ACE(Advancement in College Education) program in terms of politics of education based on the issues and tasks. In order to accomplish the purpose, after discussing background and present condition, essential structure, outcomes and evaluation system of ACE program, issues and tasks was discussed on goal and direction, subjects of evaluation, evaluation method and procedure, evaluation indicators and contents of ACE program, and additionally individual college and university. Importance and role of evaluation for ACE program is very heavy. Right evaluation indicators and procedure could present right direction for colleges and universities. Evaluation for ACE Program including evaluation method, evaluation indicators, annual evaluation and outcome management should be designed based on these issues and tasks. 이 논문은 1단계(2010~2013년)와 2단계(2014년~)의 ACE사업 선정 및 연차평가, 그리고 성과와 쟁점 등을 바탕으로 ACE사업 평가를 정치학적 관점에서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ACE사업의 배경과 현황, 주요 구조, 성과, 평가와 지표를 정리한 후, ACE사업의 평가에 초점을 맞추어 사업의 목표와 방향, 평가대상, 평가방식과 절차, 평가내용과 지표, 성과관리의 다섯가지 측면에서 쟁점을 정리하고, 추가로 개별대학 차원의 쟁점과 과제를 논의하였다. “사업의 목표 및 방향”에서는 사업의 공통성과 독자성, 독자모델과 가치 확산의 강조, 비교과 교육의 강조, 기초교양교육과 전공교육의 역학 변화의 네가지, “평가 방식과 절차”에서는 규모와 권역에 따른 유형 구분, 설립별 구분, 1단계 평가와 2단계 평가 구분 문제, 평가위원의 문제, 평가 일정의 다섯가지, “평가 대상의 쟁점과 과제”에서는 1주기 ACE 대학의 재진입 허용 여부, 신청대상대학의 범위, 선정대학의 규모의 3가지, “평가의 내용 및 지표”에서는 평가 지표 구성의 문제, 정량지표와 정성지표, 역량(현황)과 계획, 가중치 설정, 평가지표 및 척도의 구체화/세분화, 정책유도지표의 설정의 6가지, “성과관리”에서는 성과평가의 방향성, 연차평가, 중간평가, 성과지표 달성여부 점검의 4가지 측면에서 쟁점과 과제를 논의하였다. 그리고 개별대학 측면에서는 학교 개혁 수단으로서의 활용 문제, 구성원의 자부심/자긍심과 주변효과, 대학내 역동성 등으로 나누어 쟁점과 과제를 살펴 보았다. 어떤 평가이든 그것은 평가대상을 구속한다. ACE 사업평가도 어떻게 설정되느냐에 따라 우리 나라 대학교육의 기틀을 바꿀 수 있다. 그만큼 ACE사업 평가가 가지는 역할과 중요성은 매우 크다. 올바른 평가지표와 평가절차가 마련되어야 ACE에 참여하고자 하는 대학에 올바른 방향을 제시해 줄 수 있다. 이러한 부분을 충분히 감안하여 선정평가 방법, 선정평가 지표, 종합평가 지표, 계속지원대학의 연차평가, 성과 관리, 고등교육 정책과의 연계 등을 포함한 ACE 사업평가의 설계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SCOPUSKCI등재

        폐암 환자의 혈청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활성도의 변화

        정기호,최형석,유철규,이계영,김영환,한성구,심영수,김건열,한용철,Jeong, Ki-Ho,Choi, Hyung-Seok,Yoo, Chul-Gyu,Lee, Kye-Young,Kim, Young-Whan,Han, Sung-Koo,Shim, Young-Soo,Kim, Keun-Youl,Han, Yong-Chol 대한결핵및호흡기학회 1992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Vol.39 No.4

        연구배경 : Angiotensin-converting enzyme (ACE)은 인체의 여러 조직 또는 혈청내에 존재하는 glycoprotein peptidyldipeptide hydrolase로써 여러 종류의 peptides에서 dipeptides를 떼어내는 역할을 담당한다. 이러한 ACE는 주로는 혈관 내피 세포에서 형성되며 인체에서는 폐에 가장 많은 모세혈관들이 존재하므로 ACE가 혈중에 존재하는 기질과 작용하는 곳 또한 폐의 모세 혈관내이다. 임상적으로 ACE는 유육종증의 진단 및 경과 관찰에 이용되며 기타 급성 또는 만성 폐질환에서 혈청 ACE 활성도가 감소된다는 사실이 보고되고 있다. 그러나 한 시점에서의 혈청 ACE 활성도는 폐손상의 유무 및 그 정도를 잘 반영한다고 볼 수는 없으나 시간 간격을 두고 차례대로 측정한 값은 예후와 관련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이에 저자는 폐암환자를 대상으로 혈청내의 ACE 활성도를 측정하여 이들 환자에 있어서 향후 예후 예측의 지표로써의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 연구대상은 새로 진단된 폐암 환자로 하였고 대조군으로는 연구 대상군과 비슷한 연령군으로 하되 두군 모두에서 고혈압, 심장질환, 간질환, 신장 질환 그리고 폐암 이외의 기타 폐질환이 있는 사람은 제외시켰다. 연구대상군은 편평상피세포 폐암환자 19명, 선암폐암환자 13명, 소세포 폐암환자 9명 이었다. 결과 : 1) 편평상피세포 폐암환자의 혈청내 ACE 활성도는 $36.2{\pm}14.2$ U/L 이었고 선암 폐암환자는 $46.0{\pm}18.7$ U/L, 소세포 폐암환자는 $45.7{\pm}14.1$ U/L, 대조군은 $41.4{\pm}18.7$ U/L로 폐암환자의 ACE 활성도는 대조군과 차이가 없었으며 폐암의 세포형에 따라서도 차이가 없었고 폐암의 병기에 따라서도 ACE 활성도는 차이가 없었다. 2) 편평상피세포 폐암환자 4명과 선암 폐암환자 4명은 폐암의 치료로써 폐절제술을 받았으며 수술 전후 ACE 활성도는 편평세포 폐암환자가 수술전 $35.8{\pm}13.9$ U/L, 수술후 $12.5{\pm}3.9$ U/L로 의미있게 감소하였으며 선암 폐암환자에서는 각각 $47.1{\pm}5.9$ U/L, $15.0{\pm}3.9$ U/L로 수술후 의미있게 감소하였다. 3) 편평상피 세포 폐암환자중 3명과 선암 폐암환자 4명에 대하여 항암제를 투여받은 3개월에 걸쳐 측정한 ACE 활성도는 유의한 변화가 없었으며 임상적으로도 폐암의 호전은 없었다. 4) 소세포 폐암환자 9명은 3개월동안의 항암제 투여 중 임상적으로는 호전이 있었으나 혈청내 ACE 활성도는 의미있는 변화가 없었다. 결론 : 이상에서 폐정제술후 혈청내 ACE 활성도는 감소됨을 알 수 있었으나 폐암의 세포형, 병기, 임상적 호전과 혈청내 ACE 활성도는 연관이 없어 혈청 ACE 활성도는 폐암환자의 질병 경과 판정의 지표로써 부적합함을 알 수 있었다. Background: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is a glycoprotein peptidyldipeptide hydrolase which cleaves the c-terminal dipeptides of several oligopeptides. It is a menbrane-bound protein mainly synthesized by the endothelial cells. Since the lung has the largest capillary bed of any organ in the body, it is here that ACE acts on circulating substrates like angiotensin I and bradykinin. It is well known that ACE correlates with disease activity in sarcoidosis and also there are reports that changes in serum ACE activity are found in many acute and chronic lung diseases. So we planned this study to see if serum ACE activity can act as a prognostic factor in lung cancer. Methods: Forty-one newly diagnosed lung cancer patients were included in the study group. There were 19 patients with squamous cell lung cancer, 13 with adenocarcinoma, and 9 with small cell carcinoma. Patients were excluded from the study if they had high blood pressure, heart disease, liver disease, renal disease, or other lung disease. Serum ACE activity was analyzed according to cell type, staging, mode of treatment, and clinical response to treatment. Results: 1) There was no difference in serum ACE activity between lung cancer patients and the control group. Also no difference in serum ACE activity was found according to cancer cell type or staging. 2) In patients who underwent curative resection of lung cancer, serum ACE activity was decreased significantly after the operation. 3) In patients who were diagnosed as non-small cell lung cancer and were treated with 4 cycles of anti-cancer chemotherapy without clinical improvement, changes in serum ACE activity were not seen after the treatment. 4) In patients diagnosed as small cell lung cancer treated with 4 cycles of anti-cancer chemotherapy with clinical improvement, changes in serum ACE activity were also not observed. Conclusion: Serum ACE activity was decreased after lung resection but had no relation to cell type, staging, or clinical response to treatment in lung cancer patients. Therefore, serum ACE activity is not suitable in predicting clinical outcome of lung cancer patients.

      • KCI등재

        영상 합성을 위한 ACES의 이해와 Workflow

        이혜원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2023 만화애니메이션연구 Vol.- No.72

        현대사회에서 영상은 커뮤니케이션의 수단으로 활용되며 대중화되고 있다. 유튜브, 릴스, 틱톡의 사례처럼 누구나 영상으로 소통할 수 있는 환경이 제공되면서 전문 제작 기술도 일반화되고 있다. 여기서 쟁점은 대중화로 인한영상 품질의 하향평준화를 막고, 어떻게 고품질을 제작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가이다. 이를 위해서는 무엇보다 표준 제작 시스템이 필요한데, ACES는 영상 컬러의 품질을 높여주고 제작 프로세스의 상호호환성을 가능하게 한다는점에서 의미가 있다. 특히 현재 영상 제작 트랜드는 다양한 영상들의 합성이므로, 자연스러운 컬러 보정이 가능한 ACES 표준 시스템의 연구는 가치가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이런 ACES를 필요성을 살펴보고, 1인 미디어 제작에도 쉽게 사용할 수 있는 워크플로를 구성해 보고자 한다. ACES가 표현하는 색 영역은 이전 sRGB보다 다양한 밝기와 색상을 보여주기 때문에 훨씬 더 사실적이고 다채로운 이미지를 구현한다. 이를 적용하기위해서는 먼저, IDT 과정을 통해 모든 영상을 ACES 컬러 작업 환경으로 전환해야 한다. 전환 후에는 LMT와 RRT 과정을 이용한 컬러 그레이딩 작업이가능하므로 원하는 컬러 소스로 분위기를 변경해 합성, 보정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최종 디스플레이될 매체에 적합한 컬러 영역 값을 넣어 ODT하면 완성된다. 어떤 방식으로 제작되었든 위의 과정을 통해 표준화된 컬러 보정 시스템을 적용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고품질의 콘텐츠 제작과 보존이 가능하다. 이런 ACES를 활용해 1인 영상 제작을 한다면, 어떤 점들을 고려하고 준비해야 하는지 워크플로를 테스트해 보았다. 우선 실사 영상 촬영은 로그 촬영으로 색 영역을 보존하는 게 필요했고, 애프터이펙트에서 제공하는 IDT 과정을 통해 ACES 컬러 영역으로 변환시킬 수 있었다. CG 이미지는 언리얼에서제공하는 ACES 환경에서 제작해 컬러 손실 없이 애프터이펙트의 ACES 공간으로 불러와 RRT와 LMT의 컬러 보정 작업이 일관성 있게 진행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디스플레이 최종 단계에 맞춰 ODT 컬러값을 넣어주면 ACES 컬러 영역을 가진 영상이 완성된다. 결과적으로 ACES 고품질 영상은 누구나 손쉽게 작업할 수 있을 정도로 영상 제작 시스템에 적용되어 있었고, 컬러 체계를 표준화하는 것만으로도 높은퀄리티의 영상을 제작할 수 있었다. 이렇게 구성된 ACES 설정과 워크플로는1인 미디어 제작이나 소규모 방송국 및 실습 교육 현장에서도 활용될 수 있다. Nowadays, videos are used for communication and becoming popular. Professional production technologies are also becoming common as an environment where anyone can communicate through video is provided, such as the cases of YouTube, Reels, and TikTok. The issue is how to prevent the downward leveling of video quality due to popularization and provide a high-quality production environment. In this situation, a standard production system is needed above all else. ACES is meaningful in that it improves the quality of image colors and enables interoperability in the production process. The trend of video production is a synthesis of various images, so the study of ACES standard color systems is valuable for color grading. This study will find the need for ACES and create a workflow that can be easily used for the personal media production. ACES shows a wider range of brightness and color than the previous sRGB, it enables the creation of much more realistic and vibrant images. The process of ACES is started by converting images produced in various ways to the ACES environment through the IDT process. Then going through color grading with LMT and RRT, and finally proceeding through the ODT according to the final display media. Regardless of how the video was produced, if it goes through the above process, it can be providing a significant advantage in color space for videos. We tests the workflow to identify points to consider and prepare for the video production using ACES. The entire workflow followed the IDT, ACES, RRT, LMT, and ODT recommended by the Academy of Motion Picture Arts and Sciences. Firstly, it was necessary to preserve the color gamut through log shooting for live-action shooting, which was then converted to the ACES color gamut through the IDT process provided by After Effects. CG images were produced in the ACES environment provided by Unreal and imported into the After Effects ACES working interface without any color loss, enabling consistent color correction with RRT and LMT. Finally, by inputting ODT color values according to the final display stage, an image with the ACES color gamut was completed. As a result, the video production programs with ACES allowing anyone to work easily and making high-quality video on the standard color system. ACES settings and workflows can be used in single person media production, small broadcasting studios and the field of Education.

      • KCI등재후보

        홍어의 항고혈압 활성물질

        임현수 한국생명과학회 2003 생명과학회지 Vol.13 No.5

        홍어를 발효하여 발효기간에 따른 항고혈압 효과를 조사하고 그에 따른 항고혈압성 물질을 분리하기 위해 GPC system을 사용하여 항고혈압 물질을 조 분리하였다. 항고혈압성 물질을 농축하기 위해 홍어 내장 및 가식부 열수 추출물을 대량 포집 하였다. 그리고 그에 따른 ACE 억제효과를 검색하였다. 즉, 홍어 가식 부의 ACE 저해 작용은 2% 첨가시 29%로, 다소 낮으나 상시 섭취될 수 있는 식품이란 측면에서 볼 때 그 유용성이 기대된다고 할 수 있으며 홍어 내장 열수 추출물의 ACE 저해 효과는 시료 2% 첨가의 경우 발효 0일째에 71.0%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발효가 진행되면서 ACE 저해 효과는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ACE 억제효과를 나타내는 성분을 추정하기 위하여 홍어 내장 열수 추출물의 일반성분과 원소분석을 실시한 결과 일반성분 중 순단백질이 58.7%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원소분석 결과 C, H, O, N의 성분비가 당류라기 보다는 peptide계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질소화합물의 분석결과 ACE를 억제하는 기능성 peptide의 성분인 Tyr, Phe, Val, His 등이 가식부 보다 많아서 ACE를 억제하는 peptide를 함유하리라 예상되었다. ACE억제 물질을 조 분리하기 위하여 Sephadex G-25 column chromatography에 의해 분자량별로 분획한 결과, 분획물 들의 ACE 저해 효과는 분획물 B(111-160)의 농도 0.2%에서 67.8%로 가장 높은 ACE저해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보아 홍어 내장 열수 추출물의 ACE 저해인자는 가열에 대하여 안정한 비교적 저분자의 peptide와 같은 물질이라고 추정할 수 있었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ACE inhibitory materials of Raja kenojei. Raja kenojei was sperated to fillet and viscera, and these were extracted with hot water. Antihypertensive activity was examined by mesearing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ACE inhibitory activity. ACE inhibitory activity of viscera at the concentration of 2% for Day 0 showed the highest value by 71.0%. But ACE inhibitory activity of fillet at 2% showed by 29%, which was lower antihypertensive activity than viscera. The protein content of viscerial hot water extracts in proximate composition showed the highest. And also, there was a large amount of aromatic and branched aliphatic amino acids in viscera than those in fillet. For the purification of antihypertensive material in visceral hot water extracts, it was separated and collected by Sephadex G-25 gel chromatography. The fraction (B) of 111 to 160 showed the highest ACE inhibitory activity by 65.1% at the concentration of 0.05%. But the other fractions (A and C) showed lower activity than B.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crude hot water extracts of viscera from Raj kenojei may be useful as functional food ingredient with antihypertensive property.

      • KCI등재

        아동의 ACE 및 IGF-1 유전자의 복합적 다형성에 따른 체력, 대사증후군 위험인자 및 12주 복합운동효과의 비교

        김기진 ( Ki Jin Kim ),안나영 ( Na Young Ahn ),홍창배 ( Chang Bae Hong ),고진호 ( Jin Ho Go ),김상현 ( Sang Hyun Kim ),김재훈 ( Jae Hoon Kim ),변자영 ( Ja Young Byun ),주영식 ( Young Sik Ju ) 한국운동생리학회(구-한국운동과학회) 2012 운동과학 Vol.21 No.1

        본 연구는 아동의 대사증후군 위험인자와 체력저하 의 효과적인 예방 및 처치방안을 제시하기 위하여 체력 및 대사증 후군관련 지표에 대한 IGF-1 및 ACE 유전자 다형성에 의한 유전적 영향과 함께 12주 유산소 및 근력운동을 병행한 복합운동의 효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대구광역시 소재 초등학생 4학년으로 주 3회 수업 시간을 활용한 복합 운동에 참여한 176명(남~109, 여=67)이다. 대상자의 IGF-I 및 ACE 유전자 다형성을 분석하였고, IGP-I 및 ACE의 유전자 다형성에 따라서 192/192-II. ID. DD 3그룹, 192/Non-II, ID, DD 3그룹 빛 Non-II. ID. DD 3그룹A로 총 9개 그룹으로 구성하였다. 체력 측정 항목은 배근력, 악력, 윗몸 일으키기, 좌전굴, 제제자리 멀리 뛰기, PEI이며. 혈중 지표는 블루코스 중성지방, 총콜레스페롤, HDL-C, LDL-C, AST, ALT, 인슐린 및 HOMA一IR을 분석하였다. ACE의 혈중 농도는 192/Non-DD그룹이 192/192-II. 192/Non-II 및 Non-ID그룹보다 유의하게(p<,05)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냐 IGF-I의 혈중 농도는 그룹 간에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ACE 및 IGF-I 유전자의 다형성에 따른 모든 체력 항목 및 운동효과는 그룹 간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192/192-DD그룹의 중성지방 192/Non-II 및 Non-ID그룹보다 유의하게(p<.05)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운동효과에서는 192/192-DD그룹의 중성지방이 192/192-II, 192/Non-II, -ID, -DD 및 Non-II그룹보다 유의하게(p<.05)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IGF-I과 ACE 유전자의 다형성에 따라서 체력수준과 그 운동효과는 현저한 차이가 없으나, IGF-I 및 ACE 유전자 다형성의 유전적 영향에 의해서 12주간 규칙적인 운동에 따른 중성지방 농도 및 인슐린 감수성의 개선정도는 차이를 나타낼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The pro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analyze physical fitness, metabolic syndrome risk factors and 12 week combined exercise intervention-mediated effects according to interaction between ACE and IGF-I gene polymorphism in children. We studied elementary school students (n=176) who were divided into 9 groups (192/192-II. ID. DD. 192/Non-II. ID. DD and Non-II. ID. DD) according to interaction between ACE and IGF-1 gene polymorphism. Subjects were measured the physical fitness. metabolic risk factors. Serum levels of IGF-I and ACE. ACE level in serum of 192/Non-DD group were significantly (p<.05) higher than 192/l92-II, 192/Non-I and Non-ID group. but IGF-I level in serum were not different among group. All physical fitness and exercise effects of physical fitness according to ACE and IGF-I gene polymorphism were not different among group. Triglyceride of 192/192-DD group were significantly (p<.05) higher than 192/192-II, 192/Non-II, -ID, -DO and Non-II group. In conclusion, we could not find the significant differences of physical fitness and 12 week exercise-mediated changes according to interaction between IGF-I and ACE gene polymorphism , but 12 week exercise-mediated changes of triglyceride concentration and insulin sensitivity showed a sign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interaction between IGF-I and ACE gene polymorphism.

      • Angiotensin 전환효소 유전자 다형성과 양극성 장애

        김경나,김종우,정주호,이기철,정홍경,임성빈 대한생물치료정신의학회 2003 생물치료정신의학 Vol.9 No.2

        연구목적 : 감정조절에 Renin-Angiotensin System이 관여하는 것으로 보고되어 왔다. 그 근거로 우울증의 새로운 약물치료로 주목받고 있는 Substance P의 대사에 angiotensin 전환효소(angiotensin-converting enzyme, ACE)가 관여한다는 것과 고혈압 환자에서 angiotensin 전환효소 억제제(ACE inhibitor)를 사용했을 때 다행감이나 우울감을 초래한다는 것 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ACE의 유전자 다형성을 분석하여 양극성장애와 ACE와의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양극성장애로 진단된 환자군 82명과 대조군 135명을 대상으로 16번째 intron의 다형성 부위를 가진 시발체 쌍(primer pair)을 사용하며 중합효소 연쇄반응(Polymerase Chain Reaction, PCR)을 시행하여 490bp 산물(I allele)과 190bp 산물(D allele)을 관찰함으로써 ACE 유전자의 유전자형(genotype)의 발현율과 대립유전자(allele)의 빈도를 비교 분석하였다. 결 과 : 양극성장애 환자군과 대조군 사이에서 유전자형의 발현율과 대립유전자적 빈도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 론 : 양극성장애 환자군과 ACE 유전자 다형성 사이에 유의한 관련성은 없었다. 이 결과는 ACE가 양극성 장애의 원인으로 주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시사하지 못했다. Objectives : A possible participation of the Renin-Angiotensin Systern(RAS) in regulating of the mood has been suggested by reports as follows : the angiotensrn converting enzyme(AGE1 is involved jn the metabolism of the neuropeptide substance P impficated with novel strategies for the pharmacotherapy of depression and the use of ACE inhibitors in hypertensive patients has been associated with euphoric or depressive stales.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analyze the role of the ACE gene I/D polymorphism for bipolar disorder. Methods : We examined the frequency of a polymorphism characterized by the insertion or deletion of a 287-bp Alu repeat sequence in intron 16 of the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gene(located on chromosome 37q233 in groups of patients with bipolar disorder(n=82) compared to healthy control subjects[n=135). ACE genotype was determined by size-analysis of polymerase chain reaction products. Results : The ACE ID polymorphism did not show any difference in allelic frequencies and genotypic distributions between bipolar disorder patients and control subjects. Conclusions : No significant association was found with bipolar disorder and the polymorphism of ACE gene. This finding does not support that ACE I/D polymorphism is a significant risk factor for bipolar disorder.

      • KCI등재

        인지장애 선별을 위한 K-ACE 표준화 연구: 신뢰도, 타당도, 규준치 개발

        석승한,신강현,전진수 대한신경과학회 2009 대한신경과학회지 Vol.27 No.4

        Background: Addenbrooke’s Cognitive Examination-Revised (ACE-R) is a brief but sensitive and specific test for screening cognitive impairment. The clinical need for brief, inexpensive, and sensitive cognitive screening tools is well acknowledged.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develop a Korean version of the ACE-R (K-ACE) and to obtain normative data for community-dwelling, apparently healthy adults. Methods: The ACE-R was translated and modified to produce the K-ACE. Some items that were considered less familiar to Koreans were replaced with “Korean-friendly” items. Back-translation was performed. The K-ACE was administered to 422 of 480 subjects who were recruited from stroke- and dementia-free adults living in Ansan-si, Gyeonggi-do, by systematic random sampling. The Korean version of the Short Blessed Test (SBT-K) was also completed by 85 of the subjects. We examined the internal consistency,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ACE. The influences of age, sex, and education level on K-ACE score were also evaluated. Results: The internal consistency of the K-ACE was high (Cronbach’s alpha=0.854), and the test–retest and interrater reliability were also very good (coefficient=0.929 and 0.984, respectively). The validity of the K-ACE was high through correlations between K-ACE and K-MMSE (r=0.939, p<0.01) and SBT-K (r=-0.871, p<0.01). Male, younger, and highly educated subjects had higher K-ACE scores on univariate analysis. Age and education level, but not sex,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score on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refore, normative data relative to age and education level were obtained. Conclusions: The K-ACE was found to be a brief, reliable, and valid screening test battery for cognitive dysfunction. We were able to determine the norms for the K-ACE for community-dwelling, middle-aged and elderly people. Background: Addenbrooke’s Cognitive Examination-Revised (ACE-R) is a brief but sensitive and specific test for screening cognitive impairment. The clinical need for brief, inexpensive, and sensitive cognitive screening tools is well acknowledged.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develop a Korean version of the ACE-R (K-ACE) and to obtain normative data for community-dwelling, apparently healthy adults. Methods: The ACE-R was translated and modified to produce the K-ACE. Some items that were considered less familiar to Koreans were replaced with “Korean-friendly” items. Back-translation was performed. The K-ACE was administered to 422 of 480 subjects who were recruited from stroke- and dementia-free adults living in Ansan-si, Gyeonggi-do, by systematic random sampling. The Korean version of the Short Blessed Test (SBT-K) was also completed by 85 of the subjects. We examined the internal consistency,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ACE. The influences of age, sex, and education level on K-ACE score were also evaluated. Results: The internal consistency of the K-ACE was high (Cronbach’s alpha=0.854), and the test–retest and interrater reliability were also very good (coefficient=0.929 and 0.984, respectively). The validity of the K-ACE was high through correlations between K-ACE and K-MMSE (r=0.939, p<0.01) and SBT-K (r=-0.871, p<0.01). Male, younger, and highly educated subjects had higher K-ACE scores on univariate analysis. Age and education level, but not sex,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score on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refore, normative data relative to age and education level were obtained. Conclusions: The K-ACE was found to be a brief, reliable, and valid screening test battery for cognitive dysfunction. We were able to determine the norms for the K-ACE for community-dwelling, middle-aged and elderly people.

      • SCOPUSKCI등재

        한국 여성 노인에서 α -Adducin, Angiotensinogen, ACE 유전자다형성 및 나트륨 섭취수준에 따른 혈압의 비교

        채선주,정자용,Chae, Sun-Ju,Chung, Ja-Yong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6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5 No.10

        본 연구에서는 60대 이상 한국 여성 노인을 대상으로 하여 체내 나트륨 대사에 밀접하게 관여하는 ADD1 Gly460Trp, AGT Met235Thr, ACE Ins/Del 유전자형의 분포를 살피고 각각의 유전자 다형성 혹은 유전자형의 조합과 수축기 및 이완기 혈압과의 관계, 그리고 식이 나트륨 섭취 수준이 유전자-혈압과의 관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파악하고자 수행 되었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본 연구에서 분석된 유전자형들의 분포는 1) ADD1 유전자-Gly/Gly:Gly/Trp:Trp/Trp=16.5:49.5:34.0, 2) AGT 유전자-Met/Met:Met/Thr:Thr/Thr=4.6:31.2:64.2, 3) ACE 유전자-Ins/Ins:Ins/Del:Del/Del=34:49.5:16.5이었다. AAD1 Gly460Trp, AGT Met235Thr, ACE Ins/Del 각각의 유전자형은 본 연구대상자들의 수축기 및 이완기 혈압을 유의하게 변화시키지 않았으나, ACE Del/Del형과 ADD1 Trp/Trp형을 동시에 보유하고 있는 경우 다른 유전자형을 가진 대상자들에 비해 수축기 혈압이 유의적으로 높았으며(p=0.01), ACE Del/Del형과 AGT Met allele을 동시 에 보유하고 있는 경우 다른 그룹들에 비해 높은 이완기 혈압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01).식이 나트륨 섭취량의 상대적인 수준에 따라 전체 대상자를 두 그룹으로 나누었을 때, 나트륨 섭취량이 낮은 그룹에서만 ADD1 Gly460Trp유전자형에 따른 평균 수축기 혈압의 차이가 관찰되었고(p=0.03), 나트륨 섭취량이 높은 그룹에서는 ADD1유전자형별 평균 수축기 및 이완기 혈압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는 한국 여성 노인에 있어 혈압의 증가에 ADD1, AGT 및 ACE유전자 다형성이 복합적으로 관여함을 제시한다. 또한, 이들 유전자 다형성에 대한 혈압의 표현형이 식이 나트륨 섭취 수준에 따라 변화함을 규명하였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앞으로 유전자-질병간의 연관성을 밝히기 위한 연구들에서 단일 유전자보다는 다양한 유전자들에 대한 분석이 복합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식이 요인 등 주요 환경 요인에 대한 분석이 반드시 함께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Gene polymorphisms that are associated with sodium homeostasis in the body, such as $\alpha-adducin$ (ADDI, Gly460Trp), angiotensinogen (AGT, Met235Thr), and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ACE, Ins/Del) may increase the risk for the development of hypertens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lucid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ingular and combined effects of ADD1, AGT, ACE genotypes, and blood pressure in elderly population. Moreover, we examined the interaction of sodium intake and polymorphisms of aforementioned genes and their effects on blood pressure. Among one hundred and nine female subjects, aged 60 and over (mean 75.9 yr), the major alleles for ADD1, AGT, and ACE polymorphisms in the studied population were Gly (66.1%), Thr (64.2%), Ins (83.5%), respectively. Analysis on the combined effects of genetic variation showed that subjects who were both ADD1 Trp/Trp and ACE Del/Del homozygotes had significantly higher systolic blood pressure (p=0.01). Similarly, ACE Del/Del homozygotes who had AGT Met allele had significantly higher diastolic blood pressure (p<0.001). However, in single-gene analyses, no association was found between any specific genotype and blood pressure. In subjects with low sodium intake, ADD1 Trp/Trp homozygotes had significantly higher systolic blood pressure than subjects who had ADD1 Gly allele (138 mmHg vs. 127 mmHg, p=0.03). There was no difference in blood pressure between ADD1 Trp/Trp and ADD1 Gly/Gly or Gly/Trp, in subjects with high sodium intake. In summary, this study shows that interactions between the ADD1, AGT and ACE genes influence systolic and diastolic blood pressure in elderly subjects, and dietary sodium intake can modulate the effects of ADD1 Gly460Trp polymorphisms on systolic blood pres sure.

      • KCI등재

        다차원 분석모형을 적용한 학부교육 선도대학 정책분석

        강미영(Kang Mi Young)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7 敎育問題硏究 Vol.30 No.1

        본 연구는 대학 재정지원정책과 관련된 제반 문제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다차원 분석모형을 적용하여 학부교육 선도대학 육성사업(이하 ACE사업)에 대한 정책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는 첫째, ACE사업은 대학의 책무성을 바탕으로 자율성과 효율성을 추구한 교육역량강화사업의 가치를 계승하며, 각 대학마다의 특성화된 모델과 발전계획을 통해 다양성과 효과성을 추구해왔고, 정책 성숙기인 현재 창의성 추구를 통한 고등교육 혁신을 추진 중이다. 둘째, ACE사업은 정부 재정지원 사업정책으로서 대학구조개혁 정책과정에서 대학 교육역량의 질적 수준을 제고하기 위한 정책 수단으로서 의미를 가지며, 학부교육 선도모델 창출의 목표가 핵심이라는 점에서 대학구조개혁과 연계되면서도 구분될 필요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셋째. ACE사업은 학부교육 선진화를 위한 효율적인 정책으로 평가되지만, 비선정대학들은 재정지원 사업이 심화시킨 교육 양극화의 그늘에서 다양한 어려움에 직면하며 진보된 성과확산을 요구하고 있다. 넷째, ACE사업은 재정실적 면에서 교육과정 및 교육환경개선에 집중 지원되어 대학 교육역량 강화의 성과를 정책 의도에 부합되게 달성하였고, 특히 비교과 교육의 전문성과 효율성이 강화된 것으로 분석된다. 향후 ACE사업의 과제는 첫째, ACE사업의 미래는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준비하는 의미가 포함되어야 하며, 고등교육의 역할과 기능을 보다 창의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교육방법과 교육환경 혁신에 초점이 맞추어져야 할 것이다. 둘째, ACE사업의 결실인 대학 비교과 교육과정에 대한 정부 행정 관료나 대학 구성원들의 인식 개선이 요구된다. 셋째, 향후에는 선택과 집중의 원칙을 유지하되 평등성의 가치도 보다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various problems related to university financial support policy, this study applied policy analysis of ACE project by applying multidimensional analysis model.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ACE project inherits the value of the educational capacity building project that pursues autonomy and efficiency based on the university s accountability. It has pursued diversity and effectiveness through specialized models and development plans for each university. Currently, we are pursuing innovation in higher education through pursuing creativity. Second, the ACE project has a meaning as a policy tool to raise the quality level of university education capacity in the university reform policy process as the government financial support project policy. It is necessary to distinguish them. Third, although the ACE program is evaluated as an effective policy for the advancement of undergraduate education, the non-selected universities are facing various difficulties in the shadow of the educational polarization that has deepened financial support projects and demand progressive achievement. Fourth, the ACE project has been focused on improving the curriculum and educational environment in terms of financial performance, so that the accomplishment of the university education capacity has been achieved in accordance with the policy intention. Especially, the expertise and efficiency of non-curriculum education are strengthened. The future of the ACE project should be as follows: First, the future of the ACE project should include preparation for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ra, focusing on education methods and educational environment innovation that can more creatively carry out roles and functions of higher education. Second,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perception of the government administrative bureaucrats and university members on the non-curriculum education that is fruitful of the ACE business. Third, in the future, the principle of selection and concentration should be maintained, but the value of equality should also be considered.

      • KCI등재

        국내 아동기 부정적 경험(ACE) 연구 동향

        김희영 사단법인 한국융합기술연구학회 2023 아시아태평양융합연구교류논문지 Vol.9 No.10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학술지에 발표된 아동기 부정적 경험(ACE)의 연구 동향을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국내 연구대상자의 ACE 관련 논문을 수집하고, 수집된 자료를 근거로 연구대상의 일반적 특성, ACE에 대한 용어, ACE에 대한 측정도구, ACE 관련 연구변인을 분석함으로써 현재 국내 ACE 연구의 특징과 경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자료수집은 체계적 문헌고찰 방법을 사용하였다. 국내 데이터베이스(DBpia, KCI, KISS, RISS)에서 “아동기 부정적 경험”,“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아동기 역경 경험” 그리고 영문“Adverse Childhood Experiences”를 2016년부터 2023년까지 발표된 국내 논문 중에서 검색하였다. 최종 26편의 연구논문을 분석한 결과, 국내 ACE 연구는 2018년 이후 꾸준히 증가하고 있었다. 연구대상은 성인(11편)과 청소년(9편)이 가장 많았고, 다수의 논문이 복지 관련 출판 분야(17편)학술지에 발표되었다. ACE의 국문 용어는 “아동기 부정적 경험”(8편)이 가장 많이 사용되었고, 측정도구는 전통적 ACE 범주를 묻는 ACE 척도(15편)가 주로 사용되었다. ACE 실태조사와 유형 관련 연구가 7편, 정신건강 관련 변인 14편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국내 ACE 연구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examins the research trends of adverse childhood experiences(ACE) published in Korean jornals. To this end, we collected domestic research on ACE and analyzed the general characterisics of research population, terminalolgy of ACE, and research variables realted to ACE based on the collected data to examine the characterisics and trend of current Korean ACE research. The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method was used to collect data. In domestic data (DBpia, KCI, KISS, RISS), we searched for the Korean keywords “childhood adverse experiences”, “childhood adverse life experiences”, “childhood hardship experiences” and the Enlish keyword“adverse childhood experiences” among domestic articles published from 2016 to 2023.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final 26 resarch articles, the number of ACE studies in Korea has steadily increased since 2018. Adults (11 studies) and adolescents (9 studies) were the most common study populations, with the majority of articles published in welfare-related academic journals (17 studies). The Korean terminology “adverse childhood experiences”(8 studies) was the most commonly used term for ACE, and the most frequently used measurement tools was the traditional ACE scale (15 studies). There were 7 studies related to ACE prevalence and types, and 14 studies related to mental health-related variable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suggest implications for ACE research in Ko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