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영어 학습부진 학생 현황과 부진학생 지도를 위한 교사 준비도 및 요구 조사 : 대구·경북 지역 초·중학교를 대상으로

        김신혜(Kim, Shinhye),구경연(Ku, Keong Ye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19

        초·중등 교육과정에서 영어 교육에 대한 중요성이 강조됨에도 불구하고 초등학교와 중학교에서 영어 학습부진 학생들이 늘어가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최근 온라인 수업이 진행되면서 영어 학습부진 학생들이 더욱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초등학교와 중학교에서의 일반 학습부진에 대한 연구는 많이 진행된 반면 영어 교과 학습부진에 대한 정의, 진단 기준, 지도방안은 제시되지 않고 있기에 영어 학습부진 문제에 대한 적극적인 대처가 부족한 상황이다. 영어 학습부진이 증가하고 있는 반면 이에 대한 연구가 미흡한 점을 고려하여, 본 연구에서는 영어 학습부진에 대한 초등학교와 중학교 교사의 인식, 영어 학습부진 학생 지도에 대한 교사 준비도와 교사 요구조사를 탐색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를 위해 대구·경북 지역 초등학교와 중학교에 근무 중인 여덟 명의 영어 교사와 인터뷰를 실시하고, 178명의 영어 교사들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영어에 대한 관심 부족이 영어 학습부진 학생들의 가장 큰 특징이었으며 영어 학습 동기 부여와 영어 학습부진에 대한 진단 및 학습 성취에 대한 평가 방법이 영어 학습부진 연수에 필요한 내용임을 알 수 있었다. 연구결과는 또한 영어 학습부진 학생 지도를 위해서는 교사들이 영어 학습부진의 개념을 이해하고, 학생들의 수준에 맞는 교육과정을 재구성하는 역량이 필요함을 보여주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영어 학습부진 학생을 위한 정책과 향후 연구를 위한 제안을 하였다. Despite the emphasis on the importance of English in the primary and secondary school curriculum, the number of English underachievers at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has increased. Considering the scarcity of research on English-specific underachievement, the present study aims to investigate English teachers notion of English-specific underachievement, their preparedness and needs in teaching underachieving students.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eight English teachers and a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to 178 English teachers at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teachers in Daegu and Geongbuk region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teachers tended to identify English underachievers through their personal observation rather than standardized diagnostic tests. They perceived that the lack of interests in English was the most characteristic feature of English underachievers and that how to motivate English underachievers, diagnose, and measure their achievement should be an important element of the teacher training program. The results suggested that a clearer understanding of English-specific underachievement and reconstructing the curriculum to meet individual students levels and needs should be more emphasized to help teachers deal with English underachievers. Suggestions were made for future research and institutional guidelines for English underachievers.

      • KCI등재후보

        초등학교 기초학습부진아 교육에 관한 사례연구

        안현정(Hyun-jung Ahn),홍창남(Chang-nam Hong) 한국지방교육경영학회 2012 지방교육경영 Vol.16 No.1

        본 연구는 기초학습부진아 교육의 운영 체제를 거시적인 관점에서 초등학교 교육 현장에서 어떻게 실천되고 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울산광역시에 소재한 맞춤초등학교 기초학습부진아 교육의 참여자들의 면담을 중심으로 한 사례 연구를 통하여 기초학습부진아 지도를 지원하기 위한 기초학습부진아교육 운영 체제와 참여자들의 직무수행방식에 대하여 분석하여 보았다. 맞춤초등학교에서 기초학습부진아 교육은 교육과학기술부의 지도 지침이 반영된 교육청의 계획에 의거하여 방과후학교부서 아래에 ‘기초학력책임제’라는 이름으로 계획되어 운영되고 있었다. 한 해의 기초학습부진아 교육의 행정적 일정은 교육청 지침과 동일하였다.기초학습부진아교육에 관한 업무는 상부 교육청의 행정 일정에 따라 학습부진아 현황보고와 재평가 실시와 교육청에서 배부된 교재활용안내와 한 달 1회 지도 강사의 급여 지급등이다. 지도 강사들은 학습부진아들의 개인적 특성으로 인한 생활지도에 어려움을 많이 느끼고 있었다. 이러한 결론을 토대로 추후 수행될 연구를 위해 몇 가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본 연구는 기초학습부진아교육을 위한 운영체제를 실증적 관점에서 참여자들의 면담을 통하여 유형화하였다. 이러한 연구의 대상을 단위학교 참여자들 뿐만 아니라 상부기관인 교육청의 관계자들도 함께 면담을 실시한다면 현장의 학습부진아 해소를 위한 운영 체제를 개선하는 데 충분한 의사소통이 이루어지리라 본다. 둘째, 학습부진격차 해소를 학교가 담당하여야 하는 교육의 본질적 목적을 찾고자 한다면 담임교사와 학습부진아 학부모와의 면담도 시도해 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k for solution in an educational operating system for slow-learners (called students who lack the basic academic abilities), in order to reduced the number of them in elementary school. In this study, the concept of slow-learning, the reasons why slow-learners exist, and the overview of current educational policy and its problems were examined, ultimately trying to provide the insight and self-examination about how to deal with slow-learners more effectively. Although many educational measures for slow-learners are taken on the national or education office level, they are not fully practiced or fundamentally applied to the very realistic class unit. Changes in approaches to them were analyzed on the basic of educational norms and validity, including the make-up of human resources, technical assistance, the recognition of slow-learners, communication channel, etc. The operating system changed superficially on the outside and conventional assistance without educational care can't address many current problems. As it is the case now, this study finds a way for the realistic and practical assistance for the benefit of slow-learners with no emphasis of administrative management and its ensuing merit system.

      • KCI등재

        초등사회과 학습부진아들의 사회과에 대한 인식전환의 유형적 특성 -5학년 1학기 공간영역을 사례로-

        이동민 ( Dong Min Lee )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010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Vol.18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사회과 교과학습부진아들의 사회과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이 긍정적으로 전환되는 과정을 심층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 이론적 틀을 마련하는데 있다. 연구는 초등사회과 5학년 1학기 공간영역을 중심으로 하였으며, 해당 학년에서 사회과 학습부진아들을 선정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그리고 질적연구의 한 방법인 근거이론을 적용하여 학습부진 관련 요인과 과정을 구체적으로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과 학습부진아들은 자료해석 및 조작, 공간구조 분석과 같이 사회과 공간학습을 하는데 요구되는 학습기능에 익숙치 못했으며, 단순암기와 같은 효과적이지 못한 학습방법에 의존하고 있었다. 둘째, 자료조작, 공간분석 등의 활동은 사회과 공간학습에 대한 인식 전환에 있어 결정적인 계기로 작용하였다. 부진아들은 자료조작을 통해 공간을 구조적으로 인식하고 접근할 수 있게 되었고, 공간구조의 분석에 토대한 효과적인 공간학습 방법에 눈뜨게 되었다. 이러한 변화가 지속되면서 그들은 점차적으로 학습부진을 극복해 나갈 수 있었다. 셋째, 사회과 학습에 대한 인식전환의 정도에는 개인차가 존재하였으며, 학습부진에 대한 문제의식이나 개선의지와 같은 맥락과 관련이 있었다. 결론적으로, 사회과 학습부진은 사회과 교과 및 영역에 적합한 학습방법에 대한 이해 부족에 기인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그리고 부진아들이 사회과적인 학습방법을 체득하고 실천하게 되면서 교과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을 긍정적으로 전환하게 되었다. 따라서 사회과 학습부진아 지도에 있어서는 부진아들이 효과적인 사회과적인 학습방법을 바르게 이해하고 형성할 수 있도록 지도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a theoretical frame that explains the process of perception change in elementary social studies underachievers. This study was based on the grounded theory which is a methodology of qualitative research, and focused on geography area.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ly, social studies underachivers were not expert in manipulating educational materials. Instead, they tended to study by means of meaningless memorizing. Such ineffective learning made them underachievers. Secondly, contextual and skillful manipulation of educational materials was the deciding factor of the perception change. As assimilating such ability continually, they gradually overcame their problem of underachievement. Thirdly, the degree of strength of the will to overcome underachiement was different from one another. And it is closely related to the perception change on social studies. In conclusion, it is judged that social studies underachievement results from lack of understanding effective learning methods. And assimilating powerful methods to learn social studies are the key to underachievers` perception change. For these reasons, a teacher must regard that making them apprehend effective social studies learning methods is the key to teaching underachievers successfully.

      • KCI등재

        중학교 과학학습 부진 유형별 맞춤형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효과

        이경희 ( Kyung Hee Lee ),한미정 ( Mi Jung Han ),김민정 ( Min Jeong Kim ),최병순 ( Byung Soon Choi ) 한국과학교육학회 2014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4 No.5

        이 연구의 목적은 과학 학습부진을 해소하기 위해 부진 원인에 따라 맞춤형 지도를 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적용하여 그 효과를 확인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과학 학습부진의 특성 및 원인을 분석하여 중학교 1학년 과학학습 부진아 22명을 과학 탐구능력 부족형, 과학 학습동기 부족형, 과학 학습전략 부족형의 세 가지 유형으로 나누고 실험 집단과 비교 집단으로 구분하였다. 두 집단에 적용한 프로그램은 동일 단원과 주제로 구성했으며, 비교집단에는 기본 개념과 활동 중심 프로그램, 실험집단에는 원인 유형별 프로그램을 주 1회, 60분씩 15주 동안 투입하였다. 투입이 끝난 후, 적용한 프로그램에 대한 인식검사, 과학탐구능력 검사, 학습동기 및 학습전략 검사, 학업성취도 평가를 하였으며, 이들 평가 결과와 함께 학생활동지, 연구 일지, 수업 전사내용, 학생 면담 등을 통해 프로그램 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실험 집단에 투입된 맞춤형 프로그램은 세 가지 부진 유형 집단별로 탐구능력, 학습동기, 학습전략이 각각 향상되어 부진 원인을 해소하였고, 더불어 학업성취도도 향상되었다. 과학 학습동기 부족형과 과학 학습전략 부족형은 다른 부진 원인도 함께 향상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실험집단에서 과학 학습부진 유형별 맞춤형 프로그램에 대해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로부터 과학 학습부진 원인에 따른 맞춤형 프로그램이 과학학습 부진아들의 부진원인 해소와 학업성취도 향상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develop the customized instructional programs by the causes of science underachievement and to identify the effectiveness of these programs. For these, we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underachievers and causes of science underachievement and classified 22 7th grade science underachievers into three different types such as lack of science process skill, lack of science learning motivation, and lack of science learning strategy. They then were divided into the experimental and comparative groups. Instructional programs treated for both groups covered the same topics and were conducted once a week for 60 minutes each time for 15 weeks. Eleven students in the comparative group were treated with an activity-centered science program that dealt with basic science concepts. Unlike science underachievers in the comparative group, those in the experimental group were given customized instructional program. After the treatment, students were administered several tests including a test on awareness of the program, science process skill test, science learning motivation and strategy test, and academic science achievement test. In addition to the results of those tests, worksheets, daily activity reports, and interviews were used to evaluate a customized instructional program that was applied to the experimental group.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se programs relieved science underachievers from the cause of poor achievement and accordingly help them achieve better performance in academics. In addition, both lack of learning motivation and lack of learning strategy types tended to relieve the other causes of science underachievement. Also,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high level of satisfaction with the customized instructional programs.

      • KCI등재

        아동기 학습·사회성 부진의 영향요인과 심리적 안전감에 관한 연구

        유지혜 한국미래교육학회 2023 미래교육연구 Vol.13 No.3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학습·사회성 부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여, 부모 관계에 따른 아동기 심리적 안전감의 중요성을 밝히기 위한 연구이다. I시 J구의 초등학교 학부모 대상 안전 인 식 조사에서 주관적 건강, 성격 특성, 대인 관계, 정서·행동 특성의 심리적 안전감과 학교폭력 피 해 및 부모 관계를 통해 학습·사회성 부진의 영향요인을 분석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t-검증과 ANOVA를 활용하여 일반적 특성에 따른 차이를. 다중회귀분석으로 학습·사회성 부진의 영향요인을, 교차분석과 로지스틱 회귀분석으로 학습·사회성 부진의 위험도를 분석하였다. 분석의 결과는 첫째, 여아의 과민·반항성이 높았고, 6학년 아동의 개방성이 낮게 나타났으며, 부모의 학력이 높을수록 주관적 건강과 학교폭력 피해 인식이 높고, 월 300만 원대의 소득수준에서 학습·사회성 부진이 높 다. 둘째, 학습·사회성 부진의 영향요인으로 긍정적 관계에서는 불안·우울과 학교폭력 피해 경험으 로, 부정적 관계에서는 집중력과 불안·우울로 나타났다. 셋째, 학습·사회성 부진 위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사회적 주도성, 불안·우울과 집중력 부진, 소득수준, 타인 이해, 공동체 의 식으로 나타나고 있다. 아동의 학습·사회성 부진은 불안·우울, 집중력 부진과 높은 상관성이 있고, 부정적 부모 관계에서 높은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아동의 학습·사회성 향상을 위해서는 긍정적 부 모 관계와 심리적 안전감의 확보가 중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factors affecting learning and social difficulties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o reveal the importance of childhood psychological safety according to parental relationships. In the safety perception survey of elementary school parents in Ward I, this study analyzed psychological safety in terms of subjective health, personality traits,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emotional and behavioral characteristics, and the influence of school violence victimization and parental relationship on learning and social difficultie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test and ANOVA to test for differences in general characteristic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analyze the influencing factors of learning and social difficulties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analyze the risk of learning and social difficultie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ed that, first, girls' irritability and rebelliousness were higher, 6th graders' openness was lower, parents' higher education was associated with higher subjective health and perceived victimization of school violence, and the income level of 3 million won per month was associated with higher risk of learning and social difficulties. Second, the influencing factors of poor learning and social skills were anxiety and depression and experience of bullying victimization in a positive relationship, and concentration and anxiety and depression in a negative relationship. Third, social initiative, anxiety and depression, poor concentration, income level, understanding of others, and sense of community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risk of poor learning and social skills. Poor learning and social skills in children are highly correlated with anxiety, depression, and difficulty concentrating, and are strongly influenced by negative parental relationships. Therefore, positive parental relationships and a sense of psychological safety are important for improving children's learning and social skills.

      • KCI등재

        학습부진 학생들의 학업 자아개념 결정요인 및 학습부진 지도수업의 조절효과 검증

        백병부,김정숙 한국교육사회학회 2009 교육사회학연구 Vol.19 No.1

        Using a representative data from Korean Education Longitudinal Study(KELS), this study attempts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academic self-concept of underachievers and other variables, along with testing the moderator effect of lesson plan for the underachievers. The major finding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academic self-concept of underachievers is significantly influenced by the parents' supporting activities and students' studying time. This implies that if parents support their children actively, even underachievers can have a positive academic self-concept. Second, the lesson plan for underachievers didn't show significant moderator effect in determining their academic self-concept. Nonetheless, we can confirm the lesson plan for underachievers can weaken the effect of family background on parents' supporting activities, and can also enhance the effect of parents' supporting activities on the academic self-concept.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lesson plan for underachievers should focus on the affective development and the formation of positive academic self-concept for underachievers. 본 연구는 한국교육종단연구(Korean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자료를 활용하여 학습부진 학생들의 학업 자아개념이 다른 변인들과 어떠한 구조적 관계를 갖고 있으며, 학습부진 지도수업은 학습부진 학생들의 학업 자아개념 결정과정에 어떠한 조절효과를 갖는지를 분석하였다. 주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부진 학생들의 학업 자아개념은 부모의 학습지원활동과 공부시간으로부터 유의한 영향을 받고 있었다. 이는 학습부진 학생일지라도 부모의 적극적인 학습지원 활동이 있을 경우, 긍정적인 학업 자아개념을 형성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학습부진 지도수업은 학업 자아개념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조절효과를 갖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가정배경이 학습지원활동에 대해 끼치는 영향력의 정도를 일정 정도 낮추어주고, 학습지원 활동이 학업 자아개념에 대해 갖는 영향력을 높이는 데 일정 정도의 기여를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향후 학습부진 지도수업은 학습부진 학생들의 정의적 발달 및 긍정적인 학업 자아개념의 형성에 초점을 두는 것이 필요하다.

      • KCI등재

        중학교 단계에서의 학습부진 결정 요인 분석

        백병부 한국교육개발원 2010 한국교육 Vol.37 No.4

        This study investigates the factors that influence underachievement in Korean middle schools with the data obtained from the Korea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KELS). The five major finding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parents’ low level of education and poverty independently influence their children’s underachievement. In particular, poverty mediates the influences of ‘household income’ and ‘parentless family’ variables upon underachievement. Second, parental involvement has an influence on their children’s underachievement independently from the family’s SES variable. Parental involvement is also found to have an indirect impact on preventing children’s underachievement by increasing the hours for both self-study and private tutoring, as well as by developing subject-efficacy and the conception of the self as learner. Third, this study found out the ways in which study time influences students’ underachievement. The analysis shows that private tutoring hours prevent underachievement better than self-study time, but also that self-study time has a greater affect than private tutoring hours on subject-efficacy and the conception of the self as learner, both of which have independent influences on underachievement. Fourth, as alluded to earlier, subject-efficacy and the conception of the self as learner have an influence on underachievement. Furthermore, it is found that teacher instruction that stimulates students’ intellectual challenges and invites their active participation in learning activities can increase subject-efficacy and self-concept as learner, which will in turn prevent underachievement. Fifth, on the school level, schools’ average SES and degrees of pressure for learning achievement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preventing underachievement. A school’s high SES is likely to lower the possibility of underachievement. These findings may present the policy implication that preventing underachievement requires diversifying student population, in particular based upon each school’s socio-economic background. 본 연구는 한국교육종단연구(KELS) 자료를 다층모형을 통해 분석하여 중학교 단계에서의 학습부진이 어떠한 요인들에 의해 야기되는지를 구명하였다. 분석 결과 다음과 같은 사항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첫째, 부모학력과 빈곤 여부가 학습부진 여부에 독립적인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었다. 특히 빈곤 여부는 학습부진에 대한 가구소득 및 결손가정 여부의 영향력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부모의 학업적 지원은 가정의 사회경제적 배경 변수들과 독립적으로 학습부진 여부에 영향력을 행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업적 지원은 자습 시간과 사교육 시간을 증가시키는 동시에 교과목 효능감과 학업자아개념 등을 제고하는 데 영향을 끼침으로써 학습부진 여부에 간접적인 영향을 끼치고 있음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학습시간이 학습부진 여부에 대해 끼치는 영향력의 양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분석 결과 자습 시간보다는 사교육 시간이 학습부진이 될 개연성을 낮추는 데 더 큰 기여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학습부진 여부에 독립적인 영향력을 행사하는 교과목 효능감과 학업자아개념이 자습 시간보다는 사교육 시간에 의해 더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나 궁극적으로는 자습 시간도 사교육 시간 못지않게 학습부진을 예방하는 데 기여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넷째, 교과목 효능감이나 학업자아개념이 학습부진 여부에 영향을 끼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나아가 본 연구에서는 교사가 학생들에게 지적인 도전감을 자극하고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는 수업 활동을 제공하게 되면 해당 교과목에 대한 효능감과 학업자아개념이 높아지며, 이것이 결국은 학습부진의 예방으로 이어지게 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섯째, 학교 수준에서는 평균 SES와 성취압력이 학습부진 여부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었다. 이 중에서 평균 SES가 높은 학교에 재학 중일수록 학습부진에 해당할 개연성이 낮게 나타난다는 것은 소득 재분배 정책이나 재학생들의 인적 구성을 다양화하기 위한 노력 등과 같이 학교의 평균 SES를 제고하려는 노력이 병행되어야만 학습부진 예방 대책이 실효를 거둘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 KCI등재

        학습부진학생 지원 체제에 대한 경기 지역 초등교사들의 의견

        이대식,임건순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9 교육문화연구 Vol.25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elementary school teachers' opinions on an appropriate support system for students with low achievement. For this purpose, questions on how to support low achieving students, how to assign and train designated supporting teachers, and opinions on the proposed law for guaranteeing minimum academic achievement were sent to 789 Gyeonggi provin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ings. First, teachers preferred to designating and assigning supporting teachers to each school to help students with low achievement during regular class, after school, and on a weekend. Second, as candidates for designated supporting teachers, in-service teachers were preferred to other personals. However, the teachers themselves did not want that position because of the amount and severity of workload. Third, the teachers hopped at least one designated support teacher per school. Fourth, the teachers wanted a training method composed of providing lectures, applying what they were taught, and receiving feedbacks on what the have done during the previous week. Fifth, the teachers preferred to changing the current term of students with low achievement with students who need academic learning supports. They also wanted to change the selection criterion of low achievement. Sixth, many teachers opposed to the proposed law for guaranteeing minimum academic achievement because of the possible increasement of workload. In addition, majority of the participated teachers agreed to excluding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from the target group of the proposed law. Based on these results, some suggestions were provided. 이 연구의 목적은 학교 현장에서 학습부진학생들을 어떻게 지원하는 것이 가장 적절할지에 관해 경기도 지역 초등교사들의 의견을 수집하여 분석하고 이에 기반하여 정책적 대안을 제시하는 데 있다. 구체적으로, 학교 현장에 적합한 학습부진 지원 방안, 학습부진 지원 담당 교사 배치 방안, 학습부진 관련 용어, 기초학력보장제도 도입의 적절성 등에 대해 경기도 지역 초등교사 789명의 의견을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학습부진 지원 형태로는 방과 후, 주말, 혹은 정규 수업 이외의 시간에 학부모 동의를 받아 보조교사 혹은 학습부진 지원 전담교사가 보충 지도하는 것을 가장 선호하였다. 둘째, 학습부진 지원 전담교사로는 현직 교사 배치를 가장 선호하였지만 정작 전담교사를 지원하려는 의사는 업무의 양과 강도를 이유로 높지 않다. 셋째, 적정 전담교사 수는 학습부진학생 수를 고려하여 결정해야 하지만, 학년당 1명을 많이 선호하였다. 넷째, 학습부진 지도 전문성 향상을 위한 연수로는 집합 연수 후 현장 적용과 그에 대한 피드백을 묶은 형태를 가장 선호하였고, 희망 연수 영역으로는 학습자의 정서.행동 특성 이해에 대한 요구가 가장 높았다. 다섯째, 학습부진 용어로는 학습지원 대상자를 가장 선호하였고, 학습부진 선별 기준으로는 각 학년별로 정한 읽기, 쓰기, 셈하기 최소 기준이 가장 많이 선호되었다. 여섯째, 기초학력 보장 제도에 대해서는 충분한 지원을 조건으로 찬성한다는 의견이 가장 많았지만, 그냥 찬성한다는 응답자는 전체의 20% 정도로 낮은 편이었다. 또한, 기초학력 보장제도 대상자에서 학습장애학생은 제외해야 한다는 의견이 압도적으로 많았다. 이상의 분석결과를 토대로 학교 현장에서 학습부진 학생 지도 실효성을 높이기 위한 방안들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학습부진 학생에 대한 교육봉사활동 경험이 예비교원의 학습부진 학생 지도에 주는 의미

        이준,이윤옥 한국교원교육학회 2019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6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at are the difficulties and meanings that prospective teachers face during service learning activities for underachievers. Participants in the study were 22 preliminary professors who attended the H graduate school in Seoul and agreed to study. The research data were collected from pre-service teachers who taught low achieving secondary students. The pre-service teachers participated in more than 60 hours of service learning activities individually.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experiences of pre-service teachers' volunteer activities for underachievers have the following educational meanings - “efforts to establish relationships with underachievers”, “initiation to the path of teachers”, “Instruction based on the disposition and situation of students with learning difficulties”, and “the process of getting to know the lives of the students”. Second, the pre-service teachers grew in the beliefs and attitudes as teachers necessary for the guidance and understanding of underachiever students, and the practical skills and strategies necessary for them. Third, in teaching the underachievers, prospective teachers experienced "the slow pace of learning and the difficulty of interacting with teachers" and "the difficulty of carrying out teaching considering the instructional condition of the public school." 본 연구는 교원양성 교육과정의 정규 교과목 중 하나인 교육봉사활동이 예비교원의 학습부진 학생 지도에 주는 교육적 의미는 무엇이고, 학습부진 학생에 대한 교육봉사활동 경험은 예비교원의 학습부진 학생지도 전문성 함양에는 어떠한 의미가 있으며, 교육봉사활동 시 겪게 되는 어려움은 무엇인지를 그들의 경험을 통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참여자는 서울 소재 H교육대학원에 교육봉사활동 수업을 수강하고 있는 예비교원 중 연구 취지에 동의한 22명이다. 연구자료는 예비교원들이 학습부진의 문제를 안고 있는 중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60시간 이상의 교육봉사활동에 참여하면서 작성한 봉사활동일지와 학습부진 학생 지도에 관한 성찰에세이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교원들의 교육봉사활동 경험은 “학습부진 학생과의 관계 정립을 위한 노력”, “교사의 길로 입문하는 경험 ”, “학습부진 학생의 성향과 처한 상황을 고려한 안내”, “학습부진 학생의 생활을 마음으로 알아가는 과정”으로 학습부진 학생 지도의 교육적 의미를 가졌다. 둘째, 예비교원들은 학생지도에 필요한 전문성인 “학습부진 학생의 지도 및 이해에 필요한 교사로서의 신념과 태도가 정립”되었으며, “학습부진 학생 지도에 필요한 실제적 능력 및 전략” 관련 역량이 함양되었다. 셋째, 학습부진학생을 지도하는 과정에서 예비교원들은 “부진학생의 학습속도에 대한 이해 및 상호작용의 어려움”과 “학교현장에 대한 이해 및 실제성을 반영한 학습지도 수행의 어려움”을 경험하였다.

      • KCI등재

        학습 부진 한국어 학습자의 특성과학습 부진 원인에 대한 고찰

        김지혜 배달말학회 2014 배달말 Vol.54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help to devise plans for teachers andresearchers teaching Korean in the field to overcome the underachievementissues of students by discussing the characteristics of underachieving Koreanlearners and the causes of their underachievement based on interviews withKorean teachers and researcher's experiences with study coaching. It has beenreported that underachieving learners are generally characterized by a shortageof comprehension and expression, background knowledge, learning strategies,and vocabulary. A closer look at the issues of individual underachievers,however, will show that the causes of underachievement vary among them inspite of similar patterns of underachievement, which calls for instructionsfocused on the issues of individual learners to help them overcome theirunderachievement. Researches on underachievement still have a long way togo in Korean education. Considering the trend of gradually increasing numbersof Korean learners for academic purposes, it is required to conduct researcheson underachievers in a fast and meticulous way.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 교사들과의 면담 내용과 연구자의 학습 코칭 경험을 토대로 학습 부진을 겪는 한국어 학습자들의 특성과 학습 부진의 원인이 무엇인지 논의해 봄으로써 현장에서 한국어를 교수하는 교사들과 연구자들이 학습 부진 문제를 극복하는 방안을 마련하는 데 도움을 주는 것이다. 학습 부진을 겪고 있는 학습자들은 전반적으로 이해와 표현 능력 부족, 배경지식 부족, 학습 전략 부족, 어휘력 부족 등과 같은 특성을 보이는 것으로파악된다. 그러나 학습 부진을 겪고 있는 학습자 각각의 문제를 들여다보면 학습 부진의 양상은 비슷하나 학습 부진의 원인은 학습자마다 상이하기 때문에 학습 부진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개별 학습자의 문제에 초점을 맞춘 지도가 이루어져야 한다고 본다. 한국어 교육에서 학습 부진에 대한 연구는아직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학문 목적의 한국어 학습자 수가 점점 늘고있는 추세를 고려해 볼 때 학습 부진 학습자들에 대한 연구가 더욱 조속하고도 면밀하게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