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제강점 말기 경무국 도서과의 활동 방향과 검열의 흐름

        문한별 ( Moon¸ Han-byoul ) 우리어문학회 2022 우리어문연구 Vol.72 No.-

        1926년 4월에 신설된 조선총독부 경무국 산하 도서과는 일제강점기의 중심을 거치며 가장 강력하지만 숨겨져 있는 사상 통제의 기관이었다. 1926년부터 식민지 조선의 언론과 출판, 영화와 음반에 이르기까지 사상과 관련한 모든 것들은 도서과의 검열을 통해서만 조선인들에게 전달될 수 있었고, 그 역할은 일제강점기 중반부터 전시기까지 변함없이 지속되었다. 하지만 이 같은 조선총독부 경무국 산하 도서과의 역할은 제국과 식민지 상황의 변화에 따라 크게 변화양상을 보이는데, 본고에서는 경무국의 기관지인 『경무휘보』에 수록된 ‘도서과 통신’을 통하여 그 업무의 변화와 방향성의 전환에 대해 살펴보았다. 지금까지 도서과에 대한 연구는 제도와 조직에 대한 것과 도서과가 생산한 검열 문건에 집중된 바 있다. 그러나 1937년 이후 도서과가 1943년 정보과로 통합되어 사라질 때까지 구체적으로 어떤 역할을 담당하였는지에 대한 연구는 부족하였다. 본고는 이 시기 도서과의 활동을 확인하기 위하여 『경무휘보』의 ‘도서과통신’을 번역하였고, 이를 분석하여 그 역할과 흐름의 변화에 대하여 확인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기존의 검열과 행정처분을 담당하던 도서과의 역할은 언론과 출판을 검열을 통해 통제하는 것에서 더 나아가 사상 교육과 언론지도라는 목적으로 확대되었고, 편집과 서술 방향에 이르기까지 확대되고 있었음을 우선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일제강점기 중기부터 그 영향력이 증대되고 있었던 영화 매체에 대한 검열을 강화하였고, 중일전쟁 이후에는 검열과 통제를 넘어 선전 영화의 기획과 제작, 배급과 상영이라는 지점까지 나아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e book department affiliated to Joseon Government-General Police Bureau established in April 1926 was the most powerful but hidden institution of thought control throughout the Japanese colonial era. Since 1926, everything related to thought from the press and publication to movies and albums of colonial Joseon were only allowed to be delivered to Koreans through censorship by the book department, and the role remained unchanged from mid Japanese colonial era to the wartime period. However, the role of the book department under the police bureau of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shows significant changes according to changes in the empire and colonial situation, and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hanges of work and direction through the 'newsletter of book department' from 『Gyeongmuhwibo』, an organ of police bureau. Until now, researches on book department have focused on systems and organizations and the censorship documents produced by the book department. However, there were insufficient studies on the specific role of the book department until it was integrated into the information department in 1943. This study translated 'newsletter of book department' of 『Gyeongmuhwibo』 to identify the activities of the book department during this period, and intended to identify the changes in role and trend. As a result, it was identified that the role of the book department, which was in charge of censorship and administrative measure, expanded from controlling the media and publishing through censorship to the purpose of ideology education and media guidance, and it was expanding from editing to the direction of description. Also, it was identified that censorship of the movie media that has been gaining influence since the mid-Japanese colonial era was strengthened, and that it is advancing to the point of planning, production, distribution, and screening of propaganda films beyond censorship and control after the Sino-Japanese War.

      • KCI등재

        검열관의 일상과 업무로 본 강점 말기 사상 통제의 이면 -도서과 검열관의 기행문과 수필을 중심으로-

        문한별 고려대학교 한국언어문화학술확산연구소 2023 Journal of Korean Culture Vol.60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thoughts and viewpoints of the leading actors of ideological control in detail by examining the daily lives of the police officers of the Book Publishing Department affiliated with the Police Bureau, which was in charge of publishing and media censorship in colonial Josean at the end of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For this purpose, this study translated and analyzed travelogues and essays containing the daily lives of police officers in the book publishing department, which were recorded in <Gyeongmu Hwibo>, an organ paper of the Japanese colonial police. As is well known, the Book Publishing Department of the Police Bureau was established as an independent department in April 1926 and was in charge of censorship and administrative disposition of publications and media in colonial Joseon until it was integrated into the Information Department under the wartime system in 1943. They initially focused on media censorship, but after 1937 they began to transform into an imperial propaganda and media guidance agency. Their main tasks at the end of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can be summarized as 'Guidance and education on the direction of local publishing censorship' and 'Education of the ideology of media editors and journalists.' Police activities are described in detail. In particular, "Jeollanam-do Travel Diary" contains the daily life and work of the police officer of the Book Publishing Department, who went on a business trip to the Jeonnam region for censorship support, and remarks of the staff of the Book Publishing Department who went to the mainland of Japan to receive ideological strengthening education, which was recorded in the travelogue titled "Training to Tokyo," draw our attention.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 police officers of the Book Publishing Department at that time expressed their sense of duty in the wartime regime as the madness of defending the regime, but showed a double sense of rift in the conflicting situation of their assigned duties and daily life in the colony. 본 연구는 일제강점 말기 식민지 조선에서 출판과 언론 검열을 담당한 경무국 도서과 출판경찰들의 일상을 살펴봄으로써, 사상 통제의 주체들이 지닌 생각과 관점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일제강점기 조선경찰협회의 기관지인 『경무휘보』를 대상으로 하여, 도서과 출판경찰들의 일상이 담긴 기행문과 수필 등을 번역하여 분석하였다. 주지하다시피 경무국 도서과는 1926년 4월에 독립된 부서로 설치되어 1943년 전시체제 하에서 정보과로 통합되기 전까지 식민지 조선의 출판과 언론에 대한 검열과 행정처분을 담당하였다. 그들은 처음에는 매체 검열에 집중하다가 1937년 이후부터 본격적으로 제국의 선전 기관이자 언론 지도 기관으로 변모하기 시작했다. 강점 말기 이들의 주된 업무는 ‘지방 출판 검열 방향성 지도 및 교육’, ‘언론 편집자 및 기자들의 사상 교육’ 등으로 요약될 수 있는데, 『경무휘보』에 수록된 기행문과 수필에는 이 같은 도서과 출판경찰들의 활동이 세밀하게 서술되어있다. 특히 「전남여일기(全南旅日記)」에는 전남지방으로 검열 지원 업무 여행을 떠난 출판경찰의 일상과 업무가 담겨있고, 「동경의 눈(東京ゆき)」이라는 기행문에는 일본 본토로 사상 강화 교육을 받으러 간 도서과 직원의 소회가 실려 있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본고의 연구 결과 당시 도서과 출판경찰들은 전시체제기의 상황 속에서 업무의 사명감을 체제 옹호의 광기로 표출했지만 주어진 직무와 식민지 일상의 대립된 상황 속에서 이중적인 균열 의식을 보여주고 있었음이 확인되었다.

      • KCI등재

        『언문소년소녀독물의 내용과 분류(諺文少年少女讀物の內容と分類)』(1927.12-1928.08)를 통해 살펴본 아동출판물 검열 기준과 사례의 성격

        문한별(Moon, Han Byoul),조영렬(Cho Young Ryeol) 구보학회 2020 구보학보 Vol.0 No.25

        본 연구는 일제강점기 총독부 경무국 도서과에 의해 생산된 출판물 검열 자료인 『언문소년소녀독물의 내용과 분류』(1927.12-1928.08)를 대상으로 하여, 출판 검열 제도와 사례 사이의 상관관계를 고찰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이 자료는 조선총독부 경무국 산하에 도서과가 신설된 1926년 4월 이후 만들어진 아동출판물에 대한 삭제 내용을 담고 있는 것으로서, 전체 88종의 삭제 기사가 수록되어있다. 특히 88종의 자료를 정리하면서 이를 ‘민족주의적 독물(독서물)’, ‘사회주의적 독물’, ‘양자 모두 이용 가능한 독물’로 분류하고, 그 아래 10가지 항목을 두어 배치함으로써 검열된 사유를 구체적으로 확인 가능하게 하고 있다는 특징이 있다. 이 항목과 분류 수록된 삭제 기사들은 당시 도서과가 신설된 이후 출판물에 대한 사상 통제를 위해 체계화시키기 시작한 검열 표준을 보완하고 강화한다는 의미가 크다. 본 연구는 이를 기존 연구에서 확인한 검열 표준과 대비적으로 살펴봄으로써 도서과가 아동출판물에 대해 새롭게 만든 검열 기준들을 확인하고 그 의미를 추적하고자 하였다. 특히 이 과정을 위해 지금까지 완역된 바 없는 일본어로 작성된 이 자료를 번역하고 해제하여 각 사례의 의미를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publishing censorship system and cases with 『The contents and classification of Eonmunsonyeon- sonyeodokmul(1927.12-1928.08)』 as the subject, which was publication censorship materials produced by the police bureau,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rule. This document contains deletions of children’s publications created after April 1926, when the Books Department was founded under the police bureau of the Joseon Government General, which includes 88 deleted articles. In particular, while organizing 88 kinds of data, it was classified into ‘nationalist reading materials,’ ‘socialist reading materials,’ and’reading materials available to both parties’ and placed ten items below, enabling to confirm in detail the reason for censorship. These items and classified deleted articles have a great significance to complement and strengthen the censorship standards that have begun to be systemized to control the thought of the publications after the establishment of the library department at the tim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is with the censorship standards identified in the preceding studies to check the newly created censorship standards for children’s publications to trace their meaning. For this process, particularly, this material written in Japanese that has not been completed so far has been translated and released so that the meaning of each case can be confirmed in detail.

      • KCI등재

        중일전쟁 이후 일제의 출판 · 독서 통제

        이중연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 2005 한국문화연구 Vol.8 No.-

        이 글은 일제 파시즘체제기 조선의 출판 · 독서문화 이해의 우선 조건인 출판 · 독서 통제의 출현과정을 究明한다. 중일전쟁 후 조선총독부 경무국 도서과는 검열을 강화하면서도 검열 방침을 ‘소극적 금지’에서 ‘적극적 助長’으로 바꾸어 전쟁협력 도서를 많이 출판하도록 조선 출판계의 동원을 강제했다. 1938년 말부터 1939년 8월 사이에 도서과가 공표 · 기획 · 주도한 출판관련 제반 정책 · 행사, 곧 통제방침의 강화, 일제 전쟁문학서의 번역 · 보급, 일본군 위문사절, 문인 · 출판인 간담회 등을 통해 조선의 출판계는 전쟁동원을 위한 통제에 긴박되었다. 출판통제는 독서통제로 이어졌다. 독서의 자유는 공개적으로 부정되었고 금서조처 · 압수의 강화와 ‘焚書祭’를 통한 서적말살책, 나아가 전쟁동원 서적의 보급을 통해 독서인의 독서행위는 일제의 독서통제에 구속되었다. This paper investigates the appearance process of publication & reading control of the imperial Japan after the beginning of Sino-Japanese War(1937-1945). The book management section of the police administration bureau of the Government-General of Chosun[BPC: 朝鮮總督府 警務局 圖書課] planned the publication control and carried out it. That was not only censoring, determining and confiscating the banned books, but also forcing the Korean publishing circles to publish the book to cooperate with Japanese Imperialism. At the end of 1938, the BPC declared openly two plans. One is the publication control and the other the distribution of the Japanese book about war. In April of 1939, under the control of BPC, Korean publishers were forced to take part in the mission of Korean literary men to visit Japanese army[皇軍慰問 朝鮮文壇使節], and in Sept. had to publish the book to propagandize war. The BPC had an informal gathering for discussion of Korean literary men and publishers in July of 1939, and ordered them to mobilize Korean publication. Through the BPC's plan of publication control and carrying out it in the years of 1938-1939, Korean publishing circles had to come under the rule of imperial Japan. And the Government-General of Chosun deny the liberty of reading. The police administration bureau determined and confiscated many banned books, and in Aug. of 1939 executed the book burning event[焚書祭]. On the contrary, the books to propagandize war were became wide-spread. Eventually Korean readers were forced to read principally the books cooperating with Japanese Imperialism.

      • KCI등재

        일제하 출판 검열 자료 『불온소년소녀독물역문(不穩少年少女讀物譯文)』 (1927.11) 연구

        조영렬,문한별 현대문학이론학회 2019 現代文學理論硏究 Vol.0 No.77

        이 논문은 지금까지 한국 문학 연구에서 충분히 다루어지지 못했던 일제강점기 출판검열 문건인 『불온소년소녀독물역문(不穩少年少女讀物譯文)』(1927.11)을 번역하고 해제하여 조선총독부의 식민지 조선 출판물에 대한 사상 통제 양상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특히 이 자료는 조선총독부 경무국 산하에 도서과가 신설(1926.04)된 후 생산된 출판 검열문건으로 신문과 아동 잡지 등에 실린 글들을 검열하여 삭제, 출판 금지, 차압 등의 조치를 내린 근거가 되는 내용을 정리한 것이다. 또한 이 자료는 경무국 도서과에서 생산하여 각 지방법원 검사정에게 사상 취체와 통제에 활용하도록 지침과 참조를 목적으로 만들어진 것이어서, 자료를 바탕으로 한 일제강점기 중기 식민지 조선에 대한 사상 통제의 흐름과 방향을 확인할 수 있다. 본고는 이 같은 이유로 일본어로 기록된 이 자료를 번역하고해제하였고, 그 결과 24종의 출판물에 7편의 문학 작품과 이십여 편의 비문학 글들이 검열에 의해 행정 처분을 받았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뿐만 아니라 이 자료가 출판물에 대한 검열 내역을 1928년 9월부터 본격적이고 체계적으로 정리한 『조선출판경찰월보』 (1928.09-1938.12)의 탄생에 다각도로 영향을 끼쳤음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일제강점기 초기 교과서 검열을 통해서 본 사상 통제의 양상 - 대정 4년(1915년) 조선총독부 『교과용도서일람』을 중심으로 -

        문한별 ( Moon Han Byoul ) 한국어문학국제학술포럼 2019 Journal of Korean Culture Vol.44 No.-

        본고는 일제강점기 초기 제국 일본이 식민지 조선인들의 교육을 통제하기 위한 목적으로 정리한 자료인 조선총독부 발행 『교과용도서일람』(1915년)을 활용하여 교과서 검열의 양상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에 의한 출판물 검열이 체계화된 것은 일반적으로 1926년 4월 경무국 아래 도서과가 설치된 이후부터이다. 도서과의 설치 이후 체계화된 출판 검열 문건들이 생산되었기 때문인데, 이 자료들은 대부분 1920년대 후반 이후에 집중되어있어서 일제강점기 초기의 출판 검열의 양상을 살펴볼 충분한 자료가 부족한 상황이다. 1910년대 검열에 의한 행정 처분 기록이 일부 남아있는 것은 『조선총독부관보』가 유일한데, 여기에는 출판법에 의해 발매 금지 및 차압을 받은 도서의 목록들이 공시되었다. 그러나 이 같은 공시가 매번 관보에 수록된 것이 아니라는 점에서 누락된 출판물들의 구체적인 실체를 확인하기 어려웠다. 이 같은 상황에서 1915년에 조선총독부에서 간행된 『교과용도서일람』의 존재가 확인되었고, 여기에는 “검정무효 및 검정불허가 교과용 도서”, “불인가 교과용 도서”, “발매반포 금지 도서” 등의 항목에 상당수의 도서들이 수록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발매반포 금지 도서”는 총독부의 교과서 검정 과정에서 완전히 배제되어 특별 관리된 것으로 보이며, 여기에는 지금까지 『조선총독부관보』 등에도 고시되지 않아서 탄압의 실체를 확인할 수 없었던 1910년대를 전후로 발행된 다수의 단행본들이 수록 되어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고는 이 자료를 중심으로 일제강점기 초기 교과서 검열을 바탕으로 출판 검열의 새로운 양상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The article aimed to examine the aspect of censorship of textbooks by using Curriculum Books List published by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which was organized by the Japanese Empire in the early Japanese colonial era for the purpose of controlling the education of colonial Koreans. The censorship of publications by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was generally systematized since the establishment of Book Department under the Police Bureau in April 1926. This is because the systematic publishing censorship documents have been produced since the establishment of the Book Department. Most of these materials had been made since the late 1920s, so there is not enough data to examine the aspects of early censorship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The only remaining administrative disposition records by the censorship in 1910s was the Official Gazette of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which listed the books prohibited and seized by the Publication Act. However, it was difficult to confirm the specific reality of the omitted publications in that such public announcements were not included in the official gazette every time. In this situation, the existence of the Curriculum Books List published by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in 1915 was confirmed, and it was found that many books were included in items such as "Curriculum Books of which Authorization is invalid and disapproved", "Unauthorized Curriculum Books", "Books of which sale and distribution is prohibited". In particular, the "Books of which sale and distribution is prohibited" seemed to have been completely excluded from the Textbook Authorization process of the Governor General and had been managed by special management.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re were many books fell under the purview of this category among the books published around the 1910s, even though the substance of oppression could not be confirmed so far because their lists were not even notified in the Official Gazette of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Based on this data, this article tried to examine the new aspect of publication censorship based on the censorship of early textbooks censorship of Japanese Colonial Era.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일제강점기 도서과의 소설 검열과 작가들의 대응 방식 -출판 검열 체계화기(1926-1938) 검열 자료를 중심으로

        문한별(Moon, Han-Byoul) 한국현대소설학회 2020 현대소설연구 Vol.- No.79

        This paper materially investigated how the censorship on the literatures, especially for novels was made and changed during systemization period (1926-1938) of publication censorship in the Japanese colonial era, what was the purpose of such censorship based on the statistics and cases. As is well known, the censorship of novels published in the colonial Joseon began in earnest in April 1926, when the Department of Library was established under the National Police Agency of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In this paper, the contents of censorship of novels were extracted from censorship documents produced by the Department of Library, and the focus was given on what aspects were and what characteristics were revealed statistically. In particular, the censorship documents functioned as a standard for inspecting publications that should be censored in the future, beyond the ability to arrange administrative disposition after censorship. As a result of examination on this process, it was confirmed that even though Joseons publication market was rapidly shrinking, the censorship of novels did not diminish, but rather strengthened as time passes. In particular, in the process of censorship standards being released and confirmed, literary works such as novels were described and presented in a figurative and satirical way, so there was a need to supplement the censorship standards, and the reasons for censorship had to be recorded in more detail. The increase in administrative-disposed novels was not only because censorship intensified toward the end of the Japanese occupation period, but also the attitude of writers who bypassed censorship or responded to censorship was actively reflected in the work, and this was arranged in the censorship process.

      • KCI등재

        식민지 검열장의 형성과 그 안의 밖 -『조선출판경찰월보(朝鮮出版警察月報)』에 있어 지나(支那)라는 메타범주

        류진희 ( Jin Hee Ryu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10 大東文化硏究 Vol.72 No.-

        이 글은 『조선출판경찰월보』(1928~1938)에 왜 ``지나``가 메타범주로 두어졌는지에 관한 것이다. 『월보』에서 차압된 해외이수입물의 대다수는 언어가 중국어인, 혹은 발행지가 중국인 출판물들이었다. 또한 참고할 내용으로 제시된 자료는 대개 중국에 대한 이해를 위한 것이었다. 게다가 1931년 만주사변과 1937년 중일전쟁 발발을 기점으로 대량 생성된 ``지나`` 관련 범주들은, 『월보』의 전체 분량과 내용에 영향을 미쳤다. 이 글은 검열의 안정기에 방대한 분량으로 발간된 조선총독부 도서과의 비밀기록 『월보』를 중국이라는 존재를 통해 보고자 한다. 여기에 확장일로에 들어선 일본 제국주의가 기실 그 자신의 상이한 법역으로 인해 곤란을 겪는 상황이 드러난다. 이 글은 이것이 바로 ``검열이 없다(고 생각한다)면 오히려 희망이 없다``던 식민지의 현실이지 않았을까 생각했다. 그리고 이를 제국의 권력 안에 있으되 밖을 꿈꾸었을 식민지인의 역능을 살펴볼 계기로 삼고자 했다. 요컨대 조선의 식민권력은 만주국 건설을 위시한 일본 제국주의의 보다 큰 기획 속에서 조선을 이해하고자 하면서, 동시에 식민지 조선인에게는 철저히 그로부터 ``무지``할 것을 강요했다는 것이다. 이 글은 『월보』의 중국이수입물의 존재에서 엿볼 수 있듯, 그러한 일 국가를 넘어서는 정치적 수행이 역으로 식민지인들에 자신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었을 가능성을 살피고자 했다. This article is about why ``Shina`` puts the metacategory in The Publication Police Monthly of Korea(1928~1938). Most of attached overseas` imported texts in The Publication Police Monthly of Korea are written by Chinese and the origin place is from China. Moreover, most of contents for reference are for understanding of China. In addition, The Publication Police Monthly of Korea was produced the category regarding ``Shina`` started from Manchurian Incident in 1931 and Second Sino-Japanese War in 1937. Thus, whole volume and composition of The Publication Police Monthly of Korea had been totally changed. It suggests that this article can be found secret record of The Publication Police Monthly of Korea which was published huge volume of from the Book Department of the Police Bureau under the Government-General of Korea through China in the plateau period of censorship. In this part, imperialism of Japan was experienced the trouble of different territorial outside from Japan for its extension of area to other states. Hence, this article insisted the power of colonists placed in the inside of imperialism`s power. That is, it shows that if there is no censorship, then there is no hope which is the reality of colony. Namely speaking, a power of colonization forced Chosun people(Korean) to be ignorant and simultaneously understood Chosun within the plan designed by imperialism of Japanese commencing the construction of Dynasty Manchu. As forcing those things are contradictory to Asianism such as Nae-sun-il-chae which means Chosun and Japan are one country, and Ideal of Manchu such as O-jok-hyup-hwa which means five states are dreamed about peace as cooperating each other. Those political performances over a boundary of state can be on the lookout for The Publication Police Monthly of Korea in imported texts from China and can be presumed that colonists draw a picture themselves or tended to draw the possibility of that.

      • KCI등재

        1920년대 중반 조선총독부의 검열문건 연구 ― 『이수입 불온인쇄물기사개요』를 중심으로

        우시지마 요시미,문한별 중앙어문학회 2017 語文論集 Vol.72 No.-

        This article clarifies the meaning of the document "Summary of Imported Disquisition Publication Articles" of the Gyeongseong District Court. Drafted by the police bureau library, this document relates to the disquisition publication brought to Joseon from Japan, China, Manchu, the United States, and Russia. It specifically targets the censorship documents from September 1926 to September 1927, which look at the dismantlement and integration of disquisition organizations and their theories. This was a joint activity of the left and right political wings led by Singanhoe, and a reorganization of the groups that led the independence movement took place at that time. This was seemingly because even the left was undergoing a period of "redirection." In addition, these documents closely examine the cooperative relations with international organizations such as the International Communist Party and the terrorist activities of anarchic organizations. More importantly, they are the oldest documents found in the contents of the censorship documents as currently confirmed. This suggests the possibility of further exploration of the existence of publishing censorship documents at similar or earlier times. 이 글은 경성지방법원검사국의 문건인 『이수입불온인쇄물기사개요』를 해제 하고 그 의미를 확인한 것이다. 이 문건은 일본을 비롯하여 중국· 만주· 미국· 러시아로부터 조선으로 유입된 불온인쇄물에 관한 것이며, 작성자는 경무국 도서과다. 그 내용을 살펴보면 1926년 9월부터 1927년 9월까지 검열된 문서를 대상으로 하고 있으며, 각 불온단체 간의 해체· 통합과 그들이 주장하는 이론 을 주시하고 있다. 이것은 당시 신간회에 의한 좌우합작활동으로 독립운동 단체 간의 개편이 이루어졌고, 또 좌파 내에서도 ‘방향전환’의 시기에 있었기 때 문으로 보인다. 그밖에 이 문건은 국제공산당 등 해외 단체와의 협력관계, 무정 부단체의 테러행위 등에 대해서도 주시하고 있다. 무엇보다 주목해야 하는 것 은 이 문건은 현재 확인되는 출판 검열의 내용을 알 수 있는 문건 중 가장 이른 시기의 자료에 해당되며, 이는 향후 유사한 시기나 혹은 보다 앞선 시기의 출판 검열 문서의 존재가 추가 발굴될 가능성을 보여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