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930년대 한흑구 문학 연구 -미국 유학체험과 ‘근대농민’ 인식을 중심으로-

        전영주 우리어문학회 2023 우리어문연구 Vol.75 No.-

        한흑구는 1928년부터 1934년까지 6년간 미국에서 유학생 신분으로 영미문학과 신문학을 전공했다. 이후 고향인 평양으로 돌아와 『대평양(大平壤)』, 『백광(白光)』 등의 잡지발간에 참여했으며, 농민잡지인 『농민생활(農民生活)』 등에 시와 소설을 게재하면서 근대농민에 대한 인식을 드러낸 바 있다. 본고는 이 가운데에 특히 기독교계 농민잡지인 『농민생활』에 게재된 한흑구의 시 「허믜(鍬)」, 「춘일정사(春日靜思)」, 연재소설 「사형제(四兄弟)」를 분석하여 1930년대 한흑구 문학에서 엿볼 수 있는 ‘근대농민’ 인식을 고찰하고자 했다. 한흑구는 1930년대에 ‘근대농민’에 대한 인식과 아울러 ‘농촌계몽운동’에도 적극적으로 관심을 두었던 사실을 엿볼 수 있으며, 미국 유학체험을 바탕으로 영시(英詩)번역에도 관여하여 세계문학 속의 조선문학의 변화를 꾀하고 있었던 것이다. 요컨대, 1930년대 한흑구의 시와 소설에 등장하는 ‘근대농민’은 넓게는 고학생(苦學生), 이주노동자, 농민(農民) 등으로 확대되면서 식민지시기 약소국 이민자를 경험한 자신(自身)이 ‘조선’으로 돌아와 ‘조선농민’에 대해 각성하면서 유학 시기 겪었던 서구문명, 자유, 개척정신, 청교도적인 기독교 정신을 통해 깨우친 근대농촌계몽운동과도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한흑구의 1930년대 문학은 근대농민의 탄생을 근대화의 중요한 본질로 인식했음을 확인할 수 있으며, 미국청년과 대비되는 조선의 농촌노동자를 ‘근대농민’으로 개조하려 한 그의 의지가 문학작품을 통해서 표출되고 있음을 살펴볼 수 있다.

      • KCI등재

        중국 신세대 농민공의 경계인으로서의 삶 — 관계지향적 개인화를 중심으로

        허설화 한국사회사학회 2022 사회와 역사 Vol.- No.135

        This study seeks to offer an alternative approach to understanding the lives of Chinese migrant workers. It deviates from existing research by employing a microscopic perspective and treating the new-generation migrant workers as individuals rather than as the by-product of institutional or structural situations. In this study, the marginal lives of the new generation of rural migrant workers are approached as a result of interlocking with the ‘relationship-oriented individualization’ of Chinese society. The individualization of rural migrant workers can be divided into two stages: the ‘detraditionalization period’ from the 1950s to the early 2000s and the ‘urbanization period’ from the early and mid-2000s to the present. Specifically, rural migrant workers from the 1950s to the 1970s initially lacked ‘individual’ subjectivity due to collective economic organization and family community. However, from the 1980s to the 1990s, rural migrant workers separated from collectivization and reached the ‘individualization’ of their life forms. It is noteworthy that although rural migrant workers entered the city as ‘individuals’, they were still closely connected with the traditional community network. This relationship network began to weaken as rural migrant workers entered the ‘urbanization period’ in the early and mid-2000s. During this time, rural migrant workers have been able to show their subjectivity as ‘individuals’ and pursue their own lives. On the other hand, under an imperfect system and social stability mechanism, they have also been exposed to various risks. In other words, the rural migrant workers’ awareness of subjectivity has strengthened, while their anxiety has risen. Therefore, individuals adopt the community orientation to secure stability through (re)construction of organic solidarity. There is always an essential tension between subjectivity and community-ness in the consciousness of the new generation of rural migrant workers, and interaction with each other runs throughout their lives. 이 연구는 신세대 농민공의 경계인으로서의 삶을 제도나 구조적 상황의 부산물로 바라보는 기존의 연구시각에서 벗어나, 신세대 농민공의 ‘개인’으로서의 삶을 규명할 수 있는 미시적 접근을 시도한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신세대 농민공의 경계인으로서의 삶을 중국사회의 ‘관계지향적 개인화’와 맞물려 낳은 결과로 바라본다. 중국 농민공의 개인화 실천은 1950년대부터 2000년대 초반까지의 ‘탈전통화 시기’와 2000년대 초·중반부터 현재까지의 ‘도시민화 시기’의 두 단계로 구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1950-70년대의 농민공은 집단경제조직과 가족공동체에 의해 ‘개인’으로서의 주체성이 결여되었다. 그러다 1980년대~90년대 개혁개방 정책의 실시와 사회주의 시장경제체제의 도입을 계기로 농민공은 탈집단화하여 삶의 형태의 ‘개인화’에 이르렀다. 여기서 주목할 점은 이 시기 농민공은 비록 ‘개인’ 형태로 도시에 진출했지만 관계적 네트워크 차원에서는 여전히 전통 농촌공동체와 긴밀한 상호의존관계를 나타낸다는 것이다. 이러한 관계적 네트워크는 2000년대 초·중반 ‘도시민화 시기’에 진입하면서 그 기능이 급격히 약화되기 시작하였다. 도시에서 농민공의 신분 지위와 취업 여건이 호전됨에 따라, 농민공은 전통 가치와 관계적 네트워크에서 점차 분리되어 나와 ‘개인’으로서의 주체성을 발현하여 ‘자신의 삶(a life of one’s own)’을 추구하기에 이르렀다. 한편으로, ‘도시민화 시기’ 농민공은 짧은 기간 내에 압축적인 방식으로 도시의 근대화를 체감하고 제도적, 사회적 안전장치가 미비한 상태에서 다양한 생애위험에 노출되기도 하여 위험인식이 높다. 따라서 이 시기 농민공은 주체성 인식이 강화됨과 동시에 불안감도 증폭되고 개인은 유기적 연대의 (재)구축을 통해 안정감을 확보하려는 공동체 지향성을 발현한다. 신세대 농민공들 의식 속에 내재되어 있는 이러한 주체성과 공동체성 사이에는 필수적인 긴장이 항상 유지되고, 양자의 상호작용은 신세대 농민공의 삶 전반을 관통한다. 즉, 신세대 농민공의 경계인의 삶은 일견 비자발적, 비합리적인 무질서한 움직임으로 보이지만 이들 행위 배후에는 개인으로서의 주체성과 집단으로서의 공동체성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동시에 잡고자 하는 현실적인 삶의 가치관이 내포되어 있다.

      • KCI등재

        황토현전투의 전개와 역사적 의의

        조성운 한국민족운동사학회 2013 한국민족운동사연구 Vol.0 No.77

        Donghak Peasant Movement was originated from Gobu. I can be found from the course that Gobu Peasant Movement beginning on Jan. 10, 1994 from Sabal Tongmun Revolt Plan in Nov., 1893 expanded to the armed uprising and Baeksan Assembly. This position implies the view that Gobu Peasant Movement, armed uprising and Baeksan Assembly are understood as one. Hwangtohyeon Battle was one process of Dong Peasant Movement developed over Apr. 06 and 07, lunar calendar in 1894. This battle is the first serious battle in which peasant soldiers won the process of Dong Peasant Movement starting by Gobu Peasant uprising taking place by Jeon Bong Jun’s attach of Gubu public office on Jan. 10, 1894. As pointed out at existing studies, peasant soldiers laid a foundation to extend the force over Jeollado with the victory of this battle. After Hwangtohyeon Battle, the reason why Donghak Peasant Soldiers was able to conquer Jeollado was that government soldiers did not play its proper role since it defeated at Hwangtohyeon Battle. Thus, Hhwangtohyeon Battle tells us that it was a battle playing a crucial role in spreading the peasant movement as well as the awareness of the farmers made a revotionary change through this battle. In addition, in this battle, Donghak Peasant soldiers showed its attention and doctrine by its actual action, not documents like a manifesto. Since late Joseon Dynasty, it was a peasant class’ resistance to various tyranny and injustice, corruption as well as the invasion of foreign powers. Thus, it showed the nature of the peasant movement of anti-feudal and anti-foreign powers. And through this process, peasant class could grasp their class position and the surrounding situation of Korea at home and abroad through this movement. In particular, as Park Mun Gyu’s statement mentioned earlier, the eyes of the people against the government at the time was very critical as . In particular, Hwangtohyeon battle turned into a victory of Peasant soldiers, King Gojong requested Ching soldiers to mobilize to enhance the suppression of Donghak Peasant soldiers. The peasant movement became a chance to extend to as an issue in East Asia. As a result, the Sino-Japanese War became a chance for Japan to take control of the initiative in North-east Asia. As mentioned above, Hangtohyeon battle grew as a chance to spread the flow of social reform over Jellado to nationwide since Gobu Peasant Uprising. This showed that Jeon Bong Jun’s plan at Sabaltongmun was specifically practiced in preparation for Gobu Peasant Uprising. Thus Donghak Peasant Movement will be right to say it was from Gobu Peasant Uprising. 동학농민운동은 고부에서 기인하였다. 그것은 1893년 11월의 사발통문거사계획부터 1894년 1월 10일 시작된 고부농민봉기가 무장봉기와 백산대회로 확산되는 과정을 통해 알 수 있다. 이러한 입장에는 고부농민봉기와 무장봉기, 백산대회를 하나의 과정으로 이해해야 한다는 관점이 내포되어 있다. 황토현전투는 1894년 음력 4월 6일부터 7일 새벽에 걸쳐 전개되었던 동학농민운동의 한 과정이었다. 이 전투는 1894년 1월 10일 전봉준 등이 고부 관아를 습격하면서 발생한 고부농민봉기에 의해 시작된 동학농민운동의 과정 중 농민군이 승리한 최초의 본격적인 전투라 할 수 있다. 기왕의 연구에서 지적하고 있듯이 이 전투의 승리로 농민군은 전라도 일대로 그 세력을 넓힐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였다. 황토현전투 이후 동학농민군이 전라도 일대를 제패할 수 있었던 것은 정부군이 황토현전투에서 패한 이후 관군이 자신의 역할을 제대로 하지 못했기 때문이었다. 따라서 황토현전투는 동학농민군이 동학농민운동을 확산시키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 전투였음을 알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이 전투를 통해 농민들의 의식은 혁명적으로 변화하였다. 또한 이 전투를 통해 동학농민군은 자신들의 주의와 주장을 격문 등의 문서가 아니라 실제 행동으로 보여주었다. 이는 조선후기 이래 농민층에 가중되었던 제반 학정과 부정, 부패에 대한 농민층의 저항이었으며, 외세의 침탈에 대한 저항이기도 하였다. 그리하여 반봉건반외세의 동학농민운동의 성격을 그대로 보여주는 것이었다. 그리고 이 과정을 통하여 농민층은 자신들의 계급적 입장과 조선을 둘러싼 국내외의 정세를 파악할 수 있었다. 특히 앞에서도 언급한 박문규의 진술과 같이 정부에 대한 당시 민중의 시선은 매우 비판적이었다. 특히 황토현전투가 동학농민군의 승리로 돌아가면서 고종은 동학농민군에 대한 탄압을 강화하기 위하여 청군의 차병을 요청하였다. 이는 동학농민운동이 동아시아적인 문제로 확대되는 계기가 되었다. 그 결과 발발한 청일전쟁은 향후 동아시아의 주도권을 일본이 장악하는 계기가 되었던 것이다. 이상과 같이 황토현전투는 고부농민봉기 이후 사회변혁의 흐름이 전라도를 넘어 전국으로 확산되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이는 고부농민봉기를 준비하는 과정에서 사발통문에 나타난 전봉준 등의 계획이 구체적으로 실천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었다. 따라서 동학농민운동은 고부농민봉기에서 비롯되었다고 보는 것이 옳을 것이다.

      • KCI등재

        무안동학농민혁명 기념사업의 방향과활성화 전략 ‒ 무안지역 및 고막포전투지구를 중심으로

        정경운,임선주 순천대학교 남도문화연구소 2015 南道文化硏究 Vol.0 No.29

        본고는 무안동학농민혁명의 기념사업이 다른 지역과 차별화될 수 있는 전략을 제안하는 데 목적이 있다. 먼저 무안동학농민혁명의 전개과정 및 유적지 현황을 정리하였으며, 타 지역의 사례를 통해 시사점을 도출했다. 이어 기념사업의 방향을 ‘나의 일상으로서의역사’로 설정하고, 활성화 전략 4가지를 제안하였다. 첫째, 거대한 기념관이나 기념공원을 조성하기보다는 동학혁명과 관련된 장소들을 재의미화 함으로써 ‘지붕 없는 기념관’ 을 상상해야 하며, ‘감성적 경험’을 위해 예술적 시각을 도입할 필요가 있다. 둘째, 유적지 루트의 형상과 농민군들의 스토리를 연계한 상징이미지 제작, 마을 기반의 동학스토리텔링, ‘이름 없는 농민군’들의 명예복권을 위한 프로그램 등을 도입한다. 셋째, 동학자료 축적을 위한 활동은 물론 ‘동학스토리텔러’의 양성 등 주민주도적 정신계승 활동이필요하다. 넷째, ‘고막포전투지구’를 중심으로, 인근의 함평, 나주 등과 연계를 통해 기념사업의 범위를 넓혀야 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et the directions of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memorial project and to propose strategies to differentiate the Muan area from other areas. This study summarized the process of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and related historical sites. It also derived implications from memorial cases of other areas. Next it proposed the direction of a memorial project to reflect the peculiarities of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in the Muan area and its activation strategies. Four main activation strategies for memorial projects available in the Muan area are introduced here. First, it is necessary to envisage a ‘roofless memorial’ through the restoration of historical sites related to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in the Muan area or the reinterpretation of related sites. Further, it is necessary to apply an artistic vision to these spaces so history can be met through ‘emotional experience’. Secon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strategy of storytelling. This includes the making of symbolic images that connect the shapes of the route to historical sites with the peasant army’s story, This is the preparation for community-based storytelling about Donghak, and the organization of programs to restore the honors of the ‘Unknown peasant soldiers’. Third, it is necessary to promote resident-led activities to inherit the Donghak spirit such as the nurture of ‘Storytelling about Donghak’. Fourth, it is necessary to extend the scope of this memorial project through connection with the neighboring Hampyeong and Naju centered on the ‘Gomakpo battle area’.

      • KCI등재

        영호대도소와 전라남도 동부지역의 동학농민혁명 - 김인배의 활동과 순천, 광양, 여수지역 전투를 중심으로 -

        김인덕 숭실사학회 2015 숭실사학 Vol.0 No.34

        본고는 김인배와 그가 주도한 영호대도소, 그리고 영호대도소의 동학농민혁명군을 중심으로 전라남도 동부지역인 순천, 여수, 광양지역에서의 전투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동학농민혁명에 가담한 전라남도 동부지역 동학농민혁명군에게 김인배는 누구일까. 영호대도소의 중심인물로 1894년 6월 순천에 내려 온 이후 그는 조직적인 준비와 안정적 기반을 마련하여 통치권을 장악했다. 그리고 새로운 전투의 준비를 체계적으로 진행했던 동학농민혁명의 지도자였다. 김인배는 새로운 시대를 꿈꾸며 25세의 나이에 영호대도소의 동학농민혁명을 주도했다. 그는 김개남의 명령에 따라 순천을 장악했다. 김인배의 지도자로서의 모습은 유학과 입도 이후의 실천적 투쟁 경험이 그를 새롭게 만들었고, 마지막 순간 그는 자신의 목숨을 대의를 위해 버리는 혁명가가 되었다. 김인배가 주도한 당시 영호대도소는 1894년 6월부터 12월까지 전라남도 동부의 순천, 광양, 여수 등지와 경상도의 하등, 진주 등지를 관장하는 사실상의 통치 권력을 장악했다. 여기에는 동학교도를 비롯해 아전, 농민, 사노비 등 다양한 계층이 참가했다. 이 조직은 조직 내부의 불협화음이 보이지 않은 잘 정돈된 권력이었다. 실제로 대규모의 항일전쟁을 위해 최초로 출진한 동학농민혁명군은 김인배가 주도한 영호대도소군이었다. 동학농민혁명의 과정에서 영호대도소의 동학농민혁명군은 반외세의 선봉으로 후방 방위 임무를 넘어, 혁명의 열기를 전라남도 동부지역에 전면적으로 확산시켰다. 이들 동학농민혁명군이 패배한 이유는 화력의 차이, 무력의 차이가 주요하게 작용했다. 결정적 패인의 하나는 일본군의 신식무기에 기인한다고 볼 수 있다. 아울러 양반과 향리들의 배반행위도 주요하게 작용했다. 김인배가 주도한 영호대도소의 동학농민혁명군은 근거지 순천을 토대로 하여 지역적 기반을 확충해 갔는데, 순천을 중심으로 체제의 안정적 기반을 갖추고 광양을 넘어 하동으로 진출하기도 했다. 당시 동학농민혁명군에게 순천은 활동의 근거지, 광양은 경상남도 서부지역 진출의 교두보, 그리고 여수는 도서지역 진출을 위한 기반 확충을 위해 절대적으로 필요한 지역이었다. 전라남도 동부지역 전투의 과정을 보면, 순천은 관아가 있어 자연스럽게 영호대도소가 접수하면서 거점이었다. 그렇지만 순천읍성 내부의 다양한 거주자의 내홍으로 인해 가장 불안정한 공간이 되기도 했다, 광양의 경우는 일찍이 동학이 활성화되었던 기반이 있어 전면적 투쟁의 종착지가 되었다. 반면에 일련의 좌수영 전투는 전라남도 동부지역에서 동학농민혁명군이 약화되는데 계기로 작용했다. 이곳 여수의 좌수영군은 이후 동학농민혁명군의 진압에 중요한 역할을 일본군과 함께 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김인배 주도의 영호대도소와 동학농민혁명군은 전투 과정에서 농민들만이 아니라 지방 양반, 부민, 유림들까지 척왜라는 목표 아래 견인했다. 그리고 이들의 협조를 이끌어 1894년 6월부터 12월까지 치열한 전투를 통해 전라남도 동부지역을 장악하여 해방구로 만들었다. 이후 이들은 경상남도 서부지역 진출의 근거지를 만들고 동학농민혁명을 확대하는데 기여했다. 아울러 김인배 주도의 영호대도소와 동학농민혁명군의 성과는 동학농민혁명군사에서 전라남도 지역의 활동을 제대로 자리매김하는데 초석이 되고 있다. This paper studied on historical meaning of East Jeonra Namdo Donghak Peasant revolution & Youngho Daedoso in Suncheon, Gwangyang, Yeosu area. Who is Kim In-bae for peasant revolutionary army who had been involved in Donghak Peasant revolution? He was the main figure of Youngho Daedoso and was the leader for struggle with organized preparation and stabilization since he had moved to Suncheon. He was the leader of Donghak Peasant revolution Kim In-bae had been lead Youngho Daedoso’ Donghak Peasant revolution when he was only 25 years old. He had dominated Suncheon area ordered by Kim Gae-nam. The figure of Kim In-bae as a leader was mostly shown by practical struggle and became the revolutionary who laid down his life for the greater cause. Actually, Youngho Daedoso lead by Kim In-bae had dominated in East area of Jeonra Namdo-Suncheon, Yeosu and Gyeongsang-do’s Hadong, Jinju from June to December in 1894. Involving not only follower of Donghak but petty officials, peasants, private slaves were participated. This was the well-organized group without making dissonance. In a reality, the first Donghak Peasant Army for large scale of anti-Japanese war was Youngho Daedoso army lead by Kim In-bae. In a process of Donghak peasant revolution, Youngho Daedoso had done not only rear defense but became spearhead as well. These have concluded spread of atmosphere of revolution in entire Jeonra Namdo area. The reason why Donghak peasant army lost was that difference of firepower and force. One of the decisive factors of lost was due to new type-weapon from Japanese military. Also, noblemen from Chosun era and local officials’ treachery had effected as well. Youngho Daedoso lead by Kim In-bae had been based on Suncheon and developed themselves in region. They had also advanced to Gwangyang even Hadong area; Suncheon was the place for base, Gwangyang was bridgehead for entering west in Gyeongsang Namdo, and Yeosu was essential place for island area. When examining Jeonra Namdo east battle, Suncheon could have been the foothold in terms of place of government office. However, Suncheon also had become the most unstable place because of internal issues who had been lived in Suncheon Town hall. On the other hand, Gwangyang had been have a broaden foothold for Donghak so that had become destination overall fights but Jwasuyeong(Yeosu) battle had rather weaken Donghak peasant revolution. Eventually, Jwasuyeong army had subdued Donghak peasant army with Japanese army. As mentioned above, Youngho Daedoso and Donghak peasant army have been guided not only peasant but also Confucians, Vagabonds with the goal of Anti-Japanese. Throughout many of cooperation, it is true that they had made Jeonra Namdo as haven by many of fierce battles from June to December in 1894. Since then, these group had established a base in Gyeongsang Namdo western area and contributed to Donghak peasant revolution. Finally, Youngho Daedoso and Donghak peasant army lead by Kim In-bae clearly had became cornerstone of history of Donghak peasant revolution army in Jeonra Namdo.

      • KCI등재

        논문(論文) : 19세기말 경상도 성주의 사회변동과 동학농민전쟁

        이윤갑 ( Yoon Gap Lee ) 대구사학회 2015 대구사학 Vol.119 No.-

        이 연구는 경상도 성주의 1883년 농민항쟁과 1894년의 농민전쟁을 중심으로 19세기말 농민운동의 발전과정을 연구하였다. 1883년의 농민항쟁은 1862년의 농민항쟁을 계승하고 발전시킨 농민층의 개혁운동이었다. 1862년에 발생한 성주의 농민항쟁은 개별 분산적이던 농민들의 부세저항이 집단적인 부세개혁운동으로 발전하였고, 또한 소·빈농층이 독자적인 세력을 형성하고 혁명적인 운동방식으로 사회경제적 개혁을 추구하기 시작하였다는 점에 역사적 의의가 있다. 이들의 항쟁은 대원군 정권이 부세제도를 개혁하고 서원철폐를 단행하게 만든 직접적 계기가 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변화는 지방통치를 책임진 수령과 향리, 관속 그리고 관권과 결탁해 특혜를 누렸던 토호들에게는 매우 불리한 것이었다. 기득권을 되찾으려는 이들의 공세는 대원군 실각 이후 강화되어 갔고, 그로 말미암아 지배층과 소·빈농층의 대립 또한 격화되어 갔다. 그 대립은 마침내 1883년 소·빈농층의 또 한 번의 농민봉기를 불러왔다. 1883년의 농민항쟁은 부세제도의 운영을 실질적으로 관장하던 향리에 대한 통제를 둘러싸고 발생하였다. 농민들은 자신들의 신뢰을 받는 인물로 지방 관속 전체를 통솔하는 이방과 부세업무를 관장하는 향리를 임명할 것을 요구하며 항쟁을 일으켰다. 이 항쟁은 그 요구가 부세제도의 개혁을 넘어 그 운영까지도 개혁하려 했다는 점에서 1862년의 농민항쟁보다 진일보 한 것이었다. 그러나 이 항쟁은 감영군이 농민항쟁을 무력 진압하면서 실패하였고, 농민항쟁 지도층은 처형되거나 유배형을 받았다. 이후 이 지역에서는 동학이 확대되면서 새로운 개혁세력으로 성장하였다. 성주에서 동학이 확산되기 시작한 시기는 1880년대 후반부터였다. 성주의 동학군은 1894년 8월 하순 상주, 김산의 동학세력의 지원을 받아 개혁활동을 시작하였다. 동학군의 개혁활동은 두 갈래로 펼쳐졌다. 하나는 조세제도개혁이었고, 다른 하나는 부정한 향리와 토호를 처벌하는 것이었다. 이 개혁으로 피해를 입은 향리와 토호들은 독자적으로 군대를 결성해 동학군을 공격하여 격퇴시켰다. 이에 맞서 성주, 김산, 상주의 동학군은 대규모 연합군를 편성해 성주를 점령하고 향리들에게 보복하였다. 동학연합군은 경상감영의 요청으로 일본군이 출동하자 전투를 벌이기에 유리한 김산, 상주로 이동하였고, 이로써 성주의 동학농민전쟁은 끝이 났다. 성주의 동학농민전쟁은 전국적인 농민전쟁의 한 부분으로 전개되었고, 그 개혁의 성격이나 농민조직에서 이전의 농민항쟁의 부분성과 분산성을 극복하고 있었다. 동학농민군은 스스로를 반봉건 반침략운동의 주체로 결집시켜갔다. 그러나 동학농민전쟁은 일본군의 개입으로 진압되었고, 뒤이은 지배세력의 보복으로 1862년 농민항쟁 이후 성장해 왔던 소빈농층의 개혁운동은 재기불능 상태로 파괴되고 해체되었다. This research is about the process of the development of the peasant movement at the end of the 19th century, especially focused on the peasant uprising in 1883 and the peasant war in 1894. The peasant uprising in 1883 was the reformative movement by peasants which inherited and developed the peasant uprising in 1883. The peasant uprising in Seongju, 1862, has a historical meaning in that formerly individual and dispersive resistances against the taxation evolved into collective reformative movements against the taxation, and also poor-small peasants formed independent groups and started the socioeconomic reformation. Their uprisings served as a direct momentum that made Daewongun to reform the taxation system and abolish Seowon. However, these changes were disadvantageous to the local power benefited by colluding with Suryoung, Hyang ri, Gwansok, and the government authority. Their attacks, by which they tried to regain their vested rights, were intensified after the regime of Daewongun went down, and the struggle between poor-small peasants and the ruling class were also intensified. That struggle eventually caused another peasant uprising of poor-small peasants in 1883. The peasant uprising in 1883 occurred over the control on Hyangri that were in charge of the operation of the taxation system. Peasants started their uprising, claiming that figures trusted by peasants should be appointed as Ibang that took the reins of entire local areas and as Hyangri that was in charge of the taxation. In that the demands of the uprising were aiming at reforming not only the taxation system, but also the operation of it, this uprising was a step forwarded one than the peasant uprising in 1862. However, this uprising failed because Gamyounggun put down the peasant uprising by force and the leader group of the peasant uprising was executed or exiled. After that, Donghak were spread out in this region and evolved into a new group of reformation. It was the late 1880 that Donghak were spread out in Seongju. The Donghak peasant army in Seongju began their activities of reformation in the late August, 1894, backed up by the group of Donghak in Sangju and Kimsan. Their activities of reformation were twofold. One of them was the reformation of the taxation system, and another was the punishment of corrupted Hyangri and the local power. The Hyangri and the local power, who were damaged by this reformation, organized an army independently and repelled the Donghak peasant army. Against this, the Donghak peasant army in Seongju, Kimsan and Sangju organized a large scale combined force, conquered Seongju, and retaliated against Hyangri. The allied Donghak peasant army moved to Kimsan and Sangju which were advantageous regions to have battles, when the Japanese army was dispatched by the request of Kyungsang Gamyoung and the Donghak peasant war was ended because of this. The Donghak peasant war in Seongju was developed as a part of the nationwide peasant war. It was overcoming the partial and dispersive character of former peasant uprisings. Donghak peasant army unified themselves as the subjects of anti-feudalism and campaigns against the aggression. However, Donghak peasant war was put down by the intervention of the Japanese army. Moreover, the reformation movements of poor-small peasants, which had been developed since the peasant uprising in 1862, were entirely destroyed and dismantled by the following retaliation of the ruling class. (Keymeung University, Department of History / ykl311@kmu.ac.kr)

      • 경천지구 농민 물절약 시범교육 실시

        최경숙 ( Kyung Sook Choi ),리팅 ( Ting Li ),도종원 ( Jong Won Do ),이광야 ( Kwang Ya Lee ) 한국농공학회 2017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7 No.-

        「농민 물절약 교육 모델 개발(2016)」에 따른 교육모델의 현장 시범교육을 실시하였다. 시범교육 대상지는 가뭄을 경험한 지역으로 선정하여 교육 효과를 증대시키고자 농업가뭄 경험지역 중 한국농어촌공사 경천지사 관할지구인 경천지구를 선정하였다. 시범교육은 경천지구 내 예천용수간선 용수 이용 농민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시범대상 지역 중 6개 마을을 선정하여 4회에 걸쳐 교육을 실시하였다. 물절약 시범교육을 실시하기 전 2차례의 현장조사를 통해 수로손실, 중간취수 등 물공급 및 용수손실 실태를 파악하였으며, 필지단위 농민 물사용 행태와 시범교육 대상구간의 용수손실에 대해 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시범교육 대상지역은 수로 노후화가 많이 진행되어 누수에 의한 물손실이 많은 것으로 파악되었으며, 대상지구내 허가 받지 않은 무단취수지점도 많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지거 및 필지 단위 물사용 행태를 조사한 결과 지난 가뭄 경험으로 대체적으로 농민의 물관리 실태는 양호하였으나, 일부 구간은 여전히 물꼬관리 부실에 의한 물손실 야기로 농경지 밖으로 물이 흘러넘치는 경우가 많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물절약 교육 모델 이수단계별 시범교육을 실시한 결과 농민의 반응은 대체적으로 물절약의 필요성과 농민의 물낭비 실태에 대한 깊은 공감을 표하였으며, 물절약 실천의지를 파악할 수 있었다. 그룹토의를 통해 농민이 도출한 물절약 행동 강령에는 개인 물꼬관리, 밸브설치, 자체 용수로 보수, 주민 동원 용수로 준설과, 봄철 논물가두기 등이 있었으며, 수로관리를 위한 농민 수리계 조직 결성, 농민의 권리주장을 위해 농민의 물세 납부가 필요하다는 의견도 제시되었다. 물절약 시범교육의 효과를 파악하고자 시범교육 이수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농민의 관행적인 물관리 실태와 물절약 관련 의견수렴을 목적으로 개발된 설문조사지를 활용하여 시범교육 실시 후 농민을 대상으로 실시 하였다. 설문응답자는 대부분 65세 이상의 고령자가 많았으며, 농사인력의 대부분이 남성으로서 농사경험은 많지만 대부분 소규모 영농형태를 유지하고 있었다. 설문응답자 중 가뭄으로 물부족을 경험한 경우가 대부분이었으며, 물부족에 의한 주민간 물다툼 경험도 다소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농민 물 과다 사용에 대해서는 대체로 인정하고 있었으나, 농민의 물꼬관리 실태는 잘하고 있다는 의견이 절반을 차지하였다. 농업용수 손실 원인으로는 수로 노후화를 가장 많이 채택하였으며, 부실한 물관리와 무단취수가 그 뒤를 따랐다. 물 부족 상황 시 해결 방법은 물관리 기관(공사)에 의존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으며, 개인적으로 해결하는 경우도 다소 높게 나타났다. 농민의 물절약 필요성은 모두가 공감하고 있었으며, 농민의 물절약 참여 방법은 물꼬관리, 수로관리, 수리계 조직 결성과 함께 모든 방법이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는 의견이 다수를 차지하였다. 또한 향후 수리계 조직 시 가입 의향도 매우 높게 나타났다. 물절약 시범교육을 통해 농민의 물낭비 원인에 대한 깊은 공감대 형성과 물절약에 대한 실천의지를 파악할 수 있어 향후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물절약 교육의 필요성을 파악할 수 있었다.

      • 경기도 농민기본소득에 관한 연구

        유영성,이수행,정원호,김병조,이관형,마주영,박정지,김정호,정재헌 경기연구원 2020 정책연구 Vol.- No.-

        본 연구는 도농간 소득격차, 농촌의 고령화, 농업소득의 급감으로 무너져 가고 있는 농촌을 살리고자 경기도가 추진 중인 농민기본소득의 추진방향 및 구체적인 실행방안을 제시하기 위한 목적에서 수행되었다. 연구내용은 기본소득과 농민기본소득의 선행연구들을 검토하고, 통계분석과 설문조사 등을 통해 경기도 농촌문제 및 농민들의 요구사항들을 파악하여 경기도 농민기본소득의 실행에 도움을 주는 것들로 구성되었다. 기본소득은 누구에게나(보편성), 노동 여부와 상관없이(무조건성), 개별적으로 (개별성) 일정 금액을 지급하는 제도이며, 그 목적은 개인의 실질적인 자유를 보장하기 위함이다. 그렇지만 전면적인 제도도입은 쉽지 않다. 재원과 관련하여 대규모 증세에 대한 우려, 일을 하지 않아도 무조건 지급이 되면 나태나 도덕적 해이가 나타나지 않겠느냐는 의구심 등 선결하거나 불식시켜야 할 여러 문제들이 도사리고 있기 때문이다. 기본소득이 도입되면 국민 대다수는 자신이 낸 세금보다 더 많은 액수를 돌려받게 된다. 또한 해외의 실험 사례를 보면 기본소득제도는 개인의 경제활동 참여를 오히려 증가시킨다. 이런 사실을 국민들이 알게 된다면 다른 사회보장제도보다 정치적 채택 가능성이 더 높다고 볼 수 있다. 또한 해외의 실험 사례를 보면 기본소득제도는 개인의 경제활동 참여를 오히려 증가시킨다. 나태나 도덕적 해이를 조장할 수 있다는 주장도 사실은 잘못된 것이다. 실상이 이러함에도 불구하고 기본소득제도의 전면적인 실시는 어렵다. 따라서 일정한 범주에 속하는 사람에게 기본소득을 지급하는 범주형 기본소득(기초연금, 아동수당 등)이나 일정한 활동을 전제로 기본소득을 지급하는 참여소득의 형태로 점진적으로 기본소득을 확대해나가는 것이 보다 현실적이다. 농민기본소득은 농민이라는 국민의 특정계층에만 적용되는 범주형 기본소득이며, 농촌에서의 공익활동의 조건을 전제로 지급을 한다면 참여소득이다. 농민기본소득 제안자들은 대부분 식량주권, 생태환경 보전의 공적 역할을 농민들이 하고 있음을 강조한다. 그들은 농민들이 그런 공적 활동을 함에도 불구하고 그 소득은 도시민들에 비해서 지속적으로 하락하고 있으며, FTA 등 외부의 충격으로 더욱 더 열악한 농촌 환경이 만들어지고 있음을 강조한다. 직불제가 부분적으로 이를 막는 장치로서 존재하지만, 제 역할을 하지 못하고 오히려 농민들의 양극화를 조장하며, 실질적 농민소득을 보충하는 역할을 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이를 보완하는 측면에서 농민기본소득의 필요성을 역설한다. 그들은 지급금액으로 대부분 공히 월 30-50만 원의 금액을 책정하나, 농가당 또는 농민 1인당이냐에 따라서 차이가 있다. 농가당으로 하는 경우는 전체 농가에 대해서 실시하고, 농민 1인당 해당 금액을 지원할 경우에는 재원의 문제로 단계적으로 기본소득을 확대해나가는 접근을 취하고 있다. 재원으로서는 대부분 농업직불금제의 개선에 동의하고, 불요불급한 농업예산의 감축을 통한 예산지출구조 조정을 지적하고 있다. 그 밖에 FTA 이익공유제, 농촌복지세 등 추가적 재원을 주장하는 논자들도 있다. 그리고 농어촌 관련 사업이 지금까지 토건중심 개발사업으로 이루어져 왔으므로 이제 이러한 개발사업에 대한 예산을 재조정할 것을 주장하고 있다. 많은 논자들은 재원으로서 농가소득 보전의 재원이 농업예산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상승시킬 것을 주장한다. 해외의 농가소득 보전사례를 보면, 농업직불금을 통해 가격을 보장하여 농가소득을 보전하는 점에서는 우리나라의 직불금제도와 차이가 없다. 그러나 소농에 대하여 경작면적에 상관없이 일정금액을 지불하고, 환경보전 등 다양한 조건으로 지급되는 직불금, 면적에 따라 지급하는 가격보전의 형태로 지급되는 직불금 등의 형태를 가지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최근에는 가격보전의 목적으로 시행되는 직불금 비중이 줄고, 환경보전 등의 다양한 조건을 중시하는 직불금 비중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그렇지만 이들 직불금이 농가소득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최소 20%에서 최대 50%까지로서 농가소득 보전의 효과가 매우 크고, 농업예산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많은 경우 80%에 이를 정도로 크다는 점은 우리나라와 대비된다. 현재의 국내의 농가소득 보전사업을 살펴보면, 크게 3가지 종류로 나눌 수 있다. 우선 기존 직불제를 개선하여 소농에게 일정 금액의 지급을 보장하는 직불제가 있다. 대표적인 경우는 국회 차원에서 진행되는 공익형 직불제가 있다. 이 경우 0.5ha 미만은 일률적으로 120만 원이 균등하게 지급됨으로써 소농에 한해서는 부분적이나마 기본소득의 형태를 지니고 있다고 할 것이다. 또 많은 지자체들은 농촌환경보호, 생태농업의 추진 등의 대가로 주는 농민수당을 지급하고 있다. 충남 · 전북 · 전남에서는 경지면적 등에 상관없이 균등한 금액을 개별 농가에 지원하고 있는데, 이는 참여소득의 대표적인 사례라 할 것이다. 직불금제도 개선이나 참여소득은 모두 여러 종류의 직불금의 통폐합을 통해 재원을 마련한다. 소농에게 균등하게 동일한 금액을 지급하도록 하는 공익형 직불제와 참여소득은 직불제와 농민기본소득을 연계시키고 있다. 그렇지만 재원을 직불금과 별도로 확보하여 개별성과 무조건성을 충족시키면서 농민기본소득을 실시하려는 시도는 국내의 지자체에서 발견하기 힘들다. 한편 경기도 농촌과 농민의 현황을 살펴보면, 2018년 현재 도시근로자 가구와 비교하여 경기도 농가의 가구소득은 74.8%에 불과한 상황이다. 소비지출의 경우 도시근로자 가구는 2018년 현재 3천 3백 8십여만 원에 이르고 있지만, 경기도 농가는 2천 5백만 원에도 미치지 않아 91% 수준에 불과하다. 이것은 도시근로자 가구의 소득이 증가추세에 있는 반면, 경기도 농가의 경우 절대액 측면에서도 여전히 2007년 수준을 회복하지 못하고 있는 것과 관련된다. 처분가능소득의 경우 2006년엔 도시근로자 가구 대비 93%에 이르렀으나, 추세적으로 하락하여 2018년 현재 78%에 불과한 상황이다. 전 · 겸업 현황을 보면, 2018년 현재 경기도 농가경영체의 전업 비중은 66%를 차지하여 전국 74%에 비해 매우 낮은 상황이며, 농가경영체 농업인 역시 전업 비중이 73%를 차지하여 전국 80%에 비해 크게 낮은 상황이다. 2003년 이후 경기도 농가소득은 제주도 다음을 차지하고 있지만, 절대액 측면에서는 2006년 수준에도 미치지 못하고 있다. 또한 농업소득보다 농외소득이 높기 때문에 농가소득에서 농업소득이 차지하는 비중을 의미하는 농업의존도 역시 2018년 기준 22%를 차지하여 전국 31%에 비해 크게 낮은 수준이며, 농업 수익성도 전국 평균에 비해 크게 낮은 상황이다. 경기도 농가의 농가소득을 항목별로 살펴보면, 농업소득은 하락하고, 겸업소득과 사업외 소득을 합한 농외소득은 증가하고 있으며, 공적 보조와 사적 보조를 합친 이전소득 역시 증가추세에 있어 농업소득 하락을 완화시키는 역할을 하고 있다. 또한 경지규모별 농가 경제현황을 살펴보면, 1ha 미만 소규모 경지를 보유한 농가가 증가하고 있고, 2ha 이상 대규모 농지를 보유한 가구는 감소하고 있다. 특히 경지규모 1.5ha 이상을 소유한 농가의 경우 농업소득이 증가추세에 있다. 그러나 나머지 농가, 즉 농가 전체의 75%에 달하는 1.5ha 미만은 농업소득이 지속적인 감소추세에 있음은 특히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농업소득의 하락, 농업소득의 양극화와 겸업 농가의 증가 등은 농촌환경을 보전하는 작물경작지의 비중을 축소시킴으로써 생태보전기능과 식량주권 수호역할을 하는 농업의 위상을 위협하고 있다. 이러한 경기도 농민/농촌/농업의 상황에 대하여 경기도는 농민기본소득을 시행함으로써 농업이 피폐해져가는 상황을 개선시키고자 한다. 경기도에서 농민기본소득의 보다 정교한 추진을 위하여 본 연구는 경기도 농민들의 농민기본소득에 대한 의식수준과 농촌, 농민의 경제 상황, 요구사항 등에 관하여 농업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이 정리된다. 농업형태는 노지재배가 59.6%를 차지하여 가장 높았고, 생산품목 Current Korean rural areas are collapsing due to income gap between rural areas, aging rural population, and sharp decline in agricultural income. This study suggest the direction and specific implementation plan of farmers" basic income driven in Gyeonggi-do in order to revitalize the rural area and economy. For the purpose of doing so, this study reviewed the previous studies on basic income and basic income of farmers and did analysis of statistics and surveys for the rural areas of Gyeonggi-do and for the needs of the farmers. Basic income is the system that everyone (universal), individually (individual), with or without work (unconditional) receives a certain amount of money to guarantee basic economic freedom and survival. However, the public opinion against securing large amounts of money through taxation and against the laziness of receiving money without working hinder the full scale implementation in Korea. But basic income system is politically easier to implement than other social security systems because most of the people get back more than they pay as taxes. And the basic income test cases around the world shows that even a small amount of basic income payment promotes individual economic activity against the laziness argument. Despite all these facts, Korea is not able to realize the full-scale implementation due to national sentiment against it. Therefore, Categorical basic income (age-based pension, amount of children) that applies only to certain classes of people, or participant income that is paid under certain activities are more realistic incremental implementation leading to the full scale implementation in Korea. Farmers" basic income is paid to the people called farmers, that is a kind of categorical basic income or is paid on condition of public interest activities in rural areas. that is of participant income. Most farmers" basic income proponents argue that farmers play a public role in food sovereignty and ecological preservation. They said that farmer income continues to fall compared to the urban population and emphasize that external impacts such that free trade agrement is creating an even worse rural environment despite of the public role of the farmers. Direct payment system for farmers in Korea exist as a device to prevent the farmer income decrease but does not play its role, but rather encourages the polarization of farmer income. They proposed the farmers basic income to compromise these all negative rural environment. Most of them proposed payment of 30-500,000 won per month, but the argue about whether payment should be done per farmer or farmer family differs. They propose full scale farmer basic income when implementing farmhouses basic income but partial step by step implementing when implementing farmer basic income due to financial problem. Most of them agree to improve the agricultural direct payment system and reduce unnecessary agricultural budgets leading to a budget expenditure restructuring as the financial sources. Additional resources such as FTA profit sharing system and rural welfare tax are also proposed. Some commentators argue that farming related projects have been made up of initiatives of unnecessary construction development and are insisting on a rescheduling of these developments. And most of them argue to raise the share of farm income subsidy in the agricultural budget as the financial sources. In case of preservation of farm household income overseas, farm income is preserved by guaranteeing agriculture product price through agricultural subsidy. In that respect, it is no different from Korea"s direct payment system. However, it is consist of the certain amount payment for small farmer and payment under various conditions such as environmental conservation and the incremental payment in the form of price preservation. In recent years, payment under various conditions such as environmental preservation increased to reduce the

      • KCI등재

        1894년 동학농민혁명의 공주전투 시기 남접과 북접농민군의 동향

        정선원 동학학회 2020 동학학보 Vol.0 No.56

        동학농민혁명 시기 공주전투는 일본군·관군 연합군에 맞서 최대의 농민군 세력(남접농민군 즉 전봉준군, 북접농민군 즉 손병희 등 동학교단측 농민군)이 집결하였으며 일부 전·현직 관리들과 유생들도 동학농민군에 동참하여 투쟁한 사건이었다. 이 연구에서는 공주전투 시기에 동학농민군 주력 형성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던 남접농민군과 북접농민군의 동향을 파악하고자 했다. 이에 대한 연구를 위해 관변측 기록, 『주한일본공사관기록』에 나오는 일본측 기록, 공주·논산 인근의 유생들의 기록을 조사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공주전투 18일의 기간 동안 중요 전투와 남접농민군과 북접농민군의 동향의 일부를 파악했다. 특히 이인전투가 10월 23일, 11월 8일 두 차례에 걸쳐 있었고 10월 23일 이인전투는 남접농민군이 주도했고, 11월 8일의 이인전투는 북접농민군이 주도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동학교단 관련 역사서에 공주전투의 하나로 나오는 ‘옥녀봉전투’의 실체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또한 공주전투 즈음 남접과 북접농민군의 첫 회합시기가 공주전투 직전의 논산이 아니고 공주전투 시기인 효포전투(10월 24일~25일)의 공주전쟁터였다는 사실에 접근하였다. The Battle of Gongju(公州) during the Donghak(東學) Peasant Revolution which took place in Gongju, in the Chungcheong province, was a struggle that united the forces of the Donghak Peasant Army on a large scale against the allied forces of the Japanese army and the royal forces of Joseon dynasty. Among the forces of the Peasant Army were the Namjob Peasant Army(南接農民軍), organized by Jeon Bong-Jun(全琫準), and the Bukjob Peasant Army(北接農民軍), led by Son Byeong-Hi(孫秉熙) who was the leader of the Donghak religious community and also some of the actual and former officials of the Joseon Dynasty and philosophers of Confucianis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trends in the activities of the Namjob Peasant Army and the Boukjob Peasant Army which played a decisive role in the process of forming the main forces of the Donghak Peasant Army during the Battle of Gongju. For this purpose, research was carried out in the government archives of the Joseon Dynasty and the archives of the Japanese legation in Korea (『주한일본공사관기록』) and the archives of the Confucianists in Gongju and Nonsan. The important battles and activities of the Namjob Peasant Army and the Bukjob Peasant Army during 18 days of the Battle of Gongju were discovered by the author. In particular, it was proved that the Battle of Ein(利仁) in Gongju took place twice, and that the Battle of Ein on October 23 was fought by the Namjob Peasant Army and the Battle of Ein on November 8 was fought by the Bukjob Peasant Army.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 Battle of Oknyeobong(玉女峰) in Gongju, which had been presented in the history books of the Donghak religious community, as one of the battles of Gongju, had actually existed. It was also clarified that the first meeting between the Namjob Peasant Army and the Boukjob Peasant Army at the time of the Battle of Gongju did not take place in Nonsan, but it took place on the Hyopo(孝浦) battlefield in Gongju.

      • KCI등재

        일제시대 식민지 근대화와 농민운동의 전환

        김동노(Kim Dong No) 한국사회학회 2007 韓國社會學 Vol.41 No.1

        이 글은 식민지 시기인 1920년대와 1930년 초반의 농민운동이 그 이전의 농민운동에서는 나타나지 않던 독특한 특징이 있음을 밝히고 그러한 특징이 나타난 원인이 무엇인지 분석해 보려고 한다. 조선시대의 농민운동이 주로 지세문제를 둘러싸고 국가 및 국가관료에 대항하는 형태였던 것에 반해, 일제시대의 농민운동은 주로 지주에 대한 소작쟁의로 전환되어 계급투쟁의 형태를 보여주었다. 이것은 농민의 정체성에 있어서나 농민운동의 경향에 있어서 흥미로운 사실이다. 전통적으로 농민운동은 국가를 대상으로 하는 경향이 있었던 만큼 일제시대의 농민운동은 외부에서 강제로 이식된 식민국가에 대해 더욱 강하게 저항할 것으로 기대됨에도 불구하고 실제로는 농민운동이 계급운동으로 전환되었던 것이다. 농민운동에서 이러한 변화가 일어난 이유로 이 연구는 식민지시기에 이식된 근대적 제도에 주목한다. 토지조사사업은 이 변화의 시작이었고, 뒤따른 지세제도의 변화는 약화되어 가던 농민공동체를 무너뜨리는 데 기여했다. 특히, 총액제의 공동납 제도에서 개인세제도로의 변화는 조선시대에 조세를 둘러싼 반국가 투쟁에서 나타난 지주와 농민들 사이의 연합을 통해 형성되었던 농민공동체 구성원들의 결속력을 크게 약화시켰다. 식민지 시기의 개인세제도 하에서 농민공동체는 구성원들 사이의 경제적 이익이 충돌하면서 내부적으로 분할되었고, 농민공동체와 국가의 관계는 새로운 차원으로 바뀌게 되었다. 농민 공동체에 기반한 이전의 생존전략이 가진 유용성이 사라지면서 농민들은 새로운 전략을 수립해야만 했고, 농민들은 날로 확대되는 지주의 착취와 시장경제의 무자비한 작동에 맞서 스스로를 결속시켜야 했다. 이렇게 됨으로써 농민들은 계급의 이익에 근거한 생존전략을 세우게 되고, 계급의 경계선을 따라 지주와 농민이 대립하는 구조로 바뀌게 된 것이다. 농민들은 제국주의 지배에 맞선 민족적 저항에 동참하기 이전에 생존을 위한 계급투쟁을 벌여야만 했고, 식민통치라는 극단적 상황 속에서 피식민지인으로서 농민들이 가질 수도 있었던 민족정신은 충분히 성숙되지 못한 채 협소한 계급 적대감으로 변형되고 말았다. 이는 식민지 시기 조선에 근대적 제도들이 도입되면서 조선인들이 지불해야만 했던 대가였다. Peasant uprisings in the colonial period exhibited some peculiar characteristics that were absent in peasant protests before Korea was colonized. Unlike peasant movements during the Chos??n dynasty, when protests against the state or state bureaucrats dominated, the peasants waged class struggles against landlords in the colonial period, mainly in the form of tenant disputes. This fact shows an interesting distortion of peasants' identity, since it is contrary to the expectation that the peasants' struggles against the state would intensify after colonization, to the extent that the state they faced was not theirs but a colonial one imposed from outside. In this paper, I analyzed how this transition from nationalist identity to class identity occurred in the peasantry. In this analysis I attended to the fact that the transition was never natural, but resulted from the establishment of modern institutions introduced by Japanese colonialism, which resulted in the separation of individual peasants from their communities. The cadastral land survey was the starting point of this modern transformation, and the subsequent land tax law critically damaged the demising old peasant community. The change in land tax from a corporate to an individual tax especially dissolved the binding force of community members in their anti-state protests. The social impact of this change was striking. Not only was the peasant community internally divided because of the disharmony of economic interests among its members, but more importantly its relationship with the state acquired a new dimension. Now that the old survival tactics had lost their effectiveness, peasants needed to develop new strategies without relying on the old community morale. This situation required the peasants to find unity among themselves in order to face the ever-increasing exploitation from landlords and more generally the ruthless operation of market economy while paying much less attention to the nationalist struggle against the foreign invaders. Thus, the division between the landlords and the peasants was completed along the class line, and the latter confronted the former in tenant disputes to safeguard their subsistence in the face of landlords' attempt to maximize economic interes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