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상속포기와 채권자취소권

        조인영 민사판례연구회 2013 民事判例硏究 Vol.- No.35

        In defining 'legal action which aims for property rights' that is susceptible of annulment by the creditors of a successor, the Supreme Court of Korea has maintained in its judgment that so-called personal action, such as the partition of a succession or the division of property in divorce beyond appropriate extent, can also be annulled by the creditors of a successor. However, the Supreme Court has manifested in its recent judgment that renunciation of inheritance cannot be annulled by the creditors of a successor. Discussions vary among the ones who argue that the rights to annulment by the creditors should not be admitted, considering its unique element as a personal decision, stability of inheritance and its attributes as a personal action, and others who argue that it should be admitted, as the renunciation of inheritance also has attributes as property rights. Even among the nations that admits the rights of annulment by creditors of a successor, the positions differ from each other; Germany and Japan denies such rights by their judgement, whereas France, Lousiana(of US), Italy, Swiss and Austria accept them by their code or judgements. Considering that the annulment of a legal action by the creditors deals with the insolvent debtor's action, it needs to be interpreted in line with the bankruptcy law. Paragraph 1 of the article 386 of the Bankruptcy code restricts the debtor's right to renunciate the inheritance by acknowledging only limited effect when the debtor renunciate the inheritance after the declaration of bankruptcy. Moreover, although the Supreme Court manifestly provided that renunciation of inheritance is not the concealment of assets in which case the debtor cannot seek for discharge, it has denied discharge in another case based on several grounds including the renunciation of inheritance. Conclusively, right to annulment by the creditors of a successor should be extended to the renunciation of inheritance. Inheritance is a property-related legal action, the assets becomes the property of the debtor concurrently with the death of the predecessor, and the renunciation of such asset should not be protected when its intention is only to avoid the civil execution. It also should be considered that partition of succession can be annulled and bankruptcy code restricts such renunciation. In case it is annulled, the opposite party should be the coheirs or next heirs, and the extent should be to that of his particular share within his claim against the successor. 대법원은 채권자취소권의 대상이 되는 '재산권을 목적으로 한 법률행위’와 관련하여, 재산적인 성격이 포함된다면 상속재산분할협의, 상당한 범위를 넘는 재산분할행위 등 통상 신분법적 행위라고 불리는 경우도 포함될 수 있다는 입장을 견지하여 왔다. 그러나 대법원은 최근 판결에서 상속포기는 이와 달리 채권자취소의 대상이 되지 않는다는 점을 명시하였다. 학설은 인적 결단으로서의 성질, 상속관계의 안정성, 신분행위 등을 이유로 그 대상성을 부정하는 견해와, 재산적 성격을 지닌 행위로서 이를 긍정해야 한다는 견해가 대립하고 있다. 또한 채권자취소권제도를 택하고 있는 국가들이라 하더라도 독일과 일본의 판례는 부정설을, 프랑스와 미국 루이지애나주, 이태리, 스위스, 오스트리아는 명문 규정이나 판례로써 긍정설의 입장을 취하고 있는 등 각기 다른 입장을 보이고 있다. 한편, 채권자취소권은 지급불능에 빠진 채무자의 행위를 규율한다는 측면에서 파산법제와의 균형있는 해석이 필요하다고 할 것인데, 우리 채무자 회생 및 파산에 관한 법률 제386조 제1항은 파산선고 후에는 파산자가 상속포기를 하더라도 파산재단에 대하여는 한정승인의 효력만이 있도록 함으로써 파산자의 상속포기의 자유를 제한하고 있다. 또한 대법원은 명시적으로는 상속포기가 파산절차에서 면책불허가사유의 대상이 되는 재산의 은닉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판시하였으나, 유사한 사안에서는 상속을 포기한 사정을 하나의 근거로 하여 면책불허가사유를 인정한 예도 있다. 결론적으로, 상속 역시 재산상의 행위에 해당하는 점, 상속은 피상속인의 사망과 동시에 개시되므로 그 때 상속인의 책임재산이 된다고 보아야 하는 점, 상속포기에 신분법적이거나 인격적인 성질이 있더라도 오로지 책임재산을 회피할 목적으로 이루어진 경우까지 이를 보호할 필요는 없다는 점, 상속재산분할에 채권자취소권을 인정하는 것과의 형평성, 우리 파산법제와의 균형성 등의 측면에서 상속포기의 경우에도 채권자취소권이 인정되어야 한다고 본다. 상속포기의 경우에도 채권자취소권이 인정된다면, 그 상대방은 공동 내지 차순위 상속인인 수익자 내지 전득자가 될 것이며, 범위는 자신의 채권액의 한도에서 구체적 상속분에 해당하는 부분이 될 것이다.

      • SCOPUSKCI등재

        기체분자운동론에 대한 고등학생들의 개념 및 개념유형

        조인영,박현주,최병순,Cho, In Young,Park, Hyun Ju,Choi, Byung Soon 대한화학회 1999 대한화학회지 Vol.43 No.6

        기체분자운동론에 관한 고등학생들의 개념 및 개념유형에 대하여 반구조화된 심층면담과 오디오${\cdot}$비디오 기록을 분석하여 고찰하였다. 학생들은 학교학습 이전에 이미 다양한 개념들을 가지며, 개념망의 조직화와 정교화수준에 따라 세 가지 개념유형 즉, 피상적 용어사용, 부분적 의미형성, 인과적 의미형성으로 구분되었다. 이러한 개념유형은 학생들이 과학에 대해 이해하고 사고하는 방식, 개인 개념의 안정성, 학교 지식과 일상적인 지식의 분리 경향, 그리고 맥락에 따른 의미형성에 영향을 주었다. 이것은 학생들의 과학적 지식의 본성에 대한 이해 부족과 학습에 대한 주체의식 및 능동적인 참여의 제한으로 인한 결과로 해석된다. 이는 과학적 의미형성을 위해서 학생의 사고의 가치가 인정되고, 적극적인 토론과 합의의 기회가 주어져야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igh school students' conceptions and conceptual types on molecular kinetic theory of gases. Data was collected by a series of semi-structured and in-depth interviews, and has been analyzed. This study showed that the students came to science classes with various prior conceptions of many disciplinary topics. Their conceptual types of their prior knowledge were distinguished as superficial terms-speaking, partial sense-making, and causal sense-making by the degrees of organization and elaboration of conceptual networks. These conceptual types had influence on the ways students understand and think of science, a stability of their conceptions, a tendency to distinguish school science from everyday science, and building a meaning of concept in contexts. It was referred that the students didn't have proper understanding on the nature of scientific knowledge and had been limited their participations as active learners. Therefore, in order for students to experience conceptual change, they must have opportunities of manifesting their own thinking, taking part in discussions, and promoting their motivations and metacognition of knowing and learning science.

      • KCI등재

        소수의견에 관한 비교법적 검토 - 하급심에서의 소수의견 기재를 중심으로

        조인영 사법발전재단 2021 사법 Vol.1 No.56

        A few years ago, one chamber of a district court issued a judgment with a separate opinion, which drew much attention in the legal society. Generally, opponents of separate opinions argue that publishing one single opinion protects each individual judge’s judicial independence, increase authorities of the court and its decisions, and provides legal stability and credibility. They also argue that separate opinions undermine judicial collegiality and increase unnecessary deliberative procedures and costs. To the contrary, proponents argue that separate opinions protect internal judicial independence and freedom of speech, advance the quality of the majority opinion, and integrate different voices in the society. They also argue that separate opinions enhance collegiality and prepare the society for future change. Originally, separate opinions stemmed from the Seriatim in England, where the Appellate Committee of the House of Lords dealt with appealed cases. As it was a part of a parliament, the opinions of all the members were recorded, and these practices have been continuing even after the establishment of an independent Supreme Court in 2009. US had also used Seriatim until Marshall insisted issuing a single opinion in the Supreme Court. Later with more judges’ dissents, current style of judgment, a majority opinion with separate opinions, grew to be the norm. On the other hand, in civil law countries, traditionally separate opinions had been strictly prohibited according to the judges’ duty to keep the secrecy of deliberation. After much debates, Germany accepted separate opinions only to constitutional court, but not to normal courts. France and most other civil law countries also do not allow separate opinions, although there are a few civil law countries where they have a clear statutes which allow the publication of separate opinions, sometimes with a few reservations on constitutional or criminal matters, or with a restriction on the measure or range of publication. The Korean Court Organization Law stipulates that the Supreme Court’s judgment shall include all the opinions of justices. As Korea is originally a civil law country, such article is known to be established under the influence of US. Although there is no specific article on separate opinions of the lower court, considering that separate opinions are a unique product of the court system of England and US and that countries with separate constitutional courts usually don’t allow separate opinions in normal courts, and also taking the different appeal system, judge selection and role of the court into consideration, the secrecy of deliberation in Korea should be interpreted to include the prohibition of separate opinions, with the exception to the Supreme Court’s judgment. However, as Korea is rapidly adopting many of the common law systems in judge selection process or chamber composition, etc, it might be a good solution to revise the law to allow separate opinions in civil appeal’s case, on a legal matter, with the consent of all the judges in the panel. 몇 년 전 하급심판결문에서 소수의견을 기재한 사례가 등장하여 관심의 대상이 된 바 있다. 일반적으로 소수의견 반대론자들은 법원이 단일한 의견을 공표하는 것이 법관 개인에 대한 공격으로부터 법관의 독립성을 지켜주며, 판결과 법권의 권위를 높여주고 법적 안정성과 신뢰감을 제공해 준다고 주장한다. 또한 반대론자들은 소수의견이 재판부의 동료적이고 협력적인 분위기를 해하고 합의절차과 심리 비용을 불필요하게 증가시킨다고 주장한다. 반면 소수의견 찬성론자들은 소수의견의 기재는 오히려 법관의 내부적 독립성을 유지해 주고 표현의 자유를 보장해 주며, 다수의견을 질적으로 향상시키고, 사회통합적인 기능을 행한다고 주장한다. 또한 동료적 협력관계가 오히려 증대되며 변화가능성에도 대비할 수 있게 해준다는 점도 든다. 본래 소수의견은 영국의 개별의견제도(Seriatim)에서 유래한 것으로, 영국에서는 독립된 법원이 아닌 의회의 한 위원회(House of Lords, Appellate Committee)가 상소 사건을 처리하였으므로, 의회의 다른 모든 기록과 마찬가지로 각 위원들의 개별 의견이 모두 기록되었으며, 이러한 관행은 2009년에 대법원이 별개 기관으로 독립한 후에도 계속되고 있다. 영국의 개별의견제도는 미국으로 건너가 초기에 그대로 시행되다가 마셜 연방대법원장이 단일한 의견을 기재하는 관행을 시행하면서 폐지되었으나, 이후 단일 의견에 반대하는 법관들이 나타나면서 현재와 같은 다수의견, 소수의견 방식의 판결문 기재 방식으로 굳어졌다. 반면 대륙법계 국가에서는 전통적으로 합의의 비밀유지 원칙에 따라 소수의견 기재는 금지되어 왔고, 독일에서는 많은 논쟁 끝에 헌법재판소에 대해서만 소수의견 기재를 허용하고 있으나, 대법원에서는 소수의견을 기재하지 않도록 하고 있고, 프랑스나 기타 다수 국가에서 여전히 소수의견 기재를 허용하지 않고 있다. 대륙법계 국가에서도 소수의견 기재를 허용하는 사례도 있으나, 법문에 명시적인 규정을 두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헌법적인 문제나 형사사건은 제외하거나, 기재 방식 및 범위를 제한하는 경우가 있다. 우리나라는 대륙법계 국가임에도 법원조직법에서 대법원 재판서에는 합의에 관여한 모든 대법관의 의견을 표시하도록 규정하고 있는데, 이는 해방 후 미군정 시기에 미국의 영향을 받은 규정으로 알려져 있다. 그 외에 하급심의 소수의견에 대해서는 명시적인 규정은 없으나, 소수의견제도는 기본적으로 영미의 독특한 법원 재판제도 발전과정에서 유래한 것인 점, 법원과 별도의 헌법기관을 두고 있는 국가의 법원에서 소수의견 제도를 허용하는 사례 역시 많지 않은 점, 기타 영미법계 국가와 대륙법계 국가의 심급구조와 법관의 구성, 법원의 역할에 대한 관점의 차이 등에 비추어 보면, 대륙법계 국가인 우리나라에서는 법원조직법이 규정하는 합의의 비공개 원칙에 따라 소수의견 기재는 원칙적으로 허용되지 않지만, 명문 규정에 의하여 대법원 사건에 한하여 그 예외를 인정한 것이라고 봄이 상당하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도 경력법관 임용제도가 실시되고 대등재판부가 구성되는 등 영미법적인 요소가 빠르게 도입되고 있는 점 등을 감안하면, 민사사건의 항소심에서 법리적인 문제에 한하여 합의부 구성원 전원이 소수의견 공개에 찬성하는 경우에 한하여 소수의견을 공개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합리적인 개선방 ...

      • KCI등재

        COVID-19 학습환경에서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전이동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조인영,윤지영,김자숙 국제차세대융합기술학회 2023 차세대융합기술학회논문지 Vol.7 No.6

        본 연구는 COVID-19로 비대면수업을 경험한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전이동기에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본 연구 대상자는 COVID-19로 인해 비대면수업을 경험한 3학년 간호대학생 220 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2021년 4월부터 5월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6.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학과만족도, 의사소통능력, 평가염려완벽주의, 성별, 학교의 지리적 위 치가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전이동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임상실습전이동기를 52.8%를 설명하였다. 이에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전이동기와 임상실습전이를 향상시키기 위한 간 호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검증을 제언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factors influencing the nursing practice transfer motivation of nursing students who experienced untact learning in theoretical and in-class practice courses during the COVID-19 situation. The study employed a descriptive research design and utilized data analysis.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from April to May 2021, and the participants consisted of 220 nursing students.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WIN 26.0 program. Through multiple regression, the main variables accounted for 52.8% of the variance in nursing practice transfer motivation. Department satisfaction emerged as the strongest predictor for nursing practice transfer motivation among nursing students, followed by communication competence, evaluative concern perfectionism, gender, and location of the university. Based on these findings, it is recommended that a nursing education program be established and verified to promote nursing practice transfer motivation and practice transfer.

      • KCI등재후보

        A new record of Acanthogorgia species (Octocorallia: Alcyonacea: Holaxonia: Acanthogorgiidae) from Korea

        조인영,황성진 국립생물자원관 2018 Journal of species research Vol.7 No.1

        In 2017, during a survey of the anthozoan fauna in the Hallyeohaesang National Park in the South Sea, several Acanthogorgia specimens were collected from the subtidal zone. Through taxonomic analysis, one species, Acanthogorgia densiflora Kükenthal & Gorzawsky, 1908, was found to be previously unreported from Korea, and was, therefore, newly added to the list of Korean anthozoan fauna. This species is distributed on the slopes of the rocky substratum between depths of 14 and 24 m. Including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ten species of the genus Acanthogorgia have thus been reported from the Korean waters until now.

      • KCI등재

        북한이탈주민의 시장경제에 대한 태도

        조인영,박종민 고려대학교 정부학연구소 2020 정부학연구 Vol.26 No.2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analyze the North Korean defectors’ attitudes towards the market economy and to examine the factors affecting their attitudes based on economic hypotheses, socialization hypotheses, and class hypotheses. Despite various educational and financial support for the North Korean defectors' adaptation to democracy and the market economy, there has not been sufficient accumulation of theoretical and empirical research analyzing their adaptation to the South Korean society. According to our findings, the North Korean defectors showed a relatively positive attitude towards the various elements of the market economy, but their support was largely explained by their economic and political class in the North, rather than the recent economic conditions, the timing of the defection, the length of the experience in the North, or the education level in the South/North. In particular, previous political elites’ attitude towards the market economy was more negative, while that of the economic elites was more positive. This suggests that the class gap before and after defection or nostalgia for past social class may cause dissatisfaction with the present system or lead to a delay in adaptation. In conclusion, this study theoretically and empirically contributes to the study of the North Korean defectors’ adaptation to the liberal market economy through the systematic analysis of the survey data. 이 논문은 북한이탈주민의 시장경제에 대한 태도를 분석하며, 이들의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경제적 가설, 사회화 가설, 계층 가설을 통해 검증한다. 북한이탈주민의 탈북 이후의 적응을 위해 다양한 교육적, 재정적 지원이 있었으나, 막상 탈북 이후 이들의 남한 사회에 대한 적응 및 시장경제에 대한 태도에 대해 이론적, 경험적으로 체계적인 연구와 분석이 누적되지는 않았다. 분석 결과, 북한이탈주민은 시장경제의 다양한 요소에 대해 비교적 긍정적인 태도를 보였으나, 이들의 시장경제에 대한 지지는 경제적 여건, 탈북 시기나 북한에서의 삶의 비중, 또는 남한에서의 교육 여부보다는 탈북 이전 북한에서의 경제적, 정치적 계층에 의해 상당 부분 설명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정치적 엘리트 출신일수록 시장경제에 대한 태도는 부정적이었으며, 경제적 엘리트 출신일수록 시장경제에 대한 태도는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나, 탈북 이후 계층 격차로 인한 괴리 또는 출신 성분의 유산이 현 체제에 대한 불만을 유발하거나 적응의 지체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암시한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는 설문조사 데이터의 체계적 분석을 통해 북한이탈주민의 체제 적응에 관한 연구에 이론적, 경험적으로 기여한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