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학교 수석교사의 경험과 인식에 기반한 컨설팅장학 실태 분석

        이필남,조호제 한국열린교육학회 2014 열린교육연구 Vol.22 No.2

        본 연구는 수석교사의 컨설팅장학 경험과 인식을 분석하고 컨설팅장학의 문제점과 개선할 점 그리고 발전방안에 대한 의견을 들어 컨설팅장학의 내실화를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연구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전국의 초등학교 수석교사 194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수석교사는 컨설팅장학을 실시함에 있어서 필요시 생략도 가능하지만 의뢰인의 요청에 의한 절차를 암묵적으로 따르기보다 기본적으로 컨설팅장학의 절차에 충실하게 임해야 하며, 나아가 이를 의뢰인에게 권장해야 것이다. 둘째, 수석교사는 교과수업 이외의 다양한 영역에서 컨설팅장학이 가능하도록 문해력을 갖추어야 할 것이다. 셋째, 수석교사의 컨설팅 역량 제고를 위해서 교육부나 교육청에서는 수석교사를 대상으로 한 컨설팅장학의 연수를 강화하되 지금까지 실시한 강의 중심의 연수 형태를 벗어나 영역별로 세분화하여 실습을 중심으로 참여하는 형태의 연수를 통해 전문성을 길러주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또한, 교육청이나 단위학교에서는 수석교사가 컨설팅장학에 적극 참여할 수 있도록 행정적인 지원이 있어야 하겠다. 넷째, 컨설팅장학의 효과를 극대화시키기 위해서 개인이나 소규모 그룹 등을 포함하여 다양한 구성과 형태로 교사가 자발적으로 컨설팅장학에 참여하도록 제도적인 장치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elementary school master teachers' experiences and perception of consultative supervision and to provide implications to enhance their consultative supervision competency supposing that master teachers can play a significant role as a consultant. For this purpose, the study used the survey results of 194 elementary master teachers' experiences and perception of consultative supervision during the 1st semester of 2013. The study suggested following implications based on the findings. First, master teachers should follow rules and procedures of consultative supervision in principle although it is possible to cut short if necessary, and they should encourage clients to follow rules and procedures. Second, master teachers should increase their literacy not only on course teaching but also on various areas such as class management, student life guidance, and curriculum. Third, in order for master teachers to increase consulting competency, the ministry of education or educational offices should intensify training based on practice by specialty areas. In addition, administrative support for master teachers to actively participate in consultative supervision should be increased. Fourth,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consultative supervision, it is necessary to devise measures to encourage teachers as clients themselves to voluntarily participate in consultative supervision by groups or by individual teachers.

      • KCI등재후보

        국립대학 법인화에 관한 구성원의 인식 분석

        이필남,이정미,김철회,오세희 한국교육정치학회 2010 敎育政治學硏究 Vol.17 No.4

        This study is to provide policy suggestions based on the perception of Korean national universities' academic and administrative staff about national university's incorporation,which has been a controversial policy over the past decade. It is of great importance to examine subjects' perspectives to successfully carry out a government policy and the study used a questionnaire asking how national university staff evaluate the past government work on incorporation, whether or not they agree with the policy and on what conditions. The results suggest that national university's staff is negative about the policy implementation despite their agreement on national universities' lack of autonomy, accountability, and efficiency. More than half of subjects disagreed with incorporation of their university, but they felt necessary to give more autonomy to national universities in the area of finance & accounting, organization and personnel matters. Even for those who agreed with incorporation in principle, they answered steady financial assistance from the government and job security should be promised prior to incorporation. For the incorporation policy to be successfully conducted, the government should consider progressive financial actions in favor of incorporated universities. 이 연구는 국립대학의 법인화에 관한 국립대 구성원의 인식을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정책 제언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전국 37개 4년제 국립대학(서울대, 방송통신대 제외)의 교직원과 비교적 객관적인 시각을 가진 것으로 판단되는 전문가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국립대학 구성원들이 그간의 법인화 정책을 어떻게 평가하는지 확인한 결과, 국립대 운영상 문제점에 대하여는 대체로 동의하나 정책수단(법인화)의 타당성에 대하여 부정적이었고, 정책결정 과정이 민주적이지 않았다고 평가했으며, 정책내용의 적합성도 미흡하다고 보고 정책의 실현가능성에 대하여도 회의적이었다. 법인화에 대한 반대의견이 우세하였으나, 재정·조직·인사의 자율화는 필요하다는 의견이 압도적이었고, 안정적인 재정 확보 및 교직원 신분안정 보장이 가장 중요한 법인화 선결조건이었다. 대학경쟁력 제고라는 기대효과에는 부정적이면서 정부 재정지원 축소 등에 대한 우려가 높았다. 거버넌스, 재정·회계, 조직·인사, 성과평가 부문별로 법인화 이후 예상되는 변화와 과제를 도출한 결과, 법인화 정책이 성공적으로 추진되기 위해서는 특히 재정과인사 차원에서 적극적 조치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분석결과를 기초로 향후 국립대학 법인화 정책 추진을 위한 제언을 도출하였다.

      • KCI등재

        교원 임용시험 지원자의 사교육비 지출 실태와 영향

        이필남,유정석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022 敎育財政 經濟硏究 Vol.31 No.2

        이 연구는 대졸자직업이동경로조사 최근 5개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교육대학과 4년제 대학 교육계열 출신 졸업생 중 교원 임용시험 지원자의 사교육비 실태를 분석하고, 사교육비가 임용시험 합격에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였다. 초등과 중등 임용시험 지원자의 표본을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초등 임용시험 지원자의 시험 준비기간 동안 월평균 사교육비는 약 31만원이고, 학원 수강을 주로 활용하는 경우 47만원, 학교 내 특강을 활용하는 경우 22만원으로서, 준비방법에 따라 사교육비 차이가 있었다. 둘째, 중등 임용시험 지원자의 시험 준비기간 동안 월평균 사교육비는 약 42만원으로서 가구소득이 높을수록 사교육비 지출 수준이 높았고, 학원 수강의 경우 여타 준비방법보다 훨씬 더 많은 사교육비를 지출하였다. 대학서열이 높을수록 사교육비 지출 수준이 낮았고, 국공립보다 사립대학 교육계열 출신 임용시험 지원자의 사교육비 지출 수준이 더 높았으며, 임용시험 합격자가 불합격자보다 사교육비 지출 수준이 낮았다. 셋째, 초등 임용시험 지원자 표본의 94%가 시험에 합격하였는데, 로짓분석 결과 사교육비는 합격 확률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여학생일수록, 학원 수강 대비 인터넷 강의 또는 그룹스터디 방법을 활용할수록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합격 확률이 높았다. 넷째, 중등 임용시험 지원자 표본의 35%가 시험에 합격하였는데, 로짓분석 결과 사교육비는 합격 확률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남성일수록, 연령이 낮을수록, 학점과 대학만족도가 높을수록, 시험 준비기간이 짧을수록, 그룹스터디를 활용할수록, 근로를 병행할수록, 취업목표 설정시기가 빠를수록 임용시험 합격 확률이 높았다. 또한, 국공립대학, 상위서열 대학 출신일수록 임용시험 합격 확률이 높았다. 결론적으로, 교원 임용시험은 일반 공무원 시험과는 달리 계층적인 변수의 영향력이 없고, 교사자격증 소지자라는 자격 제한으로 인해 일정한 교사교육과정을 거친 대상자에 대해 능력주의적 선발 기제로 작동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교원 임용시험을 준비하는 대학생, 교원 양성기관, 그리고 교사 선발시험을 주관하는 정부 차원의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The impact of Korea’s National Scholarship program on college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이필남 한국교육개발원 2014 KEDI Journal of Educational Policy Vol.11 No.2

        This study investigates the impact of eligibility for Korea’s National Scholarship program, a need-based grant for low- and middle-income college students, on students’ GPA by using a regression discontinuity approach. Type I grant-eligible low-income students near the cutoff score for grant eligibility achieve lower GPA scores than ineligible students; the impact is notable for students from the lowest income class attending public institutions. Type II grant eligibility does not have a distinct effect. The findings do not support the human capital theory-based hypothesis that grant aid contributes to increasing student academic achievement. However, low-income college students near the cutoff are responsive to financial incentives and adjust their efforts accordingly. We suggest policy implications concerning academic requirement, aid amount, and predictability of aid awards.

      • KCI등재

        The impact of performance funding on institutional performance over time: evidence from South Korean universities

        이필남,곽진숙,김준엽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2015 Asia Pacific Education Review Vol.16 No.4

        Performance funding for higher education has gained popularity in many countries, but its impact on institutional performance remains unclear. This study investigates the impact of performance funding on the institutional performance of Korean universities over time. The institutional performance indicators used include graduates’ employment rate, student retention rate, financial aid per student, expenditure per student, and faculty-to-student ratio. Using longitudinal data of 160 4-year universities from 2008 to 2013, we employed a multilevel growth modeling strategy. The results indicate that institutions with more funding through the Education Capacity Enhancement Program sustained higher employment rate, retention rate, and faculty-to-student ratio in 2013, while employment and retention rates of less-funded institutions grew faster over time after controlling for 2008 status and institutional characteristics. This evidence demonstrates that the performance funding program in Korea encouraged institutions to focus on the most important performance indicators, resulting in a funding effect and a motivational effect. We suggest policy implications for the future development of performance funding as well as appropriate use of performance indicators.

      • KCI등재

        학습자 중심 교수 활동이 교육격차에 미치는 영향

        이필남,홍지인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1

        Objectives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s of student-centered teaching on educational gaps in Korea. Methods Using PISA 2018 data of 5,795 Korean high school students, this study employed HLM models to explore how teacher’s feedback, encouragement of student engagement, and adaptive instruction affect reading competence, joy of reading, and perception of competence in reading according to different socioeconomic status(SES) of students. Results Teacher’s feedback had a positive influence on joy of reading and perception of competence in reading of high SES students while it did not influence joy of reading and had a negative influence n low SES students’ perception of competence in reading. On the contrary, adaptive instruction had a positive influence on low SES students’ perception of competence reading, which revealed that adaptive instruction contributes to reducing educational gaps. Conclusions This study found that student-centered teaching did not have differential effects on high vs. low SES students’ competence in reading while it had varying effects on high vs. low SES students’ joyr of reading and perception of competence in reading. Particularly, it is notable that adaptive instruc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low SES students’ perception of competence in reading. 목적 본 연구는 학습자 중심 교수 활동이 가정배경에 따른 교육격차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PISA 2018 한국 자료의 고등학교 1학년 학생 5,759명을 대상으로 위계적 선형(HLM) 모형을 적용하여 교사피드백, 학생 참여 촉진, 학생 맞춤 교수라는 3가지 학습자 중심 교수 활동 요인이 학생의 읽기 성취도, 흥미,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분석하였다. 학습자 중심 교수 활동이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이 사회경제적 배경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검증하기 위해 상호작용 분석을 포함하였다. 결과 교사 피드백이 상위 SES 학생의 읽기 흥미와 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하위 SES 학생의 읽기 흥미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효능감에는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아서 학생의 가정배경에 따른 교육격차가 커지는 양상을 보였다. 학생 맞춤 교수는 상위 SES 학생의 효능감에 아무런 영향을 주지 않았으나 하위 SES 학생의 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어 교육격차가 줄어드는 결과를 보였다. 결론 이 연구는 대규모 자료를 사용하여 학습자 중심 수업이 가정배경이 상이한 학생들의 성취도에 차별적인 영향을 주지는 않지만, 흥미와 효능감에는 차별적 영향을 주고, 특히 학생 맞춤 교수가 하위 SES 학생의 효능감에 긍정적 영향을 준다는 사실을 밝혔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