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춘향의 신분 정체성을 통해 본 이몽룡의 인물 형상 -완판본을 대상으로-

        이상일 ( Lee Sang-il )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011 고전문학과 교육 Vol.22 No.-

        이 논문은 <춘향전>에서 여주인공 춘향에 비해 상대적으로 주목을 받지 못했던 남자 주인공 이몽룡의 인물 형상을 고찰하였다. 이를 위해 우선 춘향의 신분 문제를 중심으로 <춘향전>의 서사구조를 검토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이몽룡의 인물 형상을 고찰하였다. <춘향전>에서 춘향의 신분은 작품의 주요 갈등과 관련되는 중요한 서사적 요소이다. 이때 문제시되는 춘향의 신분은 ‘기생이다, 기생이 아니다’라고 하는 명목적 신분이나 춘향 자신과 다른 인물들이 ‘인식하는’ 신분이 아니라 춘향이 일관되게 지켜내고자 하는 가치와 신념으로서의 ‘이념적 신분’이다. 춘향이 변학도의 폭압에 항거하면서 지켜내고자 하는 이몽룡에 대한 사랑과 절의는 여염집 여인이 갖추어야 윤리적 가치에 기반하고 있으며, 이러한 여염 여인으로서의 의식이 바로 춘향의 신분 정체성을 이룬다. <춘향전>은 춘향의 신분 정체성 인정 문제를 두고 춘향, 변학도, 이몽룡이 표면적 또는 심층적으로 대립하는 구조로 되어 있으며, 춘향의 신분적 정체성이 공인되어 가는 서사적 과정으로 진행된다. 이몽룡의 인물 형상을 살펴보면, 우선 이몽룡은 고전소설의 전형적 인물 유형인 재자가인의 이미지를 지닌 인물이며, 춘향과의 사랑에 있어서는 순진무구한 소년의 내면을 보여주는 인물이다. 그러나 이몽룡은 춘향의 신분 정체성에 대해서는 쉽게 인정하지 않는, 변학도와 유사한 입장을 취하는 인물이기도 하다. 춘향의 신분 정체성에 대하여, 변학도가 춘향을 직접적으로 탄압하면서 표면적인 갈등 관계를 형성하고 있는 인물이라면, 이몽룡은 그녀의 신분 정체성을 인정하지 않음으로써 심층적 갈등 관계에 있는 인물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춘향전>의 남자 주인공 이몽룡은 변학도와 함께 작품의 주요 반동 인물이라 할 수 있다. 변학도가 춘향과 격렬하게 대립하는 표면적 반동 인물이라면, 이몽룡은 춘향의 신분 정체성에 대한 심층적 반동 인물인 것이다. 이렇듯 이몽룡은 춘향과의 개인적인 관계에 있어서는 연인이면서도, 신분 정체성의 문제에 있어서는 춘향과 대립하는 이중적 인물로서, <춘향전>의 서사구조에서 주요 갈등의 축을 이루는 인물이라는 점에서 남자주인공으로서 그 서사적 의미와 위상이 재고되어야 할 것이다. This paper aims to reveal Chunhyangjeon's hero, Lee Mongyong's character by investigating the structure of story. Johari window provide a point of view to study Lee Mongyong In Chunhyangjeon, heroin main character Chunhyang's position is important narrative element related to major conflict; the focused position is not Chunhyang's nominal position said 'she is a gisaeng', she is not a gisaeng', not the position that other characters accept, but her identity as a middle-class(or upper class) woman. Chunhyang's identity is the ideological position she is to adhere to. Her devoted love and chastity for Lee Mongyong is based on ethical creed as a middle-class woman, such a creed is a her identity. Chunhyangjeon is a story on accepting or rejecting Chunhyang's identity among three character, Chunhyang, Lee Mongyong, Byun Hak-do. Chunhyang comes into visible conflict with is Byun Hak-do and invisible conflict with Lee Mongyong. Chunhyangjeon's storyline is the narrative that Chunhyang's identity is recognized gradually. Let's examine into Lee Mongyong's character. He is a wit and beauty of Korean pre-modern novel and a naive boy in touch with his emotion. But on the other hand he is a conflictory character in that he doesn't accept Chunhyang's identity. In this regard he is similar to Byun Hak-do. So Chunhyangjeon's hero character, Lee Mongyong is a major conflictory characer like Byun Hak-do. Byun Hak-do create a outer, visibe conflict to Chunhyang, Lee Mongyong is in deep and invisible antagonistic relationship with Chunhyang. In short, Lee Mongyong is an invisible antagonist in Chunhyangjeon. He is a Chunhyang's lover in private but socially an antagonist about the matter of Chunhyang's identity. So we need to reexamine and revalue Lee Mongyong of Chunhyangjeon's hero character.

      • KCI등재

        退溪ㆍ高峯 四七論辨의 인식논리와 그 의미

        이상하(Lee, Sang-Ha) 영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07 人文硏究 Vol.- No.53

        退溪 李滉과 高峯 奇大升의 四七論辨은 우리 사상사의 가장 큰 흐름의 始源이 되었다는 점에서 매우 큰 의미가 있다. 이 논변에서 퇴계는 사단과 칠정을 나누어 보고 고봉은 사단과 칠정을 합하여 보았다. 고봉은 ‘사단은 칠정에 속하는 것이므로 전체인 칠정과 그 부분인 사단을 상대하는 개념으로 설정할 수 없다’고 하고, 퇴계는 ‘마음의 작용인 情의 일반적인 개념을 말할 때에는 칠정이 情 전체를 포괄하는 것이므로 理ㆍ氣의 합일로 말할 수 있지만 사단과 칠정을 상대하여 말할 경우에는 사단을 理 쪽에, 칠정을 氣쪽에 각각 분속할 수 있다.’고 하였다. 퇴계의 설을 互發說이라 한다. 이 논변에서 理ㆍ氣를 퇴계와 같이 나누어 보는 것을 分開라 하고, 고봉과 같이 합하여 보는 것을 渾倫이라 한다. 논변을 결말에서 고봉은 퇴계의 호발설을 긍정한다. 원래 고봉이 퇴계의 호발설을 부정했던 이유는 칠정은 理ㆍ氣를 겸하는데 칠정을 사단과 對擧하여 사단을 理發, 칠정을 氣發이라 하면 칠정중의 理-邊이 사단에게 점유되어 칠정의 善惡은 전적으로 氣에서만 나오는 것이 된다는 것이었는데 性에 本然과 氣質의 구별이 있듯이 情에서도 사단과 칠정을 理와 氣에 각각 分屬할 수 있다고 한 퇴계의 주장에 동의한 것이다. 그러나 고봉은 ‘사단과 칠정이 心中에서부터 소종래가 다르다’고 하고, 맹자의 喜, 舜의 愁, 공자의 哀ㆍ樂을 氣發이라 한 퇴계의 주장에는 반대하였다. 이에 퇴계는 고봉의 견해를 받아들였고, 후일에 퇴계는 자신의 정설을 집약한 ≪聖學十圖≫의 〈心統性情中圖〉에서 고봉의 설을 수용하였다. 이 논변에서 퇴계는 혼륜과 분개란 용어를 사용하여 理와 氣를 하나로 합쳐서 보기도 하고 둘로 나누어 보기도 해야 한다고 주장 했다. 朱熹가 이기론에만 사용하던 혼륜과 분개의 개념을 심성론에 적용, 性情의 개념 및 情의 전체성과 변별성을 정밀히 분석해 낸 것은 퇴계가 이뤄낸 큰 학문적 성과라 아니할 수 없다. 한편 퇴계의 호발설을 반박하다 보니 고봉은 혼륜 쪽에만 치우쳤고, 고봉의 설을 대응하는 퇴계는 혼륜과 분개 양자의 균형을 잃고 분개 쪽에 치우쳤다. 두 학자는 서로 상대편의 치우침을 경계하는 과정에서 자신의 논리를 더욱 정교하게 다듬을 수 있었다. 그리하여 이 논변이 향후 조선의 성리설 논쟁에 가장 큰 爭端이 될 수 있었던 것이다. 조선의 성리학은 黨爭의 와중에서 지나치게 감정이 격화되어 理氣論에서도 상대방을 공격하기 위한 논거를 찾는데 급급했다는 점에서는 당연히 비판을 받아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부정적인 측면이 위 고봉과 퇴계의 비유처럼 서로 치우치는 면을 경계한다는 측면에서는 긍정적으로 작용히여 주자학의 理氣心情論을 더욱 深化할 수 있었다. 그리하여 조선 후기의 성리학에 이르러서는 가장 정밀한 인식 논리의 틀 위에서 모순으로 보일 수 있는 성리학의 복잡다단한 학설들을 會通, 매우 발전한 이기심성론을 구축할 수 있었다. The Sadanchiljungron (the Four Ideas and Seven Passions Theory) developed by Lee Hwang whose pen name is Toigye and Ki, Dae-seungwhose pen name is Gobong has a great meaning in that it is an origin of the largest flow of Korean ideological history. Toigye divided the Sadan and Chiljung while Gobong considered two of them as one. Gobong insisted that as Sadan belongs to Chiljung, Chiljung as whole of the theory and Sadan as the part can not be defined as opposite.’. Toigye suggested that’ for the general concept of passion, as Chiljung includes the whole passions, the Lee(truth) and the Ki(energy) can be united as one. However, he also said that if the Sadan is considered as opposite to the Chiljung, the former belongs to the Lee and the latter belongs to the Ki. The theory developed by Toigye is called the Hobalseol (Sadan belongs to Chiljung and vice versa). In this debate, division of Lee from Ki as indicated Toigye is considered as Bungae and addition as indicated Gobong as Honryun. Gobong affirmed the Hobalseol by Toigye in the end of the debate. The reason why Gobong negated the Hobalseol by Toigye is presented as follows: As he thought, as the Chiljung included the Lee(truth) and the Ki(energy), if the Sadan is considered as Leebal (Reason originates from mind) and the Chiljung is considered as Kibal (Fnergy originates from mind), Leeilbyeon of the seven passions is occupied by the Sadan, the good and evil from the seven passions originates only from the Ki. He agreed to the idea of Toigye that the Sadan and the Chiljung can belong to the Lee and the Ki respectively as the natural character is differentiated from the disposition in Sung(nature). However, Gobong suggested that ’ the Sadan is different from the Chiljung in nature and negated the suggestion by Toigye that Joy by Mencius, Anger by Sun, and Sorrow and Pleasure by Confucius are originated from Ki (Energy). Later, Toigye accepted Gobong’s idea in the collection of the <Sim-tong-sung-jung-jung-do> from 《Sunghaksipdo》 which integrated his theories. In this debate, Toigye insisted that Lee and Ki may be combined and divided with a use of terms of Honryun(combination) and Bungae (Division). He applied the concepts of the Honryun and Bungae used for the Lee and Ki Theory developed by Juhee for the Simsungron (Nature Theory) and analysed the concepts of the nature, and the totality and differentiability of the passion, which is a great academic achievement. However, Gobong was inclined into the Honryun by refuting the Hobalseol by Toigye and Toigye who resisted against Gobong’s theory lost the balance between Honryun(combination) and Bungae (Division) and was inclined to Bungae. The two scholars elaborated the logics of their theories in the process of watching against each inclination more delicately. So, this debate became the greatest cause of the debate on Confucianism in Josun Period. In respect to the Confucianism of Joseon period, the parties deserved being criticized in that they were busy in finding a basis of an argumentation by attacking the opposite party as party strifes caused violent feeling. However, the aspect that the negative aspect watched against being biased as indicated by Gobong and Toigye works positively, which further intensified the Lee and Ki Nature Theory in Confucianism Therefore, the Confucianism of Joseon period was able to establish more advanced theory on the Lee and Ki by interpreting complex Confucian theories which were considered as contradictory in the frame of precise recognition theory for the Confucianism of the late Joseon Period.

      • KCI등재후보

        한국 성리학 主理論의 발전 上에서의 大山 李象靖 - 寒洲 李震相에 끼친 영향을 중심으로

        이상하(Lee Sang-ha) 대동한문학회 2006 大東漢文學 Vol.25 No.-

          조선조 성리학에서 영남학파의 큰 흐름은 退溪 李滉-葛庵 李玄逸-大山 李象靖을 거쳐 寒洲 李震相에 이르러 理發一途를 주장, 主理論의 절정에 이른다. 이 글에서는 성리학의 인식논리와 관련하여 영남학파 主理論의 발전의 과정과 한주가 자기 학설의 논거로 사용한 대산의 설들을 살펴봄으로써 영남학파 주리론의 발전 上에서의 대산의 위상을 究明하였다.<BR>  退溪는 高峯 奇大升과의 四七論辨에서 자신이 四端·七情을 理發·氣發로 나누어 규정하는 논리적 근거로 渾淪看과 分開看이란 용어를 제시하였다. 이와 같은 용어는 이미 주자가 理·氣의 관계를 설명할 때 사용한 것이다.<BR>  寒洲 李震相는 위 혼륜간과 분개간을 竪看·橫看·倒看으로 더욱 나누었다. 그리하여 그는 주로 수간에 의하여 心의 本然은 理임을 주장하였는데 이것이 영남학파 주리론의 절정이라 할 心卽理說이다.<BR>퇴계와 고봉에게서 비롯한 사칠논변은 栗谷 李珥가 氣發一途說을 주장하여 퇴계의 互發說을 비판하면서 영남·기호 양학파간의 첨예한 論戰으로 전개된다. 영남학파에서 율곡의 학설을 본격적으로 비판하고 나선 학자는 갈암이다. 갈암은 율곡의 氣發一途說을 비판, 分開看을 강조하여 理·氣는 二物이므로 사단과 칠정도 그 근저에서 구별하지 않을 수 없다는 것이다. 그는 이에 더 나아가서 사단과 칠정의 구별은 그것이 발하기 전에 이미 心中의 근본에서 다르다는 주장을 하게 된다.<BR>  대산은 갈암 이후로 주로 분개간 쪽에만 치중한 영남학파의 四七說의 단점을 보완, 혼륜간을 함께 중시하였다. 그는 사단과 칠정이 각각 다른 길로 발하는 것이 아니라 한 길로 발하되 발할 때 각각 主가 되는 바를 가리켜 理發·氣發이라 한 것일 뿐이며 칠정도 그 本然은 性이 발한 것이라 했다. 칠정도 性이 발한 것이라는 설은 혼륜간에 의한 것으로 퇴계의『聖學十圖』중 心統性情中圖의 설에 부합한다.<BR>  한주는 자신의 학설이 퇴계의 정설에 어긋나지 않음을 힘써 증명해야 했는데 이 때 한주는 주로 대산의 설을 많이 인용했다. 그래서 한주의 저술에 朱子·퇴계 외에 가장 많이 논거로 인용된 것이 대산의 설이다.<BR>  한주는 대산도 七情理發을 인정했다는 증거가 분명히 있고, 그의 제자인 立齋 鄭宗老도 대산의 설을 이어 七情理發을 분명히 주장했다고 했다. 그리고 한주는 당시 영남학파를 대표하는 학자인 定齋 柳致明과 토론에서도 대산의 설을 근거로 들어 반박하였다.<BR>  한국 성리학 주리론의 발전 상에서 대산은 갈암 이후 분개간에 치우친 영남학파 성리설의 치우친 점을 바로잡고, 퇴계의 心統性情中圖에서 발원한 七情理發說을 복원, 발전시켜 한주에게로 이어지게 한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고 할 수 있다.   The largest trend of Youngnam School in Korean Confucianism reached to the peak when Hanjoo Lee Jin-Sang suggested Lee-bal-il-do through Toigye Lee Hwang, Galam Lee Hyeon-Il and Daesan Lee Sang-Jung. This study speculates the developmental process of Chuli in respect to the cognitive logic of Confucianism and Daesan"s theories used by Hanjoo as a base of his theory to identify Daesan"s status in the development of Chuli.<BR>  The Sachil originated by Toigye and Gobongwas developed into sharp debates between Yongnam School and Kiho School when Yoolgok Lee Yi criticized Toigye"s Ho-bal-seol suggesting Ki-bal-il-do. It was Galam in Youngnam School who criticized Yoolgok"s theory. He criticized the Ki-bal-il-do and emphasized Bun-gae-gan that the bases of Sadan and Chiljung should be differentiated as Ri and Ki are two different matters. He further suggested that the bases of Sadan and Chiljung are different even before they are differentiated. Daesan complemented disadvantages of Sachilseol of Youngnam School which was inclined to Bungaegan after Galam and focused on Honryungan, too. He suggested that Lee-bal and Kee-bal are created when Sadan and Chiljung are united into one way rather than two different ways and the origin of Chiljung is Sung. The theory that Chiljung is originated from Sung is originated from Honryungan which meets Sim-tong-sung-jung-joong-do of the Sung-hak-sip-do by Toigye.<BR>  Hanjoo had to demonstrate that his theory was not against the theory of Toigye when he usually cited Daesan"s theory. So in addition to Jooja and Toigye, Daesan"s theory was cited in Hanjoo"s books.<BR>  Daesan in the development of Chuli in Korean Confucianism corrected inclined Confucianism in Youngnam School which focused on only Bungaegan after Galam, rehabilitated Chil-jung-il-bal-seol originated from Sim-tong-sungjung-joong-do by Toigye and inherited it to Hanjoo.

      • KCI등재

        증 례 : 최소변화콩팥병증이 동반된 골수형성이상증후군 환자에서 스테로이드 치료

        이상아 ( Sang Ah Lee ),임장환 ( Jang Hwan Lim ),장지훈 ( Ji Hun Jang ),장순희 ( Soon Hee Chang ),곽은경 ( Eun Kyoung Kwak ),이덕현 ( Duk Hyun Lee ),이선아 ( Sun Ah Lee ) 대한내과학회 2016 대한내과학회지 Vol.90 No.1

        본 증례는 신증후군과 범혈구감소증이 있는 환자에서 골수형성이상증후군과 최소변화콩팥병증이 동시에 진단된 경우이다. 최소변화콩팥병증은 골수형성이상증후군에 동반된 방종양성 사구체신염으로 생각되며 면역억제제인 프레드니 솔론을 투여하면서 단백뇨의 호전 및 혈액, 골수 소견의 호전을 보인 것으로 보아 발병기전에서 면역체계의 이상이 중요하였음을 알 수 있다. 골수형성이상증후군 특히 모세포증가 불응빈혈-2에서 최소변화콩팥병증의 발생은 국내외에서 처음 보고하는 바이다. Glomerulonephritis associated with malignancy is deemed to be paraneoplastic glomerulonephritis. Myelodysplastic syndrome (MDS) is a group of heterogeneous clonal hematopoietic stem cell disorders characterized by impaired hematopoietic cell differentiation and cytopenia. The pathophysiology of MDS is thought to be immune-mediated in part. A few reports have documented various forms of glomerulonephritis in patients with MDS and suggested that immune dysregulation is important in the development of paraneoplastic glomerulonephritis. Here, we report a patient with MDS and refractory anemia with excess blast-2 accompanied by minimal change nephrotic syndrome. The patient was treated with prednisolone, and the nephrotic-range proteinuria and pancytopenia improved markedly. (Korean J Med 2016;90:63-67)

      • KCI등재

        IT학과와 비IT학과 졸업자간의 노동시장성과 비교분석연구

        이상돈(Sangdon Lee),이상준(Sangjun Lee),이의규(Eekyu Lee),이중만(Jungmann Lee) 한국콘텐츠학회 2009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9 No.5

        본 연구는 IT 졸업자들의 성과를 보기 위하여 IT전공자와 비전공자간의 고용, 임금, 근속기간 등 노동시장의 핵심적인 요인들을 Monte-Carlo와 Calibration 방법인 실증 모형을 통한 추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중 취업에서 실업으로의 이동을 살펴보면, 4년제 IT 전공자는 반복적인 취업에 상관없이 안정적인 근속일수를 보여주고 있으나 비IT학과 전공자의 근속일수는 취업횟수가 반복됨에 따라 줄어들고 있다. IT 관련학과 졸업자들은 여섯 번째 취업까지 비 IT 학과 졸업자에 비해 상대적으로 임금을 더 받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임금효과에 대한 실증 분석에서는 대학졸업자의 능력에 대해 통제한 후 대학에서 IT를 전공한 졸업생의 임금은 비 IT 학과 졸업자들에 비해 0.8% 정도의 임금프리미엄이 있었다. 연구의 시사점으로는 첫째 IT 노동시장은 전문대 수준의 기술을 가진 사람보다는 대학 이상의 수준의 인력에 대한 지속적인 수요가 존재하고 있으며 둘째 임금측면에서 볼 때 개인의 능력을 고려할 경우 임금차이는 비록 통계적으로 유의할 지라도 금액상에서 커다란 차이가 없어 IT 전공의 프리미엄은 임금과 같은 근로조건 보다는 취업, 즉 고용의 가능성과 안정성에 있다하겠다. 끝으로 분석을 IT 산업과 다른 산업과 비교하지 못한 점은 연구의 한계로 지적 하고 싶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labor market outcomes between IT graduates and non-IT graduates in terms of employment, wage, and work period through Monte-Carlo and Calibration method. The empirical result of the movement from work to unemployment implied that IT major graduates have stable work period irrespective of continuous employment, and but the number of work period of non-IT graduates decreases. It also showed that IT related department graduates got relatively paid more than non-IT graduates and IT major graduates was 0.8% higher wage premium than non-IT graduates.

      • KCI등재후보

        의학강좌-개원의를 위한 모범처방 : 이상지질혈증의 진단 및 치료

        이상학 ( Sang Hak Lee ) 대한내과학회 2008 대한내과학회지 Vol.74 No.4

        이상지질혈증 치료의 목적은 지질대사와 그에 따른 혈중농도를 개선함으로써 심혈관계 사건이 생길수 있는 위험도를 낮추는데 있다. 따라서 이상지질혈증 외의 다른 위험요인도 기본적으로 함께 치료해야 한다. 즉 흡연, 고혈압, 당뇨병을 동시에 치료하며, 규칙적인 운동을 하고, 식이치료를 병행하도록 환자를 교육하여야 한다. 스타틴을 이용하여 LDL-C을 낮추는 것이 이상지질혈증 치료의 일차목표이며, 환자에 따라 고중성지방혈증과 낮은 HDL-C의 치료도 고려해야 한다. 약물치료를 할 때는 정기적인 감시를 통해 부작용이 생기는지 알아볼 필요가 있다.

      • KCI등재후보
      • 자기진실성(Authenticity)과 남명 조식의 경의사상(敬義思想)

        이상형 ( Lee Sang-hyung ) 南冥學硏究院 2018 南冥學 Vol.23 No.-

        개인주의와 다원주의로 특징지워지는 현대 사회에 삶에 의미를 부여하는 도덕적 원천이 고갈되고 있다. 이는 현대 사회를 불안사회, 피로사회 등으로 진단하게 하며, 정체성 위기와 자아실현의 어려움을 유발하고 있다. 따라서 필자는 이의 해결 방안으로 찰스 테일러가 주장하는 자기진실성의 이상을 부활시키는 것이 필요하다고 주장할 것이다. 이는 서양 근대 자율성의 이상과 달리 내면의 도덕적 원천을 확인하는 작업이다. 왜냐하면 우리의 내면은 개인의 고유성뿐만 아니라 공동체가 가지는 도덕적 내용을 공유하고 있기 때문이다. 우리의 행동과 삶은 공동체가 공유하는 도덕적 지평에서만 자신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올바른 정체성 형성과 자기실현에 도달할 수 있다. 개인과 공동체의 도덕적 관계에 대한 이런 함의를 우리의 도덕적 공간에서 조식 또한 성과 경을 통해 주장하고 있으며, 이는 곧 조식의 경의사상이 자기진실성의 이상으로 해석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조식의 경의사상에 대한 이런 해석에 기반해 오늘날 개인주의와 나르시시즘을 극복할 수 있는 길을 탐구하며, 이는 또한 조식 사상의 현실성에 대한 하나의 주장이 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rgue that the thought of Josik is actual. Modern times is characterized by individualism and pluralism. Individualism is based on ideals of autonomy. This is characterized by the distance between the individuals and the communities. Eventually the meaning of life is exhausted, and the crisis of identity and the difficulty of self-realization occur. To solve this, Charles Taylor claims an ideal of authenticity. I would argue that this ideal of authenticity is a characteristic of Josik’s thought. Josik insists on confirming my own inner nature through sincerity and reverence. Since sincerity is a principle of heaven, sincerity as a principle of man can function as a practical standard of moral act. And man learns this principle by clearing his mind through the reverence. This gaze on the inner self is the identification of our moral sources. Our moral sources are made up of the meanings of the world. Josik tries to solve the problem of an individual's relationship with the community through sincerity and reverence. We can correctly position our lives and actions in a moral horizon. And through this orientation, moral practice can be meaningful. The ideal of authenticity through the thought of reverence and righteousness will be completed in the practical thought of Josik.

      • YOLO 인공지능 플랫폼을 이용한 이상행동 감시 시스템

        이상락(Sang-Rak Lee),손병수(Byeong-Su Son),박준호(Jun-Ho Park),최병윤(Byeong-Yoon Choi) 한국정보통신학회 2021 한국정보통신학회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Vol.25 No.1

        본 논문에서는 YOLO 인공 지능 플랫폼을 이용하는 이상행동 감시 시스템을 구현하였으며, YOLO 시스템의 one-shot 감지 시스템 사용으로 기존 감시 시스템에 비해 우수한 응답 특성을 갖는다. YOLO 인공 플랫폼은 폭행, 절도, 방화와 같은 이상행동들로 구성된 이미지 세트로 학습되었다. 이상행동 감시 시스템은 서버와 클라이언트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용화될 경우 각종 범죄 문제를 풀기 위해 스마트시티에 적용이 가능하다. In this paper, abnormal behavior monitoring system using YOLO AI platform was implemented and had superior response characteristics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monitoring system using two-shot detection by using one-shot detection of YOLO system. The YOLO platform was trained using image dataset composed of abnormal behaviors such as assault, theft, and arson. The abnormal behavior monitoring system consists of client and server and can be applicable to smart cities to solve various crime problems if it is commercialized.

      • KCI등재

        Monascus pilosus로 발효시킨 뽕잎차의 품질특성과 항산화능

        이상일(Sang-Il Lee),이예경(Ye-Kyung Lee),최종근(Jongkeun Choi),양승환(Seung Hwan Yang),이인애(In-Ae Lee),서주원(Joo-Won Suh),김순동(Soon-Dong Kim)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2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1 No.5

        Monascus pilosus에 의한 발효뽕잎차(FMM: fermented mulberry leaves tea)의 monacolin K 함량, citrinin의 유무, 관능적 품질, total polyphenol 및 total flavonoid의 함량, ROS 생성계 효소인 xanthine oxidase 저해활성 및 ROS 소거계 효소류의 활성을 건조뽕잎(UFM: unfermented mulberry leaves)과 비교하였다. FMM은 UFM에 비하여 색상기호도 및 종합적 기호도가 유의적으로 높았다. FMM에 함유된 total monacolin K 함량은 0.056%(dry basis)로 활성형이 83.93%를 차지하였으며 citrinin은 검출되지 않았다. Total polyphenol과 total flavonoid의 함량 모두 UFM에서 현저히 높았다. XO 저해활성과 SOD 유사활성은 농도에 비례하여 높았으며 UFM이 FMM에 비하여 높았다. 전자공여능과 ferric-reducing antioxidant power(FRAP)의 경우도 UFM과 FMM 모두에서 농도에 비례하여 증가하였으나, UFM에서 FMM에 비하여 현저히 증가하였다. Ferrous iron chelating 활성의 경우에도 추출물의 첨가 농도에 비례하여 증가하였고 그 증가의 정도는 UFM이 FMM에 비해 더욱 강하게 나타났으나, 4.0 ㎎/mL 이상의 농도에서는 감소하였다. 한편 polyphenol 또는 flavonoid 함량 당의 XO 저해활성과 SOD 유사활성 및 FRAP는 FMM이 UFM에 비하여 현저하게 높았다. 이상의 결과들을 종합해 볼 때, 뽕잎을 M.pilosus로 발효시킨 FMM은 홍국의 기능성을 가짐과 더불어 상당히 강한 항산화능과 기호성을 관찰할 수 있어 ROS로 야기될 수 있는 여러 질병의 예방과 치료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기초자료가 될 것이라 사료된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contents of monacolin K and citrinin, along with the sensory quality and antioxidant activity of mulberry leaf tea fermented by Monascus pilsous (FMM). Total monacolin K content of FMM was 0.058%, but citrinin was not detected. Redness of brewed FMM was remarkably higher than that of unfermented mulberry leaf tea (UFM). In sensory evaluation of brewed FMM, while astringent taste and savory taste were lower, flavor, color, and overall acceptability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UFM. Total polyphenol contents of UFM and FMM were 83.1 and 23.61 ㎎/g (dry basis), total flavonoid contents of UFM and FMM were 17.96 and 3.99 ㎎/g (dry basis), respectively. Xanthine oxidase (XO) inhibitory activity and superoxide dismutase (SOD)-like activity of FMM were lower than those of UFM. Electron-donating ability and ferric-reducing antioxidant power of FMM were slightly lower than those of UFM. However,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FMM per polyphenol content were markedly higher than those of UFM. These results suggest that FMM may scavenge excessive reactive oxygen spices (ROS) via inhibition of XO and SOD-like activity. Furthermore, FMM demonstrated relatively higher acceptability and antioxidant ability along with functionality of Hongguk (red yeast rice), and therefore could be utilized to prevent various ROS-induced diseas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