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교권 침해와 피해 회복에 대한 질적 메타종합 연구

        변유경(Youkyoung Byun) 한국교원교육학회 2024 한국교원교육연구 Vol.41 No.1

        본 연구는 교사들의 교권 침해 피해 경험과 회복을 주제로 국내에서 수행된 질적연구를 분석한 질적 메타종합 연구이다. 연구 방법은 개별적인 질적연구 결과물들을 넘어서 보다 심화, 확장된 해석과 현상에 대한 설명 모델을 구성하고자 하는 Aguirre와 Bolton(2014)이 제시한 질적 해석적 메타종합 연구로 접근했다. 연구에서는 평정 절차를 거쳐 11편의 질적 연구물들을 분석했다. 질적 연구물들을 분석한 결과 195개의 개별주제, 66개의 통합주제, 17개의 핵심 주제로 나타났다. 연구자는 이를 교권 침해, 학부모 원인, 제도적 원인으로 나누어 분석했고, 교권 침해의 핵심 피해 문제, 피해 확산, 대처 전략을 분석한 후 교사들의 회복 전략에 영향을 주는 맥락과 결과를 분석했다. 연구 결과에 근거하여 교권 침해에 대한 교육 공동체의 침묵과 공모, 교권 침해로 인한 교실의 붕괴, 학생 인권과 교권의 양립 가능성, 교사들의 직업 소명 의식에 대한 논의와 교사들의 교권 침해를 예방하고 이를 회복할 수 있는 교육학 차원에서 제언하였다. This study is a qualitative meta-synthesis study that analyzed qualitative research conducted in Korea on the topic of teachers' experience and recovery from violations of their teaching rights. The research method was approached as a qualitative interpretive meta-synthesis study presented by Aguirre and Bolton(2014), which seeks to construct a deeper and expanded interpretation and explanatory model for the phenomenon beyond individual qualitative research results. In the study, 11 qualitative studies were analyzed through an evaluation proces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qualitative research materials, 195 individual themes, 66 integrated themes, and 17 core themes were identified. The researcher analyzed this by dividing it into violations of teaching rights, parental causes, and institutional causes. After analyzing the core damage issues, spread of damage, and coping strategies of violations of teaching rights, the context and results that affected teachers' recovery strategies were analyzed.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discussions were held on the silence and complicity of the educational community regarding violations of teaching rights, the collapse of classrooms due to violations of teaching rights, the possibility of compatibility between student human rights and teaching rights, and teachers' sense of professional calling, as well as preventing and recovering teachers' violations of teaching rights. Suggestions were made on what could be done at the pedagogical level.

      • KCI등재

        과학중점학교 관련 연구 동향 분석

        변유경(Byun, You Kyoung),박경애(Park, kyung A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5

        본 연구의 목적은 과학중점학교 관련 연구 동향을 탐색하여 그에 따른 시사점을 얻는 데 있다. 연구목적에 따라, 2018년 9월부터 2019년 1월까지 과학중점학교 관련 주제어를 검색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2010년부터 2018년까지 국내 과학중점학교 관련 연구 논문 총 31편(학위논문 17편, 학술지논문 14편)을 대상으로 연도, 유형(학위논문, 학술지논문), 주제(과학중점교육과정 편성과 운영, 비교과 체험활동, 정의적 영역, 과학 교과, 수학 교과, 과학교사, 진로, 시설과 환경), 그리고 연구 방법(양적연구, 질적연구, 혼합연구, 문헌연구)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과학중점학교 관련 연구는 2010년 학술지논문을 시작으로 해마다 약 3.4편 이상 꾸준히 발표되었다. 주제별로 살펴보면, 과학중점교육과정의 편성·운영 11편(27.5%), 정의적 영역 7편(17.5%), 비교과 체험활동 5편(12.5%), 과학 교과 5편(12.5%), 수학 교과 4편(10.0%), 과학 담당교사 4편(10.0%), 진로 3편(7.5%), 시설과 환경 1편(2.5%)으로 과학중점교육과정 운영연구가 압도적으로 많이 수행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연구방법은 양적 연구가 17편(54.8%)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문헌연구와 양적연구에 기반한 혼합연구도 자주 사용되고 있음이 밝혀졌다. 본 연구는 과학중점학교 운영의 중요성과 발전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 향후, 과학중점학교 관련 연구의 발전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research trends related to science core school and to find implications for them. Based on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data were collected by searching key words related to science core school from September 2018 to January 2019. 31 research theses (17 dissertations, 14 academic journals) on domestic science core school from 2010 to 2018, were analyzed by year, type (thesis, journal), theme (organization and management of science-focused curriculum, extra-curricula hands-on experience activity, affective domain, science curriculum, mathematics curriculum, career course, facilities and environment), and research method (quantitative research, qualitative research, mixed research, and literature research).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ed that more than 3.4 research papers on science core school have been published steadily annually since the journals in 2010. In terms of the themes, “the organization and management of science-focused curriculum” is the most commonly used theme: it has been used in 11(27.5%) research papers; affective domain in 7(17.5%); extra-curricula hands-on experience activity and science curriculum in 5(12.5%) respectively; mathematics curriculum and four science teachers in 4(10.0%) respectively; career course in 3(7.5%); facilities and environment in 1(2.5%). Regarding to research methods, this study found that quantitative research is widely used in 17 papers (54.8%) and mixed research based on literature study and quantitative research is frequently used. This study can play a meaningful role in that it allows us to extend the understanding of the importance and development of science core school and to utilize it as the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researches on science core school in the future.

      • KCI등재

        성견의 하악 골 결손부에 이식한 생체 유래 골 이식재 (OCS-B)에 대한 치조골의 반응

        변유경,박준범,김태일,설양조,이용무,구영,이혜자,정종평,한수부,류인철,Byun, Yu-Kyung,Park, Jun-Beom,Kim, Tea-Il,Seol, Yang-Jo,Lee, Yong-Moo,Ku, Young,Lee, Hye-Ja,Chung, Chong-Pyoung,Han, Soo-Boo,Rhyu, In-Chul The Korean Academy of Periodontoloy 2006 Journal of Periodontal & Implant Science Vol.36 No.1

        1. 목 적 이 연구의 목적은 성견의 하악 골 결손부에 이식한 생체 유래 골 이식재에 대한 치조골의 반응을 알아보는 것이다. 2. 연구방법 및 재료 생후 1년 이상 된 성견 4마리의 하악 제2소구치 및 제 4 소구치를 발거하고 발치와에 금원심 폭경 8mm, 협설 폭경 5mm, 치조정에서의 깊이 6mm인 결손부를 형성하였다. 4주간의 자연 치유 후 판막을 형성하여 결손부의 크기를 확인하였다. 각각의 결손부 크기가 일정하도록 수정한 후 '이식재+차폐막'군에는 OCS-B을 이식하고 Bio-gide을 차단막으로 사용한 후 봉합하고 '이식재군'은 OCS-B 이식 후 차폐막 없이 봉합하였으며 '비이식'군은 아무런 처치없이 일차봉합하였다. 수술 4, 6주에 실험동물을 각각 희생시켜 실험부위를 적출하고 비탈회 연마 표본을 제작하여 골 치유 양성을 조직학적 및 조직계측학적으로 관찰하였다. 3. 연구결과 이식재 비이식군 및 이식군 모돼서 별다른 부작용없이 잘 치유되었다. 세 실험군 모두에서 술후 4주에 비교하여 술 후 6주에서의 결손부 산생골 형성량이 증가하였다. 술후 4주 소견에서 비이식군은 결손부 주변부위에서 골이 생성되어 나오는 양상을 보였으며 이식군은 이식재 주변으로 골침착 시작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술후 6주 소견에서 비이식군은 결손부 경계부로부터의 지속적인 골 생성을 관찰할 수 있었으며 이식군은 이식재 주변으로 침착된 골의 양이 많아지고 신생골이 가교를 형성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4. 결 론 차폐막 유무와 상관없이 OCS-B는 염증반응을 전혀 일으키지 않았으며 우수한 골 전도성을 보였다. 또한 결손부의 형태를 잘 유지하여 골재생을 위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었다. 이는 OCS-B가 골이식재로서의 필요조건을 갖추었음을 확인한 결과이며 보다 장기적인 관찰에서 OCS-B의 흡수 가능성을 확인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대전ㆍ충청지역 초ㆍ중학교 급식의 당 함량 및 급식을 통한 당류의 섭취실태 연구

        유경(You-Gyoung Park),이은미(Eun-Mi Lee),김창수(Chang-Soo Kim),엄준호(Joon-Ho Eom),정아(Jung-A Byun),선남규(Nam-Kyu Sun),이진하(Jin-Ha Lee),허옥순(Ok-Soon Heo)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0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9 No.10

        본 연구에서는 대전과 충남북 지역에서 지역별로 8개의 학교를 선정하고 각 학교당 4주간의 급식을 수거하여 842개 메뉴의 당 함량을 분석하였고, 수거된 급식메뉴에 대해 초등학교 2학년과 5학년, 중학교 2학년 남녀학생의 급식섭취량을 직접 측정하여 급식을 통한 2,806건의 당 섭취량을 산출함으로써 해당학교 및 지역의 당 섭취 특성을 대표할 수 있는 자료를 확보하였다. Fructose, glucose, sucrose, maltose, lactose의 함량 합으로 구한 총 당류의 함량은 가공식품에서와 달리 학교별로 임의의 조리법에 의해 조리된 음식이므로 그 범위가 넓게 나타났다. 주식류의 당 함량은 급식 100 g당 평균 0.20 g, 부식류는 2.08 g, 후식류는 5.13 g으로 과일음료와 유제품, 과일 등을 포함한 후식류의 당 함량이 다른 군에 비해 훨씬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식류 중에서는 소스류와 조림류의 당 함량이 높았다. 급식메뉴 중 가장 많은 양을 섭취하는 음식은 일품식류, 음료 및 차류, 탕 및 전골류, 찌개류 순이었으며, 주스나 식혜와 같은 음료는 정해진 규격이 있어 다른 부식류에 비해 섭취량이 높게 나타났다. 부식류중에서는 국 종류를 제외하면 30~50 g 범위에서 찜류, 튀김류, 볶음류, 부침류, 조림류, 구이류 순으로 많이 섭취하였으나 무침ㆍ나물류와 김치류는 각각 13 g, 10 g만을 섭취하였다. 급식메뉴 중 후식류, 특히 음료 및 차류, 유제품류섭취로 인한 당 섭취량이 가장 많았으며 이들 식품은 당 함량도 높고 규격화된 중량으로 인해 섭취량도 많았기 때문이다. 일품식류는 낮은 당 함량에 비해 급식섭취량이 많아 후식류 다음으로 당 섭취에 크게 기여하였으며, 부식류에서도 조림류에 비해 당 함량이 낮은 튀김류의 급식섭취량이 많으므로 튀김류로 인한 당 섭취량이 조림류로 인한 것보다 높게 나타났다. 급식 한 끼니를 통한 당 섭취량은 평균 4.22 g으로, 학년이 높을수록 급식섭취량과 함께 끼니당 당의 섭취량도 많아 중학생이 5.31 g, 초등학생이 4.03 g을 섭취하였으며, 성별이나 수거시기에 의한 차이는 크지 않았다. 학교급식을 통한 한 끼니의 당 섭취량은 열량섭취량을 기준으로 정한 한국인총 당류 섭취기준이나 한국인영양조사 결과의 하루 총 당류섭취량의 10분의 1 이하 수준으로, 한 끼니 해당량으로서도 높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다만 과일주스, 식혜 등의 음료나 요구르트 등의 당 함량이 높은 식품이 제공되거나 이러한후식류가 일품식류와 함께 제공되어 한 끼니당 당의 섭취량이 높은 급식일이 없도록 하는 데에는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Korean government will set up the nationwide food safety system with strict control of hazardous nutrients like sugar, fatty acids and sodium as well as advanced nutrition education system. In addition, almost one hundred percent of school food service rate forced the government to consider more effective ways to upgrade the nutritional status of school meals. The object of our study was to provide the data on content and consumption of sugar in school meal for the nationwide project. For this purpose, we surveyed the sugar content of 842 school meal menus and their intake level for 154 days in 8 schools in Daejeon and Chungcheong Province. Sugar contents, the sum of the quantity of 5 sugars commonly detected in food, were analysed with HPLC-RID (Refractive Index Detector). Sugar intakes were calculated by multiplying the intake of each menu to the sugar content of that menu. The sugar content was highest in the desserts, which include fruit juices, dairy products and fruits. Sugar content of side dish was high in sauces and braised foods. Sugar intake from one dish is high in beverage and dairy product, and one dish meals contribute greatly to sugar intake because of their large amount of meal intake. The average lunch meal intakes of second grade and fif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were 244 g/meal and 304 g/meal, respectively. The meal intake of middle school student was 401 g/meal. The average sugar intake from one day school lunch was 4.22 g (4.03 g on elementary and 5.31 g on middle school student), which is less than 10% of daily sugar reference value for Koreans. The result of this study provides exact data of sugar intake pattern based on the content of sugar which is matched directly to the meals consumed by the students.

      • KCI등재

        질식 자궁 경-협부 봉합술 2례의 고찰

        유경 ( Yu Kyung Cho ),김미성 ( Mi Sung Kim ),조인호 ( In Ho Jo ),정은정 ( Eun Jeong Jeong ),정미 ( Jung Mi Byun ),김영남 ( Young Nam Kim ),정대훈 ( Dae Hoon Jeong ),성문수 ( Moon Su Sung ),김기태 ( Ki Tae Kim ),이경복 ( Kyeong 대한주산의학회 2010 Perinatology Vol.21 No.4

        The conventional treatment of cervical incompetence is cerclage operation. In most cases, the classical surgical cerclage methods described by McDonald and Shirodkar are performed. The cervicoisthmic cerclage is beneficial for the treatment of patients who have short cervix due to conization, cervisectomy or congenital anatomical deformity of uterus. This procedure is different from the classical McDonald and Shirodkar cerclages in that the suture site is placed at the junction of the cervix and the isthmus of uterine body. There are two approaches in cervicoisthmic cerclages, transabdominal and transvaginal ones. The transvaginal cervicoisthmic cerclage is easier to perform and less dependent on uterine size compared with the transabdominal cerclage. In addition there is less chance of direct uterine handling associated with bladder laceraton or fetal loss in transvaginal cervicoisthmic cerclage. We report two cases of transvaginal cervicoisthmic cerclage for the first time in Korea, in which patients have delivered at full term by cesarean section.

      • KCI등재

        원본과 사본, 저자와 독자의 관계를 중심으로 살펴본 음악 리얼리티쇼의 해석적 의미와 즐거움 : <히든싱어>를 중심으로

        유경한(You Kyunghan),광배(Byun Kwangbai) 한국문화융합학회 2020 문화와 융합 Vol.42 No.1

        이 연구는 <히든싱어>라는 모창대회 형식의 대중문화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대중문화 속의 작품 해석과 관련된 몇 가지 쟁점에 대해 ‘저자’의 ‘죽음’이라는 관점에서 심층적인 이해를 시도하고 있다. 특히, 이 연구에서 <히든싱어>에서 발견되는 원조가수-모창능력자들의 관계와 문학텍스트의 해석 과정에서 정립되는 저자-독자의 관계를 비교분석하기 위해 두 명의 사상가 바르트와 사르트르의 논의에 주의를 기울인다. 먼저, 사르트르의 사유에서 강조되는 작가의 권위와 의도를 가정한다면, 수용자들은 텍스트의 해석에서 작가(원조가수)보다 원곡을 더 잘 해석할 수 있는 독자(모창능력자)는 존재할 수 없다. 또한, 원조가수와 모창능력자가 공존하는 노래‘방’이라는 독특한 공간은 모창능력자의 자유로운 곡 해석을 제한한다는 점에서 원조가수의 권위, 즉 원본의 권위에 여전히 의존하게끔 만드는 장치로 기능한다. 그렇지만, <히든싱어>는 원조가수가 모창능력자와 같은 조건에서 경합을 벌이는 독특한 진행방식을 통해 원조가수가 모창능력자에게 패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둔다. 이는 모창능력자의 곡에 대한 해석이 원작자의 해석을 능가할 수 있다는 것, 즉 모사가 원본을 능가할 수 있다는 사실을 말해준다. 연구자들은 이 지점에서 바르트가 ‘저자의 죽음’을 통해 주장했던 저자를 능가하는 해석적 능력을 지닌 독자의 가능성을 발견할 수 있으며, 이런 가능성은 원조가수가 등장한 이후, 즉 ‘저자’가 ‘소환’되고 난 이후에도 지속된다고 해석한다. 마지막으로, 원본과 사본의 텍스트적 관계로부터 최종 수용자의 관여를 이끌어내는 리얼리티 프로그램의 의례적 장치를 살펴봄으로써 수용자의 해석적 위치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resent study explores the author’s ‘death’ on a couple of issues related to the interpretation of popular cultural texts, by focusing on a music reality show <Hidden Singer>. Our attention is drawn to the discussions of the philosophers, Barthes and Sartre, for comparing and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riginal singer-proclaimers in <Hidden Singer>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author and reader established in the interpretation of the literary text. First, according to Sartre, who emphasizes the author’s authority and purpose, it would not be possible for the audiences (a mimic) to better interpret the original song than the author (an original singer), in terms of the text’s interpretation. Besides, the unique space called the “singing room” restricts the free interpretation of the song by the mimic, and thus it serves as a device to make them dependent on the authority of the original. Moreover, the show provides the original singer with the possibility to be defeated by the mimic through a unique plarform where both competes under the same conditions. It tells us that the interpretation by the mimic can be superior, and the duplicate copy can be better than the genuine one. At this point, the reader can surpass the author and result in, as Barthes calls it, the author’s death. This continues after the original singer comes up. Finally, this unique design differs from that of conventional programs, and it maximized entertainment and hybrid reality at the point where audiences meet at the text.

      • KCI등재

        조기발병과 후기발병 자간전증 산모와 신생아의 예후 비교

        정은정 ( Eun Jeong Jeong ),김영남 ( Young Nam Kim ),김종혁 ( Jong Hyuk Kim ),유경 ( Yu Kyung Jo ),정미 ( Jung Mi Byun ),정대훈 ( Dae Hoon Jeong ),이경복 ( Kyung Bok Lee ),성문수 ( Moon Su Sung ),김기태 ( Ki Tae Kim ) 대한주산의학회 2009 Perinatology Vol.20 No.4

        목적: 조기 자간전증은 후기 자간전증에 비해 산모와 신생아의 유병율과 사망률이 높은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저자들은 자간전증을 조기발병과 후기발병의 두 군으로 나누어 각 군에 해당하는 산모들의 임상적 특성, 합병증 및 신생아 예후를 비교 분석하였다. 방법: 2004년 1월부터 2008년 12월까지 인과대학 부산백병원에서 자간전증으로 진단되어 분만한 212명의 산모를 대상으로 후향적 분석을 하였다. 자간전증의 발병 시점 32주를 기준으로 조기발병 군(58례)과 후기발병 군(154례)으로 나누어 산모의 임상적 특성, 자간전증의 합병증 및 신생아 예후를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조기발병 군과 후기발병 군 간 산모의 나이, 분만력, 임신 전 체질량 지수, 이전의 자간전증 혹은 고혈압, 당뇨의 과거력은 의미 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자간전증의 임상양상 중 수축기 혈압 및 이완기 혈압은 조기발병 군에서 후기발병 군에 비해 높게 측정되었지만 의미있는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고, 24시간 요단백의 양은 조기발병 군에서 6,564.8±7,015.2 mg으로 후기발병 군 4,748.3±5,127.1 mg 보다 유의하게 많았다(P=0.003). 또한 산모의 시각장애, 간효소치의 상승, 폐부종 및 중증 자간전증 발생이 조기발병 군에서 후기발병 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5). 자간전증 산모에게서 출생한 태아 및 신생아의 예후는, 자궁내 태아사망과 낮은 아프가 점수의 빈도가 조기발병 군에서 후기발병 군보다 높았을 뿐 아니라(P=0.0001), 주산기 사망률도 조기발병 군에서 증가하였으며(P<0.0001), 출생 시 신생아 몸무게와 자간전증의 발병시기가 주산기 사망률에 영향을 미쳤다. 결론: 조지발병 자간전증은 후기발병에 비하여 산모의 임상적 특성은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산모 및 신생아의 합병증이 증가하였다. 향후 조기발병 자간전증의 예측, 발병기전 및 치료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Purpose: Early-onset preeclampsia is thought to be associated with fetal mortality and maternal complications. We compared maternal clinical characteristics, complications, and perinatal outcome between early-and late-onset preeclampsia. Methods: We analysed retrospectively 212 pregnant women with preeclampsia between 2004 and 2008 at a tertiary university hospital. We divided preeclamptic women as early-onset (n=58), with an onset before 32 weeks gestation, and late-onset (n=154), with an onset after 32 weeks gestation. We compared maternal characteristics, maternal complications, and neonatal outcomes between the two groups. Result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maternal age, parity, BMI, previous history of preeclampsia, hypertension, and DM between early-and late-onset preeclampsia. Among the maternal complications, maternal blood pressure was higher in early-onset preeclampsia without any statistical significance, but the amount of 24 hours urine protein was significantly higher in early-onset preeclampsia than late-onset (P=0.003). There were significantly higher rate of visual disturbance, elevated liver enzyme, pulmonary edema and severe disease in early-onset preeclampsia (all P<0.05). Com- paring neonatal outcome, there were higher rate of fetal death in uterus (FDIU) (P=0.0001), low Apgar score (P<0.0001), and perinatal death (P<0.0001) in early-onset preeclampsia. Fetal birth weight and onset of preeclampsia were significant covariate factors for perinatal mortality. Conclusion: Early-onset preeclampsia was related to poor perinatal and materanl outcomes, but there was no difference in maternal characteristics. Further studies are necessary for prediction, pathogenesis, and therapy of early-onset preeclampsia.

      • SCOPUSKCI등재

        영ㆍ유아용 식품원료의 Bacillus cereus와 일반세균 모니터링 및 제조공정 중 미생물 품질제어

        정우영(Woo-Young Jung),엄준호(Joon-Ho Eom),김병조(Byeong-Jo Kim),주인선(In-Sun Ju),김창수(Chang-Soo Kim),김미라(Mi-Ra Kim),정아(Jung-A Byun),유경(You-Gyoung Park),손상혁(Sang-Hyuck Son),이은미(Eun-Mi Lee),정래석(Rae-Seok Jung),나미 한국식품과학회 2010 한국식품과학회지 Vol.42 No.4

        영ㆍ유아용 식품에 주로 사용되는 원료에 대한 미생물 오염도를 조사한 결과, 총 10종(n=20)의 원료 중 B. cereus가 검출된 원료는 2종(n=4, 20%) 이었고, 1.02±1.36 log CFU/g으로 나타났으며, B. cereus가 검출된 원료로는 organic brown rice powder(C사)와 mixed orgarnic vegetable powder(C사) 이었다. 미생물이 검출되지 않거나 낮게 검출된 원료는 제조공정에 살균, 분무건조, 팽화 및 압출 등의 열처리 공정이 있었다. 각 원료에 대한 일반세균수를 알아보기 위해 10종(n=20) 검사결과 4종(n=8) 검출(40%) 되었으며, 3.21±3.64 log CFU/g으로 나타났다. 원료에서 분리한 미생물 분포를 조사한 결과 총 11종이 분리 되었으며, 분리된 일반세균 중 76%를 차지하는 우점종은 S. paucimobilis, P. fluorescens, R. radiobactor, St. maltophilia 순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영ㆍ유아식의 미생물 안전성 확보를 위해 원료 생산공정에 살균 등의 열처리 공정이 필요하며, 미생물에 오염된 원료를 사용할 경우에도 생산공정에 드럼건조(drum surface temperature: 100-135℃), 분무건조(inlet air temperature: 135-204℃), 살균(pasteurization, UHT 130-150℃/1-4 sec), 미생물 저감화 방안의 제조 공정을 거쳐 생산된 제품은 일반세균, 대장균군, B. cereus가 검출되지 않아 안전한 제품의 생산이 가능하였다. 또한, 영ㆍ유아용 식품을 제조할 경우 명확한 살균조건을 설정하고, 공정품의 품질평가를 거쳐야만 제품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resence of Bacillus cereus, aerobic bacteria and coliforms in the raw material of infant formulas and investigate the manufacturing process in terms of microbial safety. Among ten kinds of raw infant formula material samples (n=20), Bacillus cereus appeared in two (n=4). Aerobic bacteria were not detected in raw infant formula material or maximum 4.15 log CFU/g. Eleven species of aerobic bacteria were isolated and 76% of them were Sphingomonas paucimobilis, Pseudomonas fluorescens, Rhizobium radiobactor, or Stenotrophomonas maltophilia. A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revealed that the most influential factors for detecting Bacillus cereus were aerobic bacteria and coliforms. In other words, when the measured values of aerobic bacteria and coliforms were higher, the possibility that Bacillus cereus would appear increased. In a regression model to predict Bacillus cereus, the rate of appearance was correlated with aerobic bacteria and coliforms, and its contribution rate for effectiveness was 86%. Improving microbial quality control by pasteurization, spray dry, popping and extrusion resulted in a decrease in the numbers of Bacillus cereus, aerobic bacteria and coliforms in the raw materials. The results suggest that a hazard analysis and critical control point system might be effective for reducing microbiological contamination.

      • KCI등재

        지역특산품 중 잔류농약 실태조사

        김미라(Kim Mi Ra),나미애(Na Mi Ae),정우영(Jung Woo Young),김창수(Kim Chang Soo),선남규(Sun NamKyu),서은채(Seo Eun Chae),이은미(Lee Eun Mi),유경(Park You-Gyoung),정아(Byun Jung Ah),엄준호(Eom Joon Ho),정래석(Jung Rae Seok),이진하(Lee 한국농약과학회 2008 농약과학회지 Vol.12 No.4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analyze for pesticide residues in 17 different types of the special products of geographical indication. We purchased 3 cereal grains. nuts and seeds, 3 fruits. 8 vegetables, mushrooms and other plants (Korean medicines) mainly at the agricultural cooperative's joints markets. Total 209 pesticides including multi-analysed pesticides (204) and single-analysed pesticides (5 ; acephate, methamidophos, monocrotophos, omethoate, vamidothion) were analysed with a GC/MS/MS, an HPLC/UVD (PDA) and a GC/FPD. No. 83 method and single-analysed method (Screening of multi-pesticide residue in the special products of geographical indication) of Korea Food Code was selected for validation in recovery and interferences of matric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among the selected 17 the special products, the residual pesticides were detected in 8 types of the special products (40 in 302 samples, detection ratio; 13.2%). All of the samples were not detected over MRLs, but tebuconazole, procymidone and isoprothioran were detected with considerable high frequency. These results could be used as KFDA official methods for the analysis of pesticide residues in foods and reference data will be provided to the related institutions.

      • KCI등재SCOPUS

        자궁경부암 환자 혈청에서 인유두종바이러스 16 DNA와 임상병리학적 예후인자들의 관계

        이은숙 ( Eun Suk Lee ),정대훈 ( Dae Hoon Jeong ),김주란 ( Joo Ran Kim ),이대심 ( Dae Shim Lee ),김미성 ( Mi Sung Kim ),유경 ( Yu Kyung Cho ),정미 ( Jung Mi Byun ),박영미 ( Young Mi Park ),김영남 ( Young Nam Kim ),정철회 ( Chul 대한산부인과학회 2009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2 No.12

        Objective: To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serum human papillomavirus (HPV) deoxyribonucleic acid (DNA) and clinicopathologic prognostic factors and the clinical usefulness of serum HPV 16 DNA in cervical cancer patients. Methods: All the patients were treated at our institution, from January, 2002 to February, 2007. DNA extracted from serum of 17 patients with HPV 16 infected carcinoma in situ and 65 patients with HPV 16 infected squamous cell carcinoma of the uterine cervix (stage IA-IIIB) were examined for HPV 16 DNA using polymerase chain reaction with types 16 specific E6 primer. Clinicopathological parameters were obtained from medical record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iscrete variables and serum HPV 16 DNA status were evaluated. Results: HPV 16 DNA was not detected in serum from all patients with carcinoma in situ. However, among the 65 patients with HPV 16 infected squamous cell carcinoma of the uterine cervix, we detected 17 HPV 16 DNA positive samples (26.2%) in serum. Positive HPV 16 DNA in serum was correlated with age (P=0.0071), serum squamous cell carcinoma (SCC) antigen (P=0.0034), tumor size (P=0.0029), clinical stage (P<0.0001), deep stromal invasion (P=0.0048), resection margin positivity (P=0.0008), and pelvic lymph nodal metastasis (P=0.0040). Conclusion: The serum HPV 16 DNA in patients with cervical cancer was correlated with poor prognostic factors that need adjuvant treat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