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운동몰입의 개념형성을 위한 이론적 고찰

        권성호 서울대학교 스포츠과학연구소 2007 스포츠과학리뷰 Vol.1 No.2

        본 연구는 지금까지의 선행연구를 기초로 운동몰입과 칙센트미하이의 몰입 이론을 리뷰해 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칙센트미하이의 몰입개념은 1975년부터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 왔으며, 본 연구에서는 운동몰입의 개념과 칙센트미하이의 몰입 개념을 운동선수의 몰입상태와 건강운동 참가자들의 최적경험과 관련지어 심도 있게 다루었다. 몰입경험은 “사람들이 하나의 행동에 완전히 빠져드는 완전한 감정”이며 “자기목적적 경험”으로도 정의할 수 있다. 또한 운동몰입은 “신체활동을 하면서 겪게 되는 특수한 경험으로 그 자체에 깊게 빠져서 시간의 흐름이나 공간 더 나아가 자신에 대한 생각까지도 잊어버리게 될 때를 일컫는 심리적 상태”이다. 앞으로의 운동몰입 연구가 발전하기 위해서는 정확한 몰입의 개념을 이해하고, 다각적인 운동몰입 측정도구개발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review Csikzentihalyi's flow theory and to conceptualize a theory of sport flow. A substantial amount of research has been conducted on the theory of flow since the introduction of the concept in 1975. This paper was intended to review Csikzentihalyi's flow concept and the developing concept of sport flow which are particularly relevant to the flow statusoptimal experiences of elite athletes as well as recreational sports participants. Flow experiences have been described as "holistic sensation(s) that people feel when they act with total involvement." Also called "autotelic experiences," sport flow can be defined as "the psychological state that the passage of time or forgetful space, furthermore loss of self-consciousness in the special experience during the physical activity." This paper concludes that the emergent area of sport flow requires further studies to better understand the concept of flow and to develop its valid and reliable measuring scales.

      • KCI등재후보

        해외 공학교육 사례분석을 통한 교수학습 전략 탐색

        권성호,신동욱,강경희 한국공학교육학회 2008 공학교육연구 Vol.11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ies through analyzing cases of foreign engineering education. With the analysis criteria composed of engineering education model,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evaluation strategy, and technology supporting strategy, 10 foreign colleges of engineering in 5 countries were examined and analyzed.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ies deduced from analysis state as follows. First of all, it need to develop engineering education models that reform should be made in systematic approach to teaching and learning, workplaces and laboratories, evaluation, technology support, etc. Secondly, the strategy for teaching and learning recommends supporting student directed learning, active learning participation, and collaboration learning by inductive learning strategies such as problem based learning, inquiry learning, project based learning, studio based learning, and blended learning. Thirdly, the evaluation strategy suggests that evaluation should be made to reflect students' learning and facilitate continuous learning based current learning results while it is necessary to build up a whole evaluation system. Finally, it is the educational technology approach for systematic engineering education that is required considering that many foreign colleges of engineering have reformed engineering education through technology supporting systems and are maximizing research and education in connection with other universities.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as preliminary data in developing further teaching and learning models and strategies for nurturing engineering students. 본 연구의 목적은 해외 공학교육 사례 분석을 통해 공학교육의 교수학습 전략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해외 공과 대학 중 5개 국가 10개 공과대학 사례를 조사하였다. 사례 분석 준거로는 공학교육모델, 교수학습방법, 평가전략, 테크놀로지 지원전략이었다. 사례 분석 결과 도출된 교수학습 전략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수학습의 개혁, 작업실과 실험실, 평가 개혁 등 교육 전반에 대한 시스템적 접근이 이루어져야하며, 이를 위한 공학교육의 교수학습 모델이 필요하다. 둘째, 구체적인 수업 전략으로는 문제중심학습, 탐구학습, 프로젝트중심학습, 스튜디오기반학습, 블렌디드 러닝 등과 같이 귀납적 접근 학습전략을 사용하여 학습자의 자기주도적인 학습과 적극적인 학습참여, 협력학습 등을 지원하여야 한다. 셋째, 교수학습의 결과를 평가함에 있어서도 학습의 과정을 성찰하고 지속적인 학습을 촉진하기 위한 평가가 이루어져야 하며 이에 맞는 평가 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 넷째, 테크놀로지 지원 환경을 활용한 공학교육이 필요하며, 구축된 공학 교육시스템은 타 대학과의 연계를 통해 연구와 교육의 효율을 배가시킬 수 있는 교육공학적 접근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공학 교육의 교수학습 모형 및 전략 개발에 기초 자료가 될 것이다.

      • KCI등재

        노인 라이프스킬 향상을 위한 운동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

        권성호,안지훈,김용세 한국노인복지학회 2019 노인복지연구 Vol.74 No.4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 life skill improvement program for elderly people an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In order to develop a program, we conducted open-ended interviews with 120 elderly people at the elderly welfare center in Seoul and Gyeonggi-do to conduct inductive content analysis and frequency analysis.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17 elderly women were enrolled in developed program, and pre-post data of the Inbody720 equipment and basic physical test were compared. Also, to verify specific and in-depth effects,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before, during, and after the program.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12 factors (problem solving, communication, interpersonal relationship, self-awareness and mindfulness, empathy, emotional control, stress coping, resilience, self-expression, decision making, maintenance of body function and death acceptance) were identified to be included the life skills improvement program for elderly people. Based on 12 factors, 16 sessions program including psychological skills training and in-depth interviews was developed. Second, there was a positive change in body function (weight, BMI, strength, balance, cardiovascular endurance, motor coordination etc.) according to the program application. Third, positive change was found in all psychological and cognitive lifestyle factors except decision making skill. This study was expected to contribute to securing the diversity of vulnerable elderly welfare programs, and it can contribute to positive aging if various life skills acquired through the program are transferred to other living areas. 본 연구는 노인 대상 라이프스킬 향상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적용하여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시 및 경기도 소재 노인복지관에서 120명의 노인을 대상으로 개방형 인터뷰를 실시하여 귀납적 분석과 요구조사 분석을 통해 노인 라이 프스킬의 개념 및 구성요인을 파악하고 라이프스킬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이후 프로그램 적용에 대한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17명의 노인을 대상으로 16회기 프로그램을 실시하였고, Inbody 장비와 기초체력검사의 사전-사후 변화를 Wilcoxon 검정을 통해 확인하였다. 또한 참여 자들과의 4차례 심층면담을 실시하였고, 수집된 질적 자료를 분석하여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 라이프스킬의 구성 요인은 문제해결, 커뮤 니케이션, 대인관계, 자기인식 및 마음챙김, 공감, 감정억제, 스트레스대처, 회복탄력성, 자기 표현, 의사결정, 신체기능유지, 죽음수용 등의 12개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12개의 구성요인을 바탕으로 심리기술훈련과 심층면담이 포함된 16회기의 운동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둘째, 프 로그램 적용에 따른 신체기능의 긍정적 변화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셋째, 의사결정 기술을 제외한 모든 라이프스킬 요인에서 프로그램 적용에 따른 긍정적 변화를 확 인하였다. 본 연구는 그동안 취약했던 노인복지 프로그램의 다양성을 확보하는 것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프로그램을 통해 습득한 다양한 라이프스킬이 다른 생활 영역으로 전이된다면 노화과정에 긍정적으로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후보

        대학 교양교육에서의 이러닝(e-learning) 활용 방안 연구 :대학 간 콘텐츠 공동 활용을 중심으로

        권성호,방선희,이준,한승연 한국교양교육학회 2012 교양교육연구 Vol.6 No.1

        대학 교양교육의 경우 이러닝 활용을 통한 질적 제고의 가능성을 생각해볼 필요가 있다. 이러닝의 경우 교육의 질제고 뿐만 아니라 교육 기회의 확대라는 차원에서 교양교육에 기여할 수 있는 여지가 많지만 대부분의 대학들이 교양과목에서 이러닝을 활용하지 않거나, 매우 제한적인 범위 내에서 도입하는 정도에 그치고 있다. 이러닝은 인터넷이 연결되는 한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교육이 가능하며, 자기주도적 학습이 가능한 학습자 중심 교육이 구현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 적절하게 활용될 경우 교양교육의 질을 제고하는 촉매제가 될 수 있다. 본 연구는 교양과목에서 이러닝을 활용한 수업방법을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구체적으로, 교양교육에 이러닝을 도입하고자 하는 교강사가 자신의 강좌에 손쉽게 이러닝을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특히, 동일하거나 유사 과목이 많이 개설되는 교양과목의 특성을 고려하여 이러닝 강좌를 여러 대학에서 공동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습득형 활동, 수행형 활동, 연결형 활동을 수업 모형으로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teaching methods utilizing e-learning in general education at university level. Specifically, we try to find a way in which an instructor, who is willing to introduce e-learning to general education, can easily utilize e-learning in his or her courses. In particular, considering the features of general education that many similar, or even same subjects are open and maintained, we suggest e-learning courses that many universities can utilize in collaboration with each other.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general education courses utilizing e-learning, various forms of teaching method can be found from teaching mainly in online space to using some contents restrictively in a face-to-face lecture room. To make it possible to successfully share these diverse e-learning contents between universities, the contents need to be developed in a segmented form from the planning stage, so that other universities can easily use it. Above all, to stimulate the communal utilization of general education between universities, not only contents producers but also contents users need to cooperate each other for the sake of quality of e-learning contents in general education.

      • KCI등재
      • KCI등재

        교육공학과 기독교 교육 : 만남의 가능성과 문제점

        권성호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 2001 기독교교육정보 Vol.2 No.-

        Educational technology, one field of education dealing with the problem of the theories and practices in educations, has been formed and expanded, along academical progress. Recent developments of educational technologies in the knowledge-based information society have introduced a new element in the form of rapid communication. The concerns and expectations about the field of educational technology for educational improvement has been growing up due to recent development of information technology, and its affects on human life and on educational practices. In the meanwhile, educational technology has yield both positive and negative results and impacts on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the potentials and problems of inter-relations between educational technology and christian education First, I examine the existing conceptions and inquireing fields of educational technology. Secondly, reviewing the role of instructional media as interacting for teaching and learning. In order to purpose the possibilities for multimedia and intercreating utilization in the process of teaching and learning, the characteristics and functions of multimedia and intercreating were considered. Thirdly, some Implications are discussed for the future inquiring christian education is view of inter-relations between educational technology and christian education.

      • KCI등재

        차세대 교수매체로서 인터넷 방송의 의미와 전망

        권성호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00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6 No.1

        최근의 테크놀로지 특징 중의 하나는 기술적 통합(technological convergence)에 의한 통합미디어(unified media)의 출현이다. 인터넷 방송은 인터넷과 방송이 갖고 있는 본래의 특성과 다양한 커뮤니케이션 환경에서 이들이 합해져 만들어 내는 독특한 현상에서 그 특징을 찾아볼 수 있다. 또한 멀티미디어만이 가지고 있는 디지털화, 영상화, 종합화, 쌍방향성, 비동시화, 상호작용적 링크, 그리고 개방성과 다원성 등이 특성이 될 수 있다. 교수매체로서의 인터넷 방송은 교육이 일어나는 현장에서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문자, 동영상, 음성 등 멀티미디어 정보를 인터넷 망을 통해 제공하는 새로운 멀티미디어형 인터넷 서비스라고 할 수 있다. 교수매체로서 인터넷 방송의 발전전망은 ① 학습자 서비스형 인터넷 방송, ② 상업적 교수매체로서 인터넷 방송, ③ 멀티미디어 컨텐츠로써 인터넷 방송, ④ 교육의 질적 파수꾼으로서 인터넷 방송 등이다. 방송과 인터넷의 교육적 활용에 대한 적합한 논의조차 충분하지 못한 현 상태에서 인터넷 방송의 교육에의 활용에 대해 무조건적인 수용이나 비판이 아닌 적합성과 효율성에 대한 쟁점이 논의되고 연구되어져야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인터넷 방송의 개념과 특성 그리고 차세대 교수 매체로서 인터넷 방송의 교육적 활용 전망과 문제점을 제시하는 것이다. 습의 구성요소로써 피드백을 어떻게 설계하고 개발할 것인가에 대한 지침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The advancement of technologies made possible for the advent of technological convergence or integrated media possible. One of the most recent technological convergence is internet broadcasting. The internet broadcasting, in general, could be characterized as digitalization, visualization, integration, two-way communication, asynchronicity, interactive links, disclosed and multiple authorship. Internet broadcasting as an instructional media is a new method to transfer information not only texts but multimedia contents to those in the field through network. Thus, the prospects of internet broadcasting as an instructional media could be used (1) as a learner support system, (2) as a commercial instructional media, (3) as multimedia contents providing high quality multimedia for life-long learning and cyber education, (4) as a guard to assure the quality of education. Therefore, what is the meaning and prospects of advent of internet broadcasting for those in the field of education? How can we use internet broadcasting as an effective instructional media? To address these questions, we need to research and discuss further to learn about the effective use and prospects of internet broadcasting as an instructional medi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