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한국 근대 민간사회복지 연구 동향과 과제 : 관련 저서를 중심으로

        이방원 한국사회복지역사학회 2020 사회복지역사연구 Vol.3 No.-

        본 논문은 사회복지역사 개설서와 한국 근대(1876-1945) 사회복지에 관한 심화된 연구서의 내용 분석 을 통해 한국 근대 민간복지의 연구동향을 분석한 연구이다. 먼저, 한국 근대 사회복지에 대한 내용이 수록된 21종의 사회복지역사 개설서를 분석한 결과, 대부분 서구 중심의 선진국 사회복지 변화의 한 부분으로 한국의 사회복지 변천을 살펴보고 있어 한국 복지의 변천을 집중적으로 살펴보는 것에는 한계가 있었다. 본 연구 대상인 근대 민간복지 부분에 대한 서술은 한국 최초의 사회복지역사서라고 할 수 있는 구자헌의 한국사회복지사 이후 최근 출간된 사회복지역 사 개설서까지 서술 내용은 크게 발전되었다고 볼 수 없다. 또한 각 저서에 소개된 민간복지 기관의 기 본정보가 잘못 서술된 것이 종종 눈에 띈다. 한국 사회복지역사 연구가 집적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 내 용 보완 및 수정에 대해 앞으로 전면적인 고민이 필요하다. 다음으로 한국 근대 사회복지에 관해 이전 사회복지역사 개설서와 차별되는 심화된 내용이 수록되어 있 는 홍금자, 안상훈 외, 박정란, 오토모, 이방현 외의 저서 5개를 분석했다. 5종의 저서를 통해 한국 근 대 민간복지에 대한 시대구분 및 개관, 각 시기에 존재하였던 주체, 대상, 민간복지 기관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었고, 주요 기관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활동의 내용과 그 평가를 읽을 수 있었다. 그러나 각 저자마다 활용 사료의 범주가 상이하고, 관점의 차이로 서술의 내용과 평가에도 차이가 나타난다. 앞으 로 한국 근대 민간복지의 주체별, 분야별, 지역별 연구가 다양한 각도에서 이루어져 연구자들 간에 존재 하는 차이의 간극을 메꾸어 나가고, 한국사회복지역사의 비어 있는 내용들이 채워지기를 기대한다. This paper is an analysis of the research trends of modern Korean private welfare through the analysis of the contents of the opening of the social welfare history and the in-depth research on modern social welfare in Korea(1876-1945). First of all, the analysis of 21 types of social welfare history books containing information on social welfare in modern Korea showed that there was a limit to focusing on the transformation of Korean welfare as it was part of the social welfare changes in advanced countries centered on the West. The description of the modern private welfare section, which is the subject of this study, cannot be considered to have been greatly improved since Koo Ja-heon's "Korean Social Welfare History," the first Korean social welfare history book. It is also often noticeable that the basic information of private welfare institutions introduced in each book is misrepresented. In a situation that research on Korean social welfare history is being concentrated, it is necessary to consider supplementing and revising the contents. Next, five books on modern social welfare in Korea written by Hong Keum-ja, Ahn Sang-hoon, Park Jeong-ran, Otomo, and Lee Bang-hyun which are different from previous social welfare history books were analyzed. The five books provided information on the classification and opening of modern Korean private welfare, subjects, and private welfare institutions that existed during each period, and detailed activities and evaluations of major institutions were read. However, differences in the content of the description and evaluation are seen due to differences in each author's perspective and each author using a different category of utilization feed. Through future research, it is believed that evaluation of modern Korean private welfare by subject, sector, and region should be conducted from various point of view.

      • KCI등재

        해방이후 시민사회의 역사적 형성과정과 성격(1945-1953)

        이혜숙 ( Hye Sook Lee ) 한국사회사학회 2014 사회와 역사 Vol.0 No.102

        시민사회 형성의 과정과 그 구체적인 모습은 국가마다 다르며 한국의 시민사회도 독특한 역사적 경로를 거치면서 발전되어 왔다. 한국 시민사회 형성의 역사적전개과정과 특성에 대한 이해는 시민사회의 성장과 민주화를 위한 출발점이다. 이글은 해방이후 미군정기와 한국전쟁을 거치면서 형성된 국가와 시민사회 관계의 역사적 구조화 경험을 살펴보고 이를 시민사회의 재편과 저발전과 관련지어 보았다. 해방직후 팽창되었던 시민사회는 미군정기를 거치면서 급속히 위축, 재편되었고 한국전쟁은 시민사회의 저발전을 가져오는데 영향을 미쳤는데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시민사회의 제도화 면에서 미군정기는 자유민주주의가 제도화됨으로써 시민사회 형성의 법적·제도적 기반을 이룬 시기였으나 시민사회 형성에 외부의 영향력이 크게 작용했으며 제도와 시민사회적 기반의 괴리를 가져왔고 시민사회가 재편되었다. 정부수립 이후에는 국가주의의 바탕 속에서 ‘국민’ 형성이 강조됨으로써 개별 ‘시민’으로서의 권리는 무시되었다. 둘째, 시민의식과 시민문화 면에서 한국전쟁은 가족주의와 연고주의, 편법주의와 기회주의, 물질만능주의, 반공이데올로기의 내면화를 가져옴으로써 시민사회적 기반이 되는 시민의식 및 시민문화의 위축을 가져왔다. 셋째, 조직적 기반과 활동 면에서 한국 시민사회는 분단국가 형성과 한국전쟁을 거치면서 국가 및 반공에 기반한 관변단체들에 의한 동원과 감시·통제 현상이 많아지고 다양한 자율적 조직 기반이 파괴되었다. 따라서 해방이후 한국의 국가와 시민사회는 구조적 불균형을 드러내었는데 무엇보다도 한국의 국가가 전쟁을 통해 대폭 강화된 것에 비해 한국의 시민사회는 자율성과 다양성의 기반이 약해진 것이다. 오랫동안 지속되었던 한국에서의 국가의 우위현상과 권위주의 국가, 시민사회의 저발전, 한국 시민사회의 성격은 미군정기와 한국전쟁을 겪으면서 형성된 한국 시민사회 형성의 역사적 특수성과 관련된다. The formation process of civil society goes through a unique historical path. It is the starting point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historical evolution of civil society in order to foresee the growth of civil society and the development of democracy in Korea.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process of historical formation of civil society in connection with the rule of American occupation and Korean War. Conclusions are as follows First, liberal democracy was institutionalized during the period of American occupation. But the explosion of civil society after liberation from Japanese rule weakened in the collapse of civil society. Besides, Korean War led to the underdevelopment of civil society. ‘Nation’ was emphasized and individual ‘citizenship’ was ignored. Second, Korean war has brought familism, opportunism, materialism and anticommunism. So it was difficult to form civic consciousness and civic culture. Third, mobilization and social control were enhanced by Korean state and pro-governmental organizations. Various voluntary organizations were destroyed. With structural imbalance in the state and civil society, Korea came to have the sociopolitical conditions vulnerable to the rise of authoritarian state. The strong state over weak civil society in contemporary Korea was closely associated with the historical experience during the American occupation and Korean War.

      • KCI등재

        한국사회사학 30년의 성과와 과제

        정근식 ( Keun-sik Jung ) 한국사회사학회 2013 사회와 역사 Vol.0 No.100

        한국사회사연구회는 1980년에 창립되고, 1996년 한국사회사학회로 개칭된 이래 현재까지 30여 년간 활동하면서, 사회학과 역사학의 강점을 흡수하여 한국사회를 설명하는 하나의 학문 분야로서의 사회사를 발전시키는데 기여하여왔다. 이 학회의 결성은 1980년대 한국의 대학구조의 변화와 인문사회과학의 학문적 전환을 반영하는 것이다. 이 학회는 1986년부터 1996년까지 사회사연구회논문집 50권, 1997년부터 2013년까지 사회와 역사 50권 등 총 100권의 학술지를 발간하면서,식민지 근대성이나 탈식민 국가형성에 관한 이론적 탐구를 주도하였다. 그러나 점차 악화되고 사회적 환경하에서 한국사회사학회는 많은 도전을 받고 있다. 학회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학문적 의제설정능력을 강화하고, 일국사적 접근을 넘어서서 지역사적, 지구적 접근을 통해 역사적 경험의 이론화를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Korean Social History Association (Hankook Sahoesa Yonguhoe) has been established in 1980 and renamed as Hankook Sahoesa Hakhoe in 1995. This academic association has been contributed to the reformulation of Social History as a discipline, absorbing the combined strengths of Sociology and History. The formation of this association was a reflection of the big turn of Korean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influenced by 1980’s democratic movement, and has been helped by the expansion of Korean University System and the development of the printing industry. Korean Social History Association has published one hundred volumes of his academic Journal, including Collected Papers Journal 50 volumes and Society and History 50 volumes. Main academic agenda, Colonial modernity and Post-colonial state building has been suggested and reformulated in this academic association’s 30 years activities. However, under the more degenerating social condition, Korean Social History Association is confronted by many academic and institutional challenges. For the renovation and sustainable development of the Korean Social History,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the agenda setting capacity and theory oriented approach, accepting the regional and global scale beyond the nation-state scale.

      • 고트프레드 레키보(Gotfred Rekkebo)의 『한국 사회사업 1955~1965』 고찰

        최원규 한국사회복지역사학회 2018 사회복지역사연구 Vol.1 No.1

        이 글은 노르웨이 부제(deacon)이자 간호사·사회사업가로 1955년부터 1972년까지 한국에서 활동한 고 트프레드 레키보(Gotfred Rekkebo, 1911~1993)의 사회사업 관련 활동에 관한 것이다. 그는 1950년 에 발발한 한국전쟁에 간호사로 파견되었다. 그는 현임 사회사업 종사자를 대상으로 개별사회사업 (social case work) 훈련을 실시하였다. 그들을 병원, 고아원, 지역사회복지관 등에 파견하고, 그들에 대한 슈퍼비젼을 제공하였다. 1959년에는 그가 훈련시킨 개별사회사업가들과 함께 한국개별사회사업가 협회(Korea Case Workers’ Association)를 만들어 1967년 한국사회사업가협회 발족의 한 축을 담당 하였다. 17년(1955-1972)에 달하는 한국에서의 레키보의 활동은 한국 사회사업가의 전문성 향상을 위한 기여로 평가되는데, 특히 병원 기반의 의료사회사업의 출발을 이룩한 것은 주목할 만하다. 서울 마 포와 전남 목포 등지에서 그의 활동은 오늘날 수백개에 이르는 지역사회복지관 사업의 원형으로 자리매 김할 수 있다. 아울러 목포에서의 MAVA의 결성은 지역사회복지 증진을 위한 네트워크의 형성이라는 점에서 그 의미가 각별하다. 한편 교육훈련의 방법론과 관련하여 볼 때, 현장의 사례들에 대한 토의를 중심으로 한 그의 노력은 실용적, 실천적 사회사업 교육이었다고 평가할 수 있다. 이는 이론교육 중심이 라는 비판을 받아 온 한국 사회사업 대학교육과는 대비되는 것이다. This article is on Gotfred Rekkebo’s social work activities in Korea from 1955 to 1972. He was a deacon, a nurse, and a social worker from Norway. He was sent to Korea as a nurse during Korean War of 1950. He conducted social work training for the active social workers. He dispatched them to hospitals, orphanages, community welfare centers, and provided them with a supervision. In 1959, he created the Korea Case Workers' Association, along with individual social workers who were trained by him. He was responsible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Korea Association of Social Workers in 1967. 17 years(1955-1972) of Rekkebo’s activities in Korea could be evaluated as a contribution to improve the professionalism of Korean social workers. It is also noteworthy that the start of the hospital-based medical social work in Korea had been achieved by his endeavors. His activities in Mapo area in Seoul and Mokpo city in Chonam province could be regarded as the prototypes of hundreds of community welfare centers. In addition, the formation of MAVA in Mokpo city was considered to be meaningful in that it was a network for promoting community welfare. On the other hand, in relation to the methodology of social work education and training, it could be concluded that his efforts centered on discussion of cases in the field were a practical method of social work education. This was contrasted with the Korean social work education, which had been criticized as the theoretical education centered.

      • KCI등재

        강한 사회학자 결속, 약한 사회학적 지향 ― 학술지<사회와 역사>에 나타난 한국 사회사/역사사회학의 분과성과 학제성(2008-2018)

        박천웅 ( Park¸ Chunwoong ) 한국사회사학회 2021 사회와 역사 Vol.- No.131

        이 연구는 학술장의 분과성과 학제성을 이론화하고, 한국 사회사/역사사회학이라는 학술장에서 분과성과 학제성이 어떻게 구조화되어 있는지를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한국 사회사/역사사회학은 한국근현대사의 여러 사건과 그에 관한 서사와 담론을 분석, 설명하는 사회학의 한 세부 분야이자, 사회학이라는 분과 학문 분야 외부의 연구자들이 한국근현대사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는 학제 연구의 장이다. 이는 사회사/역사사회학이 내적으로는 사회학이라는 분과 학문 속에서 이론적, 방법론적 정통을 둘러싼 투쟁으로 구조화된 장이면서도, 외적으로는 사회학 이외 학문 분야에 의해 관계적으로 형성되는 장 사이의 공간이라는 점을 가리킨다. 사회사/역사사회학이 어떤 방식으로 분과성과 학제성에 의해 구조화되었는지를 보여주기 위해 학술지 <사회와 역사> 2008년의 77호부터 2018년 120호 사이 발표된 381편 논문의 저자, 인용 문헌의 유형과 숫자, 주요어와 발표자 연결망, 인용한 학술지의 학문 분야 등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식민주의, 냉전 등 20세기 한국 근현대사회의 변동을 연구하는 사회학자들이 <사회와 역사>의 주류 연구자인 반면, 이들 연구자들이 인용하는 문헌의 유형과 분야가 사회학뿐만 아니라 여타 사회과학 제 분야, 역사학, 어문학을 아우르는 경향이 있음을 보여준다. 이 결과를 토대로, 이 글은 한국 사회사/역사사회학의 학술장이 사회학 연구자들의 강한 결속이라는 분과성과 약한 사회학적 연구라는 학제성을 동시에 가진 특징이 있다고 주장한다. This study investigates how struggle for disciplinary citizenship in sociology melds with interdisciplinary approaches to sociology in the field of Korean historical sociology. It analyzes how these two aspects counterintuitively manifest in the academic journal Society and History from 2008 to 2018. As a leading journal for historical sociology in South Korea, Society and History provides evidence of the evolutionary changes in the field and presents substantial evidence of sociology as an interdisciplinary field that weds the ideas of trained sociologists and non-sociologists. As a field marked with the struggle against the theoretical and methodological orthodoxy characteristic of the mainstream sociology but also the product of intellectual cross-disciplinary relationships with humanities, Korean historical sociology has proposed explanatory frames and perspectives for understanding 20<sup>th</sup> century Korean society. To illustrate the coexistence of both disciplinary citizenship and interdisciplinarity, the study analyzed the authors, the types and numbers of cited literature, the keywords, the author networks, and the maps of cited journals of 381 papers published in Sociology and History between the 77<sup>th</sup> issue and the 120<sup>th</sup> from 2008 through 2018. The analysis finds that trained sociologists (with PhDs in sociology) who research on 20th century Korea focus primarily on colonialism and the Cold War make up the core research group. However, the works that they cite are not necessarily oriented toward sociology and in turn the journal Society and History performs a brokerage role linking sociology to other social sciences and humanities. Based on these results, the present study suggests that historical sociologists in South Korea find unity topically. At the same time, historical sociology as an academic discipline in the country remains weakly oriented to sociology inwards but instead directs outwards.

      • KCI등재

        “2미터를, 3미터를 더 간 다음에” -『사회와 역사』 100집의 발자취와 과제

        서호철 ( Ho-chul Seo ) 한국사회사학회 2013 사회와 역사 Vol.0 No.100

        1980년 설립된 한국사회사연구회가 발간하는 학술지사회와 역사 가 2013년 겨울호로 통권 100집을 맞았다. 1986년부터 1996년까지는 부정기간행물인 『한국사회사학회논문집』 형식으로 간행되었는데, 한국학의 경험적 연구성과를 집적하며 학문의 주체성을 추구하는 새로운 시도로 창간 당시부터 학계와 언론의 큰 주목을 받았다. 이후 학회 내부의 요구와 학계 상황의 변화에 따라 1997년부터 지금과 같은 형태의 학술지 사회와 역사로 체제를 바꾸었으며, 2006년부터 반년간에서 계간으로 바꾸어 발간했다. 사회와 역사는 인접학문과의 교류 속에 외연을 크게 넓히면서 한국의 사회사·역사사회학 연구, 그것의 ‘문화적 전환’을 주도하고 있다. 그러나 한국 학계가 양적 경쟁과 신자유주의적 시장상황으로 바뀌어가는 가운데학술지의 주도적 기획력, 학문적 의제 설정 능력이 둔화되고 있지 않나 우려된다. Society and History, published by Korean Social History Association(KSHA), reaches the 100th issue in this volume(Winter 2013). From 1986 to 1996, Society and History has be en in existence in the form of The KSHA``s Collected Papers, more like edited books in a way. The Collected Papers celebrated its 50th volume in 1996, and was changed into the present journal, Society and History since 1997. Society and History was a biannual journal at first, and it has been issued quarterly from the 69th issue(Spring 2006). This scholarly journal has been exploring the social history and the historical sociology in the broadest interdisciplinary sense, and continues to be one of the most exciting and influential resources for scholars in history and the social sciences in Korea. However, under the current neo-liberalistic higher education policy and quantitative evaluation system on researchers performance, Society and History and KSHA are confronted by many internal and external challenges. Above all, Society and History should develop its faculty to set and lead academic agenda.

      • KCI등재

        탈냉전기 재일조선인의 한국이동과 경계 정치

        조경희 ( Kyung Hee Cho ) 한국사회사학회 2011 사회와 역사 Vol.0 No.91

        일본 식민지지배와 해방 후 냉전체제하에서 이산(離散)을 겪은 코리안 디아스포 라들이 ‘탈냉전’기에 들어 ‘조국’으로 재이동하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그 중 식민 지지배의 ‘구종주국’에서 살아온 재일조선인들은 한국사회에서 오랫동안 정치적인 이용대상 혹은 경제적인 자원으로 간주되어 왔다. 그러나 한국사회의 민주화와 지 구화의 진전, 2000년대 이후 민족화해 등의 시대적 변화는 재일조선인과 한국사회 의 관계를 새로 만들어나가는 계기가 되었고 현재 그들이 지닌 경계적인 문화자본 과 정체성은 한일 간을 연결하는 매개적인 역할을 가능하게 만들고 있다. 그 한편 에서 재일조선인들은 여전히 냉전논리에 의한 제도적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최근 남북 간의 긴장상황이 재일조선인들의 한국입국을 차단하는 현실 또한 엄연히 존 재한다. 즉 현재 한국사회와 재일조선인들의 관계위상은 탈냉전적 현실과 냉전적 현실이 교차, 교섭하는 지점에 있음을 알 수 있다. 이 글에서는 주로 재일조선인 2,3세들과의 인터뷰를 통해 그들의 한국 이동의 경험과 그 과정에서의 일상적인 경계인식과 교섭과정을 재구성하였다. 그들은 자신들의 월경적 활동과 비-분단적 정체성을 한국사회에 발신하는 주체임과 동시에 한국사회의 재일조선인 표상과의 교섭과정을 통해서 정체성을 재구축한다. 그들이 지닌 국적과 생활문화의 복합성 은 한반도의 민족이산과 분단, 다문화의 문제가 얽혀있는 지점을 가리키고 있다. This paper analyses transnational experience and boundary politics of Zainichi Koreans (Korean resident in Japan) focusing on their remigration to south Korea. Zainichi Koreans have been regarded as the political or economic resources in South Korea for a long time. But due to the periodic situation of democratization and globalization, or national reconciliation in Korean society since 2000’s, the chances for oversea Koreans to visit to their “homeland” have become widened. The change both at home and abroad has facilitated to reset the relation between Korean diasporas and their “home” country. More recently, Zainichi Koreans have been celebrated as emerging transnational subjects endowed with cross-cultural experience and hybrid identity. However, the status of Zainichi Koreans is still governed by Cold War system, so that the political tension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since the late 2000s has made it difficult for some Zainichi Koreans to enter into South Korea. This paper examines the experience of remigration of Zainichi Koreans to the “homeland” and their boundary politics, which is never smooth and easy, but full of contradiction and contestation.

      • KCI등재

        거시이론에서 사건사로, 그리고 다시 거시이론으로? -역사사회학의 연구 경향과 새로운 길의 탐색

        김동노 ( Dong-no Kim ) 한국사회사학회 2013 사회와 역사 Vol.0 No.100

        이 글은 역사사회학이 어떤 과정을 거쳐 제도화 되었고, 어떻게 변화되어 왔으며, 앞으로 어떻게 나아가야 할 것인지를 살펴보려고 한다. 이를 위해 우선 사회학의 중심을 이루고 있는 유럽과 미국에서 역사사회학이 자리 잡아간 과정과 변해가는 모습을 검토하려고 한다. 이어서 이러한 제도화와 변화의 과정이 한국의 학문적 상황에서는 어떻게 반영되었는지를 알기 위해 사회와 역사와 한국사회학 에실린 역사사회학 논문을 경험적으로 분석해보려고 한다. 더 나아가서 앞으로 역사사회학은 어떠한 방향으로 나아가야 하며, 그리고 이러한 새로운 방향의 모색에 있어 한국의 역사사회학이 기여할 수 있는 방안은 무엇인지를 탐색해보는 것이 글의 목적이다. 역사사회학이 사회학의 발전에 미친 긍정적 부정적 영향은 분명하다. 시간의 개념이 들어가지 않는 연구가 가질 수 있는 위험성을 극복하는데 역사사회학이 도움을 준 것은 물론이며 보다 넓게 보면 사회에 대한 심층적 이해도 사회의 형성과 변화에 관한 역사적 접근을 통해 가능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최근 들어 역사사회학은 거시 구조이론에서 미시 사건사와 문화연구로 방향을 바꾸면서 새로운 위기를 맞고 있다. 이는 국내 역사사회학의 연구경향에서도 똑같이 발견되고 있다. 거시구조이론이 가진 몰역사성을 극복하기 위한 방안이 모색되면서 역사사회학의 연구가 단편화되고 파편화되는 또 다른 위기를 맞이하고 있다. 이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새로운 길은 기존 연구가 가진 단점들을 버리고 장점들을 묶어 하나의 총체적 결합으로 나아가는 것에서 찾아질 수 있다. 특히 사건에 근거한 이론 구축을 확대·심화함으로써 사건과 이론을 새롭게 통합함으로써 탈출구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이 과정에서 한국 역사사회학은 한국의 역사적 경험 특히 식민/탈식민의 경험에 근거한 새로운 이론구축을 통해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In this paper I intend to trace back the institutionalization process of historical sociology in the U. S. and Europe: how it emerged in the academic field, how it was transformed, and how it will be developed in the future. I will also investigate how this general trend is reflected in the research papers of historical sociology in Korea by analyzing those published in Sociology and History (Sahoewa Yoksa) and Korean Journal of Sociology (Hankuk Sahoehak), and how Korean historical sociology can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social theories. Historical sociology first emerged in the 1970s with a practical purpose of overcoming ahistorical fallacy in the construction of social theories, as most representatively exemplified in functionalism. Despite its great contribution to a deeper understanding of social reality by constructing macro-structural theories, historical sociology faced a new challenge when some scholars criticized decontextualization of these theories and emphasized the necessity to steer its attention towards event analyses and cultural studies. This new trend, when pursued in an extreme form, brought about a new crisis by fragmenting theories of historical sociology and abstracting events from the general social theories. One effective way to solve this crisis is to synthesize events with theories and causality with narratives. Historical sociology in Korea will help in developing new social theories as it can construct them based upon historical experiences of Korean society, especially colonial modernization and decolonization processes.

      • 하상락의 사회사업 교육관

        최원규 한국사회복지역사학회 2019 사회복지역사연구 Vol.2 No.-

        이 글은 서울대학교 사회사업학과(현 사회복지학과) 교수를 역임한 몽산(夢山) 하상락(河相洛) (1915-2001)의 사회사업 교육관을 탐색적으로 고찰한 것이다. 사회사업 교육관이란 사회사업 교육의 필요성과 목표, 사회사업 교육내용 및 교육방법 등에 대한 생각들을 의미한다. 사회사업 교육에 대한 몽 산의 저작과 서울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역사편찬을 위해 수집된 자료들을 활용하였다. 해방과 한국전쟁을 거치면서 응급구호, 시설보호 중심으로 형성된 한국 사회사업을 전문사회사업으로 발전시키기 위한 대학 교육을 강조했던 몽산은 서울대학교 사회사업학과, 한국사회사업학회, 한국사회사업교육협의회 및 한국 사회사업가협회에서 중심적인 역할을 수행하였을 뿐 만 아니라 스스로 사회사업조직을 만들어 전문사회 사업실천에 나선 실천가이기도 하였다. 사회사업 교육목표에 대한 몽산의 생각은 다음과 같이 정리된다. 학부 사회사업 교육은 필드웤을 통해 현장감각을 익힌, 그리고 사회사업의 기초 이론과 기술을 갖춘 사 회사업가 양성에 목표를 둔다. 반면 대학원 사회사업교육은 이론을 기반으로 한 정책계획가 혹은 교수요 원 양성에 목표를 둔다. This article is an exploratory study on the thoughts on social work education of Ha Sang-Nak who was a professor of the department of social work in Seoul National University. Thoughts on social work education means ideas on the necessity, goals, contents and methods of social work education. Professor Ha’s articles on social work education and some collections for the writing of the history of the department of social work in Seoul National University are reviewed. Ha had emphasized professional social work education to cope scientifically with the social problems since the Korean War of 1950. Beyond the mere emergency relief and institutional care, he had stressed on the development of college education to develop Korean social work into a profession. Besides he was a professor of the department of social work in Seoul National University, he did play central roles in the formations and developments of major social work organizations in Korea. He was also served as a professional social worker in his own social work organization. Ha's ideas on the goals of social work education are summarized as follows: Undergraduate social work education has to aim at training social workers who have learned the field sense through field studies and have basic theory and skills in social work. On the other hand, graduate school social work education has to aim to cultivate policy planners or social work professors who have theoretical bases of social work.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