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강한 사회학자 결속, 약한 사회학적 지향 ― 학술지<사회와 역사>에 나타난 한국 사회사/역사사회학의 분과성과 학제성(2008-2018)

        박천웅 ( Park¸ Chunwoong ) 한국사회사학회 2021 사회와 역사 Vol.- No.131

        이 연구는 학술장의 분과성과 학제성을 이론화하고, 한국 사회사/역사사회학이라는 학술장에서 분과성과 학제성이 어떻게 구조화되어 있는지를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한국 사회사/역사사회학은 한국근현대사의 여러 사건과 그에 관한 서사와 담론을 분석, 설명하는 사회학의 한 세부 분야이자, 사회학이라는 분과 학문 분야 외부의 연구자들이 한국근현대사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는 학제 연구의 장이다. 이는 사회사/역사사회학이 내적으로는 사회학이라는 분과 학문 속에서 이론적, 방법론적 정통을 둘러싼 투쟁으로 구조화된 장이면서도, 외적으로는 사회학 이외 학문 분야에 의해 관계적으로 형성되는 장 사이의 공간이라는 점을 가리킨다. 사회사/역사사회학이 어떤 방식으로 분과성과 학제성에 의해 구조화되었는지를 보여주기 위해 학술지 <사회와 역사> 2008년의 77호부터 2018년 120호 사이 발표된 381편 논문의 저자, 인용 문헌의 유형과 숫자, 주요어와 발표자 연결망, 인용한 학술지의 학문 분야 등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식민주의, 냉전 등 20세기 한국 근현대사회의 변동을 연구하는 사회학자들이 <사회와 역사>의 주류 연구자인 반면, 이들 연구자들이 인용하는 문헌의 유형과 분야가 사회학뿐만 아니라 여타 사회과학 제 분야, 역사학, 어문학을 아우르는 경향이 있음을 보여준다. 이 결과를 토대로, 이 글은 한국 사회사/역사사회학의 학술장이 사회학 연구자들의 강한 결속이라는 분과성과 약한 사회학적 연구라는 학제성을 동시에 가진 특징이 있다고 주장한다. This study investigates how struggle for disciplinary citizenship in sociology melds with interdisciplinary approaches to sociology in the field of Korean historical sociology. It analyzes how these two aspects counterintuitively manifest in the academic journal Society and History from 2008 to 2018. As a leading journal for historical sociology in South Korea, Society and History provides evidence of the evolutionary changes in the field and presents substantial evidence of sociology as an interdisciplinary field that weds the ideas of trained sociologists and non-sociologists. As a field marked with the struggle against the theoretical and methodological orthodoxy characteristic of the mainstream sociology but also the product of intellectual cross-disciplinary relationships with humanities, Korean historical sociology has proposed explanatory frames and perspectives for understanding 20<sup>th</sup> century Korean society. To illustrate the coexistence of both disciplinary citizenship and interdisciplinarity, the study analyzed the authors, the types and numbers of cited literature, the keywords, the author networks, and the maps of cited journals of 381 papers published in Sociology and History between the 77<sup>th</sup> issue and the 120<sup>th</sup> from 2008 through 2018. The analysis finds that trained sociologists (with PhDs in sociology) who research on 20th century Korea focus primarily on colonialism and the Cold War make up the core research group. However, the works that they cite are not necessarily oriented toward sociology and in turn the journal Society and History performs a brokerage role linking sociology to other social sciences and humanities. Based on these results, the present study suggests that historical sociologists in South Korea find unity topically. At the same time, historical sociology as an academic discipline in the country remains weakly oriented to sociology inwards but instead directs outwards.

      • KCI등재

        차이에 의한 특전(特典) ― 식민지 관료제화와 경성전수학교(1911~22) 출신 조선총독부 조선인 판검사

        박천웅 ( Park Chunwoong ) 한국사회사학회 2020 사회와 역사 Vol.0 No.126

        이 연구는 베버의 관료제화 개념을 조직으로서 국가-관료제 기능이 전문화되는 과정과 관료제 조직 구성의 원리가 전사회적으로 확장되는 형식화 과정으로 구분하고, 일제 식민지배 하 한국에서 근대적 교육 체제가 이 두 과정에 개입하여 식민지 관료제를 구조화하는 모습을 설명한다. 이 연구는 경성전수학교(1911~22)의 커리큘럼과 조선인 졸업자들의 커리어 분석을 통해, 식민지 조선 관료제화의 특징이 기능의 전문화에도 불구하고 형식성에서의 불균등화라고 주장한다. 경성전수학교는 법률과 경제를 가르쳤던 식민지 조선의 고등교육기관이었지만, 이 학교 졸업만으로는 조선총독부 고등관의 자격을 충족시킬 수 없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제국과 식민지의 차이와 일본인과 조선인의 차이를 전제하고 있었던 조선총독부 조선인 관리 선발 법령에 의해 경성전수학교 출신의 조선인 판검사가 다수 배출될 수 있었다. 『조선총독부 관보』, 『조선총독급부소속관서 직원록』, 신문 자료 등을 활용하여 경성전수학교의 입학, 학사, 졸업 이후의 커리어를 분석한 결과는 조선인 졸업자들이 법률과 경제 과목을 집중적으로 이수했고, 졸업자 대부분이 조선총독부 중하위 관리가 되었으며, 관리가 된 졸업생의 3분의 1 정도가 시차를 두고 고등관으로 승진했으며, 고등관의 절대다수는 판검사였다는 점 등을 보인다. 그런데 이 일련의 과정은 관리의 기능적 전문화라는 측면에서는 근대적 성격을 가지고 있었지만, 관리의 자격이라는 측면에서는 제국주의 식민지배가 배태한 구조적 차이를 내포하고 있었다. 그리고 이 민족성에 따른 관리 자격의 차이가 통치의 자의성을 극대화할 식민지 법령에 근거를 두고 있었다는 점에서 식민지 관료제화의 특징은 피지배민족 관리에 대한 차이가 일종의 특전(特典)처럼 나타나는 것에 있다. Explicating Weber’s concept of bureaucratization into the functionally specializing process and the formalizing process, this study explains how the modern educational system in the 1910s intervened in these two processes and structured the colonial bureaucracy in Korea under Japan’s rule. Gyeongseong Professional School (1911~22) was one of the highest education institution in colonial Korea, which taught law and economy. While graduating from this school alone failed to provide the qualifications needed for high-ranking officer appointment in the Japan’s colonial government, the ordinances and decrees allowed many Korean graduates’ appointments as judges and prosecutors of the colonial court. Using the Governor-General’s official gazette, the employee lists of the colonial government and its affiliated offices, and newspaper materials, this research analyzed the school’s competition rate, curriculum, post-graduation careers, and ordinances and decrees pertaining to Korean high-ranking officials. It found that most students who focused on law and economics, many others became mid/lower-ranking officers of the colonial government, and about one-third of the graduates, after several years, became high-ranking officers. All these processes illustrate new and more modern progressions toward the specialization of bureaucrats. However, qualification requirements remained embedded in the colonial rule’s structural differences―grounded on colonial legal ordinances and decrees that maximized autonomy and led to preferential treatment. This study concludes that the colonial bureaucracy achieved functional specialization but failed to achieve qualification standards for Korean high-ranking officials in the 1910s.

      • KCI등재

        법 의식의 이중적 태도, 소송 경험, 법의 정의관은 법원 신뢰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 한국법제연구원 법의식조사자료(2019) 분석을 중심으로

        박천웅 ( Chunwoong Park ) 법과사회이론학회 2021 법과 사회 Vol.- No.68

        이 연구는 법원 신뢰를 법관에 대한 신뢰와 형사사법체계에 대한 신뢰로 구분한 후, 법 의식의 이중적 태도, 소송 경험, 법의 정의관이 이 두 차원의 신뢰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를 분석한다. 일반적인 국가 기관에 대한 신뢰는 부여된 업무를 효과적으로 잘 수행하는가 그리고 규범적으로 올바른가에 달려 있는 반면, 법원에 대한 신뢰는 분쟁조절과정과 형사사법절차에서 불편부당, 독립, 사법정의라는 가치를 실제로 구현하는가 혹은 그렇게 노력하고 있는가라는 기대로 구성되어 있다. 이 연구는 자신의 법 준수 의식은 높다고 평가하지만 타인과 사회의 법 준수 의식을 낮게 평가하는 법 의식의 이중적 태도, 소송 당사자로서의 경험과 그 경험이 법 정서와 상호작용하는 효과, 기회의 균등과 결과의 평등이라는 두 가지 법의 정의관에 따른 법원 신뢰의 변화에 주목했다. 한국법제연구원이 수행한 2019년 법의식조사자료를 활용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법 의식의 이중적 태도가 클수록 법관과 형사사법체계에 대한 신뢰가 낮고, 소송 당사자로서의 경험은 법관 신뢰에 부정적인 영향력을, 법의 정의관이 기회 균등과 결과 평등 모두에 있다고 보는 이들은 기회 균등에만 있다고 보는 이들에 비해 법원 신뢰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Dividing the concept of court trust into trust in judges and trust in the criminal justice system, the present study examines how the dual attitude of legal consciousness, litigation experience, and the views of justice affect the court trust. While trust in state agencies depends in general on whether they perform effectively and normatively well in assigned tasks, the court trust in particular consists of practical and normative beliefs surrounding unfairness, independence, and the realization of judicial justice in both civil disputes and criminal justice procedures. This study notes the changes of court trust led by the dual attitude of legal consciousness which denotes high evaluation on self’s legal compliance with low evaluation on others’, experience as a litigant and its interaction effects with legal sentiments, and justice as equality of opportunity and justice as equity. I conduct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using the 2019 Korean legal consciousness survey data collected by the Korea Legislation Research Institute (KLRI). The results show that the greater the dual attitude of the legal consciousness the lower the trust in judges and the criminal justice system, that the court experience as a litigant lowers judge trust, and that those who believe that the view of justice in the law is based on both equal opportunity and equity have lower trust in the criminal justice system than those who view it as only based on equal opportunity.

      • SCOPUSKCI등재

        Quercetin-3-glucuronide 함유 약용 식물의 pentobarbital 유도 수면모델에서 수면증진 활성

        박천웅(Chunwoong Park),김현경(Hyunkyung Kim),안예진(Yejin Ahn),홍양희(Yang-Hee Hong),전상덕(Sang Duck Jeon),신동석(Dong Seok Shin),서형주(HyungJoo Suh) 한국식품과학회 2022 한국식품과학회지 Vol.54 No.6

        본 연구에서는 GABA 수용체에 작용하여 진정, 불안 완화 및 항경련 그리고 수면 활성에 효과가 있다고 보고된 Q3G를 함유한 식물 소재를 탐색하여 pentobarbital 유도 수면 실험에서 수면증진 활성을 평가하였다. Q3G는 GABA<SUB>A</SUB>-BZD 수용체에 높은 결합 활성을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Q3G를 20 mg/kg 투여하였을 때 정상 대조군과 비교하여 수면 잠복 시간과 수면 시간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국내에 자생하는 식물 중 Q3G를 다량 함유하고 있는 식물을 탐색한 결과, 병풍쌈, 단풍터리풀, 며느리배꼽이 각각 10.95, 14.10, 45.37 mg/g으로 높은 Q3G 함량을 보였다. 세 가지 식물 추출물 모두 정상 대조군과 비교하여 유의적인 수면의 증가를 보였으며, 며느리배꼽 추출물이 가장 우수한 수면 증진 활성을 보였다. 며느리배꼽 추출물의 수면 증진 활성은 GABA<SUB>A</SUB>-BZD 수용체와의 상호작용에 기인한 것으로 사료된다. 며느리배꼽 추출물은 수면 증진 활성을 가지며, 라디칼 소거활성 또한 우수한 소재이므로 향후 수면 장애를 개선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기능성 원료로서의 활용 가능성이 높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sleep-promoting activities of plant extracts by screening domestic plants with a high quercetin-3-glucuronide (Q3G) content. The Q3G (20 mg/kg) group had a significantly improved sleep latency time (p<0.001) and sleep duration time (p<0.05) compared to that of the normal group. In addition, Q3G has a high binding affinity to the benzodiazepine site of the GABA<SUB>A</SUB> receptor and thus promotes sleep through GABAergic action. Extracts of Filipendula multijuga Max. (14.10 mg/g), Cacalia firma Kom. (10.95 mg/g), and Persicaria perfoliate (45.37 mg/g) had higher Q3G contents compared to that of other domestic plants. The Persicaria perfoliate extract exhibited the highest sleep-promoting activity among the three extracts. Furthermore, it had a significantly higher polyphenol (p<0.05) and flavonoid (p<0.05) contents among the three extracts and showed excellent radical scavenging abilities. Therefore, the Persicaria perfoliate extract has great potential as a functional material for improving sleep disorders.

      • KCI등재

        법의 장의 구조 변동 ― 광무 정권기 한성재판소 및 평리원 사법관 연구

        박천웅 ( Park Chunwoong ) 한국사회사학회 2017 사회와 역사 Vol.0 No.115

        이 논문은 광무 정권 시기 서구식 법 제도의 수용 과정을 법의 장(juridical field)의 구조 변동이라는 측면에서 연구한다. 법의 장의 구조 변동은 내부에서 법리 자본을 둘러싼 사회 행위자 간의 투쟁과 외부에서 상이한 법적 질서를 가진 장들 사이의 충돌의 결과 일어난다. 법리 자본(juridical capital)을 소유한 계급이 새로이 유입되는 법 제도를 적극적으로 수용해야 기존의 법의 장의 변화가 일어날 수 있다는 이론적 구성에 기대어, 이 연구는 대내외의 세력으로부터 체제를 유지하기 위해 황제 중심으로 법리 자본을 수직적으로 재편하였던 광무 정권 하에서는 법의 장의 구조 변동이 쉽사리 일어날 수 없었다는 점을 주장한다. 1895년 이후 새로이 도입된 한성재판소와 평리원이라는 두 재판소에 임명된 판사와 검사들의 직위, 직전직, 교육 배경, 재임 기간 등을 승정원일기, 대한제국 관보, 신문 등의 사료에서 찾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1)대부분의 판검사들이 서구의 법학 지식을 갖추지 못하였고, 2)이들 두 재판소의 재판장들의 대다수가 황제의 측근 그룹에서 충원되어 매우 짧은 임기 동안 재직하였으며, 3)재판소의 일선 판사와 검사들 중 소수만이 상대적으로 오랜 기간 동안 재직하면서 실무를 통해 재판 숙련도를 쌓아 나갔다는 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 분석 결과는 황제 중심으로 법리 자본이 집중된 결과, 서구식 법학을 익힌 법률가들이 광무 정권기 동안에 하나의 집단이나 계급으로 진화하지 못하였다는 사실을 말해 준다. 이 논문은 법 제도 정착과 변화, 개혁의 성패를 설명하는 것은 국가 내의 법리 자본 소유 계급의 전환과 맞물려 있다는 점을 지적하며, 법 이식과 전파의 과정을 단선적 발전 단계로 파악하기보다 권력 관계가 복잡하게 얽힌 장 내의 문제로 바라볼 필요가 있다고 제안한다. This research examines the adoption of the Western legal system for the Kwangmu regime period of Korea in regard of the transformation of the juridical field. The transformation of the juridical field endogenously occurs as a form of struggles between social agents over the juridical capital, while it exogenously takes place as a result of collision between fields with different legal orders. Drawing on a theoretical construction that the transformation is made only when the owners of the juridical capital actively embrace the newly implanted legal system, I argue that the transformation in early modern Korea failed to occur due to the Kwangmu regime that extensively exercised its power in order to maintain its domination. From archives including the diary of the Royal Secretary, the List of Officials of the Taehan Empire, and newspapers, I investigate ranks, tenure, educational background, and the former-position in bureaucracy of judicial officials assigned to the Court of Seoul (Hanseongjaepanso) and the Court of Cassation (Pyeongniwon) from 1897 through 1905, both of which were established as Western-styled courts after 1895. The result of analysis shows that 1) most judicial officials did not learn Western law, 2) most heads of the two courts hailed from the aides of the Emperor Kojong with very short tenures, and 3) ordinary judges and prosecutors in the two courts did not learn law from any institute but rather became proficient through work. The result suggests that the concentration of the juridical capital to the Emperor oppressed the Korean jurists knowledgeable to Western law from evolving to a social class. Pointing out that the change of legal institutions hinges on the transition of the holders of the juridical capital within a country, this research calls for examining the legal transplantation in regard of power in the juridical field rather than a linear develop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