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한국과 일본의 주거교육 연구의 동향육학회지와 일본가정과교육학회지를 중심으로-
장상옥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007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19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trends of education researches on the housing in Korea and Japan. It was based on the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nd Journal of the Japan Association of Home Economics Education. For the inquiry, 49 articles(20 from Korea and 29 from Japan) were collected from 1989 to 2006.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number of the articles of housing education was not quantitatively enough compared to the other fields in Korean and Japan. Second, regarding research fields, there were lots of articles about ‘the perception of housing education’ and ‘teaching-learning method & teaching materials’ in Korea. On the other hand in Japan, articles about ‘teaching-learning method & teaching materials’ and ‘the evaluation of education’ were major fields. Third, the major research topic was ‘overall of the housing education’ in Korea, while ‘living space’ in Japan. Fourth, the major data collecting method were questionnaire surveys and experiments, mostly targeting students and teachers from junior and high schools. Descriptive statistics such as frequencies, percentages and means were most often used for data analyses. 주제어(Key Words) : 주거교육(housing education), 연구동향(trends of research), 한국가정과교 육학회지(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일본가정과교 육학회지(Journal of the Japan Association of Home Economics Education) 이 연구는 주거교육 관련 논문을 분석하여 연구의 동향을 파악하여 앞으로의 주거교육 연구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와 일본가정과교육학회지를 대상으로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의 창간 시점인 1989년부터 2006년까지의 한국과 일본의 주거교육 연구의 동향을 비교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학회지의 발행 현황은 한국과 일본의 모두 주거교육 관련 연구가 양적으로 많지 않았는데 일본의 경우가 한국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많았으나 최근으로 올수록 한국에서의 주거교육 관련 연구가 더욱 활발하다. 연구영역은 한국에서는 교과인식과 교수학습방법 및 교재연구가 많은 반면, 일본의 경우는 교수학습방법 및 교재연구와 교육평가에 대한 연구가 많았다. 연구주제단원은 한국에서는 주생활 단원 전반이 가장 많았던 반면, 일본은 주거공간에 대한 연구가 많았다. 연구방법은 한국과 일본 모두 조사연구와 실험연구 방법을 적용시킨 연구가 상당부분 차지하는데, 한국은 조사연구의 비율이 실험연구에 비하여 매우 높았고, 일본은 조사연구와 실험연구의 비율 차이가 많지 않은 편이었다. 연구대상은 한국과 일본 모두 학생을 연구대상으로 한 비율이 높았고 일본의 경우 연구대상의 범위가 다양하였다. 연구대상자의 규모는 한국과 일본 모두 300명대 이하의 연구가 대체로 많은 편이었다. 분석방법은 두 나라 모두 기술통계를 가장 많이 적용하고 있었다.
소셜 네트워크 분석(SNA)을 활용한 가정교육학의 지식구조 탐색: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에 게재된 논문을 중심으로
박미정,유난숙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024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36 No.2
이 연구는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를 중심으로 가정교육학의 지식구조를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한국가정과교육 학회지에 2004년부터 2023년까지 게재된 758편의 논문을 대상으로 소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해 가정교육학의 지식 네트워크를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정교육학 지식 네트워크는 구조적으로 좁은 세상 네트워크의 특성을 보였으 며, 아동⋅가족 영역 및 진로성숙도와 관련된 논문이 인용횟수가 많아 이 영역의 연구가 가정교육학 지식구조에 영향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정교육학의 지식구조는 가정교과와 교육과정 등을 중심으로 (1) 교과서의 내용 분석과 교수학습 설계 그룹, (2) 실천적문제및프로그램의개발및적용그룹, (3) 가정과수업이중등학교청소년의행동과태도등에미치는영향 그룹, (4) 가정과 교육환경과 관련된 가정과교사의 인식이나 실태 그룹으로 구조화되었다. 시계열적으로 분석한 결과 인식, 내용, 단원, 가정과교사, 실천, 행동, 영향 등의 핵심 키워드는 그 영향력이 줄어들고, 교육과정, 교과서, 개발 등은 그 영향력이 점차 커지는 추세를 보였다. 셋째, 가정교육학의 하위 지식구조로 7개(가정과교육과정 방향, 가정과 교수학습 적용과 효과, 가정과교육의 인식 및 요구, 가정과교육과정과 교과서, 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가족관계, 청소년 소비행동 및 의복, 영양과 건강한 식생활)를 도출하였으며, 가정교육학 지식구조에서 ‘가정과교육의 인식 및 요구’의 비중은 감소하고, ‘가정과교육과정과 교과서’, ‘가정과 교수⋅학습과정안 적용’의 비중은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또한 ‘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가족관계’와 ‘가정과 교육과정과 교과서’가 가정교육학 지식구조에서 가장 영향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 연구는 가정교육학 지식구조의 핵심 키워드와 하위구조의 시계열적인 변화를 보여줌으로써 가정교육학 연구의 지식구조를 이해하고, 확장하는 토대를 마련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knowledge structure of the field of home economics education. To achieve this, the knowledge network of the field of home economics education was analyzed using social network analysis on 758 articles published between 2004 and 2023, focusing on those in the Journal of Home Economics Education Research. The main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knowledge network exhibited characteristics of a small-world network. Papers on children, family, and career maturity significantly influenced the knowledge structure. Second, the knowledge structure is centered around the home economics subject and curriculum and is organized into four groups. A temporal analysis revealed that the influence of core keywords such as perception, content, unit, home economics teachers, practice, behavior, and influence has decreased, while the influence of curriculum, textbook, and development has shown a trend of increasing. Third, the sub-knowledge structures were identified as seven categories. The study found that the influence of ‘perception and demand for home economics education’ is decreasing, whereas the influence of ‘home economics curriculum and textbooks’ and ‘application of home economics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is increasing. Additionally, ‘adolescent self-esteem and family relationships’ and ‘home economics curriculum and textbooks’ were found to be the most influential in the knowledge structure of home economics education. This research is significant as it demonstrates the temporal changes in the core keywords and sub-structures of the knowledge structure within the field, thereby providing a foundation for understanding and expanding the research knowledge structure in the field of home economics education.
조재순,전미경,이윤정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009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21 No.3
Since its establishment in 1989,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has served as the premiere academic organization in the field, through the semiannual meetings, the journal, and other informal activities. The Association has played important roles in organizing the members and guiding the academic community in reacting to the many challenges that Home Economics Education in South Korea had to encounter due to the social and curricular changes. This study reviews the past 20 years' activities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in order to illuminate its accomplishments in terms of academic and non-academic activities. An assessment of the environmental changes was conducted, followed by thorough analyses of the semiannual meetings, informal activities, and the journal. The article is also discussing future tasks that the Association would need to pay attention to and thrive to accomplish in order to continue serving its role of guiding the academic community. 1989년에 창립된 이래, 한국가정과교육학회는 학술대회, 학술지 및 다양한 활동들을 통하여 이 분야의 주요 학술단체로서의 역할을 수행해 왔다. 사회적 환경 및 교육과정에서의 변화로 인하여 가정과교육이 맞게 된 다양한 도전과 문제들에 대응하기 위하여 학회는 회원들을 조직화하고 학술공동체를 이끄는 노력을 해 왔다. 이 연구는 지난 20여 년간의 한국가정과교육학회의 활동을 검토해 봄으로써 학회가 이루어 온 성과들을 정리하였다. 특히 가정과교육을 둘러싸고 있는 환경적 변화에 대하여 분석한 내용과, 지금까지의 학술대회 및 특별활동, 학술지를 분석한 결과를 제시하였다. 또한 이를 통하여 학회가 주도적 역할을 계속 수행하기 위하여 앞으로 관심을 기울이고 해결해야 할 과제들을 제시하고 있다.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의「인간발달․가족」분야에 대한 20년 연구 동향 분석;성과와 과제
조병은,이현정,이종희,주현정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009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21 No.3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review the research trends of human development and family studies which published in the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for last 20 years. A total of 93 studies were analyzed in the area of nature and philosophy of Home Economic Education, curriculum, teaching-learning method and human development and family studies. Research topics mainly examined in the area of curriculum development, application of teaching methods, psychological and school adjustment of the adolescent and family relations. Reviews in methodological issues result in the heavy usage of survey method with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convenient sampling and descriptive studies. Although research on human development and family studies in Home Economic Education has increased in quantity, there are greater needs to develop studies with representative subjects, various research methods, teaching - learning methods, and teaching materials to capture the rich complexity of individual development and family life. Limitations on previous studies and implica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also discussed. 본 연구는 지난 20년 동안에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에 실린 인간발달과 가족분야에 관한 논문을 교과교육학(가정과교육철학과 교사의 전문성, 가정과교육과정, 가정과교수ㆍ학습자료 개발 및 활용)과 교과내용학(인간발달, 가족학)으로 나누어 연구주제, 연구방법 측면에서 분석하여 연구동향과 성과를 파악하고, 향후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총 93편의 논문을 5영역에서 분석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정과교육철학과 교사의 전문성 연구는 다른 주제의 연구에 비해 연구가 매우 부족하였으며, 주로 가정과 교육의 본질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졌고 가정교과의 당위성을 나타내었다. 둘째, 가정과 교육과정의 이해 연구는 최근 들어 연구가 크게 증가하고 있으며, 가정과 교육과정의 체계, 가정과 교육과정과 수업과의 관계, 가정과 교육과정의 개발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졌으나, 주된 연구는 가정교과 교과서 내용 분석에 관한 연구였다. 이론을 적용하여 교과서를 분석한 연구는 매우 적었고, 주로 출판사별로 비교하거나 외형적인 분석을 하고 교과내용의 구성을 연구한 경우가 많았다. 셋째, 가정과 교수ㆍ학습 및 평가에 관한 연구는 가정과 교수ㆍ학습자료 개발 및 활용과 교수ㆍ학습방법과 실제에 관한 연구가 다수를 차지하고 있었다. 그러나 상대적으로 가정과 평가방법과 실제에 관한 연구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었다. 따라서 앞으로의 가정과 교과교육학의 발전을 위해 가정과 평가에 대한 연구가 더욱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본다. 넷째, 인간발달과정에서 청소년기를 중심으로 발달 특성과 문제를 다루고, 부모됨과 부모역할에서 청소년기 자녀를 둔 부모역할을 주로 다루어 대부분의 연구가 청소년의 긍정적 발달을 위한 가정과 교육의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다섯째, 가족관계와 가족문제가 가장 많이 연구되었고 가족환경 특히, 부모와의 의사소통이 청소년의 학교적응과 심리적 적응에 긍정적인 관계를 보였다. 전체적으로, 교과교육과 관련된 연구가 교과내용에 관한 연구보다 적어 가정과 교육의 현장적용에 대한 연구가 앞으로 연구되어져야 한다. 또한 편의표집으로 설문지를 통한 한사람의 응답으로만 수행된 조사연구가 많아 다양한 연구방법, 현장적용연구의 확대 등의 문제는 향후연구가 극복해야 할 과제로 나타났다.
윤인경,김성교,이정규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005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17 No.4
This study attempts to analyze research quality about home economics and education, based on the studies in The Journal of Korean Home Ecomics Education.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cent studies in home economics and find out the desirable direction of it.The findings of study are as follow:While the numbers of articles appeared in The Korea Association of Practical Arts Education and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are increasing,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does not show the increase the number of articles.According to the historical changes and distribution, the majority was teaching-learning method and teaching materials.Also, from the point of view in research thesis, there were more articles in home economics and education than any others.In addition, among the various types of research, survey was most frequently used.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s ofthe sizes of groups according to the different journals, but the one group research was most frequent and one certain research area was dominant.The teams consist of two people showed the highest ratio, and junior high and high school were the most frequently researched institutions. Generally, it is hard to find research grant. Though there is much difference in numbers of references based upon various journals, almost all articles cited reference date not only from Korean articles, but also from international articles. 이 연구는 가정과 교육과 관련 논문을 게재하는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를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와 한국실과교육학회지를 종합하여 가정과 교과교육과 관련된 논문을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가정과 교과교육 관련 논문을 분석하여 최근의 가정과 교육 연구의 동향을 파악하고 앞으로의 가정학의 발전 방향을 찾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 결과는 학회지 발행 현황과 게재된 가정교육과 관련된 논문의 분량에서는 실과교육학회지와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와 같이 양이 증가하고 있으나 대한가정학회지에는 그 반대이다. 연구 영역별 분포와 시대별 변천은 교수․학습 방법 및 교재 연구가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고, 연구 주제 단원이나 영역은 가정교육과 관련된 논문이 주를 이루고 있다. 연구 유형은 대부분이 조사연구로 연구 되었다. 연구 대상자는 1 집단 연구가 가장 많았으며, 연구 대상자 구성이 다양하였다. 연구 대상자의 규모는 학회지별로 규모에 차이가 많았으며, 대상 지역은 1개 지역이 절반 이상으로 가장 많았다. 연구자의 구성은 2인 경우는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었고, 학교 및 연구기관별 게재 현황은 중. 고등학교가 가장 많았다. 연구비 수혜 상황은 대체로 낮았으며, 참고문헌의 종류는 국.내외 모든 논문을 제시한 논문이 가장 많았고, 참고문헌의 수도 학회지에 따라 많은 차이를 보이고 있다.
김승희,채정현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018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30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tribute to Home Economics(HE) teachersʼ culture by figuring out acknowledging characteristics of cultures of HE teachers and impeding factors on development of HE education. For this intensive interview were used. Intensive interviews were made with 14 HE teachers who completed coursework for masterʼs or doctorʼs program of graduate school and belong to HE Teachersʼ Study Associations of each region or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and analyzed by subject analysis metho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HE teachers establish the philosophy of HE education, and practice education to provide profit to adolescents, their families, as well as society through HE class with their belief that HE is a practical and critical subject to benefit individual adolescents, families, and society. Second, HE teachers form culture to make an effort to continue to improve their expertises by attending graduate school, joining HE teachersʼ associations to enhance teaching methods, evaluation methods, and work ability or disclosing their own class. Third, HE teachers settle culture to conduct classes focusing on practical issues by converting the paradigm of HE education to that of practical critique. They also see that the system of three actions(technical action, communicative action, and emancipative action) should be applied in circulating ways to improve quality and value of life. Forth, for impeding factors of development of HE education, there are educational system and social recognition. However, with HE teachersʼ efforts, HE education settles well, as it reflects demands from students and society, finds studentsʼ talents, and actualizes its own goals. HE teachers believe that student will recognize that HE education is necessary for happiness of individuals and families. As a way to develop Home Economics teacher culture, Home Economics teachers should have the opportunity to develop more Home Economics teachers by participating in and working in research sessions in each area. It also called for a control tower to enable and lead collaborative networks between local Home Economics curriculum research committees. The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should play a central role in the academic research community of each region and be able to help Home Economics teachers by moving more quickly and systematically to cope with the upcoming changes in education. Finally, participants said that in order to prepare a basic framework for the change in Home Economics education, practical critical Home Economics teacher training are needed. To this end, students can understand the essence of Home Economics education and establish their identity by taking a deeper Home Economics education curriculum philosophy for Home Economics teacher training. 본 연구의 목적은 가정과교사 문화의 특징과 가정과교육 발전의 저해 요소를 밝힘으로써 가정과교사 문화의 발전 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집중면접의 주제 분석법을 실행하였으며, 각 지역 가정교과연구회 또는 한국가정과교육학회 소속 석사과정 이상인 가정과교사 14명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응답 자료 분석을 위해 주제 분석법을 실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정과교사들은 가정과교육의 철학을 정립한 후 가정교과가 청소년 개인과 가정, 그리고 사회를 이롭게 하는 실천비판교과라는 신념을 확고히 가지고 가정과수업을 통해서 청소년과 그들의 가정, 더 나아가 사회에 유익을 주는 교육을 실천하고 있었다. 둘째, 가정과교사들은 대학원에 진학하거나 가정교과연구회에 가입하여 수업 방법, 평가 방법, 업무 능력을 향상시키고, 수업을 공개하는 등 지속해서 전문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노력하는 문화를 형성하고 있었다. 셋째, 가정과교사들은 가정과교육 패러다임을 실천비판 패러다임으로 전환하여 실천적 문제 중심 수업을 실행해야 한다는 문화를 자리매김하였다. 또한, 그들은 세 행동체계(기술적 행동, 의사소통적 행동, 해방적 행동)를 순환적으로 적용하여 삶의 질과 가치를 향상시켜야 한다고 보았다. 넷째, 가정과교육의 발전을 저해하는 요소에는 교육제도와 사회적 인식이 있었다. 하지만 가정과교사들의 노력으로 가정과교육은 학생과 사회적 요구를 반영한 교육, 학생의 적성을 찾아주며 가정교과의 목표를 잘 살린 교육으로 자리 잡고 있었고, 이를 통해 가정과교사들은 학생들이 가정교과가 개인과 가정의 행복을 위해 꼭 필요한 교과라는 인식의 전환을 가져올 수 있다고 믿었다. 가정과교사문화의 발전방안으로 가정과교사들은 각 지역의 가정교과연구회에서는 더 많은 가정과교사들이 연구회에 참여하고 활동함으로써 발전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해야 한다고 하였다. 또한 지역의 가정교과연구회끼리 협력적 네트워크를 활성화하고 이를 이끌 수 있는 컨트롤타워가 필요하다고 했다. 한국가정과교육학회는 각 지역의 교과연구회의 중심점 역할이 되어서 다가올 교육 변화에 더욱 신속하고 조직적으로 움직여 적극적으로 대처함으로써 가정과교사들의 힘이 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참여자는 가정과교육의 변화를 위한 기초적 틀을 마련하기 위해 실천 비판적 가정과교사 양성이 필요하다고 했다. 이를 위해 가정과교사 양성과정에서 학생들이 더욱 깊이 있는 가정교과교육철학을 수강함으로써 가정교육학의 본질을 이해하고 정체성을 확립하여 유능하고 성숙한 가정과교사로서의 자질을 갖출 수 있을 것이다.
「가정과 논리 및 논술」 교과목의 운영 실태 및 가정교육과 학생의 인식
최민지,전미경,채정현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015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27 No.1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describe the operating status of 「Logic and Writing in Home Economics Education(HEE)」 course and the students' perception about the course. For this study, the syllabuses of 「Logic and Writing」 course in HE education department were reviewed. The survey method was used in this descriptive study. Respondents in this study were 116 students taking the 「Logic and Writing in Home Economics Education」 course. Questionnaires from the students were collected through on-line and off-line mail.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the follows:First, goals of the 「Logic and Writing in HE Education」 course were as the follows in order: to enhance writing skill about various subjects related to Home Economics; to foster HE teachers' professionalism through persuasive power logically; to foster writing skill logically; to prepare HE teacher recruitment exam; and to foster teaching skills to enhance students' writing. The student evaluation methods in the course were mainly attendance, examination, tasks, discussion and presentation, and class participation. Second, degree of satisfaction of students taking the course was higher than average. The student respondents perceived that the course was helpful to improve their logical thinking and critical analytical skill, writing skill related to HE education and education, ability to express one's opinion clearly and exactly, understanding of the fundamental concept of logic and the structure and method of the essay,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HE education, and ability to solve the problems specifically. However, they responded that it was difficult to practice writing, to discuss and debate frequently, to follow uncertain assessment criteria, and to present frequently. They wanted the instructor to give the feedback more frequently. 본 연구는 「가정과 논리 및 논술」 교과목의 운영 실태와 이 과목을 수강한 가정교육과 재학생의 인식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전국 사범대학 가정교육과에서 개설된 「가정과 논리 및 논술」 교과목의 강의계획서를 수합하여 내용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설문지를 구성하여 사범대학 가정교육과에 재학 중인 학생 가운데 이 교과목을 수강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전체 응답자는 116명이며, SPSS/WIN 21.0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정과 논리 및 논술」의 강의계획서 분석 결과, 교과목의 목표는 가정교육과와 관련된 다양한 주제에 대한 논리적 서술 능력 함양의 목표가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논리적인 설득력 강화를 통한 가정과교사의 전문성 향상, 논리적 글쓰기 함양, 임용고사 준비, 그리고 학교 현장에서 학생들의 글쓰기를 잘 지도할 수 있는 능력 함양의 순이었다. 이 교과목에 대한 강의내용은 가정교과 세부전공 중심의 글쓰기, 일반적인 글쓰기 기초, 가정과 임용고사 준비, 논리논술 관련 이론, 가정과 교육 관련 최근의 이슈, 중등학교 현장에서의 논술교육 및 논술지도 방안의 순이었다. 「가정과 논리 및 논술」 강의의 학습평가방법은 대개 출석, 시험, 과제, 토론 및 발표, 수업참여를 중심으로 제시되었으며 이 교과목의 과제는 모두 ‘글쓰기’였다. 둘째, 「가정과 논리 및 논술」과목을 수강한 학생들의 인식 조사에서 강의목표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높았으며, 학습평가방법에 대한 만족은 가장 낮았으나 모두 4점 만점에서 2점 이상으로 나타나 수강생들은 이 교과목에 대해서 대체로 만족하였다. 셋째, 가정교육과 재학생들은 「가정과 논리 및 논술」 교과목이 논리적・비판적 분석 능력의 향상, 가정과교육 및 교육학 관련 글쓰기 실력의 향상, 그리고 자신의 생각을 정확하고 체계적으로 표현하는 능력의 향상이 도움이 되었다고 하였다. 이 교과목 수강 시 어려운 점에 대하여 글쓰기 연습이 가장 어려웠고, 다음으로 잦은 토의 및 토론활동, 모호한 학습평가방법 기준, 빈번한 발표, 교수자의 피드백 부족, 과도한 과제, 어려운 강의내용 순으로 인식하였다. 결론적으로, 「가정과 논리 및 논술」 교과목은 논리적・비판적 사고력을 키워 가정과교육에 대한 이해를 넓히는 것을 목표로 하는데, 조사결과 본 교과목은 비교적 목표에 잘 부합되게 운영되고 있었다. 다만 교과교육학영역에 ‘논리 및 논술에 관한 교육’이 신설된 이후 임용시험 유형도 논술형으로 바뀌면서, 학생들은 이 교과목에서 임용시험을 대비할 수 있기를 기대하고 있다. 따라서 「가정과 논리 및 논술」 교과목의 특성과 목표를 유지하면서 학생들의 임용시험 준비에 대한 요구를 제대로 반영하여 이 교과목에 대한 운영을 보완하여야 할 것이다.
가정과수업이 중학생의 자아존중감과 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박미정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017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29 No.3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iveness of home economics class on self-esteem and stress of middle school students. Data were collected from self-reported inventory of the middle school students in Y city of Gyeonggi province and 165 data copies were used for analyses. Data were analyzed for frequency, percentage, mean, standard deviation, Cronbach’s α, t-test, corelation and dependent t-test using SPSS/PC 18.0 progra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average of positive self-esteem was 2.74 and that of negative self-esteem was 1.90 on a 4 Likert scale. The range of stress level was 1.88~2.48 on a 5 Likert scale. Life satisfaction was 3.90 and helpfulness of home economics class was 3.89 on a 5 point Likert scale, which means moderately high. Second, examining differences in variables according to gender,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stress regarding family for both pre- and post-tests. Third, helpfulness of home economics class had positive correlation with positive self-esteem and life satisfaction and had negative correlation with negative self-esteem and stress, which means that home economics class enhance life satisfaction and positive self-esteem and lessen negative self-esteem and stress of middle students. Fourth, as a result of comparison of pre and post-tests, positive self-esteem, life satisfaction, and helpfulness of home economics class increased statistically after home economics classes, while stress regarding school life decreased statistically. Even though students’ growth and changes resulting from learning other subjects were not controlled, it was meaningful that effectiveness of home economics class were examined and helpful information for enhancing perception of home economics education were provided. 본 연구는 2009 개정 실과(기술・가정) 교육과정에 의한 일상적인 가정과 수업이 중학생의 자아존중감과 스트레스, 삶의 만족도와 가정과수업의 도움 정도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에 경기도 Y시 소재의 중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1년간 일상적인 가정과수업을 실시하면서 사전, 사후 설문 조사를 하였다. SPSS 18.0을 활용하여 기초통계분석, t-검증, 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응답한 중학생의 긍정적 자아존중감은 2.74, 부정적 자아존중감은 1.90(4점 만점)이었으며, 스트레스의 범위는 5점 만점에서 1.88~2.48로 나타났다. 삶의 만족도는 3.90, 가정과수업의 도움 정도에 대한 인식은 3.89로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둘째, 성별에 따라 가족에 의한 스트레스만 남학생이 사전・사후 조사에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그 외의 변인은 성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중학생의 긍정적인 자아존중감과 삶의 만족도, 가족 스트레스와 친구 스트레스, 친구 스트레스와 학교생활 스트레스, 친구 스트레스와 신체 스트레스, 학교생활 스트레스와 신체 스트레스는 유의하게 높은 상관이 나타났다. 긍정적인 자아존중감과 스트레스, 부정적 자아존중감과 삶의 만족도는 부적으로 중간 정도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가정과수업의 도움 정도에 대한 인식은 사후조사에서 긍정적 자아존중감, 삶의 만족도와 중간 정도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학교생활 스트레스와 신체 스트레스와는 약한 상관이 있었다. 넷째, 중학생들은 일상적인 가정과수업 후에 긍정적 자아존중감, 삶의 만족도, 가정과수업의 도움 정도에 대한 인식이 모두 유의하게 향상되었고, 학교생활에 대한 스트레스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본 연구는 학생들의 성장과 타교과목의 학습에 따른 변화를 통제하지 못했다는 제한점이 있지만, 2009 개정 실과(기술・가정) 교육과정에 따른 일상적인 가정과수업이 긍정적인 자아존중감과 삶의 만족도를 향상시키고, 학교생활에 대한 스트레스를 줄여주며, 가정과교육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갖게 하는 효과가 있음을 입증하여 가정과교육에 대한 인식 개선의 근거 자료를 마련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이에 따라 후속 연구로 가정과 교육과정과 교육내용에 따른 가정과수업의 효과를 살필 수 있는 대규모 종단 연구를 제안하였다.
가정과 교사의 창의・인성 교육에 대한 관심과 실행에 대한 인식 - CBAM 모형에 기초하여-
이인숙,박미정,채정현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012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24 No.2
본 연구의 목적은 가정과교육에서 창의․인성 교육에 대한 가정과 교사의 관심 단계와 실행 수준, 그리고 실행 실태를 알아보는데 있다. 연구 자료는 전국의 중학교 가정과 교사를 대상으로 체계적 표집과 편의 표집을 하여 우편과 이메일을 통해 설문지를 배포하고 회수된 187부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조사 도구는 주로 Hall(1987)이 개발한 혁신에 대한 교사의 관심도와 실행 수준에 대한 질문지를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고 그 외는 선행연구를 기초하여 개발하였으며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자료는 SPSS/window(1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test, ANOVA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밝혀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창의․인성 교육에 대한 가정과 교사의 관심 단계는 정보적 관심 단계(85.51)가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개인적 관심 단계(85.18), 운영적 관심 단계(81.88), 지각적 관심 단계(82.15), 강화적 관심 단계(68.80), 협동적 관심 단계(61.97), 그리고 결과적 관심단계(59.76)의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창의․인성 교육에 대한 가정과 교사의 실행 수준은 기계적 실행 수준(수준 3; 21.4%)이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탐색 수준(수준 1; 20.9%), 정교화 수준(수준 5; 17.1%), 사용하지 않는 수준(수준 0; 15.0%), 준비 수준(수준 2; 10.2%), 통합 수준(수준 6; 5.9%), 갱신 수준(수준 7; 4.8%), 일상화 수준(수준 4; 4.8%) 순이었다. 셋째, 창의․인성 교육에 대한 가정과 교사의 실행 실태를 조사한 결과, 반 이상의 가정과 교사(56.1%)는 가정과 수업에서 인성 교육에 치중하고 있으며, 31.0%의 교사는 창의․인성 교육을 모두 실행한다고 응답하였다. 반면 소수의 교사(6.4%)는 창의성 교육을 실행한다고 응답하였고 같은 수의 교사(6.4%)는 창의성과 인성 교육 어느 것도 실행하지 않는다고 응답하였다. 가정과 교사의 창의․인성 교육 요소의 실행 정도를 조사한 결과, 창의․인성 교육 요소의 실행은 평균은 5점 만점에서 3.76이었고 창의성 요소의 평균은 3.59, 인성 요소의 평균은 3.94로 보통보다 높았다. 창의성 교육 요소의 실행 정도에 대해서, 개방성/민감성(3.97)을 가장 많이 실행하였고 다음으로 문제해결능력(3.79), 호기심/흥미(3.73), 비판적 사고(3.68), 논리/분석적 사고(3.63), 문제발견능력(3.61), 독창성(3.57), 유추성(3.47), 유창성/융통성(3.46), 정교성(3.46), 상상력(3.37), 몰입/공감(3.37)의 순으로 실행하였다. 인성 교육 요소는 실천력(4.07)을 가장 많이 실행하였고, 다음으로 협동/배려/공정(4.06), 자기관리능력(4.04), 시민의식(4.04), 진로개발능력(4.03), 환경친화능력(3.95), 책임(감)/소유(3.94), 의사결정능력(3.89), 신뢰/정직/약속(3.88), 자율성(3.86), 글로벌역량(3.55)의 순으로 실행한 것으로 나타났다. 창의․인성 교육을 실행할 때 어려운 점으로, 많은 가정과 교사(64.71%)는 창의․인성 교육을 실행할 수업 자료가 부족한 데 있다고 하였으며, 40.11%의 교사는 창의․인성 교육의 연수 기회가 적은데 있다고 응답하였다. 한편 38.50%의 가정과 교사는 창의․인성 교육에 대한 평가 기준을 설정하거나 평가 도구를 개발하는 것이 어렵다고 응답하였고, 25.67%의 교사는 창의․인성 교육 방법을 모른다고 응답하였다. 창의․인성 교육 실행을 위해서 필요한 지원에 대해서, ‘창의․인성 교육과 관련된 학생들의 체험활동의 확대’(4.34), ‘창의성과 인성을 중시하는 가정과 수업 문화 조성’(4.29), ‘학생 발달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stage of concern, the level of use, and the innovation configuration of Home Economics teachers regarding creativity and personality education in Home Economics(HE) classes. The survey questionnaires were sent through mails and e-mails to middle-school HE teachers in the whole country selected by systematic sampling and convenience sampling. Questionnaires of the stages of concern and the levels of use developed by Hall(1987) were used in this study. 187 data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by using SPSS/window(12.0) program.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ing:First, for the stage of concerns of HE teachers on creativity and personality education, the information stage of concerns(85.51) was the one with the highest response rate and the next high in the following order: the management stage of concerns(81.88), the awareness stage of concerns(82.15), the refocusing stage of concerns(68.80), the collaboration stage of concerns(61.97), and the consequence stage of concerns(59.76). Second, the levels of use of HE teachers on creativity and personality education was highest with the mechanical levels(level 3; 21.4%) and the next high in the following order: the orientation levels of use(level 1; 20.9%), the refinement levels(level 5; 17.1%), the non-use levels(level 0; 15.0%), the preparation levels(level 2; 10.2%), the integration levels(level 6; 5.9%), the renewal levels(level 7; 4.8%), the routine levels(level 4; 4.8%). Third, for the innovation configuration of HE teachers on creativity and personality education, more than half of the HE teachers(56.1%) mainly focused on personality education in their HE classes; 31.0% of the HE teachers performed both creativity and personality education; a small number of teachers(6.4%) focused on creativity education; the same number of teachers(6.4%) responded that they do not focus on neither of the two. Examining the level and type of performance HE teachers applied, the average score on the performance of creativity and personality education was 3.76 out of 5.00 and the mean of creativity component was 3.59 and of personality component was 3.94, higher than standard. For the creativity education, openness/sensitivity(3.97) education was performed most and the next most in the following order: problem-solving skill(3.79), curiosity/interest(3.73), critical thinking(3.63), problem-finding skill(3.61), originality(3.57), analogy(3.47), fluency/adaptability(3.46), precision(3.46), imagination(3.37), and focus/sympathy(3.37). For the personality education, the following components were performed in order from most to least: power of execution(4.07), cooperation/consideration/just(4.06), self-management skill(4.04), civic consciousness(4.04), career development ability(4.03), environment adaptability(3.95), responsibility/ownership(3.94), decision making(3.89), trust/honesty/ promise(3.88), autonomy(3.86), and global competency(3.55). Regarding what makes performing creativity and personality education difficult, most HE teachers(64.71%) chose the lack of instructional materials and 40.11% of participants chose the lack of seminar and workshop opportunity. 38.5% chose the difficulty of developing an evaluation criteria or an evaluation tool while 25.67% responded that they do not know any means of performing creativity and personality education. Regarding the better way to support for creativity and personality education, the HE teachers chose in order from most to least: ‘expansion of hands-on activities for students related to education on creativity and personality’(4.34), ‘development of HE classroom culture putting emphasis on creativity and personality’(4.29), ‘a proper curriculum on creativity and personality education that goes along with students’ developmental stages’(4.27), ‘securing enough human resource and number of professors who will conduct creativity and personality education’(4.21), ‘estab...
중등 가정과 푸드리터러시 함양 식생활교육에 대한 가정과 교사의 교육 요구도 분석
송윤미(Yunmi Song),이경원(Kyung Won Lee)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023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35 No.2
본 연구는 가정과 교사의 푸드리터러시 함양을 위한 식생활교육 요구도 분석하여 푸드리터러시 함양을 위한 중등 가정과 식생활교육의 발전 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192명의 가정과 교사를 대상으로 푸드리터러시 교육의 내용 영역과 내용 요소에 대한 중요도와 현재 실행도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고, 교육 요구도 조사 결과를 기반으로 푸드리터러시 교육을 위한 내용 영역과 내용 요소의 우선순위를 파악하였다. 가정과 교사는 제시된 38개 내용 요소 중 34개 내용 요소에 대하여 중요도에 비하여 현재 실행도를 유의적으로 낮게 인식하고 있었다. Borich의 교육 요구도 공식과 The Locus for Focus Model을 활용하여 교육 요구도가 ‘매우 높은’ 5가지 내용 요소(‘식량 주권/식량 안보’, ‘식품 관련 쓰레기 저감화’, ‘음식물쓰레기 처리와 재활용’, ‘식품 관련 쓰레기와 분리수거’, ‘원산지 정보’)를 도출하였으며, 다음으로 요구도가 ‘높은’ 4가지 내용 요소(‘유전자 변형 식품’, ‘윤리적 소비’, ‘식품 첨가물’, ‘친환경 농산물’)를 확인하였다. 요구도가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난 내용 요소는 ‘생산’ 영역과 ‘폐기’ 영역에 해당하는 것으로 나타나 ‘생산’과 ‘폐기’ 영역에 대한 교육 요구도 역시 높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향후 가정과 푸드리터러시 함양을 위한 식생활교육을 위해 식품의 생산과 폐기를 강조하여 다루는 것이 필요하며, 이 외에도 푸드리터러시 함양을 위한 가정과 식생활교육의 세부 내용 및 콘텐츠 개발을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영양 및 식품에 대한 지식 습득과 개인 차원의 식품 소비 단계를 중심으로 구성된 기존의 식생활교육의 패러다임에서 벗어나 학생들이 식품의 생산에서부터 폐기까지의 전 과정을 학습할 수 있는 새로운 가정과 식생활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시사점을 제안할 수 있다. 또한 중등 가정과 푸드리터러시 함양을 위한 식생활교육의 기초 연구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aimed at analyzing the educational needs of home economics teachers for food literacy cultivation education in secondary school home economics. A total of 192 home economics teachers were surveyed about their perceptions of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food literacy education content categories and elements, and their priorities were identified. Among the 38 content elements presented, home economics teachers recognized that the current performance level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the importance over 34 content elements. Based on the Borich educational needs assessment and the Locus for Focus Model, we identified five content elements with ‘very high’ educational needs (‘food security/food sovereignty’, ‘reducing food-related waste’, ‘food waste management and recycling’, ‘food-related waste recycling’, and ‘country of origin information’), and four content elements with ‘high’ educational needs (‘genetically modified food’, ‘ethical food consumption’, ‘food additives’, and ‘eco-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dietary education in secondary school home economics should emphasize both the production and disposal of food.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implications for the needs for a new dietary education in secondary school home economics that allows students to learn all stages of food system. These results can also be used as a basis for dietary education for cultivating food literacy in secondary school home economics edu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