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전남사회과교육연구학회의 변천사 연구

        송하인,김준성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013 사회과교육연구 Vol.20 No.4

        초창기 사회과 교육연구사의 대부분은 수도권 중심의 내용 서술에 의해 자칫 지방에서 이루어지는 사회과교사들의 실천기록을 상실할 위험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초창기 지방 사회과교사들의 신교육에 대한 열망, 사회과교육의 실천에 대한 기록을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사회과교육사를 연구하는데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으로 전남사회과교육연구학회를 선정한 이유는 한국사회과교육연구회의 창립에 큰 도움을 준 단체이고 초창기 전남교원들의 사회과 열망이 타 지방보다 높았기 때문이다. 연구 방법으로는 초창기 전남사회과연구학회의 연구회지, 연구보고서를 문헌탐구 하였고 생존해 있는 초창기 전남 사회과 전문가들과 시대별 주요 활동가들을 면담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일정기간 초창기 전남사회과교육연구학회의 성립과 변천에서 미국 교육사절단의 영향이 컸다는 것과 전남 지역의 사회과 전문가들의 자발적 참여로 이루어진 전남사회과교육연구학회가 지금까지 한국사회과에 적지 않은 영향을 끼치고 있다는 것을 밝히고 있다. Most education history in early stage social affairs division has a risk to lose the practice records of the social affairs division teachers which are executed in local regions by the contents description focusing on metropolitan area. Therefor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be helpful to study the history of social affairs division education by systematically arranging the enthusiasm about new education of the early stage local social affairs division teachers and their records about the fulfillment of theeducation in social affairs division. Reason why Chonnam Social Affairs Education Research Association was selected as a researchsubject was that it is anassociation which gave big assistance in establishing Korea Social Affairs Education Research Association and also that the enthusiasm of early stageChonnam teachers was much higher than that in other regions. Research was conducted through the literature examination of research papers and reports in early stage Chonnam social affairs division research association and through the interviews with surviving early stage Chonnam social affairs division experts and major activists of the era. This study shows that the influences of the U.S. delegation were big in the establishment and transition procedures of early stage Chonnam social affairs division research association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and that Chonnam social affairs division research association which was established by the voluntary participation of the social affairs division experts in Chonnam regions gave substantial influences to Korean social affairs division until now.

      • KCI등재
      • KCI등재

        초등교육 정체성 관점에서 본 초등사회과교육 개론서의 변화 양상과 개선 방향

        이동원,나경훈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022 사회과교육연구 Vol.29 No.4

        본 연구는 초등교육 정체성 관점에서 우리나라의 주요 초등사회과교육 개론서가 초등사회과의 정체성을 어떻게 드러내고 있는지를 종단적으로 분석한 것이다. 이를 바탕으로 초등교육의 정체성을 살린 초등사회과교육 개론서의 개선 방향을 제안하였다. 연구를 위해 초등교육의 정체성을 담아낸 초등사회과교육 개론서를 선정하여 시기 구분을 하였고, 분석틀에 따라 변화 양상과 특징을 정리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과로서 사회과의 본질 규정에 따라 초등사회과교육 개론서의 체계는 다르게 나타났다. 둘째, 초등사회과의 고유성을 나타낸 개론서는 초등교육의 맥락에서 교과의 위상과 역할에 대해 강조하였다. 셋째, 아동의 발달단계를 고려한 초등사회과교육 개론서는 아동의 수준에 따른 내용 선정과 수업 방법을 강조하였다. 넷째, 초등사회과의 통합성을 강조한 개론서는 교과 내, 교과 간 통합적 접근을 강조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초등교육 정체성을 담아낸 초등사회과교육 개론서 개발을 위해 교과의 통합성과 아동의 발달성 측면에서 시사점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후보

        사회과 교사 임용시험 출제 분석 및 개선 방안

        한관종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007 사회과교육연구 Vol.14 No.1

        》본 연구는 사회과 교과 교육학 영역의 중등학교 사회과(일반사회)교사 임용시험 문제의 출제경향과 내용의 분석을 통해 사회과 교과 교육학 임용시험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을 모색하고자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우수한 사회과 교사를 선발하기 위한 임용시험 문제의 질적 발전을 꾀하고자 하였다.이를 위해 2003년에서 2007학년도까지 5개년도의 중등 사회과(일반사회) 임용시험 출제 문제 중 사회과 교과 교육학 영역 문제 모두를 출제 내용, 내용 영역과 요소, 목표, 난이도, 배점 등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첫째, ‘교과 교육학’ 영역의 시험문제 출제 비중이 ‘교과 내용학’ 분야에 비해 너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출제 문제를 사회과 교과 교육학의 목표 수준면에서 분석한 결과, ‘지식’ 과 ‘기능’측면에만 치중하여 출제되었다. 셋째, 배점 면에서는 영역별 배점 분포가 해마다 고르지 못하고 편차가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난이도와 배점간의 불일치 현상이 있었다. 이 같은 분석을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개선 방안을 제안한다. 첫째, 임용시험의 문제는 출제 원칙을 어떻게 정하느냐에 따라 달라진다. 따라서 사회과교육 전문가 집단의 공개적이고 전문적인 논의를 통해 유능한 교사를 선발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교육과정 영역을 선별하고 이를 준거로 하여 사회과 교사 임용시험의 출제 원칙이 합리적으로 수립되어야 한다.둘째, 사회과 교사가 갖추어야 할 능력 범위와 요소를 추출하고, 이를 사회과 교사 임용시험 문제 출제에 반영하여 임용시험 문제의 타당성을 높여야 한다.셋째, 사회과 교사 임용시험은 일선 중등학교에서 ‘사회과 교육’을 충실히 수행할 수 있는 인재를 뽑는데 목적이 있다. 따라서 사회과 교사 임용시험 문제는 사회과 교육과 교육과정뿐만 아니라 일선 중등학교 사회과 교육과정 내용을 적극 반영하여야 한다. The analysis of the recruitment examination of social studies teachers and reformation: In the field of the subject matter of social studies in secondary schools-

      • KCI등재

        런던폭동에 대한 한국인의 반응과 다문화교육의 방향

        황갑진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013 사회과교육연구 Vol.20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opinions on the internet of the London riots and to suggest the direct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 in Korea. For this purpose, this paper, firstly, reviews cases of ethnic conflict in multicultural nations, specifically the characteristics of the London riots in 2011. Second, this paper attempts to analyze opinions of koreans on the internet about the London riots, and to suggest the direction for the new multicultural education in Korea.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analysis, multicultural consciousness appeared on internet in relation to the London riots is very negative, contrary to different survey results. People more than 50% show negative thinking about multicultural society. And most of people tend to think that multicultural conflicts are associated with the socio-economic problems. Meanwhile, some people recognize that multicultural conflicts are related to poverty culture. Particularly, most people think immigrant labour negatively as competitors of korean labour in the debate.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multicultural education should be necessary to include the contents of immigrant labor as well as of international marriage family. In addition this, multicultural education needs to include debate-based education on the issues of the value and knowledge embedded in multicultural phenomenon that reflect reality of korean society. 현대사회에서 다문화사회의 인종 간 갈등은 증대하고, 한국은 매우 빠르게 다문화사회로 변화하고 있다. 그래서 본 연구는 2011년 8월에 일어난 런던폭동에 대한 인터넷에서의 논의들을 중심으로 한국인의 다문화사회에 대한 의식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다문화교육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런던폭동과 관련하여 인터넷에 나타난 한국인의 다문화에 대한 의식은 매우 부정적이다. 다문화 의식에 대한 다른 조사들과는 달리 의견 제시자의 절반이 넘는 사람들이 다문화사회에 대해 반대하는 의견을 제시하고 있다. 그리고 대부분의 사람들은 다문화사회의 갈등을 그 사회의 사회·경제적 차별 문제들과 연관시켜 인식하고 있다. 특히 한국의 다문화사회에 대한 토론에서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이주노동자를 일반 노동자들과 경제적 경쟁자로 인식하고 이들에 대해 부정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점들을 고려할 때 현재 한국의 다문화교육은 국제결혼자의 다문화가정 중심에서 이주노동자와 그들의 가정을 포함한 다문화교육으로 확대되어야 한다. 그리고 다문화교육은 현실적 기반에 기초한 상호이해적 방법을 통해 사회통합과 세계시민교육을 지향하는 목표를 명확히 하고, 다문화사회의 갈등 현황과 원인들의 이해를 위한 지식교육과 다문화사회의 갈등 해결을 위한 토론교육을 포함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후보

        다문화사회의 시민성 육성을 위한 사회과 교육과정 및 교과서 구성 방향

        박남수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008 사회과교육연구 Vol.15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 사회의 시민성 육성을 위한 사회과 교육과정 및 교과서 구성 방향을 탐색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현행 사회과 교육과정 및 교과서를 다문화교육의 관점에서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외국의 사례를 바탕으로 바람직한 교육과정 및 교과서 구성 방향에 대해 논의했다. 현행 사회과 교육과정 및 교과서의 분석 결과, 첫째, 사회과 교육과정은 다양성의 존중과 공존의 실현이라는 다문화교육의 관점보다는 민족이나 전통문화의 파악과 같은 문화적 특수성의 파악을 강조하고 있었으며, 둘째, 교과서는 단일 민족의 이념 및 특정 문화집단에 대한 편견을 조장하고 있는 내용을 포함하고 있었다. 다문화 사회의 시민성 육성을 위한 바람직한 사회과 교육과정 및 교과서 구성 방향으로는 첫째, 다문화교육의 관점을 반영한 교육과정 구성의 질적 전환을 통해 문화적 특수성과 보편성의 관점을 균형 있게 다룰 필요가 있다는 점, 둘째, 민족 혹은 문화집단에 대한 편견을 조장하는 내용에서 벗어나 다양한 관점에서 문화집단의 경험이나 문화유산을 반영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제시했다. 이밖에도 다문화 사회의 시민성 육성을 위해서는 형식보다는 본질적인 측면에서의 다문화교육의 접근과 다문화적 학교문화의 형성이 필요함을 제시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iscuss a direction of social studies curriculum and text for fostering multicultural citizenship. For this purpose, I analyzed social studies curriculum and textbook on the view point of multicultural citizenship.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was laid emphasis on understanding of cultural specificity. Therefore it is a necessary to keep a balance between cultural specificity and universality through qualitative conversion of curriculum. Second, the textbooks were fostered homogeneous nationalism and prejudice about cultural group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treat experience or heritage of cultural groups on various viewpoint.

      • KCI등재후보

        2007개정 사회과 지역교과서 쓰기에 대한 체험적 연구

        홍미화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009 사회과교육연구 Vol.16 No.3

        This study describes and construes a development process of the regional textbooks named Regional Investigation, which is designed for the 4th grade according to the author? experience of developing textbooks. The primary goal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that the revised social studies curriculum will have on the authors and readers of the textbooks, as well as how they interpret the curriculum. And the secondary purpose is to search for better ways to design a curriculum based less on traditional, familiar research and more on practical, real-life issues and problems. This study has found out the authors of the regional textbooks have their own values of social studies and instruction, and these values exhibit many conflicts in the processes of textbook development and curriculum interpretation. Completing a textbook is a complicated process which requires active participation in voicing the authors?viewpoints. The viewpoints encompass the comprehension of social studies classes and textbook interpretation. Difficult problems have been shown from the regional textbook process of development : conformity between the textbooks and curriculum, establish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tudies textbooks and regional textbooks, the conflict of opinions on the concepts related to the subject of social studies and the innate connection between the textbooks. 본고는 2007개정 사회과 교육과정에 따른 국정 사회교과서 연구 개발과 동시에 진행된 4학년 1학기 사회과탐구 일명 지역교과서의 개발 과정을 연구자의 교과서쓰기 체험에 비추어 수직적, 수평적으로 기술·해석한 글이다. 본 연구의 일차적 목적은 2007개정 사회과 교육과정이 교과서 저자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며 어떤 의미로 재해석되는 지를 살펴보는 데 있다. 또한 이차적 목적은 교과서쓰기 체험을 구체적으로 드러냄으로서 기존의 교육과정과 교과서 연구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함에 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지역교과서 저자들은 교과서 쓰기 과정을 통하여 자신의 교과서관, 수업관을 다양하게 드러내고 있었으며, 이 같은 관점의 차이로 저자들은 원고 집필 과정 내내 교육과정해석, 교과서에 대한 의미 이해, 지역교과서 집필 지침 설정 문제, 교과서 내용 선정 문제 등에서 많은 갈등을 표출하였다. 교과서를 쓴다는 것은 단지 지침에 따라 교과서 내용을 선정하는 문제이기보다는 사회과 교육과정 해석에서 수업 실천에 이르는 전 과정에 존재하는 개인의 관점을 공론화하여 교육과정 개발에 적극 참여하는 일, 즉 교육과정과 수업을 동시에 이해하는 과정과 깊이 관계된다. 본 과정 연구에서 밝혀진 난제는 첫째, 사회과 교육과정과 교과서의 정합성 문제, 둘째, 교과서와 지역교과서의 관계 설정 문제, 셋째, 교육과정과 교과서, 지역교과서에 나타나는 개념과 원리에 대한 저자 간의 조정과 합의 문제, 넷째, 집필진과 연구진, 심의진 등 교과서 개발진 전체의 교과서 개발과정 공유 문제, 다섯째, 각 저자의 집필 원고 내용 간의 유기적 연계 문제로 나타났다.

      • KCI등재

        2015 개정 교육과정의 ‘<탐구주제 및 활동(예시)>’ 적용 양태에 나타난 「통합사회」 교과서 내용 개발의 문제

        오연주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019 사회과교육연구 Vol.26 No.1

        The quality of social studies textbook depend on development of creative inquiry problems and its learning activities for purpose of 2015 revised curriculum. Each 'Inquiry Problems and its Activity' is a reference for executors and performers’ practice guide. But taken account of previous custom about the development of social studies authorized textbook, Each 'Inquiry Problems and its Activity' in 「Integrated Social Studies」 curriculum could have an influence on contents of 「Integrated Social Studies」 textbook but have not researched about i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ry to build the base of understanding about conditions of development of social studies textbook through the analysis of social studies textbook contents. It try to analyze the contents all 5 sorts of supplied authorized 「Integrated Social Studies」 textbook. For reliability between analysts, each 'Inquiry Problems and its Activity' can be classified 'Contents factor('C'), 'Material factor('M')' and 'Activity factor('A')' and 'Inquiry Problems and its Activity' and the analysis of factor unit is base on the analysis of each example of 'Inquiry Problems and its Activity' applied 「Integrated Social Studies」 subject contents. All the 「Integrated Social Studies」 authorized textbook is revealed the high disposition of 'Adaption' and ‘partial adaption’, In conclusion, it is necessary for reconsideration on detail curriculum structure and alternative system of publish textbook, taken the circumstances into consideration of the strong controlling the cultural climate of state level curriculum and the dull uniformity of 「Integrated Social Studies」 textbooks contents. 「통합사회」사회과 교과서 내용의 질은 2015 현행 교육과정의 취지와 목적에 부합하는 창의적인‘탐구주제’와 ‘학습활동’의 개발에 달려있다고 할 수 있다. 현행 교육과정 체제에서 ‘<탐구주제 및 활동(예시)>’의 추가는 교과서 개발자를 비롯한 교육주체들의 이를 참조하여 교육과정의 취지에 타당한 교육 실천을 고양하기 위한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사회과 교과서 출판 과정을 조명한 선행연구들에 비추어 볼 때에 ‘<탐구주제 및 활동(예시)>’는 사회과 교과서 내용 개발에 어떤 변화를 미칠 수 있는 요소가 될 수 있는 가능성이 있음에도 이에 대한 탐색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총 5종의 「통합사회」 검정 교과서에 나타난‘<탐구주제 및 활동(예시)>’의 적용 양태를 탐구함으로써 사회과 교과서 내용 개발의 양태를 이해하고자 하였다. 분석의 객관성을 확보하고자, ‘<탐구주제 및 활동(예시)>’의 ‘내용’, ‘자료’, 그리고 ‘활동’의 3요소별 기준으로 1단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각 예시들 단위로 재범주화여 적용 유형을 나누었다. ‘수용’과 ‘부분수용’적용 유형의 높은 경향성이 검정 교과서 전반에서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사회과 교과서 내용 개발에서 국가 수준 교육과정에 대한 강한 의존성을 보여주는 것이며, 이로 인하여 검정 교과서 간의 내용 획일성 문제를 야기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 KCI등재

        사회과 생활 중심 ‘다문화교육’ 교육과정 모형

        전희옥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014 사회과교육연구 Vol.21 No.1

        Social life centered multicultural education curriculum model in the social studies was proposed in this paper.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duce social life centered multicultural education curriculum model of the social studies that can help students be able to become good citizen in Korean multicultural society. In order to achieve my purpose, firstly, direction of the social studies education to cope with issues of Korean multicultural society was pointed out. Secondly, to develop social life centered multicultural education curriculum model of the social studies, social life centered the social studies, multicultural education approach were discussed. Also the structure and definition of the social life centered multicultural education for the social studies were made on the basis of multicultural education point of view. Thirdly, four kinds of scopes(Knowledges, skills, values, social actions) for social life centered multicultural education of the social studies were produced. Fourthly, social life centered multicultural education curriculum model of the social studies was developed in the basis of the scopes. In conclusion, social life centered multicultural education curriculum in the social studies education should focus on knowledges(social functions, social role, social conflicts, stereotypes, prejudice, discrimination, social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etc), skills(inter-cultural comprehension·interaction, interpretation in the multiple point of view, conflict resolution, inquiry, decision making etc), and values (self·society identity, respecting human right, sense of coexistence, openness, acceptance, tolerance·caring, patriotism·globalism etc) to help students be good citizen in Korean multicultural society. 이 연구는 사회과 생활중심 교육, 한국 다문화 사회의 쟁점, 다문화교육 등에 대한 논의를 바탕으로 새로운 형태의 사회과교육과정 모형 즉 사회과 생활 중심 다문화교육 교육과정 모형을 제시하고, 이를 바탕으로 학교 교과교육 차원에서 한국 다문화 사회 문제의 대응에 기여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목적 달성을 위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사회과 생활 중심 ‘다문화교육’ 교육과정 모형 개발을 위한 논의로서 한국 다문화 사회의 쟁점 대응을 위한 학교 사회과교육 교육과정의 방향, 사회과 생활 중심 교육, 다문화교육 접근을 통한 사회과 생활중심 다문화교육의 구조와 정의 등을 서술하였다. 둘째로, 사회과 생활중심 다문화교육 교육과정 목표 영역별 준거를 모색하였다. 셋째로, 목표 영역별 준거를 기초로 사회과 생활 중심 다문화교육 교육과정 모형을 개발하여 제시하였다. 끝으로. 사회과 생활 중심 다문화교육 교육과정의 연구 및 적용 방향을 제시하였다. 결론적으로 사회과교육에서는 생활 중심 다문화교육 교육과정의 운영을 위하여 한국 다문화 사회 문제 대응을 위한 지식(사회기능과 사회적 역할, 사회갈등 문제, 고정관념·편견·차별 문제, 다문화 집단의 사회·문화적 특성 등), 기능(문화 간 이해·상호작용, 다양한 관점 해석, 갈등문제 해결, 탐구·의사결정 등의 사고 기능 등), 가치(자아·사회 정체성, 인권 존중, 공존의식, 개방·수용의식, 관용, 공감·배려, 애국심·세계주의 등) 등에 초점을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