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교육사학 연구의 성취와 과제

        김대식 ( Kim¸ Dae-sik ) 한국교육사학회 2023 한국교육사학 Vol.45 No.3

        이 글에서는 교육사학 연구공동체가 거쳐온 역사를 점검하고 교육사학 연구공동체가 나가야 할 방향을 모색하였다. 지난 50여 년간 교육사학을 연구하는 이들이 어떤 주제로 연구를 해왔고, 어떤 관점과 연구방법을 취했는지 살펴보았다. 연구자는 1967년부터 2022년까지 한국교육사학회의 학술활동을 중심으로 그간의 학술활동을 고찰하였다. 이에 따라 한국교육사학회의 학술 활동 변천을 다음 세 시기로 구분하였다. 1) 교육사학 정체성과 연구 방법을 모색하던 시기, 2) 실증주의 역사 연구의 정착과 도전에 직면한 시기, 3) 교육사학 고유 서사의 형성 시기이다. 시기 구분의 기준은 교육사 연구에 대한 성찰이 활발하게 이루어진 세 시점으로 설정하였다. 창립기에 해당하는 첫 번째 시기는 학회 창립 후부터 1989년까지로 설정하였다. 창립 후 20여 년이 지난 뒤 교육사 연구 동향에 대한 자성적 논의가 이루어진 1989년을 첫 번째 시기 구분 기준점으로 삼았다. 두 번째 시기는 1990년부터 2010년으로 설정하였다. 이 시기의 구분 기준도 2010년에 한국교육사 연구동향에 대한 성찰과 전망을 논의하는 학술대회가 개최되었기 때문이다. 세 번째 시기는 2011년부터 2023년까지로 설정하였다. 2023년 현재 한국교육사학회는 60주년을 앞두고 이전의 성과와 한계에 대해 성찰할 기회를 맞이하고 있다. 연구자는 시기 구분을 통해 교육사학이 지난 60년간 나름의 독자성을 갖추기 위한 고민과 극복을 해왔음을 보였다. 교육사 분야의 교육학 내 위상 강화와 교육사 연구 방법의 다양화, 교육사 연구 대상의 확대를 제안하였다. In this article, historical researches of education was reviewed and the direction of the researches was sought. I looked at what subjects researchers have been researching for the past 60 years, and what perspectives and methods they have taken. I examined the academic activities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the History of Education from 1967 to 2022, focusing on the academic activities. Accordingly, the changes in the academic activities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the History of Education were divided into the following three periods. 1) the period of exploring identity and research methods within the field of education, 2) the period of establishment of positivist historical research methods and facing challenges of research methods, and 3) the period of forming an independent narratives. The criteria for classifying this period were set as three periods in which reflection on history of education research was active. The first period corresponding to the founding period was set from the founding of the society to 1989. The year 1989, when self-reflection on the trend of research on the history of education took place 20 years after its foundation, was taken as the first reference point for classifying the period. The second period was set from 1990 to 2010. The classification criteria for this period is also because an academic conference was held in 2010 to discuss reflections and prospects on research trends in Korean education history. The third period is set from 2011 to 2023. As of 2023, the Korean Educational History Association is facing an opportunity to reflect on its previous achievements and limitations ahead of its 60th anniversary. The researcher showed that education history has struggled and overcome to have its own identity over the past 60 years through period classification. It was proposed to strengthen the status of education history in the field of education, to diversify the methods of research on education history, and to expand the subjects of education history research.

      • KCI등재

        해외연구소개 : 스웨덴 교육사학 연구의 현황과 쟁점; 주요 학회 및 대학별 연구현황을 중심으로

        이윤미 ( Yoon Mi Lee ) 한국교육사학회 2011 한국교육사학 Vol.33 No.3

        이 글은 스웨덴에서의 교육사연구동향을 주요 학회에서의 연구와 주요 대학에서의 연구를 중심으로 살펴보고 그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스웨덴에서의 교육사학 연구는 1920년대 스웨덴교육사학회 설립 이래 꾸준히 진행되어 왔으며, 지역교육사 및 학교사 등과 관련한 기초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진 것을 알 수 있다. 최근 주요 대학에서 이루어지는 교육사학 연구주제들은 매우 다양하게 나타나며 여러 분야에 걸친 주제사적인 접근이 시도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스웨덴에서 교육사학 연구는 현재 전환기라고 할 수 있다. 교육사학을 독자적 학문분야로 세우고자 하는 소장학자들의 입장에서는 2003년 북유럽교육학회에서의 제언이 의미있는 기폭제가 되었다고 본다. 이들은 교육 사학이 연구방법론적 측면에서 강화되어야 한다고 보면서, 교육학 내부에서 고립되지 않고 역사학 및 타학문영역과 협력적으로 소통해야 한다고 보고 있다. 스웨덴 교육사학계의 이러한 쟁점은 교육학과 역사학의 경계에 있는 교육사학계의 보편적 문제의식을 반영하는 것으로 주목된다. 또한, 스웨덴에서의 교육사학 연구자간 학문적 연계체제와 신진 연구자양성을 위한 대학간 협동프로그램 (국립교육사학대학원) 운영사례가 한국의 제도적 현실에 주는 시사점도 크다. This paper examined the current trends in the history of education research in Sweden, focusing on the publications of the Swedish Association for Educational History(Foreningen for svensk undervisningshistoria) and the dissertations and research projects conducted by the researchers in major universities. Some of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even though it has been criticized by professional historians that the so-called "pedagogikhistoria" approach of the Swedish Association for Educational History (Foreningen for svensk undervisningshistoria) was less scientific and lacked the rigor in its methodology, the works of the Association have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the field. The Association has a wide collection of various historical sources including books, personal memories, records, etc., crucial to the historical research on education. Second, the inventory study led by the group of cultural and economic historians of education (who have called for the "New History of Education Research [Ny Utbildninghistorisk forskning]") provides a systematic basis for diagnosing the strength and weaknesses of the research orientation of the field. The forming of the social network among the historians of education and the professional programs offered by the National Graduate School of History of Education seems to be an innovative way of promoting collaboration in research and teaching within the community of history of education. Third, an effort by the Swedish "new historians of education" to bring the expertise of the "historical science" into the educational domain sheds light on the ongoing controversy over the "disciplinary/professional identity" of the historians of education, positioned ambiguously between educational studies and historical studies.

      • KCI등재

        「韓國敎育史硏究의 課題」에 對한 討論

        金英宇 한국교육사학회 1989 한국교육사학 Vol.11 No.-

        금번 한국교육학회 교육사연구회 연차 학술발표회의 대주제를 한국교육사연구의 현황, 과제, 전망으로 하고, 소주세로 한국교육사연구의 현황, 한국교육사연구의 과제, 한국교육사연구의 전망으로 세분하여 각 소주제별로 나누어서 주제발표와 토론을 하도록 하였다. 그런데 한국교육사연구의 현황, 과제, 전망이란 대주제를 전개함에 있어서는 먼저 한국교육사연구의 현황이 먼저 파악되어야 이를 토대로 하여 한국교육사연구의 과제가 도출될 수 있으며, 아울러 한국교육사연구의 전망을 가늠해 볼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일본의 교육사연구 동향 -2000년대 중반 이후를 중심으로-

        이명실 ( Myung Sil Lee ) 한국교육사학회 2011 한국교육사학 Vol.33 No.1

        본 연구에서는 2000년대 중반 이후 일본에서 발표된 연구성과를 바탕으로 일본의 교육사연구 동향에 관해 고찰해 보기로 한다. 교육학의 기초분야 연구에 대한 위기가 회자되는 최근의 한국 상황을 인식하면서, 일본의 연구자들은 어떤 주제와 내용에 관심을 가지고 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어떤 연구방법을 활용하고 있는지 살펴본다. 더불어 일본의 교육사 연구자들이 몸담고 있는 학계의 상황 및 이들이 매년 개최하는 교육사학회의 분위기도 전달해 보고자 한다. 이러한 시도는 단지 일본의 교육사연구 동향을 살펴본다는 단순한 궁금증 해소를 넘어, 같은 동양 문화권의 인접 국가이면서 서로 다른 역사적 경험으로 인해 생긴 교육사연구 및 교육사학회의 특징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국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교육사연구와 학회활동의 지점과 방향을 고찰해 볼 수 있는 계기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있는 작업이라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a trend on the historical studies of education in Japan after the mid 2000s. I examine the Japanese researchers`s research topics and methods through the analysis of the academic journal. Also, I try to understand the academic circumstances through the programs of the academic conference. This study has several implications for the historical studies of education in Korea. First, it is necessary to present a variety of research subjects and methods. To expand the research spectrum of historical studies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overall images of the educational history.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e historical studies of education before now, it is ascending the interests to the people``s history, social history, and life history that has been research methods of other fields. To reenact the vivid educational situation of the past, these research methods should be used and applied in the historical studies of education. Second, it is necessary to organize and pool the primary sources. A proper view of history is based on the exact record of the past. To collect and organize record of the past, we look for the state aid and the inquiring mind of the researchers.

      • KCI등재

        중국 교육사회학의 발달과 연구 동향

        류춘매,김병욱 한국교육사회학회 2011 교육사회학연구 Vol.21 No.2

        This study explores the development and the current state of Chinese educational sociology and what its characteristics are. It also searches for alternative ways of studying Chinese educational sociology by reflectively reviewing its development since little critiques and reflection have been made so far. In addition, it tries to introduce research trends of Chinese educational sociology to Korean academic society and to facilitate academic communication between the two societies. Chinese educational sociology had already begun in 1890s. However, the real starting point was in 1922, which was almost 40 years earlier than Korean educational sociology. Despite this early start Chinese educational sociology suffered from Chinese political dynamics, namely, the communism between 1949 and 1978. With the new open policy in 1978 Chinese academic societies accepted Western social sciences and since then Chinese educational sociology met its reviving era by discussing its identity as an appropriate and useful academic discipline for China. It mainly shows theory-oriented approaches, and thus, it lacks practical explorations and suggestions to solve Chinese educational problems. Interestingly enough, it takes structural functionalism in socialistic China different from 1980s Korean educational sociology. The academic society of Chinese educational sociology has weakness in research manpower and journal publication. It also faces the demand to provide more appropriate research perspectives and methods to solve Chinese educational problems such as action research, qualitative research, life history methods. Through these approaches it can develop Chinese theory for Chinese educational problems. 중국 교육사회학은 잉태․창건 시기(1922∼1949년), 정체․침몰 시기(1949∼1979년), 재건설․발전 시기(1979∼2001년)의 3단계를 거쳐 발달해왔다고 할 수 있으며. 각 발달 시기는 해당 시기 중국의 정치적, 경제적, 사회적 맥락의 영향을 크게 받았다. 구국강병을 위해 서양에서 도입한 여러 학문 중의 하나인 중국 교육사회학은 1922년 토우멍허(陶孟和)의 『사회와 교육』이 출판되면서 그 기초를 마련하기 시작했는데, 이는 한국에서 교육사회학이 출발한 시기보다 무려 40여 년 앞선 것이다. 그렇지만 중국 교육사회학은 중국의 정치적 상황 때문에 부침(浮沈)의 과정을 거쳐 왔다. 특히 좌파 계획경제시기(1949~1979년)의 중국 교육사회학은 소멸의 위기를 겪었고, 1979년 이후의 개혁개방시기를 맞으면서 부활하여 비로소 학문적 체계를 갖추기 시작하였다. 1992년부터 시작된 시장경제시기 이후 중국 교육사회학은 활성화 되고 있다. 현재의 중국 교육사회학은 기능주의적 패러다임이 주류를 이루고 있는데, 이는 1980~90년대에 비판적 이론들이 팽대했던 한국의 교육사회학과는 대조를 이룬다. 주로 거시적, 이론적, 사변적, 문헌중심적 연구들이 대부분이고, 중국 교육의 당면문제 해결을 위한 연구나 미시적 연구는 드물다. 한편, 학회와 학회지 그리고 연구 인력 등의 측면에서 중국 교육사회학은 취약함을 보이고 있다. 중국 교육사회학에 관한 자체 평가나 반성적 논의는 그동안의 중국의 정치적 현실 때문에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 연구는 중국 교육사회학의 발달과 각 발달 단계에서의 특징 그리고 현재의 학문적 상황과 연구 동향을 반성적으로 고찰하고, 이를 한국 교육사회학계에 소개하여 중국 교육사회학에 관한 관심과 교류의 기회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 KCI등재

        한국교육사상학회 학술지 『교육사상연구』의 연구동향 분석

        강기수(Gi-Su Kang),이승형(Seung-Hyeong Lee),최은주(Eun-Ju Choi) 한국교육사상학회 (구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023 敎育思想硏究 Vol.37 No.2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교육사상학회의 학술지인 『교육사상연구』에 게재된 논문을 분석함으로써 『교육사상연구』의 연구동향을 알아보는 데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1992년 창간호부터 2021년 12월까지의 『교육사상연구』에 게재된 총 680편의 논문을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방법은 기존의 연역적, 귀납적 분석틀에 근거한 분석방법과 이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텍스트마이닝 기반의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기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교육사상연구』의 전체적인 동향은 교육(학)의 체계 정립, 교육사상 및 관련 교육이론, 교육 실제에 관한 연구가 적정하게 이루어지고 있었으며, 교육(학)의 본질과 체계정립에 있어서는 지식, 지성, 진리, 경험, 마음, 감성, 몸 등 인간 이해 및 인간 특징에 관한 연구와 교육의 주체와 교육적 관계, 교육의 목적 등을 중심으로 연구가 수행되고 있었다. 교육사상 및 관련 교육이론에 관한 연구 동향은 주제·영역별 교육과 사상가 및 인물에 관한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었으며, 교육 실제에 관한 동향은 수업 및 교육과정과 교권 및 교사론 등에 관한 연구를 중심으로, 교육(입시)제도 및 교육정책, 교육기관 및 교육공간에 관한 연구가 주로 수행되었다. 텍스트마이닝에 기반한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기법을 통한 『교육사상연구』에 대한 동향 분석결과 핵심 키워드는 ‘교사’, ‘철학’, ‘인간’, ‘사회’로 네트워크가 구성되어 있었다.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결과 역시 분석틀에 근거한 동향 분석과 마찬가지로 교육사상 및 이와 관련한 교육이론의 연구 및 인간과 교육에 대한 본질 이해, 그리고 교육현장에 관계되는 학생, 교사, 학교, 사회에 대한 연구가 많이 수행되었다. This study aims to dentify the research trends of Educational Thought Research by analyzing papers published in Educational Thought Research, an academic journal published by The Korean Educational Thought Association. To achieve this research purpose, 680 papers published in Educational Thought Research from 1992 when its first issue was released to December 2021 were selected and analyzed as analysis targets. The research method used in the studies was analyzed using a method based on the existing deductive and inductive analysis framework and a text mining-based keyword network analysis technique to compensate for its shortcomings. The analysis, the overall research trend of Educational Thought Research the establishment of the system of education, educational ideas and related educational theories, and educational purposes. Research trends on educational ideas and related educational theories mainly focused on education, thinkers, and people, by subject and area, and mainly studies on education (admission) systems, and educational policies, institutions, and spaces were conducted. Analysis of the trends in Educational Thought Research using a text mining­based keyword network analysis technique showed the network to be composed of “teacher”, “philosophy”, “human”, and “social”. The keyword network analysis results, like the trend analysis based on the analysis framework, revealed that many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educational ideas and related educational theories, the nature of humans and education, and students, teachers, schools, and society, as related to the educational field.

      • KCI등재

        스웨덴 교육사학 연구의 현황과 쟁점: 주요 학회 및 대학별 연구현황을 중심으로

        이윤미 한국교육사학회 2011 한국교육사학 Vol.33 No.3

        This paper examined the current trends in the history of education research in Sweden, focusing on the publications of the Swedish Association for Educational History(Föreningen för svensk undervisningshistoria) and the dissertations and research projects conducted by the researchers in major universities. Some of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even though it has been criticized by professional historians that the so-called “pedagogikhistoria” approach of the Swedish Association for Educational History (Föreningen för svensk undervisningshistoria) was less scientific and lacked the rigor in its methodology, the works of the Association have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the field. The Association has a wide collection of various historical sources including books, personal memories, records, etc., crucial to the historical research on education. Second, the inventory study led by the group of cultural and economic historians of education (who have called for the “New History of Education Research [Ny Utbildninghistorisk forskning]”) provides a systematic basis for diagnosing the strength and weaknesses of the research orientation of the field. The forming of the social network among the historians of education and the professional programs offered by the National Graduate School of History of Education seems to be an innovative way of promoting collaboration in research and teaching within the community of history of education. Third, an effort by the Swedish “new historians of education” to bring the expertise of the “historical science” into the educational domain sheds light on the ongoing controversy over the “disciplinary/professional identity” of the historians of education, positioned ambiguously between educational studies and historical studies. 이 글은 스웨덴에서의 교육사연구동향을 주요 학회에서의 연구와 주요 대학에서의 연구를 중심으로 살펴보고 그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스웨덴에서의 교육사학 연구는 1920년대 스웨덴교육사학회 설립 이래 꾸준히 진행되어 왔으며, 지역교육사 및 학교사 등과 관련한 기초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진 것을 알 수 있다. 최근 주요 대학에서 이루어지는 교육사학 연구주제들은 매우 다양하게 나타나며 여러 분야에 걸친 주제사적인 접근이 시도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스웨덴에서 교육사학 연구는 현재 전환기라고 할 수 있다. 교육사학을 독자적 학문분야로 세우고자 하는 소장학자들의 입장에서는 2003년 북유럽교육학회에서의 제언이 의미있는 기폭제가 되었다고 본다. 이들은 교육사학이 연구방법론적 측면에서 강화되어야 한다고 보면서, 교육학 내부에서 고립되지 않고 역사학 및 타학문영역과 협력적으로 소통해야 한다고 보고 있다. 스웨덴 교육사학계의 이러한 쟁점은 교육학과 역사학의 경계에 있는 교육사학계의 보편적 문제의식을 반영하는 것으로 주목된다. 또한, 스웨덴에서의 교육사학 연구자간 학문적 연계체제와 신진 연구자양성을 위한 대학간 협동프로그램(국립교육사학대학원) 운영사례가 한국의 제도적 현실에 주는 시사점도 크다.

      • KCI등재

        교육사, 어떻게 가르쳐야할까 -서사로의 전환-

        김대식 ( Dae Sig Kim ) 한국교육사학회 2014 한국교육사학 Vol.36 No.1

        교육사를 어떻게 가르쳐야 하는가 하는 문제는 교육사 연구를 훌륭하게 수행하는 것과 함께 교육사학계의 중요한 과제라 할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교육사를 가르치는 데 있어서 역사학의 서사적 특성을 적용한 교육 방식에 대해 고찰하였다. 서사성은 역사학의 본질적 특성이라 할 수 있다는 점에서 교육사 교육의 원칙으로서 의미가 있다. 뿐만 아니라, 교사로서의 정체성 형성에 교육에 관한 서사가 기여할 수 있다는 점에서도 중요하다. 이런 서사성을 교육사 교육에서 부각시키기 위해서는 강의 과정에서 서사를 예화나 소재로 다루기보다, 교육사 강의의 구조 자체가 서사의 관점에서 재구조화될 필요가 있다. 거대 서사, 주제 서사 등 다양한 형태의 서사들을 교육사 강의를 통해 수강생들이 접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교육사가 수강생 자신과 분리된 것이 아닌, 교사 또는 교육전문가로서 수강생 자신의 역사이기도 하다는 점을 경험하도록 할 필요가 있다. 수강생들이 스스로 교육 서사를 작성하고 발표하는 것이 이런 경험을 위한 효과적 방법이라 판단된다. 수강생들은 자기 스스로 교육사를 서술해 봄으로써 자신의 서사의 주체가 되는 경험을 할 수 있다. 이런 서사 중심의 교육사 교수법을 통해, 수강생들은 교육의 역사를 단편적으로 이해하는 데에서 벗어날 수 있을 뿐 아니라, 자신이 장구한 교육의 역사에서 어떤 위치와 정체성을 가지고 있는지 자각할 수 있다. 이것은 그들이 주체적인 교사로서 성장하도록 하는 교육사 교육의 고유한 역할이라고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How to teach the history of education can be regarded as an important task along with research in the history of education. This study emphasizes that the narrative is to explore the history of education and to be a teaching method. The narrative can be called the nature of history. In addition, narrative can contribute to the formation of identity as a teacher. In order to highlight this narrative in the history of education, we should deal with a narrative not as interesting illustrations, but as the teaching structure of the curriculum. It is preferable that students are facing various forms of narrative, such as huge narrative and narrative of special subject. In addition, students create some narratives of education, and report the narratives to others. Students also should experience that the history of education is not separate from themselves and history of education is also a living history of themselves. This curriculum of history of education can be very effective in that students grow as a Independent teacher.

      • KCI등재

        韓國敎育史 硏究의 現況에 대하여

        林在潤 한국교육사학회 1989 한국교육사학 Vol.11 No.-

        금번 학술대회의 주제인 <한국교육사 연구의 현황과 전망>은 1985년의 대회 주제인 <동양교육사의 현황과 전망>, 그리고 1986년의 <서양교육사의 현황과 전망> 에 이어서 설정된 것으로 보이나, 1987년의 제 20차 대회에서 <교육사학의 이론과 전망>이라는 주제하에 한국교육사상사와 한국교육제도사 및 한국교육학사의 이론과 전망 등에 대하여 논의하여 왔기 때문에 그 교육사학적인 접근에도 불구하고 사실상 2년의 짧은 시간 동안에 상당정도 중복되는 부분에 관하여 이를 다시 다루게 되었다. 그러나 금번의 학술대회는 80 년대를 마무리하는 의미가 있으며, 동시에 그 주제가 한국교육사에 관한 것이 되고 있기 때문에 그 의미가 사뭇 크다고 말하지 않을 수 없다.

      • KCI등재

        교육학사적 관점에서 본 한국교육학의 분화와 발전

        한용진 한국교육사학회 2023 한국교육사학 Vol.45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ifferentiation and development of Korean education from an educational history perspective. To this end, I first looked at the conceptual categories of Korean education, and then looked at the differentiation and development of Korean educational studies. The conclusions obtained through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oncept of ‘Korean education’ can be said to refer to Korean education that is formed and operated from a Korean cultural perspective, like K-culture. Second, in the category of Korean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think more broadly about the concept of ‘Korea’ as well as domestic and foreign research and research on foreign education studies. Third, in an era that emphasizes academic convergence and integration, the ideas of ​​strictly distinguishing between ‘education’ and ‘science of education’ may not have much meaning in the educational field. Fifth, In Korea at the end of the 19th century, Spencer’s Education theory(intellectual, moral and physical) and Herbart’s nationalistically modified education was already accepted, and education was introduced as a ‘mixed science.’ Sixth, the three spaces that were in charge of education at home, school, and society need new attention in the lifelong education era. Seventh, the accelerated academic differentiation in the name of specialization has resulted in the excessive fragmentation of sub-fields of education, but this is an unsuitable direction in an era that demands academic convergence. Eighth, as the number of academic societies unaffiliated with the Korean Education Research Association[KERA] among various educational organizations increases, there is a need to reconsider the academic status and role of KERA. Ninth, the function of Korean education must be differentiated and developed not only from an instrumental perspective, but also from to an autotelic perspective under the ideology of Hongik Ingan. Nevertheless, it is also true that the social atmosphere makes it difficult to escape from the instrumental perspective. 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학사적 관점에서 한국교육학의 분화와 발전을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교육학의 개념적 범주를 먼저 살펴보고, 이어서 한국교육학의 분화와 발전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교육학’ 개념은 K-culture처럼 한국문화와 관련하여 형성되고 운영되는 교육학을 의미한다. 둘째, 한국교육학의 범주에는 내・외국인의 연구물과 외국교육에 관한 연구는 물론, ’한국’에 관한 개념도 보다 확대하여 생각할 필요가 있다. 셋째, 학문적 융합과 통합을 강조하는 시대에 교육현장에서는 ‘교육’과 ‘교육학’을 엄격하게 구분하려는 생각이 그다지 큰 의미를 갖지 않을 수도 있다. 넷째, 1990년대까지 통용되던 한국교육학의 외세의존적 발전론 관점은 전면적으로 수정되어야 할 것이다. 다섯째, 19세기 말 우리나라에는 스펜서의 지덕체 삼육론과 국가주의적으로 변형된 헤르바르트의 교육학이 이미 수용되며, 교육학을 ‘혼합과학’으로 소개한 바 있다. 여섯째, 가정-학교-사회의 교육을 담당하던 세 공간[삼장(三場)]은 평생교육시대를 맞아 새롭게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일곱째, 전문화라는 이름으로 가속화된 학문적 분화는 교육학 하위 영역간의 지나친 분절화를 낳게 되었지만, 이는 학문적 융합을 요구하는 시대에는 어울리지 않는 역방향이다. 여덟째, 각종 교육단체 중에는 한국교육학회 산하에 들어오지 않는 학회들이 더 많아지면서, 학회의 학문적 위상과 역할에 대한 재고가 요망되기 시작하였다. 아홉째, 한국교육학의 기능은 도구주의적 관점뿐만 아니라 홍익인간의 이념하에 자기목적적 관점으로도 분화⋅발전해야한다. 그럼에도 사회적 분위기는 여전히 도구주의적 관점에서 벗어나기 어려운 것도 사실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