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고혈압 유병율에 관한 다수준 로지스틱 회귀분석 (multilevel logistic regression)

        정수미 강원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47

        최근 들어 건강에 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성인병에 대한 관리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고혈압은 주요 성인병 중 하나로, 관상동맥질환, 뇌혈관질환, 심부전, 신부전, 말초혈관질환 등의 주요한 위험인자로 그 중요성을 더하고 있어 여러 분야에서 고혈압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 왔다. 본 논문에서는 2005 국민건강영양조사 제 3기 자료를 이용하여 여러 선행연구에서 발견된 위험인자들을 사용하여 고혈압 유병율에 대한 모형을 구축하고자 한다. 이 자료의 경우 계층적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일반적인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적용시키는데 한계가 있다. 따라서 우리는 고혈압 유병율의 집단(조사구)별 차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자료의 계층적 구조까지 고려할 수 있는 다수준 로지스틱 회귀분석(multilevel logistic analysis)을 고려한다. 그리고 일반 로지스틱분석과의 차이점을 알아보고, 특히 집단(조사구) 별로 고혈압 유병율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본다. As a growing number of people are concerned about their health, the importance of management of geriatric diseases is emerging lately. As one of the major geriatric diseases, hypertension has been a topic of extensive research, considered as a highly important risk factor to cause coronary heart disease, cerebrovascular accident, cardiac failure, renal failure, and peripheral vascular disease. Based on the data released by "The Third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hereafter, KNHANES III)", this article aims to develop a model on hypertension prevalence rate, using risk factors reported in various studies so far. The data is in a hierarchical structure, which has a limitation to apply to gener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herefore, we consider multilevel logistic analysis to cover hierarchical structure of the data, in order to identify the difference by hypertension prevalence rate group (survey group). The study also examines the difference from general logistic analysis and investigates if there is any difference in hypertension prevalence rate by group (survey group), in particular.

      • 농촌지역 소규모 중학교 운영실태 및 발전방안에 대한 연구

        정수미 전북대학교 행정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47

        Education in Korea under humanitarian ideal allows all nations to build up their own characters and have independent living skills and capability necessary for democrats, in order to lead a humane life and to help realize development of democracy and ideal of mutual prosperity. Moreover, "right to receive education" is prescribed by the Constitution of Korea with appropriate facilities and system, so that everyone is able to receive an education based on their ability. Also, it is legally stated that educational policy that allows socially·economically disadvantaged people to receive equal education should be realized. However, due to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population of farming and fishing villages decreased; size of the middle schools located in these areas reduced rapidly; educational gap between city and rural area is getting wider. This situation is causing a vicious cycle where more and more people are giving up farming and number of students schooling in small size middle school is getting smaller. Such vicious cycle is causing a problem of which "right to receive education" is not guaranteed, because the educational policy in these schools is not able to provide equal education and normal curriculum due to various reasons. Thus, in order to analyze the operational state of this small sized middle school and plan its normalization, the following improvement plan was studied. Firstly, small sized middle schools can be amalgamated into one centralized school to expand the school size and normalize the operation of curriculum. This will lead to securement of students' rights to receive education and increase in the efficiency of operational funds. Secondly, as a plan to develop small school into specialized school, specialized school for rural area that emphasized the peculiarity of rural areas can be created. In this way, school can attract students from other area and play the central role in community development. Thirdly, small sized middle school students' lacking of sociality and insufficient competitiveness can be improved by establishing various cooperative system like school, local resident and educational, administrative facilities and develop an affiliate program or combine curriculums.

      • 최명익 소설의 시각 이미지 연구

        정수미 서울시립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47

        A Study on the Visual Image of Choi Myeong-Ik's Novel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erceptions of and attitudes toward the modern times in Choi Myeong-Ik's novels in the aspect of visual images. In a situation where Korean people were not allowed to voice their opinions under the strong crackdown of the ruling Japanese, he chose an indirect method called visual images to say what he wanted to say. He reproduced the reality he selected according to the truth of his choice in visual images and used them to reveal his perceptions of and attitudes toward the reality. The reality that he tried to show through his visual images was the modernization of Pyeongyang where the politics of speed was reenacted by the ruling Japanese. The city made rapid development with the construction of railways and roads and witnessed the fast spread of capitalist system within it. Capitalism showed a tendency of excessive development, thus causing differences of imbalance, which began with the uniform daily life created by speed that was observed in the viewpoints of protagonists in his novels. The aspects of daily life observed in their viewpoints expressed his perceptions of and attitudes toward the reality or "how to look at the modern times" and "how to live in the modern times." The present study analyzed the visual images in Choi Myeong-Ik's novels in three aspects: The first one covers the momentary images and movements reflected in the viewpoints of characters. They are depicted in the landscapes of streets and trains, parts of new visual experiences in modern cities. In his 「Rainy Streets」, Byeong-il's viewpoint is constantly moving, grasping the momentary and fragmentary landscapes of streets. The landscape from narrow sloping roads to newly constructed ones offers an implication of urban development process. What Byeong-il paid attention to was, however, not development that was made possible by speed but the differences behind it. Those differences stemmed from the illusion that the petit bourgeois had about daily life or "stability and richness" that ruled the life of crowd those days. Behind them was the anxiety that they could fail. The daily life of the petit bourgeois that had both illusion and anxiety did not reveal itself and ruled the crowd. It was because urban development whose driving force was speed made social life one-dimensional for continuous growth. The second one involves the deconstruction and reconstitution of images in the viewpoints of protagonists. Images are reconstituted by the inner sides of protagonists, combining with different or similar images. Different images are presented abnormal, being overlapped with the objects that did not match the bodies of characters that lead a life of petit bourgeois. Abnormal images disclose the blindness of daily life of petit bourgeois by showing the normal daily life in an unfamiliar fashion. Similar images are created by the combination of images similar to intellectual protagonists. Putting an emphasis on sameness with protagonists, similar images reveal their lives of conflicts before the integration and sameness of daily life of petit bourgeois in a symbolic way. The third one presents detailed images to capture the eyes of protagonists suddenly and enable a signifying process by subjectivity. Detailed images send unexpected shocks to protagonists and create little chances for them to change their lives of escapism. Choi Myeong-Ik tried to show his perceptions of modern times in visual images instead of voicing them. He reproduced the reality that he selected according to his values in visual images and used them to express his critical perceptions of and attitudes toward the reality, thus showing the concealment of uniform daily life and social way of exclusive possession brought by the unbalanced development of modern times and also attitudes and changes to them. Visual images represent the method for him to see the reality and reveal his consciousness. Keyword : Choi Myeong-Ik, visual image, speed, images, modern times, new visual experiences, abnormal images, deconstruction and reconstitution of images, landscapes of streets and trains 국문초록 본고의 목적은 최명익 소설의 근대에 대한 인식과 태도를 시각 이미지의 측면에서 고찰하는 데 있다. 시각 이미지는 “본다”를 전제로 하고 있으므로 “어떻게 보았는가”의 기록이다. 이미지에는 창작 당시의 관습화된 의미뿐만 아니라 작가의 세계관이 반영되어 있다. 이미지가 일정한 체계성을 가지지 않고, 주관적이며, 자의적으로 창작되어 상징적인 의미를 표현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이미지는 작가가 택한 진리에 따라 선택한 현실을 시각적으로 재현한 것이다. 이렇게 만들어진 시각 이미지는 최명익 소설의 곳곳에 묘사되어 그의 근대에 대한 인식과 태도를 보여주었다. 일제의 그 어느 때보다 강력한 억압과 탄압에 의해 제 목소리를 낼 수 없었던 상황에서 시각 이미지는 최명익이 말하고 싶은 것을 우회적으로 할 수 있게 해 주었다. 시각 이미지는 말하지 않으면서 말보다 더 많은 이야기를 보여줄 수 있었기 때문이다. 최명익이 시각 이미지를 통해 보여주고자 했던 현실은 일제에 의해 속도의 정치가 재현되고 있는 평양의 근대화였다. 평양은 철도와 도로가 건설되면서 급속도로 발전하였고 그와 동시에 자본주의체제도 빠르게 확산되었다. 자본주의는 과잉 발전의 양상을 보이며 불균형적인 차이를 발생시켰다. 차이는 속도가 가져온 획일적인 일상에서 시작되었다. 이것은 최명익 소설의 주인공들의 시각에 의해 관찰되었다. 이들의 시각에 비춰진 일상의 단면들은 최명익의 현실인식과 태도, 즉 “근대를 어떻게 보았는가”와 “어떻게 살아야하는가”를 드러내주는 것이었다. 본고는 최명익 소설의 시각 이미지를 세 가지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첫째는 등장인물의 시각에 비춰진 순간적인 이미지와 움직임이다. 근대도시의 새로운 시각체험인 거리와 기차의 풍경에 의해 묘사된다. 「비 오는 길」의 주인공인 병일의 시각은 끊임없이 움직이면서 순간적이고 단편적인 거리의 풍경을 포착한다. 좁은 비탈길에서 신작로로 이어지는 거리의 풍경은 도시 발전의 과정을 함축하고 있다. 그러나 병일이 주목한 것은 속도가 만들어낸 발전이 아닌 그 이면의 차이였다. 차이는 당시 군중들의 삶을 지배했던 “안정과 풍요”, 즉 소시민적인 일상의 환상에서 발생한다. 그 이면에는 실패할 수 있다는 불안감을 내재하고 있다. 환상과 불안감을 동시에 지니고 있는 소시민적인 일상은 그 모습을 드러내지 않고 군중들의 삶을 지배했다. 속도를 추진력으로 하는 도시가 지속적으로 발전하기 위해서 사회적인 삶을 일차원적으로 만들었기 때문이다. 둘째는 주인공들의 시각에 비춰진 이미지의 해체와 재구성이다. 이미지는 주인공들의 내면에 의해 상이하거나 유사한 이미지와 결합하여 재구성된다. 상이한 이미지는 소시민적인 일상을 영위하고 있는 등장인물의 신체와 어울리지 않는 대상이 중첩되어 비정상적으로 제시된다. 비정상적인 이미지는 정상적인 일상을 낯설게 보여줌으로써 소시민적인 일상의 맹목성을 드러낸다. 유사한 이미지는 지식인 주인공들과 비슷한 이미지가 결합되어 만들어진다. 주인공과의 동일성을 강조한 유사한 이미지는 소시민적인 일상의 통합력과 동일성 앞에서 갈등하는 그들의 삶을 상징적으로 드러냈다. 셋째는 주인공들의 시선을 갑자기 사로잡아 주관에 의해 의미화가 이루어지는 세부 이미지이다. 세부 이미지는 주인공들에게 예상치 못한 충격을 주며 현실도피적인 주인공들의 삶이 변화할 수 있는 작은 계기를 만들어 주었다. 최명익은 근대에 대한 인식을 소리 내어 말하지 않고 시각 이미지를 통해 보여주고자 했다. 자신의 가치관에 따라 선택한 현실을 시각 이미지로 재현하여 근대에 대한 비판적인 인식과 태도를 표현했다. 일제에 의한 근대의 불균형적인 발전이 가져온 획일화된 소시민적인 일상의 은폐성과 사회적 전유방식, 그리고 그것에 대한 인물들의 태도의 변화를 보여주었던 것이다. 그러므로 시각 이미지는 최명익이 현실을 보는 방법인 동시에 태도를 드러내는 방법이었다.

      • 날씨가 배달음식 매출에 미치는 영향 : 체감 기상변수와 계절 간 차이를 중심으로

        정수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weather has influenced not only on daily life but on all over the industries very closely and the previous researches had tried to prove the relationship. Especially, food service industry is influenced by the weather directly or indirectly and reacted sensibly by the consumers so lot of researches has been going on. In our country, food delivery service is one of the special culture in the field of the food service industry. Since later of 1990’s, the food delivery service has been growing up and the sum of market reached on about 12trillion Korean currency in 2015. But the related researches are not quite enough. Accordingly, in this study, we tried to spec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weather effect and food delivery service. For analysis, we used the research data provided by SKT Big Data Hub and additionally daily weather data from the Weather Center. There are temperature, humidity, rainfalls, wind velocity, cloud and daylight time, etc. for the examination of weather influence in the previous researches. But in this study, we try to add parameters that the consumers are feeling about the weather. Accordingly, we used the weather variation such as wind chill temperature, heat index and the temperature-humidity index, etc. Finally, we investigated that the explanation adding the above index is much better than not. Furthermore, we examined the detailed weather impact in each season and reached to the results. According to the previous researches, the season is defined with 3months duration such as Spring is from March to May, Summer from June to August, Autumn from September to November and Winter from December to February. Eventually, we examined the weather condition impacted on food delivery service are different and the variation to the food kinds. Also we find out not only statistical significance but economical significance for the fluctuation of food delivery order. Finally, in this research, we try to predict the number of the food delivery order based on the weather data in 2015. So we utilized data mining technique such as artificial neural network, boosting and random forest for building prediction model. Also for the proof of predictive ability of the model, we tested the evaluation process once more with the data in 2016. 12. 26. At the result, we can see that the boosting predictive ability is most excellent among data mining technique. Eventually, we proved the demand fluctuation of the food delivery order depend upon the weather condition by the seasons. Moreover there are lot of meaning that we are able to suggest reasonable marketing strategy to small sized food delivery industry by building up actual prediction model. 날씨는 예로부터 일상생활 뿐만 아니라 산업 전반에 걸쳐 밀접하게 영향을 주고 있으며, 수많은 선행연구에서는 이러한 영향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특히 외식산업은 날씨의 직, 간접적인 영향을 받고있으며 소비자들이 민감하게 반응하는 산업으로써 학문적으로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어 오고 있다. 우리나라의 외식산업의 특징 중에는 배달음식 문화가 자리잡고 있다. 1990년대 후반부터 성장하기 시작하여 2015년 기준 약 12조 원에 이르는 시장 규모를 자랑한다. 그러나 이러한 배달요식업의 성장 속도에 비해 관련한 학술적 연구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외식산업 중에서도 배달요식업을 중심으로 기상요인과의 영향관계를 중점적으로 규명하고자 하였다. 분석을 위해 SKT 빅데이터 허브(http://bigdatahub.co.kr)에서 제공하는 데이터 (개인정보 미 포함)를 연구 자료로 활용하였다. 여기에 기상청(http://www.kma.go.kr)에서 제공하는 일별 날씨 데이터를 융합하여 최종 데이터 셋을 구축해 분석을 수행하였다. 기존 선행연구에서 날씨의 영향력을 규명하기 위해 사용해 온 기상요인으로는 대표적으로 온도, 습도, 강수, 풍속, 전운량, 일조시간 등이 있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위와 같은 물리적인 날씨의 수치가 아닌 실제 소비자들이 느끼는 상대적인 날씨를 수치화 한 변수를 추가적으로 사용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날씨 변수들의 적절한 조합으로 파생된 체감온도, 열지수, 불쾌지수 등을 연구에 적용하였다. 그 결과 기존에 물리적인 날씨 수치만을 사용했을 때 보다 체감온도, 열지수, 불쾌지수 등을 추가했을 때 설명력이 더 우수함을 입증하였다. 더 나아가 기상요인의 영향력을 세분화하여 분석하기 위해 계절별로 결과를 도출하였다. 선행연구에 의하면 계절은 3달의 고정적 기간으로 간주해왔는데, 본 연구에서도 선행연구와 동일하게 정의하였으며 봄은 3~5월, 여름은 6~8월, 가을은 9~11월, 겨울은 12~2월로 하였다. 결과적으로 계절별로 배달음식 주문 수요에 영향을 주는 기상요인이 달랐으며, 업종 별로도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뿐만 아니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도출한 것에서 더 나아가 실제로 주문 수요가 얼마나 변동되는지를 수치적으로 변환하여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는 2015년 기상데이터에 기반하여 실제로 배달음식 주문 건수를 예측해 보고자 하였다. 따라서 예측 모형 구축을 위해 인공신경망, 부스팅, 랜덤포레스트 등의 데이터마이닝 기법을 사용하였다. 또한 예측 모형의 예측력을 검증하기 위해 2016년의 데이터를 이용해 평가하는 과정을 한 번 더 거쳤다. 그 결과 예측 모형 및 평가 모형에서 모두 부스팅의 예측력이 가장 우수함을 보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상요인에 따른 배달음식 주문 수요 변화를 계절별로 세분화하여 입증하였으며, 실제 예측 모형을 구축해봄으로써 배달요식업에 종사하는 소상공인들에게 과학적이고 합리적인 마케팅 전략을 제언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 20代 남녀의 성경험 및 성교육 실태 조사

        정수미 경북대학교 수사과학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20 대 성인 남녀의 성교육 실태와 성관련 경험을 조사하여 20 대 남녀의 성문화를 이해하는 기초자료를 수집하고자 2014년 5월에 경기지역 소재 M대학, 그리고 대구지역 소재 K대학에 재학 중인 남녀학생 및 인터넷 Y커뮤니티 사이트 남녀회원 등 271 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그 결과 대부분 성교육을 받은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기존의 성교육의 내용이 생물학적인 성교육 (사춘기/2차 성징, 임신과 출산, 성기 기능과 구조 등)에 치우쳐 ‘피임’과 ‘성관계 준비’등 실질적으로 응답자들이 교육 받기를 원하는 부분에 대한 교육은 미흡하였다. 또한 대상자들 중 많은 수가 성지식 취득과 성고민 상담을 인터넷에 의존하고 있었다. 그리고 커플 앱 사용, 스킨십 사진 공유, 성적인 내용의 문자 주고받기 등 스마트폰을 기반으로 한 서비스를 이용하여 성과 관련된 데이터를 공유하는 등의 경험이 상당수를 차지하고 있었다. 성관련 경험은 남자가 여자보다 2 배 이상 자위를 해 본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성관계 경험은 전체 응답자의 58.3%로 나타났다. 응답자들은 성관계 후 임신에 대한 걱정을 하고 있으면서도 상대방에게 피임에 대한 적극적인 의사전달이 부족하였고, 실제로 정확한 피임법에 대한 이해도 많이 부족하였다. 그리고 여성의 경우 주로 동성친구나 모르는 사람으로부터 직접적인 신체접촉에 의한 성범죄 피해 (추행, 강간)를 입은 경우가 37.6%나 있었다. 따라서 우리나라 20대 남녀에게 기존의 사춘기의 특징, 임신과 출산 등 생물학적 성교육에서 벗어나 보다 실질적인 성관계 준비를 위한 올바른 성지식과 피임방법 그리고 성범죄에 대한 대처를 할 수 있는 성교육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또한 인터넷 및 스마트폰을 통하여 개인정보의 노출과 성범죄 등 각종 피해가 발생할 우려가 높아 이에 대한 차단 어플리케이션 등을 개발하여 개인정보를 보호하고 성에 대한 올바른 지식을 공유할 수는 보다 안전한 인터넷 공간 마련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 E-learning에서 학습동기유발수단이 학습참여도와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Mobile SMS(Short Message Service)와 E-mail을 중심으로

        정수미 淑明女子大學校 遠隔敎育工學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Promoting motivation for learning in e-Iearning areas enables students to participate in classes with a sense of purpose, not to give up their classes, and to take other courses even after they complete their present classes(Keller, 1983). This research on motivation for learning is often conducted when researchers not only analyze the factors which have influence on the motivation, but also seek the way to motivate the students. These strategies for motivation, however, do work only when students voluntarily take part in the courses. Therefore, the strategies are not efficient enough to enccJurage the off-line students to work on line. Consequently, it is necessary to devise a method that can get students to participate in courses by themselves and that can satisfy them with the final results. The purpose of this study focuses on how effective the degree of participation and satisfaction is when motivating factors, such as mobile SMS and E-mail, are given to students. The subject of study is the students at a credit-bank institute, based on the e-learning. Group A includes 100 students taking an English conversation class and Group B, another 100 students taking a computer graphics. Again each group was divided into two small groups with 50 students respectively, and they were given messages saying words of encouragement and the records of learning process through mobile SMS and E-mails. To find out the results, there were an analysis of the access record of each student and a questionnaire showing the degree of learners' satisfaction. This paper formed a research question that there would be a difference in the degree of students I participation and satisfaction when motivation for learning through mobile SMS and E-mails was given to them. In addition, another research question about four items - the activation of bulletin boards, Q&A boards, the rate of learning progress, the number of students who submitted their assignments - was set up. The degree of students I participation came from the record of their access to the web site and that of their satisfaction was based on the questionnaire. To find out the degree of their participation, there was an analysis about the number of hits, the activation of Q&A boards, the rate of learning progress, and the number of students who submitted their assignments. To check out the degree of learners' satisfaction, there was an analysis about contents, web site operation, the amount of assignments, and the speed of learning. As a result, it proved that mobile SMS had a greater influence On both participation and satisfaction than E-mails. In conclusion, as students showed a positive response to the motivation through the two methods, the methods proved to be a effective way to keep the students participating in classes regularly, to encourage their learning and communication, and to promote the degree of their participation and satisfaction. e-learning에서 학습동기유발은 학습자가 목적의식을 가지고 학습에 참여하여 중도 탈락없이 학습참여를 유지하고, 지속적으로 후속수강을 할 수 있도록 하는(Keller, 1983) 중요한 요소이다. 학습동기유발에 대한 연구는 대부분 동기유발에 미치는 요인분석과 학습공간에서의 동기유발설계 등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온라인(on-line)상에서의 학습동기유발은 학습자들이 학습장에 스스로의 의지로 참여 하였을 때에만 적용을 받을 수 있으므로 오프라이(off-line)상태의 학생을 온라인 학습장으로 유도하여 학습을 수행하게끔 하기엔 역부족이다. 따라서 사이버공간에서의 동기유발전략 설계시 오프라인 상태의 학습지를 동기화시켜 학습장에 참여시키고 학습의 최종적 결과인 학습참여도와 학습만족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학습도익유발수단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Mobile SMS(Short Message Service)와 E-mail을 이용한 학습동기유발수단을 제공하였을 경우 학습참여도와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대상은 e-learning기반의 학점은행제 기관 수강생 20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학습동기유발수단으로 Mobile SMS와 E-mail을 통한 학습현황 및 격려메시지를 제공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학습활동에서 발생되는 로그데이터를 기준으로 학습참여도를 통계처리하였으며 설문지를 이용하여 학습만족도에 대한 결과를 도출하였다. 그 결과 Mobile SMS와 E-mail 매체를 이용하여 학습동기유발수단을 학습자에게 제공하였을 경우, 과제제출인원을 제외한 게시물 조회수, 질문활성화 수준, 학습진도율에서 Mobile SMS가 효과적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편 학습만족도 부분에서는 콘텐츠에 대한 만족도, 운영에 대한 만족도, 과제의 분량 및 과제내용에 대한 만족도, 학습진도의 진행속도에 대한 만족도 부분에서 Mobile SMS가 E-mail보다 효과적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론적으로 Mobile SMS를 사용하였을 경우 학습참여도와 관련하여서는 E-mail보다 게시물 조회수, 질문활성화 수준, 학습진도율 부분에서 학습참여도에 더 효과적이었으며, 학습만족도 부분에서는 콘텐츠에 대한 만족도, 운영에 대한 만족도, 과제의 분량 및 과제내용에 대한 만족도, 학습진도의 진행속도에 대한 만족도 부분에서 Mobile SMS가 효과적임을 본 연구를 통해 확인 할 수 있었다.

      • 이민자 대상 한국어 교재에 나타난 문화요소 분석 : 『이민자를 위한 한국어와 한국문화』를 대상으로

        정수미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민자 대상 한국어 교재에 나타난 문화요소 분석 -『이민자를 위한 한국어와 한국문화』를 대상으로- 본 연구는 현재 사회통합프로그램에 적용하고 있는 이민자 대상 한국어 교재인 『이민자를 위한 한국어와 한국문화』교재를 중심으로 교재에 나타난 문화요소를 분석하고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개선방향을 제시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법무부 출입국·외국인정책본부의 통계에 의하면 2016년 11월 기준 한국 내 체류하고 있는 외국인 수가 1,999,195명으로 전년 대비 7.5% 증가하였다. 날로 증가하는 이민자들이 하루빨리 한국사회에 적응하기 위해서는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언어문화 교육을 필요로 한다. 이러한 교육이 효율적으로 실시되기 위해서는 한국어 교육에서의 중요한 요소인 교재에서 문화요소를 어떻게 선정하고 다루고 있는지 분석해 볼 필요가 있다. 1장에서는 연구의 목적, 필요성에 대해 설명하고, 연구 방법과 연구 내용에 대해 소개하였다. 또한 이민자를 대상으로 한 한국어 문화교육과 한국어 교재 내 문화 내용 분석을 중심으로 선행연구를 검토하고 아울러 이민자 한국어교육 현황과 정책 연구들도 살펴보았다. 2장에서는 이민자 대상 문화교육과 이민자 대상 문화교육 자료에 대해서 논의했다. 먼저 1절에서는 이민자 대상 문화교육의 원리와 방법, 교육과정과 교재에 대한 논의를 했다. 그 다음으로 이민자 대상 문화교육 자료 부분에서는 문화교육 자료 개발의 원리와 문화교육 자료의 유형 및 체제에 대한 논의를 하였다. 3장에서는 이민자 대상 문화교육 자료의 분석으로 우선 분석 대상 교재 선정에 대한 근거를 논의하고 선행 이론을 바탕으로 문화 교육 자료의 분석틀을 제시했다. 다음으로 분석하고자 하는 『이민자를 위한 한국어와 한국문화』 초급1,2 중급1,2를 분석틀에 맞추어 분석했다. 특히 교재에 나타난 문화요소를 중심으로 문화의 도입 원리, 문화요소의 형식, 문화요소 유형, 문화요소 시각자료, 문화요소와 주제의 연관성, 문화요소 제시 방법, 문화 영역 과제 활동, 문화항목 내용 등에 대해 분석하고 그 결과를 제시했다. 마지막으로 결론에서는 3장에서 기술한 교재 분석 결과를 통하여 그 특징을 서술하고 한계를 지적하면서 개선 방안을 언급하였다. 주제어: 한국어교재,분석,문화요소,이민자 This research aims to analyze the cultural elements appearing in the Korean textbook for immigrants 『Korean Language and Culture for Immigrants in Korea』 implemented in the current social integration program, and suggest improvement method based on the result of the analysis. According to the statistics of Immigration/Foreign Policy Headquarters in the Ministry of Justice, the number of foreigners residing in Korea on November 2016 summed up to 1,999,195 people which was an increase of 7.5% compared to the previous year. There is a need for professional and systematic language and cultural education for these increasing number of immigrants to quickly adapt to the Korean society. To receive this education, it is important to analyze how the cultural elements are selected and dealt with in the textbook, which is a crucial part of Korean education. Part 1 explains the purpose and need for research and also introduces the research material and method. Moreover, previous studies are reviewed by focusing on analyzing the Korean language cultural education for immigrants and the cultural contents within the Korean textbooks, and also the statu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immigrants as well as the policy studies are considered. Part 2 discusses the cultural education and the cultural education materials for immigrants. In part one, the discussion is on the methods and principles of cultural education for immigrants, education process, and the textbook. In the next part of dealing with the cultural education for immigrants, the principle of cultural education material development, and the types as well as system of cultural education material is analyzed. Part 3 discusses on the evidence for the selection of the textbook subject for first analysis preference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materials on the cultural education for immigrants and suggests an analysis framework of the cultural education material based on the precedent theory. Then Beginner 1, 2 and Intermediate 1, 2 of 『Korean language and culture for immigrants』 were analyzed based on the developed analysis framework. Especially, the introduction and principle of culture, forms and types of cultural elements, the visual materials of cultural elements, cultural elements and the relevance of the subject, the method of presenting the cultural elements, assignment activities of cultural field, the contents of cultural items, etc. are analyzed with the focus on the cultural elements that appeared on the textbook and the results are suggested accordingly. Finally in the conclusion, the important features are described and the limitations are pointed out to suggest an improvement method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textbook analysis dealt with in Part 3. keyword: korean textbook, analysis, cultural elements, immigrants

      • 공간개념 변화 분석을 통한 공간디자인 방향성 고찰

        정수미 崇實大學校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아인슈타인의 상대성 이론이 제기된 이후로 공간의 개념화는 물질적 공간체계에 대한 의미가 불분명해지고, 공간의 범위 또한 시간과 체험 등과 같은 비가시적인 영역을 포함하는 형태로 확장되어 논의되고 있다. 이에 따른 공간의 다원적 흐름은 공간개념의 인식을 다변화를 시키고, 디지털 공간과 정신적 공간에 대한 재인식을 요구한다. 따라서 인문사회과학자들의 관점으로 공간개념을 시간의 축과 철학 개념의 축으로 분류하고 통합하여 방향성을 탐구하고, 분석을 통한 새로운 공간개념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사례분석을 통해 공간적 요소를 구체화하여 공간구성요소를 도출하였다. 공간개념의 분류 기준은 공간의 시간성 도입 전후를 기준으로 개념적 공간 틀과 관념적 공간 틀로 나누어, 개념적 공간으로는 유클리드 기하학 공간, 비유클리드 기하학 공간으로, 관념적 공간으로는 영혼 공간, 상대적 공간, 관련적 공간, 가상공간으로 분류하였다. 또한, 분류와 분석을 통하여 새로운 공간 개념을 체험적 관념공간과 비물질적 정보공간이 통합된 혼합주의적 관념공간으로 제안하였다. 이는 미래의 공간 개념을 개념적 공간과 관념적 공간의 결합을 통하여 감각이 다원화되고, 감성이 정보화되는 확장공간으로 생각하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혼합주의적 관념공간의 구체적 속성을 매개성, 체험성, 사색성, 상호작용성, 유동성, 확장성으로 도출하고, 이러한 비가시적 공간개념을 사례를 통하여 공간디자인 요소로 제안할 수 있었다. 공간의 사회 문화적 개념변화는 환경으로서 공간과 미디어 기술이 내재된 기능방식에 대한 이해가 중요하다. 따라서 미래의 공간디자인 요소는 공간프로그램과 구축방법에 비 지각적 요소인 콘텍스트를 도입하고, 공간구성에 디지털 기술이 인간과 기술의 교감을 통하여 통합적 감각을 자극하며, 정보적으로 인간의 내면과 자연은 내밀화된 소통을 통하여 공간을 감성화 해야 한다. 공간은 시간성을 초월한 공간의 공감각화와 정보와 커뮤니케이션의 확장을 통해 다양한 표현 가능성을 구축할 것이다. Ever since Albert Einstein propounded his theory of relativity, the conceptualization of space has evolved beyond the physical spatial system and the scope of space is now expanding to include invisible components such as experience and time. Therefore, the pluralistic understanding of space diversifies the cognition of spatial conception and demands a new understanding about mental and digital space. From the human and social science point of view, I classified the spatial conceptions using time and philosophical conception as the two main axes of analysis, and I suggest a new spatial conception based on their integration. A cases analysis is provided to materialize and deduce the spatial elements. The criterion used to classify the conceptions of space is whether it was pre- or post-time-introduction in space: conceptual vs ideational space. Conceptual space is divided into the Euclidian and non-Euclidean geometric space, whereas the ideational space is classified into soul, relative, relational and virtual space. Additionally, based on the classification and analysis, I suggest a new conception of space -the syncretic-ideational space - which integrates the experiential-ideational space and unmaterial-informational space. By combining conceptual and ideational space, future spatial conception is defined as an extended multisense space in which sensitivity is informationalized. Consequentially, the concrete properties of syncretic-ideational space are presented as mediation, experience, contemplation, interaction, liquidity and extension. I introduce a case of invisible-spatial conception to suggest space-design elements. In the socio-cultural change of spatial conception,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space as an environment and understanding of the functioning methods that contain media technology is critical. Therefore, in the future, the space design elements should introduce non-perceptional elements such as context in space programming and construction. The digital technology should stimulate the integrated sense through a communion between human and technology, and the inmost communication between nature and human inner side will make it possible to create a more sensitive space. The space will build various ways of expression by expanding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and a synesthetic space transcendent of time will be construc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