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감사표현 집단미술치료가 노년기 부부의 친밀감과 외로움에 미치는 효과

        오경희 조선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63

        감사표현 집단미술치료가 노년기 부부의 친밀감과 외로움에 미치는 효과 오경희 지도교수 김택호 조선대학교 일반대학원 미술심리치료학과 본 연구의 목적은 감사표현 집단미술치료가 노년기 부부의 친밀감과 외로움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G광역시 소재의 D복지관을 이용하는 노인들 중 프로그램에 참여 의사를 밝힌 부부 14쌍을 대상으로 하여 실험집단, 대기집단으로 7쌍으로 무선배치 하였다. 연구기간은 2019년 7월 1일부터 2019년 9월 17일까지 주 1회, 회기 당 90분씩 사전․사후검사를 포함하여 총 12회기 감사표현 집단미술치료를 실시하였다. 연구의 프로그램 효과 검증을 위해 감사표현척도, 친밀감 척도, 외로움 척도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DOW 24.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실험집단과 대기집단의 동질성 검증을 위하여 T검증(t-test)를 실시하였고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해 반복측정 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회기별 언어 및 태도변화에 대한 내용을 분석하여 통계결과를 보완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감사표현 집단미술치료가 노년기 부부의 친밀감에 효과는 어떠한가에 대해 살펴본 결과, 실험집단이 대기집단에 비해 친밀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감사표현의 인지적, 정서적, 행동적 과정에 따라 인지적 친밀감이 더 높아지는 유의미한 효과를 나타냈다. 회기과정에서 부부간의 감사표현에 대한 사용횟수의 증가와 긍정적 정서의 감정을 유지하기 위한 상호작용이 증가하는 변화를 보였다. 둘째, 감사표현 집단미술치료가 노년기 부부의 외로움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에 대해 살펴본 결과, 실험집단이 대기집단에 비해 외로움에서 감소하는 효과를 가져 왔다. 하위요인으로 가족관계외로움과 소속감의 유의미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집단원간의 상호작용의 증진은 사회적 외로움에 있어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따라서 감사표현 집단미술치료가 노년기 부부의 친밀감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으로 작용하여 길어진 고령사회에서 발생하는 부부간의 여러 가지 변화와 더불어 발생하는 부정적 정서인 외로움을 감소시키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 비언어적인 표현수단인 미술매체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노년기 부부간의 상호작용을 촉진하고 긍정정서를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인 방법임을 제시해 줌으로써 노인복지 현장에서 예방적 프로그램으로 활용할 수 있다는데 의의가 있다. 주요 용어 : 감사표현, 노년기 부부, 친밀감, 외로움 ABSTRACT The effects of group art therapy for gratitude expression on the intimacy and loneliness of the older couples Oh Gyeong hui Advisor: Prof. Kim, Tack Ho Psychological Art Therapy, Graduate School of Chosun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gratitude expression group art therapy on the intimacy and loneliness of the older coupl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randomly assigned 7 pairs of experimental group and waiting group of 14 older couples who indicated their intention to participate in the program among the elder couples who use D welfare center in G metropolitan city. The study period was 12 times from July 1, 2019 to September 17, 2019. A total of 12 gratitude expression group art therapy sessions were conducted, including pre- and post-tests once a week, 90 minutes per session. The gratitude expression scale, intimacy scale, and loneliness scale were used to verify the program's effectivenes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WINDOW 24.0 program. A t-test was performed to verify the homogeneity of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atmospheric group, and repeated measures variance analysis was performe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In addition, The statistical results were supplemented through the analysis for the language and attitude changes per ses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ffect of gratitude expression group art therapy on intimacy of the older couples,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han the waiting group in the intimacy. There was a significant effect of increasing cognitive intimacy by the cognitive, emotional and behavioral process of gratitude expression. The increasement of the number of times for gratitude expression and the increasement of interaction to maintain feelings of positive emotions were showed during session.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ffect of gratitude expression group art therapy on loneliness of the older couples,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loneliness compared to the waiting group. The increase of interactions among group member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social loneliness. Therefore, the gratitude expression group art therapy was found to be effective in improving the intimacy of the older couples, and it was found to be effective in reducing loneliness, which is the negative emotions, caused by various changes between married couples. In addition, it can be used as a preventive program in the field of elderly welfare by suggesting that group art therapy using non-verbal means of expression is an effective way to promote the interaction between older couples and improve the positive emotion. Key Words : expression of gratitude, older couples, intimacy, loneliness

      • 근거이론을 바탕으로 한 산림치유현상 분석

        오경희 충북대학교 2017 국내박사

        RANK : 247647

        숲이 현대인들의 건강과 행복에 기여하고 삶의 질을 향상시켜주는 치유의 장소로 주목받고 있다. 그러나 많은 연구에도 불구하고 숲에서의 치유 메커니즘이 명확하게 규명되지 못하고 있으며 특히 개인적 체험에 관한 구체적 치유 과정은 알려지지 않았다. 이에 따라 한 개인이 숲에서 경험하는 치유현상을 심층적으로 밝히고자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본 연구는 산림치유현상의 패러다임과 매커니즘을 밝히고 이론적 모델을 개발하는데 목표가 있다. 연구 자료는 숲을 통해 직접 치유를 경험한 사람들의 생생한 체험이 담긴 산림치유체험수기 180 편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방법은 질적 연구방법인 근거이론 접근 방법(Strauss & Corbin, 1998)과 정량분석 방법을 사용하였다. 근거이론 접근 방법을 통해서 ʻ산림치유현상 패러다임ʼ ʻ산림치유과정 6단계ʼ ʻ정서 ‧인지‧ 행동 변화과정ʼ ʻ산림치유기제ʼ를 분석한 후, 도출된 결과를 바탕으로 ʻ산림치유 종합모형ʼ을 제시하였다. 정량분석을 통해서 ʻ산림치유 핵심현상ʼ ʻ치유단계별 핵심현상ʼ ʻ질환별 치유현상의 특징ʼ ʻ질환별, 단계별 치유현상의 차이점ʼ 등을 분석하였으며,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산림치유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는 치유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근거이론 접근방법을 통해 산림치유 패러다임을 분석한 결과 9 개의 범주, 23 개의 하위범주와 85 개의 개념이 도출되었다. 인과적 조건은 ʻ긍정적 자극과 경험ʼ ʻ숲에 대한 기대감ʼ으로 체험자들은 숲에서 심신의 긍정적 경험을 한 후 숲의 매력에 빠져 보다 적극적으로 숲을 찾게 된다. 숲에서 경험하는 중심현상은 ʻ몰입을 통한 성찰ʼ로 숲에서 사색과 명상을 통해 반성, 자각과 성찰이 일어나며 자신이 처한 상황과 현실을 객관적으로 인식하고 새롭게 조명함으로서 문제의 원인과 해결방법, 삶의 지혜 등을 깨닫게 된다. 중심현상에 영향을 주는 맥락적 조건으로는 ʻ마음이 열림ʼ과 ʻ부정감정의 분출과 해소ʼ로 체험자들은 언제나 변함없이 반갑게 맞아주고 말없이 위로해주는 숲에서 편안함, 위로와 안식 등 정서적 안정을 얻고 부정감정이 해소된다. 작용/상호작용 전략으로 현실을 수용하고 삶에 대한 재해석을 통해 새로운 삶을 선택하는 ʻ초월ʼ을 사용하였다. ʻ초월ʼ을 촉진하는 중재적 조건은 ʻ긍정적 에너지의 충전ʼ으로 생명력, 힘, 에너지, 자신감 등은 초월을 촉진하는 요인이 되었다. 이러한 다양한 조건들의 상호작용을 통해 체험자들은 건강이 회복되고 대인관계가 좋아지며 베푸는 삶, 주체적이고 적극적인 삶, 행복한 삶, 감사하는 삶 등 결과적으로 자아실현의 삶을 살아가는 것으로 나타났다. 산림치유 패러다임을 시간의 흐름에 따라 분석한 결과 <자극단계> <수용단계> <정화단계> <통찰단계> <채움단계> <변화단계>의 6 단계 과정을 거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극단계는 숲에서 심리 생리적으로 긍정적 자극을 경험하는 단계이며, 수용단계는 언제든지 조건없이 반갑게 맞아주는 숲에서 정서적 안정을 얻고 마음이 열리는 단계를 의미한다. 정화의 단계는 부정감정을 털어놓고 해소함으로서 정화의 감정을 경험하는 단계이며, 통찰단계는 자신과 문제를 바라보는 인식의 변화가 일어나는 단계이다. 채움단계는 숲에서 다시 살아갈 힘과 용기와 희망, 생명력 등 긍정적 에너지로 채움 받는 단계를 말하며 변화단계는 몸과 마음의 변화, 관계의 변화, 가치관의 변화 등 전인적 변화를 경험하는 단계를 의미한다. 이러한 과정을 정서적‧인지적‧행동적 변화의 측면에서 분석한 결과 숲에서는 <정서적 변화>를 먼저 경험한 후에 <인지적 변화>를 거쳐 <행동적 변화>가 일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서적 변화를 일으키는 치유요소는 주로 숲의 오감요소가 작용하였으며, 인지적 변화에 영향을 주는 치유요소는 자연의 섭리와 이치, 동식물의 생존법과 강인한 생명력, 생명의 신비 등이 새로운 통찰이 일어나도록 촉진하였다. 치유와 변화를 일으키는 기제는 ʻ몰입ʼ과ʻ교감ʼ으로, ʻ몰입ʼ은 <자연몰입> <자아몰입> <행위적몰입>의 3단계를 거쳐 진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연몰입>은 자연과의 깊은 교감을 통해서 몰입을 경험하는 단계로 부정감정이 해소되고 잡념이 사라지며 온전히 자연과 하나 되는 경험을 하는 단계다. <자아몰입>은 자연몰입에서 한 단계 더 깊이 나아가 조용하고 편안한 상태에서 온전히 자신의 내면에 집중하게 되는 ʻ내적몰입ʼ으로 이때 깊은 내면의 탐색으로 성찰과 자각, 정체성회복 등을 경험하게 된다. 이러한 몰입을 경험하고 나면 외부세계에 대한 <행위적 몰입>으로 이어지면서 집중력, 성취, 목적 있는 삶 등을 살아가게 된다. 따라서 숲에서는 <자연과의 교감> <자신과의 교감> <세상과의 소통>을 통해 치유가 진전된다고 볼 수 있다. 정량분석을 통한 산림치유핵심현상 결과는 다음과 같다. 180편의 수기문에서 치유와 관련된 단어 190개를 도출하여 치유단어의 빈도수를 분석한 결과 치유단어가 총 3, 133회 나타났으며, 치유단어의 빈도순위는 <생각> <좋음> <행복>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그중 <생각>이란 단어가 188회로 가장 많이 나타나 산림치유의 핵심요소임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 산림치유현상은 어느 하나의 요소가 개별적으로 작용하는 것이 아니라 심리적 생리적 인지적 변화 등 다차원적이며 다각적이고 복합적인 상호작용을 거쳐서 통합적인 치유가 일어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산림치유현상에 관한 질적, 양적 분석에서 동일하게 나타난 주요현상은 ʻ성찰ʼ과 ʻ생각ʼ으로 현실의 상황과 문제를 바라보는 관점의 변화를 통해서 심신의 치유와 회복이 일어났다는 점이다. 이때 변화에 대한 주체는 바로 ʻ자기 자신ʼ으로 스스로 성찰을 통해 생각의 변화, 관계의 변화, 관점의 변화가 일어나며 이러한 변화는 심리적, 신체적, 관계적 회복은 물론 그들 안에 내재되어 있던 성장 동력을 촉진시켜 자아실현의 삶을 살 수 있도록 해주는 것임을 보여주고 있다. 본 연구는 산림치유현상의 매커니즘을 통합적 차원에서 탐색하고 이에 대한 이론적 모형과 틀을 도출하였음에 의의가 있다. 기존의 연구는 주로 양적연구로 개인의 치유현상 과정과 메커니즘을 밝힐 수 없음이 연구의 한계였으나 본 연구는 개인적으로 경험한 사례를 근거로 산림치유 현상과 과정을 구체적으로 탐색할 수 있음에 의의가 있다. 본 연구는 또한 기존의 획일적인 근거이론 분석 방법과 한계에서 벗어나 좀 더 다각적이고 다양한 방법으로 시도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본 연구 결과가 산림치유의 이론적 근거를 마련하고 산림치유 프로그램 개발 및 치료현장에서 활발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아동의 또래동조성 발달에 관한 연구

        오경희 淑明女子大學校 198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아동기 후기에서 청소년기 동안 또래에 대한 동조성과 반사회적 행동에 대한 평가가 연령과 성별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봄과 동시에 아동의 반사회적 행동에 대한 또래 동조성이 반사회적 행동에 대한 평가와 어떤 관계가 있는지를 알아 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또래에 대한 동조성은 연령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2. 또래에 대한 동조성은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3. 반사회적 행동에 대한 평가는 연령과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4. 반사회적 행동에 대한 또래 동조성은 반사회적 행동에 대한 평가와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연구의 대상은 국민학교 5학년, 중학교 1학년, 중학교 3학년, 고등학교 2학년 남녀 각 47명씩 총376명이었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측정도구는 첫째, 또래와의 동조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Berndt(1979)가 사용한 20문항 중에서 추출한 11문항과 본 연구자가 선행연구들을 기초로 제작한 5문항을 합하여 총16문항을 사용하였고, 둘째, 반사회적 행동에 대한 평가를 측정하기 위하여, 반사회적 행동에 대한 또래동조성 알아보는 항목들과 1대1로 대응하는 내용으로 문항을 작성하여 총 8문항으로 된 설문지를 학생들에게 집단적으로 실시하였다. 자료분석은 연령과 성별에 따른 아동의 또래 동조성과 반사회적 행동에 대한 평가를 알아보기 위하여 이원변량분석을 하였고, 추후검증으로 Duncan Multiple Range Test를 실시하였으며, 또한 아동의 반사회적 행동에 대한 또래 동조성과 반사회적 행동에 대한 평가간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Pearson의 적률상관계수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의 또래에 대한 동조성은 연령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또래에 대한 동조성은 연령이 증가할수록 동조 경향이 높았는데 특히 반사회적 행동에 대해서는 남녀 모두 학년이 높아갈수록 높은 동조 경향을 나타내었다. 둘째, 아동의 또래에 대한 동조성은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또래에 대한 동조성이 대체적으로 더 높았으며, 특히 학년이 높아갈수록 반사회적 행동에 대한 또래 동조성에서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더 높은 동조 경향을 나타내었다. 세째, 아동의 반사회적 행동에 대한 평가는 연령과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학년이 높을수록, 그리고 여학생보다 남학생이 반사회적 행동에 대해 덜 부정적으로 평가하였다. 네째, 아동의 반사회적 행동에 대한 또래 동조성과 반사회적 행동에 대한 평가 와의 관계는 부적인 상관이 나타났다. 즉 다시말해 반사회적 행동에 대한 평가가 덜 부정적일수록 반사회적 행동에 대한 동조성은 더 높아짐을 나타내었다. This study aims to research how child's peer conformity and evaluations to antisocial behavior have differences in age and sex, an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peer conformity to antisocial behavior and evaluations to antisocial behavior. The problems of the research were as follows; 1. How differences has peer conformity according to the age? 2. How differences has peer conformity according to the sex? 3. How differences have evaluations to antisocial behavior according to the age and the sex? 4. How does peer conformity to antisocial behavior have the relation-ship with evaluations to antisocial behavior? Total 376 subjects (boys, l88; girls, l88) were selected from 5th grade in a elementary school, 1st, 3rd grades in a middle school, and 2nd grade in a high school located in Ansan. To measure peer conformity and evaluations to antisocial behavior, Berndt's Peer Conformity Questionnaire and research-developed questionnaire were used. The obtained data were analyed by two-way ANOVA, Duncan Multiple Range Test,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eer conformity according to the age. The variation of peer conformity was higher in antisocial behavior than in neutral behavior as age increses. 2.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eer conformity according to the sex. Boys were stronger than girls in the peer conformity. 3.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evaluations to antisocial behavior according to the age and the sex. That is, the older age is, the less, rather boys than girls, evaluated negatively in the antisocial behavior. 4. Peer conformity to antisocial behavior correlated negatively with evaluation to antisocial behavior. That is, the less negative evaluations to antisocial behavior were, the stronger peer conformity to antisocial behavior was.

      • Effects of folic acid intake on the SAM/SAH ratio and methionine synthase activity in the brain of pregnant and lactating rats

        오경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Folate plays a coenzymatic role in one-carbon metabolism. It is known that such metabolism provides a methyl group to neuronal cell proliferation and DNA synthesis, resultantly affecting development of the central nervous system. Folate requirement increases during pregnancy and lactation due to changes in multiple physiological metabolisms. Accordingly, it is likely to be folate deficiency in these periods, if folate supplementation is not sufficient. It is believed that folate deficiency may affect maternal health as well as that of offspring.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effects of folic acid intake on SAM, SAH concentrations and methionine synthase activities in the brain of pregnant and lactating rats. For this, we examined plasma vitamin Bs, plasma homocysteine levels, SAM, SAH concentrations in liver and brain, methionine synthase in regions of the brain of pregnant and lactating rats. Sixty female Sprague-Dawley ra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nd were fed folic acid supplemented diet (FS; 8㎎/㎏ folic acid) or folic acid deficient diet (FD; 0㎎/㎏ folic acid) from 2 weeks prior to the mating throughout the pregnancy and lactation period. Twenty rats were killed at pre-pregnancy, day 20 of pregnancy and day 21 of lactation respectively. Plasma folate and vitamin B12 concentrations were measured by using radioimmunoassay. Plasma homocysteine concentrations, the SAM/SAH ratio and methionine synthase activities in tissue were measured by using HPLC. In the present study, folate deficient diet influenced on a decrease in plasma folate, vitamin B12 levels with a concomitant increase in plasma homocysteine level and reduced the SAM/SAH ratio and methionine synthase activity in the hippocampus and the cortex of pregnant and lactating rats. In the hippocampus, the SAM/SAH ratio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FD group than in the FS group at day 20 of pregnancy. In the cortex, the SAM/SAH ratio of the FD group significantly decreased at day 21 of lactation and methionine synthase activities of the FD group significantly decreased at day 20 of pregnancy and day 21 of lactation compared to those of the FS group. In the spinal cord, no difference was observed between the two diets. As well,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AM/SAH ratio of regions of the brain according to reproductive states. Compared to the SAM/SAH ratio of the cortex, hippocampus and spinal cord at prepregnancy, those at pregnancy and lactation were significantly lower in all groups. In conclusion, folic acid intake affected the SAM/SAH ratio and methionine synthase activities in maternal brain as well as vitamin Bs and homocysteine levels in maternal plasma. It is known that the SAM/SAH ratio and methionine synthase activities are closely associated with numerous methylation reactions involving in nucleotide, DNA synthesis and neuronal cell proliferation. Therefore, it is believed that folate intake may improve the development and function of the central nervous system in maternal brain during pregnancy and lactation. To examine neurological and cognitive function precisely, further studies on effects of folate intake on changes in neurological function-related biomolecules are needed. 엽산은 단일탄소대사에서 조효소 역할을 하며 단일탄소대사과정은 신경세포의 증식 DNA의 합성 등의 과정에 메틸기를 제공함으로써 중추신경계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임신 및 수유기에는 다양한 생리적 변화에 의해 엽산의 요구량이 증가한다. 따라서 이 시기에 엽산보충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으면 엽산결핍을 초래할 수 있으며 이는 태아뿐 아니라 모체에도 유의한 영향을 줄 수 있다. 본 연구는 임신 및 수유기의 엽산 섭취상태가 어미 쥐 뇌의 SAM/SAH ratio와 methionine 합성효소의 활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생후 6주령 된 Spraque-Dawley 종 암컷 흰쥐를 2군으로 나눈 후, 각각의 군에 엽산 보충식이(8mg/kg diet)와 엽산 결핍식이(0mg/kg diet)를 교배 2주전부터 수유 21일이 되는 시점까지 제공하였다. 희생시기를 임신 전, 임신 20일, 수유 21일로 구분하고 각 시기에 희생된 실험동물로부터 혈장, 간, 뇌, 척수조직을 적출하여 실험에 이용하였다. 혈장의 엽산과 비타민 B12 의 농도는 radioimmunoassay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혈장 호모시스테인의 농도와 간, 뇌, 척수조직의 SAM/SAH의 농도, 그리고 뇌와 척수조직의 메티오닌 합성효소의 활성은 HPLC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임신 및 수유기의 엽산 결핍식이는 어미 쥐 뇌의 SAM/SAH ratio와 메티오닌 합성효소의 활성 감소에 영향을 미쳤으며, 이러한 결과는 뇌 부위와 생식시기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이와 더불어 엽산 결핍식이는 혈장의 엽산, 비타민 B12 수준 및 간의 SAM/SAH ratio을 감소시키고 혈장의 호모시스테인의 수준을 증가시켰다. 임신 20일에 어미 쥐 hippocampus의 SAM/SAH ratio는 엽산보충군에 비해 엽산결핍군에서 유의적으로 낮았으며, 같은 시기에 cortex와 spinal cord의 SAM/SAH ratio는 두 군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수유 21일에 어미 쥐 cortex 의 SAM/SAH ratio는 엽산보충군에 비해 엽산결핍군에서 유의적으로 낮았으며, 같은 시기에 hippocampus와 spinal cord의 SAM/SAH ratio는 두 군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엽산 섭취 유무에 따른 Methionine 합성효소의 활성 차이는 임신 20일과 수유 21일경의 cortex에서만 나타났다. Hippocampus와 spinal cord의 methionine 합성효소의 활성은 엽산보충군과 결핍군 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뇌 부위의 SAM/SAH ratio는 어미 쥐의 생식시기(임신 및 수유기)에 따라서도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그러나 뇌 부위의 methionine 합성효소의 활성은 생식시기에 따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엽산보충군 spinal cord의 SAM/SAH ratio는 생식시기에 따라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은 반면, 엽산결핍군의 spinal cord, cortex와 hippocampus의 SAM/SAH ratio는 임신 전보다 임신 20일 및 수유 21일경에 그 수준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결론적으로, 임신 및 수유기 엽산결핍은 어미 쥐의 cortex 와 hippo-campus의 단일 탄소 대사에 영향을 미쳤으며 시기에 따라서 엽산의 결핍에 민감하게 영향을 받는 뇌 부위가 달라졌다. 즉 이는 임신 및 수유기의 엽산결핍은 어미 쥐 뇌의 단일탄소대사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줄 수 있으며 단일탄소대사가 활성화되는 뇌 부위가 생식시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임신 및 수유기 때 뇌 SAM/SAH ratio의 유의적인 감소의 결과는 이 시기에 급격하게 증가된 메틸화 반응이 어미 쥐의 뇌에 영향을 미쳤음을 말해준다. 이상의 연구결과, 엽산의 섭취는 임신 및 수유를 경험하는 여성들 뇌의 단일탄소대사 즉, SAM/SAH ratio와 methionine 합성효소 활성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단일탄소대사 장애는 DNA, 핵산, 단백질, 인지질 등의 합성을 감소시켜 어미 뇌의 정상적인 기능을 저해시킬 수 있으므로 임신 및 수유기의 엽산보충은 충분히 이루어져야 한다. 후행연구에서는 엽산결핍이 어미 쥐의 뇌의 신경학적 기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진행되어야 엽산이 뇌의 기능에 미칠 수 있는 좀 더 정확한 기전이 제시될 수 있을 것이다.

      • 건강신념과 자궁경부암 검진행위에 관한 연구

        오경희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자궁경부암 검진행위와 반복검진의 의향을 파악하고, 일반적 특성, 행동촉진계기, 이전의 검진경험, 건강신념에 따른 자궁경부암 검진행위와 반복검진의향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군포시에 거주하는 40세에서 69세의 503명의 여성을 대상으로 2008년 1월 18일부터 29일까지 조사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과 행동촉진계기, 건강신념, 자기효능감을 변수로 자궁경부암 검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고, 이전의 검진경험, 만성질환 및 생활습관의 변수를 추가하여 반복검진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χ2 검정을 이용하여 단변량 분석을 시행한 후 유의한 차이를 보인 변수들을 포함한 다변량 분석에서는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 연구대상자의 평균나이는 50.2세이며, 모두 기혼이었다. 자궁경부암의 수검률에 영향을 주는 변수로는 건강신념 중 건강행위에 대한 지각된 장애성과 자기효능감이였다. 지각된 장애성이 낮은 대상자에 비해 지각된 장애성이 높은 대상자가 자궁경부암 검진을 받은 오즈비는 0.51(95% CI, 0.29-0.91)로 장애성이 낮을수록 자궁경부암 검진수검률이 유의하게 높았으며, 자기효능감이 낮은 대상자에 비해 자기효능감이 높은 대상자가 자궁경부암 검진을 받은 오즈비는 1.93(95% CI, 1.08-3.46)로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자궁경부암 검진수검률이 유의하게 높았다. 자궁경부암의 반복검진 의향은 연령이 높을수록 반복검진 의향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오지비 0.48, 95% CI, 0.23-0.99), 타인과 비교했을 때 자신의 건강상태가 ‘나쁜 편이다’고 생각하는 대상자에 비해 ‘좋은 편이다’라고 생각하는 대상자의 자궁경부암 반복검진 의향의 오즈비는 2.82(95% CI, 1.05-7.56)로, 자신의 건강상태가 좋다고 생각할수록 반복검진의 의향이 높았다. 운동과 관련하여 일주일 동안 거의 운동을 하지 않는 대상자에 비해 일주일에 5일 이상 운동하는 대상자의 반복검진 의향의 오즈비는 4.79(95% CI, 1.47-15.60)로, 운동을 많이 할수록 자궁경부암 반복검진 의향이 높았다. 이전의 검진시점이 3년 이전의 대상자에 비해 1년 이내에 검진을 한 대상자가 2.92배 반복검진 의향이 높았다(95% CI, 1.39-6.16). 건강신념 중 질병에 대한 지각된 감수성이 낮은 대상자에 비해 감수성이 중간인 대상자의 자궁경부암 반복검진 의향의 오즈비는 3.65(95% CI, 1.66-8.05)이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건강행위에 대한 지각된 유익성이 낮은 대상자에 비해 유익성이 높은 대상자의 자궁경부암 반복검진 의향의 오즈비는 2.37(95% CI, 1.01-5.56)로, 검진에 대한 유익성이 높다고 지각할수록 반복검진 의향이 높았다. 결론 : 자궁경부암 반복검진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질병에 대한 지각된 감수성과 검진에 대한 지각된 유익성이였다. 그러나 실제적인 검진이행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검진에 대한 지각된 장애성과 검진을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는 신념임을 알 수 있었다. 반복검진의향을 실제 검진행위로 이행하기 위해 검진에 대한 장애성을 줄이고, 자기효능감을 높이기 위한 보건정책이 필요하다.

      • 커뮤니티 기반 토론학습에서 온라인과 오프라인 및 블렌디드 환경에 따른 토론촉진전략이 학습효과에 미치는 영향

        오경희 숙명여자대학교 원격교육공학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compare learning effects depending on different learning environments. Community based discussion models were employed in a genuine high school. For this, concrete discussion strategies were planned to be suitable for an online, offline, and blended discussion environment. Also, the learner's participation, achievement and satisfaction in each environment was compared and analyzed. The following questions were addressed in this study; 1. Is ther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chievement scores of learners in each of three subject groups: The online discussion, the offline discussion, and the blended discussion learning strategies. 2. Is ther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learner's participation in each of three subject groups: The online discussion, the offline discussion, and the blended discussion learning strategies. 3. Is ther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learner's satisfaction in each of three subject groups: The online discussion, the offline discussion, and the blended discussion learning strategies. The subjects were high school second grade students in a standardized environment. Subjects were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on ine, offline, blended environment. They were provided with a discussion facilitating strategy suitable for each environment. For the online discussion group verbal feedback and evaluation was provided through the discussion board and online discussion activity progressed as a form of an individual learning. The offline discussion group was provided with a teacher's verbal feedback and face-to-face discussion. The blended discussion group had a preliminary discussion with an offline class and followed by an online discussion through the discussion board. Feedback in both online and offline environment was provided as well. In this discussion achievement process achievement scores and learner's participation were measured and quantified. Learner's satisfaction was also surveyed through a questionnaire after the discussion. After the experiment, the above results of the three groups were compared and analyzed through One-Way ANOVA. The results of the research were summarize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chievement scores, learner's participation, learner's satisfaction of learners in each of three subject groups. Specifically, the blended discussion group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verage grade compared to online discussion group. Notably the participation rate of blended discussion group was the highest and the participation rate of offline discussion group was low. The blended discussion learning group showed the highest discussion satisfaction rate in comparison to the other two groups. In view of the achieved results of this research, we come to the conclusions that discussion facilitating strategy in a blended discussion environment in community based discussion learning has a great effect on learning compared to the other two discussion facilitating strategies. Based on the result of the research, the following recommendations were offer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pplication time of blended learning strategy and learning result,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er's property and discussion learning environment, the need for study on blended learning method that is applicable to the actual teaching spot in a school. 21세기는 정보화 사회, 지식기반 사회로 새로운 교육모습을 구현하고 혁신을 도모하는 학습방법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새로운 교수-학습 방법의 하나인 커뮤니티 기반 토론학습을 수업 현장에 적용하여 다양한 토론 환경에 따른 학습효과를 비교해 보았다. 이를 위해 처방적이면서도 구체적인 토론촉진전략을 온라인과 오프라인 및 블렌디드 환경에 적합하도록 구안하고 각 환경에서의 학업성취도, 학습참여도, 학습만족도를 비교 · 분석하였다. 이에 연구 문제를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커뮤니티 기반 토론학습에서 첫째, 학습 환경에 따른 토론촉진전략의 적용 집단 간에는 학업성취도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는가? 둘째, 학습 환경에 따른 토론촉진전략의 적용 집단 간에는 학습참여도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는가? 셋째, 학습 환경에 따른 토론촉진전략의 적용 집단 간에는 학습만족도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는가? 실험은 평준화 지역의 인문계 고등학교 2학년을 대상으로 온라인과 오프라인, 블렌디드 환경의 세 집단으로 나누어 진행하였다. 온라인 토론 집단은 토론 게시판을 통해 교사의 피드백를 제공받고 개별학습의 형태로 온라인 토론 활동이 진행되었다. 오프라인 토론 집단은 교사주도의 토론촉진 전략을 제공하였으며 팀 조직을 통한 면대면 토론이 이루어 졌다. 블렌디드 토론 집단은 오프라인의 팀에서 예비 토론을 하고, 토론 게시판에서 온라인 토론을 진행하였으며 교사의 피드백은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통해 제공되었다. 이러한 토론의 수행 과정에서 학업성취도와 학습참여도가 측정되어 수량화되었으며, 학습만족도는 토론이 끝난 후 설문조사로 측정되었다. 실험이 끝난 후 환경에 따른 토론촉진전략의 유형이 학업성취도, 학습참여도,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 · 분석하기 위하여 세 집단을 비교하는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학업성취도와 학습참여도, 학습만족도 모두 토론촉진전략의 유형에 따라 차이가 나타났다. 특히 블렌디드 토론 집단이 다른 두 집단(온라인과 오프라인)에 비해 학업성취도와 학습참여도, 학습만족도에서 모두 높게 나타났다. 학업성취도는 블렌디드 토론 집단이 온라인 토론 집단보다 유의미하게 높았으며, 학습참여도는 블렌디드 토론집단과 온라인 토론 집단이 오프라인 토론 집단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았다. 학습만족도 중 수업만족도는 블렌디드 토론집단이 다른 두 집단(온라인과 오프라인)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즉, 블렌디드 토론집단과 온라인 토론집단, 블렌디드 토론집단과 오프라인 토론집단 간에 수업만족도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상과 같은 연구 결과들을 종합한 결과, 커뮤니티 기반 토론학습에서는 블렌디드 토론 환경에서의 토론촉진전략이 온라인과 오프라인의 토론촉진전략보다 상대적으로 학습 효과 향상에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추후 연구에서는 블렌디드 러닝(Blended Learning)전략의 적용 시기와 학습 성과와의 관계, 학습자의 특성과 토론학습 환경과의 관계, 학교현장에서의 수업을 위한 블렌디드 러닝(Blended Learning) 방법에 대해 연구해 볼 필요가 있다.

      • 4-6세 아동의 어순ㆍ의미 단서에 따른 비교격조사 ‘보다, 만큼’의 이해 양상

        오경희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4, 5, 6세 아동의 어순 단서와 의미 단서에 따른 비교격조사 ‘보다’와 ‘만큼’의 이해 정도를 알아보고 어순 단서와 의미 단서가 ‘보다’와 ‘만큼’의 이해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4, 5, 6세 아동 각 10명을 대상으로 문장 이해 검사를 실시하였는데, 문장 이해 검사는 한 페이지에 3개의 그림을 제시하고 검사자가 읽는 문장을 나타낸 그림을 이 중 찾도록 하였다. 검사는 ‘보다’와 ‘만큼’ 각 16문항, 총 32문항으로 이루어졌으며 문장들은 어순과 의미에 있어 정치, 도치, 의미상 참, 의미상 거짓의 네 가지 조건에 따라 다르게 구성되었다. 연구 결과, ‘보다’의 이해 정도와 연령 간의 관계는 유의하였고, 연령이 높을수록 이해 정도는 증가하였으며 5세 연령에서 78%의 이해 정도를 보여 습득 수준을 충족하였다. 그러나 ‘만큼’의 이해 정도와 연령 간의 관계는 유의하게 나타나지 않았으며 6세 아동들의 이해도도 36%에 그쳐 그 이해 정도가 매우 낮았다. 단서의 영향을 보면 ‘보다’와 ‘만큼’ 문항 모두에서 어순 단서의 영향이 있었다. ‘보다’의 경우 아동들은 정치 문장에서보다 도치된 문장에서 이해를 더 잘 하였으나 이와 반대로 ‘만큼’의 경우에는 정치된 문장에서의 이해 정도가 근소하게 나았다. 이는 문장 내 주격조사 ‘가/이’가 비교격조사와 경쟁하는가 여부와 관련있는 것으로 보이며 또한 부사어와 서술어의 거리와도 관계가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의미 단서의 영향은 ‘보다’와 ‘만큼’ 두 경우 모두에서 유의하지 않았고 이는 4세 이상의 아동들이 의미보다 조사를 더욱 강력한 단서로 활용함을 보여준다고 하겠다. 검사에서 나타난 오류 유형을 보면 ‘만큼’ 문장의 주격조사 ‘가/이’를 단서로 채택한 오류가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어순 단서에 의한 오류, 마지막이 의미 단서에 의한 오류 순이었다. 이는 역시 4세 이상의 아동들이 문장을 이해하는 데 조사를 가장 강력한 단서로 사용함을 보여주는 것이다. 단서 혹은 전략에 따른 문장 이해를 알아보는 유사한 연구들에서는 정치된 어순에서 문장 이해가 용이하였다는 것이 공통된 결과이다. 본 연구에서도 ‘만큼’의 경우에는 정치된 어순에서 근소하게 문장 이해 수준이 높았으나 ‘보다’의 경우는 그 반대였다. 전반적으로 우리가 평소에 주로 사용하는 형식인 정치 어순이 이해에 용이하나 이러한 규칙이 적용되지 않는 문장 형태가 있고 ‘보다’는 그 중 하나임을 본 연구를 통하여 알 수 있었다. 비교격조사는 비교적 뒤늦게 습득되는 형태로서 어린 아동들에게 그 출현은 부담이 될 수 있고 그에 따라 문장을 이해하는 데 사용되는 전략과 단서들이 보다 다양해져 조사와 서술어 간의 거리 등도 중요한 단서가 될 수 있음을 추측하게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4 to 6 year-old children's interpretation of comparative marker ‘Boda, Mankeum' and the characteristic of the influence which may be caused by word order cue and semantic cue to interpret the markers. 10 children of each age of 4, 5, 6 were tested by Sentence interpretation test. The children were asked to choose a picture from three pictures shown on a sheet of paper which they thought described the sentence after they were given a sentence. The test contains 32 sentences which are equally divided to two categories ‘Boda', ‘Mankeum'. The sentences are composed of 4 conditions - subject-go-first sentence, inverted, semantically true, semantically false. The results show that the relation of age and the interpretation of Boda is significant and as children are older, the interpretation of ‘Boda' is better. 5 year-old children show 78% of interpretation and it meets the acquirement level. The relation of age and the interpretation of ‘Mankeum', however, is not significant. The interpretation of ‘Mankeum' is very low and even 6 year-old children understood about 36% of the sentences. Regarding the influence of cues, word oder cue functions in both of ‘Boda, Mankeum'. In regard of 'Boda', the children comprehended better in inverted sentences than in subject-go-first order. On the contrary, the children comprehended better in subject-go-first sentences slightly. It is considered whether subject marker ‘Ka/Ih' competes with comparative marker in a sentence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adverb and the predicate affect the interpretation. The influence of semantic cue is not significant to interpretation of both of ‘Boda, Mankeum'. It can be said that children older than 4 years old use makers as a stronger cue than semantic cue. Regarding error type, the error which was happened when children used subject marker 'Ka/Ih' in ‘Mankeum' sentence as a cue was most frequent, and the word order error was secondly frequent, and the semantic error was least frequent. It also shows that children older than 4 years old use marker as the strongest cue for comprehending sentences. Other studies which investigated about cues or strategy resulted that it was easier to interpret in subject-go-first sentence than in inverted. In this study, regarding ‘Mankeum', in subject-go-first sentence was easier to comprehend the context, it was, however, contrary about ‘Boda'. As a whole the sentence in which subject goes first, which we usually use, is easier to comprehend, but this is not applied to all the circumstances and 'Boda' is an example. Comparative marker is acquired relatively late, and it may lay children a load. This can be a cause of using more various cues to interpret sentences such as distance between the adverb and the predicate.

      • 동중국해 해수순환의 계절변화와 대한해협의 유량변화

        오경희 제주대학교 대학원 1998 국내석사

        RANK : 247631

        동중국해 해수순환의 계절변화가 대한해협 유량의 계절변화에 어떤 영향을 주는 지를 알아보기 위해 쿠로시오와 주변해역에 대한 공동연구(CSK)를 목적으로 관측된 수온, 염분자료(1965∼1989)를 사용하여 동중국해 해수분포의 계절변화와 이에 따른 해수순환의 계절변화를 살펴보았다. 겨울철에는 황해방면으로 난류수가 확장되는 반면 여름철에는 저층에서 동중국해 방면으로 저층냉수가 확장되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동중국해에서 황해로 향하는 압력장이 여름철에 약화되면서 발생하는데 압력장이 약화되는 원인은 양자강연안수로 인한 저염화 때문이다. 이로 인해 대마난류수는 여름철에 대륙붕단 부근으로 축소되며, 대륙붕단 가까이에서 유속이 강화된다. 축소된 거리에 의해 환산된 대마난류수 유량의 변동은 대한해협 유량의 계절변화에 영향을 주기에 충분하다. In order to study the influence of the seasonal variations of circulation in the East China Sea (ECS) on the seasonal variation of volume transport in the Korea Strait (KS), seasonal variations of water mass distribution and circulation in the ECS are analyzed with CSK (Cooperative study in the Kuroshio and Adjacent Regions) data during period of 1965w 1989. Tsushima Warm Water (TWW) expand toward the central Yellow Sea from the ECS in winter, but in summer the Yellow Sea Bottom Cold Water expand toward the ECS along central Yellow Sea in the lower layer. It is due to the seasonal variation of pressure field in ECS. Changjiang Coastal Water (CCW) seems to weaken the pressure field of the ECS in summer, which distribute extensively from the river mouth to the shelf area in the surface layer. Therefore, TWW shrinks to the shelf break and Tsushima current becomes stronger than in winter. It turn out that the difference of TWW volume in ECS between summer and winter are enough to make influences on the seasonal variations of volume transport in the K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